KR101744222B1 -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 - Google Patents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222B1
KR101744222B1 KR1020150109213A KR20150109213A KR101744222B1 KR 101744222 B1 KR101744222 B1 KR 101744222B1 KR 1020150109213 A KR1020150109213 A KR 1020150109213A KR 20150109213 A KR20150109213 A KR 20150109213A KR 101744222 B1 KR101744222 B1 KR 101744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brow
expressed
eyebrows
eye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019A (ko
Inventor
조소영
Original Assignee
조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소영 filed Critical 조소영
Priority to KR102015010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2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30Masks for marking lips or eyelas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눈썹의 머리부 및 연결부를 구성하는 눈썹모를 불규칙하게 표현하되 자연스러운 눈썹의 흐름을 분석하여 표현함으로써, 실제 눈썹처럼 자연스러운 눈썹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한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반영구 눈썹 시술을 위한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에 있어서, 눈썹은 머리부, 연결부, 꼬리부로 구분되고, 상기 머리부 시술은, 곡선과 직선의 눈썹모가 서로 불규칙하게 배열되면서 머리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이웃하는 곡선과 직선의 눈썹모는 1/3이상 중첩되는 공유공간을 형성하도록 표현하며, 직선과 곡선의 눈썹모가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공유공간은 상방으로 점점 넓어지도록 표현하고, 곡선과 직선의 눈썹모가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공유공간은 상방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표현하며, 곡선의 눈썹모는 연결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뉘어지게 표현되도록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A special make-up method of eyebrows using the needle cartridge}
본 발명은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영구 눈썹 시술에 대한 자연스러움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점차 발달함에 따라 여성들의 사회생활도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 특히 얼굴을 더욱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 얼굴 화장에 대단한 신경을 쓰고 있다.
이와 같이 여성들이 얼굴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용구들은 아이섀도, 립스틱, 눈썹화장용 칼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각각의 화장용구들은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이 널리 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서는 남성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도 크게 늘어나면서 남성들 역시 여성들 못지 않게 얼굴화장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편, 사람의 얼굴은 그 사람의 인상을 강하게 느끼게 하는 신체부위이며, 특히 눈과 눈썹은 얼굴의 표정을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이와 같이, 신체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눈썹은 눈의 형태와 잘 어울릴 수 있어야 얼굴 전체적인 윤곽 및 좋은 첫인상을 타인에게 주게 된다.
그러나, 신체적으로 눈썹의 모(毛) 수가 적거나 화상 또는 질병 등으로 모(毛) 수가 적어서 눈썹과 눈의 전체적인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아이 펜슬이나 눈썹 브러쉬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눈썹을 그리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눈썹에 특별한 문제점이 없다고 할지라도, 대부분의 여성들은 눈썹을 제거하고, 화장으로 인공적인 눈썹을 그리고 있다.
이러한 눈썹 그리기는 사람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화장이며, 약간만 모양이 달라도 전체적인 인상이 달라지므로, 좌우가 정확히 대칭이 되도록 그려야 하므로 매우 힘든 작업이다.
그러나, 이렇게 중요하고 힘든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손과 감각으로만 그렸기 때문에, 눈썹을 그리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더러, 아름다운 모양을 얻기도 힘들었으며, 현대여성과 같이 아침시간이 촉박한 경우에는 더욱 곤란함으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보완으로서, 최근에는 눈썹을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반영구적으로 시술해 그려 넣는 반영구 화장 기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반영구 화장은 눈썹, 아이라인, 입술에 주로 시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눈썹 부위의 피부 표면에 눈썹 모양을 따라 니들 카트리지를 가진 시술기기를 사용하여 문신을 넣어주는 시술 방법으로서, 상기 니들 카트리지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대한민국 등록번호 10-1487448)한 바 있다.
상기 반영구 눈썹 화장(이하, '눈썹 특수 메이크업'이라 함)은 도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피부 표면에 반영구적으로 시술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단 한번 시술되고 나면 교정 또는 제거(레이저를 사용하여 제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나, 매번 눈썹을 그리고 지우는 노력이 필요 없고, 맨 얼굴이나 운동시에도 화장한 듯한 얼굴을 나타낼 수 있으며, 눈썹이 적은 사람들에게 뚜렷한 눈썹을 표현해주기 때문에 널리 시술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상기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실제 눈썹의 흐름 분석이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수 메이크업이 이루어지다 보니, 눈썹 표현이 자연스럽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및 직선의 선들로 평행하게 표현함으로써, 눈썹 표현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인위적일 뿐만 아니라 어색한 느낌을 갖게 하였던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등록한 『등록번호 10-1071984 반영구적인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을 통해 자연스러운 눈썹 특수 메이크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눈썹 특수메이크업을 위한 좀더 디테일한 표현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07198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눈썹의 흐름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눈썹 유형에 따라 실제 눈썹처럼 자연스럽고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반영구 눈썹 시술을 위한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에 있어서, 눈썹은 머리부, 연결부, 꼬리부로 구분되고, 상기 머리부 시술은, 곡선과 직선의 눈썹모가 서로 불규칙하게 배열되면서 머리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이웃하는 곡선과 직선의 눈썹모는 1/3이상 중첩되는 공유공간을 형성하도록 표현하며, 직선과 곡선의 눈썹모가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공유공간은 상방으로 점점 넓어지도록 표현하고, 곡선과 직선의 눈썹모가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공유공간은 상방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표현하며, 곡선의 눈썹모는 연결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뉘어지게 표현되도록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머리부 및 연결부를 구성하는 눈썹모의 패턴을 불규칙하게 표현함으로써, 눈썹이 최대한 자연스럽게 표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머리부는 곡선과 직선의 눈썹모를 불규칙하게 혼용하여 표현하고, 연결부는 눈썹의 상부와 하부에 표현되는 패턴을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눈썹 모양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을 통해 표현된 눈썹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을 통해 표현된 눈썹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자연 눈썹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해 눈썹의 머리부를 표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해 눈썹의 연결부를 표현하는 방법 중 연결분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해 눈썹의 연결부를 표현하는 방법 중 균등분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에서, 머리부와 연결 분배를 조합하여 눈썹을 표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에서, 머리부와 균등 분배를 조합하여 눈썹을 표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해 눈썹을 표현한 상태의 예들을 나타낸 사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은 눈썹모의 길이, 각도, 면적의 불규칙한 변화를 통해 시술된 눈썹모가 실제 눈썹처럼 자연스럽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자연 눈썹은 통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와, 연결부와, 꼬리부로 구성된다.
머리부는 눈썹의 선단부 즉, 미간에 가장 가까운 부위이며, 꼬리부는 미간으로부터 가장 먼 부위 즉 눈썹의 후단부를 말한다.
상기 연결부는 머리부와 꼬리부를 연결해주는 부위로서 머리부의 흐름을 꼬리부에 자연스럽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연 눈썹에 가까울수록, 특수 메이크업된 반영구 눈썹도 자연스러움을 표출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자연스러운 눈썹을 표현하는 특수 메이크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불규칙한 눈썹모를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머리부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실제 눈썹의 흐름을 분석한 후, 눈썹모와 눈썹모 사이의 공유공간을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눈썹 숱이 많아 보이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공유공간이라 함은 이웃하는 눈썹모 간에 중첩되는 부위를 말한다.
그리고, 눈썹모와 눈썹모가 위치하는 각도가 평행하지 않고 공유공간의 면적이 서서히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형태로 존재하거나, 눈썹모가 두 개 이상 모여 길이의 변화, 각도의 변화, 공유공간 면적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실제 눈썹과 같은 눈썹결의 흐름을 갖게 된다.
머리부의 눈썹모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니들 카트리지(등록번호 10-1487448호)를 이용해 시술하며, 첫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직선으로 표현한다.
다음으로, 두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첫번째 눈썹모의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곡선으로 표현한다.
이때, 첫번째 눈썹모와 두번째 눈썸모의 공유 공간은 1/3 이상이며, 상기 공유공간의 면적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표현한다.
다음으로, 세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두번째 눈썹모를 받쳐주는 직선으로 표현한다.
이때에도 두번째 눈썹모와 세번째 눈썹모의 공유 공간은 1/3 이상이지만, 상기 공유공간의 면적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표현한다.
다음으로, 네번째 눈썹모는 세번째 눈썹모 옆에 세워지는 직선으로 표현하되, 세번째 눈썹모와의 공유 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한다.
이때, 공유공간의 면적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표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섯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두번째 눈썹모에 비해 연결부 측으로 더 뉘어진 곡선으로 표현한다.
이때, 네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며, 상기 공유공간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표현한다.
다음으로, 여섯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다섯번째 눈썹모를 받쳐주는 직선으로 표현한다.
이때, 다섯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며, 상기 공유공간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표현한다.
다음으로 일곱번째 눈썹모는 여섯번째 눈썹모 옆에 세워지는 직선으로 표현하되, 여섯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한다.
이때, 공유공간의 면적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표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여덟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다섯번째 눈썹모에 비해 연결부 측으로 더 뉘어진 곡선으로 표현한다.
이때, 일곱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며, 상기 공유공간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표현한다.
다음으로, 아홉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여덟번째 눈썹모를 받쳐주는 직선으로 표현한다.
이때, 아홉번째 직선은 완전한 직선보다는 배부른 직선으로 표현함이 바람직하며, 여덟번째 눈썹모와의 공유 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한다.
이때, 상기 공유공간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표현한다.
다음으로, 열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아홉번째 눈썹모의 옆에 세워지는 직선으로 표현한다.
이때, 아홉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한다.
다음으로, 열한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열번째 눈썹모를 받쳐주는 직선으로 표현한다.
이때, 열한번째 눈썹모는 각도 변화를 적절히 주면서 머리부 하단의 허전한 면적을 채워주도록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열두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여덟번째 눈썹모에 비해 연결부 측으로 더 뉘어진 곡선으로 표현한다.
이때, 열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며, 상기 공유공간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표현한다.
다음으로, 열세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열두번째 눈썹모를 받쳐주는 직선으로 표현한다.
다음으로, 열네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직선으로 표현한다.
이때, 열세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하며,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표현한다.
다음으로, 열다섯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열네번째 눈썹모를 받쳐주는 직선으로 표현한다.
이때, 열네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하며,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표현한다.
다음으로, 열여섯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현하되, 열두번째 눈썹모에 비해 연결부 측으로 더 뉘어진 곡선으로 표현한다.
이때, 열네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며, 상기 공유공간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표현한다.
이로써 머리부의 특수 메이크업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머리부는 통상적으로 열여섯번째 눈썹모를 벗어나지 않는데, 이는 가장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눈썹모를 분석한 결과이다.
물론, 반드시 머리부의 눈썹모 개수가 열여섯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시술자의 머리부 범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피시술자의 머리부 범위가 작을 경우, 열여섯번째 눈썹모의 범위 안에서 순차적으로 표현하며, 피시술자의 머리부 범위가 클 경우 열여섯 번째까지의 눈썹모를 반복하여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머리부의 흐름에 따라 꼬리부에 눈썹모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연결부 표현 방법은 연결분배와 균등분배로 구분될 수 있다.
사람의 눈썹 형태에 따라, 상부의 눈썹모가 부족하거나 하부의 눈썹모가 부족한 사람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연결분배와 균등분배는 피시술자의 눈썹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술될 수 있게 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연결분배 시술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연결분배는 머리부의 상단부터 자연스럽게 연결부로 잇고자 하는 경우, 즉, 연결부의 상단부 눈썹모가 부족한 경우에 시술되는 표현방법으로서, 눈썹모 세 개가 한 세트를 이루며, 이러한 한 세트는 복수로 마련되어 연결부의 상부에 표현된다.
연결분배에 의한 눈썹모 한 세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자 入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곡선과 이를 받쳐주는 곡선으로 표현되는데, 세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후단부 눈썹모를 받쳐주는 곡선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세 개의 눈썹모 사이에는 공유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유공간은 1/2 이상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표현된 한 세트의 눈썹모 옆으로 같은 방법으로 표현된 다른 한 세트의 눈썹모를 표현한다.
이때, 다른 한 세트의 눈썹모는 처음 한 세트의 눈썹모 각도에 비해, 누운 각도로 표현되며, 이후 표현되는 눈썹모 세트 역시 점점 뉘어지게 표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눈썹모가 형성하는 공유공간의 면적이 넓어지다 좁아지고, 좁아지다 넓어지는 자연스러운 눈썹모의 흐름이 표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균등분배를 통한 연결부 표현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는 연결부의 상단과 하단을 구성하는 눈썹모들로 표현되며, 첫번째 눈썹모부터 순차적으로 홀수번째의 눈썹모는 연결부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표현하되, 꼬리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뉘어지게 표현된다.
그리고, 두번째 눈썹모부터 순차적으로 짝수번째의 눈썹모는 직선의 형태로 표현하되, 홀수번째 눈썹모의 사이에 불규칙한 각도로 표현함으로써, 숱이 자연스럽게 많아 보이는 눈썹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분배에 따른 눈썹 특수 메이크업을 실시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피시술자의 눈썹 형태에 따라 머리부의 흐름(뉘어진 곡선의 눈썹모)이 3개인 것에서부터 5개인 것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연결부의 상단 눈썹 흐름이 자연스럽지 못한 피시술자의 경우, 상기와 같이 연결분배를 통한 특수 메이크업을 실시하되, 머리부의 흐름이 3개인 것에서부터 5개에 이르기까지 피시술자에게 자연스러운 흐름을 표현할 수 있는 패턴을 선택하여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균등분배에 따른 눈썹 특수 메이크업을 실시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피시술자의 눈썹 형태에 따라 머리부의 흐름이 3개인 것에서부터 5개인 것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연결부의 하단 눈썹 흐름이 자연스럽지 못한 피시술자의 경우, 상기와 같이 균등분배를 통한 특수 메이크업을 실시하되, 머리부의 흐름(뉘어진 곡선의 눈썹모)이 3개인 것에서부터 5개에 이르기까지 피시술자에게 자연스러운 흐름을 표현할 수 있는 패턴을 선택하여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눈썹 특수메이크업 방법을 이용해 눈썹을 표현한 사진으로서, 머리부와 꼬리부의 눈썹모가 부족한 피시술자의 눈썹 특수 메이크업이 이루어진 사진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머리부와 꼬리부의 눈썹 숱이 많아 보임은 물론, 자연스럽게 표현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머리부의 눈썹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표현됨으로써, 실제 눈썹의 느낌 표현이 극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은 전체적으로 눈썹 숱이 부족한 피시술자에 대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이 이루어진 사진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머리부에서부터 꼬리부에 이르기까지 눈썹이 진하고 눈썹 숱이 많아 보임은 물론, 눈썹모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눈썹 특수메이크업 방법은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눈썹모를 시술하되, 실제 눈썹처럼 자연스러움을 극대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곡선과 직선의 불규칙을 통해 머리부의 눈썹모 흐름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시술하였으며, 연결부는 상단과 하단을 분류하여 피시술자의 눈썹 형태에 맞게 시술함으로써 눈썹 시술의 자연스러움을 극대화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반영구 눈썹 시술을 위한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에 있어서;
    눈썹은 머리부, 연결부, 꼬리부로 구분되고, 상기 머리부 시술은, 곡선과 직선의 눈썹모가 서로 불규칙하게 배열되면서 머리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이웃하는 곡선과 직선의 눈썹모는 1/3이상 중첩되는 공유공간을 형성하도록 표현하며;
    직선과 곡선의 눈썹모가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공유공간은 상방으로 점점 넓어지도록 표현하고, 곡선과 직선의 눈썹모가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공유공간은 상방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표현하며;
    곡선의 눈썹모는 연결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뉘어지게 표현되도록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머리부의 첫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되는 직선으로 표현하고; 두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표현하되 첫번째 눈썹모의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곡선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첫번째 눈썹모와 두번째 눈썸모의 공유 공간은 1/3 이상이며, 상기 공유공간의 면적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표현되고; 세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표현하되 두번째 눈썹모를 받쳐주는 직선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두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으로써 공유공간의 면적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표현되며; 네번째 눈썹모는 세번째 눈썹모 옆에 세워지는 직선으로 표현하되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표현하며, 세번째 눈썹모와의 공유 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되고, 세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의 면적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직선으로 표현되며; 다섯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되는 곡선으로 표현하되, 두번째 눈썹모에 비해 연결부측을 향해 뉘어지게 표현하고 네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되면서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표현되며; 여섯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표현하되 다섯번째 눈썹모를 받쳐주는 직선으로 표현하고, 다섯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되면서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표현되며; 일곱번째 눈썹모는 여섯번째 눈썹모 옆에 세워지는 직선으로 표현하되, 여섯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되면서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표현되며; 여덟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되는 곡선으로 표현하되, 다섯번째 눈썹모에 비해 연결부를 향해 더 뉘어지게 표현하고, 일곱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되면서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표현되며; 아홉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표현되되 여덟번째 눈썹모를 받쳐주는 곡선으로 표현하고, 여덟번째 눈썹모와의 공유 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되면서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표현되고; 열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표현되되, 아홉번째 눈썹모의 옆에 세워지는 직선으로 표현하고, 아홉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되며; 열한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표현되되, 열번째 눈썹모를 받쳐주는 직선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각도 변화를 적절히 주면서 머리부 하단의 빈공간을 채워주도록 표현되며; 열두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표현되되 여덟번째 눈썹모에 비해 연결부를 향해 더 뉘어지게 표현하며, 열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되는 것으로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표현되고; 열세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표현되되 열두번째 눈썹모를 받쳐주는 직선으로 표현되고; 열네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현되는 직선으로 표현하며, 열세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되는 것으로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표현되며; 열다섯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표현되되 열네번째 눈썹모를 받쳐주는 직선으로 표현하며, 열네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되는 것으로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표현되며; 열여섯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상단에 위치되는 곡선으로 표현하되 열두번째 눈썹모에 비해 연결부를 향해 더 뉘어지게 표현하며, 열네번째 눈썹모와의 공유공간은 1/3 이상이 되도록 표현되는 것으로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표현되며; 이후의 머리부 눈썹모 표현은 첫번째 눈썹모부터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결부의 상단은 연결분배에 의해 표현되고, 연결분배는 머리부의 상단부터 자연스럽게 연결부로 잇고자 하는 경우인 연결부의 상단부 눈썹모가 부족한 경우에 시술되는 표현방법으로서, 눈썹모 세 개가 한 세트를 이루며, 이러한 한 세트는 복수로 마련되어 연결부의 상부에 표현되며, 연결분배에 의한 눈썹모 한 세트는 한자 入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곡선과 이를 받쳐주는 곡선으로 표현되는데, 세번째 눈썹모는 머리부의 후단부 눈썹모를 받쳐주는 곡선으로 표현되며, 세 개의 눈썹모 사이에는 공유 공간은 1/2 이상이 되도록 표현되며, 이후의 연결분배는 상기 한 세트의 눈썹모를 반복적으로 표현하되 다른 한 세트의 눈썹모는 처음 한 세트의 눈썹모 각도에 비해, 누운 각도로 표현되며, 이후 표현되는 눈썹모 세트 또한 점점 뉘어지게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부의 하단은 균등분배에 의해 표현되고, 균등분배는 연결부의 하단을 구성하는 첫번째 눈썹모부터 순차적으로 홀수번째의 눈썹모는 연결부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표현하되, 꼬리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뉘어지게 표현되고, 연결부의 하단을 구성하는 두번째 눈썹모부터 순차적으로 짝수번째의 눈썹모는 직선의 형태로 표현하되, 홀수번째 눈썹모의 사이에 불규칙한 각도의 직선으로 표현함으로써, 숱이 자연스럽게 많아 보이는 눈썹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09213A 2015-07-31 2015-07-31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 KR101744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213A KR101744222B1 (ko) 2015-07-31 2015-07-31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213A KR101744222B1 (ko) 2015-07-31 2015-07-31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019A KR20170015019A (ko) 2017-02-08
KR101744222B1 true KR101744222B1 (ko) 2017-06-07

Family

ID=5815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213A KR101744222B1 (ko) 2015-07-31 2015-07-31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2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984B1 (ko) * 2009-08-28 2011-10-11 조소영 반영구적인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984B1 (ko) * 2009-08-28 2011-10-11 조소영 반영구적인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019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2837B2 (en) Method of applying artificial eyelashes to an eyelid and an assembly therefor
JP4397380B2 (ja) 理美容教育訓練用頭部模型及び理美容教育訓練方法
KR100796238B1 (ko) 반영구 눈썹화장 시술 방법
US20130263885A1 (en) Template for Application of Permanent Eyebrow Make-Up
US20020083953A1 (en) Cosmetic brush for applying eyeliner to the lashline
KR20100099095A (ko) 마스카라 도포구
CN107797959A (zh) 处理脸部图像的系统和方法以及用于使脸部图像动画化的系统
Hogarth Drawing the human head
KR101071984B1 (ko) 반영구적인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
KR101744222B1 (ko) 니들 카트리지를 이용한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
Maughan The artist's complete guide to drawing the head
US10354546B2 (en) Semi-permanent makeup system and method
Simon Facial expressions: A visual reference for artists
CN209433681U (zh) 分区头部模型
KR200199209Y1 (ko) 미용 교육용 모발식설 모형
Townsend Foundations of Stage Makeup
KR20160045472A (ko) 3차원 입체 효과를 제공하는 볼륨 눈썹 문신 방법
KR20050011120A (ko) 곡선벡터로 구성된 아바타의 성형과 화장 방법 및 그 장치.
CN217644650U (zh) 一种分段式单线假睫毛
KR102283807B1 (ko) 한국인의 두상에 적합한 볼륨 헤어 커트 방법
Graves Figure painting in oil
CN114831402A (zh) 一种适用于凸面人群的化妆方法
Graves Life drawing in charcoal
KR200467974Y1 (ko) 멀티 아이새도우 팁
Rochayati et al. Analysis Of The Form Of Working On Make-Up, Clothing, And Properties Of The Lilin Shiva Dance In Palembang 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