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095A - 마스카라 도포구 - Google Patents

마스카라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095A
KR20100099095A KR1020107007303A KR20107007303A KR20100099095A KR 20100099095 A KR20100099095 A KR 20100099095A KR 1020107007303 A KR1020107007303 A KR 1020107007303A KR 20107007303 A KR20107007303 A KR 20107007303A KR 20100099095 A KR20100099095 A KR 20100099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terial
shape
mascara
applicator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8318B1 (ko
Inventor
모토키 다카타
이사오 야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00099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 A46B2200/106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including comb like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구가 속눈썹 뿌리의 커브에 맞춰 속눈썹을 들어 올리는 것, 속눈썹의 뿌리에 마스카라를 부착시켜 볼륨을 갖게 하는 것, 속눈썹을 크게 부채 모양으로 펴 바르는 것, 눈초리나 눈구석, 아래 속눈썹 등의 세세한 부분도 적확하게 펴 바르는 것 등이 가능하여, 전방위 확장형 마스카라의 도포 마무리감을 얻을 수 있는 마스카라 도포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도포구는, 장척(長尺) 형상의 코어재(2)와, 이 코어재(2)에 지지되며 이 코어재로부터 횡단면 외방을 향해 돌출되고 마스카라를 담지시켜 속눈썹에 도포하는 상측 도포부(5)와 하측 도포부(6)로 이루어지는 도포부를 구비하고, 또한 횡단면에 있어서 하측 도포부의 길이를 상측 도포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한 마스카라 도포구(1)로서, 상기 상측 도포부의 코어재의 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코어재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산부(一山部)와 반산부(半山部)가 하나로 이어진 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카라 도포구{MASCARA APPLICATOR}
본 발명은, 마스카라 등의 속눈썹용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브러시 형상 또는 빗(comb) 형상의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속눈썹용 화장료를 도포하는 종래의 마스카라 도포구는, 금속제의 코어재를 이중 나선 형상으로 합쳐 꼬아 장척(長尺)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코어재에 브러시 섬유를 비틀어 넣으며, 그 브러시 섬유를 상기 코어재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 코어재로부터 대략 방사상으로 돌출시켜 유지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의 마스카라 도포구는, 직선 형상의 코어재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원기둥 형상으로 브러시 섬유 다발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도포구의 경우에는, 브러시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된 도포면 상의 도처에서, 마스카라의 부착량이 거의 동등해져, 어떤 부위를 대어 도포해도 사용감은 거의 균일해지고, 단조로운 마무리밖에 얻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브러시 섬유 다발에서의 코어재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단면 형상을, 코어재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으로 하는 것 뿐만 아니라, 편심시킨 원형으로 하거나, 또는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략 부채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브러시 섬유 다발의 부위에 따라 마스카라의 부착 상태에 변화가 생기도록 형성하거나, 넓은 도포면이나 뾰족한 도포부를 병설함으로써, 도포 부위나 도포 행정에 따라 나누어 도포할 수 있도록 고안이 이루어졌다.
이 외에, 종래의 마스카라 도포구에는,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눈꺼풀의 형상에 대응시켜 브러시 섬유 다발이 이루는 대략 원기둥체의 외형을, 코어재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골부를 둘레 상에 형성하고, 그 골부의 기단측과 선단측의 양측에 산부를 둘레 상에 형성하여, 도포하기 쉬워지도록 고안한 것이 있었다.
또한, 브러시 섬유 다발의 외형을 만곡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직선 형상이었던 코어재를 활 형상으로 형성하여, 브러시 섬유를 눈꺼풀의 형상에 맞추도록 고안한 것도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소화62-21790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00994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10-080321호 공보
그런데, 최근, 마스카라에는, 어떤 각도에서 보아도 볼륨감이 있어, 눈을 크게 보이게 하는 전(全)방위로 확장된 마무리가 얻어지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전방위 확장형 마스카라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는, 이하의 4가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첫 번째로, 도포구가 속눈썹의 뿌리의 커브에 맞춰, 속눈썹을 들어 올릴 수 있는 것이고, 두 번째로, 속눈썹의 뿌리에 마스카라를 부착시켜 볼륨을 갖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세 번째로, 속눈썹을 크게 부채 모양으로 펴 바를 수 있는 것이고, 네 번째로, 눈초리나 눈구석, 아래 속눈썹 등의 세세한 부분도 적확하게 펴 바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이나 2에 기재된 단순히 부채 형상의 횡단면으로 형성된 브러시 섬유 다발을 갖는 종래의 도포구에서는, 부채 형상의 외주부로 속눈썹의 광역 부위를 도포할 수 있으나, 속눈썹의 뿌리의 커브를 따라 도포구를 맞출 수 없어, 속눈썹 전체를 들어 올리거나, 속눈썹의 뿌리에 충분한 양의 마스카라를 부착시킬 수 없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종래의 브러시 섬유 다발 형상의 경우에는, 눈꺼풀의 형상이나 속눈썹의 뿌리의 커브 라인을 따라 만곡한 브러시 섬유 다발의 넓은 외주면에 의해, 개개의 속눈썹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선단에 걸쳐 마스카라를 도포할 수 있으나, 속눈썹의 뿌리에 마스카라를 부착시키거나, 속눈썹을 뿌리에서부터 들어 올릴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포구가 속눈썹 뿌리의 커브에 맞춰 속눈썹을 들어 올릴 수 있고, 또한 속눈썹의 뿌리에 마스카라를 부착시켜 볼륨을 갖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속눈썹을 크게 부채 모양으로 펴 바를 수 있고, 또한 눈초리나 눈구석, 아래 속눈썹 등의 세세한 부분도 적확하게 펴 바를 수 있어, 전방위 확장형 마스카라의 도포 마무리감을 얻는 것이 가능한 마스카라 도포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채용한 수단은, 장척 형상의 코어재와, 이 코어재에 지지되며 이 코어재로부터 횡단면 외방을 향해 돌출되고 마스카라를 담지시켜 속눈썹에 도포하는 상측 도포부와 하측 도포부로 이루어지는 도포부를 구비하고, 또한 횡단면에서의 하측 도포부의 길이를 상측 도포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한 마스카라 도포구로서, 상기 상측 도포부의 코어재의 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코어재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산부(一山部)와 반산부(半山部)가 하나로 이어진 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재는,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를, 상향 볼록 형상으로 만곡시킨 활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포부는, 브러시 섬유로 구성되고, 이 브러시 섬유는 상기 코어재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의 횡단면을 갖게 유지되며, 이 횡단면에 있어서 하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의 털 길이를 상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의 털 길이보다 짧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 다발은, 상기 코어재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단면 형상이, 상기 코어재로부터 외방을 향해 갈수록 확대된 대략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 다발이 이루는 대략 부채 형상의 중심각이, 45°이상 1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 다발은, 상기 코어재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단면 형상이, 상기 코어재로부터 외방을 향해 갈수록 확대된 대략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 다발이 이루는 대략 부채 형상의 중심각이, 240°이상 31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 도포부와 하측 도포부는, 상기 코어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핀(fin)형상부로 구성되는 빗(comb)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 도포부의 각 핀은, 상기 코어재의 길이 방향을 면 방향으로 하는 대략 3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 도포부의 각 핀 사이의 간격은, 0.4 ㎜ 이상 1.0 ㎜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측 도포부의 각 핀은, 상기 코어재의 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산 형상을 이루며, 하측 핀형상부 전체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일련의 물결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측 도포부의 각 핀 사이의 간격은, 0.6 ㎜ 이상 1.4 ㎜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도포구는, 코어재를 활 형상으로 만곡시키고, 만곡한 코어재의 외측 부분의 상측 도포부의 브러시모 또는 핀의 길이를 하측 도포부의 브러시모 또는 핀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함으로써, 속눈썹의 뿌리에 도포 부착한 마스카라를, 속눈썹 전체에 걸쳐 잘 정리하면서 펴 바를 수 있다.
특히, 상측 도포부 및 하측 도포부를, 탄력이 있는 섬유로 브러시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 다발의 횡단면 형상을 부채 형상으로 함으로써, 용이하게, 속눈썹을 전체적으로 전방위로 정리하여 펴 바를 수 있다. 또한, 상측 도포부를, 대략 3각형의 평면판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핀을 0.4 ㎜∼1.0 ㎜ 정도의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마련하여 빗 형상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속눈썹에 도포 부착한 마스카라에 의해 서로 달라붙어 버린 속눈썹들을 빗듯이 하여 용이하게 분리시켜, 미려한 마무리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측 도포부의 브러시모 또는 핀의 길이를 상측 도포부의 브러시모 또는 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속눈썹의 뿌리에 직접 마스카라를 도포할 수 있다. 특히, 하측 도포부를 코어재의 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일련의 물결 형상이 되도록 형성한 경우에는, 물결 형상의 하측 도포부에 마스카라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속눈썹의 뿌리에 마스카라를 균일하게 도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속눈썹 뿌리로부터 속눈썹 선단에 걸쳐 마스카라를 펴 바를 때에는, 마스카라가 뭉치지 않고, 또한 속눈썹들이 달라붙어 다발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측 도포부의 코어재의 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코어재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산부(一山部)와 반산부(半山部)가 하나로 이어진 산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산부의 상측 도포부로 속눈썹의 흐름을 따라 위를 향해 마스카라를 펴 바르고, 반산부로 눈초리나 눈구석 등의 속눈썹의 양 사이드 부분을 세심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속눈썹의 뿌리로부터 선단에 걸쳐 전방위로 마스카라를 펴 바르기 쉽고, 또한 눈구석이나 눈가, 눈초리, 아래 속눈썹 등의 세세한 부분을 적확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마스카라 도포구에 따르면, 하나의 마스카라 도포구이면서, 하측 도포부를 이용함으로써, 눈구석으로부터 눈초리에 걸쳐 속눈썹의 뿌리에 마스카라를 적절하게 분산적으로 도포할 수 있고, 속눈썹 뿌리에 도포된 마스카라를, 상측 도포부의 일산부를 이용함으로써, 속눈썹의 뿌리로부터 선단까지 전방위로 고르게 잘 정리하면서, 속눈썹들을 분리시키면서 펴 바를 수 있으며, 또한 상측 도포부의 반산부를 이용함으로써, 눈구석이나 눈가, 눈초리, 아래 속눈썹 등의 세세한 부분을 적확하게 마무리할 수 있어, 종래에 없는 볼륨감이나 롱래시(long lash)감, 미려한 마무리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상측 도포부 및 하측 도포부를 빗 형상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코어재와 도포부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 생산상에 있어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마스카라 도포구의 측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실시예 1의 마스카라 도포구의 코어재를 원호 형상으로 구부리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간략 측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마스카라 도포구를 선단에서 본 브러시 섬유 다발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간략도이며, 도 2의 (c)는 실시예 1의 마스카라 도포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간략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마스카라 도포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의 마스카라 도포구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4에서의 A-A' 단면의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4에서의 B-B' 단면의 단면도이며, 도 5의 (c)는 도 4에서의 C-C'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바닥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카라 도포구는, 하나의 마스카라 도포구로 하여, 눈구석으로부터 눈초리에 걸쳐 속눈썹의 뿌리에 마스카라를 적절하게 분산 도포 부착하고, 속눈썹의 뿌리로부터 선단까지 전방위로 고르게 잘 정리하면서 펴 발라, 눈구석이나 눈가, 눈초리, 아래 속눈썹 등의 세세한 부분을 마무리한다고 하는 일련의 조작에 의해, 속눈썹에 볼륨감이나 롱래시(long lash)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마스카라 도포구는, 장척(長尺) 형상의 코어재와, 이 코어재에 유지되며 이 코어재로부터 횡단면 외방을 향해 돌출되고 마스카라를 담지시켜 속눈썹에 도포하는 도포부를 구비한다. 도포부는, 상측 도포부와 하측 도포부로 이루어지고, 하측 도포부의 브러시모 또는 핀의 길이는 상측 도포부의 브러시모 또는 핀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상측 도포부의 코어재의 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은, 코어재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일산부(一山部)와 반산부(半山部)가 하나로 이어진 산 형상으로 형성된다. 코어재는,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를, 상향 볼록 형상으로 만곡시킨 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포부는, 브러시 섬유로 구성할 수 있다. 도포부를 브러시 섬유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브러시 섬유를, 코어재를 중심으로 하여 횡단면 대략 방사상으로 유지하고, 이 횡단면에 있어서 하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의 털 길이를 짧게, 상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의 털 길이를 길게 설정한다. 이때, 상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 다발은, 코어재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단면 형상을, 그 코어재로부터 외방을 향해 갈수록 확대된 대략 부채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이 대략 부채 형상의 중심각을 45°이상 120°이하로 설정한다. 하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 다발은, 코어재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단면 형상이, 코어재로부터 외방을 향해 갈수록 확대된 대략 부채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이 대략 부채 형상의 중심각을 240°이상 315°이하로 설정한다.
또한, 도포부는, 코어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핀으로 이루어지는 빗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측 도포부의 각 핀은, 코어재의 길이 방향을 면 방향으로 하는 대략 3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각 핀 사이의 간격을 0.4 ㎜ 이상 1.0 ㎜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측 도포부의 각 핀은, 코어재의 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종단면에 있어서 단면 형상을, 대략 산 형상으로 형성하고, 하측 핀형상부 전체의 종단면 형상으로서는 일련의 물결 형상으로 형성하며, 하측 도포부의 각 핀 사이의 간격을 0.6 ㎜ 이상 1.4 ㎜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마스카라 도포구(1)는, 금속제의 코어재(2)와, 이 코어재(2)에 의해 유지되는 브러시 섬유(3)를 가지며, 상기 코어재(2)가 수지제의 원통 형상의 축봉(軸棒)(4)의 선단에 유지되어 구성된다.
코어재(2)는, 직선 형상의 와이어를 둘로 접고, 이들 평행한 2줄의 와이어를 서로 합쳐 꼬아 이중 나선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며, 절곡부를 선단으로 하고, 2줄의 단부를 기단부측으로 한다. 또한, 코어재(2)의 외경은, 1.5 ㎜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재(2)의 기단부(2a)측의 단부 부근은, 수지제의 원통 형상의 축봉(4)의 선단에 삽입되고, 코어재(2)의 상기 축봉(4)에서의 선단 부위를 코어재(2)의 기단부(2a)로 하여 유지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재(2)의 기단부(2a)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L1)는, 바람직하게는 25±1 ㎜ 정도로 하고, 축봉(4) 내에 매설하는 부분의 길이(L2)를 10±1.5 ㎜로 설정한다.
코어재(2)의 기단부(2a)로부터 선단부에 걸쳐서는, 다수의 브러시 섬유(3)를 거의 균등하게, 상기 코어재(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나란하게 두면서, 상기 코어재(2)를 이루는 2줄의 와이어를 서로 합쳐 꼬아 이중 나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브러시 섬유(3)를 협지(挾持)하여 코어재(2)를 중심으로 한 방사상으로 유지한다. 또한, 코어재(2)의 기단부(2a)로부터 선단부(2b)에 걸쳐 브러시 섬유(3)가 유지되어 있는 영역의 길이(L3)는, 바람직하게는 24.25 ㎜로 하고, 브러시 섬유(3)가 유지되어 있지 않은 코어재(2)의 선단부(2b) 영역의 길이(L4)를 0.75 ㎜ 이하로 설정한다.
코어재(2)는, 그 길이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를, 그 코어재(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향 볼록 형상으로 만곡시켜, 전체적으로 활 형상 혹은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이 원호 형상의 중심각(α)을 약 20°정도로 설정한다.
브러시 섬유(3)는, 코어재(2)의 횡단면에 있어서 그 코어재(2)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도록 유지되고, 또한 브러시 섬유(3)의 상측 도포부(5)는 털 길이를 길게 설정하고, 브러시 섬유(3)의 하측 도포부(6)는 털 길이를 짧게 설정한다. 코어재(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의 (a),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도포부(5)를 이루는 브러시 섬유(3) 다발은, 그 코어재(2)의 기단부(2a)로부터 선단부(2b)에 걸쳐 일산부(7)와 반산부(8)가 하나로 이어진 산 형상으로 형성된다. 기단부(2a)로부터 골부(9)까지의 길이, 즉 일산부(7)의 폭(L5)은, 바람직하게는 16.25 ㎜로 설정한다. 또한, 골부(9)로부터 선단부(2b)까지의 폭(L6), 즉 반산부(8)의 폭(L6)은, 지나치게 짧으면 반산부(8)를 이용하여 마스카라를 충분히 속눈썹에 펴 바르는 것이 곤란해지고, 반대로 지나치게 길면 반산부(8)가 지나치게 커져 조작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1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10 ㎜ 이하, 최적값으로서는 8 ㎜로 설정한다.
또한, 코어재(2)의 길이 방향의 일산부(7) 및 반산부(8)에 있어서 브러시 섬유(3) 다발이 이루는 횡단면 형상은,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도포부(5)는 비교적 반경(R)이 크고 중심각(β)이 작은 부채 형상으로 하고, 하측 도포부(6)는 비교적 반경(r)이 작고 중심각이 큰 부채 형상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일산부(7)에 있어서 정상부의 상측 도포부(5)의 반경을 4 ㎜로 하고, 이 바로 아래부에 해당하는 하측 도포부(6)의 반경을 1.75 ㎜ 이상 3 ㎜ 이하로 하며, 반산부(8)에 있어서 정상부의 상측 도포부(5)의 반경을 3.5 ㎜로 하고, 이 바로 아래부에 해당하는 하측 도포부(6)의 반경을 1.75 ㎜ 이상 3 ㎜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측 도포부(6)의 반경(r)은, 코어재(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게 한다. 또한, 이 하측 도포부(6)의 반경(r)이 지나치게 크면 속눈썹의 뿌리에 직접 도포하기 어려워져, 속눈썹에 대한 마스카라의 부착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1.75 ㎜로 설정한다.
또한, 일산부(7) 및 반산부(8)의 상측 도포부(5)의 부채 형상의 중심각(β)은, 지나치게 작으면 일산부(7) 및 반산부(8)의 볼륨이 없어지고, 반대로 그 중심각(β)이 지나치게 크면 조작성이 악화되어 미려한 마무리를 얻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45°이상 120°이하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82.5°± 7.5°로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마스카라 도포구(1)의 사용 방법은, 먼저 미리 뷰러로 확실히 속눈썹을 컬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 두고, 마스카라 도포구(1)에 마스카라를 묻혀, 하측 도포부(6)측이 속눈썹에 접하도록 파지하고, 속눈썹의 뿌리에 마스카라를 부착시킨다. 이어서, 브러시 섬유(3) 다발의 일산부(7)를 속눈썹에 대고, 속눈썹의 흐름을 따라 위를 향해 펴 바른다. 마지막으로, 브러시 섬유(3) 다발의 선단의 반산부(8)를 사용하여, 눈초리, 눈구석 등의 속눈썹의 양 사이드 부분을 세심하게 도포한다. 이렇게 해서 위 속눈썹(10)의 도포를 완성시킨다.
본 실시예의 마스카라 도포구(1)에서는, 아래 속눈썹(11)도 마찬가지로 도포할 수 있다. 먼저 아래 속눈썹(11)의 뿌리에 마스카라를 부착시킨다. 이어서, 마스카라 도포구(1)를 세워 상하 좌우로 반산부(8)의 선단을 움직여, 아래 속눈썹(11)에 마스카라를 도포한다. 마지막으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산부(8)의 선단을 이용하여, 눈초리나 눈구석 등의 아래 속눈썹(11)의 양 사이드 부분을 세심하게 도포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마스카라 화장이 완성되어, 볼륨감이나 롱래시감, 미려한 마무리감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마스카라 도포구(10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제의 코어재(102)와, 이 코어재(102)로부터 상하로 연장된 복수의 핀으로 이루어지는 상측 핀형상부(103a) 및 하측 핀형상부(103b)를 갖는다.
코어재(102)는, 종래 공지의 합성 수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활 형상으로 만곡한 곡선부(102b)를 갖는 형상으로 한 것이며, 곡선부(102b)를 선단측으로 하고, 직선부(102a)를 기단부측으로 하여 기단부측을 축봉 등과 같은 손잡이(도시 생략)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코어재(102)의 곡선부(102b)의 선단에는, 곡선부(102b)의 축 방향 선단을 향해 대략 반타원형 형상으로 돌출한 선단부(102c)가 형성된다. 또한, 코어재(102)의 외경은, 2.5 ㎜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재(102)의 곡선부(102b)의 길이(L7)는, 바람직하게는 25±1 ㎜ 정도로 하고, 직선부의 길이(도시 생략)를 35±1.5 ㎜로 설정한다.
코어재(102)의 곡선부(102b)는, 그 길이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를, 그 곡선부(102b)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향 볼록 형상으로 만곡시켜, 전체적으로 완만한 활 형상 혹은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이 활 형상 혹은 원호 형상의 중심각(γ)을 약 30°정도로 설정한다.
코어재(102)의 곡선부(102b)에서의 상측 도포부(105)에는, 코어재(102)와 일체로, 복수의 평판 형상의 핀이, 대략 등간격으로 곡선부(102b)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상방을 향해 나란히 세워져 마련된 빗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측 도포부(105)의 핀은, 곡선부(102b)의 길이 방향을 면 방향으로 하고, 상방에 정상부를 갖는 대략 3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측 도포부(105)의 각 핀 사이의 간격은, 0.4 ㎜ 이상 1.0 ㎜ 이하로 설정된다. 상측 도포부(105)의 각 핀은, 이들 각 핀의 선단 사이를 잇는 가상 곡선(C)이, 곡선부(102b)의 기단부측의 단부로부터 곡선부(102b)의 선단에 걸쳐 일산부(107)와 반산부(108)가 연속해 있어, 하나로 이어지는 산 형상이 되도록, 키가 높은 것과 낮은 것이 적절한 순서로 배열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상측 핀형상부(103a)의 핀의 높이(h)는, 가장 낮은 것[도 5의 (b)]이 0.3 ㎜∼1.0 ㎜, 가장 높은 것[도 5의 (c)]이 2 ㎜∼3 ㎜이다.
코어재(102)의 곡선부(102b)에 있어서의 하측 도포부(106)에는, 코어재(102)와 일체로 복수의 핀이, 대략 등간격으로 곡선부(102b)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하방을 향해 나란히 드리워져 마련된 빗 형상으로 구성된다. 하측 도포부(106)의 각 핀은, 곡선부(102b)의 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종단면에 있어서 단면 형상이, 하방에 정상부를 갖는 대략 산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측 도포부(106)의 각 핀 사이의 간격은, 0.6 ㎜ 이상 1.4 ㎜ 이하로 설정된다. 하측 도포부(106)의 각 핀의 키는, 거의 균등하게 1.0 ㎜ 정도로 설정되지만, 곡선부(102b)의 기단부측의 단부 부근과 곡선부(102b)의 선단 부근에서는, 골부가 얕고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어, 상대적으로 키가 낮게 설정된다. 이렇게 해서, 하측 핀형상부(103b)는, 곡선부(102b)의 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하측 핀형상부(103b) 전체의 종단면 형상으로서, 일련의 물결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코어재(102)의 곡선부(102b)의 바닥면도에 있어서의 하측 도포부(106)의 하측 핀형상부(103b)의 형상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에 이르는 중심선을 갖는 대략 럭비볼 모양이 된다. 또한, 하측 도포부(106)에서의 하측 핀형상부(103b)는, 그 최상부 부근이 최대폭이 되고, 그 최대폭의 크기가, 코어재(102)의 곡선부(102b)의 직경과 거의 동등하게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마스카라 도포구(101)의 사용 방법은, 실시예 1의 마스카라 도포구(1)와 거의 동일하지만, 본 실시예의 마스카라 도포구(101)에서는, 도포부(103)가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핀으로 이루어지는 빗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 형상의 도포부(103)에 의해 마스카라가 도포된 속눈썹을 빗음으로써, 서로 달라붙어 다발 형상이 되어 버린 속눈썹들을,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세밀하고 진짜 속눈썹에 가까운 마무리감을 얻을 수 있다.
1: 마스카라 도포구
2: 코어재
2a: 기단부
2b: 선단부
3: 브러시 섬유
4: 축봉
5: 상측 도포부
6: 하측 도포부
7: 일산부
8: 반산부
9: 골부
10: 위 속눈썹
11: 아래 속눈썹
101: 마스카라 도포구
102: 코어재
102a: 직선부
102b: 곡선부
102c: 선단부
103: 도포부
103a: 상측 핀형상부
103b: 하측 핀형상부
105: 상측 도포부
106: 하측 도포부
107: 일산부
108: 반산부

Claims (12)

  1. 장척(長尺) 형상의 코어재와,
    이 코어재에 지지되며 이 코어재로부터 횡단면 외방을 향해 돌출되고 마스카라를 담지시켜 속눈썹에 도포하는 상측 도포부와 하측 도포부로 이루어지는 도포부
    를 구비하고, 횡단면에 있어서 하측 도포부의 길이를 상측 도포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한 마스카라 도포구로서,
    상기 상측 도포부의 코어재의 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코어재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산부(一山部)와 반산부(半山部)가 하나로 이어진 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도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는,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를, 상향 볼록 형상으로 만곡시킨 활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도포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브러시 섬유로 구성되고, 이 브러시 섬유는 상기 코어재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의 횡단면을 갖게 유지되며, 이 횡단면에 있어서 하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의 털 길이를 상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의 털 길이보다 짧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도포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의 다발은, 상기 코어재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단면 형상이, 상기 코어재로부터 외방을 향해 갈수록 확대된 대략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도포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 다발이 이루는 대략 부채 형상의 중심각이, 45°이상 1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도포구.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 다발은, 상기 코어재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단면 형상이, 상기 코어재로부터 외방을 향해 갈수록 확대된 대략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도포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도포부의 브러시 섬유 다발이 이루는 대략 부채 형상의 중심각이, 240°이상 31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도포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도포부와 하측 도포부는, 상기 코어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핀(fin)형상부로 구성되는 빗(comb)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도포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도포부의 각 핀은, 상기 코어재의 길이 방향을 면 방향으로 하는 대략 3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도포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도포부의 각 핀 사이의 간격은, 0.4 ㎜ 이상 1.0 ㎜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도포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도포부의 각 핀은, 상기 코어재의 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산 형상을 이루고, 하측 핀형상부 전체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일련의 물결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도포구.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도포부의 각 핀 사이의 간격은, 0.6 ㎜ 이상 1.4 ㎜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도포구.
KR1020107007303A 2007-12-27 2008-11-20 마스카라 도포구 KR101498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6407 2007-12-27
JP2007336407 2007-12-27
PCT/JP2008/071133 WO2009084343A1 (ja) 2007-12-27 2008-11-20 マスカラ塗布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095A true KR20100099095A (ko) 2010-09-10
KR101498318B1 KR101498318B1 (ko) 2015-03-03

Family

ID=4082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303A KR101498318B1 (ko) 2007-12-27 2008-11-20 마스카라 도포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291920B2 (ko)
EP (1) EP2225963B1 (ko)
JP (1) JP5340174B2 (ko)
KR (1) KR101498318B1 (ko)
CN (1) CN101909480B (ko)
ES (1) ES2669071T3 (ko)
HK (1) HK1148714A1 (ko)
TW (1) TWI481361B (ko)
WO (1) WO2009084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9470B1 (fr) * 2010-12-24 2015-06-19 Ile Mvr Soc Civ Nouveau dispositif applicateur d'un fluide sur des fibres keratiniques
JP5740152B2 (ja) * 2010-12-28 2015-06-24 花王株式会社 マスカラ塗布具
JP5727297B2 (ja) * 2011-05-30 2015-06-03 花王株式会社 マスカラ塗布具
FR2979525B1 (fr) * 2011-09-01 2013-09-27 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ou sourcils.
US8720454B2 (en) * 2011-09-26 2014-05-13 Veronica Santillan Eyelash curler
US8448650B2 (en) * 2011-10-28 2013-05-28 Avon Products, Inc. Cosmetic applicator
FR2993150B1 (fr) * 2012-07-16 2014-07-25 Albea Services Applicateur pour produit cosmetique et ensemble d'applicateur associe
JP5681737B2 (ja) 2013-02-19 2015-03-11 株式会社 資生堂 睫毛用化粧料
US9526316B2 (en) * 2013-05-21 2016-12-27 Zen Design Solutions Limited Cosmetic applicator
TWI633857B (zh) * 2013-12-26 2018-09-01 花王股份有限公司 Cosmetic coating tool
US9854895B2 (en) * 2014-12-08 2018-01-02 Zen Design Solutions Limited Cosmetic applicator
JP6157712B2 (ja) * 2015-12-28 2017-07-05 株式会社 資生堂 目元化粧用塗布具および目元化粧用具
FR3066367B1 (fr) * 2017-05-16 2019-07-05 L'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KR200485533Y1 (ko) * 2017-06-16 2018-01-23 신선수 도장 작업용 붓
JP2022136833A (ja) * 2021-03-08 2022-09-21 株式会社フェアリードロップス マスカラ塗布具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3485Y2 (ko) * 1977-01-20 1979-08-11
US4662385A (en) * 1980-03-21 1987-05-05 Revlon, Inc. Cosmetic applicator
US4660582A (en) * 1983-03-18 1987-04-28 Super Brush Co., Inc. Molded mascara application
JPH0667327B2 (ja) * 1986-03-18 1994-08-31 益山興業株式会社 マスカラ塗布具
WO1995017837A1 (en) * 1993-12-30 1995-07-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applicator brush having variable bristle density
FR2730910B1 (fr) * 1995-02-23 1997-04-11 Oreal Applicateur de produit cosmetique
FR2748636B1 (fr) * 1996-05-15 1998-07-10 Lvmh Rech Brosse perfectionnee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liquide pateux ou poudreux tel que notamment du mascara
FR2748913B1 (fr) 1996-05-24 1998-08-07 Oreal Brosse a crans et dispositif de maquillage comprenant cette brosse
DE29618479U1 (de) * 1996-10-23 1996-12-05 Geka Brush Georg Karl Gmbh Mascara-Bürstchen
FR2811525B1 (fr) * 2000-07-12 2002-09-06 Oreal Dispositif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notamment de maquillage ou de soin, sur des fibres keratiniques, notamment les cils ou les sourcils
FR2821533B1 (fr) * 2001-03-01 2004-01-23 Oreal Brosse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fibres keratiniques
FR2821536B1 (fr) * 2001-03-01 2003-05-16 Oreal Brosse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fibres keratiniques
JP2003009942A (ja) * 2001-06-29 2003-01-14 Shiseido Co Ltd 化粧用ブラシと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FR2840514B1 (fr) * 2002-06-07 2004-08-06 Oreal Applicateur comportant une tige reliee par une articulation a un organe de prehension et un element d'application incline
US7231926B2 (en) * 2003-05-09 2007-06-19 Rnd Group Llc Mascara brush
JP2005319004A (ja) * 2004-05-07 2005-11-17 Shiseido Co Ltd 液体化粧料用塗布具
EP1752066B1 (de) * 2005-08-11 2009-03-11 Geka Brush Gmbh Bürstchen zum Auftragen kosmetischer Massen
TWM297657U (en) * 2006-03-15 2006-09-21 Ko-Chen Shih Improved structure of eyelash brush
KR100846443B1 (ko) * 2006-03-31 2008-07-16 김태연 히팅 마스카라
KR200433657Y1 (ko) * 2006-09-29 2006-12-12 (주)장업시스템 마스카라 브러시
TWM321243U (en) * 2007-05-07 2007-11-01 Shya Hsin Plastic Works Co Ltd Improvement of brush for eyelas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40174B2 (ja) 2013-11-13
ES2669071T3 (es) 2018-05-23
KR101498318B1 (ko) 2015-03-03
CN101909480B (zh) 2012-11-07
EP2225963A1 (en) 2010-09-08
TW200939991A (en) 2009-10-01
TWI481361B (zh) 2015-04-21
HK1148714A1 (en) 2011-09-16
WO2009084343A1 (ja) 2009-07-09
EP2225963A4 (en) 2015-02-18
US20100288296A1 (en) 2010-11-18
EP2225963B1 (en) 2018-04-11
JPWO2009084343A1 (ja) 2011-05-19
CN101909480A (zh) 2010-12-08
US8291920B2 (en)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9095A (ko) 마스카라 도포구
US6779532B2 (en) Cosmetic brush for applying eyeliner to the lashline
US5937870A (en) Brush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and make-up device comprising it
US6575174B2 (en) Hair grooming brush
JP5695704B2 (ja) マスカラブラシ
JP4264114B2 (ja) 傾斜したアプリケータ要素を有するアプリケータ
US20110056505A1 (en) Hair brush
JP7001480B2 (ja) 流体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製品をケラチン繊維に塗布する塗布用具
JP2002085150A (ja) 特に睫毛又は眉毛等のケラチン繊維への製品、特にメーキャップ用品又はケア用品を適用するための器具
JP2007044523A (ja) 特にマスカラのための塗布具
JP2012505051A (ja) 人間工学に基づくマスカラ塗布具
BR0200584B1 (pt) Dispositivo para a aplicação de uma substância a fibras queratinosas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escova para aplicar uma substância a fibras queratinosas
EP2770867B1 (en) Cosmetic applicator
USRE38397E1 (en) Brush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and make-up device comprising it
WO201507935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rush
JP4667815B2 (ja) 化粧用ブラシ
JP2007244792A (ja) マスカラ塗布具
WO2022190668A1 (ja) マスカラ塗布具
JP2003304929A (ja) マスカラ塗布用ブラシ
EP1304058A1 (en) Mascara brush
JP7117857B2 (ja) マスカラ塗布用ブラシ、マスカラ塗布用ブラシを収容する収容容器、および、マスカラ塗布用ブラシの使用方法
KR200456417Y1 (ko) 인조 속눈썹 보관기구
KR200424803Y1 (ko) 속눈썹 화장용 마스카라 브러쉬
KR200482889Y1 (ko) 별 모양 장식을 갖는 속눈썹 화장용 마스카라 고무 브러쉬
KR200242059Y1 (ko) 눈썹화장이 용이한 마스카라 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