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027A -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의 치환 인돌린 유도체 - Google Patents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의 치환 인돌린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027A
KR20200009027A KR1020197036401A KR20197036401A KR20200009027A KR 20200009027 A KR20200009027 A KR 20200009027A KR 1020197036401 A KR1020197036401 A KR 1020197036401A KR 20197036401 A KR20197036401 A KR 20197036401A KR 20200009027 A KR20200009027 A KR 20200009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compound
synthesis
methyl
b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988B1 (ko
Inventor
쟝-프랑수아 봉팡티
바르트 루돌프 로마니에 케스텔레인
도로테 앨리스 마리에-이브 바르디오트
아르노 디디에 엠 마르샹
어윈 코에쎄맨스
제롬 미카엘 클로드 포르땅
기욤 쟝 모리스 머시
피에르 쟝-마리 베르나르 라보이송
Original Assignee
얀센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카톨리에케 유니버시테이트 루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센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카톨리에케 유니버시테이트 루벤 filed Critical 얀센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9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08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1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14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3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32Oxygen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환 인돌린 유도체, 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뎅기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또한 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더 바람직하게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 화합물의 제약 조성물 또는 복합 제제(combination preparation), 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더 바람직하게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또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의 치환 인돌린 유도체
본 발명은 치환 인돌린 유도체, 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뎅기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또한 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더 바람직하게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 화합물의 제약 조성물 또는 복합 제제(combination preparation), 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더 바람직하게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또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기 또는 진드기에 의해 전염되는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는 인간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감염, 예컨대 뇌염 및 출혈열을 야기한다. 플라비바이러스 뎅기의 4가지의 특유한, 그러나 밀접하게 관련된 혈청형, 소위 DENV-1, -2, -3, 및 -4가 공지되어 있다. 뎅기는 전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서, 주로 도시 및 준도시 지역에서 풍토성이다. 세계 보건 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 따르면, 25억명의 사람들(이중 10억명은 아동임)이 DENV 감염의 위험이 있다(WHO, 2002). 뎅기열[dengue fever; DF]의 추정된 5000만 내지 1억의 사례, 중증 뎅기 질환(즉, 뎅기 출혈열[dengue hemorrhagic fever; DHF] 및 뎅기 쇽 증후군[dengue shock syndrome; DSS])의 50만의 사례, 및 20,000명 초과의 사망이 매해 전 세계적으로 일어난다. DHF는 풍토성 지역에서 아동 사이에서의 입원 및 사망의 주된 원인이 되었다. 대체로, 뎅기는 아르보바이러스 질환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을 대표한다. 최근 라틴 아메리카, 동남아시아 및 서태평양에 위치하는 국가(브라질, 푸에르토리코, 베네수엘라,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타일랜드를 포함함)에서의 대규모 발생 때문에 뎅기 사례의 수는 지난 몇 년간 극적으로 상승하였다. 상기 질환이 새로운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음에 따라 뎅기 사례의 수가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발생도 더 심각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 다른 혈청형에 의한 감염 후, 기존의 이종 항체는 신규 감염 뎅기 바이러스 혈청형과 복합체를 형성하지만 그 병원체를 중화시키지 못한다. 대신, 세포 내로의 바이러스 침입이 촉진되어, 제어되지 않은 바이러스 복제 및 더 높은 피크 바이러스 역가를 야기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1차 및 2차 감염 둘 다에서, 더 높은 바이러스 역가는 더 중증의 뎅기 질환과 연관된다. 모체 항체는 모유 수유에 의해 유아에게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아동이 성인보다 더 많이 중증 뎅기 질환에 걸리는 이유 중 하나일 수 있다.
고토착병성(hyper endemic) 지역으로도 칭해지는, 2가지 이상의 혈청형이 동시에 돌고 있는 장소에서는, 더 중증의 2차 감염을 경험할 위험의 증가로 인해 심각한 뎅기 질환의 위험이 유의하게 더 높다. 게다가, 고풍토성(hyper-endemicity)의 상황에서, 전염성이 더 강한 주(strain)의 출현 확률이 증가되며, 이는 다시 뎅기 출혈열(DHF) 또는 뎅기 쇽 증후군의 확률을 증대시킨다.
아에데스 아에깁티(Aedes aegypti) 및 아에데스 알보픽투스(Aedes albopictus)(외줄모기(tiger mosquito))를 포함하는 뎅기 매개 모기는 지구 상에서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미국 질병 통제 예방 센터(United States(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 따르면, 상기 둘 다의 모기는 현재 미국 남부 텍사스에 편재한다. 뎅기-매개 모기의 북쪽으로의 확산은 미국에 국한되지 않고, 유럽에서도 관찰되었다.
사노피 파스퇴르(Sanofi Pasteur)에 의해 생산된 뎅기 백신인 뎅그박시아®는 먼저 멕시코에서 승인되었으며, 그 사이에 더 많은 국가에서 승인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백신은, 특히 DENV-1 및 -2에 대한 제한된 효능, 플라비바이러스-나이브(na
Figure pct00001
ve) 대상체에서의 낮은 효능 및 너무 긴 투약 일정으로 인하여 상당한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다.
이러한 결점에도 불구하고, 상기 백신은 풍토성 환경(endemic setting)에서 게임 체인저(game changer)이며, 그 이유는 이것이 대부분의 인구에게 보호를 제공하지만 가장 큰 뎅기 부담을 갖고 있는 매우 어린 유아에게는 보호를 제공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플라비바이러스-나이브 대상체에서의 매우 제한된 효능 및 투약 일정은 비-풍토성 지역으로부터 뎅기-풍토성 지역으로 여행하는 자에게 있어서 이것이 부적당해지게 하고 가치 있는 것이 아니게/비용 효율적이지 않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뎅기 백신의 상기 결점은 노출 전 예방적 뎅기 항바이러스제가 필요한 이유이다.
더욱이, 오늘날, 뎅기열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특이적인 항바이러스 약물은 이용가능하지 않다. 명백히, 동물에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간에서 바이러스 감염, 그리고 특별히 플라비바이러스, 더욱 구체적으로는 뎅기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치료제에 대한 충족되지 못한 의학적 요구는 여전히 크다.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력을 가지며, 부작용이 전혀 없거나 부작용 수준이 낮고, 다수의 뎅기 바이러스 혈청형에 대한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활성을 가지며, 저 독성 및/또는 우수한 약동학적 또는 약력학적 특성을 갖는 화합물이 고도로 필요하다.
국제 공개 제2010/021878호에는 염증성 및 중추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냉 멘톨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2-페닐피롤리딘 및 인돌린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3/045516호에는 뎅기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인돌 및 인돌린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은 뎅기 바이러스의 모든 네 가지(4가지) 혈청형에 대하여 높고 효력 있는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인 치환 인돌린 유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위에 언급된 문제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의 현 화합물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는 예상치 못한 발견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현재 공지된 모든 네 가지(4가지) 혈청형에 대하여 효력 있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밝혀진 화합물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화합물이 뎅기 바이러스(DENV)의 증식을 효율적으로 억제함을 입증한다.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은 동물, 포유류 및 인간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 더 구체적으로, 뎅기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부류의 효력 있는 화합물을 구성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그러한 화합물의 약으로서의 용도 및 동물 또는 포유류에서, 더욱 특히는 인간에서 바이러스 감염, 특히 뎅기 바이러스 패밀리(family)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모든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에서의 뎅기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1가지 이상의 다른 약, 예컨대 또 다른 항바이러스제와 선택적으로 조합된 유효량의 1가지 이상의 그러한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함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의 임의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함),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다형체의 제공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2
여기서,
R1은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또는 클로로이며;
R2는 수소, 플루오로, 또는 메톡시이며;
R3은 수소, 또는 메톡시이며;
A는 -(CH2)n-(여기서, n은 3 또는 4임);
-O-(CH2)n-(여기서, n은 2 또는 4임);
-O-(CH2)n-(여기서, n은 3이며, 1개 또는 2개의 CH2는 1개 또는 2개의 CH3으로 치환됨);
Figure pct00003
또는
Figure pct00004
-CH2-O-(CH2)n-(여기서, n은 2임); 또는
-X-Y-(여기서, X는 -O-, -OCH2-, 또는 -NH-이며;
Y는 플루오로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3- 4시클로알킬이거나,
Y는 바이시클로[1.1.1]펜타닐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에 언급된 화합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화합물의 제1 군은 A가
-(CH2)n-(여기서, n은 3 또는 4임)을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합물의 제2 군은 A가
-O-(CH2)n-(여기서, n은 2 또는 4임)을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합물의 제3 군은 A가
-O-(CH2)n-(여기서, n은 3이며, 1개 또는 2개의 CH2는 1개 또는 2개의 CH3으로 치환됨)을 나타내거나; A가
Figure pct00008
또는
Figure pct00009
을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합물의 제4 군은 A가
-CH2-O-(CH2)n-(여기서, n은 2임)을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합물의 제5 군은 A가
-X-Y-(여기서, X는 -O-, -OCH2-, 또는 -NH-이며; Y는 플루오로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3- 4시클로알킬임)를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합물의 제6 군은 A가
-X-Y-(여기서, X는 -O-, -OCH2-, 또는 -NH-이며; Y는 바이시클로[1.1.1]펜타닐임)를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합물의 제7 군은 R1이 트리플루오로메톡시이며, R2가 수소이며, R3이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합물의 제8 군은 R1이 트리플루오로메톡시이며, R2가 수소이며, R3이 메톡시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합물의 제9 군은 R1이 트리플루오로메틸이며, R2가 메톡시이며, R3이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합물의 제10 군은 R1이 트리플루오로메톡시이며, R2가 플루오로이며, R3이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합물의 제11 군은 R1이 클로로이며, R2가 메톡시이며, R3이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부는 또한 상기에 언급된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형태,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다형체를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부형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상기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은 이의 산 부가염 및 염기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 부가염은 비독성 염을 형성하는 산으로부터 형성된다. 적합한 염기 염은 비독성 염을 형성하는 염기로부터 형성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은 제약상 허용가능한 산 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형성할 수 있는 치료적으로 활성이 있는 비독성 산 부가염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제약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은 염기 형태를 그러한 적절한 산으로 처리하여 편리하게 수득될 수 있다. 적절한 산은 예를 들어 무기 산, 예컨대 할로겐화수소산, 예를 들어 염화수소산 또는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및 인산 등의 산; 또는 유기 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판산, 히드록시아세트산, 락트산, 피루브산, 옥살산 (즉, 에탄디오익산), 말론산, 숙신산 (즉, 부탄디오익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시클람산, 살리실산, p-아미노살리실산, 팜산 등의 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비용매화된 형태 및 용매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용매화물"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용매 분자, 예를 들어, 에탄올을 포함하는 분자 복합체를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다형체"란 용어는, 1개 초과의 형태 또는 결정 구조로 존재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능력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결정질 생성물 또는 비정질 생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침전, 결정화, 동결 건조, 분무 건조 또는 증발 건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고체 플러그,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거나,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과 조합되어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약물과 조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결부되어 제형으로서 투여될 것이다. 본원에서 "부형제"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 이외의 임의의 성분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부형제의 선택은 주로 특정 투여 방식, 용해도와 안정성에 대한 부형제의 영향, 및 투여 형태의 성질과 같은 요인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임의의 하위군(subgroup)은 투여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제약적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절한 조성물로는, 전신 투여 약물용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조성물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활성 성분으로서의 특정 화합물(선택적으로 부가염 형태)의 유효량이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와의 친밀한 혼합물로 조합되며, 이러한 담체는 투여에 요망되는 제제의 형태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경구 또는 직장 투여에 적합한 일원화된 투여 형태(unitary dosage form)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 형태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현탁액, 시럽, 엘릭시르, 에멀젼 및 용액과 같은 경구 액체 제제의 경우 예컨대 물, 글리콜, 오일, 알코올 등; 또는 산제, 환제, 캡슐, 및 정제의 경우 전분, 당, 카올린,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등과 같은 고체 담체와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약학적 매질이 이용될 수 있다. 정제와 캡슐은 투여가 용이하기 때문에 가장 유리한 경구 투여 단위 형태를 대표하며, 이러한 경우, 약학적 고체 담체가 명백히 이용된다. 사용 직전에 액체 형태로 전환될 수 있는 고체 형태 제제가 또한 포함된다.
투여의 용이성 및 투여량의 균일성을 위해 전술한 제약 조성물을 단위 투여 형태로 제형화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위 투여 형태는 일원화 투여형으로 적합한 물리적으로 분리된 단위를 말하는데, 각각의 단위는 필요한 약학적 담체와 결부되어 원하는 치료 효과를 생성하도록 계산된 소정량의 유효 성분을 포함한다. 그러한 단위 투여 형태의 예로는 정제(분할정(scored tablet) 또는 코팅정을 포함함), 캡슐, 환제, 분말 패킷(powder packet), 웨이퍼(wafer), 좌제(suppository), 주사 가능한 용액 또는 현탁액 등, 그리고 이의 분리된 멀티플(segregated multiple)이 있다.
감염성 질환의 치료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하에 제시되는 테스트 결과로부터 유효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일 유효량은 체중 1 ㎏당 0.01 ㎎ 내지 50 ㎎, 더 바람직하게는 체중 1 ㎏당 0.1 ㎎ 내지 10 ㎎일 것으로 생각된다. 요구되는 용량을 하루 동안 2, 3, 또는 4회 또는 이보다 더 많은 횟수의 하위-용량(sub-dose)으로서 적절한 간격으로 투여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상기 하위-용량은, 예를 들어 단위 투여 형태당 1 내지 1000 mg, 그리고 특히 5 내지 200 m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단위 투여 형태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정확한 투여량 및 투여 빈도는 사용되는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 치료되는 특정 병태, 치료되는 병태의 중증도, 특정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종합적인 건강 상태뿐만 아니라 개체가 복약 중일 수 있는 다른 약에도 의존한다. 더욱이, 유효량은 치료받는 대상체의 반응에 따라, 및/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방하는 의사의 평가에 따라 감소 또는 증가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위에 언급된 유효량 범위는 단지 지침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주 또는 용도를 임의의 정도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존재하는 원자의 임의의 동위원소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수소의 동위원소는 삼중수소 및 중수소를 포함하고 탄소의 동위원소는 C-13 및 C-14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실선으로만 표시되고 실선 쐐기 또는 빗금 쐐기 결합으로 표시되지 않거나, 달리 1개 이상의 원자 주위에 특정 배열(예를 들어, R, S)을 갖는 것으로 나타내지 않은 결합을 갖는 임의의 화학식은 각각의 가능한 입체이성질체, 또는 2가지 이상의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고려한다.
이상 및 이하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의 중간체"는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이상 또는 이하에서 용어 "입체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형태" 또는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형태"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순수한 입체이성질체로서의 또는 2가지 이상의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한다. 거울상 이성체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non-superimposable) 거울상인 입체이성질체이다. 한 쌍의 거울상 이성질체의 1:1 혼합물은 라세미체 또는 라세미 혼합물이다. 부분입체 이성질체(또는 부분입체 이성체)는 거울상 이성질체가 아닌 입체이성질체이며, 즉, 그들은 거울상으로서 관련되어 있지 않다. 2가 시클릭 (부분) 포화 라디칼 상의 치환체는 시스(cis) 배열 또는 트랜스(trans) 배열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합물이 이치환된(disubstituted) 시클로알킬 기를 포함하는 경우, 치환체는 시스 또는 트랜스 배열일 수 있다.
"입체이성질체"라는 용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형성할 수 있는, 배좌 이성질체(conformational isomer)로도 칭해지는 임의의 회전 이성질체를 또한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화학적으로 가능할 때는 언제든지,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E 이성질체, Z 이성질체, 시스 이성질체, 트랜스 이성질체, 회전 이성질체, 및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모든 그러한 용어들, 즉,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시스 이성질체, 트랜스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의 의미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절대 배열은 칸-인골드-프렐로그(Cahn-Ingold-Prelog) 시스템에 따라 명시된다. 비대칭 원자에서의 배열은 R 또는 S 중 어느 하나로 명시된다. 절대 배열이 공지되지 않은 분할(resolved) 입체이성질체는 상기 입체이성질체가 평면 편광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 또는 (-)로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대 배열이 공지되지 않은 분할 거울상 이성질체는 상기 거울상 이성질체가 평면 편광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 또는 (-)로 표기될 수 있다.
특정 입체이성질체가 확인될 때, 이는 상기 입체이성질체에 다른 입체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음을 의미하며, 즉, 상기 입체이성질체가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 미만, 특히 2% 미만,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의 다른 입체이성질체와 결부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예를 들어 (R)로서 명시될 때, 이는 이 화합물에 (S)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음을 의미하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예를 들어 E로서 명시될 때, 이는 이 화합물에 Z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음을 의미하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예를 들어 시스로서 명시될 때, 이는 이 화합물에 트랜스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음을 의미한다.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중 일부는 또한 그의 호변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위의 화학식 I에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들이 존재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전부는 하기 화학식에서 *로 라벨링된 탄소 원자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갖는다:
[화학식 I]
Figure pct00010
상기 키랄 중심의 존재로 인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은 (R)-거울상 이성질체, (S)-거울상 이성질체, 라세미 형태, 또는 임의의 비의 상기 두 개별 거울상 이성질체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일 수 있다. 비대칭 탄소 원자의 절대 배열이 공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대 입체화학 기술자인 *R 또는 *S(또는 R* 및 S*)를 사용하여 키랄 중심의 순수하지만 공지되지 않은 입체화학을 표시하였다.
라디칼 A는 치환체가 추가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도입하게 하기 때문에,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나 초과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나 초과의 비대칭 탄소 원자의 절대 입체화학이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대 입체화학 기술자 *R 및 *S를 사용하여, 그리고 라디칼 A가 환형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경우 가능하다면 시스 및 트랜스와 조합하여 상대 입체화학을 표시하였다.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이 (-) 비선광도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1 군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이 (+) 비선광도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2 그라운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 비선광도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상기 화합물은 화합물 (1C), (1D), (2A), (4C), (4D), (5A), (6AB), (6BB), (7B), (8B), (9B), (10B), (11B), (12B), (13B), (14A), (15B), (17C), (17D), (18B), (19AB), (19BB), (20C), (20D), (21B), (22AB), (22BB), (23B), (24B), (25B), (27B), (28AB), (28BB), (29AB), (29BB), (30A), (31A), (32B), (33C), 및 (33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예
LC/MS 방법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측정은 LC 펌프, 다이오드-어레이(DAD) 또는 UV 검출기 및 각각의 방법에 명시된 컬럼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필요할 경우, 추가의 검출기를 포함시켰다(하기의 방법에 대한 표를 참조).
컬럼으로부터의 유동물을 대기압 이온 공급원과 함께 구성된 질량 분광계(MS)로 가져왔다. 화합물의 공칭 단일동위원소 분자량(MW)의 확인을 허용하는 이온을 얻기 위해 조정 파라미터(예를 들어, 스캐닝 범위, 드웰(dwell) 시간...)를 설정하는 것은 당업자의 지식 내에 있다. 적절한 소프트웨어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화합물은 이의 실험적 체류 시간(Rt) 및 이온에 의해 기술된다. 데이터의 표에 상이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 보고된 분자 이온은 [M+H]+(양성자화된 분자) 및/또는 [M-H]-(탈양성자화된 분자)에 상응한다. 화합물이 직접 이온화될 수 없었을 경우, 부가물의 유형이 특정되어 있다(즉, [M+NH4]+, [M+HCOO]- 등 …). 다수의 동위 원소 패턴을 갖는 분자(Br, Cl)에 있어서, 보고된 값은 최저 동위원소 질량에 대하여 얻어진 것이다. 모든 결과는 사용된 방법과 일반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실험적 불확실성을 가지고서 얻어졌다.
이하, "SQD"는 단일 사중극자 검출기를 의미하며, "MSD"는 질량 선택 검출기를 의미하며, "RT"는 실온을 의미하며, "BEH"는 가교된 에틸실록산/실리카 하이브리드를 의미하며, "DAD"는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를 의미하며, "HSS"는 고강도 실리카를 의미한다.
LC/MS 방법 코드(유량은 mL/분 단위로 표현되며; 컬럼 온도(T)는 ℃ 단위로 표현되고; 실행 시간은 분 단위로 표현됨).
Figure pct00011
SFC /MS 방법
이산화탄소(CO2) 전달용의 이원 펌프 및 모디파이어(modifier), 오토샘플러(autosampler), 컬럼 오븐, 400 bar까지 견디는 고압 유동 셀을 갖춘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로 구성된 분석용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SFC)를 사용하여 SFC 측정을 수행하였다. 질량 분광계(MS)와 함께 구성되어 있다면, 컬럼으로부터의 유동물은 (MS)로 갔다. 화합물의 공칭 단일동위원소 분자량(MW)의 확인을 허용하는 이온을 얻기 위해 조정 파라미터(예를 들어, 스캐닝 범위, 드웰 시간...)를 설정하는 것은 당업자의 지식 내에 있다. 적절한 소프트웨어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분석적 SFC/MS 방법(유량은 mL/분 단위로 표현되며; 컬럼 온도(T)는 ℃ 단위로 표현되고; 실행 시간은 분 단위로 표현되며; 배압(backpressure; BPR)은 bar 단위로 표현됨).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융점
값들은 최고 값이거나 용융 범위이며, 이 분석 방법과 일반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실험적 불확실성을 가지고서 얻어진다.
DSC823e ( DSC로 표시됨)
많은 화합물의 경우, 융점을 DSC823e(메틀러-톨레도(Mettler-Toledo))로 결정하였다. 융점을 10℃/분의 온도 구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최대 온도는 300℃였다.
선광도:
선광도는 나트륨 램프를 갖춘 퍼킨-엘머(Perkin-Elmer) 341 편광계에서 측정하였고 다음과 같이 보고하였다: [α]° (λ, c g/100 ml, 용매, T℃).
[α]λ T = (100α)/(l x c) : 여기서, l은 dm 단위의 경로 길이이며, c는 온도 T(℃) 및 파장 λ(nm 단위)에서 샘플에 있어서의 g/100 ml 단위의 농도이다. 사용된 광의 파장이 589 nm(나트륨 D 라인)인 경우, 기호 D가 대신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선광도 부호(+ 또는 -)를 항상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등식을 사용할 때, 농도 및 용매는 항상 선광도 뒤의 괄호 안에 제공된다. 선광도는 °를 사용하여 보고되고 농도 단위는 주어지지 않는다(이는 g/100 mL인 것으로 추정된다).
입체화학에 대한 주: 하기 실시예에서, 입체화학 표시 *R 및 *S는 키랄 중심의 순수하지만 공지되지 않은 입체화학을 말한다.
Figure pct00015
실시예 1 :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탄산 (화합물 1)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1A, 1B, 1C1D로의 분리
Figure pct00016
중간체 1a의 합성:
DMF (15 mL) 중 tert-부틸 4-브로모-2-메틸부타노에이트[CAS 1210410-44-8] (1.0 g, 4.22 mmol)의 교반 용액에 3-아미노-5-메톡시페놀 [CAS 162155-27-3] (587 mg, 4.22 mmol) 및 Cs2CO3 (2.75 g, 8.43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60℃에서 65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실온에 도달하게 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H2O (100 mL)에 부었다. 생성물을 CH2Cl2 (2회)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100/0으로부터 50/50까지의 헵탄/EtOAc의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50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CH3CN과 함께 공동-증발시켜 tert-부틸 4-(3-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타노에이트 1a (440 mg)를 생성하였다.
중간체 1b의 합성:
DMF (60 mL) 중 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 [CAS 959235-95-1] (5 g, 24.6 mmol), 2-(4-클로로페닐)아세트산 [CAS 1878-66-6] (4.2 g, 24.6 mmol), HATU (14.3 g, 36.9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2.2 mL, 73.8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 H2O (275 mL)에 서서히 붓고, 생성된 현탁물을 50분 동안 교반시켰다.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H2O로 세척하였다 (4회). 고형 잔사를 톨루엔 (125 mL)에 녹이고, 여과지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고형 잔사를 2/1의 Et2O/헵탄 (30 mL)에서 교반시키고, 여과 제거하고, 1/1의 Et2O/헵탄으로 세척하고 (3회), 진공 하에 50℃에서 건조시켜 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b (7.33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c의 합성:
N2 유동 하에, -70℃에서, THF 중 1 M LiHMDS (41.2 mL, 41.2 mmol)를 2-Me-THF (300 mL) 중 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b (7.33 g, 20.6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70℃에서 50분 동안 교반시키고,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 (4.21 mL, 33.0 mmo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교반을 -70℃에서 35분 동안 계속하고, THF (40 mL) 및 2-Me-THF (60 mL) 중 N-브로모숙신이미드 (4.03 g, 22.7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70℃에서의 3.5시간 동안의 교반 후, 반응물을 포화 NH4Cl 용액 (300 mL)으로 켄칭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 도달하게 하였다. 물 (50 mL) 및 염수 (50 m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1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CH3CN과 함께 공동-증발시켜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7.87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d의 합성:
CH3CN (30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850 mg, 1.96 mmol), tert-부틸 4-(3-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타노에이트 1a (620 mg, 2.10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506 μL, 2.93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 도달하게 하고, 물 (125 mL)에 부었다. 생성물을 Et2O로 추출하였다 (2회).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제거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100/0/0에서 40/45/15까지의 헵탄/EtOAc/EtOH의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12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디옥산과 함께 공동-증발시켜 tert-부틸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타노에이트 1d (1.27 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1A, 1B, 1C 및 1D로의 분리:
디옥산 중 4 M HCl (9 mL) 중 tert-부틸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타노에이트 1d (1.27 g, 1.96 mmol)의 냉각 (빙조) 용액을 0℃에서 20분 동안 및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고, 디옥산으로 세척하고 (3회), 고형물을 공기-건조시켜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탄산을 HCl 염으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1, 900 mg).
화합물 1 (900 mg)의 4가지 입체이성질체를 분취용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디아셀 AD 20 x 250 mm, 이동상: CO2, iPrOH + 0.4% iPrNH2)를 통하여 분리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첫 번째의 두 용출 피크의 생성물 분획 중 입체이성질체는 완전히는 분리되지 않았으며, 분취용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디아셀 AD 20 x 250 mm, 이동상: CO2, EtOH + 0.4% iPrNH2)를 통한 추가 분리를 필요로 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첫 번째로 용출된 입체이성질체를 100/0/0/0에서 40/45/14.7/0.3까지의 헵탄/EtOAc/EtOH/HOAc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12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CH3CN과 함께 공동-증발시켰다. 생성물을 CH3CN (2 mL)과 H2O (1.2 mL)의 용매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켜 입체이성질체 1A (63 mg)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로 용출된 입체이성질체를 100/0/0/0에서 40/45/14.7/0.3까지의 헵탄/EtOAc/EtOH/HOAc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12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합하고, 증발시키고, CH3CN과 함께 공동-증발시켰다. 생성물을 CH3CN (2 mL)과 H2O (1.2 mL)의 용매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켜 입체이성질체 1B (79 mg)를 제공하였다.
세 번째로 용출된 입체이성질체를 분취용 HPLC (고정상: RP 엑스브리지(XBridge)® 프렙(Prep) C18 OBD - 10 μm, 30 x 150 mm, 이동상: 물 중 0.25% NH4HCO3 용액, CH3CN)를 통하여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합하고, 유기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EtOAc (25 mL) 및 1 N HCl (0.5 mL)과 혼합하였다. 1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층들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단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CH3CN과 함께 공동-증발시켰다. 잔사를 CH3CN (1.5 mL)과 H2O (0.75 mL)의 용매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켜 입체이성질체 1C (62 mg)를 제공하였다.
네 번째로 용출된 입체이성질체를 100/0/0/0에서 40/45/14.7/0.3까지의 헵탄/EtOAc/EtOH/HOAc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12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CH3CN과 함께 공동-증발시켰다. 생성물을 CH3CN (2 mL)과 H2O (1.2 mL)의 용매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켜 입체이성질체 1D (105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10 (dd, J=7.0, 1.3 Hz, 3 H) 1.69 (dq, J=13.6, 6.7 Hz, 1 H) 1.91 - 2.01 (m, 1 H) 2.43 - 2.48 (m, 1 H) 3.07 - 3.26 (m, 2 H) 3.61 (s, 3 H) 3.85 (br t, J=6.5 Hz, 2 H) 4.04 (td, J=10.3, 7.2 Hz, 1 H) 4.52 (td, J=10.2, 6.4 Hz, 1 H) 5.56 (d, J=8.8 Hz, 1 H) 5.75 (t, J=2.0 Hz, 1 H) 5.89 - 5.98 (m, 2 H) 6.43 (d, J=8.6 Hz, 1 H) 7.01 (dd, J=8.3, 1.4 Hz, 1 H) 7.33 (d, J=8.4 Hz, 1 H) 7.40 - 7.47 (m, 2 H) 7.51 - 7.58 (m, 2 H) 8.03 (s, 1 H) 12.16 (br s, 1 H)
LC/MS (방법 LC-A): Rt 1.14분, MH+ 593
입체이성질체 1A: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10 (d, J=7.0 Hz, 3 H) 1.69 (dq, J=13.5, 6.6 Hz, 1 H) 1.91 - 2.01 (m, 1 H) 2.46 - 2.48 (m, 1 H) 3.08 - 3.27 (m, 2 H) 3.61 (s, 3 H) 3.85 (t, J=6.6 Hz, 2 H) 4.04 (td, J=10.3, 6.9 Hz, 1 H) 4.45 - 4.57 (m, 1 H) 5.55 (d, J=8.8 Hz, 1 H) 5.75 (t, J=2.0 Hz, 1 H) 5.92 - 5.96 (m, 2 H) 6.43 (d, J=8.8 Hz, 1 H) 7.01 (dd, J=8.3, 1.7 Hz, 1 H) 7.33 (d, J=8.4 Hz, 1 H) 7.40 - 7.46 (m, 2 H) 7.55 (d, J=8.6 Hz, 2 H) 8.03 (s, 1 H) 12.16 (br s, 1 H)
LC/MS (방법 LC-A): Rt 1.15분, MH+ 593
[α]D 20: -37.6° (c 0.415, DMF)
키랄 SFC (방법 SFC-A): Rt 3.52분, MH+ 593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1B: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09 (d, J=7.0 Hz, 3 H) 1.69 (dq, J=13.6, 6.6 Hz, 1 H) 1.91 - 2.01 (m, 1 H) 2.44 - 2.48 (m, 1 H) 3.08 - 3.27 (m, 2 H) 3.61 (s, 3 H) 3.79 - 3.90 (m, 2 H) 4.04 (td, J=10.4, 7.2 Hz, 1 H) 4.52 (td, J=10.2, 6.6 Hz, 1 H) 5.55 (d, J=8.8 Hz, 1 H) 5.75 (t, J=2.0 Hz, 1 H) 5.92 - 5.97 (m, 2 H) 6.43 (d, J=8.8 Hz, 1 H) 7.01 (dd, J=8.1, 1.5 Hz, 1 H) 7.33 (d, J=8.1 Hz, 1 H) 7.44 (d, J=7.8 Hz, 2 H) 7.55 (d, J=7.2 Hz, 2 H) 8.03 (s, 1 H) 12.16 (br s, 1 H)
LC/MS (방법 LC-A): Rt 1.15분, MH+ 593
[α]D 20: -65.3° (c 0.455, DMF)
키랄 SFC (방법 SFC-A): Rt 4.15분, MH+ 593 키랄 순도 97.1%.
입체이성질체 1C: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11 (d, J=7.0 Hz, 3 H) 1.70 (dq, J=13.5, 6.5 Hz, 1 H) 1.90 - 2.03 (m, 1 H) 2.44 - 2.49 (m, 1 H) 3.07 - 3.25 (m, 2 H) 3.62 (s, 3 H) 3.86 (t, J=6.6 Hz, 2 H) 3.98 - 4.11 (m, 1 H) 4.46 - 4.57 (m, 1 H) 5.56 (d, J=8.6 Hz, 1 H) 5.76 (t, J=2.1 Hz, 1 H) 5.90 - 5.99 (m, 2 H) 6.44 (d, J=8.8 Hz, 1 H) 7.01 (dd, J=7.9, 1.8 Hz, 1 H) 7.34 (d, J=8.4 Hz, 1 H) 7.44 (d, J=8.4 Hz, 2 H) 7.55 (d, J=7.8 Hz, 2 H) 8.04 (s, 1 H) 12.18 (br s, 1 H)
LC/MS (방법 LC-A): Rt 1.15분, MH+ 593
[α]D 20: +35.2° (c 0.455, DMF)
키랄 SFC (방법 SFC-A): Rt 2.84분, MH+ 593 키랄 순도 99.3%.
입체이성질체 1D: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10 (d, J=7.0 Hz, 3 H) 1.70 (dq, J=13.5, 6.6 Hz, 1 H) 1.92 - 2.02 (m, 1 H) 2.46 - 2.49 (m, 1 H) 3.09 - 3.29 (m, 2 H) 3.62 (s, 3 H) 3.80 - 3.92 (m, 2 H) 4.05 (td, J=10.5, 7.0 Hz, 1 H) 4.53 (td, J=10.4, 6.5 Hz, 1 H) 5.56 (d, J=8.8 Hz, 1 H) 5.76 (t, J=2.0 Hz, 1 H) 5.93 - 5.97 (m, 2 H) 6.44 (d, J=8.6 Hz, 1 H) 7.01 (dd, J=8.1, 1.5 Hz, 1 H) 7.34 (d, J=8.1 Hz, 1 H) 7.40 - 7.47 (m, 2 H) 7.56 (d, J=8.4 Hz, 2 H) 8.04 (s, 1 H) 12.17 (br s, 1 H)
LC/MS (방법 LC-A): Rt 1.15분, MH+ 593
[α]D 20: +64.3° (c 0.42, DMF)
키랄 SFC (방법 SFC-A): Rt 2.65분, MH+ 593 키랄 순도 98.1%.
실시예 2 :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탄산 (화합물 2)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2A2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17
중간체 2a의 합성:
DMF (35 mL) 중 메틸 4-브로모-2,2-디메틸부타노에이트[CAS 4833-99-2] (2.5 g, 12 mmol)의 교반 용액에 3-아미노-5-메톡시페놀 [CAS 162155-27-3] (1.66 g, 12 mmol) 및 Cs2CO3 (7.79 g, 23.9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60℃에서 65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실온에 도달하게 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H2O (150 mL)에 부었다. 생성물을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100/0/0에서 0/100/0까지, 0/99/1까지의 헵탄/CH2Cl2/MeOH의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25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톨루엔과 함께 공동-증발시켰다. 고형물을 진공 하에 50℃에서 건조시켜 메틸 4-(3-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타노에이트2a (440 m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2b의 합성:
CH3CN (25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1.57 g, 3.61 mmol), 메틸 4-(3-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타노에이트 2a (970 mg, 3.63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961 μL, 5.58 mmol)의 혼합물을 55℃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 도달하게 하고, 물 (125 mL)에 부었다. 생성물을 Et2O로 추출하였다 (2회).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100/0/0에서 40/45/15까지의 헵탄/EtOAc/EtOH의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40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디옥산과 함께 공동-증발시켜 메틸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타노에이트 2b (2.24 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2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2A 및 2B로의 분리:
물 중 1 M NaOH (9 mL, 9 mmol) 를 디옥산 (15 mL) 중 메틸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타노에이트 2b (2.24 g, 3.61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일 동안 교반시켰다. 1 N HCl (10 m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2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생성물을 Et2O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 (2.9 g)를 100/0/0/0에서 40/45/14.7/0.3까지의 헵탄/EtOAc/EtOH/HOAc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80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와 함께 공동-증발시켰다. 잔사 (1.6 g)를 분취용 HPLC (고정상: RP 엑스브리지® 프렙 C18 OBD - 10 μm, 50 x 150 mm, 이동상: 물 + 10% CH3CN 중 0.5% NH4Ac 용액, MeOH)를 통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유기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2-Me-THF (300 mL)와 염수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100/0/0/0에서 0/75/24.5/0.5까지, 40/45/14.7/0.3까지의 헵탄/EtOAc/EtOH/HOAc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12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발포성 고형물을 진공 하에 45℃에서 건조시켜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탄산 (화합물 2, 0.97 g)을 라세미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화합물 2 (800 mg)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취용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디아셀 AD 20 x 250 mm, 이동상: CO2, EtOH + 0.4% iPrNH2)를 통하여 분리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첫 번째로 용출된 생성물을 EtOAc (15 mL), 물 (5 mL) 및 1 N HCl (1 mL)과 혼합하였다. 15분 동안 교반시킨 후, 층들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MeOH와 함께 공동-증발시켰다. 잔사를 빙조에서 냉각시키면서 물 (4 mL) 및 MeOH (1.5 mL)로 미분화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4/1의 H2O/MeOH로 세척하고 (4회), 진공 하에 45℃에서 건조시켜 거울상 이성질체 2A (292 mg)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로 용출된 생성물을 EtOAc (15 mL), 물 (5 mL) 및 1 N HCl (1 mL)과 혼합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층들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MeOH와 함께 공동-증발시켰다. 잔사를 빙조에서 냉각시키면서 물 (4 mL) 및 MeOH (1.5 mL)로 미분화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2/1의 H2O/MeOH로 세척하고 (4회), 진공 하에 45℃에서 건조시켜 거울상 이성질체 2B (342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2: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13 (d, J=2.6 Hz, 6 H) 1.87 (t, J=7.2 Hz, 2 H) 3.08 - 3.27 (m, 2 H) 3.61 (s, 3 H) 3.85 (t, J=7.2 Hz, 2 H) 4.04 (td, J=10.4, 7.2 Hz, 1 H) 4.52 (td, J=10.2, 6.2 Hz, 1 H) 5.54 (d, J=8.8 Hz, 1 H) 5.74 (t, J=2.0 Hz, 1 H) 5.90 - 5.96 (m, 2 H) 6.43 (d, J=8.6 Hz, 1 H) 7.01 (dd, J=8.3, 1.4 Hz, 1 H) 7.33 (d, J=8.1 Hz, 1 H) 7.39 - 7.48 (m, 2 H) 7.50 - 7.60 (m, 2 H) 8.03 (s, 1 H) 12.19 (br s, 1 H)
LC/MS (방법 LC-A): Rt 1.22분, MH+ 607
거울상 이성질체 2A: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13 (d, J=2.6 Hz, 6 H) 1.87 (t, J=7.3 Hz, 2 H) 3.08 - 3.27 (m, 2 H) 3.61 (s, 3 H) 3.85 (t, J=7.2 Hz, 2 H) 3.97 - 4.12 (m, 1 H) 4.52 (td, J=10.3, 6.5 Hz, 1 H) 5.54 (d, J=8.6 Hz, 1 H) 5.74 (t, J=2.1 Hz, 1 H) 5.90 - 5.96 (m, 2 H) 6.43 (d, J=8.6 Hz, 1 H) 7.01 (dd, J=8.1, 1.5 Hz, 1 H) 7.33 (d, J=8.1 Hz, 1 H) 7.39 - 7.49 (m, 2 H) 7.55 (d, J=8.6 Hz, 2 H) 8.03 (s, 1 H) 12.20 (br s, 1 H)
LC/MS (방법 LC-A): Rt 1.23분, MH+ 607
[α]D 20: +49.6° (c 0.56, DMF)
키랄 SFC (방법 SFC-B): Rt 6.47분, MH+ 607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2B: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13 (d, J=2.6 Hz, 6 H) 1.87 (t, J=7.2 Hz, 2 H) 3.08 - 3.28 (m, 2 H) 3.61 (s, 3 H) 3.85 (t, J=7.2 Hz, 2 H) 4.04 (td, J=10.3, 7.3 Hz, 1 H) 4.52 (td, J=10.3, 6.5 Hz, 1 H) 5.54 (d, J=8.8 Hz, 1 H) 5.74 (t, J=2.0 Hz, 1 H) 5.90 - 5.96 (m, 2 H) 6.43 (d, J=8.6 Hz, 1 H) 7.01 (dd, J=8.1, 1.5 Hz, 1 H) 7.33 (d, J=8.1 Hz, 1 H) 7.41 - 7.46 (m, 2 H) 7.55 (m, J=8.6 Hz, 2 H) 8.03 (s, 1 H) 12.20 (br s, 1 H)
LC/MS (방법 LC-A): Rt 1.23분, MH+ 607
[α]D 20: -49.2° (c 0.445, DMF)
키랄 SFC (방법 SFC-B): Rt 7.18분, MH+ 607 키랄 순도 98.8%.
실시예 3 :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탄산 (화합물 3)의 합성
Figure pct00018
중간체 3a의 합성:
5-옥사스피로[2.4]헵탄-4-온 (930 mg, 8.29 mmol)을 AcOH (8 mL) 중 33% Hbr의 용액과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얼음물 (50 mL)에 부었다. 1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생성물을 여과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고 (5회), 진공 하에 45℃에서 건조시켜 1-(2-브로모에틸)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산 3a (753 m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3b의 합성:
빙조에서 냉각시키면서 N2-분위기 하에 MeOH (11 mL) 중 1-(2-브로모에틸)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산 3a (540 mg, 2.8 mmol)의 용액을 교반시켰다. 티오닐 클로라이드 (304 μL, 4.2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0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CH3CN과 함께 공동-증발시켜 메틸 1-(2-브로모에틸)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3b (380 m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3c의 합성:
DMF (10 mL) 중 메틸 1-(2-브로모에틸)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3b (380 mg, 1.84 mmol)의 교반 용액에 3-아미노-5-메톡시페놀 [CAS 162155-27-3] (250 mg, 1.80 mmol) 및 Cs2CO3 (1.17 g, 3.59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6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실온에 도달하게 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H2O (60 mL)에 부었다. 생성물을 Et2O로 추출하였다 (2회).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톨루엔과 함께 공동-증발시켰다. 잔사를 100/0/0에서 0/100/0까지, 0/99/1까지의 헵탄/CH2Cl2/MeOH의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12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CH3CN과 함께 공동-증발시켜 메틸 1-(2-(3-아미노-5-메톡시페녹시)에틸)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3c (220 m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3d의 합성:
2-부탄올 (7.5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320 mg, 0.736 mmol), 메틸 1-(2-(3-아미노-5-메톡시페녹시)에틸)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3c (220 mg, 0.829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54 μL, 1.47 mmol)의 혼합물을 5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 도달하게 하고, 물 (25 mL)에 부었다. 생성물을 Et2O로 추출하였다 (2회).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100/0/0에서 60/30/10까지의 헵탄/EtOAc/EtOH의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12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디옥산과 함께 공동-증발시켜 메틸 1-(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에틸)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3d (456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3의 합성:
물 중 1 M NaOH (1.84 mL, 1.84 mmol)를 디옥산 (3 mL) 중 메틸 1-(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에틸)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3d (0.456 mg, 0.737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4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 (15 mL) 및 1 N HCl (2 mL)을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생성물을 여과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고 (3회), 진공 하에 45℃에서 건조시켰다. 잔사를 분취용 HPLC (고정상: RP 엑스브리지® 프렙 C18 OBD - 10 μm, 30 x 150 mm, 이동상: 물 중 0.25% NH4HCO3 용액, CH3CN)를 통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유기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존 수성 용액을 Et2O로 추출하였다 (2회).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MeOH와 함께 공동-증발시켰다. 생성된 폼을 3/1의 H2O/MeOH (4 mL)에서 교반시키고, 여과 제거하고, 3/1의 H2O/MeOH로 세척하고 (3회), 진공 하에 45℃에서 건조시켜 1-(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에틸)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산 (화합물 3, 255 mg)을 라세미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화합물 3: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0.73 - 0.84 (m, 2 H) 1.00 - 1.11 (m, 2 H) 1.81 - 1.91 (m, 2 H) 3.07 - 3.26 (m, 2 H) 3.62 (s, 3 H) 3.97 (t, J=7.3 Hz, 2 H) 4.05 (td, J=10.3, 7.3 Hz, 1 H) 4.52 (td, J=10.2, 6.6 Hz, 1 H) 5.55 (d, J=8.6 Hz, 1 H) 5.77 (t, J=2.1 Hz, 1 H) 5.90 - 5.98 (m, 2 H) 6.42 (d, J=8.6 Hz, 1 H) 7.00 (dd, J=8.1, 1.5 Hz, 1 H) 7.33 (d, J=8.1 Hz, 1 H) 7.39 - 7.49 (m, 2 H) 7.55 (d, J=8.4 Hz, 2 H) 8.03 (s, 1 H) 12.19 (br s, 1 H)
LC/MS (방법 LC-B): Rt 2.19분, MH+ 605
실시예 4 :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3-메틸부탄산 (화합물 4)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4A, 4B, 4C 4D로의 분리
Figure pct00019
중간체 4a의 합성:
DMF (15 mL) 중 에틸 4-브로모-3-메틸부타노에이트 [CAS 56703-10-7] (1.0 g, 4.78 mmol)의 교반 용액에 3-아미노-5-메톡시페놀 [CAS 162155-27-3] (666 mg, 4.78 mmol) 및 Cs2CO3 (3.12 g, 9.57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7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실온에 도달하게 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H2O (75 mL)에 부었다. 생성물을 Et2O로 추출하였다 (2회).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100/0으로부터 50/50까지의 헵탄/EtOAc의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25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CH3CN과 함께 공동-증발시켜 에틸 4-(3-아미노-5-메톡시페녹시)-3-메틸부타노에이트 4a (430 mg)를 생성하였다.
중간체 4b의 합성:
CH3CN (15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430 mg, 1.15 mmol), 에틸 4-(3-아미노-5-메톡시페녹시)-3-메틸부타노에이트 4a (430 mg, 1.61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96 μL, 2.30 mmol)의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에 6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 도달하게 하고, 물 (75 mL)에 부었다. 생성물을 Et2O로 추출하였다 (2회).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100/0/0에서 40/45/15까지의 헵탄/EtOAc/EtOH의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12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EtOH와 함께 공동-증발시켜 에틸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3-메틸부타노에이트 4b (714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4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4A, 4B, 4C 및 4D로의 분리:
물 중 1 M NaOH (2.9 mL, 2.9 mmol)를 디옥산 (5 mL)과 EtOH (2 mL)의 용매 혼합물 중 에틸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3-메틸부타노에이트 4b (714 mg, 1.15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1 N HCl (3 m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2분 동안 교반시킨 후, 생성물을 Et2O로 추출하였다 (2회). 합한 유기 층을 분리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100/0/0/0에서 40/45/14.7/0.3까지의 헵탄/EtOAc/EtOH/HOAc의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40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Et2O (5 mL)에서 교반시켰다.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Et2O로 세척하고 (3회), 진공 하에 50℃에서 건조시켜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3-메틸부탄산 (화합물 4, 290 mg)을 라세미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화합물 4 (274 mg)의 4가지 입체이성질체를 분취용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디아셀 AD 20 x 250 mm, 이동상: CO2, iPrOH + 0.4% iPrNH2)를 통하여 분리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두 번째 및 세 번째 용출 피크의 생성물 분획 중 입체이성질체는 완전히는 분리되지 않았으며, 분취용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디아셀 AD 20 x 250 mm, 이동상: CO2, EtOH + 0.4% iPrNH2)를 통한 추가 분리를 필요로 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상기 4가지 입체이성질체를 CH3CN과 물의 용매 혼합물로부터의 동결건조에 의해 고체화하여 입체이성질체 4A (72 mg), 4B (35 mg), 4C (35 mg) 및 4D (67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4: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0.96 (d, J=6.6 Hz, 3 H) 2.05 - 2.15 (m, 1 H) 2.16 - 2.28 (m, 1 H) 2.39 (dd, J=15.4, 5.5 Hz, 1 H) 3.08 - 3.27 (m, 2 H) 3.62 (s, 3 H) 3.65 - 3.75 (m, 2 H) 4.05 (td, J=10.4, 7.2 Hz, 1 H) 4.43 - 4.59 (m, 1 H) 5.56 (d, J=8.8 Hz, 1 H) 5.76 (t, J=2.0 Hz, 1 H) 5.93 (t, J=1.8 Hz, 1 H) 5.97 (s, 1 H) 6.43 (d, J=8.8 Hz, 1 H) 7.01 (dd, J=8.1, 1.5 Hz, 1 H) 7.33 (d, J=8.1 Hz, 1 H) 7.43 (d, J=7.8 Hz, 2 H) 7.55 (d, J=8.4 Hz, 2 H) 8.03 (br s, 1 H) 12.10 (br s, 1 H)
LC/MS (방법 LC-B): Rt 2.07분, MH+ 593
입체이성질체 4A: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0.96 (d, J=6.8 Hz, 3 H) 2.05 - 2.13 (m, 1 H) 2.22 (dq, J=13.1, 6.6 Hz, 1 H) 2.33 - 2.40 (m, 1 H) 3.06 - 3.21 (m, 2 H) 3.62 (s, 3 H) 3.65 - 3.76 (m, 2 H) 4.05 (td, J=10.4, 7.2 Hz, 1 H) 4.52 (td, J=10.1, 6.4 Hz, 1 H) 5.56 (d, J=8.8 Hz, 1 H) 5.76 (t, J=2.0 Hz, 1 H) 5.93 (t, J=1.9 Hz, 1 H) 5.97 (t, J=1.7 Hz, 1 H) 6.43 (d, J=8.6 Hz, 1 H) 7.00 (dd, J=8.1, 1.5 Hz, 1 H) 7.33 (d, J=8.1 Hz, 1 H) 7.43 (m, J=8.6 Hz, 2 H) 7.55 (m, J=8.6 Hz, 2 H) 8.03 (br s, 1 H) 11.51 (br s, 1 H)
LC/MS (방법 LC-B): Rt 2.04분, MH+ 593
[α]D 20: -59.6° (c 0.245, DMF)
키랄 SFC (방법 SFC-C): Rt 5.84분, MH+ 593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4B: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0.96 (d, J=6.6 Hz, 3 H) 2.07 - 2.14 (m, 1 H) 2.22 (dq, J=13.2, 6.5 Hz, 1 H) 2.38 (dd, J=15.2, 5.5 Hz, 1 H) 3.02 - 3.23 (m, 2 H) 3.62 (s, 3 H) 3.65 - 3.76 (m, 2 H) 4.04 (td, J=10.3, 7.3 Hz, 1 H) 4.52 (td, J=10.5, 6.2 Hz, 1 H) 5.56 (d, J=8.8 Hz, 1 H) 5.76 (t, J=2.0 Hz, 1 H) 5.93 (t, J=1.8 Hz, 1 H) 5.97 (t, J=1.7 Hz, 1 H) 6.43 (d, J=8.6 Hz, 1 H) 7.00 (dd, J=8.0, 1.4 Hz, 1 H) 7.33 (d, J=8.1 Hz, 1 H) 7.41 - 7.46 (m, 2 H) 7.55 (m, J=8.4 Hz, 2 H) 8.03 (br s, 1 H) 12.00 (br s, 1 H)
LC/MS (방법 LC-B): Rt 2.04분, MH+ 593
[α]D 20: -47.5° (c 0.255, DMF)
키랄 SFC (방법 SFC-C): Rt 6.34분, MH+ 593 키랄 순도 98.0%.
입체이성질체 4C: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0.96 (d, J=6.6 Hz, 3 H) 2.06 - 2.14 (m, 1 H) 2.22 (dq, J=13.3, 6.4 Hz, 1 H) 2.37 (dd, J=15.3, 5.6 Hz, 1 H) 3.08 - 3.22 (m, 2 H) 3.62 (s, 3 H) 3.66 - 3.74 (m, 2 H) 4.04 (td, J=10.5, 7.0 Hz, 1 H) 4.52 (td, J=10.2, 6.6 Hz, 1 H) 5.56 (d, J=8.8 Hz, 1 H) 5.76 (t, J=2.1 Hz, 1 H) 5.93 (t, J=1.7 Hz, 1 H) 5.97 (t, J=1.8 Hz, 1 H) 6.44 (d, J=8.8 Hz, 1 H) 7.01 (dd, J=8.1, 1.5 Hz, 1 H) 7.33 (d, J=8.1 Hz, 1 H) 7.44 (m, J=8.6 Hz, 2 H) 7.55 (m, J=8.6 Hz, 2 H) 8.03 (br s, 1 H) 10.85 - 12.62 (m, 1 H)
LC/MS (방법 LC-B): Rt 2.04분, MH+ 593
[α]D 20: +47.7° (c 0.26, DMF)
키랄 SFC (방법 SFC-C): Rt 6.31분, MH+ 593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4D:
1H NMR (360 MHz, DMSO-d 6) δ ppm 0.96 (d, J=7.0 Hz, 3 H) 2.06 - 2.15 (m, 1 H) 2.17 - 2.28 (m, 1 H) 2.38 (dd, J=15.4, 5.5 Hz, 1 H) 3.07 - 3.26 (m, 2 H) 3.62 (s, 3 H) 3.65 - 3.76 (m, 2 H) 4.05 (td, J=10.2, 7.3 Hz, 1 H) 4.52 (td, J=10.3, 6.4 Hz, 1 H) 5.57 (d, J=8.8 Hz, 1 H) 5.76 (t, J=2.0 Hz, 1 H) 5.93 (t, J=1.5 Hz, 1 H) 5.97 (t, J=1.5 Hz, 1 H) 6.46 (d, J=8.4 Hz, 1 H) 7.01 (dd, J=8.2, 1.6 Hz, 1 H) 7.33 (d, J=8.4 Hz, 1 H) 7.44 (m, J=8.4 Hz, 2 H) 7.55 (m, J=8.4 Hz, 2 H) 8.03 (br s, 1 H) 11.95 (br s, 1 H)
LC/MS (방법 LC-B): Rt 2.04분, MH+ 593
[α]D 20: +60.7° (c 0.285, DMF)
키랄 SFC (방법 SFC-C): Rt 7.58분, MH+ 593 키랄 순도 100%.
실시예 5 : 2-(1-((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트산 (화합물 5)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5A 5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20
중간체 5a의 합성:
메틸 2-(1-(브로모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테이트 [855473-50-6] (306 mg, 1.478 mmol)을 DMF (2.5 mL) 중 3-메톡시-5-니트로페놀 [7145-49-5] (250 mg, 1.478 mmol) 및 K2CO3 (306 mg, 2.217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반응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물 및 얼음으로 희석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농축시켜 메틸 2-(1-((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테이트 5a를 제공하였다. 수율은 정량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5b의 합성:
촉매량의 10% Pd/C (300 mg, 0.282 mmol)를 함유하는, MeOH (8 mL) 중 메틸 2-(1-((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테이트 5a (520 mg, 1.761 mmol)의 용액을 대기압의 H2 하에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짧은 셀라이트(Celite)® 패드에서의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EtOAc로 수 회 헹구었다. 합한 여과액을 증발시켜 메틸 2-(1-((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테이트 5b (390 mg)를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중간체 5c의 합성:
CH3CN (7.5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250 mg, 0.575 mmol), 메틸 2-(1-((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테이트 5b (184 mg, 0.575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00 μL, 1.15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얼음/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24 g, 헵탄/EtOAc (75/25))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CH3CN/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하고, 건조시켜 메틸 2-(1-((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테이트 5c (206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5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5A 및 5B로의 분리:
물 (1.63 mL) 중 LiOH 일수화물 (63 mg, 1.502 mmol)을 THF (3.7 mL) 중 메틸 2-(1-((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테이트 5c (186 mg, 0.3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3 N HCl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산성화하고, 수성 용액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CH3CN/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하고, 건조시켜 2-(1-((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트산 (화합물 5, 115 mg)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5 (71 mg)의 거울상 이성질체의 분리를 분취용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디아셀 AD 20 x 250 mm, 이동상: CO2, EtOH + 0.4% iPrNH2)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둘 다의 거울상 이성질체에 있어서,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물과 Et2O 사이에 분배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 N HCl의 첨가에 의해 pH 1~2까지 산성화하고, 층들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다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진공 하에 50℃에서 건조시켜 거울상 이성질체 5A (22 mg) 및 거울상 이성질체 5B (23 mg)를 황백색 분말로서 제공하였다.
화합물 5: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0.49 - 0.55 (m, 4 H) 2.33 (s, 2 H) 2.99 - 3.25 (m, 2 H) 3.62 (s, 3 H) 3.73 (s, 2 H) 4.05 (td, J=10.40, 7.25 Hz, 1 H) 4.52 (td, J=10.25, 6.31 Hz, 1 H) 5.57 (d, J=9.14 Hz, 1 H) 5.74 (s, 1 H) 5.92 (s, 1 H) 5.95 (s, 1 H) 6.45 (d, J=9.14 Hz, 1 H) 7.02 (br d, J=9.14 Hz, 1 H) 7.34 (d, J=8.20 Hz, 1 H) 7.44 (d, J=8.20 Hz, 2 H) 7.55 (d, J=8.51 Hz, 3 H) 8.03 (s, 1 H) 12.01 (br s, 1 H)
LC/MS (방법 LC-C): Rt 3.18분, MH+ 605
MP = 111℃
거울상 이성질체 5A:
1H NMR (360 MHz, DMSO-d 6) δ ppm 0.46 - 0.58 (m, 4 H) 2.33 (s, 2 H) 3.04 - 3.27 (m, 2 H) 3.61 (s, 3 H) 3.72 (s, 2 H) 4.05 (td, J=10.2, 7.3 Hz, 1 H) 4.52 (td, J=10.2, 6.6 Hz, 1 H) 5.57 (d, J=9.1 Hz, 1 H) 5.74 (t, J=2.0 Hz, 1 H) 5.92 (t, J=1.6 Hz, 1 H) 5.94 - 5.97 (m, 1 H) 6.45 (d, J=8.8 Hz, 1 H) 7.01 (dd, J=8.1, 1.5 Hz, 1 H) 7.33 (d, J=8.4 Hz, 1 H) 7.44 (d, J=8.4 Hz, 2 H) 7.51 - 7.59 (m, 2 H) 8.03 (s, 1 H) 12.12 (br s, 1 H)
LC/MS (방법 LC-A): Rt 1.15분, MH+ 605
[α]D 20: +37.0° (c 0.135, DMF)
키랄 SFC (방법 SFC-E): Rt 5.84분, MH+ 605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5B:
1H NMR (360 MHz, DMSO-d 6) δ ppm 0.46 - 0.57 (m, 4 H) 2.33 (s, 2 H) 3.05 - 3.26 (m, 2 H) 3.61 (s, 3 H) 3.72 (s, 2 H) 4.05 (td, J=10.4, 7.3 Hz, 1 H) 4.52 (td, J=10.3, 6.4 Hz, 1 H) 5.57 (d, J=8.8 Hz, 1 H) 5.74 (t, J=2.0 Hz, 1 H) 5.92 (t, J=1.8 Hz, 1 H) 5.94 - 5.97 (m, 1 H) 6.45 (d, J=8.8 Hz, 1 H) 7.01 (dd, J=8.2, 1.6 Hz, 1 H) 7.33 (d, J=8.1 Hz, 1 H) 7.44 (d, J=8.4 Hz, 2 H) 7.50 - 7.61 (m, 2 H) 8.03 (s, 1 H) 12.11 (br s, 1 H)
LC/MS (방법 LC-A): Rt 1.15분, MH+ 605
[α]D 20: -48.8° (c 0.16, DMF)
키랄 SFC (방법 SFC-E): Rt 6.53분, MH+ 605 키랄 순도 100%.
실시예 6A : (1R * ,2R*)-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6A)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6AA 6AB로의 분리
Figure pct00021
중간체 6a의 합성:
MeOH (200 mL) 중 에틸 2-포르밀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0417-61-2] (9 mL, 67.996 mmol)의 용액에 NaBH4 (5.15 g, 133.993 mmol)를 0℃에서 일부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CH2Cl2 및 물을 첨가하였다.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CH2Cl2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에틸 2-(히드록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6a (9.15 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6b의 합성:
디-tert-부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4.8 g, 20.809 mmol)를 THF (150 mL) 중 3-메톡시-5-니트로페놀 [7145-49-5] (3.2 g, 18.917 mmol), 에틸 2-(히드록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6a (3 g, 20.809 mmol), 및 PPh3 (5.46 g, 20.809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N2 하에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사를 분취용 LC (불규칙 SiOH 20~45 μm, 220 g, 헵탄/EtOAc: 85/15로부터 75/25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메틸 2-((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6b (1.4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6c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6d 및 6e로의 키랄 분리:
촉매량의 10% Pd/C (750 mg, 0.704 mmol)를 함유하는, EtOH (65 mL) 중 메틸 2-((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6b (1.3 g, 4.402 mmol)의 용액을 대기압의 H2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짧은 셀라이트® 패드에서의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EtOAc로 수 회 헹구었다. 합한 여과액을 증발시켰다. 조 잔사를 분취용 LC (불규칙 SiOH 20~45 μm, 40 g, 헵탄/EtOAc (80/20))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용매를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메틸 2-((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6c (780 mg)를 제공하였다.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A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80% CO2, 20% EtOH)를 통하여 분리하여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6d (트랜스 R*,R*, 344 mg, [α]D 20: -78.6° (c 0.257, DMF))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6e (트랜스 S*,S*, 371 mg, [α]D 20: +74.5° (c 0.251, DMF))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6f의 합성:
CH3CN (12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376 mg, 0.864 mmol), (1R*,2R*)-메틸 2-((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테이트 6d (344 mg, 1.297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98 μL, 1.729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5일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얼음/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5~30 μm, 40 g, 헵탄/EtOAc (80/20))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1R*,2R*)-메틸 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6f (500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6A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6AA 6AB로의 키랄 분리:
물 (10 mL) 중 LiOH 일수화물 (169 mg, 4.039 mmol)을 THF (10 mL) 중 (1R*,2R*)-메틸 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6f (500 mg, 0.808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및 45℃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3 N HCl을 첨가하여 상기 용액을 산성화하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0~45 μm, 40 g, 헵탄/EtOAc (80/20))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1R*,2R*)-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6A, 780 mg)을 제공하였다. 두 입체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55% CO2, 45% iPrOH)를 통하여 분리하여, 헵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6AA (123 mg) 및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6AB (125 mg)를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 6AA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0.75 - 0.96 (m, 1 H) 1.00 - 1.07 (m, 1 H) 1.44 - 1.57 (m, 1 H) 1.57 - 1.70 (m, 1 H) 3.09 - 3.27 (m, 2 H) 3.62 (s, 3 H) 3.69 (br dd, J=10.25, 7.72 Hz, 1 H) 3.80 - 3.95 (m, 1 H) 4.00 - 4.09 (m, 1 H) 4.39 - 4.65 (m, 1 H) 5.57 (br d, J=8.51 Hz, 1 H) 5.76 (s, 1 H) 5.95 (s, 1 H) 5.97 (s, 1 H) 6.46 (br d, J=8.83 Hz, 1 H) 7.02 (br d, J=8.20 Hz, 1 H) 7.34 (d, J=8.20 Hz, 1 H) 7.44 (d, J=8.51 Hz, 2 H) 7.55 (br d, J=8.20 Hz, 2 H) 8.04 (br s, 1 H) 12.02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95분, MH+ 591
[α]D 20: -78.0° (c 0.282, DMF)
키랄 SFC (방법 SFC-G): Rt 1.08분, MH+ 591 키랄 순도 99.82%.
입체이성질체 6AB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0.79 - 0.90 (m, 1 H) 1.00 - 1.08 (m, 1 H) 1.43 - 1.57 (m, 1 H) 1.57 - 1.72 (m, 1 H) 2.95 - 3.27 (m, 2 H) 3.62 (s, 3 H) 3.63 - 3.78 (m, 1 H) 3.78 - 3.98 (m, 1 H) 4.00 - 4.09 (m, 1 H) 4.29 - 4.65 (m, 1 H) 5.57 (br d, J=8.83 Hz, 1 H) 5.76 (br s, 1 H) 5.95 (s, 1 H) 5.96 (s, 1H) 6.46 (br d, J=8.51 Hz, 1 H) 7.01 (br d, J=7.57 Hz, 1 H) 7.34 (br d, J=7.88 Hz, 1 H) 7.44 (br d, J=7.88 Hz, 2 H) 7.55 (br d, J=7.88 Hz, 2 H) 8.04 (br s, 1 H) 11.88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95분, MH+ 591
[α]D 20: +12.9° (c 0.272, DMF)
키랄 SFC (방법 SFC-G): Rt 1.87분, MH+ 591 키랄 순도 99.55%.
실시예 6B : ((1S*,2S*)-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6B)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6BA 6BB로의 분리
Figure pct00022
중간체 6g의 합성:
CH3CN (12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405 mg, 0.932 mmol), (1S*,2S*)-메틸 2-((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테이트 6e (371 mg, 1.398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21 μL, 1.864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4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얼음/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5~30 μm, 40 g, 헵탄/EtOAc (80/20))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1S*,2S*)-메틸 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6g (580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6B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6BA 6BB로의 키랄 분리:
물 (10 mL) 중 LiOH 일수화물 (203 mg, 4.846 mmol)을 THF (10 mL) 중 (1S*,2S*)-메틸 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6g (600 mg, 0.969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7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3 N HCl을 첨가하여 상기 용액을 산성화하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0~45 μm, 40 g, 헵탄/EtOAc (80/20))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1S*,2S*)-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6B, 348 mg)을 제공하였다. 두 입체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55% CO2, 45% iPrOH)를 통하여 분리하여, 헵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6BA (109 mg) 및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6BB (102 mg)를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 6BA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0.73 - 0.98 (m, 1 H) 0.98 - 1.08 (m, 1 H) 1.49 - 1.58 (m, 1 H) 1.58 - 1.71 (m, 1 H) 3.00 - 3.27 (m, 2 H) 3.61 (s, 3 H) 3.68 (dd, J=10.40, 7.57 Hz, 1 H) 3.84 (dd, J=10.56, 6.15 Hz, 1 H) 4.00 - 4.08 (m, 1 H) 4.50 - 4.57 (m, 1 H) 5.57 (d, J=8.83 Hz, 1 H) 5.75 (s, 1 H) 5.95 (s, 1 H) 5.96 (s, 1H) 6.46 (br d, J=8.83 Hz, 1 H) 7.01 (br d, J=7.25 Hz, 1 H) 7.33 (d, J=7.88 Hz, 1 H) 7.44 (d, J=8.51 Hz, 2 H) 7.55 (d, J=8.51 Hz, 2 H) 8.03 (s, 1 H) 12.26 (br s, 1H)
LC/MS (방법 LC-D): Rt 2.82분, MH+ 591
[α]D 20: -12.5° (c 0.28, DMF)
키랄 SFC (방법 SFC-G): Rt 1.10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6BB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0.78 - 0.95 (m, 1 H) 1.00 -1.08 (m, 1H) 1.48 - 1.59 (m, 1 H) 1.59 - 1.68 (m, 1 H) 2.91 - 3.25 (m, 2 H) 3.61 (s, 3 H) 3.68 (br dd, J=10.40, 7.57 Hz, 1 H) 3.84 (dd, J=10.56, 6.15 Hz, 1 H) 4.00- 4.09 (m, 1 H) 4.30 - 4.58 (m, 1 H) 5.57 (d, J=8.83 Hz, 1 H) 5.75 (s, 1 H) 5.95 (s, 1 H), 5.96 (s, 1H) 6.45 (br d, J=8.83 Hz, 1 H) 7.01 (br d, J=7.88 Hz, 1 H) 7.33 (d, J=8.20 Hz, 1 H) 7.44 (d, J=8.20 Hz, 2 H) 7.55 (d, J=8.20 Hz, 2 H) 8.03 (s, 1 H) 12.11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81분, MH+ 591
[α]D 20: +81.4° (c 0.28, DMF)
키랄 SFC (방법 SFC-G): Rt 1.87분, MH+ 없음, 키랄 순도 99.02%.
실시예 7 : (1r,3r)-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텐-카르복실산 (화합물 7)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7A7B로의 분리
Figure pct00023
중간체 7a의 합성:
N2 유동 하에, CH2Cl2 (30 mL) 중 에틸 3-히드록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17205-02-6] (1 g, 6.936 mmol)의 용액에 피리딘 (0.838 mL) 및 토실 언하이드라이드 (2.49 g, 7.63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 (200 mL)에 현탁시키고, 0.5 M 염산 (2×60 mL),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2×60 mL), 물 (60 mL) 및 염수 (50 mL)로 세척하였다. 상기 용액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에틸 3-(토실옥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7a (2.0 g)를 생성하였다.
중간체 7b의 합성:
에틸 3-(토실옥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7a (1.94 g, 6.504 mmol)를 DMF (10 mL) 중 3-메톡시-5-니트로페놀 [7145-49-5] (1.0 g, 5.912 mmol) 및 K2CO3 (981 mg, 7.095 mmol)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8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80 g, 헵탄/EtOAc: 95/5에서 85/15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1r,3r)-에틸 3-(3-메톡시-5-니트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7b (1.1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7c의 합성:
촉매량의 10% Pd/C (396 mg, 0.373 mmol)를 함유하는, EtOH (20 mL) 중 (1r,3r)-에틸 3-(3-메톡시-5-니트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7b (1.1 g, 3.725 mmol)의 용액을 대기압의 H2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짧은 셀라이트® 패드에서의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MeOH로 수 회 헹구었다. 합한 여과액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1r,3r)-에틸 3-(3-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7c (920 m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7d의 합성:
CH3CN (32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1.072 g, 2.467 mmol), (1r,3r)-에틸 3-(3-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7c (720 mg, 2.714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850 μL, 4.934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4일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1 N HCl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켜 (1r,3r)-에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7d (1.6 g)를 제공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화합물 7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7A 및 7B로의 키랄 분리:
0℃에서, LiOH 일수화물 (325 mg, 7.75 mmol)을 THF/물/MeOH (1/1/1) (30 mL) 중 (1r,3r)-에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7d (1.6 g, 2.585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3 N HCl을 첨가하여 용액을 산성화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80 g, CH2Cl2/MeOH: 100/0에서 98/2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1r,3r)-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텐-카르복실산 (화합물 7, 1.16 g)을 제공하였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55% CO2, 45% MeOH)를 통하여 분리하여, 헵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7A (358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7B (388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7: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19 - 2.30 (m, 2 H) 2.57 (qd, J=6.8, 3.6 Hz, 2 H) 2.95 - 3.05 (m, 1 H) 3.08 - 3.27 (m, 2 H) 3.61 (s, 3 H) 4.03 (td, J=10.4, 7.3 Hz, 1 H) 4.53 (td, J=10.4, 6.3 Hz, 1 H) 4.68 (quin, J=6.7 Hz, 1 H) 5.54 (d, J=8.5 Hz, 1 H) 5.62 (s, 1 H) 5.85 (s, 1 H) 5.92 (s, 1 H) 6.53 (d, J=8.5 Hz, 1 H) 7.01 (br d, J=7.9 Hz, 1 H) 7.33 (d, J=8.2 Hz, 1 H) 7.45 (d, J=8.2 Hz, 2 H) 7.55 (d, J=8.5 Hz, 2 H) 8.04 (s, 1 H) 12.34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95분, MH+ 591
거울상 이성질체 7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20 - 2.28 (m, 2 H) 2.53 - 2.60 (m, 2 H) 2.95 - 3.04 (m, 1 H) 3.07 - 3.26 (m, 2 H) 3.60 (s, 3 H) 4.03 (td, J=10.4, 7.3 Hz, 1 H) 4.52 (td, J=10.2, 6.3 Hz, 1 H) 4.67 (t, J=6.8 Hz, 1 H) 5.53 (d, J=8.5 Hz, 1 H) 5.61 (t, J=2.0 Hz, 1 H) 5.84 (s, 1 H) 5.91 (s, 1 H) 6.52 (d, J=8.5 Hz, 1 H) 7.01 (dd, J=8.2, 1.6 Hz, 1 H) 7.33 (d, J=8.2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5 Hz, 2 H) 8.03 (s, 1 H) 12.24 - 12.40 (m, 1 H)
LC/MS (방법 LC-C): Rt 2.96분, MH+ 591
[α]D 20: -41.6° (c 0.298, DMF)
키랄 SFC (방법 SFC-H): Rt 1.25분, MH+ 591,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7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19 - 2.28 (m, 2 H) 2.57 (qd, J=6.8, 3.9 Hz, 2 H) 2.95 - 3.04 (m, 1 H) 3.08 - 3.25 (m, 2 H) 3.60 (s, 3 H) 4.03 (td, J=10.5, 7.1 Hz, 1 H) 4.53 (td, J=10.4, 6.3 Hz, 1 H) 4.67 (quin, J=6.7 Hz, 1 H) 5.53 (d, J=8.5 Hz, 1 H) 5.61 (t, J=2.0 Hz, 1 H) 5.84 (s, 1 H) 5.91 (s, 1 H) 6.52 (d, J=8.5 Hz, 1 H) 7.01 (dd, J=8.0, 1.4 Hz, 1 H) 7.33 (d, J=8.2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5 Hz, 2 H) 8.03 (s, 1 H) 12.32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95분, MH+ 591
[α]D 20: +43.7° (c 0.332, DMF)
키랄 SFC (방법 SFC-H): Rt 2.05분, MH+ 591, 키랄 순도 100%.
실시예 8 : (1s,3s)-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텐-카르복실산 (화합물 8)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8A8B로의 분리
Figure pct00024
중간체 8a의 합성:
N2 유동 하에, CH2Cl2 (50 mL) 중 (1r,3r)-에틸 3-히드록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160351-88-2] (1.86 g, 12.901 mmol)의 용액에 피리딘 (1.56 mL) 및 토실 언하이드라이드 (4.63 g, 14.192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 (200 mL)에 현탁시키고, 0.5 M 염산 (2× 60 mL),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2× 60 mL), 물 (60 mL) 및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그 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1r,3r)-에틸 3-(토실옥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8a (3.97 g)를 생성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8b의 합성:
(1r,3r)-에틸 3-(토실옥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8a (3.85 g, 12.904 mmol)을 DMF (20 mL) 중 3-메톡시-5-니트로페놀 [7145-49-5] (1.98 g, 11.73 mmol) 및 K2CO3 (1.95 g, 14.07 mmol)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8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120 g, 헵탄/EtOAc: 95/5에서 85/15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1s,3s)-에틸 3-(3-메톡시-5-니트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8b (2.04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8c의 합성:
촉매량의 10% Pd/C (735 mg, 0.691 mmol)를 함유하는, EtOH (50 mL) 중 (1s,3s)-에틸 3-(3-메톡시-5-니트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8b (2.04 g, 6.908 mmol)의 용액을 대기압의 H2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짧은 셀라이트® 패드에서의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EtOH로 수 회 헹구었다. 합한 여과액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1s,3s)-에틸 3-(3-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8c (1.8 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8d의 합성:
CH3CN (30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1.5 g, 3.462 mmol), (1s,3s)-에틸 3-(3-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8c (870 mg, 3.462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19 mL, 6.924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1 N HCl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화합물을 CH3CN/Et2O로부터 결정화하여 중간체 8 (분획 1, 820 mg)을 제공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또 다른 배치의 조 중간체 8 (분획 2, 1 g)을 제공하였다.
692 mg (1.592 mmol)의 1c로부터 출발하여(상기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반응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반응을 중복해서 수행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Et2O로부터 결정화하여 중간체 8 (분획 3, 400 mg)을 제공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또 다른 배치의 중간체 8 (분획 4, 600 mg)을 제공하였다. 분획 2 및 분획 4를 합하고,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80 g, 헵탄/EtOAc 90/10 to 70/30)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분획 5 (250 mg)를 제공하였다. 분획 1, 분획 3 및 분획 5를 합하고, 건조시켜 (1s,3s)-에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8d (1.53 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8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8A 및 8B로의 키랄 분리:
0℃에서, LiOH 일수화물 (318 mg, 7.58 mmol)을 THF/물/MeOH (1/1/1) (30 mL) 중 (1s,3s)-에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8d (1.53 g, 2.529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3 N HCl을 첨가하여 용액을 산성화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40 g, CH2Cl2/MeOH: 100/0에서 98.5/1.5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1s,3s)-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화합물 8, 1.26 g)을 제공하였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20 mm, 이동상: 55% CO2, 45% EtOH)를 통하여 분리하여, 에테르/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8A (442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8B (433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8: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03 - 2.13 (m, 2 H) 2.57 - 2.66 (m, 2 H) 2.66 - 2.76 (m, 1 H) 3.08 - 3.26 (m, 2 H) 3.61 (s, 3 H) 4.04 (td, J=10.2, 7.3 Hz, 1 H) 4.44 - 4.58 (m, 2 H) 5.54 (d, J=8.5 Hz, 1 H) 5.66 (s, 1 H) 5.87 (s, 1 H) 5.94 (s, 1 H) 6.49 (d, J=8.5 Hz, 1 H) 7.02 (br d, J=8.2 Hz, 1 H) 7.34 (d, J=8.2 Hz, 1 H) 7.45 (d, J=8.2 Hz, 2 H) 7.55 (d, J=8.2 Hz, 2 H) 8.04 (s, 1 H) 12.27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90분, MH+ 591
거울상 이성질체 8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01 - 2.14 (m, 2 H) 2.55 - 2.72 (m, 3 H) 3.08 - 3.24 (m, 2 H) 3.61 (s, 3 H) 4.04 (td, J=10.4, 7.3 Hz, 1 H) 4.41 - 4.57 (m, 2 H) 5.54 (d, J=8.8 Hz, 1 H) 5.66 (s, 1 H) 5.86 (s, 1 H) 5.93 (s, 1 H) 6.48 (br d, J=8.8 Hz, 1 H) 7.01 (br d, J=8.2 Hz, 1 H) 7.33 (d, J=8.2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2 Hz, 2 H) 8.03 (s, 1 H)
LC/MS (방법 LC-C): Rt 2.90분, MH+ 591
[α]D 20: -47.1° (c 0.274, DMF)
키랄 SFC (방법 SFC-I): Rt 1.18분, MH+ 591,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8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02 - 2.13 (m, 2 H) 2.55 - 2.70 (m, 3 H) 3.06 - 3.25 (m, 2 H) 3.61 (s, 3 H) 4.04 (td, J=10.2, 7.3 Hz, 1 H) 4.39 - 4.57 (m, 2 H) 5.54 (d, J=8.8 Hz, 1 H) 5.66 (s, 1 H) 5.86 (s, 1 H) 5.93 (s, 1 H) 6.48 (br d, J=8.8 Hz, 1 H) 7.01 (br d, J=7.9 Hz, 1 H) 7.33 (d, J=8.2 Hz, 1 H) 7.44 (d, J=8.2 Hz, 2 H) 7.55 (d, J=8.5 Hz, 2 H) 8.03 (s, 1 H)
LC/MS (방법 LC-C): Rt 2.91분, MH+ 591
[α]D 20: +40.0° (c 0.25, DMF)
키랄 SFC (방법 SFC-I): Rt 2.16분, MH+ 591, 키랄 순도 100%.
실시예 9 :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바이시클로[1.1.1]펜탄-1-카르복실산 (화합물 9)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9A 9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25
중간체 9a의 합성:
3-메톡시-5-니트로페놀 [7145-49-5] (1.1 g, 6.4 mmol), 디-tert-부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TBAD, 1.65 g, 7.04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2.35 g, 8.96 mmol)을 N2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건조 THF (25 mL)에 용해시켰다. 건조 THF (5 mL) 중 메틸 3-(히드록시l메틸)바이시클로[1.1.1]펜탄-1-카르복실레이트 [180464-87-3] (1.0 g, 6.4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발열성).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존 황색 오일을 0/100에서 50/50까지의 EtOAc:EtOH(3:1)/헵탄 구매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100 g)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소량의 Et2O로 미분화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소량의 Et2O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50℃에서 건조시켜 메틸 3-((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바이시클로[1.1.1]펜탄-1-카르복실레이트 9a (1.06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9b의 합성:
촉매량의 10% Pd/C (366 mg, 0.34 mmol)를 함유하는, MeOH (150 mL) 중 메틸 3-((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바이시클로[1.1.1]펜탄-1-카르복실레이트 9a (1.06 g, 3.44 mmol)의 용액을 대기압의 H2 하에 실온에서 10분 동안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N2-분위기 하에 짧은 셀라이트® 패드에서의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MeOH로 수 회 헹구었다. 합한 여과액을 증발시켜 메틸 3-((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바이시클로[1.1.1]펜탄-1-카르복실레이트 9b (961 mg)를 흑색 오일로서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중간체 9c의 합성:
CH3CN (50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1.16 g, 2.67 mmol), 메틸 3-((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바이시클로[1.1.1]펜탄-1-카르복실레이트 9b (961 mg, 3.47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689 μL, 4.0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하룻밤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CH2Cl2에 용해시켰다. 유기 용액을 1 N HCl 및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0/100에서 50/50까지의 EtOAc:EtOH(3:1)/헵탄의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100 g)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소량의 헵탄/EtOAc (10/1)에 현탁시키고,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소량의 헵탄으로 세척하였다. 고형물을 진공 하에 50℃에서 건조시켜 메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바이시클로[1.1.1]펜탄-1-카르복실레이트 9c (1.21 g)를 백색 분말로서 제공하였다.
화합물 9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9A 및 9B로의 분리:
LiOH (92 mg, 3.84 mmol)를 MeOH (20 mL), THF (40 mL) 및 물 (20 mL)의 용매 혼합물 중 메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바이시클로[1.1.1]펜탄-1-카르복실레이트 9c (1.21 g, 1.9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1 N HCl (1 mL)을 첨가하고, 유기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존 수성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1 N HCl을 이용하여 pH 2까지 산성화하고, Et2O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진공 하에 50℃에서 건조시켜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바이시클로[1.1.1]펜탄-1-카르복실산 (화합물 9, 1.06 g)을 담황색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화합물 9 (994 mg)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취용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디아셀 OD 20 x 250 mm, 이동상: CO2, EtOH + 0.4% iPrNH2)에 의해 분리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첫 번째 용출 생성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1 N HCl을 첨가하고, 층들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OAc로 다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진공 하에 50℃에서 건조시켜 거울상 이성질체 9A (353 mg)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용출 생성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1 N HCl을 첨가하고, 층들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OAc로 다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진공 하에 50℃에서 건조시켜 거울상 이성질체 9B (193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9:
1H NMR (360 MHz, DMSO-d 6) δ ppm 1.92 (s, 6 H) 3.06 - 3.27 (m, 2 H) 3.62 (s, 3 H) 3.87 (s, 2 H) 4.06 (td, J=10.3, 7.1 Hz, 1 H) 4.52 (td, J=10.2, 6.6 Hz, 1 H) 5.58 (d, J=8.8 Hz, 1 H) 5.75 (t, J=2.0 Hz, 1 H) 5.92 - 5.97 (m, 2 H) 6.46 (d, J=9.1 Hz, 1 H) 7.01 (dd, J=8.2, 1.6 Hz, 1 H) 7.34 (d, J=8.1 Hz, 1 H) 7.41 - 7.47 (m, 2 H) 7.51 - 7.58 (m, 2 H) 8.03 (br s, 1 H) 12.37 (br s, 1 H)
LC/MS (방법 LC-A): Rt 1.09분, MH+ 617
거울상 이성질체 9A:
1H NMR (360 MHz, DMSO-d 6) δ ppm 1.92 (s, 6 H) 3.07 - 3.25 (m, 2 H) 3.61 (s, 3 H) 3.87 (s, 2 H) 3.98 - 4.11 (m, 1 H) 4.51 (td, J=10.2, 6.4 Hz, 1 H) 5.57 (d, J=8.8 Hz, 1 H) 5.75 (t, J=2.0 Hz, 1 H) 5.92 - 5.96 (m, 2 H) 6.46 (d, J=9.1 Hz, 1 H) 7.01 (dd, J=8.1, 1.5 Hz, 1 H) 7.33 (d, J=8.1 Hz, 1 H) 7.44 (d, J=8.4 Hz, 2 H) 7.50 - 7.59 (m, 2 H) 8.03 (br s, 1 H) 12.37 (br s, 1 H)
LC/MS (방법 LC-B): Rt 1.91분, MH+ 617
[α]D 20: -43.6° (c 0.5, DMF)
키랄 SFC (방법 SFC-D): Rt 5.26분, MH+ 617 키랄 순도 98.6%.
거울상 이성질체 9B:
1H NMR (360 MHz, DMSO-d 6) δ ppm 1.93 (s, 6 H) 3.08 - 3.25 (m, 2 H) 3.62 (s, 3 H) 3.88 (s, 2 H) 4.00 - 4.11 (m, 1 H) 4.52 (td, J=10.2, 6.6 Hz, 1 H) 5.58 (d, J=8.8 Hz, 1 H) 5.76 (t, J=1.8 Hz, 1 H) 5.92 - 5.98 (m, 2 H) 6.47 (d, J=8.8 Hz, 1 H) 7.01 (dd, J=8.1, 1.5 Hz, 1 H) 7.33 (d, J=8.4 Hz, 1 H) 7.44 (d, J=8.4 Hz, 2 H) 7.51 - 7.60 (m, 2 H) 8.04 (br s, 1 H) 12.38 (br s, 1 H)
LC/MS (방법 LC-B): Rt 1.91분, MH+ 617
[α]D 20: +42.2° (c 0.41, DMF)
키랄 SFC (방법 SFC-D): Rt 6.47분, MH+ 617 키랄 순도 99.5%.
실시예 10 : (1s,3s)-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텐카르복실산 (화합물 10)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0A 10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26
중간체 10a의 합성:
N2 유동 하에, CH2Cl2 (20 mL) 중 메틸 3-(히드록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89941-55-9] (1.4 g, 9.71 mmol)의 용액에 피리딘 (1.17 mL) 및 토실 언하이드라이드 (3.49 g, 10.682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 (200 mL)에 현탁시키고, 0.5 M 염산 (2×50 mL),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2×50 mL), 및 염수 (50 mL)로 세척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메틸 3-((토실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10a (2.15 g).를 생성하였다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10b 및 10c의 합성:
3-((토실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10a (2.15 g, 7.206 mmol)를 DMF (14 mL) 중 3-메톡시-5-니트로페놀 [7145-49-5] (1.22 g, 7.206 mmol) 및 K2CO3 (1.5 g, 10.809 mmol)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80 g, 헵탄/EtOAc: 85/15에서 80/20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입체이성질체들을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A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55% CO2, 45% MeOH) 를 통하여 분리하여 (1s,3s)-메틸 3-((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10b (541 mg) 및 (1r,3r)-메틸 3-((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10c (428 m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0d의 합성:
촉매량의 10% Pd/C (191 mg, 0.179 mmol)를 함유하는, MeOH (10 mL) 중 (1s,3s)-메틸 3-((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시클로부텐-카르복실레이트 10b (530 mg, 1.795 mmol)의 용액을 대기압의 H2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짧은 셀라이트® 패드에서의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MeOH로 수 회 헹구었다. 합한 여과액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1s,3s)-메틸 3-((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10d (480 m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10e의 합성:
CH3CN (10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580 mg, 1.334 mmol), (1s,3s)-메틸 3-((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10d (460 mg, 1.734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60 μL, 2.667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4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EtOAc로 녹였다. 유기 층을 1 N HCl 및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켜, Et2O/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결정화 후, (1s,3s)-메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텐-카르복실레이트 10e (625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0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0A 및 10B로의 키랄 분리:
0℃에서, LiOH 일수화물 (127 mg, 3.029 mmol)을 THF/물/MeOH (1/1/1) (15 mL) 중 (1s,3s)-메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10e (625 mg, 1.01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시켰다. 3 N HCl을 첨가하여 상기 용액을 산성화하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Et2O/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하여 (1s,3s)-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텐-카르복실산 (화합물 10, 440 mg)을 제공하였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휄크® O1 (S,S) 5 μm 250 x 21.1 mm, 이동상: 58% CO2, 42% MeOH)를 통하여 분리하여, 헵탄 /디이소프로필 에테르/에테르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10A (116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10B (119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0: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87 - 1.99 (m, 2 H) 2.18 - 2.30 (m, 2 H) 2.53 - 2.61 (m, 1 H) 2.97 (quin, J=8.9 Hz, 1 H) 3.08 - 3.27 (m, 2 H) 3.62 (s, 3 H) 3.78 (br d, J=6.3 Hz, 2 H) 4.05 (td, J=10.4, 7.2 Hz, 1 H) 4.52 (td, J=10.3, 6.5 Hz, 1 H) 5.57 (d, J=8.8 Hz, 1 H) 5.72 - 5.78 (m, 1 H) 5.94 (s, 2 H) 6.45 (br d, J=8.8 Hz, 1 H) 6.95 - 7.06 (m, 1 H) 7.34 (d, J=8.2 Hz, 1 H) 7.44 (d, J=8.2 Hz, 2 H) 7.55 (d, J=8.5 Hz, 2 H) 8.04 (s, 1 H) 12.08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94분, MH+ 605
MP = 128℃
거울상 이성질체 10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84 - 1.97 (m, 2 H) 2.15 - 2.30 (m, 2 H) 2.53 - 2.61 (m, 1 H) 2.94 (quin, J=8.9 Hz, 1 H) 3.07 - 3.25 (m, 2 H) 3.61 (s, 3 H) 3.77 (br d, J=6.3 Hz, 2 H) 4.05 (td, J=10.4, 6.9 Hz, 1 H) 4.52 (td, J=10.3, 6.1 Hz, 1 H) 5.57 (d, J=8.8 Hz, 1 H) 5.74 (t, J=1.9 Hz, 1 H) 5.93 (s, 2 H) 6.44 (d, J=8.8 Hz, 1 H) 7.01 (dd, J=8.0, 1.4 Hz, 1 H) 7.33 (d, J=8.2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2 Hz, 2 H) 8.03 (s, 1 H)
LC/MS (방법 LC-C): Rt 3.08분, MH+ 605
[α]D 20: -44.0 (c 0.314, DMF)
키랄 SFC (방법 SFC-J): Rt 1.63분, MH+ 605,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10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85 - 1.97 (m, 2 H) 2.17 - 2.28 (m, 2 H) 2.53 - 2.58 (m, 1 H) 2.94 (quint, J=8.8 Hz, 1 H) 3.07 - 3.24 (m, 2 H) 3.61 (s, 3 H) 3.72 - 3.82 (m, 2 H) 4.05 (td, J=10.4, 7.3 Hz, 1 H) 4.52 (td, J=10.4, 6.9 Hz, 1 H) 5.57 (d, J=8.8 Hz, 1 H) 5.72 - 5.77 (m, 1 H) 5.93 (s, 2 H) 6.44 (d, J=8.8 Hz, 1 H) 7.01 (dd, J=8.0, 1.4 Hz, 1 H) 7.33 (d, J=7.9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5 Hz, 2 H) 8.03 (s, 1 H)
LC/MS (방법 LC-C): Rt 3.08분, MH+ 605
[α]D 20: +45.5° (c 0.308, DMF)
키랄 SFC (방법 SFC-J): Rt 2.14분, MH+ 605, 키랄 순도 99.57%.
실시예 11 : (1r,3r)-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텐-카르복실산 (화합물 11)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1A 11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27
중간체 11a의 합성:
촉매량의 10% Pd/C (148 mg, 0.139 mmol)를 함유하는, MeOH (10 mL) 중 (1r,3r)-메틸 3-((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시클로부텐-카르복실레이트 10c (410 mg, 1.388 mmol)의 용액을 대기압의 H2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짧은 셀라이트® 패드에서의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MeOH로 수 회 헹구었다. 합한 여과액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1r,3r)-메틸 3-((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11a (370 m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11b의 합성:
CH3CN (8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460 mg, 1.058 mmol), (1r,3r)-메틸 3-((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11a (365 mg, 1.376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65 μL, 2.117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4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EtOAc로 녹였다. 유기 층을 1 N HCl 및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켜, Et2O/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결정화 후, (1r,3r)-메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11b (515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1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1A 및 11B로의 키랄 분리:
0℃에서, LiOH 일수화물 (105 mg, 2.496 mmol)을 THF/물/MeOH (1/1/1) (15 mL) 중 ((1r,3r)-메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11b (515 mg, 0.832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시켰다. 3 N HCl을 첨가하여 상기 용액을 산성화하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24 g, CH2Cl2/CH3OH: 100/0에서 98/2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1r,3r)-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화합물 11, 460 mg)을 제공하였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휄크® O1 (S,S) 5 μm 250 x 21.1 mm, 이동상: 58% CO2, 42% MeOH)를 통하여 분리하여, 에테르/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결정화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11A (121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11B (120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1: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92 - 2.04 (m, 2 H) 2.21 - 2.31 (m, 2 H) 2.57 - 2.62 (m, 1 H) 3.04 - 3.26 (m, 3 H) 3.63 (s, 3 H) 3.88 (br d, J=6.9 Hz, 2 H) 4.00 - 4.11 (m, 1 H) 4.47 - 4.58 (m, 1 H) 5.57 (d, J=8.8 Hz, 1 H) 5.78 (s, 1 H) 5.96 (br d, J=9.7 Hz, 2 H) 6.45 (br d, J=8.8 Hz, 1 H) 7.02 (br d, J=8.2 Hz, 1 H) 7.34 (d, J=8.2 Hz, 1 H) 7.45 (d, J=8.2 Hz, 2 H) 7.55 (d, J=8.5 Hz, 2 H) 8.04 (s, 1 H) 12.12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95분, MH+ 605
거울상 이성질체 11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94 - 2.03 (m, 2 H) 2.21 - 2.31 (m, 2 H) 2.55 - 2.62 (m, 1 H) 3.04 - 3.25 (m, 3 H) 3.62 (s, 3 H) 3.87 (d, J=7.3 Hz, 2 H) 4.04 (td, J=10.4, 6.9 Hz, 1 H) 4.52 (td, J=10.2, 6.3 Hz, 1 H) 5.57 (d, J=8.8 Hz, 1 H) 5.78 (t, J=1.9 Hz, 1 H) 5.94 (s, 1 H) 5.96 (s, 1 H) 6.45 (d, J=8.5 Hz, 1 H) 7.01 (dd, J=8.2, 1.6 Hz, 1 H) 7.33 (d, J=8.2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5 Hz, 2 H) 8.03 (s, 1 H) 12.12 (br s, 1 H)
LC/MS (방법 LC-C): Rt 3.08분, MH+ 605
[α]D 20: -43.3° (c 0.319, DMF)
키랄 SFC (방법 SFC-J): Rt 1.73분, MH+ 605,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11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92 - 2.02 (m, 2 H) 2.21 - 2.32 (m, 2 H) 2.55 - 2.62 (m, 1 H) 3.04 - 3.25 (m, 3 H) 3.62 (s, 3 H) 3.87 (d, J=6.9 Hz, 2 H) 4.05 (td, J=10.3, 7.1 Hz, 1 H) 4.52 (td, J=10.3, 6.5 Hz, 1 H) 5.57 (d, J=8.8 Hz, 1 H) 5.78 (t , J=1.9 Hz, 1 H) 5.94 (s, 1 H) 5.96 (s, 1 H) 6.45 (br d, J=8.8 Hz, 1 H) 7.01 (br d, J=8.2 Hz, 1 H) 7.33 (d, J=8.2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5 Hz, 2 H) 8.03 (s, 1 H) 12.16 (br s, 1 H)
LC/MS (방법 LC-C): Rt 3.08분, MH+ 605
[α]D 20: +45.5° (c 0.323, DMF)
키랄 SFC (방법 SFC-J): Rt 2.36분, MH+ 605, 키랄 순도 99.61%.
실시예 12 :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프로판산 (화합물 12)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2A12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28
중간체 12a의 합성:
1,4-디아자바이시클로[2.2.2]옥탄 (66 mg, 0.591 mmol)을 CH2Cl2 (20 mL) 중 3-메톡시-5-니트로페놀 [7145-49-5] (2.0 g, 11.825 mmol), 에틸아세틸렌카르복실레이트 (1.2 mL, 11.82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에 붓고, 층들을 경사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에틸 3-(3-메톡시-5-니트로페녹시)아크릴레이트 12a (3.22 g, E/Z 혼합물)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2b의 합성:
CH3OH (100 mL) 중 에틸 3-(3-메톡시-5-니트로페녹시)아크릴레이트 12a (3.2 g, 11.97 mmol) 및 Pd/C (10%) (2.5 g, 2.395 mmol)의 혼합물을 3 bar의 압력 하에 3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CH3OH로 헹구고, 합한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80 g, 헵탄/EtOAc (75/15))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에틸 3-(3-아미노-5-메톡시페녹시)프로파노에이트 12b (1.8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2c의 합성:
CH3CN (29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1.0 g, 2.301 mmol), 에틸 3-(3-아미노-5-메톡시페녹시)-프로파노에이트 12b (716 mg, 2.991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793 μL, 4.602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EtOAc로 녹였다. 유기 층을 1 N HCl 및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80 g, 헵탄/EtOAc (75/15))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프로판산 12c (660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2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2A 및 12B로의 키랄 분리:
0℃에서, LiOH 일수화물 (79 mg, 1.889 mmol)을 THF/물/MeOH (1/1/1) (15 mL) 중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프로판산 12c (560 mg, 0.944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시켰다. 3 N HCl을 첨가하여 상기 용액을 산성화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역상 (고정상: YMC-디스포팩(DispoPack) AT ODS-25: 120 g, 이동상: 구배: 75% NH4HCO3 (0.2%), 25% CH3CN으로부터 35% NH4HCO3 (0.2%), 65% CH3CN까지)을 통하여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프로판산 (화합물 12, 126 mg)을 제공하였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를 70 mg 배치에서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20 mm, 이동상: 65% CO2, 35% iPrOH (+0.3% iPrNH2)를 통하여 분리하여, CH3CN (2 mL)/물 (8 mL)의 혼합물에서의 냉동 건조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12A (30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12B (35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2: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2.56 (t, J=6.1 Hz, 2 H) 3.04 - 3.26 (m, 2 H) 3.61 (s, 3 H) 3.95 - 4.11 (m, 3 H) 4.43 - 4.61 (m, 1 H) 5.56 (d, J=8.6 Hz, 1 H) 5.74 (s, 1 H) 5.94 (br d, J=7.1 Hz, 2 H) 6.46 (d, J=9.1 Hz, 1 H) 7.00 (br d, J=8.1 Hz, 1 H) 7.33 (d, J=8.1 Hz, 1 H) 7.43 (d, J=8.1 Hz, 2 H) 7.55 (d, J=8.6 Hz, 2 H) 8.03 (s, 1 H)
LC/MS (방법 LC-C): Rt 2.84분, MH+ 565
거울상 이성질체 12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62 (br t, J=6.0 Hz, 2 H) 3.09 - 3.24 (m, 2 H) 3.62 (s, 3 H) 4.00 - 4.10 (m, 3 H) 4.47 - 4.57 (m, 1 H) 5.58 (d, J=8.8 Hz, 1 H) 5.75 (s, 1 H) 5.95 (br d, J=6.6 Hz, 2 H) 6.49 (br d, J=8.8 Hz, 1 H) 7.02 (br d, J=8.2 Hz, 1 H) 7.34 (d, J=8.2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5 Hz, 2 H) 8.04 (s, 1 H) 12.04 - 12.63 (m, 1 H)
LC/MS (방법 LC-C): Rt 2.83분, MH+ 565
[α]D 20: -47.3° (c 0.275, DMF)
키랄 SFC (방법 SFC-K): Rt 2.50분, MH+ 565,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12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58 - 2.67 (m, 2 H) 3.08 - 3.25 (m, 2 H) 3.62 (s, 3 H) 3.99 - 4.12 (m, 3 H) 4.52 (td, J=10.3, 6.1 Hz, 1 H) 5.58 (s, 1 H) 5.75 (s, 1 H) 5.95 (br d, J=6.6 Hz, 2 H) 6.50 (br s, 1 H) 7.02 (br d, J=7.9 Hz, 1 H) 7.34 (d, J=8.2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5 Hz, 2 H) 8.04 (s, 1 H) 12.35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83분, MH+ 565
[α]D 20: +41.8° (c 0.297, DMF)
키랄 SFC (방법 SFC-K): Rt 4.34분, MH+ 565, 키랄 순도 99.1%.
실시예 13 : 5-(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펜탄산 (화합물 13)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3A13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29
중간체 13a의 합성:
DMF (25 mL) 중 메틸 5-브로모-발레레이트[CAS 5454-83-1] (1.06 mL, 7.19 mmol)의 교반 용액에 3-아미노-5-메톡시페놀 [CAS 162155-27-3] (1.0 g, 7.19 mmol) 및 Cs2CO3 (4.68 g, 14.4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6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실온에 도달하게 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H2O (125 mL)에 부었다. 생성물을 CH2Cl2로 추출하였다 (2회).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100/0에서 50/50까지의 헵탄/EtOAc의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25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CH3CN과 함께 공동-증발시켰다. 생성물을 진공 하에 45℃에서 건조시켜 메틸 5-(3-아미노-5-메톡시페녹시)펜타노에이트13a (200 m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3b의 합성:
CH3CN (30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340 mg, 0.78 mmol), 메틸 5-(3-아미노-5-메톡시페녹시)펜타노에이트13a (198 mg, 0.78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70 μL, 1.56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 도달하게 하고, 물 (150 mL)에 부었다. 생성물을 Et2O로 추출하였다 (2회).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100/0/0에서 40/45/15까지의 헵탄/EtOAc/EtOH의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40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디옥산과 함께 공동-증발시켜 메틸 5-(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펜타노에이트 13b (475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3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3A 및 13B로의 분리:
물 중 1 M NaOH (1.96 mL, 1.96 mmol)를 디옥산 (5 mL) 중 메틸 5-(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펜타노에이트 13b (475 mg, 0.78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 (20 mL), 1 N HCl (2.1 mL)로 희석시켰다. 1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생성물을 2-Me-THF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100/0/0/0에서 40/45/14.7/0.3까지의 헵탄/EtOAc/EtOH/HOAc의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40 g)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대략 7.5 mL의 잔존 부피까지 증발시켜, 반응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EtOAc/헵탄 (1/3)으로 세척하고 (3회), 진공 하에 45℃에서 건조시켜 5-(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펜탄산 (화합물 13, 139 mg)을 라세미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화합물 13 (112 mg)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취용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디아셀 OD 20 x 250 mm, 이동상: CO2, EtOH + 0.4% iPrNH2)를 통하여 분리하였다. 첫 번째 용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CH3CN과 함께 공동-증발시켰다. 잔사를 CH3CN (1.5 mL)과 물 (1 mL)의 용매 혼합물로부터 동결건조시켜 거울상 이성질체 13A (39 mg)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용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CH3CN과 함께 공동-증발시켰다. 잔사를 CH3CN (1.75 mL) 및 물 (1.25 mL)로부터 동결건조시켜 거울상 이성질체 13B (33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3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55 - 1.69 (m, 4 H) 2.25 (t, J=7.0 Hz, 2 H) 3.07 - 3.26 (m, 2 H) 3.62 (s, 3 H) 3.83 (t, J=5.9 Hz, 2 H) 4.05 (td, J=10.4, 7.2 Hz, 1 H) 4.52 (td, J=10.3, 6.4 Hz, 1 H) 5.56 (d, J=8.8 Hz, 1 H) 5.75 (t, J=2.0 Hz, 1 H) 5.91 - 5.97 (m, 2 H) 6.42 (d, J=8.8 Hz, 1 H) 7.01 (dd, J=8.3, 1.7 Hz, 1 H) 7.33 (d, J=8.1 Hz, 1 H) 7.38 - 7.48 (m, 2 H) 7.55 (d, J=8.6 Hz, 2 H) 8.03 (br s, 1 H) 12.01 (s, 1 H)
LC/MS (방법 LC-A): Rt 1.13분, MH+ 593
거울상 이성질체 13A: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55 - 1.69 (m, 4 H) 2.24 (t, J=7.0 Hz, 2 H) 3.07 - 3.26 (m, 2 H) 3.62 (s, 3 H) 3.83 (t, J=5.9 Hz, 2 H) 4.05 (td, J=10.5, 7.3 Hz, 1 H) 4.52 (td, J=10.3, 6.4 Hz, 1 H) 5.56 (d, J=8.8 Hz, 1 H) 5.75 (t, J=2.1 Hz, 1 H) 5.92 - 5.96 (m, 2 H) 6.42 (d, J=8.6 Hz, 1 H) 7.01 (dd, J=8.1, 1.5 Hz, 1 H) 7.33 (d, J=8.1 Hz, 1 H) 7.39 - 7.48 (m, 2 H) 7.55 (d, J=8.6 Hz, 2 H) 8.03 (br s, 1 H) 12.02 (br s, 1 H)
LC/MS (방법 LC-B): Rt 2.08분, MH+ 593
[α]D 20: -48.6° (c 0.43, DMF)
키랄 SFC (방법 SFC-D): Rt 5.27분, MH+ 593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13B: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55 - 1.69 (m, 4 H) 2.24 (t, J=7.2 Hz, 2 H) 3.04 - 3.25 (m, 2 H) 3.62 (s, 3 H) 3.83 (t, J=5.9 Hz, 2 H) 4.05 (td, J=10.4, 7.2 Hz, 1 H) 4.52 (td, J=10.3, 6.2 Hz, 1 H) 5.56 (d, J=8.8 Hz, 1 H) 5.75 (t, J=2.0 Hz, 1 H) 5.92 - 5.96 (m, 2 H) 6.42 (d, J=8.8 Hz, 1 H) 7.01 (dd, J=8.1, 1.5 Hz, 1 H) 7.33 (d, J=8.1 Hz, 1 H) 7.42 - 7.46 (m, 2 H) 7.55 (d, J=8.6 Hz, 2 H) 8.03 (br s, 1 H) 12.00 (br s, 1 H)
LC/MS (방법 LC-B): Rt 2.08분, MH+ 593
[α]D 20: +48.3° (c 0.42, DMF)
키랄 SFC (방법 SFC-D): Rt 6.94분, MH+ 593 키랄 순도 100%.
실시예 14 : 5-(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닐)펜탄산 (화합물 14)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4A14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30
중간체 14a의 합성:
N2 분위기 하에 밀봉 튜브에서, PdCl2(PPh3)2 (1.5 g, 2.2 mmol)을 CH3CN (45 ml) 및 트리에틸아민 (12 mL) 중 1-브로모-3-메톡시-5-니트로벤젠 [CAS 16618-67-0] (5.0 g, 22 mmol), 메틸 아크릴레이트 (6.0 mL, 67 mmol)의 탈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7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120 g, 헵탄/EtOAc 구배: 90/10으로부터 75/25까지)에 의해 정제하여 (E)-메틸 3-(3-메톡시-5-니트로페닐)아크릴레이트 14a (2.0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4b의 합성:
N2 하에 0℃에서, 디이소부틸 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CH2Cl2 중 1 M) (20 mL, 20 mmol)를 CH2Cl2 (65 ml) 중 (E)-메틸 3-(3-메톡시-5-니트로페닐)아크릴레이트 14a (2.4 g, 10.12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까지 서서히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HCl (3 N)로 켄칭하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E)-3-(3-메톡시-5-니트로페닐)프로프-2-엔-1-올 14b (2.1 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14c의 합성:
N2 하에 0℃에서, 데스-마틴(Dess-Martin) 퍼요오디난 (24 mL, 11.04 mmol)을 CH2Cl2 (64 mL) 중 (E)-3-(3-메톡시-5-니트로페닐)프로프-2-엔-1-올 14b (2.1 g, 10.04 mmol)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CH2Cl2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건조상태가 될 때까지 증발시켜 (E)-3-(3-메톡시-5-니트로페닐)아크릴알데히드 14c (2.5 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14d의 합성:
N2 하에, (카르브에톡시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 (5.0 g, 14.48 mmol)을 CH2Cl2 (62 mL) 중 (E)-3-(3-메톡시-5-니트로페닐)아크릴알데히드 14c (2.5 g, 9.65 mmol, 80%의 순도)의 혼합물에 한꺼번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80 g, 헵탄/EtOAc 구배: 85/15로부터 60/30까지)에 의해 정제하여(2E,4E)-에틸 5-(3-메톡시-5-니트로페닐)펜타-2,4-디에노에이트 14d (2.1 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14e의 합성:
EtOH (40 mL) 및 EtOAc (6.7 mL) 중 (2E,4E)-에틸 5-(3-메톡시-5-니트로페닐)펜타-2,4-디에노에이트 14d (1.9 g, 6.85 mmol)의 혼합물을 촉매로서 Pd/C (10%) (0.73 g, 0.69 mmol)를 이용하여 대기압의 H2 하에 18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촉매를 제거하였다. 셀라이트®를 EtOAc로 세척하고, 합한 여과액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촉매로서 Pd/C (10%) (0.73 g, 0.69 mmol)를 이용하여 대기압의 H2 하에 72시간 동안 EtOH (40 mL) 및 EtOAc (6.7 mL)에서 다시 수소화하였다.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촉매를 제거하였다. 셀라이트®를 EtOAc로 세척하고, 합한 여과액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에틸 5-(3-아미노-5-메톡시페닐)펜타노에이트 14e (1.4 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14f의 합성:
CH3CN (19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1.6 g, 3.71 mmol), 에틸 5-(3-아미노-5-메톡시페닐)펜타노에이트 14e (1.4 g, 5.57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3 mL, 7.43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녹이고, 0.5 N HCl (2회) 및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40 g, 헵탄/EtOAc: 85/15로부터 75/25까지)에 의해 수행하여 에틸 5-(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닐)펜타노에이트 14f (1.8 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화합물 14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4A 및 14B로의 키랄 분리:
물 (16 mL) 중 LiOH 일수화물 (0.62 g, 15 mmol)의 용액을 THF (36 mL) 중 에틸 5-(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닐)펜타노에이트 14f (1.8 g, 2.9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LiOH 일수화물 (0.62 g, 15 mmol)을 다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용액을 HCl (3 N)로 산성화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40 g, CH2Cl2/MeOH: 100/0에서 98/2까지)에 의해 정제하여 5-(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닐)펜탄산 (화합물 14, 920 mg)을 제공하였다.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A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55% CO2, 45% EtOH)를 통하여 분리하여, 펜탄/Et2O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14A (248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14B (263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4: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47 (br s, 4 H) 2.15 - 2.22 (m, 2 H) 2.34 - 2.43 (m, 2 H) 3.07 - 3.26 (m, 2 H) 3.62 (s, 3 H) 3.92 - 4.14 (m, 1 H) 4.40 - 4.64 (m, 1 H) 5.56 (br d, J=8.83 Hz, 1 H) 6.00 (s, 1 H) 6.13 (br s, 1 H) 6.20 (s, 1 H) 6.37 (br d, J=8.51 Hz, 1 H) 7.01 (br d, J=7.88 Hz, 1 H) 7.33 (br d, J=7.88 Hz, 1 H) 7.44 (br d, J=8.20 Hz, 2 H) 7.56 (br d, J=8.20 Hz, 2 H) 8.04 (br s, 1 H) 12.01 (br s, 1 H)
LC/MS (방법 LC-C): Rt 3.18분, MH+ 577
거울상 이성질체 14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40 - 1.61 (m, 4 H) 2.14 - 2.24 (m, 2 H) 2.33 - 2.42 (m, 2 H) 3.06 - 3.23 (m, 2 H) 3.62 (s, 3 H) 3.92 - 4.18 (m, 1 H) 4.40 - 4.59 (m, 1 H) 5.40 - 5.69 (m, 1 H) 6.00 (s, 1 H) 6.13 (s, 1 H) 6.20 (s, 1 H) 6.30 - 6.47 (m, 1 H) 6.91 - 7.12 (m, 1 H) 7.28 - 7.38 (m, 1 H) 7.44 (d, J=8.20 Hz, 2 H) 7.56 (d, J=8.51 Hz, 2 H) 7.95 - 8.29 (m, 1 H) 11.99 (br s, 1 H)
LC/MS (방법 LC-C): Rt 3.21분, MH+ 577
[α]D 20: +55.8° (c 0.312, DMF)
키랄 SFC (방법 SFC-L): Rt 1.32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14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40 - 1.53 (m, 4 H) 2.15 - 2.25 (m, 2 H) 2.32 - 2.44 (m, 2 H) 3.00 - 3.27 (m, 2 H) 3.62 (s, 3 H) 3.95 - 4.18 (m, 1 H) 4.44 - 4.79 (m, 1 H) 5.57 (d, J=8.83 Hz, 1 H) 6.00 (s, 1 H) 6.13 (s, 1 H) 6.20 (s, 1 H) 6.37 (br d, J=8.83 Hz, 1 H) 7.02 (br d, J=7.25 Hz, 1 H) 7.34 (d, J=8.20 Hz, 1 H) 7.44 (d, J=8.20 Hz, 2 H) 7.56 (d, J=8.51 Hz, 2 H) 8.04 (s, 1 H) 12.00 (m, 1 H)
LC/MS (방법 LC-C): Rt 3.20분, MH+ 577
[α]D 20: -53.7° (c 0.326, DMF)
키랄 SFC (방법 SFC-L): Rt 1.74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실시예 15 :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닐)부탄산 (화합물 15)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5A15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31
중간체 15a의 합성:
4-에톡시-4-옥소부틸징크 브로마이드 (5.2 mL, 2.6 mmol) 및 Pd2(dba)3 (0.20 g, 0.22 mmol)를 THF (8.8 mL) 중 1-브로모-3-메톡시-5-니트로벤젠 [CAS 16618-67-0] (0.5 g, 2.2 mmol), 트리-tert-부틸포스핀 (87 mg, 0.43 mmol) 및 Cs2CO3 (1.4 g, 4.3 mmol)의 탈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N2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80 g, 헵탄/EtOAc: 95/5로부터 80/20까지)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4-(3-메톡시-5-니트로페닐)부타노에이트 15a (370 m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5b의 합성:
EtOH (8.1 mL) 중 에틸 4-(3-메톡시-5-니트로페닐)부타노에이트 15a (0.37 g, 1.38 mmol)의 혼합물을 Pd/C (10%) (0.15 g, 0.14 mmol)를 촉매로 이용하여 대기압의 H2 하에 18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촉매를 제거하였다. 셀라이트®를 EtOAc로 세척하고, 여과액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에틸 4-(3-아미노-5-메톡시페닐)부타노에이트 15b (350 m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15c의 합성:
CH3CN (5.1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0.43 g, 0.98 mmol), 에틸 4-(3-아미노-5-메톡시페닐)부타노에이트 15b (0.35 g, 1.48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34 mL, 2.0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녹이고, 0.5 N HCl (2회) 및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40 g, 헵탄/EtOAc: 85/15로부터 75/25까지)에 의해 수행하여 에틸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닐)부타노에이트 15c (340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5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5A 및 15B로의 키랄 분리:
N2 하에, 물 (3.1 mL) 중 LiOH 일수화물 (0.12 g, 2.9 mmol)의 용액을 THF (7 mL) 중 에틸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닐)부타노에이트 15c (0.34 g, 0.5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용액을 HCl (3 N)로 산성화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24 g, CH2Cl2/MeOH: 100/0에서 98/2까지)에 의해 정제하여, Et2O로부터의 고체화 후, 4-(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닐)부탄산 (화합물 15, 285 mg)을 제공하였다.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65% CO2, 35% MeOH)를 통하여 분리하여, Et2O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15A (75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15B (85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5: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66 - 1.86 (m, 2 H) 2.11 - 2.26 (m, 2 H) 2.32 - 2.44 (m, 2 H) 3.03 - 3.26 (m, 2 H) 3.62 (s, 3 H) 4.04 (td, J=10.32, 7.09 Hz, 1 H) 4.52 (td, J=10.32, 6.15 Hz, 1 H) 5.56 (d, J=8.83 Hz, 1 H) 6.00 (s, 1 H) 6.14 (s, 1 H) 6.21 (s, 1 H) 6.38 (d, J=8.83 Hz, 1 H) 7.01 (dd, J=8.20, 1.26 Hz, 1 H) 7.33 (d, J=8.20 Hz, 1 H) 7.38 - 7.50 (m, 2 H) 7.56 (d, J=8.20 Hz, 2 H) 8.03 (s, 1 H) 12.01 (s, 1 H)
LC/MS (방법 LC-D): Rt 2.96분, MH+ 563
거울상 이성질체 15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56 - 1.87 (m, 2 H) 2.11 - 2.21 (m, 2 H) 2.35 - 2.42 (m, 2 H) 3.02 - 3.22 (m, 2 H) 3.62 (s, 3 H) 3.97 - 4.18 (m, 1 H) 4.39 - 4.61 (m, 1 H) 5.56 (d, J=8.59 Hz, 1 H) 5.99 (s, 1 H) 6.13 (s, 1 H) 6.20 (s, 1 H) 6.37 (br d, J=9.09 Hz, 1 H) 7.00 (br d, J=8.59 Hz, 1 H) 7.33 (d, J=8.08 Hz, 1 H) 7.43 (d, J=8.59 Hz, 2 H) 7.55 (d, J=8.59 Hz, 2 H) 8.03 (s, 1 H) 11.99 (br s, 1 H)
LC/MS (방법 LC-C): Rt 3.08분, MH+ 563
[α]D 20: -59.0° (c 0.293, DMF)
키랄 SFC (방법 SFC-M): Rt 2.19분, MH+ 없음, 키랄 순도 99.31%.
거울상 이성질체 15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60 - 1.86 (m, 2 H) 2.10 - 2.21 (m, 2 H) 2.35 - 2.42 (m, 2 H) 3.02 - 3.23 (m, 2 H) 3.62 (s, 3 H) 3.82 - 4.26 (m, 1 H) 4.36 - 4.71 (m, 1 H) 5.56 (d, J=9.09 Hz, 1 H) 5.99 (s, 1 H) 6.13 (s, 1 H) 6.20 (s, 1 H) 6.37 (d, J=9.09 Hz, 1 H) 7.00 (br d, J=8.59 Hz, 1 H) 7.33 (d, J=8.08 Hz, 1 H) 7.43 (d, J=8.59 Hz, 2 H) 7.55 (d, J=8.59 Hz, 2 H) 8.03 (s, 1 H) 11.97 (br s, 1 H)
LC/MS (방법 LC-C): Rt 3.08분, MH+ 563
[α]D 20: +48.0° (c 0.225, DMF)
키랄 SFC (방법 SFC-M): Rt 3.73분, MH+ 없음, 키랄 순도 99.61%.
실시예 16 :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벤질)옥시)프로판산 (화합물 16)의 합성
Figure pct00032
중간체 16a의 합성: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6.1 g, 40.48 mmol)을 실온에서 CH2Cl2 (130 mL) 중 (3-아미노-5-메톡시페닐)메탄올 [1261566-52-2] (3.1 g, 20.24 mmol) 및 이미다졸 (4.13 g, 60.7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물로 켄칭하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120 g, 헵탄/EtOAc: 85/15로부터 65/35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메톡시아닐린 16a (3.4 g)을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16b의 합성:
CH3CN (66 mL) 중 벤질 브로마이드 (3.8 mL, 31.8 mmol),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메톡시아닐린 16a (3.4 g, 12.71 mmol), K2CO3 (5.27 g, 38,14 mmol) 및 DMAP (155 mg, 1.27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120 g, 헵탄/EtOAc: 100/0으로부터 90/10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N,N-디벤질-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메톡시아닐린 16b (6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6c의 합성:
TBAF (THF 중 1 M) (15.3 mL, 15.3 mmol)를 Me-THF (64 mL) 중 N,N-디벤질-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메톡시아닐린 16b (5.69 g, 12.7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희석시키고, 염수로 3회 및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120 g, 헵탄/EtOAc: 85/15로부터 75/25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3-(디벤질아미노)-5-메톡시페닐)메탄올 16 c (4.1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6d의 합성:
에틸 3-브로모프로피오네이트 (0.126 mL, 0.99 mmol)를 DMF (7.0 ml) 중 (3-(디벤질아미노)-5-메톡시페닐)메탄올 16c (300 mg, 0.90 mmol), NaH (광유 중 60% 분산물) (40 mg, 0.99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EtOAc를 이용한 희석 후, 조 물질을 염수로 세척하였다 (5회).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24 g, 헵탄/EtOAc: 85/15로부터 75/25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에틸 3-((3-(디벤질아미노)-5-메톡시벤질)옥시)프로파노에이트 16d (97 m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6e의 합성:
EtOH (1.3 mL) 및 EtOAc (0.66 mL) 중 에틸 3-((3-(디벤질아미노)-5-메톡시벤질)옥시)프로파노에이트 16d (97 mg, 0.22 mmol)의 혼합물을 촉매로서 Pd/C (10%) (24 mg, 0.022 mmol)를 이용하여 7 bar의 압력의 H2 하에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촉매를 제거하였다. 셀라이트®를 EtOAc로 세척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에틸 3-((3-아미노-5-메톡시벤질)옥시)-프로파노에이트 16e (52 m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6f의 합성:
CH3CN (0.89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74 mg, 0.17 mmol), 에틸 3-((3-아미노-5-메톡시벤질)옥시)-프로파노에이트 16e (52 mg, 0.21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59 μL, 0.34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12 g, 헵탄/EtOAc: 85/15로부터 75/25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에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벤질)옥시)프로파노에이트 16f (48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6의 합성:
물 (0.43 mL) 중 LiOH 일수화물 (33 mg, 0.79 mmol)의 용액을 THF (0.97 mL) 중 에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벤질)옥시)프로파노에이트 16f (48 mg, 0.07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용액을 HCl (3 N)로 산성화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12 g, CH2Cl2/MeOH: 100/0에서 98/2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두 번째 정제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고정상: YMC-악투스(actus) 트리아트(Triart)-C18 10 μm 30 x 150 mm, 이동상: 구배: 65% NH4HCO3 (0.2%), 35% CH3CN으로부터 25% NH4HCO3 (0.2%), 75% CH3CN까지)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CH3CN/물에서의 냉동 건조 후,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벤질)옥시)프로판산 (화합물 16, 5 mg)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16: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2.34 - 2.42 (m, 2 H) 3.03 - 3.23 (m, 2 H) 3.49 - 3.59 (m, 2 H) 3.63 (s, 3 H) 3.97 - 4.21 (m, 2 H) 4.27 (s, 2 H) 4.49 - 4.57 (m, 1 H) 5.58 (d, J=8.59 Hz, 1 H) 6.11 (s, 1 H) 6.21 (s, 1 H) 6.33 (s, 1 H) 6.48 (br d, J=8.59 Hz, 1 H) 7.00 (br d, J=8.59 Hz, 1 H) 7.33 (d, J=8.08 Hz, 1 H) 7.43 (d, J=8.59 Hz, 2 H) 7.56 (d, J=8.59 Hz, 2 H) 8.03 (s, 1 H)
LC/MS (방법 LC-C): Rt 2.84분, MH+ 579
실시예 17 : 4-(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탄산 (화합물 17)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17A, 17B, 17C17D로의 분리.
Figure pct00033
중간체 17a의 합성:
Tert-부틸 4-브로모-2-메틸부타노에이트 [CAS 1210410-44-8 (3.9 g, 16.446 mmol)을 DMF (25 mL) 중 3-메톡시-5-니트로페놀 [7145-49-5] (2.78 g, 16.446 mmol) 및 K2CO3 (3.409 g, 24.669 mmol)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7시간 동안 및 6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0℃까지 냉각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물 및 얼음으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조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45 μm, 80 g, 헵탄/EtOAc (75/25))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tert-부틸 4-(3-메톡시-5-니트로페녹시)-2-메틸부타노에이트 17a (2.59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7b의 합성:
MeOH (50 mL) 중 tert-부틸 4-(3-메톡시-5-니트로페녹시)-2-메틸부타노에이트 17a (2.9 g, 8.913 mmol)의 혼합물을 촉매로서 Pd/C (10%) (1.52 g, 1.426 mmol)를 이용하여 대기압의 H2 하에 4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촉매를 제거하였다. 셀라이트®를 EtOAc로 세척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45 μm, 40 g, 헵탄/EtOAc (85/15))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용매를 건조상태가 될 때까지 증발시켜 tert-부틸 4-(3-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타노에이트 17b (2.29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7c의 합성:
DMF (40 mL) 중 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 [CAS 959235-95-1] (2.5 g, 12.3 mmol), 2-(4-클로로-2-메톡시페닐)아세트산 [CAS 170737-95-8] (2.47 g, 12.3 mmol), HATU (7 g, 18.5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6.1 mL, 36.9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 및 EtOAc를 첨가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 (15 내지 40 μm, 80 g, 헵탄/EtOAc (85/15))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농축시켜, CH3CN/헵탄으로부터의 결정화 후, 2-(4-클로로-2-메톡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7c (4.3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17d의 합성:
N2 유동 하에, -78℃에서, THF 중 1 M LiHMDS (19.7 mL, 19.7 mmol)를 THF (50 mL) 중 2-(4-클로로-2-메톡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7c (3.8 g, 9.8 mmol)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TMSCl (1.5 mL, 11.8 mmol)을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78℃에서 15분 동안 교반시키고, THF (35 mL) 중 N-브로모숙신이미드 (1.9 g, 10.8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78℃에서의 2시간 동안의 교반 후, 반응물을 포화 NH4Cl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2-브로모-2-(4-클로로-2-메톡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7d (4.5 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17e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17f, 17g, 17h 및 17i로의 분리:
CH3CN (70 mL) 중 2-브로모-2-(4-클로로-2-메톡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7d (2 g, 4.304 mmol), tert-부틸 4-(3-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타노에이트 17b (763 mg, 2.583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5 mL, 8.608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물 및 얼음으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5~30 μm, 40 g, 헵탄/EtOAc (80/20))에 의해 수행하였다. 두 번째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5~30 μm, 40 g, 헵탄/EtOAc (85/15))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tert-부틸 4-(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타노에이트 17e (787 mg)를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들을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A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83% CO2, 17% EtOH)를 통하여 분리하여 17f17g의 혼합물 (348 mg), 및 순수한 17h (164 mg) 및 17i (184 mg)를 제공하였다. 17f17g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A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88% CO2, 12% EtOH)를 통하여 추가로 분리하여 17f (145 mg) 및 17g (140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7의 합성:
HCl (디옥산 중 4 M) (3 mL) 중 tert-부틸 4-(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타노에이트 17e (180 mg, 0.265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5 mL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고, 용액을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12 g, CH2Cl2/ MeOH: 99/1로부터 96/4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m = 115 mg). 잔사를 펜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및 몇 드롭의 CH3CN에서 고체화하여 4-(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탄산 (화합물 17, 75 mg)을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 17A의 합성:
HCl (디옥산 중 4 M) (5 mL) 중 17f (145 mg, 0.214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5 mL의 Et3N을 첨가하고, 용액을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12 g, CH2Cl2/ MeOH: 99.5/0.5로부터 95/5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m = 93 mg). 잔사를 펜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및 몇 드롭의 CH3CN으로부터 고체화하여 입체이성질체 17A (64 mg)를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 17B의 합성:
HCl (디옥산 중 4 M) (5 mL) 중 17g (135 mg, 0.199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5 mL의 Et3N을 첨가하고, 용액을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12 g, CH2Cl2/ MeOH: 99.5/0.5로부터 95/5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m = 65 mg). 잔사를 펜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및 몇 드롭의 CH3CN으로부터 고체화하여 입체이성질체 17B (38 mg)를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 17C의 합성:
HCl (디옥산 중 4 M) (5 mL) 중 17h (162 mg, 0.239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5 mL의 Et3N을 첨가하고, 용액을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12 g, CH2Cl2/ MeOH: 99.5/0.5로부터 95/5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m = 85 mg). 잔사를 펜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및 몇 드롭의 CH3CN으로부터 고체화하여 입체이성질체 17C (68 mg)를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 17D의 합성:
HCl (디옥산 중 4 M) (5 mL) 중 17i (179 mg, 0.264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5 mL의 Et3N을 첨가하고, 용액을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24 g, CH2Cl2/ MeOH: 99.5/0.5로부터 95/5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m = 98 mg). 잔사를 펜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및 몇 드롭의 CH3CN으로부터 고체화하여 입체이성질체 17D (54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7: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11 (br d, J=6.62 Hz, 3 H) 1.54 - 1.82 (m, 1 H) 1.82 - 2.07 (m, 1 H) 3.10 - 3.22 (m, 2 H) 3.62 (s, 3 H) 3.77 - 3.87 (m, 2 H) 3.91 (s, 3 H) 3.96 - 4.18 (m, 1 H) 4.30 - 4.43 (m, 1 H) 5.60 (br d, J=8.20 Hz, 1 H) 5.76 (br s, 1 H) 5.87 (s 1 H) 5.88 (s, 1H) 6.46 (br d, J=8.51 Hz, 1 H) 6.98 - 7.6 (m, 2 H) 7.15 (br s, 1 H) 7.28 - 7.44 (m, 2 H) 8.03 (br s, 1 H) 12.20 (br s, 1 H) (1H: DMSO에서 CH CO2H의 실종)
LC/MS (방법 LC-C): Rt 3.16분, MH+ 623
입체이성질체 17A: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10 (br d, J=7.07 Hz, 3 H) 1.59 - 1.82 (m, 1 H) 1.82 - 2.04 (m, 1 H) 3.04 - 3.24 (m, 2 H) 3.61 (s, 3 H) 3.71 - 3.87 (m, 2 H) 3.90 (s, 3 H) 3.96 - 4.21 (m, 1 H) 4.32 - 4.56 (m, 1 H) 5.59 (br d, J=8.59 Hz, 1 H) 5.75 (s, 1 H) 5.85 (s, 1 H) 5.87 (s, 1H) 6.44 (br d, J=8.59 Hz, 1 H) 6.98 - 7.05 (m, 2 H) 7.14 (s, 1 H) 7.22 - 7.53 (m, 2 H) 8.02 (br s, 1 H) 12.19 (br s, 1 H) (1H: DMSO에서 CH CO2H의 실종)
LC/MS (방법 LC-D): Rt 3.07분, MH+ 623
[α]D 20: -18.4° (c 0.305, DMF)
키랄 SFC (방법 SFC-N): Rt 4.75분, MH+ 623, 키랄 순도 99.3%.
입체이성질체 17B: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09 (br d, J=6.57 Hz, 3 H) 1.64 - 1.83 (m, 1 H) 1.83 - 2.09 (m, 1 H) 3.00 - 3.23 (m, 2 H) 3.61 (s, 3 H) 3.68 - 3.86 (m, 2 H) 3.90 (m, 3 H) 3.96 - 4.21 (m, 1 H) 4.26 - 4.56 (m, 1 H) 5.59 (br d, J=8.08 Hz, 1 H) 5.75 (br s, 1 H) 5.86 (s, 1H) 5.87 (s, 1 H) 6.44 (br d, J=8.59 Hz, 1 H) 6.97 - 7.06 (m, 2 H) 7.14 (s, 1 H) 7.26 - 7.34 (m, 2 H) 8.02 (br s, 1 H) 12.20 (br s, 1 H) (1H: DMSO에서 CH CO2H의 실종)
LC/MS (방법 LC-D): Rt 3.03분, MH+ 623
[α]D 20: -51.0° (c 0.298, DMF)
키랄 SFC (방법 SFC-N): Rt 5.90분, MH+ 623, 키랄 순도 97.94%.
입체이성질체 17C: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09 (d, J=6.57 Hz, 3 H) 1.61 - 1.84 (m, 1 H) 1.88 - 2.02 (m, 1 H) 3.07 - 3.26 (m, 2 H) 3.61 (s, 3 H) 3.76 - 3.88 (m, 2 H) 3.90 (s, 3 H) 3.97 - 4.18 (m, 1 H) 4.27 - 4.45 (m, 1 H) 5.59 (br d, J=8.59 Hz, 1 H) 5.75 (s, 1 H) 5.86 (br s, 1 H) 5.87 (br s, 1 H) 6.39 - 6.49 (m, 1 H) 6.97 - 7.02 (m, 1 H) 7.02 - 7.05 (m, 1 H) 7.14 (d, J=2.02 Hz, 1 H) 7.29 - 7.32 (m, 1 H) 7.32 - 7.37 (m, 1 H) 8.02 (s, 1 H) 12.19 (br s, 1 H) (1H: DMSO에서 CH CO2H의 실종)
LC/MS (방법 LC-C): Rt 3.16분, MH+ 623
[α]D 20: +41.6° (c 0.257, DMF)
키랄 SFC (방법 SFC-N): Rt 6.86분, MH+ 623, 키랄 순도 98.89%.
입체이성질체 17D: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11 (d, J=6.94 Hz, 3 H) 1.70 (dq, J=13.44, 6.55 Hz, 1 H) 1.97 (dq, J=13.64, 6.80 Hz, 1 H) 3.09 -3.26 (m, 2 H) 3.62 (s, 3 H) 3.85 (br t, J=6.31 Hz, 2 H) 3.91 (s, 3 H) 3.97 - 4.09 (m, 1 H) 4.31 - 4.47 (m, 1 H) 5.60 (br d, J=8.51 Hz, 1 H) 5.76 (s, 1 H) 5.86 (br s, 1 H) 5.88 (br s, 1 H) 6.45 (br d, J=8.51 Hz, 1 H) 7.00 - 7.08 (m, 2 H) 7.15 (d, J=1.26 Hz, 1 H) 7.32 (d, J=8.20 Hz, 1 H) 7.34 (br d, J=8.20 Hz, 1 H) 8.03 (br s, 1 H) 12.18 (br s, 1 H) (1H: DMSO에서 CH CO2H의 실종)
LC/MS (방법 LC-C): Rt 3.15분, MH+ 623
[α]D 20: +15.8° (c 0.297, DMF)
키랄 SFC (방법 SFC-N): Rt 8.14분, MH+ 623, 키랄 순도 98.6%.
실시예 18 : 4-(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탄산 (화합물 18)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8A18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34
중간체 18a의 합성:
CH3CN (6 mL) 중 2-브로모-2-(4-클로로-2-메톡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7d (800 mg, 1.291 mmol), 메틸 4-(3-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타노에이트 2a (518 mg, 1.937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45 μL, 2.583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4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건조상태까지 농축시켰다. 잔사를 EtOAc로 녹이고, 1 N HCl (2회), 및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켜 메틸 4-(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타노에이트 18a (950 m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화합물 18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18A 및 18B로의 키랄 분리:
0℃에서, LiOH 일수화물 (184 mg, 4.38 mmol)을 THF/MeOH/물 (1/1/1) (30 mL) 중 메틸 4-(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타노에이트 18a (950 mg, 1.459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및 그 후 6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수성 층을 3 N HCl을 이용하여 pH 5~6까지 서서히 산성화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40 g, CH2Cl2/CH3OH: 100/0으로부터 99/1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m = 350 mg). 적은 일부의 잔사를 Et2O/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하였다.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고, 건조시켜 4-(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탄산 (화합물 18, 25 mg)을 제공하였다. 남아 있는 양 (290 mg)을 키랄 분리에 사용하였다.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75% CO2, 25% MeOH)를 통하여 분리하여, 헵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18A (68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18B (70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8: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14 (d, J=2.2 Hz, 6 H) 1.87 (t, J=7.1 Hz, 2 H) 3.09 - 3.26 (m, 2 H) 3.61 (s, 3 H) 3.80 - 3.88 (m, 2 H) 3.90 (s, 3 H) 3.98 - 4.07 (m, 1 H) 4.33 - 4.42 (m, 1 H) 5.60 (d, J=8.5 Hz, 1 H) 5.74 (s, 1 H) 5.85 (s, 1 H) 5.87 (s, 1 H) 6.44 (d, J=8.5 Hz, 1 H) 6.98 - 7.06 (m, 2 H) 7.15 (d, J=1.6 Hz, 1 H) 7.33 (dd, J=11.7, 8.2 Hz, 2 H) 8.03 (s, 1 H) 12.23 (br s, 1 H)
LC/MS (방법 LC-C): Rt 3.40분, MH+ 637
MP = 138℃
거울상 이성질체 18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14 (d, J=2.2 Hz, 6 H) 1.87 (br t, J=7.1 Hz, 2 H) 3.09 - 3.25 (m, 2 H) 3.61 (s, 3 H) 3.81 - 3.87 (m, 2 H) 3.90 (s, 3 H) 3.98 - 4.07 (m, 1 H) 4.33 - 4.42 (m, 1 H) 5.59 (d, J=8.5 Hz, 1 H) 5.74 (s, 1 H) 5.84 (s, 1 H) 5.87 (s, 1 H) 6.44 (br d, J=8.5 Hz, 1 H) 6.98 - 7.06 (m, 2 H) 7.14 (d, J=1.9 Hz, 1 H) 7.33 (dd, J=10.7, 8.5 Hz, 2 H) 8.02 (s, 1 H) 11.94 - 12.35 (m, 1 H)
LC/MS (방법 LC-C): Rt 3.40분, MH+ 637
[α]D 20: -30.2° (c 0.315, DMF)
키랄 SFC (방법 SFC-O): Rt 1.31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18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13 (d, J=2.5 Hz, 6 H) 1.87 (t, J=7.3 Hz, 2 H) 3.10 - 3.25 (m, 2 H) 3.61 (s, 3 H) 3.80 - 3.87 (m, 2 H) 3.90 (s, 3 H) 4.02 (td, J=10.2, 7.1 Hz, 1 H) 4.33 - 4.41 (m, 1 H) 5.59 (d, J=8.8 Hz, 1 H) 5.73 - 5.76 (m, 1 H) 5.84 (s, 1 H) 5.87 (s, 1 H) 6.44 (d, J=8.5 Hz, 1 H) 6.97 - 7.08 (m, 2 H) 7.14 (d, J=1.9 Hz, 1 H) 7.33 (dd, J=11.2, 8.4 Hz, 2 H) 8.02 (s, 1 H) 11.92 - 12.44 (m, 1 H)
LC/MS (방법 LC-C): Rt 3.40분, MH+ 637
[α]D 20: +28.0° (c 0.354, DMF)
키랄 SFC (방법 SFC-O): Rt 1.60분, MH+ 없음, 키랄 순도 99.45%.
실시예 19A : (1R*,2R*)-2-((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19A)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19AA19AB로의 분리.
Figure pct00035
중간체 19a의 합성:
CH3CN (10 mL) 중 2-브로모-2-(4-클로로-2-메톡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7d (0.37 g, 0.796 mmol), (1R*,2R*)-메틸 2-((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테이트 6d (0.317 g, 1.194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74 mL, 1.593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반응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물 및 얼음으로 희석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상기 화합물을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5~30 μm, 24 g, 헵탄/EtOAc (80/20))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1R*,2R*)-메틸 2-((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19a (306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9A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19AA 19AB로의 분리:
물 (5 mL) 중 LiOH 일수화물 (77 mg, 1.826 mmol)의 용액을 THF (5 mL) 중 (1R*,2R*)-메틸 2-((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19a (237 mg, 0.36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화합물을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45 μm, 24 g, CH2Cl2/MeOH: 99.5/0.5에서 98/2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1R*,2R*)-2-((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19A, 170 mg)을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들을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65% CO2, 35% MeOH)를 통하여 분리하여, CH3CN/디이소프로필 에테르/헵탄으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19AA (67 mg) 및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19AB (59 mg)를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 19AA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0.85 -0.95 (m, 1 H) 0.99 - 1.08 (m, 1 H) 1.55 (dt, J=8.12, 4.30 Hz, 1 H) 1.57 - 1.67 (m, 1 H) 3.10 - 3.25 (m, 2 H) 3.61 (s, 3 H) 3.64 - 3.73 (m, 1 H) 3.83 (br dd, J=10.40, 6.31 Hz, 1 H) 3.90 (s, 3 H) 3.98 -4.08 (m, 1 H) 4.29 - 4.44 (m, 1 H) 5.60 (br d, J=8.51 Hz, 1 H) 5.76 (s, 1 H) 5.87 (s, 2 H) 6.45 (br d, J=8.83 Hz, 1 H) 6.96 - 7.07 (m, 2 H) 7.14 (d, J=1.26 Hz, 1 H) 7.31 (d, J=8.51 Hz, 1 H) 7.32 - 7.38 (m, 1 H) 8.02 (br s, 1 H) 12.23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84분, MH+ 621
[α]D 20: -65.6° (c 0.25, DMF)
키랄 SFC (방법 SFC-P): Rt 1.44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19AB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0.87 - 0.95 (m, 1 H) 0.99 - 1.07 (m, 1 H) 1.50 - 1.57 (m, 1 H) 1.59 - 1.70 (m, 1 H) 3.09 - 3.24 (m, 2 H) 3.61 (s, 3 H) 3.63 - 3.72 (m, 1 H) 3.85 (br dd, J=10.40, 6.31 Hz, 1 H) 3.90 (s, 3 H) 3.99 - 4.09 (m, 1 H) 4.30 - 4.44 (m, 1 H) 5.60 (br d, J=8.51 Hz, 1 H) 5.76 (s, 1 H) 5.87 (s, 2 H) 6.45 (br d, J=8.51 Hz, 1 H) 7.00 - 7.09 (m, 2 H) 7.14 (d, J=1.26 Hz, 1 H) 7.30 (d, J=8.51 Hz, 1 H) 7.34 (br d, J=8.20 Hz, 1 H) 8.02 (br s, 1 H) 12.26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85분, MH+ 621
[α]D 20: +37.1° (c 0.28, DMF)
키랄 SFC (방법 SFC-P): Rt 2.20분, MH+ 없음, 키랄 순도 99.84%.
실시예 19B : (1S*,2S*)-2-((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19B)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19BA19BB로의 분리.
Figure pct00036
중간체 19b의 합성:
CH3CN (10 mL) 중 2-브로모-2-(4-클로로-2-메톡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7d (0.39 g, 0.839 mmol), (1S*,2S*)-메틸 2-((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테이트 6e (0.334 g, 1.259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89 mL, 1.679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7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반응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물 및 얼음으로 희석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상기 화합물을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5~30 μm, 24 g, 헵탄/EtOAc (80/20))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1S*,2S*)-메틸 2-((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19b (308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19B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19BA 19BB로의 분리:
물 (5 mL) 중 LiOH 일수화물 (98 mg, 2.334 mmol)의 용액을 THF (5 mL) 중 (1S*,2S*)-메틸 2-((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19b (303 mg, 0.46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키고, 그 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화합물을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45 μm, 24 g, CH2Cl2/MeOH: 100/0에서 98/2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1S*,2S*)-2-((3-((1-(4-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19B, 250 mg)을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들을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65% CO2, 35% MeOH)를 통하여 분리하여, CH3CN/디이소프로필 에테르/헵탄으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19BA (97 mg) 및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19BB (103 mg)를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 19BA :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0.85 - 0.95 (m, 1 H) 0.95 - 1.09 (m, 1 H) 1.54 (dt, J=8.34, 4.42 Hz, 1 H) 1.55 - 1.66 (m, 1 H) 3.09 - 3.25 (m, 2 H) 3.61 (s, 3 H) 3.66 (dd, J=10.36, 7.33 Hz, 1 H) 3.85 (dd, J=10.61, 6.06 Hz, 1 H) 3.89 (s, 3 H) 3.96 - 4.12 (m, 1 H) 4.26 - 4.43 (m, 1 H) 5.59 (d, J=8.59 Hz, 1 H) 5.76 (s, 1 H) 5.87 (s, 1 H) 5.88 (s, 1H) 6.44 (d, J=9.09 Hz, 1 H) 6.93 - 7.06 (m, 2 H) 7.14 (d, J=2.02 Hz, 1 H) 7.30 (d, J=8.08 Hz, 1 H) 7.34 (d, J=8.08 Hz, 1 H) 8.02 (s, 1 H) 12.20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84분, MH+ 621
[α]D 20: -47.6° (c 0.271, DMF)
키랄 SFC (방법 SFC-P): Rt 1.48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19BB :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0.85 - 0.97 (m, 1 H) 0.98 - 1.07 (m, 1 H) 1.51 - 1.58 (m, 1 H) 1.55 -1.67 (m, 1 H) 3.07 - 3.25 (m, 2 H) 3.61 (s, 3 H) 3.65 - 3.74 (m, 1 H) 3.83 (br dd, J=10.36, 5.81 Hz, 1 H) 3.90 (s, 3 H) 3.97 - 4.14 (m, 1 H) 4.30 - 4.42 (m, 1 H) 5.60 (br d, J=8.59 Hz, 1 H) 5.76 (s, 1 H) 5.87 (s, 2 H) 6.44 (br d, J=8.59 Hz, 1 H) 6.98 - 7.07 (m, 2 H) 7.14 (d, J=1.52 Hz, 1 H) 7.30 (d, J=8.08 Hz, 1 H) 7.33 (br d, J=8.08 Hz, 1 H) 8.02 (s, 1 H) 12.24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84분, MH+ 621
[α]D 20: +56.8° (c 0.264, DMF)
키랄 SFC (방법 SFC-P): Rt 2.12분, MH+ 없음, 키랄 순도 99.59%.
실시예 20 : 4-(3-((1-(4-클로로페닐)-2-(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메틸부탄산 (화합물 20)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0A, 20B, 20C 20D로의 분리
Figure pct00037
중간체 20a의 합성:
DMF (100 mL) 중 1-메톡시-4-니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CAS 654-76-2] (24.5 g, 110.8 mmol) 및 4-클로로페녹시아세토니트릴 [CAS 3598-13-8] (20.4 g, 121.9 mmol)의 혼합물을 -10℃에서 DMF (100 mL) 중 tBuOK (27.35 g, 243.7 mmol)의 교반 용액에 3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첨가 후, 자주색 용액을 -10℃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500 mL의 얼음-물 및 500 mL의 6 N HCl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건조시켜 40.4 g의 2-(5-메톡시-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토니트릴 20a를 생성하였다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함).
중간체 20b의 합성:
에탄올/물 (9/1) (500 mL) 및 AcOH (5.2 mL) 중 2-(5-메톡시-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토니트릴 20a (26 g , 99.9 mmol)의 용액을 촉매로서 10% Pd/C (15.3 g)를 이용하여 3.5 Bar의 압력 하에 1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필터 케이크를 CH2Cl2와 CH3OH의 용매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용출제로서 헵탄/EtOAc (80/20)를 사용하여 실리카 (60 내지 200 μm)가 충전된 유리 필터를 통하여 잔사를 여과시켰다. 예상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농축시켜 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 20b (15.6 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20c의 합성:
0℃에서, BH3-피리딘 (23.5 mL, 232.4 mmol)을 EtOH (60 mL) 중 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 20b (10 g, 46.5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온도를 10℃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6 N HCl (140 m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 (200 mL)을 첨가하고, 진한 NaOH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8~9까지 상기 혼합물을 염기성화하였다 (반응물 온도를 20℃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고 (2회), 감압 하에 톨루엔과 함께 공동-증발시켜 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인돌린 20c (9 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20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0A, 20B, 20C 및 20D로의 분리:
중간체 20c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1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에 따라 화합물 20 (330 mg)을 수득하였다. 4가지 입체이성질체 20A (50 mg), 20B (18 mg), 20C (68 mg) 및 20D (32 mg)를, 이 용출 순서로, 다음의 두 후속 키랄 SFC 분리: (고정상: 키랄팩® A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40% CO2, 60% iPrOH) 및 (고정상: 키랄셀® OJ-H 5 μm 250 x 20mm, 이동상: 60% CO2, 40% MeOH)를 통하여 수득하고; 이어서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12 g, CH2Cl2/MeOH: 99.5/0.5에서 90/10까지)에 의해 개별적으로 정제하고, 후속적으로 CH3CN/디이소프로필 에테르/헵탄으로부터 고체화시켰다.
입체이성질체 20A: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10 (d, J=7.07 Hz, 3 H) 1.60 - 1.72 (m, 1 H) 1.90 - 2.01 (m, 1 H) 3.20 - 3.32 (m, 2 H) 3.61 (s, 3 H) 3.79 - 3.90 (m, 5 H) 3.93 - 4.09 (m, 1 H) 4.42 - 4.53 (m, 1 H) 5.53 (br d, J=8.59 Hz, 1 H) 5.74 (s, 1 H) 5.93 (br s, 1 H) 5.95 (br s, 1 H) 6.38 (br d, J=9.09 Hz, 1 H) 7.23 (s, 1 H) 7.43 (br d, J=8.08 Hz, 2 H) 7.55 (br d, J=8.08 Hz, 2 H) 8.33 (s, 1 H) 12.16 (br s 1 H) (1H: DMSO에서 CH CO2H의 실종)
LC/MS (방법 LC-C): Rt 2.95분, MH+ 607
[α]D 20: -40.9° (c 0.257, DMF)
키랄 SFC (방법 SFC-Q): Rt 1.07분, MH+ 607,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20B: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09 (d, J=6.94 Hz, 3 H) 1.69 (dq, J=13.52, 6.53 Hz, 1 H) 1.88 - 2.11 (m, 1 H) 3.08 - 3.28 (m, 2 H) 3.53 - 3.66 (m, 3 H) 3.79 - 3.90 (m, 5 H) 3.92 - 4.11 (m, 1 H) 3.92 - 4.11 (m, 1 H) 4.32 - 4.67 (m, 1 H) 5.54 (d, J=8.51 Hz, 1 H) 5.75 (s, 1 H) 5.93 (s, 1 H) 5.95 (s, 1H) 6.30 - 6.45 (m, 1 H) 7.23 (s, 1 H) 7.43 (d, J=8.20 Hz, 2 H) 7.55 (d, J=8.20 Hz, 2 H) 8.33 (s, 1 H) 12.05 (br s, 1 H) (1H: DMSO에서 CH CO2H의 실종)
LC/MS (방법 LC-C): Rt 2.95분, MH+ 607
[α]D 20: -50.0° (c 0.266, DMF)
키랄 SFC (방법 SFC-Q): Rt 1.07분, MH+ 607,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20C: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09 (br d, J=6.94 Hz, 3 H) 1.52 - 1.83 (m, 1 H) 1.86 - 2.06 (m, 1 H) 3.07 - 3.28 (m, 2 H) 3.61 (s, 3 H) 3.73 - 3.91 (m, 5 H) 3.94 - 4.04 (m, 1 H) 4.37 - 4.58 (m, 1 H) 5.54 (br d, J=8.51 Hz, 1 H) 5.75 (s, 1 H) 5.93 (s, 1 H) 5.95 (s, 1H) 6.39 (br d, J=8.51 Hz, 1 H) 7.23 (s, 1 H) 7.43 (br d, J=8.20 Hz, 2 H) 7.55 (br d, J=8.20 Hz, 2 H) 8.33 (s, 1 H) 12.13 (br s, 1 H) (1H: DMSO에서 CH CO2H의 실종)
LC/MS (방법 LC-C): Rt 2.95분, MH+ 607
[α]D 20: +26.0° (c 0.288, DMF)
키랄 SFC (방법 SFC-Q): Rt 1.56분, MH+ 607, 키랄 순도 99.68%.
입체이성질체 20D: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09 (d, J=7.07 Hz, 3 H) 1.60 - 1.75 (m, 1 H) 1.85 - 1.99 (m, 1 H) 3.11 - 3.27 (m, 2 H) 3.61 (s, 3 H) 3.77 - 3.91 (m, 5 H) 3.93 - 4.05 (m, 1 H) 4.44 - 4.56 (m, 1 H) 5.54 (br d, J=8.59 Hz, 1 H) 5.74 (s, 1 H) 5.93 (br s, 1 H) 5.95 (br s, 1 H) 6.38 (br d, J=8.59 Hz, 1 H) 7.23 (s, 1 H) 7.43 (d, J=8.59 Hz, 2 H) 7.55 (br d, J=8.08 Hz, 2 H) 8.33 (s, 1 H) 12.22 (br s, 1 H) (1H: DMSO에서 CH CO2H의 실종)
LC/MS (방법 LC-C): Rt 2.96분, MH+ 607
[α]D 20: +57.4° (c 0.27, DMF)
키랄 SFC (방법 SFC-Q): Rt 2.19분, MH+ 607, 키랄 순도 100%.
실시예 21 : 4-(3-((1-(4-클로로페닐)-2-(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탄산 (화합물 21)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21A21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38
중간체 21a의 합성:
CH3CN (10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인돌린-1-일)에타논 20e (904 mg, 2.014 mmol), 메틸 4-(3-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타노에이트 2a (700 mg, 2.619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694 μL, 4.029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EtOAc로 녹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 메틸 4-(3-((1-(4-클로로페닐)-2-(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타노에이트 21a (1.58 g)를 제공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화합물 21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21A 및 21B로의 키랄 분리:
0℃에서, LiOH 일수화물 (254 mg, 6.046 mmol)을 THF/MeOH/물 (15 mL) 중 메틸 4-(3-((1-(4-클로로페닐)-2-(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타노에이트 21a (1.28 g, 2.01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하고, 4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 N HCl을 이용하여 pH 4~5까지 산성화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40 g, CH2Cl2/CH3OH: 100/0에서 98/2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예상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두 번째 정제를 역상 (고정상: YMC-악투스 트리아트-C18 10 μm 30 x 150 mm, 이동상: 구배: 70% 수성 NH4HCO3 (0.2%), 30% CH3CN으로부터 0% 수성 NH4HCO3 (0.2%), 100% CH3CN까지)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4-(3-((1-(4-클로로페닐)-2-(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2,2-디메틸부탄산 (화합물 21, 455 mg)을 제공하였다.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55% CO2, 45% MeOH)를 통하여 분리하여, 헵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21A (106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21B (103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21: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13 (d, J=3.8 Hz, 6 H) 1.87 (t, J=7.3 Hz, 2 H) 3.14 - 3.30 (m, 2 H) 3.61 (s, 3 H) 3.84 (m, 5 H) 3.98 (td, J=10.4, 7.3 Hz, 1 H) 4.51 (td, J=10.3, 6.1 Hz, 1 H) 5.52 (d, J=8.5 Hz, 1 H) 5.73 (t, J=1.9 Hz, 1 H) 5.92 (s, 1 H) 5.94 (s, 1 H) 6.39 (d, J=8.5 Hz, 1 H) 7.23 (s, 1 H) 7.43 (d, J=8.5 Hz, 2 H) 7.55 (d, J=8.5 Hz, 2 H) 8.33 (s, 1 H) 12.23 (br s, 1 H)
LC/MS (방법 LC-C): Rt 3.19분, MH+ 621
거울상 이성질체 21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08 - 1.15 (m, 6 H) 1.85 (t, J=7.3 Hz, 2 H) 3.13 - 3.30 (m, 2 H) 3.55 - 3.65 (m, 3 H) 3.80 - 3.89 (m, 5 H) 3.98 (td, J=10.4, 7.3 Hz, 1 H) 4.52 (td, J=10.4, 6.3 Hz, 1 H) 5.54 (d, J=8.8 Hz, 1 H) 5.73 (t, J=1.9 Hz, 1 H) 5.92 (s, 1 H) 5.95 (s, 1 H) 6.38 (d, J=8.5 Hz, 1 H) 7.23 (s, 1 H) 7.43 (d, J=8.5 Hz, 2 H) 7.56 (d, J=8.5 Hz, 2 H) 8.34 (s, 1 H)
LC/MS (방법 LC-C): Rt 3.21분, MH+ 621
[α]D 20: -41.7° (c 0.254, DMF)
키랄 SFC (방법 SFC-H): Rt 1.23분, MH+ 621,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21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08 - 1.16 (m, 6 H) 1.86 (t, J=7.1 Hz, 2 H) 3.15 - 3.29 (m, 2 H) 3.61 (s, 3 H) 3.80 - 3.90 (m, 5 H) 3.98 (td, J=10.2, 7.3 Hz, 1 H) 4.52 (td, J=10.4, 6.3 Hz, 1 H) 5.53 (d, J=8.5 Hz, 1 H) 5.70 - 5.75 (m, 1 H) 5.92 (s, 1 H) 5.95 (s, 1 H) 6.38 (d, J=8.5 Hz, 1 H) 7.23 (s, 1 H) 7.43 (d, J=8.5 Hz, 2 H) 7.56 (d, J=8.5 Hz, 2 H) 8.34 (s, 1 H)
LC/MS (방법 LC-C): Rt 3.21분, MH+ 621
[α]D 20: +44.0° (c 0.275, DMF)
키랄 SFC (방법 SFC-H): Rt 2.38분, MH+ 621, 키랄 순도 100%.
실시예 22A : (1R*,2R*)-2-((3-((1-(4-클로로페닐)-2-(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22A)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2AA 22AB로의 분리
Figure pct00039
화합물 22A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2AA 22AB로의 분리:
화합물 6A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를 이용하여 중간체 20e로부터 화합물 22A (284 mg)를 합성하였다. 두 입체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50% CO2, 50% EtOH)를 통하여 분리하여, 펜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22AA (79 mg) 및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22AB (74 mg)를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22AA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0.85 - 0.93 (m, 1 H) 1.00 - 1.08 (m, 1 H) 1.54 (dt, J=8.12, 4.30 Hz, 1 H) 1.60 -1.68 (m, 1 H) 3.12 - 3.26 (m, 2 H) 3.61 (s, 3 H) 3.68 (dd, J=10.40, 7.57 Hz, 1 H) 3.79 - 3.90 (m, 4 H) 3.93 - 4.05 (m, 1 H) 4.50 (td, J=10.40, 6.31 Hz, 1 H) 5.55 (d, J=8.51 Hz, 1 H) 5.75 (s, 1 H) 5.94 (s, 1 H) 5.96 (s, 1 H) 6.39 (d, J=8.83 Hz, 1 H) 7.23 (s, 1 H) 7.43 (d, J=8.51 Hz, 2 H) 7.55 (d, J=8.51 Hz, 2 H) 8.33 (s, 1 H) 12.23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80분, MH+ 605
[α]D 20: -75.0° (c 0.3, DMF)
키랄 SFC (방법 SFC-R): Rt 0.86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22AB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0.88 (br t, J=9.30 Hz, 1 H) 1.02 (dt, J=8.43, 4.45 Hz, 1 H) 1.47 - 1.58 (m, 1 H) 1.59 - 1.68 (m, 1 H) 3.13 - 3.28 (m, 2 H) 3.61 (s, 3 H) 3.64 - 3.72 (m, 1 H) 3.84 (s, 4 H) 3.92 - 4.06 (m, 1 H) 4.50 (td, J=10.32, 6.15 Hz, 1 H) 5.55 (d, J=8.83 Hz, 1 H) 5.75 (s, 1 H) 5.95 (s, 1 H) 5.96 (s, 1 H) 6.39 (d, J=8.83 Hz, 1 H) 7.23 (s, 1 H) 7.43 (d, J=8.51 Hz, 2 H) 7.55 (d, J=8.51 Hz, 2 H) 8.33 (s, 1 H) 12.08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69분, MH+ 605
[α]D 20: +10.0° (c 0.281, DMF)
키랄 SFC (방법 SFC-R): Rt 1.84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실시예 22B : (1S*,2S*)-2-((3-((1-(4-클로로페닐)-2-(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22B)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2BA 22BB로의 분리
Figure pct00040
화합물 22B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2BA 22BB로의 분리:
화합물 6B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를 이용하여 중간체 20e로부터 화합물 22B (257 mg)를 합성하였다. 두 입체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50% CO2, 50% EtOH)를 통하여 분리하여, 펜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22BA (49 mg) 및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22BB (61 mg)를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22BA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0.83 - 1.00 (m, 1 H) 0.98 - 1.09 (m, 1 H) 1.54 (dt, J=8.35, 4.33 Hz, 1 H) 1.58 - 1.70 (m, 1 H) 3.13 - 3.28 (m, 2 H) 3.61 (s, 3 H) 3.68 (dd, J=10.09, 7.57 Hz, 1 H) 3.78 - 3.89 (m, 4 H) 3.95 - 4.05 (m, 1 H) 4.50 (td, J=10.25, 6.31 Hz, 1 H) 5.55 (d, J=8.83 Hz, 1 H) 5.75 (s, 1 H) 5.95 (br s, 1 H) 5.96 (br s, 1 H) 6.39 (br d, J=8.83 Hz, 1 H) 7.23 (s, 1 H) 7.43 (d, J=8.51 Hz, 2 H) 7.55 (d, J=8.51 Hz, 2 H) 8.33 (s, 1 H) 12.24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68분, MH+ 605
[α]D 20: -9.3° (c 0.291, DMF)
키랄 SFC (방법 SFC-S): Rt 1.48분, MH+ 605,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22BB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0.82 - 0.95 (m, 1 H) 1.04 - 1.06 (m, 1 H) 1.55 (dt, J=8.28, 4.22 Hz, 1 H) 1.58 - 1.68 (m, 1 H) 3.13 - 3.28 (m, 2 H) 3.61 (s, 3 H) 3.68 (dd, J=10.40, 7.25 Hz, 1 H) 3.81 - 3.88 (m, 4 H) 3.95 - 4.02 (m, 1 H) 4.46 - 4.55 (m, 1 H) 5.54 (d, J=8.83 Hz, 1 H) 5.75 (s, 1 H) 5.94 (s, 1 H) 5.96 (s, 1 H) 6.39 (d, J=9.14 Hz, 1 H) 7.23 (s, 1 H) 7.43 (d, J=8.51 Hz, 2 H) 7.55 (d, J=8.51 Hz, 2 H) 8.33 (s, 1 H) 12.20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80분, MH+ 605
[α]D 20: +80.0° (c 0.275, DMF)
키랄 SFC (방법 SFC-S): Rt 3.12분, MH+ 605, 키랄 순도 99.55%.
실시예 23 : (1s,3s)-3-(3-((1-(4-클로로페닐)-2-(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텐-카르복실산 (화합물 23)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23A23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41
화합물 23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23A 및 23B로의 키랄 분리:
화합물 8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를 이용하여 중간체 20e로부터 화합물 23A (280 mg)를 합성하였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45% CO2, 55% EtOH)를 통하여 분리하여, 헵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23A (60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23B (71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23: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02 - 2.15 (m, 2 H) 2.58 - 2.65 (m, 2 H) 2.66 - 2.75 (m, 1 H) 3.14 - 3.29 (m, 2 H) 3.61 (s, 3 H) 3.84 (s, 3 H) 3.98 (td, J=10.4, 7.3 Hz, 1 H) 4.42 - 4.57 (m, 2 H) 5.51 (d, J=8.5 Hz, 1 H) 5.65 (t, J=1.9 Hz, 1 H) 5.86 (s, 1 H) 5.93 (s, 1 H) 6.42 (d, J=8.5 Hz, 1 H) 7.23 (s,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5 Hz, 2 H) 8.34 (s, 1 H) 12.11 - 12.40 (m, 1 H)
LC/MS (방법 LC-C): Rt 2.76분, MH+ 605
거울상 이성질체 23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02 - 2.15 (m, 2 H) 2.57 - 2.65 (m, 2 H) 2.66 - 2.75 (m, 1 H) 3.14 - 3.28 (m, 2 H) 3.61 (s, 3 H) 3.84 (s, 3 H) 3.98 (td, J=10.3, 7.1 Hz, 1 H) 4.42 - 4.56 (m, 2 H) 5.51 (d, J=8.5 Hz, 1 H) 5.65 (t, J=2.0 Hz, 1 H) 5.86 (s, 1 H) 5.93 (s, 1 H) 6.42 (d, J=8.5 Hz, 1 H) 7.23 (s,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5 Hz, 2 H) 8.34 (s, 1 H) 12.02 - 12.49 (m, 1 H)
LC/MS (방법 LC-C): Rt 2.75분, MH+ 605
[α]D 20: -38.1° (c 0.307, DMF)
키랄 SFC (방법 SFC-R): Rt 0.84분, MH+ 605,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23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02 - 2.15 (m, 2H) 2.56 - 2.75 (m, 3 H) 3.14 - 3.27 (m, 2 H) 3.61 (s, 3 H) 3.84 (s, 3 H) 3.93 - 4.04 (m, 1 H) 4.43 - 4.57 (m, 2 H) 5.51 (br d, J=8.5 Hz, 1 H) 5.65 (s, 1 H) 5.86 (s, 1 H) 5.93 (s, 1 H) 6.42 (br d, J=8.5 Hz, 1 H) 7.23 (s, 1 H) 7.44 (br d, J=8.5 Hz, 2 H) 7.55 (br d, J=8.5 Hz, 2 H) 8.34 (s, 1 H) 12.07 - 12.47 (m, 1 H)
LC/MS (방법 LC-C): Rt 2.76분, MH+ 605
[α]D 20: +36.9° (c 0.309, DMF)
키랄 SFC (방법 SFC-R): Rt 1.86분, MH+ 605, 키랄 순도 100%.
실시예 24 : (1s,3s)-3-((3-((1-(4-클로로페닐)-2-(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화합물 24)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24A 24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42
화합물 24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24A 및 24B로의 키랄 분리:
화합물 10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를 이용하여 중간체 20e로부터 화합물 24 (550 mg)를 합성하였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휄크® O1 (S,S) 5 μm 250 x 21.1 mm, 이동상: 50% CO2, 50% MeOH)를 통하여 분리하여, Et2O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24A (190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24B (177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24: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93 (br q, J=9.77 Hz, 2 H) 2.11 - 2.32 (m, 2 H) 2.53 - 2.60 (m, 1 H) 2.97 (quin, J=8.91 Hz, 1 H) 3.16 - 3.30 (m, 2 H) 3.62 (s, 3 H) 3.74 - 3.82 (m, 2 H) 3.85 (s, 3 H) 3.96 - 4.06 (m, 1 H) 4.51 (td, J=10.25, 5.99 Hz, 1 H) 5.55 (d, J=8.83 Hz, 1 H) 5.74 (s, 1 H) 5.94 (br s, 2 H) 6.39 (d, J=8.51 Hz, 1 H) 7.23 (s, 1 H) 7.44 (d, J=8.51 Hz, 2 H) 7.55 (d, J=8.51 Hz, 2 H) 8.34 (s, 1 H) 12.07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91분, MH+ 619
거울상 이성질체 24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87 - 2.02 (m, 2 H) 2.15 - 2.30 (m, 2 H) 2.52 - 2.59 (m, 1 H) 2.95 (qt J = 8.83 Hz, 1 H) 3.07 - 3.29 (m, 2 H) 3.61 (s, 3 H) 3.77 (br d, J=6.31 Hz, 2 H) 3.84 (s, 3 H) 3.95 - 4.07 (m, 1 H) 4.42 - 4.56 (m, 1 H) 5.54 (d, J=8.83 Hz, 1 H) 5.74 (t, J=2.05 Hz, 1 H) 5.81 - 6.01 (m, 2 H) 6.38 (d, J=8.83 Hz, 1 H) 7.23 (s, 1 H) 7.43 (d, J=8.51 Hz, 2 H) 7.55 (d, J=8.51 Hz, 2 H) 8.33 (s, 1 H) 12.11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89분, MH+ 619
[α]D 20: -41.5° (c 0.224, DMF)
키랄 SFC (방법 SFC-T): Rt 1.81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24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91 (q, J=9.35 Hz, 2 H) 2.17 - 2.26 (m, 2 H) 2.53 - 2.61 (m, 1 H) 2.94 (quin, J=8.91 Hz, 1 H) 3.13 - 3.27 (m, 2 H) 3.61 (s, 3 H) 3.72 - 3.79 (m, 2 H) 3.84 (s, 3 H) 3.90 - 4.06 (m, 1 H) 4.50 (td, J=10.32, 6.46 Hz, 1 H) 5.54 (d, J=8.83 Hz, 1 H) 5.72 - 5.75 (m, 1 H) 5.91 - 5.95 (m, 2 H) 6.38 (d, J=8.83 Hz, 1 H) 7.23 (s, 1 H) 7.43 (d, J=8.51 Hz, 2 H) 7.55 (d, J=8.20 Hz, 2 H) 8.33 (s, 1 H) 12.07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89분, MH+ 619
[α]D 20: +36.6° (c 0.232, DMF)
키랄 SFC (방법 SFC-T): Rt 2.26분, MH+ 없음, 키랄 순도 98.71%.
실시예 25 : (1r,3r)-3-((3-((1-(4-클로로페닐)-2-(5-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화합물 25)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25A 25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43
화합물 25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25A 및 25B로의 키랄 분리:
화합물 11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를 이용하여 중간체 20e로부터 화합물 25 (310 mg)를 합성하였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휄크® O1 (S,S) 5 μm 250 x 21.1 mm, 이동상: 50% CO2, 50% MeOH)를 통하여 분리하여, Et2O/펜탄으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25A (94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25B (105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25: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80 - 2.04 (m, 2 H) 2.22 - 2.31 (m, 2 H) 2.56 - 2.64 (m, 1 H) 3.09 (br qt, J=7.33 Hz, 1 H) 3.14 - 3.28 (m, 2 H) 3.62 (s, 3 H) 3.84 (s, 3 H) 3.87 (d, J=6.57 Hz, 2 H) 3.93 - 4.06 (m, 1 H) 4.45 - 4.56 (m, 1 H) 5.54 (d, J=8.59 Hz, 1 H) 5.77 (s, 1 H) 5.94 (s, 1 H) 5.96 (s, 1 H) 6.38 (d, J=9.09 Hz, 1 H) 7.23 (s, 1H) 7.43 (d, J=8.59 Hz, 2 H) 7.55 (d, J=8.59 Hz, 2 H) 8.33 (s, 1 H) 12.10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87분, MH+ 619
거울상 이성질체 25A: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91 - 2.03 (m, 2 H) 2.18 - 2.29 (m, 2 H) 2.55 - 2.62 (m, 1 H) 3.01 - 3.11 (m, 1 H) 3.14 - 3.28 (m, 2 H) 3.62 (s, 3 H) 3.84 (s, 3 H) 3.86 (d, J=7.07 Hz, 2 H) 3.93 - 4.05 (m, 1 H) 4.42 - 4.58 (m, 1 H) 5.54 (d, J=8.59 Hz, 1 H) 5.77 (s, 1 H) 5.92 - 5.95 (m, 1 H) 5.95 - 5.98 (m, 1 H) 6.38 (d, J=8.59 Hz, 1 H) 7.23 (s, 1 H) 7.43 (d, J=8.08 Hz, 2 H) 7.55 (d, J=8.08 Hz, 2 H) 8.33 (s, 1 H)
LC/MS (방법 LC-C): Rt 2.90분, MH+ 619
[α]D 20: -41.1° (c 0.28, DMF)
키랄 SFC (방법 SFC-T): Rt 1.91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25B: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90 - 2.04 (m, 2 H) 2.19 - 2.29 (m, 2 H) 2.55 - 2.60 (m, 1 H) 3.00 - 3.30 (m, 3 H) 3.62 (s, 3 H) 3.84 (s, 3 H) 3.86 (br d, J=7.07 Hz, 2 H) 3.94 - 4.04 (m, 1 H) 4.45 - 4.55 (m, 1 H) 5.54 (d, J=8.59 Hz, 1 H) 5.77 (s, 1 H) 5.88 - 5.95 (m, 1 H) 5.95 - 5.98 (m, 1 H) 6.38 (br d, J=8.59 Hz, 1 H) 7.23 (s, 1 H) 7.43 (d, J=8.59 Hz, 2 H) 7.55 (d, J=8.08 Hz, 2 H) 8.33 (s, 1 H)
LC/MS (방법 LC-C): Rt 2.90분, MH+ 619
[α]D 20: +40.6° (c 0.32, DMF)
키랄 SFC (방법 SFC-T): Rt 2.48분, MH+ 없음, 키랄 순도 98.68%.
실시예 26A : (1R*,2R*)-2-((3-((1-(4-클로로페닐)-2-(5-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26A)의 합성
Figure pct00044
중간체 26a의 합성:
진한 H2SO4 (98%, 200 mL) 중 4-브로모-2-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 [CAS 105529-58-6] (98.7 g, 381.1 mmol)의 용액을 빙조를 이용하여 0℃까지 냉각시켰다. KNO3 (43.0 g, 425.3 mmol)을 일부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빙조를 제거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얼음물 (2 L)에 부었다. 상기 혼합물을 CH2Cl2 (3x 5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NaHCO3 수용액 (2x 500 mL), 염수 (50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1-브로모-5-플루오로-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 26a (117.2 g)를 생성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중간체 26b의 합성:
N2-분위기 하에 iPrOH (1 L) 및 물 (330 mL) 중 1-브로모-5-플루오로-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 26a (70.0 g, 230 mmol) 및 NH4Cl (123.2 g, 2.30 mol)의 교반 현탁물에 환원성 철 분말 (64.3 g, 1.15 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 (1 L)로 희석시키고, 셀라이트®를 통하여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EtOAc (1 mL)와 물 (80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층들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염수 (1 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감압 하에 증류에 의해 정제하였다 (오일 펌프, b.p. 60~64℃). 2-브로모-4-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닐린 26b (47.3 g)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26c의 합성:
Et3N (300 mL) 중 2-브로모-4-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닐린 26b (18.4 g, 67.2 mmol) 및 에티닐(트리메틸)실란 (19.9 g, 202.4 mmol, 28.00 mL)의 혼합물에 CuI (1.28 g, 6.72 mmol) 및 Pd(PPh3)2Cl2 (2.40 g, 3.4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분위기 하에 90℃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MTBE (300 mL)로 희석시키고, 셀라이트®를 통하여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ISCO®, 220 g 세파플래시(SepaFlash)® 실리카 플래시(Silica Flash) 컬럼, 용출제: 구배: 0%에서 5%까지의, 석유 에테르 중 EtOAc, 100 mL/분)에 의해 정제하였다. 4-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톡시)-2-((트리메틸실릴)에티닐)아닐린 26c (16.1 g, 90%의 순도)를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26d의 합성:
NMP (220.00 mL) 중 4-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톡시)-2-((트리메틸실릴)에티닐)아닐린 26c (16.1 g, 55.3 mmol) 및 tBuOK (18.6 g, 165.8 mmol)의 혼합물을 N2-분위기 하에 90℃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 (1 L)에 붓고, MTBE (3x 3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물 (2x 200 mL), 염수 (30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ISCO®, 120 g 세파플래시® 실리카 플래시 컬럼, 용출제: 구배: 0%에서 5%까지의, 석유 에테르 중 EtOAc, 유량 = 85 mL/분)에 의해 정제하여 5-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톡시)-1H-인돌 26d (11 g) 생성물을 짙은 녹색의 오일로서 생성하였다. 잔사를 또 다른 배치와 합하고 (총 양 = 17.2 g), 감압 하에 증류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오일 펌프, b.p. 60~64℃), 5-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톡시)-1H-인돌 26d (14.7 g, 95%의 순도)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중간체 26e의 합성:
0℃에서, BH3-피리딘 (1.2 mL, 11 mmol)을 EtOH (3.2 mL) 중 5-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톡시)-1H-인돌 26d (500 mg, 2.3 mmol)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온도를 10℃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6 N HCl (7.6 m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 (100 mL)을 첨가하고, 진한 NaOH를 이용하여 pH 14까지 상기 혼합물을 염기성화하였다 (온도를 20℃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CH2Cl2를 첨가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5-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 26e (550 m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중간체 26f의 합성:
CH2Cl2 (14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아세트산 [CAS 3381-73-5] (0.61 g, 2.4 mmol), 5-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 26e (0.55 g , 2.2 mmol, 89%의 순도) 및 DMAP (0.027 g, 0.22 mmol)의 혼합물에 EDCI (0.51 g, 2.7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 중 10% K2CO3 용액으로 희석시켰다. 층들을 경사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농축시켜 2-브로모-2-(4-클로로페닐)-1-(5-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26f (1.1 g, 자주색 오일)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화합물 26A의 합성:
화합물 6A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를 이용하여 중간체 26f로부터 화합물 26A (135 mg)를 합성하였다.
화합물 26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0.87 - 0.94 (m, 1 H) 1.01 - 1.07 (m, 1 H) 1.55 (dq, J=8.55, 4.40 Hz, 1 H) 1.60 - 1.68 (m, 1 H) 3.12 - 3.30 (m, 2 H) 3.61 (s, 3 H) 3.68 (dd, J=10.40, 7.57 Hz, 1 H) 3.85 (dd, J=10.40, 6.31 Hz, 1 H) 4.01 - 4.08 (m, 1 H) 4.48 - 4.55 (m, 1 H) 5.57 (d, J=8.83 Hz, 1 H) 5.75 (s, 1 H) 5.94 (br s, 1 H) 5.95 (br s, 1 H) 6.46 (br d, J=8.83 Hz, 1 H) 7.40 - 7.48 (m, 3 H) 7.54 (d, J=8.51 Hz, 2 H) 8.16 (br d, J=6.94 Hz, 1 H) 12.22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97분, MH+ 609
MP = 120℃
실시예 26B : (1S*,2S*)-2-((3-((1-(4-클로로페닐)-2-(5-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26B)의 합성
Figure pct00045
화합물 26B의 합성:
화합물 6B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를 이용하여 중간체 26f로부터 화합물 26B (150 mg)를 합성하였다.
화합물 26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0.86 - 0.94 (m, 1 H) 1.04 (dq, J=8.20, 4.31 Hz, 1 H) 1.55 (dq, J=8.43, 4.33 Hz, 1 H) 1.58 - 1.67 (m, 1 H) 3.12 - 3.30 (m, 2 H) 3.61 (s, 3 H) 3.68 (dd, J=10.40, 7.57 Hz, 1 H) 3.85 (dd, J=10.25, 6.15 Hz, 1 H) 4.04 (q, J=8.72 Hz, 1 H) 4.47 - 4.55 (m, 1 H) 5.57 (d, J=8.83 Hz, 1 H) 5.75 (s, 1 H) 5.94 (br s, 1 H) 5.95 (br s, 1 H) 6.46 (br d, J=8.51 Hz, 1 H) 7.40 - 7.48 (m, 3 H) 7.54 (d, J=8.51 Hz, 2 H) 8.16 (br d, J=6.94 Hz, 1 H) 12.21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97분, MH+ 609
MP = 126℃
실시예 27 : ((1s,3s)-3-(3-((1-(4-클로로페닐)-2-(5-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텐-카르복실산 (화합물 27)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27A 27B로의 분리
Figure pct00046
화합물 27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27A 및 27B로의 키랄 분리:
화합물 8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를 이용하여 중간체 26f로부터 화합물 27 (175 mg)을 합성하였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20 mm, 이동상: 55% CO2, 45% EtOH)를 통하여 분리하여, 헵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27A (33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27B (35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27: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01 - 2.17 (m, 2 H) 2.57 - 2.65 (m, 2 H) 2.66 - 2.77 (m, 1 H) 3.08 - 3.28 (m, 2 H) 3.61 (s, 3 H) 3.99 - 4.10 (m, 1 H) 4.43 - 4.57 (m, 2 H) 5.54 (d, J=8.5 Hz, 1 H) 5.66 (s, 1 H) 5.86 (s, 1 H) 5.93 (s, 1 H) 6.49 (br d, J=8.5 Hz, 1 H) 7.45 (d, J=8.5 Hz, 3 H) 7.55 (d, J=8.5 Hz, 2 H) 8.16 (br d, J=6.9 Hz, 1 H) 12.06 - 12.47 (m, 1 H)
LC/MS (방법 LC-C): Rt 2.88분, MH+ 609
거울상 이성질체 27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00 - 2.12 (m, 2 H) 2.57 - 2.65 (m, 3 H) 3.11 - 3.25 (m, 2 H) 3.60 (s, 3 H) 4.04 (br d, J=7.3 Hz, 1 H) 4.40 - 4.48 (m, 1 H) 4.48 - 4.57 (m, 1 H) 5.53 (br d, J=8.5 Hz, 1 H) 5.65 (s, 1 H) 5.85 (s, 1 H) 5.92 (s, 1 H) 6.48 (br d, J=8.5 Hz, 1 H) 7.44 (br d, J=8.5 Hz, 3 H) 7.54 (br d, J=8.5 Hz, 2 H) 8.16 (br d, J=6.9 Hz, 1 H)
LC/MS (방법 LC-D): Rt 2.79분, MH+ 609
[α]D 20: -40.5° (c 0.252, DMF)
키랄 SFC (방법 SFC-I): Rt 1.18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27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00 - 2.13 (m, 2 H) 2.54 - 2.67 (m, 3 H) 3.10 - 3.27 (m, 2 H) 3.60 (s, 3 H) 3.99 - 4.10 (m, 1 H) 4.40 - 4.48 (m, 1 H) 4.48 - 4.56 (m, 1 H) 5.54 (br d, J=8.5 Hz, 1 H) 5.66 (s, 1 H) 5.86 (s, 1 H) 5.92 (s, 1 H) 6.48 (br d, J=8.5 Hz, 1 H) 7.44 (br d, J=8.5 Hz, 3 H) 7.54 (br d, J=8.5 Hz, 2 H) 8.16 (br d, J=6.9 Hz, 1 H)
LC/MS (방법 LC-D): Rt 2.79분, MH+ 609
[α]D 20: +37.5° (c 0.333, DMF)
키랄 SFC (방법 SFC-I): Rt 2.56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실시예 28 : (1R*,2S*)-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28A)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8AA28AB로의 분리와 (1S*,2R*)-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28B)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8BA28BB로의 분리
Figure pct00047
중간체 28a 및 28b의 합성:
기포실을 갖춘 3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Rh2(OPiv)4.2H2O (2 mol%, 0.599 mmol, 387 mg)를 무수 CH2Cl2 (86 mL) 중 1-(((2-플루오로알릴)옥시)메틸)-4-메톡시벤젠 [CAS 1673563-84-2] (29.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0℃까지 냉각시킨 후, 무수 CH2Cl2 (86 mL) 중의, 구매가능한 디클로로메탄 중 83% 디아조 에틸아세테이트 용액 (3 당량, 89.85 mmol)을 24 mL/h의 유량으로 마이크로 펌프를 이용하여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TLC 및 19F NMR 분석에 의해 표시됨) 실온에서 교반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석유 에테르/EtOAc, 9/1에서 7/3까지)에 의해 정제하여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 (dr 53:47)을 60% 수율로 제공하였다. 부분입체 이성질체들을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석유 에테르/EtOAc, 100/0으로부터 80/20까지)에 의해 분리하여 트랜스-에틸 2-플루오로-2-(((4-메톡시벤질)옥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8a시스-에틸 2-플루오로-2-(((4-메톡시벤질)옥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8b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28c의 합성:
DDQ (1.5 당량, 27.9 mmol, 6.33 g)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40 mL) 및 물 (30 mL) 중 트랜스-에틸 2-플루오로-2-(((4-메톡시벤질)옥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8a (1 당량, 18.6 mmol, 5.25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포화 NaH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수성 층을 CH2Cl2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NaHCO3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조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석유 에테르/EtOAc, 9/1에서 6/4까지)에 의해 정제하여 트랜스-에틸 2-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8c (876 m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28d의 합성:
DDQ (1.5 당량, 15.8 mmol, 3.6 g)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93 mL) 및 물 (17 mL) 중 시스-에틸 2-플루오로-2-(((4-메톡시벤질)옥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8b (1 당량, 10.6 mmol, 2.98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포화 NaH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수성 층을 CH2Cl2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NaHCO3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조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석유 에테르/EtOAc, 9/1에서 6/4까지)에 의해 정제하여 시스-에틸 2-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876 m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28e의 합성:
N2 유동 하에 10℃에서, 디-tert-부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948 mg, 4.118 mmol)를 THF (30 mL) 중 3-메톡시-5-니트로페놀 [7145-49-5] (633 mg, 3.743 mmol), 트랜스-에틸 2-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8c (607 mg, 3.743 mmol), 및 PPh3 (1.08 g; 4.118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N2 하에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80 g, 헵탄/EtOAc: 95/5로부터 80/20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트랜스-메틸 2-플루오로-2-((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8e (930 m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28f의 합성:
촉매량의 10% Pd/C (275 mg, 0.259 mmol)를 함유하는, EtOH (20 mL) 및 THF (10 mL) 중 트랜스-메틸 2-플루오로-2-((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8e (810 mg, 2.586 mmol)의 용액을 대기압의 H2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짧은 셀라이트® 패드에서의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EtOH로 수 회 헹구었다. 합한 여과액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트랜스-메틸 2-((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8f (710 mg)를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중간체 28g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8h, 28i, 28j 및 28k로의 분리:
CH3CN (4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927 mg, 2.133 mmol), 트랜스-메틸 2-((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8f (725 mg, 2.559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735 μL, 4.265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EtOAc로 녹였다. 유기 층을 1 N HCl,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40 g, 헵탄/EtOAc: 95/5로부터 80/20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메틸 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트랜스-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8g (550 mg)를 제공하였다. 4가지 입체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20 mm, 이동상: 70% CO2, 30% EtOH)를 통하여 분리하여 28h (118 mg), 28i (114 mg), 28j (158 mg) 및 28k (165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28A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8AA 28AB로의 분리:
LiOH 일수화물 (23.3 mg, 0.556 mmol)을 THF/MeOH/물 (1/1/1) (2 mL) 중 입체이성질체 28h (118 mg, 0.185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 및 얼음으로 희석시키고, 1 N HCl을 이용하여 서서히 산성화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헵탄/디이스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결정화 후, (1R*,2S*)-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28A (110 mg)를 제공하였다 (이 반응 동안, 전 라세미화(full racemization)가 중앙의 키랄 중심에서 일어났다).
두 번째 배치의 화합물 28A (100 mg)를 입체이성질체 28i로부터 출발하여 유사하게 수득하였다. 두 배치를 합하였다. 두 입체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20 mm, 이동상: 65% CO2, 35% EtOH)를 통하여 분리하여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94 mg) 및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80 mg)를 제공하였다.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를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고체화하여 입체이성질체 28AA (47 mg)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를 헵탄으로부터 고체화하여 입체이성질체 28AB (37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28B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8BA 28BB로의 분리:
LiOH 일수화물 (31.2 mg, 0.744 mmol)을 THF/MeOH/물 (1/1/1) (2 mL) 중 입체이성질체 28j (158 mg, 0.248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 및 얼음으로 희석시키고, 1 N HCl을 이용하여 서서히 산성화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MeOH/물로부터의 결정화 후, (1S*,2R*)-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28B (100 mg)를 제공하였다 (이 반응 동안, 전 라세미화가 중앙의 키랄 중심에서 일어났다).
두 번째 배치의 28A (105 mg)를 입체이성질체 28k로부터 출발하여 유사하게 수득하였다.
두 입체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60% CO2, 30% MeOH)를 통하여 분리하여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88 mg) 및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78 mg)를 제공하였다.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를 헵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고체화하여 입체이성질체 28BA (54 mg)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를 헵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고체화하여 입체이성질체 28BB (60 mg)를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 28AA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37 (dt, J=11.7, 7.1 Hz, 1 H) 1.62 - 1.76 (m, 1 H) 2.18 - 2.31 (m, 1 H) 3.07 - 3.23 (m, 2 H) 3.62 (s, 3 H) 3.98 - 4.10 (m, 1 H) 4.15 - 4.29 (m, 1 H) 4.43 (dd, J=18.9, 12.0 Hz, 1 H) 4.48 - 4.57 (m, 1 H) 5.58 (d, J=8.8 Hz, 1 H) 5.78 (s, 1 H) 5.97 (s, 1 H) 5.99 (s, 1 H) 6.49 (br d, J=8.8 Hz, 1 H) 7.01 (br d, J=7.9 Hz, 1 H) 7.33 (d, J=8.2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2 Hz, 2 H) 8.03 (s, 1 H) 12.71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83분, MH+ 609
[α]D 20: -43.3° (c 0.3, DMF)
키랄 SFC (방법 SFC-F): Rt 1.98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28AB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32 - 1.42 (m, 1 H) 1.62 - 1.75 (m, 1 H) 2.24 (dt, J=18.5, 9.2 Hz, 1 H) 3.08 - 3.25 (m, 2 H) 3.62 (s, 3 H) 3.99 - 4.08 (m, 1 H) 4.13 - 4.26 (m, 1 H) 4.39 - 4.57 (m, 2 H) 5.58 (br d, J=8.8 Hz, 1 H) 5.78 (s, 1 H) 5.96 (br s, 1 H) 5.99 (br s, 1 H) 6.49 (br d, J=8.8 Hz, 1 H) 7.01 (br d, J=7.6 Hz, 1 H) 7.33 (br d, J=8.2 Hz, 1 H) 7.44 (br d, J=8.2 Hz, 2 H) 7.55 (br d, J=8.2 Hz, 2 H) 8.03 (br s, 1 H) 12.71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84분, MH+ 609
[α]D 20: +52.5° (c 0.301, DMF)
키랄 SFC (방법 SFC-F): Rt 3.29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28BA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32 - 1.42 (m, 1 H) 1.62 - 1.72 (m, 1 H) 2.18 - 2.29 (m, 1 H) 3.08 - 3.23 (m, 2 H) 3.62 (s, 3 H) 4.04 (td, J=10.4, 7.3 Hz, 1 H) 4.15 - 4.26 (m, 1 H) 4.45 (dd, J=18.8, 11.8 Hz, 1 H) 4.52 (td, J=10.5, 6.1 Hz, 1 H) 5.58 (d, J=8.8 Hz, 1 H) 5.78 (t, J=2.0 Hz, 1 H) 5.96 (s, 1 H) 5.99 (s, 1 H) 6.49 (d, J=9.1 Hz, 1 H) 7.01 (dd, J=8.2, 1.6 Hz, 1 H) 7.33 (d, J=8.2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5 Hz, 2 H) 8.03 (s, 1 H) 12.76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71분, MH+ 609
[α]D 20: -57.1° (c 0.31, DMF)
키랄 SFC (방법 SFC-F): Rt 2.26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28BB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35 (dt, J=11.7, 7.1 Hz, 1 H) 1.59 - 1.71 (m, 1 H) 2.17 - 2.28 (m, 1 H) 3.08 - 3.25 (m, 2 H) 3.62 (s, 3 H) 4.04 (td, J=10.5, 7.1 Hz, 1 H) 4.17 - 4.29 (m, 1 H) 4.43 (dd, J=19.5, 11.7 Hz, 1 H) 4.52 (td, J=10.4, 6.3 Hz, 1 H) 5.59 (d, J=9.1 Hz, 1 H) 5.78 (t, J=1.9 Hz, 1 H) 5.96 (s, 1 H) 5.99 (s, 1 H) 6.49 (d, J=8.8 Hz, 1 H) 7.01 (dd, J=8.0, 1.4 Hz, 1 H) 7.33 (d, J=8.2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2 Hz, 2 H) 8.03 (s, 1 H) 12.79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70분, MH+ 609
[α]D 20: +38.1° (c 0.289, DMF)
키랄 SFC (방법 SFC-F): Rt 3.68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실시예 29 : (1S*,2S*)-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29A)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9AA29AB로의 분리와 (1R*,2R*)-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화합물 29B)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9BA 29BB로의 분리
Figure pct00048
중간체 29a의 합성:
N2 유동 하에 10℃에서, 디-tert-부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750 mg, 3.256 mmol)를 THF (23 mL) 중 3-메톡시-5-니트로페놀 [7145-49-5] (501 mg, 2.96 mmol), 시스-에틸 2-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8d (480 mg, 2.96 mmol), 및 PPh3 (854 mg, 3.256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N2 하에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80 g, 헵탄/EtOAc (70/30))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시스-메틸 2-플루오로-2-((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9a (660 mg)를 제공하였다.
중간체 29b의 합성:
촉매량의 10% Pd/C (207 mg, 0.195 mmol)를 함유하는, EtOH (15 mL) 및 THF (7.5 mL) 중 시스-메틸 2-플루오로-2-((3-메톡시-5-니트로페녹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9a (610 mg, 1.947 mmol)의 용액을 대기압의 H2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짧은 셀라이트® 패드에서의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EtOH로 수 회 헹구었다. 합한 여과액을 증발시켜 시스 -메틸 2-((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9b (560 mg)를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중간체 29c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9d, 29e, 29f 및 29g로의 분리:
CH3CN (3.5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716 mg, 1.647 mmol), 시스-메틸 2-((3-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9b (560 mg, 1.977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568 μL, 3.295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EtOAc로 녹였다. 유기 층을 1 N HCl,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40 g, 헵탄/EtOAc: 95/5로부터 80/20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메틸 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스-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9c (500 mg)를 제공하였다. 4가지 입체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A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65% CO2, 35% EtOH)를 통하여 분리하여 29d+29e의 혼합물(250 mg), 29f (125 mg), 및 29g (114 mg)를 제공하였다. 29D+ 29e의의 혼합물을 키랄 SFC (고정상: 키랄팩® AD-H 5 μm 250 x 30mm, 이동상: 75% CO2, 25% EtOH)를 통하여 추가로 분리하여 29d (88 mg) 및 29e (66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29A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9AA 29AB로의 분리:
LiOH 일수화물 (17.4 mg, 0.414 mmol)을 THF/MeOH/물 (1/1/1) (1 mL) 중 입체이성질체 29d (88 mg, 0.138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 및 얼음으로 희석시키고, 1 N HCl을 이용하여 서서히 산성화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1S*,2S*)-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29A (80 mg)를 제공하였다 (이 반응 동안, 전 라세미화가 중앙의 키랄 중심에서 일어났다).
두 번째 배치의 29A (90 mg)를 입체이성질체 29f로부터 출발하여 유사하게 수득하였다. 두 배치를 합하였다. 두 입체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20 mm, 이동상: 65% CO2, 35% MeOH)를 통하여 분리하고,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4 g, CH2Cl2/MeOH (99/1))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43 mg) 및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40 mg)를 제공하였다.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를 헵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에서 고체화하여 입체이성질체 29AA (29 mg)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를 헵탄/디시오프로필 에테르에서 고체화하여 입체이성질체 29AB (27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29B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29BA 29BB로의 분리:
LiOH 일수화물 (13 mg, 0.311 mmol)을 THF/MeOH/물 (1/1/1) (1 mL) 중 입체이성질체 29e (66 mg, 0.104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물 및 얼음으로 희석시키고, 1 N HCl을 이용하여 서서히 산성화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MeOH/물로부터의 결정화 후, (1R*,2R*)-2-((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2-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29B (60 mg)를 제공하였다 (이 반응 동안, 전 라세미화가 중앙의 키랄 중심에서 일어났다).
두 번째 배치의 29A (100 mg)를 입체이성질체 29g로부터 출발하여 유사하게 수득하였다. 두 배치를 합하였다. 두 입체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20 mm, 이동상: 70% CO2, 30% MeOH)를 통하여 분리하고,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4 g, CH2Cl2/MeOH (99/1))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38 mg) 및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 (31 mg)를 제공하였다. 첫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를 헵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에서 고체화하여 입체이성질체 29BA (24 mg)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용출 입체이성질체를 헵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에서 고체화하여 입체이성질체 29BB (20 mg)를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 29AA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30 - 1.37 (m, 1 H) 1.69 (dt, J=19.7, 6.9 Hz, 1 H) 1.98 - 2.06 (m, 1 H) 3.08 - 3.24 (m, 2 H) 3.63 (s, 3 H) 4.01 - 4.09 (m, 1 H) 4.10 - 4.23 (m, 2 H) 4.48 - 4.57 (m, 1 H) 5.59 (d, J=8.8 Hz, 1 H) 5.81 (s, 1 H) 5.99 (br d, J=5.7 Hz, 2 H) 6.49 (br d, J=8.8 Hz, 1 H) 7.01 (br d, J=7.9 Hz, 1 H) 7.33 (d, J=7.9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2 Hz, 2 H) 8.03 (br s, 1 H) 12.58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67분, MH+ 609
[α]D 20: -15.7° (c 0.242, DMF)
키랄 SFC (방법 SFC-P): Rt 2.53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29AB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29 - 1.38 (m, 1 H) 1.69 (dt, J=19.5, 6.5 Hz, 1 H) 1.97 - 2.10 (m, 1 H) 3.08 - 3.25 (m, 2 H) 3.63 (s, 3 H) 4.00 - 4.10 (m, 1 H) 4.10 - 4.23 (m, 2 H) 4.52 (br d, J=6.0 Hz, 1 H) 5.60 (br d, J=8.8 Hz, 1 H) 5.82 (br s, 1 H) 6.00 (br d, J=6.6 Hz, 2 H) 6.50 (br d, J=8.5 Hz, 1 H) 7.01 (br d, J=7.6 Hz, 1 H) 7.34 (br d, J=7.9 Hz, 1 H) 7.44 (br d, J=8.2 Hz, 2 H) 7.55 (br d, J=8.2 Hz, 2 H) 8.04 (br s, 1 H) 12.58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67분, MH+ 609
[α]D 20: +77.4° (c 0.323, DMF)
키랄 SFC (방법 SFC-P): Rt 4.47분, MH+ 없음, 키랄 순도 99.20%.
입체이성질체 29BA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33 (td, J=9.8, 6.6 Hz, 1 H) 1.69 (dt, J=19.9, 6.9 Hz, 1 H) 2.03 (ddd, J=9.5, 7.1, 3.0 Hz, 1 H) 3.08 - 3.25 (m, 2 H) 3.63 (s, 3 H) 4.05 (td, J=10.3, 7.1 Hz, 1 H) 4.10 - 4.23 (m, 2 H) 4.52 (td, J=10.2, 6.3 Hz, 1 H) 5.59 (d, J=8.8 Hz, 1 H) 5.80 - 5.84 (m, 1 H) 6.00 (br d, J=7.6 Hz, 2 H) 6.49 (br d, J=8.8 Hz, 1 H) 7.01 (dd, J=8.0, 1.4 Hz, 1 H) 7.33 (d, J=8.2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2 Hz, 2 H) 8.03 (s, 1 H) 12.58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67분, MH+ 609
[α]D 20: -74.2° (c 0.302, DMF)
키랄 SFC (방법 SFC-P): Rt 2.37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29BB :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34 (td, J=9.8, 6.6 Hz, 1 H) 1.69 (dt, J=19.9, 6.9 Hz, 1 H) 2.02 (ddd, J=9.5, 7.1, 3.0 Hz, 1 H) 3.09 - 3.25 (m, 2 H) 3.63 (s, 3 H) 4.05 (td, J=10.4, 7.3 Hz, 1 H) 4.10 - 4.22 (m, 2 H) 4.52 (td, J=10.3, 6.5 Hz, 1 H) 5.59 (d, J=8.8 Hz, 1 H) 5.81 (t, J=2.0 Hz, 1 H) 5.96 - 6.03 (m, 2 H) 6.49 (d, J=8.8 Hz, 1 H) 7.01 (dd, J=8.2, 1.6 Hz, 1 H) 7.33 (d, J=8.2 Hz, 1 H) 7.44 (d, J=8.5 Hz, 2 H) 7.55 (d, J=8.2 Hz, 2 H) 8.03 (s, 1 H) 12.58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70분, MH+ 609
[α]D 20: +12.0° (c 0.3, DMF)
키랄 SFC (방법 SFC-P): Rt 3.73분, MH+ 없음, 키랄 순도 99.14%.
실시예 30 : (1s,3s)-3-((3-((1-(4-클로로페닐)-2-(5-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화합물 30)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30A 30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49
화합물 30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30A 및 30B로의 키랄 분리:
화합물 10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를 이용하여 중간체 26f로부터 화합물 30 (105 mg)을 합성하였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키랄셀® OJ-H 5 μm 250 x 20 mm, 이동상: 70% CO2, 30% MeOH)를 통하여 분리하여, CH3CN/물에서의 동결건조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30A (43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30B (47 mg)를 제공하였다.
거울상 이성질체 30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85 - 1.98 (m, 2 H) 2.17 - 2.28 (m, 2 H) 2.53 - 2.59 (m, 1 H) 2.96 (quin, J=8.9 Hz, 1 H) 3.09 - 3.23 (m, 2 H) 3.61 (s, 3 H) 3.72 - 3.81 (m, 2 H) 4.05 (td, J=10.3, 7.4 Hz, 1 H) 4.51 (td, J=10.2, 6.5 Hz, 1 H) 5.56 (d, J=8.8 Hz, 1 H) 5.74 (s, 1 H) 5.93 (s, 2 H) 6.45 (br d, J=8.5 Hz, 1 H) 7.44 (d, J=8.5 Hz, 3 H) 7.54 (d, J=8.5 Hz, 2 H) 8.16 (br d, J=6.9 Hz, 1 H) 11.24 - 13.06 (m, 1 H)
LC/MS (방법 LC-C): Rt 3.08분, MH+ 623
[α]D 20: +42.6° (c 0.298, DMF)
키랄 SFC (방법 SFC-F): Rt 2.91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30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87 - 1.99 (m, 2 H) 2.16 - 2.29 (m, 2 H) 2.53 - 2.59 (m, 1 H) 2.96 (br t, J=8.8 Hz, 1 H) 3.11 - 3.23 (m, 2 H) 3.61 (s, 3 H) 3.77 (br d, J=6.0 Hz, 2 H) 4.05 (td, J=10.2, 7.3 Hz, 1 H) 4.51 (td, J=10.3, 6.5 Hz, 1 H) 5.56 (d, J=8.8 Hz, 1 H) 5.74 (s, 1 H) 5.93 (s, 2 H) 6.45 (br d, J=8.8 Hz, 1 H) 7.44 (br d, J=8.2 Hz, 3 H) 7.54 (d, J=8.5 Hz, 2 H) 8.16 (br d, J=6.9 Hz, 1 H) 11.43 - 12.72 (m, 1 H)
LC/MS (방법 LC-C): Rt 3.07분, MH+ 623
[α]D 20: -44.2° (c 0.217, DMF)
키랄 SFC (방법 SFC-F): Rt 4.10분, MH+ 없음, 키랄 순도 99.09%.
실시예 31 : (1r,3r)-3-((3-((1-(4-클로로페닐)-2-(5-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화합물 31)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31A 31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50
화합물 31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31A 및 31B로의 키랄 분리:
화합물 11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를 이용하여 중간체 26f로부터 화합물 31 (75 mg)을 합성하였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J-H 5 μm 250 x 20 mm, 이동상: 70% CO2, 30% MeOH)를 통하여 분리하여, CH3CN/물에서의 동결건조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31A (23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31B (24 mg)를 제공하였다.
거울상 이성질체 31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90 - 2.03 (m, 2 H) 2.20 - 2.30 (m, 2 H) 2.55 - 2.62 (m, 1 H) 3.07 (br t, J=7.7 Hz, 1 H) 3.12 - 3.24 (m, 2 H) 3.62 (s, 3 H) 3.87 (br d, J=6.9 Hz, 2 H) 4.05 (td, J=10.3, 7.1 Hz, 1 H) 4.51 (td, J=10.4, 6.6 Hz, 1 H) 5.57 (d, J=8.8 Hz, 1 H) 5.78 (s, 1 H) 5.94 (s, 1 H) 5.96 (s, 1 H) 6.45 (d, J=8.8 Hz, 1 H) 7.44 (d, J=8.5 Hz, 3 H) 7.54 (d, J=8.5 Hz, 2 H) 8.16 (br d, J=6.9 Hz, 1 H)
LC/MS (방법 LC-C): Rt 3.07분, MH+ 623
[α]D 20: +43.1° (c 0.255, DMF)
키랄 SFC (방법 SFC-F): Rt 3.25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31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90 - 2.03 (m, 2 H) 2.19 - 2.31 (m, 2 H) 2.55 - 2.62 (m, 1 H) 3.01 - 3.10 (m, 1 H) 3.12 - 3.23 (m, 2 H) 3.62 (s, 3 H) 3.86 (br d, J=6.9 Hz, 2 H) 4.05 (td, J=10.2, 7.3 Hz, 1 H) 4.51 (td, J=10.3, 6.5 Hz, 1 H) 5.57 (d, J=8.8 Hz, 1 H) 5.78 (s, 1 H) 5.94 (s, 1 H) 5.95 (s, 1 H) 6.45 (br d, J=8.8 Hz, 1 H) 7.44 (d, J=8.5 Hz, 3 H) 7.54 (d, J=8.2 Hz, 2 H) 8.15 (br d, J=6.6 Hz, 1 H)
LC/MS (방법 LC-C): Rt 3.07분, MH+ 623
[α]D 20: -43.4° (c 0.244, DMF)
키랄 SFC (방법 SFC-F): Rt 4.85분, MH+ 없음, 키랄 순도 99.09%.
실시예 32 : (1s,3s)-3-(3-((2-(6-클로로-5-메톡시인돌린-1-일)-1-(4-클로로페닐)-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페녹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화합물 32)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32A32B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51
중간체 32a의 합성:
중간체 26f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를 이용하여 6-클로로-5-메톡시인돌린 [CAS 1369041-89-3]으로부터 중간체 32a (3.58 g)를 합성하였다
중간체 32b의 합성:
중간체 8d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를 이용하여 중간체 32a로부터 중간체 32b (210 mg)를 합성하였다.
화합물 32의 합성 및 거울상 이성질체 32A 및 32B로의 키랄 분리:
화합물 28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 절차를 이용하여 중간체 32b로부터 화합물 32 (165 mg)를 합성하였다. 두 거울상 이성질체를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30 mm, 이동상: 50% CO2, 50% EtOH)를 통하여 분리하여, 실리카 겔에서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40 μm; 4 g, CH2Cl2/CH3OH (97/3))를 통한 정제 및 헵탄/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고체화 후, 첫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32A (26 mg) 및 두 번째 용출 거울상 이성질체 32B (31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32: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03 - 2.15 (m, 2 H) 2.57 - 2.66 (m, 2 H) 2.66 - 2.75 (m, 1 H) 3.06 - 3.23 (m, 2 H) 3.61 (s, 3 H) 3.80 (s, 3 H) 3.95 (td, J=10.4, 7.3 Hz, 1 H) 4.43 - 4.52 (m, 2 H) 5.50 (d, J=8.5 Hz, 1 H) 5.65 (t, J=1.9 Hz, 1 H) 5.86 (s, 1 H) 5.93 (s, 1 H) 6.40 (d, J=8.5 Hz, 1 H) 7.10 (s, 1 H) 7.44 (d, J=8.5 Hz, 2 H) 7.54 (d, J=8.5 Hz, 2 H) 8.11 (s, 1 H) 12.26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66분, MH+ 569
거울상 이성질체 32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03 - 2.15 (m, 2 H) 2.57 - 2.66 (m, 2 H) 2.66 - 2.76 (m, 1 H) 3.04 - 3.24 (m, 2 H) 3.57 - 3.64 (m, 3 H) 3.80 (s, 3 H) 3.89 - 4.00 (m, 1 H) 4.42 - 4.54 (m, 2 H) 5.50 (br d, J=8.8 Hz, 1 H) 5.65 (s, 1 H) 5.86 (s, 1 H) 5.93 (s, 1 H) 6.40 (br d, J=8.5 Hz, 1 H) 7.10 (s, 1 H) 7.44 (d, J=8.2 Hz, 2 H) 7.54 (br d, J=8.2 Hz, 2 H) 8.11 (s, 1 H) 12.26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56분, MH+ 569
[α]D 20: -55.4° (c 0.332, DMF)
키랄 SFC (방법 SFC-R): Rt 1.73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거울상 이성질체 32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2.02 - 2.14 (m, 2 H) 2.58 - 2.65 (m, 2 H) 2.66 - 2.74 (m, 1 H) 3.04 - 3.24 (m, 2 H) 3.61 (s, 3 H) 3.80 (s, 3 H) 3.95 (td, J=10.4, 7.3 Hz, 1 H) 4.42 - 4.53 (m, 2 H) 5.50 (d, J=8.5 Hz, 1 H) 5.65 (t, J=2.0 Hz, 1 H) 5.86 (s, 1 H) 5.93 (s, 1 H) 6.40 (d, J=8.5 Hz, 1 H) 7.10 (s, 1 H) 7.44 (d, J=8.5 Hz, 2 H) 7.54 (d, J=8.5 Hz, 2 H) 8.11 (s, 1 H) 12.26 (br s, 1 H)
LC/MS (방법 LC-D): Rt 2.56분, MH+ 569
[α]D 20: +53.4° (c 0.35, DMF)
키랄 SFC (방법 SFC-R): Rt 3.16분, MH+ 없음, 키랄 순도 99.59%.
실시예 33 :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닐)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화합물 33)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33A, 33B, 33C 33D로의 키랄 분리.
Figure pct00052
중간체 33a의 합성:
질소 하에, 건조 EtOH (26 mL) 중 3-메톡시-5-니트로아닐린 [CAS 586-10-7] (0.50 g, 2.973 mmol), 에틸 3-옥소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CAS 87121-89-9] (1.27 g, 8.92 mmol), 및 아세트산 (0.34 mL, 5.947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NaBH3CN (0.374 g, 5.947 m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염수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CH2Cl2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24 g, 헵탄/EtOAc: 85/15로부터 75/25까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에틸 3-((3-메톡시-5-니트로페닐)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33a (820 mg)를 제공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중간체 33b의 합성:
촉매량의 10% Pd/C (300 mg, 0.28 mmol)를 함유하는 EtOH (16 mL) 및 EtOAc (14 mL) 중 에틸 3-((3-메톡시-5-니트로페닐)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33a (820 mg, 2.8 mmol)의 용액을 대기압의 H2 하에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짧은 셀라이트® 패드에서의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EtOAc로 수 회 헹구었다. 합한 여과액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에틸 3-((3-아미노-5-메톡시페닐)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33b (800 mg)를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중간체 33c의 합성:
CH3CN (11 mL) 중 2-브로모-2-(4-클로로페닐)-1-(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타논 1c (0.936 g, 2.154 mmol), 에틸 3-((3-아미노-5-메톡시페닐)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33b (0.74 g, 2.8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742 mL, 4.307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40 g, 헵탄/EtOAc: 85/15로부터 70/30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에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닐)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33c (600 mg)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33의 합성 및 입체이성질체 33A, 33B, 33C 및 33D로의 분리:
물 (5.3 mL) 중 LiOH 일수화물 (0.407 g, 9.71 mmol)의 용액을 THF (12 mL) 중 에틸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닐)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33c (600 mg, 0.97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AcOH로 산성화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톨루엔과 함께 2회 공동-증발시켰다. 정제를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μm, 24 g, CH2Cl2/MeOH: 99/1로부터 96/4까지)에 의해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켰다. 두 번째 정제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고정상: YMC-악투스 트리아트-C18 10 μm 30 x 150 mm, 이동상: 구배: 65% 수성 NH4HCO3 (0.2%), 35% CH3CN으로부터 25% 수성 NH4HCO3 (0.2%), 75% CH3CN까지)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순수 분획을 합하고, 건조상태까지 증발시켜 3-((3-((1-(4-클로로페닐)-2-옥소-2-(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인돌린-1-일)에틸)아미노)-5-메톡시페닐)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화합물 33, 80 mg)을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들을 키랄 SFC (고정상: 키랄셀® OD-H 5 μm 250 x 20 mm, 이동상: 60% CO2, 40% EtOH)를 통하여 분리하여 4개의 분획을 제공하고, 이를 CH3CN/물로부터 냉동 건조시켜 입체이성질체 33A (19 mg), 입체이성질체 33B (24 mg), 입체이성질체 33C (19 mg) 및 입체이성질체 33D (26 mg)를 제공하였다.
입체이성질체 33A: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94 - 2.02 (m, 2 H) 2.43 (ddd, J=11.8, 7.7, 4.1 Hz, 2 H) 2.91 (dt, J=9.5, 4.7 Hz, 1 H) 3.07 - 3.21 (m, 2 H) 3.56 (s, 3 H) 3.78 - 3.88 (m, 1 H) 4.05 (td, J=10.4, 7.3 Hz, 1 H) 4.50 (td, J=10.3, 6.8 Hz, 1 H) 5.38 (d, J=1.9 Hz, 1 H) 5.43 (d, J=8.5 Hz, 1 H) 5.46 (s, 1 H) 5.60 (s, 1 H) 5.63 (d, J=6.3 Hz, 1 H) 6.19 (d, J=8.5 Hz, 1 H) 7.00 (dd, J=8.2, 1.6 Hz, 1 H) 7.33 (d, J=8.2 Hz, 1 H) 7.43 (d, J=8.5 Hz, 2 H) 7.54 (d, J=8.5 Hz, 2 H) 8.03 (s, 1 H)
LC/MS (방법 LC-C): Rt 2.86분, MH+ 590
[α]D 20: -26.2° (c 0.248, DMF)
키랄 SFC (방법 SFC-I): Rt 1.48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33B: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82 - 1.95 (m, 2 H) 2.41 - 2.47 (m, 2 H) 2.68 (br t, J=8.5 Hz, 1 H) 3.08 - 3.21 (m, 2 H) 3.56 (s, 3 H) 3.62 (br dd, J=15.4, 8.2 Hz, 1 H) 4.06 (td, J=10.3, 7.1 Hz, 1 H) 4.46 - 4.56 (m, 1 H) 5.41 (s, 1 H) 5.43 (br d, J=8.5 Hz, 1 H) 5.50 (s, 1 H) 5.60 (s, 2 H) 6.14 (br d, J=8.8 Hz, 1 H) 7.01 (br d, J=8.2 Hz, 1 H) 7.33 (d, J=8.2 Hz, 1 H) 7.43 (d, J=8.5 Hz, 2 H) 7.54 (d, J=8.5 Hz, 2 H) 8.03 (s, 1 H)
LC/MS (방법 LC-C): Rt 2.84분, MH+ 590
[α]D 20: -27.9° (c 0.248, DMF)
키랄 SFC (방법 SFC-I): Rt 2.20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33C: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93 - 2.03 (m, 2 H) 2.41-2.46 (m, 2 H) 2.82 - 2.95 (m, 1 H) 3.07 - 3.21 (m, 2 H) 3.56 (s, 3 H) 3.78 - 3.88 (m, 1 H) 4.00 - 4.11 (m, 1 H) 4.45 - 4.56 (m, 1 H) 5.37 (s, 1 H) 5.40 - 5.49 (m, 2 H) 5.58 - 5.66 (m, 2 H) 6.19 (br d, J=8.5 Hz, 1 H) 7.00 (br d, J=6.6 Hz, 1 H) 7.32 (br d, J=8.2 Hz, 1 H) 7.43 (d, J=8.5 Hz, 2 H) 7.54 (d, J=8.2 Hz, 2 H) 8.02 (br s, 1 H)
LC/MS (방법 LC-C): Rt 2.86분, MH+ 590
[α]D 20: +26.7° (c 0.221, DMF)
키랄 SFC (방법 SFC-I): Rt 2.91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입체이성질체 33D:
1H NMR (500 MHz, DMSO-d 6) δ ppm 1.78 - 1.96 (m, 2 H) 2.40 - 2.47 (m, 2 H) 2.65 - 2.71 (m, 1H) 3.08 - 3.21 (m, 2 H) 3.56 (s, 3 H) 3.58 - 3.67 (m, 1 H) 4.06 (td, J=10.2, 7.3 Hz, 1 H) 4.44 - 4.56 (m, 1 H) 5.38 - 5.46 (m, 2 H) 5.50 (s, 1 H) 5.60 (s, 2 H) 6.14 (br d, J=8.8 Hz, 1 H) 7.00 (br d, J=6.9 Hz, 1 H) 7.33 (d, J=8.2 Hz, 1 H) 7.43 (d, J=8.5 Hz, 2 H) 7.54 (d, J=8.5 Hz, 2 H) 8.03 (s, 1 H)
LC/MS (방법 LC-C): Rt 2.84분, MH+ 590
[α]D 20: +23.4° (c 0.295, DMF)
키랄 SFC (방법 SFC-I): Rt 5.35분, MH+ 없음, 키랄 순도 100%.
[표]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Figure pct00062
Figure pct00063
Figure pct00064
Figure pct00065
Figure pct00066
Figure pct00067
Figure pct00068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
DENV -2 항바이러스 분석
본 발명의 모든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강화 녹색 형광 단백질(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eGPF)로 표지된 DENV-2 16681 주에 대하여 테스트하였다. 배양 배지는 2%의 열-불활성화 송아지 태아 혈청, 0.04%의 겐타마이신 (50 mg/mL) 및 2 mM의 L-글루타민이 보충된 최소 필수 배지로 이루어져 있다. ECACC로부터 획득한 베로(Vero) 세포를 배양 배지에 현탁시키고, 25 μL를 384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는데(2500개의 세포/웰), 상기 플레이트는 항바이러스 화합물을 이미 포함하고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플레이트는 100% DMSO (200 nL) 중 최종 농도의 200배의 테스트 화합물의 9개의 희석 단계의 5배 연속 희석물을 포함한다. 게다가, 각각의 화합물 농도를 사중으로 테스트한다(최종 농도 범위: 25 μM ~ 0.000064 μM 또는 2.5 μM ~ 0.0000064 μM(가장 활성이 큰 화합물의 경우 )). 마지막으로, 각각의 플레이트는 바이러스 대조구(화합물의 부재 하에 세포 및 바이러스를 포함함), 세포 대조구(바이러스 및 화합물의 부재 하에 세포를 포함함) 및 배지 대조구(세포, 바이러스 및 화합물의 부재 하에 배지를 포함함)로서 할당되는 웰을 포함한다. 배지 대조구로 할당된 웰에 25 μL의 배양 배지를 베로 세포 대신 첨가하였다. 일단 세포를 플레이트에 첨가하였으면,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세포가 웰 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였다. 다음, 플레이트를 충분히 가습된 인큐베이터(37℃, 5% CO2)에서 다음날까지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eGFP로 표지한 DENV-2 주 16681을 0.5의 감염 다중도(multiplicity of infection; MOI)로 첨가하였다. 따라서, 15 μL의 바이러스 현탁물을 테스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모든 웰 및 바이러스 대조구로 할당된 웰에 첨가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15 μL의 배양 배지를 배지 대조구 및 세포 대조구에 첨가하였다. 다음, 플레이트를 충분히 가습된 인큐베이터(37℃, 5% CO2)에서 3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판독일에, eGFP 형광을 488 nm(청색 레이저)에서 자동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내부 LIMS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각의 화합물에 있어서의 억제 용량 반응 곡선을 계산하고, 반치 최대 유효 농도(EC50)를 결정하였다. 따라서, 모든 테스트 농도에 있어서의 억제 퍼센트(I)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I = 100*(ST-SCC)/(SVC-SCC); ST, SCC 및 SVC는 각각 테스트 화합물, 세포 대조 웰 및 바이러스 대조 웰에서의 eGFP 신호의 양이다. EC50은 바이러스 대조구와 비교하여 eGFP 형광 강도가 50% 감소되는 것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바이러스 복제가 50% 억제되는 화합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EC50을 선형 내삽을 이용하여 계산한다(표 1).
이와 병행하여, 화합물의 독성을 상기 플레이트에서 평가하였다. 일단 eGFP 신호의 판독이 행해졌으면, 40 μL의 ATPlite(세포 생존성에 대한 염색제(cell viability stain))를 384웰 플레이트의 모든 웰에 첨가하였다. ATP는 모든 대사적 활성 세포에 존재하며, 그 농도는 세포가 괴사 또는 아폽토시스(apoptosis)를 겪을 때 매우 빠르게 감소한다. ATPLite 분석 시스템은 ATP와 첨가된 루시퍼라아제 및 D-루시페린의 반응에 의해 야기되는 광의 생성을 기반으로 한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음, 플레이트를 뷰룩스(ViewLux)에서 측정하였다. 발광 신호를 세포 대조 웰의 것과 비교하여 50% 감소시키는 데 요구되는 농도로서 정의되는 반치 최대 세포독성 농도(CC50)를 또한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택도 지수(selectivity index; SI)를 화합물에 대하여 결정하였으며, 이를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SI = CC50/EC50.
[표 1]
Figure pct00069
Figure pct00070
Figure pct00071
Figure pct00072
정량적 4가 역전사효소 - PCR (reverse transcriptase quantitative- PCR ; RT-qPCR) 분석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RT-qPCR 분석에서 DENV-1 주 TC974#666(NCPV), DENV-2 주 16681, DENV-3 주 H87(NCPV) 및 DENV-4 주 H241(NCPV)에 대하여 테스트하였다. 따라서, 베로 세포를 테스트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DENV-1, 또는 -2, 또는 -3, 또는 -4 중 어느 하나로 감염시켰다. 감염 후 제3일에, 상기 세포를 용해시키고, 세포 용해물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표적(DENV의 3'UTR; 표 2) 및 세포 기준 유전자(β-액틴, 표 2) 둘 다의 cDNA를 제조하였다. 후속적으로, 듀플렉스(duplex) 실시간 PCR을 라이트사이클러480(Lightcycler480) 기기에서 수행하였다. 생성된 Cp 값은 이들 표적의 RNA 발현의 양에 반비례한다. 테스트 화합물에 의한 DENV 복제의 억제는 3'UTR 유전자에 있어서 Cp의 이동(shift)으로 이어진다. 반면에, 테스트 화합물이 세포에 유독한 경우, β-액틴 발현에 대한 유사한 영향이 관찰될 것이다. 비교용 ΔΔCp 방법을 이용하여 EC50을 계산하는데, 이는 세포 항존 유전자(housekeeping gene)(β-액틴)를 이용하여 정규화한 표적 유전자(3'UTR)의 상대적인 유전자 발현을 기반으로 한다. 게다가, 항존 유전자 β-액틴에 대하여 얻어진 Cp 값을 기반으로 하여 CC50 값을 결정한다.
[표 2]
Figure pct00073
배양 배지는 2%의 열-불활성화 송아지 태아 혈청, 0.04%의 겐타마이신 (50 mg/mL) 및 2 mM의 L-글루타민이 보충된 최소 필수 배지로 이루어졌다. ECACC로부터 획득한 베로 세포를 배양 배지에 현탁시키고, 웰당 75 μL를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는데(10000개의 세포/웰), 상기 플레이트는 항바이러스 화합물을 이미 포함하고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플레이트는 100% DMSO 중 최종 농도의 200배의 테스트 화합물의 9개의 희석 단계의 5배 연속 희석물을 포함한다(500 nL; 최종 농도 범위: 25 μM ~ 0.000064 μM 또는 2.5 μM ~ 0.0000064 μM(가장 활성이 큰 화합물의 경우 )). 게다가, 각각의 플레이트는 바이러스 대조구(화합물의 부재 하에 세포 및 바이러스를 포함함) 및 세포 대조구(바이러스 및 화합물의 부재 하에 세포를 포함함)로서 할당되는 웰을 포함한다. 일단 세포를 플레이트에 첨가하였으면, 플레이트를 완전히 가습된 인큐베이터(37℃, 5% CO2)에서 다음날까지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분석에서 대략 22 내지 24의 Cp를 얻기 위하여 뎅기 바이러스 혈청형-1, 2, 3 및 4를 희석시켰다. 따라서, 25 μL의 바이러스 현탁물을 테스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모든 웰 및 바이러스 대조구로 할당된 웰에 첨가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25 μL의 배양 배지를 세포 대조구에 첨가하였다. 다음, 플레이트를 충분히 가습된 인큐베이터(37℃, 5% CO2)에서 3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3일 후, 상청액을 웰로부터 제거하고, 세포를 빙냉 PBS (대략 100 μL)로 2회 세척하였다. 96웰 플레이트 내의 세포 펠렛을 1일 이상 동안 -80℃에서 보관하였다. 다음, RNA를 제조업자의 지침 (라이프 테크놀로지즈(Life Technologies))에 따라 셀즈-투-씨티(Cells-to-CT)TM 용해 키트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세포 용해물을 -80℃에서 보관하거나 역전사 단계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다.
역전사 단계의 준비에서, 믹스(mix) A(표 3A)를 제조하고, 웰당 7.57 μL를 96웰 플레이트 내에 분배하였다. 5 μL의 세포 용해물의 첨가 후, 75℃에서의 5분 변성 단계를 수행하였다(표 3B). 그 후 7.43 μL의 믹스 B를 첨가하고(표 3C), 역전사 단계를 개시하여(표 3D) cDNA를 생성하였다.
마지막으로, RT-qPCR 믹스를 제조하고(믹스 C(표 4A)), 22.02 μL/웰을 96웰 라이트사이클러 qPCR용 플레이트 내에 분배하고, 여기에 3 μL의 cDNA를 첨가하고, qPCR을 표 4B의 조건에 따라 라이트사이클러 480에서 수행하였다.
라이트사이클러 소프트웨어 및 내부 LIMS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각의 화합물의 용량 반응 곡선을 계산하고, 반치 최대 유효 농도(EC50) 및 반치 최대 세포독성 농도(CC50)를 결정하였다(표 5 내지 표 8).
[표 3]
Figure pct00074
[표 4]
Figure pct00075
[표 5]
Figure pct00076
Figure pct00077
Figure pct00078
[표 6]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표 7]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표 8]
Figure pct00083
Figure pct00084
SEQUENCE LISTING <110> Janssen Pharmaceuticals, Inc.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120> Substituted indoline derivatives as dengue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130> TIP 373-PCT <150> EP17172237.4 <151> 2017-05-22 <160> 14 <170> BiSSAP 1.3.6 <210> 1 <211> 19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1 cggttagagg agacccctc 19 <210> 2 <211> 21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2 gagacagcag gatctctggt c 21 <210> 3 <211> 28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3 aaggactaga ggttagagga gacccccc 28 <210> 4 <211> 18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4 ggccaggtca tcaccatt 18 <210> 5 <211> 21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5 atgtccacgt cacacttcat g 21 <210> 6 <211> 21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6 ttccgctgcc ctgaggctct c 21 <210> 7 <211> 20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7 tcggagccgg agtttacaaa 20 <210> 8 <211> 20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8 tcttaacgtc cgcccatgat 20 <210> 9 <211> 19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9 attccacaca atgtggcat 19 <210> 10 <211> 23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10 ggatagacca gagatcctgc tgt 23 <210> 11 <211> 20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11 cattccattt tctggcgttc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12 caatccatct tgcggcgctc 20 <210> 13 <211> 20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13 cagcatcatt ccaggcacag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Dengue virus <400> 14 caacatcaat ccaggcacag 20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의 임의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함),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다형체:
    [화학식 I]
    Figure pct00085

    [여기서,
    R1은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또는 클로로이며;
    R2는 수소, 플루오로, 또는 메톡시이며;
    R3은 수소, 또는 메톡시이며;
    A는 -(CH2)n-(여기서, n은 3 또는 4임);
    -O-(CH2)n-(여기서, n은 2 또는 4임);
    -O-(CH2)n-(여기서, n은 3이며, 1개 또는 2개의 CH2는 1개 또는 2개의 CH3으로 치환됨);
    Figure pct00086
    또는
    Figure pct00087

    -CH2-O-(CH2)n-(여기서, n은 2임); 또는
    -X-Y-(여기서, X는 -O-, -OCH2-, 또는 -NH-이며;
    Y는 플루오로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3- 4시클로알킬이거나,
    Y는 바이시클로[1.1.1]펜타닐임)를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Figure pct00088

    Figure pct00089

    Figure pct00090
  3. 제1항에 있어서, 용매로서 DMF에서 측정할 경우 (+) 비선광도를 갖는 화합물.
  4. 제3항에 있어서,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Figure pct00091

    Figure pct00092

    Figure pct00093
  5. 제1항에 있어서, R1은 트리플루오로메톡시이며, R2는 수소이며, R3은 수소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A는 -(CH2)n-(여기서, n은 3 또는 4임)을 나타내는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A는 -O-(CH2)n-(여기서, n은 2 또는 4임)을 나타내는 화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A는 -O-(CH2)n-(여기서, n은 3이며, 1개 또는 2개의 CH2는 1개 또는 2개의 CH3으로 치환됨)이거나; A는
    Figure pct00094
    또는
    Figure pct00095
    를 나타내는 화합물.
  9. 제1항에 있어서, A는 -X-Y-(여기서, X는 -O-, -OCH2-, 또는 -NH-이며; Y는 플루오로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3- 4시클로알킬임)를 나타내는 화합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부형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또는 추가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 또는 추가 활성 성분은 항바이러스제인 제약 조성물.
  13. 약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14. 뎅기 감염의 치료 및 뎅기 감염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15. 제14항에 있어서, 뎅기 감염은 DENV-1, DENV-2, DENV-3 또는 DENV-4 주(strain)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인 화학식 I의 화합물.
KR1020197036401A 2017-05-22 2018-05-18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의 치환 인돌린 유도체 KR102625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72237.4 2017-05-22
EP17172237 2017-05-22
PCT/EP2018/063028 WO2018215315A1 (en) 2017-05-22 2018-05-18 Substituted indoline derivatives as dengue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027A true KR20200009027A (ko) 2020-01-29
KR102625988B1 KR102625988B1 (ko) 2024-01-16

Family

ID=5874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401A KR102625988B1 (ko) 2017-05-22 2018-05-18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의 치환 인돌린 유도체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2) US11407715B2 (ko)
EP (1) EP3630723B1 (ko)
JP (1) JP7203764B2 (ko)
KR (1) KR102625988B1 (ko)
CN (1) CN110691773B (ko)
AR (1) AR111878A1 (ko)
AU (1) AU2018274100B2 (ko)
BR (1) BR112019024195A2 (ko)
CA (1) CA3060583A1 (ko)
CL (1) CL2019003294A1 (ko)
CO (1) CO2019012035A2 (ko)
CR (1) CR20190530A (ko)
EA (1) EA201992782A1 (ko)
EC (1) ECSP19083640A (ko)
ES (1) ES2929667T3 (ko)
IL (1) IL270726B2 (ko)
MA (1) MA48943A (ko)
MX (1) MX2019013893A (ko)
NI (1) NI201900119A (ko)
PE (1) PE20200604A1 (ko)
PH (1) PH12019502559A1 (ko)
TW (1) TWI758480B (ko)
UA (1) UA125407C2 (ko)
UY (1) UY37742A (ko)
WO (1) WO2018215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16559D0 (en) 2011-09-26 2011-11-09 Univ Leuven Kath Novel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JOP20160086B1 (ar) 2015-05-08 2021-08-17 2 Katholieke Univ Leuven Ku Leuven Research And Development مشتقات اندول مستبدلة احاديا او ثنائيا بصفتها مانعات للتكاثر الفيروسي لحمى الفنك
JO3633B1 (ar) 2015-09-16 2020-08-27 Katholieke Univ Leuven Ku Leuven Research & Development مشتقات اندول مستبدلة احاديا او ثنائيا بصفتها مانعات للتكاثر الفيروسي لحمى الفنك
JOP20160198B1 (ar) 2015-09-16 2022-03-14 Janssen Pharmaceuticals Inc مشتقات اندول مستبدلة احاديا او ثنائيا بصفتها مانعات للتكاثر الفيروسي لحمى الفنك
CR20180496A (es) 2016-03-31 2018-12-06 Univ Leuven Kath Derivados de indolina sustituidos como inhibidores de la replicación vírica de dengue
AU2017242893A1 (en) 2016-03-31 2018-08-09 Janssen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indole derivatives as dengue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JOP20170069B1 (ar) 2016-04-01 2021-08-17 1 Janssen Pharmaceuticals Inc مشتقات اندولين مستبدلة بصفتها مانعات للتكاثر الفيروسي لحمى الفنك
KR102359766B1 (ko) 2016-04-01 2022-02-07 얀센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 치환된 인돌 화합물 유도체
JOP20180026A1 (ar) 2017-03-31 2019-01-30 Univ Leuven Kath مشتقات اندولين مستبدلة بصفتها مانعات للتكاثر الفيروسي لحمى الفنك
JOP20180025B1 (ar) 2017-03-31 2021-08-17 Janssen Pharmaceuticals Inc مشتقات اندولين مستبدلة بصفتها مانعات للتكاثر الفيروسي لحمى الفنك
CN110753682B (zh) 2017-05-22 2023-06-30 杨森制药公司 作为登革热病毒复制抑制剂的经取代的吲哚啉衍生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5516A1 (en) * 2011-09-26 2013-04-04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WO2016050841A1 (en) * 2014-10-01 2016-04-07 Janssen Pharmaceuticals, Inc. Mono- or di-substituted indole derivatives as dengue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96286T1 (de) 1997-10-27 2005-06-15 Lilly Co Eli Morpholino-n-ethyl ester prodrogen von indol spla 2 hemmer
GB0110832D0 (en) 2001-05-03 2001-06-27 Virogen Ltd Antiviral compounds
CA2468202A1 (en) 2001-12-12 2003-06-19 Conforma Therapeutics Corporation Assays and implements for determining and modulating hsp90 binding activity
GB0215293D0 (en) 2002-07-03 2002-08-14 Rega Foundation Viral inhibitors
US20060211698A1 (en) 2005-01-14 2006-09-21 Genelabs, Inc. Bicyclic heteroaryl derivatives for treating viruses
MX2007009561A (es) 2005-02-09 2008-01-14 Migenix Inc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tratar o evitar infecciones de flaviviridae.
BRPI0909985A2 (pt) 2008-06-03 2015-08-25 Siga Technologies Inc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método para o tratamento ou profilaxia de uma infecção viral ou doença associada à mesma
ES2612731T3 (es) 2008-08-19 2017-05-18 Janssen Pharmaceutica Nv Antagonistas de receptores al frío de mentol
TWI453207B (zh) 2008-09-08 2014-09-21 Signal Pharm Llc 胺基三唑并吡啶,其組合物及使用其之治療方法
EP2393359A4 (en) 2009-02-09 2012-10-03 Enanta Pharm Inc COMPOUND DIBENZIMIDAZOLE DERIVATIVES
GB0910003D0 (en) 2009-06-11 2009-07-22 Univ Leuven Kath Novel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US8993604B2 (en) 2009-06-30 2015-03-31 Siga Technologies, Inc.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ngue virus infections
US7948798B1 (en) 2009-07-22 2011-05-24 Marvell International Ltd. Mixed multi-level cell and single level cell storage device
JP5777223B2 (ja) 2010-01-15 2015-09-09 ギリアード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ラビウイルス科ウイルスのインヒビター
JP2013523657A (ja) 2010-03-26 2013-06-17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インダゾリル‐ピリミジン
JP5716205B2 (ja) 2011-03-29 2015-05-13 学校法人日本大学 グルコシダーゼ活性阻害用組成物及びそ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WO2013044516A1 (zh) * 2011-09-30 2013-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拨号的方法及装置
GB201305376D0 (en) 2013-03-25 2013-05-08 Univ Leuven Kath Novel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US9567299B2 (en) 2013-10-23 2017-02-14 Janssen Sciences Ireland Uc Carboxamide derivatives and the use thereof as medicament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B
WO2015116886A1 (en) 2014-01-31 2015-08-0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acrocycles with hetrocyclic p2' groups as factor xia inhibitors
WO2016050831A1 (en) 2014-10-01 2016-04-07 Janssen Pharmaceuticals, Inc. Mono- or di-substituted indoles as dengue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NO2721243T3 (ko) 2014-10-01 2018-10-20
JOP20150335B1 (ar) 2015-01-16 2022-03-14 Janssen Pharmaceuticals Inc مشتقات اندول بصفتها مانعات للتكاثر الفيروسي لحمى الفنك
AR103680A1 (es) 2015-02-23 2017-05-24 Lilly Co Eli Inhibidores selectivos de bace1
JOP20160086B1 (ar) * 2015-05-08 2021-08-17 2 Katholieke Univ Leuven Ku Leuven Research And Development مشتقات اندول مستبدلة احاديا او ثنائيا بصفتها مانعات للتكاثر الفيروسي لحمى الفنك
JOP20160198B1 (ar) 2015-09-16 2022-03-14 Janssen Pharmaceuticals Inc مشتقات اندول مستبدلة احاديا او ثنائيا بصفتها مانعات للتكاثر الفيروسي لحمى الفنك
JO3633B1 (ar) 2015-09-16 2020-08-27 Katholieke Univ Leuven Ku Leuven Research & Development مشتقات اندول مستبدلة احاديا او ثنائيا بصفتها مانعات للتكاثر الفيروسي لحمى الفنك
ES2907686T3 (es) 2015-11-03 2022-04-26 Zoetis Services Llc Compuestos poliméricos sol-gel y sus usos
AR108012A1 (es) 2016-03-31 2018-07-04 Takeda Pharmaceuticals Co Derivados de azaespiro[3,4]octan-6-ona como inhibidores de magl
AU2017242893A1 (en) 2016-03-31 2018-08-09 Janssen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indole derivatives as dengue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CR20180496A (es) 2016-03-31 2018-12-06 Univ Leuven Kath Derivados de indolina sustituidos como inhibidores de la replicación vírica de dengue
NZ746554A (en) 2016-04-01 2023-03-31 Signal Pharm Llc Substituted aminopurine compounds, compositions thereof, and methods of treatment therewith
KR102359766B1 (ko) 2016-04-01 2022-02-07 얀센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 치환된 인돌 화합물 유도체
WO2017173410A1 (en) 2016-04-01 2017-10-05 Amgen Inc. Chimeric receptors to flt3 and methods of use thereof
MX2018012016A (es) 2016-04-01 2019-01-24 Basf Se Compuestos biciclicos.
JOP20170069B1 (ar) 2016-04-01 2021-08-17 1 Janssen Pharmaceuticals Inc مشتقات اندولين مستبدلة بصفتها مانعات للتكاثر الفيروسي لحمى الفنك
KR20200068750A (ko) 2016-04-01 2020-06-15 카이트 파마 인코포레이티드 키메라 수용체 및 그의 사용 방법
AU2017240667C1 (en) 2016-04-01 2022-11-24 Kite Pharma, Inc. Chimeric antigen and T cell receptors and methods of use
JOP20180025B1 (ar) 2017-03-31 2021-08-17 Janssen Pharmaceuticals Inc مشتقات اندولين مستبدلة بصفتها مانعات للتكاثر الفيروسي لحمى الفنك
JOP20180026A1 (ar) 2017-03-31 2019-01-30 Univ Leuven Kath مشتقات اندولين مستبدلة بصفتها مانعات للتكاثر الفيروسي لحمى الفنك
CN110753682B (zh) 2017-05-22 2023-06-30 杨森制药公司 作为登革热病毒复制抑制剂的经取代的吲哚啉衍生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5516A1 (en) * 2011-09-26 2013-04-04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WO2016050841A1 (en) * 2014-10-01 2016-04-07 Janssen Pharmaceuticals, Inc. Mono- or di-substituted indole derivatives as dengue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125407C2 (uk) 2022-03-02
CN110691773B (zh) 2023-06-23
NI201900119A (es) 2020-03-23
IL270726B1 (en) 2023-01-01
AU2018274100A1 (en) 2019-11-21
AR111878A1 (es) 2019-08-28
CA3060583A1 (en) 2018-11-29
CR20190530A (es) 2020-01-24
BR112019024195A2 (pt) 2020-06-23
US20220340522A1 (en) 2022-10-27
MA48943A (fr) 2021-04-28
ECSP19083640A (es) 2019-11-30
AU2018274100B2 (en) 2022-06-23
US11795149B2 (en) 2023-10-24
TW201908291A (zh) 2019-03-01
JP7203764B2 (ja) 2023-01-13
UY37742A (es) 2018-11-30
EA201992782A1 (ru) 2020-03-24
CL2019003294A1 (es) 2020-03-20
CO2019012035A2 (es) 2020-01-17
MX2019013893A (es) 2020-01-20
US11407715B2 (en) 2022-08-09
TWI758480B (zh) 2022-03-21
IL270726B2 (en) 2023-05-01
JP2020520946A (ja) 2020-07-16
CN110691773A (zh) 2020-01-14
WO2018215315A1 (en) 2018-11-29
EP3630723A1 (en) 2020-04-08
ES2929667T3 (es) 2022-11-30
PE20200604A1 (es) 2020-03-10
PH12019502559A1 (en) 2021-01-25
EP3630723B1 (en) 2022-08-24
KR102625988B1 (ko) 2024-01-16
US20200255376A1 (en) 2020-08-13
IL270726A (en)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988B1 (ko)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의 치환 인돌린 유도체
KR102556222B1 (ko)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의 치환 인돌린 유도체
JP7203752B2 (ja) デングウイルス複製阻害剤としての置換インドリン誘導体
KR102359735B1 (ko)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의 치환 인돌린 유도체
KR102359776B1 (ko)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의 치환 인돌린 유도체
KR102478311B1 (ko)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의 1치환 또는 2치환 인돌 유도체
KR20200010355A (ko)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의 치환 인돌린 유도체
EP3436435B1 (en) Substituted indole derivatives as dengue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KR20180051563A (ko)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의 1치환 또는 2치환 인돌 유도체
KR20170103820A (ko) 뎅기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의 인돌 유도체
CA3060583C (en) Substituted indoline derivatives as dengue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OA19488A (en) Substituted indoline derivatives as dengue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EA041349B1 (ru) Замещен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индолина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репликации вирусов денг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