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487A - 쿠션강도가 다른 언밸런스 쿠션 매트 - Google Patents

쿠션강도가 다른 언밸런스 쿠션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487A
KR20200008487A KR1020180121346A KR20180121346A KR20200008487A KR 20200008487 A KR20200008487 A KR 20200008487A KR 1020180121346 A KR1020180121346 A KR 1020180121346A KR 20180121346 A KR20180121346 A KR 20180121346A KR 20200008487 A KR20200008487 A KR 20200008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cushion
mat member
spong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덕
석 영 정
Original Assignee
이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덕 filed Critical 이재덕
Publication of KR20200008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상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쿠션 강도를 위치별로 조절 설정이 가능한 쿠션매트 기술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침구용 매트에서 부위별로 쿠션의 강도를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양면이 서로 상이한 쿠션강도를 가지는 구성을 복수개로 이어서 배열하되, 상면은 경질스펀지이고 하면은 연질스펀지로서 서로 다른 쿠션 강도를 형성하는 매트 구조를 개시한다. 양면이 경질스펀지 또는 연질스펀지로 된 매트를 복수개로 이어서 배열할 수도 있다.
단일 쿠션매트 내에서 사람의 측방향 좌 또는 우로 쿠션강도를 상이하게 설정한 경우 한 사람이 그날그날의 기분과 컨디션에 따라 위치를 바꿔가며 적합한 쿠션강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성과 편의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쿠션강도가 다른 언밸런스 쿠션 매트{Unbalance cushion mat with different cushioning strength}
본 발명은 침상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쿠션 강도를 위치별로 다르게 설정 가능한 쿠션매트 기술이다.
쿠션매트는 방바닥이나 침대 위에서 안락감을 높이기 위한 침구의 일종으로 사용된다. 침구용으로는 주로 스펀지, 라텍스 등을 사용하되 그 위에 안착되는 사람이나 물건의 무게에 따라 압력 강도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펀지의 경우 발포 밀도에 따라 쿠션의 강도가 결정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강한 밀도의 구조로 발포 성형된 것을 경질스펀지라 하고, 그보다 무른 밀도로 발포 형성한 것을 연질스펀지라 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경질스펀지로 된 매트는 어른이 눕거나 엎드려서 움직일 때 약간 딱딱한 감이 느껴지는 정도의 기능을 하게 되므로 매트 위에서 성인의 활동 등 운신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으며, 연질스펀지로 된 매트는 어린아이 등을 침구에 뉘었을 때 뒤척이더라도 잘 굴러 떨어지지 않는 안전을 제공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연질스펀지 구조는 사람의 그날그날 기분에 따라 소프트한 느낌을 제공하기도 하므로, 본 발명은 하나의 일체화 된 침구용 매트에서 서로 다른 쿠션을 형성함으로써 용도에 맞추어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착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침구용 매트에서 부위별로 쿠션의 강도를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장 제조 후, 좌우상하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쿠션매트의 강도의 위치를 바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기술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매트는 제 1 매트부재; 및 상기 제 1 매트부재와 상하로 배열된 제 2 매트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매트부재는 특정 기준값 이상의 밀도를 가지는 경질매트부재이며, 상기 제 2 매트 부재는 상기 특정 기준값보다 작은 밀도를 가지는 연질매트부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쿠션매트는 제 1 매트부재; 및 평면 상에 상기 제 1 매트부재와 나란히 배열된 제 2 매트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매트부재는 특정 기준값 이상의 밀도를 가지는 경질매트부재이며, 상기 제 2 매트 부재는 상기 특정 기준값보다 작은 밀도를 가지는 연질매트부재이다.
단일 쿠션매트 내에서 사람의 측방향 좌 또는 우로 쿠션강도를 상이하게 설정한 경우 사람의 그날그날 기분과 컨디션에 따라 위치를 바꿔가며 적합한 쿠션강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인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이하게 배열된 쿠션 강도의 경우는 사람의 인체 부위별로 강도가 달라짐으로써 치료 내지 힐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처럼 양면에서 각각 다른 쿠션강도는 쿠션매트를 적절하게 뒤집기 함에 따라 동일한 경질스펀지 강도로 배치하거나 연질스펀지강도로 배치하거나 또는 좌우상하로 각각 다른 경질스펀지 및 연질스펀지의 혼합 매트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용성과 편의성 있는 매트를 사용 당시의 상황에서 신속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복수개를 이어서 구성하는 원리상 상하면이 동일한 쿠션강도의 매트, 즉 경질스펀지 구조와 연질스펀지 구조의 각각 다른 매트를 복수개로 이어서 구성하면 위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하나의 매트에서 상면과 하면이 서로 다른 쿠션 강도를 가짐을 원리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의 (a), (b), (c), (d)는 도 1로 개시된 매트가 인체에 대하여 좌우로 두 개 나란히 이어져서 서로 다른 쿠션의 침구를 만드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두 개 이상의 매트가 인체에 대하여 상하로 나란히 이어져서 인체의 부위별로 서로 다른 쿠션을 제공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침상 위에 배치하여 평면상 상이한 쿠션의 침상을 구성한 실시일례를 나타낸 사진.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기술적 원리를 설명하려는 것이므로, 이하 개시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양면이라 함은 침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의미하는 것인데 상단부를 의미하는 상면과 하단부를 의미하는 하면은 본 발명의 원리에서 서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용어가 지칭하는 방향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하나의 매트(100)에서 상면(10)과 하면(20)이 서로 다른 쿠션 강도를 가짐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상면이라는 것은 뒤집을 때 하면이 되는 것이므로 반드시 상면으로 특징적 성질이 고착되는 것이 아님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은 침구용 쿠션매트에 있어서, 앞면과 뒷면이 서로 상이한 쿠션강도를 가지는 원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때 상면(10)은 예를 들어 어른용 쿠션 강도로 발포된 경질스펀지이며, 하면(20)은 저체중의 인체에 더 적합하도록, 예를 들어 어린이용 쿠션 강도로서 상기 경질스펀지보다는 무른 밀도로 발포 제조된 연질스펀지이다. 상기 경질스펀지와 연질스펀지는 접착제 또는 고주파로 밀착하거나 봉제 접합된 하나의 커버(주머니) 속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통풍 가능한 망사 형태이거나 바람이 밀폐되는 보료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스펀지가 상기 망사 형태의 커버에 포함되어 제 1 매트를 구성하고, 상기 연질스펀지가 상기 보료 형태의 커버에 포함되어 제 2 매트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질스펀지는 밀도가 특정 기준값 이상을 가지는 스펀지를 의미하고, 상기 연질스펀지는 밀도가 상기 특정 기준값보다 작은 스펀지를 나타낸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매트(100)를 두 개 이은 구조이되 인체를 기준으로 좌우로 쿠션이 상이하도록 배열한 것이다. 즉, 침구용 쿠션매트에서 상면과 하면이 서로 상이한 쿠션강도를 가지는 매트를 복수개로 이어서 배열한 실시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a)는 경질스펀지를 상면으로 배치한 것이고, (b)는 연질스펀지를 상면으로 배치한 것이며, (c)는 왼쪽 매트는 상면이 경질스펀지(10)이고 오른쪽 매트는 연질스펀지(20)가 상면이 되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어른은 왼쪽으로 사용하고 어린이 등 저체중 사람은 오른쪽을 사용할 수 있다. 그날의 컨디션에 따라 어른 한 사람이 왼쪽 또는 오른쪽을 선택 또는 번갈아가면서 사용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
(d)는 (c)와 위치를 반대로 배치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 2의 (a), (b), (c), (d)로 보듯이 본 발명의 상이한 양면 쿠션 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사용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는 매트(100)가 2층의 구조이고 각 층에 하나의 경질스펀지와 연질스펀지만 존재하였으나, 3층 이상의 구조이고 각 층이 복수의 경질스펀지와 하나의 연질스펀지, 하나의 경질스펀지와 복수의 연질스펀지 또는 복수의 경질스펀지와 복수의 연질스펀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층의 경질스펀지와 연질스펀지가 동일한 사이즈를 가졌으나, 다른 사이즈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층에서의 경질스펀지와 연질스펀지의 배열과 다른 층에서의 경질스펀지와 연질스펀지의 배열이 다를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경질스펀지 및 연질스펀지로 언급하였으나, 경질스펀지는 경질매트부재의 일종이고 연질스펀지는 연질매트부재의 일종이다. 즉, 본 발명에서 스펀지로 언급하였으나 매트 재료이면 충분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경질스펀지 및 연질스펀지로 가정하겠다.
도 3은 상기 배열을 인체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쿠션이 상이하게 배열한 것을 나타낸다. 즉 인체의 어깨, 허리, 다리 부위별로 각각 다른 쿠션을 배치한 것이고, 이에 따라 사람의 체형 부위별로 편하게 접촉 사용하거나 또는 치료 등의 목적으로 쿠션의 강도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실시예를 사진으로 나타낸 모습이다. 도 4의 (a)는 침상 위의 매트형틀(30) 내에 쿠션 강도가 상이한 복수개(10, 20)의 쿠션매트를 수용한 구성을 나타낸다. (b)의 경우는 매트형틀 대신 봉재 커버 내에 수용된, 각각 다른 쿠션 강도의 매트를 자석(별도 도시 생략)에 의해 밀착한 형상을 나타낸다. 자석은 매트 간에 접착되는 것이지만 이를 대신하여 단추, 후크, 묶음수단 등을 대체할 수도 있다.
다만 이 후크 내지 자석은 반대방향으로 뒤집을 때도 서로 인장력이 형성되도록 마주 닿는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은 매트들(10 및 20)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침구용 쿠션매트에서, 쿠션매트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상이한 쿠션강도를 가지는 매트를 복수개로 이어서 배열토록 한 것으로서, 상면은 쿠션매트 내외부로 바람이 소통되는 망사이고 하면은 쿠션매트 내외부로 바람이 차단되는 보료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면의 쿠션재는 경질스펀지이고 하면의 쿠션재는 연질스펀지로서 상기 서로 다른 스펀지를 접착시킨 것일 수 있다. 접착은 접착재를 보편적으로 이용할 수 있지만 사람이 주거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점을 감안하여 고주파 융착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면과 하면은 인체의 측방을 향하여 좌우가 서로 다른 쿠션으로 구획하여 침상에 배열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획은 인체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상이한 쿠션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가장 바람직한 실시일례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 것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본 발명의 명세서를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매트(100)
상면(10; 경질스펀지)
하면(20; 연질스펀지)
매트형틀(30)

Claims (6)

  1. 제 1 매트부재; 및
    상기 제 1 매트부재와 상하로 배열된 제 2 매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매트부재는 특정 기준값 이상의 밀도를 가지는 경질매트부재이며, 상기 제 2 매트 부재는 상기 특정 기준값보다 작은 밀도를 가지는 연질매트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재들은 각기 스펀지이되,
    상기 제 1 매트부재는 망사 커버 내에 내재되어 제 1 매트를 구성하고, 상기 제 2 매트부재는 보료 커버 내에 내재되어 제 2 매트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매트와 상기 제 2 매트는 후크 또는 자석으로 연결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제 1층에 제 1 경질매트부재와 제 1 연질매트부재가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제 1층 위의 제 2층에 제 2 경질매트부재와 제 2 연질매트부재가 나란히 배열되되,
    상기 제 1 경질매트부재와 상기 제 2 연질매트부재가 상하로 대응하여 배열되며, 상기 제 1 연질매트부재와 상기 제 2 결징매트부재가 상하로 대응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트부재와 상기 제 2 매트부재는 침상의 형틀 내에 수납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5. 제 1 매트부재; 및
    평면 상에 상기 제 1 매트부재와 나란히 배열된 제 2 매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매트부재는 특정 기준값 이상의 밀도를 가지는 경질매트부재이며, 상기 제 2 매트 부재는 상기 특정 기준값보다 작은 밀도를 가지는 연질매트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트부재는 망사 커버 내에 내재되어 제 1 매트를 구성하고, 상기 제 2 매트부재는 보료 커버 내에 내재되어 제 2 매트를 구성하며,
    상기 제 1 매트와 상기 제 2 매트는 후크 또는 자석으로 연결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KR1020180121346A 2018-07-16 2018-10-11 쿠션강도가 다른 언밸런스 쿠션 매트 KR202000084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82477 2018-07-16
KR1020180082477 2018-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487A true KR20200008487A (ko) 2020-01-28

Family

ID=6937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346A KR20200008487A (ko) 2018-07-16 2018-10-11 쿠션강도가 다른 언밸런스 쿠션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84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364B1 (ko) * 2020-04-01 2021-08-27 정영훈 기능성 토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364B1 (ko) * 2020-04-01 2021-08-27 정영훈 기능성 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24160B (zh) 软硬度可调的音乐按摩床垫
JPH0252607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86245B2 (ja) 車いす用クッション
WO2014196114A1 (ja) シートクッション
KR20200008487A (ko) 쿠션강도가 다른 언밸런스 쿠션 매트
CN109124162B (zh) 软硬度可调的床垫
KR20200007174A (ko) 입체직조에어매트와 상하에 폼 쿠션을 결합한 매트리스 제조 방법
TWI422344B (zh) Pillow structure
WO2005034685A1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
JP6585331B2 (ja) 敷寝具
JP2002272563A (ja) エアー座布団及びエアー座布団を備えた椅子
JP3946495B2 (ja) ベッド用マットレス
JP6494315B2 (ja) 背負い鞄の背当ておよび背負い鞄
JP6517830B2 (ja) クッション
WO2016051832A1 (ja) クッション
JP2021048932A (ja) 疼痛の除去マット
JP3231912U (ja) 三折マットレス
DK180442B1 (da) Et konvertibelt møbelsystem til selektiv tilvejebringelse af i det mindste et plant liggeunderlag eller en kasseformet opbevaringsenhed samt anvendelse deraf.
JP2004089595A (ja)
JP3217375U (ja) 穴あきクッション
JP3099901U (ja) 坐り心地の良いソファ
CN207744928U (zh) 一种坐垫
JP3163626U (ja) 座布団
KR200460471Y1 (ko) 의자용 좌판
JP2000166709A (ja) 体圧対応ソファー兼用マット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