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364B1 - 기능성 토퍼 - Google Patents

기능성 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364B1
KR102295364B1 KR1020200039655A KR20200039655A KR102295364B1 KR 102295364 B1 KR102295364 B1 KR 102295364B1 KR 1020200039655 A KR1020200039655 A KR 1020200039655A KR 20200039655 A KR20200039655 A KR 20200039655A KR 102295364 B1 KR102295364 B1 KR 102295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per
functional
user
present disclosure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훈
안준호
Original Assignee
정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훈 filed Critical 정영훈
Priority to KR1020200039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기능성 토퍼를 제공한다. 이 기능성 토퍼는, 경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1 토퍼, 상기 제1 토퍼 위에 위치하며, 연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2 토퍼, 및 상기 제1 토퍼와 상기 제2 토퍼의 각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1 토퍼와 상기 제2 토퍼를 탈착할 수 있는 복수의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토퍼 {FUNCTIONAL TOPPER}
본 개시는 기능성 토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토퍼들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의 기능성 토퍼에 관한 것이다.
침구류는 수면 시 사용자의 몸의 체온을 유지시키고, 안락감과 안정감을 주어 숙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침구류에는 이불, 배게, 매트리스, 요, 토퍼 등이 있으며, 이 중 토퍼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100cm 이하인 얇은 매트리스 형태의 침구류를 일컫는다. 노후된 매트리스의 경우 안락함이 떨어져 수면 시 방해가 되거나 수면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데, 토퍼를 침대 매트리스 위에 얹어서 사용하여 매트리스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토퍼의 외면 또는 커버는 면과 같은 천연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보온성이 좋은 합성 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토퍼의 내부에는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된 솜, 거위 털, 극세사, 양모, 오리 털 등 다양한 종류의 충전재가 채워질 수 있다. 그러나, 토퍼는 사용 시간이 경과될 수록 그 내부의 합성 섬유, 솜 등의 충전재가 탄력성을 잃어 보온성 및 안락감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편안한 휴식 및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개개인의 수면 습관, 편의, 취향에 따라 침구류의 구성을 변경하거나 선택하기를 원한다. 예를 들어, 수면 시 뒤척임이 많고 이동 범위가 큰 사람은 두꺼운 침구류의 사용으로 인해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수면 시 움직임에 의해 침구류로부터 이탈되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따뜻하고 안락한 분위기에서 숙면을 취하기 어려워지고, 경우에 따라 몸의 상태가 안 좋아지거나 감기와 같은 질병에 걸릴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토퍼들을 탈부착하는 구성을 통해 사용 시 안정감과 편리함을 줄 수 있는 기능성 토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퍼는, 경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1 토퍼; 상기 제1 토퍼 위에 위치하며, 연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2 토퍼; 및 상기 제1 토퍼와 상기 제2 토퍼의 각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1 토퍼와 상기 제2 토퍼를 탈착할 수 있는 복수의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토퍼의 상기 경질의 충전재는, 저섬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토퍼의 상기 연질의 충전재는, 고섬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토퍼의 상기 연질의 충전재는, 유연제의 코팅 처리가 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수단은 스냅 단추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능성 토퍼의 제1 토퍼와 제2 토퍼는 상이한 충전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제1 토퍼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안정감을 주는 동시에, 제2 토퍼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부드럽게 감싸는 편안함을 주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능성 토퍼의 제1 토퍼 및 제2 토퍼는 각 측면에 복수의 스냅 단추와 같은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퍼의 측면에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토퍼를 탈부착할 수 있고, 토퍼의 사용 및 세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면 시 뒤척임이 많거나 이동 범위가 큰 사용자의 경우, 제1 토퍼 및 제2 토퍼가 연결 수단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토퍼들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여 침구류와 사용자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퍼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퍼의 측면에 위치한 스냅 단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퍼를 사용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의류 모델링 시스템 및 장치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퍼(10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퍼(100)는, 저면이 매트리스 또는 바닥과 접촉하는 제1 토퍼(110), 상면 또는 하면이 사용자와 접촉하는 제2 토퍼(120), 및 제1 토퍼(110)와 제2 토퍼(120)의 각 측면에 복수의 연결 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퍼(110)는 그 내부 공간을 경질의 충전재를 포함하여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퍼(100)의 제1 토퍼(110)의 내부를 채우는 경질의 충전재는, 약 5 내지 7 데니어, 바람직하게는 약 6 데니어의 저섬도의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데니어(denier)는 생사, 인견 및 섬유 등의 원사(실) 또는 섬유의 굵기를 표시하는 국제 단위를 의미한다. 제1 토퍼(110)의 내부를 저섬도의 경질의 충전재를 사용하여 채움으로써, 기능성 토퍼(100) 사용 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느낌을 주어 안정감을 주고, 기능성 토퍼(100)의 내구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토퍼(110)의 충전재는 저섬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혼합하여 일정한 크기로 엉키어 형성된 볼 형 구조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저융점(LM: low melt)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녹는 점(융점)이 낮기 때문에 섬유 재질을 접착하는 화학접착제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 섬유이다.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약 100 ~ 200 ℃의 융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용융 가공되어 이종 섬유의 바인더(binder) 또는 접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성을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저섬도 폴리에스테르를 서로 엉키게 결합하여 볼(또는 구) 형태의 구조를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토퍼의 충전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열, 압력, 마찰, 습기 등을 작용시키면 섬유가 엉키고 밀착되어 두터운 층을 만들어 사용 시 불편감을 주거나 관리 및 세탁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토퍼(110)의 충전재로 저섬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혼합하여 형성된 볼 형 구조를 사용하면, 각 볼의 롤링 내지 결속에 의해 볼 형태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토퍼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그 충전재의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토퍼(110)의 충전재로 사용되는 복수의 볼 형 구조는 토퍼의 내구성을 크게 증가하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특징을 개선하여 좀 더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토퍼(110)의 충전재는 저섬도의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안정감과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재질의 다른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토퍼(120)는, 연질의 충전재를 포함하여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퍼(100)의 제2 토퍼(120)의 내부는, 고섬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같은 연질의 충전재로 채워질 수 있다. 고섬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약 1 내지 2 데니어, 바람직하게는, 약 1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토퍼(120)의 내부를 고섬도의 연질의 충전재를 사용하여 채움으로써, 사용 시 편안함과 안락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토퍼(120)의 충전재는 고섬도의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능성 토퍼(100) 사용 시에 편안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재질의 다른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토퍼(120)의 연질 충전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섬유 트리트먼트(Treatment) 공정을 추가적으로 거쳐서 제조될 수 있다. 제2 토퍼(120)의 내부를 채우는 연질 충전재는 그 연질의 충전재에 유연제를 코팅하는 섬유 트리트먼트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토퍼(120)의 연질 충전재가 섬유 트리트먼트 공정을 거쳐서 제조됨으로써, 연질 충전재를 구성하는 섬유의 유연함을 증가시키고 섬유 자체의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능성 토퍼(100) 사용 시에 편안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토퍼(110)의 측면 및 제2 토퍼(120)의 측면에는 복수의 연결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퍼(110) 및 제2 토퍼(120)는 복수의 연결수단(130)을 통해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연결 수단(130) 각각은 스냅 단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연결 수단(130)은 일반적인 형태의 단추와 단추 구멍 또는 고리, 벨크로 테이프, 지퍼 등과 같은 다양한 연결 수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능성 토퍼(100)는, 제1 토퍼(110)의 하단 또는 제2 토퍼(120)의 상단에 제3 토퍼를 추가로 포함하여 3개층 이상의 다층 토퍼를 포함하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토퍼(110) 또는 제2 토퍼(1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제3 토퍼의 측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퍼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퍼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토퍼(100)는, 저면이 매트리스 또는 바닥과 접촉하도록 하층에 제1 토퍼(110)가 위치하고, 제1 토퍼(100)의 상층에 제2 토퍼(120)가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토퍼(110) 및 제2 토퍼(120) 각각의 내부는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는 충전재로 채워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 시에 편안함과 안정감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1 토퍼(110)의 하측 또는 제2 토퍼(120)의 상측에 제3 토퍼를 추가하여, 기능성 토퍼(100)가 3개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는, 기능성 토퍼(100) 사용 시, 제1 토퍼(110)를 깔고 몸을 뉘인 후에 제2 토퍼(120)를 덮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토퍼(110) 및 제2 토퍼(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수면 시 뒤척임이 많은 경우에도 기능성 토퍼와 같은 침구류와 사용자가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의 수면 습관 또는 편의에 따라 사용자는 수면 시 제2 토퍼(120) 상면에 몸을 뉘이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능성 토퍼(100)는 세탁 시, 제1 토퍼(110) 및 제2 토퍼(120)를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으며, 기능성 토퍼(100)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퍼(110)의 측면 및 제2 토퍼(120)의 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복수의 연결 수단(1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는, 연결 수단(130)을 이용하여, 편의에 따라 제1 토퍼(110)와 제2 토퍼(120)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연결 수단(130)의 상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기능성 토퍼(100)의 측면에 위치한 연결 수단(130)을 사용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기능성 토퍼(100)의 제1 토퍼(110) 및 제2 토퍼(120) 각각의 측면에 부착된 연결 수단(130)으로서 스냅 단추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토퍼(110)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오목한 암단추(130a)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2 토퍼(120)의 측면에는 볼록하게 튀어나온 수단추(130b)가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수면 습관 및 편의에 따라, 제1 토퍼(110)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오목한 암단추(130a)를 선택하여 제2 토퍼(120)의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된 수단추(130b)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시 뒤척임이 많고, 이동범위가 큰 사용자는 수면 시 침구류와의 접촉으로 인해 갑갑함을 느끼거나 사용자가 침구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토퍼(110)의 측면 위쪽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암단추(130a)와 제2 토퍼(120)의 대응되는 위치의 수단추(130b)만을 결합하여 느슨하고 여유로운 토퍼의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반면, 수면 시 뒤척임이 적고, 이동범위가 좁거나 침구류와의 접촉에 민감하지 않은 사용자는, 제1 토퍼(110)의 측면 아래쪽과 위쪽에 부착된 암단추(130a)들을 제2 토퍼(120)의 대응되는 위치의 수단추(130b)들과 결합함으로써, 사용 시 토퍼와 밀착하여 안정감과 보온성을 높일 수 있다.
사용자는 수면 시, 세탁 시 또는 편의에 따라 스냅 단추(130)를 이용하여 복수의 토퍼를 간편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토퍼를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연결 수단으로 스냅 단추(130)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크로 테이프, 지퍼, 단추 등과 같이 토퍼들을 분리 및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른 연결 수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퍼를 사용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수면 습관 및 편의에 따라 기능성 토퍼(100)의 제1 토퍼(110)와 제2 토퍼 각각의 측면에 부착된 복수의 스냅 단추(130) 중 하나 이상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토퍼(110)와 제2 토퍼 각각의 측면에 부착된 복수의 스냅 단추(130) 중 일부 또는 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토퍼(110)와 제2 토퍼(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 토퍼(110) 및 제2 토퍼(120)의 사이에 전기 장판, 온수 매트 등의 온열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토퍼(110) 및 제2 토퍼(120) 사이에 온열 장치를 삽입함으로써 토퍼의 보온성을 보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토퍼와 제2 토퍼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충전재가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토퍼(110)는 그 내부 공간을 경질의 충전재를 포함하여 채워지며. 제2 토퍼(120)는 그 내부 공간을 연질의 충전재를 포함하여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시, 제1 토퍼(110)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안정감을 주는 동시에, 제2 토퍼(120)는 사용자의 신체를 부드럽게 감싸는 편안함을 주고 어느 정도의 사용자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유연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개시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기능성 토퍼
110: 제1 토퍼
120: 제2 토퍼
130: 연결 수단 (또는 스냅 단추)
130a: 암단추
130b: 수단추

Claims (5)

  1. 기능성 토퍼에 있어서,
    5 내지 7 데니어의 저섬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된 경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1 토퍼;
    상기 제1 토퍼 위에 위치하며, 1 내지 2 데니어의 고섬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된 연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2 토퍼; 및
    상기 제1 토퍼와 상기 제2 토퍼의 각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1 토퍼와 상기 제2 토퍼를 탈착할 수 있는 복수의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기능성 토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퍼의 상기 연질의 충전재는, 유연제의 코팅 처리가 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된, 기능성 토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스냅 단추인,
    기능성 토퍼.
KR1020200039655A 2020-04-01 2020-04-01 기능성 토퍼 KR102295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655A KR102295364B1 (ko) 2020-04-01 2020-04-01 기능성 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655A KR102295364B1 (ko) 2020-04-01 2020-04-01 기능성 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364B1 true KR102295364B1 (ko) 2021-08-27

Family

ID=7750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655A KR102295364B1 (ko) 2020-04-01 2020-04-01 기능성 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3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850A (ja) * 1993-02-24 1994-09-06 Aisin Seiki Co Ltd マットレス
JP4062729B2 (ja) * 2001-11-05 2008-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触媒早期暖機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KR20160119059A (ko) * 2013-11-27 2016-10-12 요기보 엘엘씨 신규한 기능성 지지 베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08487A (ko) * 2018-07-16 2020-01-28 이재덕 쿠션강도가 다른 언밸런스 쿠션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850A (ja) * 1993-02-24 1994-09-06 Aisin Seiki Co Ltd マットレス
JP4062729B2 (ja) * 2001-11-05 2008-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触媒早期暖機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KR20160119059A (ko) * 2013-11-27 2016-10-12 요기보 엘엘씨 신규한 기능성 지지 베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08487A (ko) * 2018-07-16 2020-01-28 이재덕 쿠션강도가 다른 언밸런스 쿠션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16305A1 (en) Thermal, outer layer leg wrap device
JP2011529360A (ja) カバーおよび関連製品、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
JP2500846B2 (ja) 多層構造詰物体
JP2014004313A (ja) 水洗い可能な長繊維布団
KR101816885B1 (ko) 어싱 패드
KR102295364B1 (ko) 기능성 토퍼
KR102136495B1 (ko) 기능성 베개
JP2013136858A (ja) 防寒衣料用中綿及びこれを含む防寒衣料
JPH0622283Y2 (ja) パツド
CN113271822A (zh) 组合式休息用结构
CN210540206U (zh) 一种两用床垫
CN210930493U (zh) 一种四季防螨床垫
JPH0527902Y2 (ko)
CN204292737U (zh) 一种多功能聚酯纤维被
JP2001137076A (ja) 寝 具
KR20090003445U (ko) 기능성 매트리스
CN217447291U (zh) 一种护颈枕芯
CN212066369U (zh) 一种保暖耐磨的双层被子
CN213757630U (zh) 一种具有保暖防风湿功能的床单
CN204292682U (zh) 一种多功能聚酯纤维床垫
CN219680249U (zh) 一种分区控温泡泡绒填充被子
WO2022224895A1 (ja) マットレスおよびマットレスの製造方法
CN213675773U (zh) 一种具有抗菌保暖功能的床上四件套
CN212139989U (zh) 一种易于空气对流的控温床垫
JP3229027U (ja) 敷寝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