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976A - 크림핑된 시트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크림핑된 시트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976A
KR20200006976A KR1020197033150A KR20197033150A KR20200006976A KR 20200006976 A KR20200006976 A KR 20200006976A KR 1020197033150 A KR1020197033150 A KR 1020197033150A KR 20197033150 A KR20197033150 A KR 20197033150A KR 20200006976 A KR20200006976 A KR 20200006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ollers
crimped
aerosol
shee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를로트 콜로우드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0000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2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14Forming reconstituted tobacco products, e.g. wrapper materials, sheets, imitation leaves, rods, cakes; Forms of such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Machine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In Mechanical Paper-Making Process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재료(7)를 크림핑하기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1)는 제1 및 제2 회전축을 정의하는 제1 및 제2 대향 크림핑 롤러(4, 5)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및 제2 크림핑 롤러(4, 5)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릿지(9)를 포함하며, 각각의 릿지(9)는 제1 및 제2 플랭크(16)와 선단부를 한정하며, 제1 또는 제2 플랭크(16)는 선단부를 통과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 플랭크 각도(15)를 형성하며, 플랭크 각도(15)는 약 8도 내지 약 10도에 포함된다.

Description

크림핑된 시트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시트 재료의 크림핑 장치 및 크림핑된 시트 재료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며, 크림핑된 시트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에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로드 형태로 조립된 복수의 요소를 포함한다. 복수의 요소는,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필터 요소를 포함한다. 필터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로드를 통하여 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채널은 시트 재료를 크림핑하고 결과적으로 로드 내에 재료를 주름지게 해서 채널을 형성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크림핑된 시트는 실질적으로 연속 웹을 크림핑하고, 크림핑되고 주름진 웹으로부터 복수의 크림핑된 시트를 절단하여 일반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분야에서, 연속적인 웹인 크림핑될 이러한 재료는 담배 캐스트 리프(TCL), 폴리락트산(PLA), 토우(tow) 등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사용하기 위한 크림핑된 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크림핑된 웹을 제조하는 공지된 방법은 일반적으로 한 쌍의 맞물린(interleaved) 롤러 사이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웹을 공급하여 복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림프 주름을 연속적인 웹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크림핑된 웹은 차후에 주름져서 복수의 축방향 채널을 갖는 연속적인 로드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로드가 포장되고 더 작은 세그먼트로 절단되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에어로졸 형성 기재 또는 필터를 형성한다.
크림핑 공정은 크림핑 롤러 사이에서 가압되는 재료에 다양한 효과를 생성한다.
제1 효과의 범위는, 예를 들어 크림핑된 재료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맞춰질 로드로 쉽게 압축될 수 있다는 사실과 같이, 제조 공정과 관련된다.
일단 크림핑된 재료가 로드로 압축되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추가되면, 제2 범위의 효과는 사용자의 흡연 경험과 같은 크림핑과 관련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림핑 공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침투하는 공기와 크림핑된 시트 재료 간의 공기 접촉, 및 흡인 저항(RTD)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크림핑 공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정확한 제조 및 원하는 흡연 경험을 얻는 데 중요하다.
그러나, 비-최적의 또는 준-최적의 크림핑 공정은 크림핑된 웹 재료를 약화시킬 수 있고, 크림핑된 시트 재료로부터 로드의 관통 공기로 물질의 방출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RTD(흡인 저항) 값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크림핑 공정과 관련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특성에 대한 보다 양호한 제어와 증가된 유연성을 갖도록 허용하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크림핑된 시트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시트 재료의 크림핑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제1 및 제2 회전축을 정하는 제1 및 제2 대향 크림핑 롤러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및 제2 크림핑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릿지를 포함하고, 각각의 릿지는 제1 및 제2 플랭크 및 선단부를 정의하고, 제1 또는 제2 플랭크는 선단부를 통과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 플랭크 각도를 형성하고, 플랭크 각도는 약 8도 내지 약 10도에 포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플랭크 각도는 약 4도 내지 약 20도에 포함된다.
지금까지, 크림핑 공정의 최적화는 최종 소비자를 위한 개선된 경험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특히 적합한 RTD 값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의해 방출될 물질의 양호한 방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행해졌다. 이는 때때로, 특히 크림핑 단계에서 아주 불량이고 오류 발생이 쉬운 제조 기술을 초래했다. 여기서, 최신 기술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크림핑된 시트 재료의 품질 저하가 아주 종종 존재하였다. 심지어 시트 재료의 파쇄가 크림핑 공정의 과정에서 관찰될 수 있다. 이는 제조 장치의 유지보수로 인한 중단이 아주 빈번하게 그리고 때로는 심지어 예측 불가능한 시간에도 필요하다는 점에서 제조에도 또한 불리하다. 또한, 크림핑된 시트 재료의 그러한 파쇄 또는 감소된 품질은 예를 들어, 가변적인 RTD에 의해 최종 소비자를 위한 더 낮은 흡연 경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크림핑된 시트 재료는 시트 재료의 임의의 손상 또는 이와는 다른 부정적 변경의 발생 경향이 상당히 덜 할 수 있다. 동시에, 최종 소비자를 위한 특히 유리한 흡연 경험이 제공될 수 있다.
롤러의 2개의 회전 축은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거나 그들 사이에 특정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작은 유한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시트”는 폭과 길이가 두께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박층 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크림핑된(crimped)”은 복수의 주름을 갖는 시트 또는 웹을 나타낸다. 용어 “크림핑(crimping)”은, 바람직하게는 구조화된 표면을 생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평탄한 시트 재료 또는 미리 처리되지 않은 시트 재료로부터 크림핑된 시트 재료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피치 값(pitch value)” 또는 “피치”는 특정 주름의 피크의 어느 한 측면에 있는 홈통(trough) 사이의 측면 거리 또는 2개의 이웃하거나 연속적인 피크 또는 릿지 사이의 측면 거리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진폭 값” 또는 “진폭”은 주름의 피크로부터 가장 깊은 바로 인접한 홈통의 가장 깊은 지점까지 주름의 높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릿지”는 각각의 롤러의 회전 축으로부터 본 외측 또는 내측 반경 방향으로 보이는 돌출부를 의미하며, 따라서 코너형 형상 또는 둥근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선단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선단부는 선단부의 각각의 측면에 하나씩 2개의 플랭크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릿지 또는 선단부는 접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 롤러의 표면을 따라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릿지는 주름으로서 동일한 방식으로 진폭을 정의한다. 2개의 릿지 사이에 “홈통”이 존재한다.
플랭크는 그의 접선에 의해 주어지는 방향을 가진다. “플랭크 각도”에 대해서, 플랭크에 대한 접선과 릿지의 선단부를 통과하는 반경 방향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고려된다. 반경 방향은 크림핑 롤러의 중심을 연결하는 롤러의 반경(롤러의 회전축이 존재하는 경우)과 릿지의 선단부로서 가시화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접선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용어 “플랭크 각도”는 2개의 연속적인 선단부 사이 또는 선단부와 홈통 바닥 사이에서 롤러의 표면의 형상을 따라 이동할 때 국부적인 플랭크 각도의 최솟값 또는 최댓값에 대하여 정의된다. 홈통의 바닥은 롤러의 최소 국부 반경이 2개의 이웃하는 선단부들 사이에 정의되는 위치일 수 있다. 각도의 최솟값 또는 최댓값은 각각의 값의 크기와 관련될 수 있다. 그러나, 플랭크의 표면을 따라 다른 뚜렷한 또는 양호하게 정의된 위치는 또한 플랭크 각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릿지는 각각의 롤러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대칭일 수 있어서, 선단부의 대향 측면 상의 플랭크가 대칭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 동일한 릿지를 형성하는 2개의 플랭크 사이의 각도는 임의의 2개의 플랭크 각도의 2배이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릿지는 각각의 롤러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비대칭일 수 있다. 즉, 릿지의 양 플랭크의 플랭크 각도는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은 (롤러의 적어도 2개의 표면적이 상이하도록)롤러의 특정 부분과 관련될 수 있거나 롤러의 여러 부분 또는 심지어 대다수 부분과 관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릿지 각도”는 릿지와 길이 방향 사이의 각도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주름”은 주름 플랭크에 의해 연결된 교번 피크 및 홈통으로부터 형성된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릿지를 나타낸다. 그들은 크림핑 롤러의 릿지에 의해 시트에 형성될 수 있다. 롤러는 또한, 복수의 인접한 릿지에 의해 형성된 주름을 가질 수 있다. 주름은 많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장사방형 형태의 프로파일, 정현파 프로파일, 삼각형 프로파일, 톱니 프로파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갖는 주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릿지, 진폭, 피치, 선단부, 플랭크 등의 치수 및 형상에 대한 정의는 크림핑 장치의 롤러에 대하여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과적인 크림핑된 시트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의 주름 내에 본질적으로 동일한 치수 및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특정 편차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크림핑될 시트 재료의 특정 재료 특성은 롤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형상 또는 치수로부터의 편차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실질적으로 맞물리다(substantially interleave)”는 제1 및 제2 롤러의 주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맞는(mesh) 것을 가리킨다. 이것은, 롤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주름이 대칭 또는 비대칭인 배열을 포함한다. 롤러들의 주름은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롤러의 하나 이상의 릿지의 피크는 제1 및 제2 롤러 중 다른 것의 2개의 릿지 사이의 홈통과 맞물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롤러의 주름은, 제1 및 제2 롤러 중 하나의 롤러의 실질적으로 모든 주름 홈통이 각각 제1 및 제2 롤러 중 다른 것의 단일 주름 피크를 수용하도록 맞물린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길이 방향”은 시트 또는 웹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거나 그 길이에 평행한 방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회전 축"은 각각의 롤러가 그의 정상적인 작동 상태 동안 회전될 때 본질적으로 병진 운동을 나타내지 않는 라인을 따라서 또는 그 라인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이는 각각의 롤러의 축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폭”은 웹 또는 시트의 길이에 수직이거나, 롤러의 경우에 롤러의 축에 평행한 방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로드”는 실질적 원형 또는 계란형 단면을 갖는 대략 원통형 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축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는 로드의 원통형 축을 따라서, 또는 그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주름진(gathered)”또는 “주름형성”은 웹 또는 시트가 로드의 원통형 축에 실질적으로 가로방향으로 구불구불해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압축되거나 수축된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롤러의 용어 “섹션”은 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원주 면 상의 특정 구역을 의미한다. 표면의 제한은 (각각의 롤러의 회전 축에 평행한) 각각의 롤러의 축 방향을 따르는 특정 크기의 측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한은 (특정 각도 크기를 정의하는) 각각의 롤러의 접선 방향을 따르는 특정 크기의 측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일 수 있으며,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하기 위해 연소되기보다는 가열되도록 의도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다.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일부를 형성하는 내장된 가열 수단을 포함할 수 있거나, 별도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외부 히터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크림핑된 시트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토우, PLA, 또는 균질화된 담배 재료와 같은 알칼로이드 함유 재료에 의해 형성된 시트일 수 있는 시트 재료는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이송은, 예를 들어 롤러를 통해 당김으로써, 특히 상기 제1 및 제2 크림핑 롤러를 사용하여 당김으로써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송 동안, 시트 재료 또는 웹 재료는 제1 크림핑 롤러 및 제2 크림핑 롤러 사이에 형성되는 소위 “닙(nip)”을 통과한다.
롤러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1 또는 제2 롤러 또는 모두는 닙을 통과할 때 대응하는 주름이 시트 상에 형성되도록 시트 재료와 접촉하게 되는 릿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크림핑 롤러 둘 모두는 복수의 릿지 또는 주름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롤러들은 그들의 적어도 일부가 실질적으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배열된 상태로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롤러 중 단지 하나는 주름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다른 롤러는 본질적으로 매끄러운 원통형 표면을 나타낸다.
제1 및 제2 롤러 둘 모두는 주름을 나타낼 수 있지만, 대응하지 않는 부분, 즉 롤러와 접촉하는 시트 재료의 각 부분에 대해서, 제1 및 제2 롤러 중 하나만이 시트의 그 부분에 크림프 주름을 형성한다.
각각의 릿지는 릿지의 선단부에서 종결되는 2개의 플랭크를 포함한다. 플랭크 중 적어도 하나는 반경 방향에 대하여, 즉 약 4도 내지 약 20도, 바람직하게는 약 8도 내지 약 10도에 포함되는, 동일한 회전축으로부터 시작하는 롤러의 반경을 따르는 방향에 대하여 플랭크 각도를 형성한다. 플랭크 각도는 플랭크가 선형 부분을 포함하는 플랭크의 접선과 위에서 정의된 반경 방향 사이의 각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또는 제2 롤러의 모든 릿지가 그러한 플랭크 각도를 형성한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릿지의 양 플랭크는 이러한 범위 내의 플랭크 각도를 형성한다.
실험에 따르면, 청구된 범위 내의 플랭크 각도를 형성하는 릿지가 파쇄의 현상을 감소시키고, 가능하게는 롤러들 사이의 둔부(hip) 내로 통과하는 시트 재료 상의 손상을 또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크림핑 공정의 개선된 제어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릿지는 일정한 피치(pitch)로 서로 이격된다. 이러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제1 또는 제2 롤러의 전체 외부 원주 면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롤러의 전체 외부 원주 면, 특히 각각의 롤러의 폭, 원주 또는 둘 모두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또는 제2 롤러는 여러 섹션을 나타내고, 일정한 피치가 각각의 섹션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롤러를 사용하여 크림핑되는 크림핑된 시트 재료는 특히 유리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고, 특히 아마도 유리한 RTD를 나타낼 수 있다.
유리하게, 릿지 모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진폭을 가진다. 이러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롤러의 전체 외부 원주 면, 특히 각각의 롤러의 폭, 원주 또는 둘 모두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또는 제2 롤러는 여러 섹션을 나타내고, 동일한 진폭이 각각의 섹션 내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롤러를 사용하여 크림핑되는 크림핑된 시트 재료는 특히 크림핑된 시트 재료를 주름지게 할 때 특히 유리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플랭크는 선단부를 통과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 대칭이다. 이러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롤러의 전체 외부 원주 면, 특히 각각의 롤러의 폭, 원주 또는 둘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롤러를 사용하면, 크림핑될 시트 재료는 파쇄 또는 다른 부정적인 변경에 대한 경향이 덜 할 수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장치가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제1 또는 제2 롤러는 금속으로 실현된다. 물론, 롤러 둘 모두가 또한 금속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러한 롤러의 설계는 롤러 및 롤러가 사용될 장치의 특히 긴 수명을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랭크 각도는 약 8도 내지 약 10도에 포함된다. 이러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롤러의 전체 외부 원주 면, 특히 각각의 롤러의 폭, 원주 또는 둘 모두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치수를 사용하면, 크림핑될 시트 재료의 파쇄에 대한 특히 낮은 경향을 나타내는 장치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최종 제품에 대한 최종 사용자의 흡연 경험은 특히 높을 수 있다. 이들 치수는 제1 또는 제2 롤러의 표면의 특정 섹션이나 특정 섹션들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크림핑 롤러 중 다른 하나는 복수의 릿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롤러는 제1 롤러의 릿지가 제2 롤러의 릿지와 실질적으로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롤러의 전체 외부 원주 면, 특히 각각의 롤러의 폭, 원주 또는 둘 모두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설명은 롤러의 외부 원주 면의 특정 섹션에만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설계를 사용하면, 결과적인 크림핑된 시트 재료는 원하는 RTD를 달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또는 최종 제품에서 사용될 때 원하는 양의 휘발성 화합물의 방출과 관련하여 특히 유리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크림핑된 시트의 제작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시트 재료를 크림핑 롤러 세트로 이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롤러 세트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제1 롤러 또는 제2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릿지를 포함하는 단계, 및 제1 또는 제2 롤러의 릿지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시트 재료에 복수의 크림프 주름을 적용하도록 시트 재료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시트를 공급하여 크림핑된 웹을 형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웹을 크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또는 제2 롤러의 릿지는 제1 및 제2 플랭크와 선단부를 정의하며, 제1 또는 제2 플랭크는 선단부를 통과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 플랭크 각도를 형성하며, 플랭크 각도는 약 8도 내지 약 10도에 포함된다.
상기 방법은 이전의 제안에 따라 장치를 사용할 때 특히 양호하게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양태에 따른 방법이 사용될 때, 시트 재료를 크림핑하기 위한 전술된 장치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사한 효과 및 장점이 적어도 유사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이전에 설명된 의미에서 또한 적어도 유사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을 사용할 때, 유사한 효과 및 장점은 또한 적어도 유사하게 상기 방법과 관련하여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법이 이전에 제안된 바와 같이 크림핑된 시트의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상기 방법을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방법은 연속적인 로드를 형성하도록 크림핑된 시트를 주름 형성하는 단계; 및 연속적인 로드를 복수의 로드 형상의 구성요소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각의 로드 형상의 구성요소는 크림핑된 시트의 절단 부분으로 형성된 주름 형성된 크림핑된 시트를 가지며, 크림핑된 시트의 크림프 주름은 로드-형상 구성요소에 복수의 채널을 정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재의 시장 요구에 맞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효율적이고 저렴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특히, 통상적인 연소형 에어로졸 발생 제품, 특히 전통적인 궐련과 유사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실현될 수 있다. “주름지다”는 특히 이전에 기술된 주름형성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주름지다”는, 크림핑된 시트 재료의 2개의 부분이 보통 직선을 따라 접는 유형 동작에 의해 서로의 상단에 놓일 수 있는 접힘 공정을 포함할 수 있거나 처음에 주름지지 않은 크림핑된 시트 재료가 일종의 코일형 형태로 되는 롤링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하게는, 접힘 및 롤링 공정의 조합이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일반적으로 접는 유형 동작이 롤링 동작 전에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시트 재료가 알칼로이드 함유 시트 재료, 플라스틱 시트 또는 셀룰로스를 포함하는 시트 중 하나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에 대해, 현재 제안된 방법이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로이드 함유 시트 재료는 균질화된 담배 시트를 포함한다.
“알칼로이드 함유 재료”은 하나 이상의 알칼로이드를 함유하는 재료이다. 알칼로이드 중에서, 니코틴은 바람직한 하나인데, 이는 담배에서 발견될 수 있다.
알칼로이드는 주로 염기성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자연 발생 화학적 화합물의 그룹이다. 이 그룹은 또한 중성 및 심지어 약산성 특성을 갖는 일부 관련 화합물을 포함한다. 유사한 구조물의 일부 합성 화합물은 또한 알칼로이드로 지칭된다. 탄소, 수소 및 질소 이외에, 알칼로이드는 또한 산소, 황 및 더 드물게는 염소, 브롬 및 인과 같은 다른 원소를 함유할 수 있다.
알칼로이드는 박테리아, 곰팡이, 식물 및 동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기체에 의해 제조된다. 이들은 산-염기 추출에 의해 이들 유기체의 조 추출물로부터 정제될 수 있다. 카페인, 니코틴, 테오브로민, 아트로핀, 튜보카린은 알칼로이드의 예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균질화된 담배 재료”는 미립자 담배를 응집시켜서 형성된 재료를 나타내며, 이는 알칼로이드 니코틴을 함유한다.
상술한 의미에서 크림핑된 재료의 크림핑된 시트는, 전술한 방식으로 제조된 주름진 크림핑된 시트로부터 형성된 로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궐련과 같은 연소성 흡연 물품과 유사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일회용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대안적으로 부분적으로 재사용 가능하고 보충 가능하거나 교체 가능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균질화된 담배 재료”는 미립자 담배를 집합시켜 형성된 재료를 가리킨다.
균질화된 담배 재료는 시트 형태일 수 있다. 균질화된 담배 재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5% 초과하는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균질화된 담배 재료는 대안적으로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시트는 담배 잎몸 및 담배 잎자루 중 하나 또는 모두를 분쇄하거나 또는 곱게 빻아서 얻은 미립자 담배를 응집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시트는, 예를 들어 담배의 처리, 취급 및 출하 중에 생성되는 담배 가루, 담배 미분 및 다른 미립자 담배 부산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시트는 미립자 담배 응집을 돕기 위해 담배 내인성 결합제인 하나 이상의 내재성 결합제, 담배 외인성 결합제인 하나 이상의 외재성 결합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시트는 담배 및 비-담배 섬유, 에어로졸 형성제, 습윤제, 가소제, 향미제, 충전제, 수성 및 비수성 용매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및 액체 구성요소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가열 시에 기재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담배 향미 화합물을 함유하는 담배 함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비-담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형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의 예는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이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인 경우,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예를 들어 허브 잎, 담배 잎, 담배 리브의 단편, 재구성 담배, 균질화된 담배, 압출 담배, 및 팽창된 담배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분말, 과립, 펠릿, 슈레드, 스파게티, 스트립 또는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말아피는 담배 형태일 수 있거나, 적절한 용기 또는 카트리지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에어로졸 형성 재료는 종이 또는 다른 래퍼 내에 함유될 수 있고 플러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플러그 형태인 경우에, 임의의 래퍼를 포함하는 전체 플러그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간주된다.
선택적으로,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가열 시에 방출될, 추가 담배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예를 들어 추가적인 담배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포함하는 캡슐을 또한 함유할 수 있고, 이러한 캡슐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가열 동안에 용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열적으로 안정한 담체 상에 제공되거나 담체 내에 매립될 수 있다. 담체는 분말, 과립, 펠렛, 슈레드, 스파게티, 스트립 또는 시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예를 들어 시트, 발포체, 겔 또는 슬러리 형태로 담체의 표면에 증착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체의 전체 표면에 증착되거나, 대안적으로 사용 중 불균일한 향미의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 패턴으로 증착될 수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술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주름진 크림핑된 시트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주름진 크림핑된 시트는 균질한 담배 재료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술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주름진 크림핑된 시트의 형태로 담체의 표면 상에 증착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래퍼, 예를 들어 궐련 종이를 사용하여 조립된다. 궐련 종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성요소를 로드의 형태로 래핑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궐련 종이는 물품이 조립될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성요소들을 잡고 정렬시켜서 로드 내에서 제 위치에 고정시킨다. 적절한 재료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5% 초과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갖는 균질화된 담배 재료 및 물로 형성되거나 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균질화된 담배 재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5% 내지 3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특히 높은 온도를 지니고 높은 표면적을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에어로졸 냉각 요소를 흡인하는 저항이 낮아서 에어로졸의 감지된 온도를 사용자를 위한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실질적으로 세장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길이 및 이 길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세장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 또한 길이 및 길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원주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길이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수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냉각 요소는 실질적으로 세장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거의 30 mm 내지 거의 약 100 mm의 전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거의 약 5 mm 내지 거의 약 12 mm의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필터 또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는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필터 플러그일 수 있다. 필터는 한 실시예에서 길이가 거의 약 7 mm이지만, 거의 약 5 mm 내지 거의 약 1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하류에 위치한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2 양태에 따라 실현된 크림핑된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크림핑된 시트는 주름 형성 시 더 유연하며 파쇄 경향이 덜 하다.
바람직하게는, 크림핑된 시트 재료는 알칼로이드 함유 시트 재료, 플라스틱 시트 또는 셀룰로스를 포함하는 시트 중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로이드 함유 시트 재료는 균질화된 담배 시트를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3 양태에 따라 실현된 크림핑된 시트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들이 첨부된 도면을 비-제한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 도 1은 크림핑된 시트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 도 2는 크림핑 롤러 쌍 및 재료를 크림핑하기 위해 롤러가 형성하는 닙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 도 3은 크림핑 롤러 쌍의 크림핑 톱니의 기하학적 구조의 개략적인 부분도이다.
도 1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크림핑된 시트 재료(7)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의 기본 레이아웃이 개략적인 측면도로 도시된다.
원재료는 제1 코일, 즉 공급 코일(2)에 의해 공급된다. 공급 코일(2)에는 장치(1)를 사용하여 크림핑될 평탄하고 얇은 재료(3) 층의 “무한” 시트가 제공된다. 재료(3)는 일부 유형의 담배와 같은 향미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균질한 담배 시트 또는 플라스틱 시트 또는 셀룰로스 유형 시트일 수 있다. 코일(2)에 권취된 재료(3)의 시트는 엄격히 말해서 무한 시트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시트 재료의 시트의 전체 길이는 수백 미터일 수 있고 따라서 그의 폭보다 훨씬 더 길 수 있다. 또한, 연속적인 크림핑 공정이 가능하도록 2개의 연속적인 공급 코일(2)(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이양 기구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시트는 공급 코일(2)로부터 아래로 감겨지고 재료(3)의 처리가 수행되는 장치(1)의 “주요 부분”으로 진입한다. 재료(3)는 재료(3)의 단일의 평탄한 층으로서 장치(1)로 공급된다. 재료(3)의 평탄한 층의 처리는 특정 거리에서 2개의 롤러(4, 5)의 적절한 배치에 의해 상부 롤러(4)와 롤러(5) 사이에 형성된 닙(6)에서 행해진다. 닙(6)의 폭은 대략적으로 재료(3)의 진입 층의 두께 범위에 있다. 닙(6)의 폭은 일반적으로, 해당 표면 부분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다른 롤러(4, 5)의 이웃하는 표면 부분에 대한 거리로서 정의된다. 처리 공정의 현재 필요성에 따라서, 닙(6)의 폭은 통상적으로, 진입하는 재료(3) 층의 두께보다 약간 더 작아서 진입하는 재료(3) 층이 닙(6)에서 약간 압축된다. 따라서, 견인력이 롤러(4, 5)에 의해 재료(3)의 평탄한 층에 가해질 수 있다.
현재 도시된 구현예에서, 상부 롤러(4)와 하부 롤러(5) 둘 모두는 대응하는 표면 구조를 갖는 외부 표면(11)을 도시한다(또한, 도 2 및 도 3 참조). 즉, 롤러(4) 중 제1 롤러의 릿지(9)는 롤러(5) 중 제2 롤러의 대응하는 이웃하는 홈통(10) 내로 부분적으로 돌출할 것이고 그 반대일 것이다. 이는 특히,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롤러(4, 5)의 설계 때문에, 특히 롤러(4, 5)의 외부 표면(11)의 설계 때문에, 닙(6)을 통과하는 시트 재료(3)는 주름질 것이다. 주름진 시트(7) 재료는 그의 다른 측면에서 처리 닙(6)을 떠난다. 주름진 시트(7)는 처리되고 주름진 시트(7) 재료가 권취되는 제품 코일(8)로 공급된다. 주름진 시트(7)의 주름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과장된 방식으로 도 1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두 롤러(4, 5)의 외부 표면(11)이 완전히 구조화된 외부 표면(11)을 나타내지만, 롤러(4, 5) 중 단지 하나만이 구조화된 외부 표면(11)을 나타내고; 롤러(4, 5)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부분적으로 구조화된 외부 표면(11)만을 나타내 것(이는 각각의 롤러(들)의 외부 표면(11)의 일부가 본질적으로 비-구조화된 외부 표면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함) 등도 또한 가능하다.
도 2에서, 진입 시트 재료(3)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부 롤러(4) 및 하부 롤러(5)에 의해 형성되는 닙(6)이 더 상세히 도시된다. 즉, 도 2의 도면은 도 1의 도면에 수직이다. 도 2에서 특히 양호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롤러(4, 5) 둘 모두는 교대하는 일련의 릿지(9)와 홈통(10)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표면(11)을 도시하며, 여기서 2개의 연속적인 릿지(9) 사이의 피치 또는 2개의 연속적인 홈통(10) 사이의 피치가 각각의 롤러(4, 5)의 전체 폭에 걸쳐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표면 구조의 진폭, 즉, 릿지(9)의 최상부와 홈통(10)의 바닥 사이의 롤러(4, 5)의 반경에서의 차이는 또한, 각각의 롤러(4, 5)의 전체 폭에 걸쳐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2에서 추가로 그리고 도 3에서 더 상세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릿지(9)와 홈통(10)의 배열은 2개의 이웃하는 롤러(4, 5)에서 약간 오프셋되어, 릿지(9)와 홈통(10)은 서로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특히, 일반적으로 롤러(4, 5)의 외부 표면의 구조 사이의 오프셋은 2개의 연속적인 릿지(9) 또는 2개의 연속적인 홈통(10) 사이의 피치(12)의 약 절반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롤러(4, 5)의 설계에 따라서, 닙(6)을 떠나는 시트 재료(7)(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1)에 의해 처리되는 시트 재료(7))는 대응하는 표면 구조를 보여줄 것이다.
본 구현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구조물(11)과 롤러(4, 5)의 배치는 단지 통상적인 예만을 따른다고 이해해야 한다. 다른 구현예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롤러 중 하나(예를 들어, 상부 롤러(4))만이 릿지(9) 및 홈통(10)을 포함하는 표면 구조물(11)을 도시하는 반면에, 다른 롤러(예를 들어, 하부 롤러(5))는 본질적으로 비-구조화된 외부 표면을 도시한다. 유사하게, 두 롤러(4, 5) 상의 표면 구조물(11)은 또한 상이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두 롤러(4, 5)의 표면 구조물(11)의 진폭(14)은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3에서 표면 구조물(11)의 기하학적 구조가 더 상세히 도시된다. 단지 완전함을 위해서, 도 3의 축척으로 인해 매우 제한된 수의 릿지(9) 및 홈통(10)만이 도시되었음을 언급해야 한다. 실제로, 릿지(9)와 홈통(10)의 수는 일반적으로 상당히 더 클 것이다. 또한, 닙(6)을 형성하는 이웃하는 롤러(4, 5)의 외부 표면(11)의 이들 부분만이 선택된 척도로 인해 도 3에서 볼 수 있다.
대응하는 롤러(4, 5)의 축 방향으로 측정된 2개의 연속적인 릿지(9) 사이의 거리인 릿지(9)(피크 또는 선단부)의 피치(12)는 현재 약 1 mm로 선택된다. 표면 구조물(11), 특히 릿지(9) 및 홈통(10)이 대칭적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각각의 롤러(4, 5)의 축 방향으로 볼 때 릿지(9)와 이웃하는 홈통(10) 사이의 거리(13)는 피치(12)의 절반일 것이고, 따라서 약 0.5 mm일 것이다. 현재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롤러(4, 5)의 반경방향으로 볼 때 릿지(9)와 홈통(10) 사이의 거리인 진폭(14)은 또한, 현재 1 mm이다. 따라서, 릿지(9)(피크)와 이웃하는 홈통(10) 사이의 경사 거리는 이에 대응하여 더 클 것이다. 현재, 이는 피타고라스의 이론에 의해 계산될 수 있고 약
Figure pct00001
(밀리미터 단위로 나타낸 길이)로 읽힌다.
또한, 축 방향으로 2개의 표면 구조물(11) 사이의 오프셋도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다. 현재, 오프셋은 본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서 약 0.5 mm인 2개의 이웃하는 릿지(9) 사이의 피치(12)의 절반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 롤러(4)의 릿지(9)는 하부 롤러(5)의 홈통(10)과 축 방향으로 정렬될 것이고 그 반대일 것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양태에 따르면, 릿지(9)와 이웃하는 플랭크(16)와, 릿지(9)의 선단부를 통과하는 각각의 롤러(4, 5)의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라인 사이의 각도이고 그 사이에 둘러싸이는 플랭크 각도(15)는 특정 값을 가질 것이다. 롤러(4, 5)의 표면(11)에 대한 현재 대칭인 설계로 인해, 릿지(9)에 인접한 2개의 플랭크(16) 사이에 둘러싸인 각도는 플랭크 각도(15)의 약 2배이다.
현재 도시된 예(여기서, 도 3은 축척으로 도시되지 않음)에서, 플랭크 각도(15)는 약 9도로 선택된다. 특히, 특정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플랭크 각도(15)는 약 4도 내지 약 20도 사이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플랭크 각도(15)는 약 8도 내지 약 10도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상부 및 하부 한계(표시된 한계 값의 조합을 포함함), 예를 들어 약 5도, 약 6도 또는 약 7도(특히 하한으로서) 또는 약 11도, 약 12도, 약 13도, 약 14도, 약 15도, 약 16도, 약 17도, 약 18도 또는 약 19도(특히 상한으로서)가 가능하다.
플랭크(16)가 국부적인 표면 곡률을 나타내지 않음을 의미하는, 직선인 특정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릿지(9) 및 홈통(10)은 본질적으로 원형 형상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둥글게 된다. 물론, 상이한 설계가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표면 곡선은 스플라인 또는 다른 어떤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그러나 아마도 다른 경우에서도 또한), 플랭크(16)의 정의 지점으로서 플랭크 각도(15)의 하나의 다리(leg)가 측정되는 경우에, 각각의 곡선의 변곡점이 선택될 수 있다(반경 방향으로 향하는 라인이 플랭크 각도(15)의 다른 다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플랭크 각도(15)의 상이한 정의가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Claims (14)

  1. 시트 재료를 크림핑(crimping)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Figure pct00002
    제1 및 제2 회전 축을 정의하는 제1 및 제2 대향 크림핑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크림핑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Figure pct00003
    복수의 릿지를 포함하며, 각각의 릿지는 제1 및 제2 플랭크 및 선단부를 정의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 플랭크는 선단부를 통과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 플랭크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플랭크 각도는 약 8도 내지 약 10도에 포함되는, 시트 재료를 크림핑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는 일정한 피치로 서로 이격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는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진폭을 가지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랭크는 선단부를 통과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 대칭인,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롤러는 금속으로 실현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크림핑 롤러 중 다른 하나는 복수의 릿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롤러는 제1 롤러의 릿지가 제2 롤러의 릿지와 실질적으로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장치.
  7.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크림핑된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Figure pct00004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시트 재료를 크림핑 롤러 세트에 공급하는 단계로서, 상기 크림핑 롤러 세트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제1 또는 제2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릿지를 포함하는 단계; 및
    Figure pct00005
    상기 제1 또는 제2 롤러의 릿지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시트 재료에 복수의 크림프 주름(crimp corrugation)을 적용하도록 시트 재료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및 제2 롤러 사이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시트를 공급함으로써 크림핑된 웹을 형성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웹을 크림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Figure pct00006
    상기 제1 또는 제2 롤러 내의 릿지는 제1 및 제2 플랭크 및 선단부를 정의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플랭크는 상기 선단부를 통과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 플랭크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플랭크 각도는 약 8도 내지 약 10도에 포함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크림핑된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8. 에어로졸 발생 물품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Figure pct00007
    제7항에 따라 크림핑된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Figure pct00008
    상기 크림핑된 시트를 주름지게 해서 연속적인 로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Figure pct00009
    상기 연속적인 로드를 복수의 로드 형상 구성요소로 절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각각의 로드 형상 구성요소는 상기 크림핑된 시트의 절단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주름진 크림핑된 시트를 갖고, 상기 크림핑된 시트의 크림프 주름은 상기 로드 형상 구성요소 내에 복수의 채널을 정의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재료는 알칼로이드 함유 시트 재료, 플라스틱 시트 또는 셀룰로스를 포함하는 시트 중 하나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로이드 함유 시트 재료는 균질화된 담배 시트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7항의 방법에 따라 실현된 크림핑된 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된 시트 재료는 알칼로이드 함유 시트 재료, 플라스틱 시트 또는 셀룰로스를 포함하는 시트 중 하나인, 크림핑된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로이드 함유 시트 재료는 균질화된 담배 시트를 포함하는, 크림핑된 시트.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크림핑된 시트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1020197033150A 2017-05-15 2018-05-14 크림핑된 시트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069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71116 2017-05-15
EP17171116.1 2017-05-15
PCT/EP2018/062360 WO2018210743A1 (en) 2017-05-15 2018-05-14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rimped sheet of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976A true KR20200006976A (ko) 2020-01-21

Family

ID=5870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150A KR20200006976A (ko) 2017-05-15 2018-05-14 크림핑된 시트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00154756A1 (ko)
EP (1) EP3624615B1 (ko)
JP (1) JP7395356B2 (ko)
KR (1) KR20200006976A (ko)
CN (1) CN110621173B (ko)
BR (1) BR112019023420B1 (ko)
ES (1) ES2867585T3 (ko)
HU (1) HUE053791T2 (ko)
PL (1) PL3624615T3 (ko)
RU (1) RU2765704C2 (ko)
WO (1) WO2018210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20083A1 (it) * 2018-12-18 2020-06-18 Gd Spa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spezzoni tubolari dell’industria del tabacco
CN113180269A (zh) * 2021-03-19 2021-07-30 昆明鼎承启鑫科技有限公司 一种卷式带材制丝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3232A (en) * 1961-02-08 1964-10-21 Mini For Ministerul Ind Petrol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longitudinally creped paper
FR2314679A1 (fr) * 1975-06-19 1977-01-14 Job Ets Bardou Job Pauilhac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realisation d'un nouveau type de structure filtrante pour filtres a cigarettes, filtres obtenus et cigarettes equipees de ce filtre
FR2418628A1 (fr) * 1978-03-03 1979-09-28 Job Ets Bardou Job Pauilhac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formation d'une nappe fibreuse destinee a la realisation de filtres a cigarettes et filtres ainsi obtenus
DE3429172C2 (de) * 1984-08-08 1986-10-30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6050 Offenbach Vorrichtung zum Längsfalzen übereinanderliegender Druckträgerbahnen
US8967155B2 (en) * 2011-11-03 2015-03-03 Celanese Acetate Llc Products of high denier per filament and low total denier tow bands
RU2616577C2 (ru) * 2011-12-30 2017-04-17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непрерывного полотна гофрированного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DE102012208612A1 (de) * 2012-05-23 2013-11-28 Hauni Maschinenbau Ag Prägewalze
DE102012015088A1 (de) 2012-08-01 2014-02-06 Hauni Maschinenbau Ag Reckwalze
JP6101899B2 (ja) 2013-01-29 2017-03-29 株式会社デュプロ 用紙筋付装置及び用紙折り装置
GB201311079D0 (en) * 2013-06-21 2013-08-0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 method of fabricating a filter element
EP3041375B1 (en) * 2013-09-02 2020-08-19 Philip Morris Products S.a.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variable crimped web material
KR102296772B1 (ko) * 2013-12-23 2021-09-03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연속 시트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67573B1 (ko) 2014-11-03 2022-11-1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압착 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9140589A3 (ko) 2021-08-11
JP2020519302A (ja) 2020-07-02
PL3624615T3 (pl) 2021-08-09
RU2765704C2 (ru) 2022-02-02
WO2018210743A1 (en) 2018-11-22
HUE053791T2 (hu) 2021-07-28
ES2867585T3 (es) 2021-10-20
EP3624615A1 (en) 2020-03-25
BR112019023420B1 (pt) 2023-11-14
BR112019023420A2 (pt) 2020-06-16
CN110621173B (zh) 2022-03-25
RU2019140589A (ru) 2021-06-16
JP7395356B2 (ja) 2023-12-11
CN110621173A (zh) 2019-12-27
US20200154756A1 (en) 2020-05-21
EP3624615B1 (en)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3698B2 (ja) 捲縮したウェブ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630971B1 (ko) 시트 같은 담배 재료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06976A (ko) 크림핑된 시트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135493A (ko) 시트 유사 담배 재료의 제조 방법
CN112367862B (zh) 制造气溶胶生成制品部件的方法和包括所述部件的气溶胶生成制品
WO20181780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rimped sheet of material
KR102639937B1 (ko) 시트 같은 담배 재료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201422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rrugated web
WO2018215467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rimped sheet of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