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835A - 부표 장치 - Google Patents

부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835A
KR20200005835A KR1020180079315A KR20180079315A KR20200005835A KR 20200005835 A KR20200005835 A KR 20200005835A KR 1020180079315 A KR1020180079315 A KR 1020180079315A KR 20180079315 A KR20180079315 A KR 20180079315A KR 20200005835 A KR20200005835 A KR 20200005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communication unit
tube
skeleton
buoyanc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근
Original Assignee
김영근
주식회사 두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근, 주식회사 두니 filed Critical 김영근
Priority to KR1020180079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5835A/ko
Priority to CN201920681853.4U priority patent/CN210247991U/zh
Publication of KR20200005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부표 장치는 물에 뜨는 부력체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와 함께 상기 물에 투입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소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표 장치{BUOY}
본 발명은 물에 뜨는 부표에 관한 것이다.
연안 바다에서는 그물망 또는 성장판을 부유체에 매달아 그물망 내부 또는 성장판에 어류와 패류, 해조류를 양식하는 해양 생물 양식장이 운영되고 있다.
부유체는 그물망 또는 성장판의 설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요소이나, 해양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해양 오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스티로폼 재질의 부유체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대체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55877호에는 폴리프로필렌폼으로 성형된 부표의 표면에 폴리프로필렌필름을 도포시킴으로써, 부유체의 내부식성, 내후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및 강도가 개선된 부표가 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55877호
본 발명은 부력체를 보호하는 동시에 부력체를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부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부표 장치는 물에 뜨는 부력체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와 함께 상기 물에 투입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소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표 장치는 부력체가 수납되는 몸통부 통해 물에 투입된 부력체를 보호할 수 있다.
외부 충격이 몸통부에 의해 흡수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한 부력체의 훼손이 방지될 수 있다.
몸통부에는 소통부가 마련되며, 해당 소통부를 통해 부력체가 입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지주대에 고정된 몸통부에 대해 다양한 종류의 부력체를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부력체를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소통부는 부력체의 수납 공간과 외부를 연결할 수 있다. 폐쇄된 커버 내에 부력체가 삽입된 경우 유입된 물로 인해 부표 장치 전체의 무게가 증가되므로, 부력이 저하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소통부로 인해, 부표 장치의 무게 증가, 부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몸통부는 소통부를 갖고,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통부는 부력체를 수납할 수 있는 입체 형상으로부터 납작하게 눌린 상태까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 밖에서 부력체와 몸통부를 따로 보관할 때, 몸통부 보관에 요구되는 보관 시설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맞물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셀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셀 모듈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기체가 주입되기 전의 부력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부표 장치는 몸통부(210) 및 소통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210)에는 물에 뜨는 부력체(100)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216)이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210)는 수납 공간(216)에 수납된 부력체와 함께 물에 투입될 수 있다.
부력체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티로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각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호수, 저수지, 강, 바다 등에 투입된 몸통부(210)는 수납 공간(216)에 수납된 부력체를 둘러싸는 벽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부력체를 둘러싼 벽부(213)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부력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벽부(213)는 부력체로부터 떨어진 파티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로폼의 일부가 깨진 경우, 벽부(213)는 부력체로부터 떨어져나온 스티로폼 조각이 외부로 유출되어 해양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몸통부(210)가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처럼 형성되면 수납 공간(216)으로 유입된 물에 의해 자중이 증가되고, 부력체의 부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수납 공간(216)으로 유입된 물에 의한 자중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몸통부(210)에는 소통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소통부(230)는 수납 공간(216)과 외부를 연결하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소통부(230)에 따르면, 수납 공간(216)으로 유입된 물로 인한 몸통부(210)의 자중 증가 문제가 제거될 수 있다.
소통부(230)는 몸통부(210)의 수납 공간(216)에 대해 부력체를 집어넣거나 빼낼 수 있는 출입구로 기능할 수 있다. 소통부(230)로 인해 부력체의 교체와 같은 유지 보수 작업이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
한편, 몸통부(210)에 따르면, 보관 시설의 확충이 요구될 수 있다. 왜냐하면, 몸통부(210)가 없는 기존에는 물 밖의 창고와 같은 보관 시설에 부력체만 보관하면 충분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부력체의 보관 공간에 더해 몸통부(210)의 보관 공간이 추가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몸통부(210)의 부피는 부력체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부력체 보관에 '1' 부피의 공간이 요구되었다면, 몸통부(210) 보관에 '1' 부피 이상의 공간이 요구된다. 결국, 부력체만 보관하던 비교 실시예와 대비하여 2배 이상의 보관 공간이 요구되는 셈이다.
보관의 편의성을 개성하기 위해, 몸통부(2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몸통부(210)는 복수로 적층되기 용이하며, 전후좌우의 공간 역시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몸통부(210)는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뼈대(211)와 제2 뼈대(212)가 교차 형성된 망사 형상의 벽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통부(230)는 제1 뼈대(211)와 제2 뼈대(212)에 의해 둘러싸인 망사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몸통부(2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통부(210)에서 서로 이격된 평평한 2개의 면 테두리를 따라 각각 프레임(219)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프레임(219)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뼈대(211)는 서로 이격된 2개의 프레임(219)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뼈대(211)는 프레임(219)의 외주를 따라 설정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제2 뼈대(212)는 복수의 제1 뼈대(211)를 가로지르면서 복수의 제1 뼈대(2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뼈대(211) 및 제2 뼈대(212)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뼈대(211) 및 제2 뼈대(212)는 설정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범위 내에서 플렉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뼈대(211) 및 제2 뼈대(212)를 갖는 몸통부(210)의 벽부(213)는 평소, 부력체의 수납 공간(216)을 갖는 설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부력체를 빼낸 상태에서 사용자가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는 외력을 몸통부(210)에 인가하면, 몸통부(210)는 납작하게 눌려질 수 있다. 납작하게 눌려진 몸통부(210)는 매우 작은 부피를 차지하므로, 몸통부(210)의 보관 공간이 대폭 줄어들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망사 구멍에 해당하는 소통부(230)가 벽부(213)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벽부(213)에 형성된 소통부(230)는 몸통부(210)가 납작하게 눌려지는데 일조할 수 있다.
소통부(230)는 부력체가 출입하는 출입구에 해당하는 제1 소통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소통부(231)를 개폐하는 덮개부(25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소통부(231)는 프레임(219)에 둘러싸일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250)를 이용해서 프레임(219)을 덮으면 자연스럽게 제1 소통부(231)가 폐쇄될 수 있다. 덮개부(250)는 제1 소통부(231) 또는 프레임(219)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219)에 대면되는 덮개부(250)의 일면에는 프레임(219)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259)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219)에 대해 덮개부(250)를 압착하면 걸림부(259)가 프레임(219)의 안쪽까지 진입하고, 프레임(219)에 걸릴 수 있다. 프레임(219)에 대해 덮개부(250)를 잡아당기면 걸림부(259)터 프레임(219)으로부터 이탈되고, 덮개부(250)는 프레임(219)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제1 소통부(231)가 덮개부(250)에 의해 개방되면, 부력체는 수납 공간(216)에 출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소통부(231)를 통해 수납 공간(216)에 부력체를 집어넣고 덮개를 이용해서 제1 소통부(231)를 폐쇄하면, 부력체는 수납 공간(216)에 가둬질 수 있다. 수납 공간(216)에 가둬진 부력체는 몸통부(210)와 함께 물에 투입될 수 있다.
몸통부(210)가 부력체와 함께 물에 뜬 상태를 기준으로, 제1 소통부(231)는 몸통부(210)의 측면 또는 몸통부(210)의 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소통부(231)가 몸통부(210)의 윗면에 형성되면, 부력체에 의해 제1 소통부(231)를 덮은 덮개부(250)에 부력 등이 인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덮개부(250)는 원하지 않게 몸통부(210)로부터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덮개부(250)에는 통공에 해당하는 보조 소통부(253)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소통부(253)에 의해 수납 공간(216)에 대한 물의 출입이 자유로울 수 있다. 물의 출입이 자유로운 수납 공간(216)으로 인해, 물 저장으로 인한 몸통부(210)의 자중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덮개부(250)에는 관 홀(255)이 형성될 수 있다. 부력체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튜브(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튜브(110)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납 공간(216)에 수납될 수 있다. 튜브(110)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관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관 홀(255)은 주입관에 대면되게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50)를 이용해서 제1 소통부(231)를 폐쇄한 후, 관 홀(255)을 통해 주입관과 에어(air) 펌프를 연결할 수 있다. 주입관을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튜브(110)는 수납 공간(216) 내에서 팽창되고, 물에 뜨는 진정한 부력체가 될 수 있다.
관 홀(255)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빠져나간 튜브(110)의 공기를 보충하는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몸통부(210)의 벽부(213) 외면에 설치되는 지주대(300)가 마련될 수 있다. 지주대(300)는 그물 등의 해양 시설을 지지할 수 있다. 해양 시설은 지주대(300), 몸통부(210), 부력체에 의해 수면에 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벽부(213) 외면에는 지주대(300)에 결합된 결합부(290)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지주대(300)를 짧게 나타냈으나, 실제로는 더 길수도 있다.
지주대(300)를 설정 자세로 유지시키기 위해, 몸통부(210)는 지주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소통부(231) 및 덮개부(250)는 지주대(300)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통부(210)의 측면에 제1 소통부(231) 및 덮개부(250)가 형성되고, 덮개부(250)로 제1 소통부(231)를 개폐하는 작업, 부력체를 수납 공간(216)으로부터 꺼내고 수납 공간(216)에 집어넣는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소통부(230)는 수납 공간(216)에 대면되는 벽부(213)에 형성된 제2 소통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통부(232)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소통부(232)에 의해 수납 공간(216)에 대한 물의 출입이 자유로워지고, 물 저장에 따른 몸통부(210)의 자중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벽부(213)의 일부만 물에 잠기고 벽부(213)의 나머지가 물에 잠기지 않는 경우, 물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제2 소통부(232)는 벽부(213)에서 물에 잠긴 부분 및 물에 잠기지 않은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소통부(232)는 벽부(213)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벽부(213)는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뼈대(211)와 제2 뼈대(212)가 교차 형성된 망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소통부(232)는 제1 뼈대(211)와 제2 뼈재에 둘러싸여 형성된 망사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통부(232)에 해당하는 망사 구멍을 갖는 벽부(213)에 따르면, 몸통부(210) 전체가 물에 잠긴 여부에 상관없이 수납 공간(216)에 대한 물의 출입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한편, 제2 소통부(232)가 벽부(213)의 전구간에 걸쳐 복수로 형성되면, 수납 공간(216)에 수납된 부력체는 제2 소통부(232)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 결과, 태양광 등에 의한 산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산화 방지를 위한 대책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부력체 자체에 태양광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는 방지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부력체 외면에 태양광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는 방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부력체의 유지 보수 편의를 확실하게 개선하고 부력체 조각으로 인한 해양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몸통부(210)에 수납되는 부력체는 셀 모듈(150)인 것이 좋다.
셀 모듈(150)에는 기체의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튜브(110), 튜브(110)와 튜브(11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셀 모듈(150)은 롤링(rolling)된 상태로 수납 공간(216)에 수납될 수 있다.
셀 모듈(150)을 구성하는 튜브(11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110)의 길이 방향을 제1 방향 ⓐ로 정의할 때, 연결부(130)는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를 따라 각 튜브(110)를 연결할 수 있다. 결국, 복수의 튜브(110)는 연결부(130)에 의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셀 모듈(150)은 제1 방향에 평행한 가상축 O1에 감기는 방식으로 롤딩된 상태에서 수납 공간(216)에 수납될 수 있다. 제1 소통부(231) 및 덮개부(250)는 가상축 O1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셀 모듈(150)은 튜브(110)에 기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수납 공간(216)에 삽입되는 것보다, 수납 공간(216)에 먼저 수납된 상태에서 튜브(110)에 기체가 주입되는 것이 좋다.
기체의 주입에 의해 팽창된 튜브(110)로 인해, 셀 모듈(150)은 수납 공간(216)의 형상에 맞게 변형되면서 수납 공간(216)을 채울 수 있다. 기체의 주입에 의해 팽창된 튜브(110)로 인해, 셀 모듈(150)은 수납 공간(216)에 대면되는 몸통부(210)의 벽부(213)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벽부(213) 내면에 밀착된 셀 모듈(150)은 몸통부(210)를 설정 형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밀착 접촉으로 인한 마찰에 의해 몸통부(210) 또는 셀 모듈(150)의 훼손을 방지하는 수단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맞물림부(217)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벽부(213)의 내면에는 팽창된 튜브(110)와 튜브(110) 사이에 삽입되는 맞물림부(217)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30)에 연결되고 팽창된 복수의 튜브(110)는 옆에서 바라봤을 때, 기어 이빨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이때, 맞물림부(217)는 팽창된 튜브(110)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몸통부(210)에 대한 셀 모듈(150)의 회동이 맞물림부(217)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도 4는 셀 모듈(15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복수의 튜브(110), 각 튜브(11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가 구비된 셀 모듈(150)의 형상은 설정 형상의 수납 공간(216)과 다를 수 있다.
연결부(130)에 의해 복수의 튜브(110)가 병렬로 연결된 셀 모듈(15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판 형상의 셀 모듈(150)이 원통 등의 설정 형상이 되도록, 셀 모듈(150)은 제1 방향에 평행한 가상축 O1에 감기는 방식으로 롤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셀 모듈(150)은 제2 단부(158)가 제1 단부(157)를 감싸는 형태로 말아져서 두루마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표의 설정 형상에 맞게 롤링된 셀 모듈(150)이 설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유지부(170)가 이용될 수 있다.
유지부(170)는 셀 모듈(150)이 롤링(rolling)되어 형성된 부력체를 설정 형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부력체는 설정 형상으로 롤링된 상태의 셀 모듈(150)을 지칭할 수 있다.
셀 모듈(150)에 마련된 복수의 튜브(110)는 각각 별개로 마련되거나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셀 모듈(150)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튜브(110)의 A-A' 절단면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셀 모듈(150)은 플렉시블한 판 형상의 제1 판재(151)와 제2 판재(152)가 서로 접합된 것일 수 있다. 서로 접합된 제1 판재(151)와 제2 판재(152)에 의해 튜브(110)와 연결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판재(151) 또는 제2 판재(152)는 서로 대면되는 2개의 폴리에틸렌층(153), 2개의 폴리에틸렌층(153) 사이에 개재되는 나일론층(154)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융착되기 어려운 나일론의 특성으로 인해 부력체의 내층과 외층을 접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일론층의 양측에 적층된 폴리에틸렌층에 의해 접합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나일론층은 폴리에틸렌층의 구조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제1 판재(151)와 제2 판재(152)가 서로 접합된 부분이 연결부(130)가 될 수 있다. 연결부(130)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이며 제1 판재(151)와 제2 판재(152)가 접합되지 않은 부분이 튜브(110)가 될 수 있다.
기체가 주입되기 전 튜브(110)는 도 5의 (a)와 같이 제1 판재(151)와 제2 판재(152)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셀 모듈(150) 전체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체가 튜브(110)에 주입되면, 제1 판재와 제2 판재 사이의 수용 공간(119)으로 유입된 기체에 의해 튜브(110)가 팽창되어 도 5의 (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기체가 주입되기 전의 부력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기체의 주입에 상관없이 유지부(170)에 의해 부력체가 유지될 수 있다.
기체가 투입되지 않은 튜브(110)는 판 형상으로 쪼그라들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종이를 돌돌 말아서 납작하게 눌러놓은 상태로 부력체를 보관 및 운송할 수 있다.
도 6의 튜브(110)에 기체가 주입되면, 팽창되는 튜브(110)에 의해 셀 모듈(150) 전체가 팽창될 수 있다. 팽창되는 셀 모듈(150)은 유지부(170)의 제한 범위 내에서 팽창되어 도 2와 같이 설정 형상의 부력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부력체(100)에는 두루마리꼴로 롤링되어 겹겹이 적층된 셀 모듈(150)에 의해 복수의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지부(170)는 서로 대면되는 제1 층 ①과 제2 층 ②를 결합시키는 융착선(1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 ②가 제1 층 ①을 덮은 상태인 경우, 융착선(171)을 기준으로 제1 층 ① 측의 셀 모듈(150)이 팽창될 수 있다. 팽창되는 셀 모듈(150)은 융착선(171)에 의해 팽창 또는 형상 변형이 제한되므로, 해당 셀 모듈(150)은 설정 형상을 만족하는 부력체를 형성할 수 있다.
융착선(171)은 초음파 융착법 또는 열 융착법에 의해 제1 층 ①과 제2 층 ②이 결합된 것으로, 기체의 주입 전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융착선(171)은 기체 주입시 셀 모듈(150)이 부력체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기체 주입 전 셀 모듈(150)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융착선(171)으로 인해 흐트러짐이 방지된 부표를 제공받게 되며, 해당 부표는 롤 형태로 말린 종이가 납작하게 눌려진 상태와 유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납작한 부표를 복수로 적층시키는 것과 같이 복수의 부표를 용이하게 보관하고 운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융착선(171)을 기준으로 내층의 셀 모듈(150)의 부표에 기체를 주입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설정 형상의 부력체를 획득할 수 있다. 설정 형상의 부력체는 수납 공간에 맞게 일부 변형될 수 있다.
연결부(130)에는 튜브(110)와 튜브(110)를 연결하고 기체가 소통되는 터널(190)이 마련될 수 있다. 터널(190)의 단부에는 주입관이 연결될 수 있다. 터널(190)은 주입관을 통해 유입된 기체를 복수의 튜브(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부력체 110...튜브
119...수용 공간 130...연결부
150...셀 모듈 151...제1 판재
152...제2 판재 157...제1 단부
158...제2 단부 170...유지부
171...융착선 190...터널
210...몸통부 211...제1 뼈대
212...제2 뼈대 213...벽부
216...수납 공간 217...맞물림부
219...프레임 230...소통부
231...제1 소통부 232...제2 소통부
250...덮개부 253...보조 소통부
255...관 홀 259...걸림부
290...결합부 300...지주대

Claims (17)

  1. 물에 뜨는 부력체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와 함께 상기 물에 투입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소통부;
    를 포함하는 부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부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뼈대와 제2 뼈대가 교차 형성된 망사 형상의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통부는 상기 제1 뼈대와 상기 제2 뼈대에 의해 둘러싸인 망사 구멍을 포함하는 부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뼈대 및 상기 제2 뼈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뼈대 및 상기 제2 뼈대는 설정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범위 내에서 플렉시블하게 형성된 부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부는 상기 부력체가 출입하는 출입구에 해당하는 제1 소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통부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소통부가 상기 덮개부에 의해 개방되면, 상기 부력체는 상기 수납 공간에 출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소통부를 통해 상기 수납 공간에 상기 부력체를 집어넣고 상기 덮개부를 이용해서 상기 제1 소통부를 폐쇄하면, 상기 부력체는 상기 수납 공간에 가둬지는 부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가 상기 부력체와 함께 상기 물에 뜬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소통부는 상기 몸통부의 측면 또는 상기 몸통부의 밑면에 형성된 부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통공에 해당하는 보조 소통부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소통부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에 대한 상기 물의 출입이 자유로운 부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지주대가 마련되고,
    상기 몸통부는 상기 지주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소통부 및 상기 덮개부는 상기 지주대에 수직하게 형성된 부표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셀 모듈에는 기체의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튜브, 튜브와 튜브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되며,
    상기 셀 모듈은 롤링(rolling)된 상태로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부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각 튜브를 연결하며,
    상기 셀 모듈은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한 가상축에 감기는 방식으로 롤링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부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에 상기 기체가 주입되며,
    상기 기체의 주입에 의해 팽창된 상기 튜브로 인해, 상기 셀 모듈은 상기 수납 공간에 대면되는 상기 몸통부의 벽부 내면에 밀착되는 부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내면에는 팽창된 튜브와 튜브 사이에 삽입되는 맞물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통부에 대한 상기 셀 모듈의 회동이 상기 맞물림부에 의해 제한되는 부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통부 및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가상축에 수직하게 형성된 부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는 상기 수납 공간에 대면되는 벽부가 마련되고,
    상기 소통부는 상기 벽부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소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소통부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에 대한 상기 물의 출입이 자유로운 부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통부는 상기 벽부에서 상기 물에 잠긴 부분 및 상기 물에 잠기지 않은 부분에 각각 형성된 부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뼈대와 제2 뼈대가 교차 형성된 망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소통부는 상기 제1 뼈대와 상기 제2 뼈대에 둘러싸여 형성된 망사 구멍을 포함하는 부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제2 소통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부력체 자체에 태양광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는 방지 성분이 포함되거나, 상기 부력체 외면에 상기 태양광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는 방지층이 형성된 부표 장치.
KR1020180079315A 2018-07-09 2018-07-09 부표 장치 KR20200005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315A KR20200005835A (ko) 2018-07-09 2018-07-09 부표 장치
CN201920681853.4U CN210247991U (zh) 2018-07-09 2019-05-13 浮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315A KR20200005835A (ko) 2018-07-09 2018-07-09 부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835A true KR20200005835A (ko) 2020-01-17

Family

ID=6936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315A KR20200005835A (ko) 2018-07-09 2018-07-09 부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05835A (ko)
CN (1) CN21024799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072A (ko) 2020-01-09 2021-07-19 김예준 부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77B1 (ko) 2012-03-05 2012-06-20 김고명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77B1 (ko) 2012-03-05 2012-06-20 김고명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072A (ko) 2020-01-09 2021-07-19 김예준 부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247991U (zh)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032B1 (ko) 오일펜스 및 그 보관방법
US4465399A (en) Artificial reef assembly construction and a method
KR101691455B1 (ko) 튜브부를 갖는 부표
KR102437304B1 (ko) 밀폐된 부력 공간을 갖는 부표 및 제조 방법
KR20200005835A (ko) 부표 장치
KR101743741B1 (ko) 튜브부를 갖는 부표 및 제조 방법
KR200482482Y1 (ko) 에어셀 부표
JP2004077244A (ja) 繊維強化コンクリートキャスク及びその成型用支持枠体、該コンクリートキャスクの製造方法
KR101867569B1 (ko) 다공성 폼이 내장된 부력체
KR20180117950A (ko) 다용도 경량 구조체와 이의 제조방법
KR102144957B1 (ko) 부표
KR102095258B1 (ko)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JP5489761B2 (ja) 組立式の被保護体収容浮遊体
JP6319986B2 (ja) 折畳式水槽
JP5829075B2 (ja) 被保護体収容浮遊体
KR20150064843A (ko) 오탁 방지막
NO774123L (no) Lense for forurensende vaesker som flyter paa vann
JP2005313813A (ja) 簡易マリーナ装置及び船舶の管理方法
JP2023098017A (ja) 海洋汚染物、汚染水を回収積載処理する海上走行用の人工浮体構造物
JPH0858880A (ja) 大量液体運搬容器
KR102302454B1 (ko) 물고기 로봇
JP2761493B2 (ja) 消波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74043A (ja) 水、土留め用等多目的可撓性容器装置
KR102144968B1 (ko) 부표
IT202100009200A1 (it) Drone d'acqu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