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222A - 자전거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222A
KR20200005222A KR1020180078676A KR20180078676A KR20200005222A KR 20200005222 A KR20200005222 A KR 20200005222A KR 1020180078676 A KR1020180078676 A KR 1020180078676A KR 20180078676 A KR20180078676 A KR 20180078676A KR 20200005222 A KR20200005222 A KR 20200005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icycle
bicycles
modu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035B1 (ko
Inventor
이예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쿨런바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쿨런바이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쿨런바이크
Priority to KR1020180078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035B1/ko
Priority to PCT/KR2019/008243 priority patent/WO2020009508A1/ko
Publication of KR20200005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6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quadricycle, e.g. by coupling together two bicycles side by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자전거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다인승 자전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연결장치는, 이웃된 제1 및 제2 자전거를 연결하기 위해 제1 및 제2 자전거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는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은, 제1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유닛 결합모듈; 제2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유닛 결합모듈; 일단부는 제1 유닛 결합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및 제2 자전거 사이에서 제1 및 제2 자전거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 일단부는 제2 유닛 결합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및 제2 자전거 사이에서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연결되고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함께 제1 및 제2 자전거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 및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를 선택적으로 클램핑(clamping) 또는 언클램핑(unclamping)시키는 메인 클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전거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다인승 자전거{BICYCLE CONNECTING DEVICE AND MULTI BICYCL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자전거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다인승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를 통해 다수의 자전거를 연결할 수 있어 다인승 자전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전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자전거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다인승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국민들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건강과 레저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으며, 생활 방식이 점점 개인중심, 가족중심으로 변해감에 따라 가족 또는 친구들과 함께 여가를 즐기고 운동을 할 수 있는 레저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부합하는 것 중의 하나가 다인승 자전거이다.
통상적인 다인승 자전거는 자전거의 프레임을 직렬로 길게 또는 병렬로 다열로 제작한 후, 안장과 고정식 핸들을 추가로 부착한 다음, 페달과 전동체인을 각각 또는 직렬로 설치하여 탑승한 다수인이 함께 또는 다수인 중 수명이 페달을 밟아 추진력을 얻도록 제작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다인승 자전거는 일체화된 프레임으로 제작되는 형태라서 제작이 복잡해질 수밖에 없으며, 또한 제작된 이후에는 분해가 곤란해서 사실상 보관상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종래의 다인승 자전거는 공장에서 주문 제작되는, 다시 말해 공장 제작형 주문 제품이라서 예컨대, 일반인이 다수의 자전거를 연결해서 다인승 자전거를 제작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만약 별도의 자전거 연결장치가 개발된다면 여러 대의 자전거를 연결해서 다인승 자전거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등 자전거를 좀 더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개념의 자전거 연결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1694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를 통해 다수의 자전거를 연결할 수 있어 다인승 자전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전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자전거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다인승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웃된 제1 및 제2 자전거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는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유닛 결합모듈;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유닛 결합모듈; 일단부는 상기 제1 유닛 결합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 일단부는 상기 제2 유닛 결합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 사이에서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 및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상기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를 선택적으로 클램핑(clamping) 또는 언클램핑(unclamping)시키는 메인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닛 결합모듈은, 판면에 다수의 제1 및 제2 모듈 결합홀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모듈 베이스; 및 상기 제1 및 제2 모듈 베이스의 일측에 마련되되 단부의 외벽이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접하면서 결합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접하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결합부의 외벽은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과 동일한 제1 및 제2 곡률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결합부의 내부에는 무게 감소를 위해 빈 공간으로서의 제1 및 제2 빈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닛 결합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모듈 베이스의 타측에 마련되되 내부에 제1 및 제2 비원형 홀이 형성되며, 소정의 액세서리에 대한 결합 장소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액세서리 결합용 더미 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닛 결합모듈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는, 상기 제1 모듈 베이스에 접하여 연결되되 상기 제1 모듈 결합홀과 대응되면서 연통되는 다수의 제1 연통홀을 구비하는 제1 연결 베이스;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연결 베이스에 결합되며, 외벽에 다수의 제1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1 이격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는, 상기 제2 모듈 베이스에 접하여 연결되되 상기 제2 모듈 결합홀과 대응되면서 연통되는 다수의 제2 연통홀을 구비하는 제2 연결 베이스;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연결 베이스에 결합되며, 외벽에 상기 제1 연결홀과 연결 가능한 다수의 제2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2 이격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 베이스 모두는, 상기 제1 및 제2 모듈 베이스와 접하는 제1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모듈 베이스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절곡 지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단부에서 절곡되되 단부 영역이 내측으로 더 절곡되어 상기 제1 및 제2 모듈 베이스의 타단부에 걸이식으로 걸리는 제1 및 제2 걸이식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격 지지대와 상기 제2 이격 지지대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격 지지대와 상기 제2 이격 지지대 간의 상대적인 유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 중 하나는 원형 형상의 홀(hole)이고, 다른 하나는 장공 형상의 홀(hole)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후방 휠의 제1 및 제2 허브(hub)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의 연결을 지지하는 후방 휠 연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조향봉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의 연결을 지지하되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의 핸들 조작이 동일해질 수 있게 가이드하는 조향봉 연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휠 연결유닛은, 상기 제1 허브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 허브 연결부; 상기 제1 허브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허브측 상대 회전 연결부가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후방 휠 연결대; 상기 제2 허브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허브 연결부; 상기 제2 허브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허브측 상대 회전 연결부가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후방 휠 연결대와 연결되는 제2 후방 휠 연결대; 및 상기 제1 후방 휠 연결대와 상기 제2 후방 휠 연결대를 선택적으로 클램핑(clamping) 또는 언클램핑(unclamping)시키는 제1 서브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방 휠 연결대와 상기 제2 후방 휠 연결대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후방 휠 연결대와 상기 제2 후방 휠 연결대 간의 상대적인 유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후방 휠 연결대와 상기 제2 후방 휠 연결대 중 하나에는 원형 형상의 홀(hole)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장공 형상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향봉 연결유닛은, 상기 제1 조향봉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 조향봉 연결부; 상기 제1 조향봉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조향봉측 상대 회전 연결부가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조향봉 연결대; 상기 제2 조향봉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조향봉 연결부; 상기 제2 조향봉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조향봉측 상대 회전 연결부가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조향봉 연결대와 연결되는 제2 조향봉 연결대; 및 상기 제1 조향봉 연결대와 상기 제2 조향봉 연결대를 선택적으로 클램핑(clamping) 또는 언클램핑(unclamping)시키는 제2 서브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향봉 연결대와 상기 제2 조향봉 연결대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 조향봉 연결대와 상기 제2 조향봉 연결대 간의 상대적인 유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조향봉 연결대와 상기 제2 조향봉 연결대 중 하나에는 원형 형상의 홀(hole)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장공 형상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골격을 이루는 제1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후방 휠에 마련되는 제1 허브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조향봉을 구비하는 제1 자전거; 골격을 이루는 제2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후방 휠에 마련되는 제2 허브와,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조향봉을 구비하는 제2 자전거; 및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는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을 구비하는 자전거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유닛 결합모듈;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유닛 결합모듈; 일단부는 상기 제1 유닛 결합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 일단부는 상기 제2 유닛 결합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 사이에서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 및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상기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를 선택적으로 클램핑(clamping)시키는 메인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허브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의 연결을 지지하는 후방 휠 연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조향봉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의 연결을 지지하되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의 핸들 조작이 동일해질 수 있게 가이드하는 조향봉 연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를 통해 다수의 자전거를 연결할 수 있어 다인승 자전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전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연결장치에 의해 제작된 다인승 자전거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연결장치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 1에서 제1 및 제2 자전거를 점선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 영역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1 유닛 결합모듈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제2 유닛 결합모듈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메인 클램프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후방 휠 연결유닛 영역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조향봉 연결유닛 영역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연결장치에 의해 제작된 다인승 자전거의 평면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연결장치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 1에서 제1 및 제2 자전거를 점선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 영역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제1 유닛 결합모듈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제2 유닛 결합모듈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에서 메인 클램프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후방 휠 연결유닛 영역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조향봉 연결유닛 영역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연결장치(100)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를 통해 다수의 자전거(10,20), 예컨대 도 1 및 도 2처럼 2대의 제1 및 제2 자전거(10,20)를 연결할 수 있어 다인승 자전거(1)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자전거 연결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110), 후방 휠 연결유닛(170) 및 조향봉 연결유닛(180)의 구성을 통해 제1 및 제2 자전거(10,20)를 연결함으로써 다인승 자전거(1)가 제작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110), 후방 휠 연결유닛(170) 및 조향봉 연결유닛(180)이라는 다소 간단한 구성을 통해 제1 및 제2 자전거(10,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사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제1 및 제2 자전거(10,20)를 연결해서 다인승 자전거(1)가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연결장치(100)는 부분적으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인승 자전거(1)에서 제1 및 제2 자전거(10,20)로 개별적으로 다시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활용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연결장치(100)의 세부 구성에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제1 및 제2 자전거(10,20)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본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하고 있는 제1 및 제2 자전거(10,20)는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일반적인 자전거이다. 즉 제1 및 제2 자전거(10,20)는 모두 골격을 이루는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1,21)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1,21)의 전방에 제1 및 제2 전방 휠(15,25)이 마련되고 후방에 제1 및 제2 후방 휠(12,22)이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1,21)의 센터 영역에는 제1 및 제2 안장(16,26)이 마련되고, 제1 및 제2 전방 휠(15,25)의 상부 측에는 제1 및 제2 핸들(17,27)이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1,21)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및 제2 후방 휠(12,22)에는 제1 및 제2 후방 휠(12,22)의 회전축심을 이루는 지지대로서 제1 및 제2 허브(13,23)가 마련되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1,21)의 전방에는 제1 및 제2 조향봉(14,24)이 배치된다. 제1 및 제2 조향봉(14,24)은 제1 및 제2 핸들(17,27)의 조작에 따라 제1 및 제2 핸들(17,27)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자전거(10,20)를 연결하기 위한 자전거 연결장치(100)의 일 구성으로서 우선,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110)은 이웃된 제1 및 제2 자전거(10,20)를 연결하기 위해 제1 및 제2 자전거(10,20)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1,21)에 연결된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110)은 제1 유닛 결합모듈(120), 제2 유닛 결합모듈(130),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150), 그리고 메인 클램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 결합모듈(120)은 도 3 및 도 4처럼 제1 메인 프레임(11)에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제1 유닛 결합모듈(120)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판면에 다수의 제1 모듈 결합홀(121a)이 형성되는 제1 모듈 베이스(121)와, 제1 모듈 베이스(131)의 일측에 마련되되 단부의 외벽이 제1 메인 프레임(11)에 접하면서 결합되는 제1 프레임 결합부(122)와, 제1 모듈 베이스(121)의 타측에 마련되며, 소정의 액세서리에 대한 결합 장소를 형성하는 제1 액세서리 결합용 더미 헤드(123)를 포함한다.
제1 모듈 베이스(121)는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와 결합되는 장소를 이룬다. 제1 모듈 베이스(121)가 일정한 면적과 두께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이끌어낼 수 있다. 제1 모듈 베이스(121)에는 다수의 제1 모듈 결합홀(121a)이 형성된다. 제1 모듈 결합홀(121a)들은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의 제1 연결 베이스(141)에 형성되는 제1 연통홀(141a)과의 나사 결합을 위해 마련된다.
제1 프레임 결합부(122)는 실질적으로 제1 메인 프레임(11)에 접하면서 결합되는 장소로 활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결합부(122)는 제1 메인 프레임(11)에 용접 결합된다. 하지만, 별도의 브래킷(미도시)을 이용해서 나사 결합시켜도 무방하다.
제1 메인 프레임(11)에 접하는 제1 프레임 결합부(122)의 외벽은 제1 메인 프레임(11)과 동일한 제1 곡률면(122a)을 형성한다. 따라서 서로간 안정적인 결합을 이끌어낼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 결합부(122)의 내부에는 무게 감소를 위해 빈 공간으로서의 제1 빈 공간부(122b)가 형성된다.
제1 액세서리 결합용 더미 헤드(123)는 제1 모듈 베이스(121)의 타측에 마련되되 내부에 제1 비원형 홀(123a)이 형성되며, 소정의 액세서리에 대한 결합 장소를 형성한다. 여기서, 소정의 액세서리란 바스켓이나 우산 등을 가리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액세서리에 마련되는 결합 바아(미도시)가 제1 액세서리 결합용 더미 헤드(123)의 제1 비원형 홀(123a)에 결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유닛 결합모듈(120)이 제1 메인 프레임(11)에 결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더라도 제1 유닛 결합모듈(120)은 소정의 액세서리가 결합되는 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굳이 제1 유닛 결합모듈(120)을 제거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제2 유닛 결합모듈(130)은 제1 유닛 결합모듈(120)과 마찬가지의 개념으로서 도 3 및 도 4처럼 제2 메인 프레임(21)에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 유닛 결합모듈(120,130)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부품을 개별적으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닛 결합모듈(130) 역시, 판면에 다수의 제2 모듈 결합홀(131a)이 형성되는 제2 모듈 베이스(131)와, 제2 모듈 베이스(131)의 일측에 마련되되 단부의 외벽이 제2 메인 프레임(21)에 접하면서 결합되는 제2 프레임 결합부(132)와, 제2 모듈 베이스(131)의 타측에 마련되되 내부에 제2 비원형 홀(133a)이 형성되며, 소정의 액세서리에 대한 결합 장소를 형성하는 제2 액세서리 결합용 더미 헤드(133)를 포함한다.
제2 유닛 결합모듈(130)의 경우에도 제2 메인 프레임(21)에 접하는 제2 프레임 결합부(132)의 외벽은 제2 메인 프레임(21)과 동일한 제2 곡률면(132a)을 형성하며, 제2 프레임 결합부(132)의 내부에는 무게 감소를 위해 빈 공간으로서의 제2 빈 공간부(13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프레임 결합부(132) 역시, 제2 메인 프레임(21)에 용접 결합된다. 물론, 나사 결합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는 그 일단부가 제1 유닛 결합모듈(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및 제2 자전거(10,20) 사이에서 제1 및 제2 자전거(10,20)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는 제1 모듈 베이스(121)에 접하여 연결되되 제1 모듈 결합홀(121a)과 대응되면서 연통되는 다수의 제1 연통홀(141a)을 구비하는 제1 연결 베이스(141)와, 일단부가 제1 연결 베이스(141)에 결합되며, 외벽에 다수의 제1 연결홀(143a)이 형성되는 제1 이격 지지대(143)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베이스(141)는 제1 모듈 베이스(121)와 접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41b)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41b)의 일단부에서 절곡되고 제1 모듈 베이스(121)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 절곡 지지부(141c)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41b)의 타단부에서 절곡되되 단부 영역이 내측으로 더 절곡되어 제1 모듈 베이스(121)의 타단부에 걸이식으로 걸리는 제1 걸이식 걸이부(141d)를 포함한다.
이처럼 제1 연결 베이스(141)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41b), 제1 절곡 지지부(141c) 및 제1 걸이식 걸이부(141d)의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1차로 제1 연결 베이스(141)를 제1 유닛 결합모듈(120)의 제1 모듈 베이스(121)에 걸어둔 후, 서로 연통되는 제1 연통홀(141a) 및 제1 모듈 결합홀(121a)들로 나사를 2차로 체결함으로써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를 제1 유닛 결합모듈(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150)는 그 일단부가 제2 유닛 결합모듈(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및 제2 자전거(10,20) 사이에서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와 연결되고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와 함께 제1 및 제2 자전거(10,20)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150)는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와 마찬가지로 제2 모듈 베이스(131)에 접하여 연결되되 제2 모듈 결합홀(131a)과 대응되면서 연통되는 다수의 제2 연통홀(151a)을 구비하는 제2 연결 베이스(151)와, 일단부가 제2 연결 베이스(151)에 결합되며, 외벽에 제1 연결홀(143a)과 연결 가능한 다수의 제2 연결홀(153a)이 형성되는 제2 이격 지지대(153)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연결 베이스(151) 역시, 제2 모듈 베이스(131)와 접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51b)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51b)의 일단부에서 절곡되고 제2 모듈 베이스(131)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 절곡 지지부(151c)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51b)의 타단부에서 절곡되되 단부 영역이 내측으로 더 절곡되어 제2 모듈 베이스(131)의 타단부에 걸이식으로 걸리는 제2 걸이식 걸이부(15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베이스(151)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51b), 제2 절곡 지지부(151c) 및 제2 걸이식 걸이부(151d)의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1차로 제2 연결 베이스(151)를 제2 유닛 결합모듈(130)의 제2 모듈 베이스(131)에 걸어둔 후, 서로 연통되는 제2 연통홀(151a) 및 제2 모듈 결합홀(131a)들로 나사를 2차로 체결함으로써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150)를 제2 유닛 결합모듈(1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와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150)의 구조에서 제1 이격 지지대(143)와 제2 이격 지지대(153)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보다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150)의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150)가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 내로 삽입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것과 반대의 구조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이격 지지대(143)와 제2 이격 지지대(153) 간의 상대적인 유격이 가능하도록 제1 연결홀(143a)과 제2 연결홀(153a) 중 하나는 원형 형상의 홀(hole)로 적용되고 다른 하나는 장공 형상의 홀(hole)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이격 지지대(153)의 제2 연결홀(153a)이 원형 형상의 홀(hole)로 적용되고 제1 이격 지지대(143)의 제1 연결홀(143a)이 장공 형상의 홀(hole)로 적용된다. 따라서 제1 이격 지지대(143)와 제2 이격 지지대(153) 간의 상대적인 유격 혹은 회전을 일부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자전거(10,20)의 연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메인 클램프(160)는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와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150)를 선택적으로 클램핑(clamping) 또는 언클램핑(unclamping)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메인 클램프(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바디(161)와, 클램프 바디(161)에 연결되는 볼 스크루(162)와, 볼 스크루(162)를 고정시키는 스크루 너트(163)와, 작동 레버(164)와, 작동 레버(164)에 볼 스크루(162)를 결합시키는 핀(16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유기적인 조립 구조와 동작에 의해 제1 이격 지지대(143)와 제2 이격 지지대(153)가 클램핑(clamping)되거나 언클램핑(unclamping)되도록 한다.
클램프 바디(161)는 제1 이격 지지대(143)의 단부에 결합된다. 클램프 바디(161)의 일측에는 한 쌍의 조임 플랜지(161a)가 형성된다. 한 쌍의 조임 플랜지(161a)에는 통공(161b)이 형성된다.
볼 스크루(162)는 나사산(162a)과, 회전축 겸용 핀 지지 헤드부(162b)를 포함한다. 회전축 겸용 핀 지지 헤드부(162b)에 핀 홀(162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볼 스크루(162)는 한 쌍의 조임 플랜지(161a)의 통공(161b)을 통과하게 설치된다.
스크루 너트(163)는 한 쌍의 조임 플랜지(161a)의 통공(161b)을 통과한 볼 스크루(162)의 나사산(162a)에 체결됨으로써 볼 스크루(162)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킨다.
작동 레버(164)는 제1 및 제2 이격 지지대(143,153)의 클램핑(clamping) 또는 언클램핑(unclamping)을 위하여 조작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는 한 쌍의 회전축부(164a)가 형성된다. 한 쌍의 회전축부(164a)에는 관통공(164b)이 형성된다. 한 쌍의 회전축부(164a) 사이의 공간으로 볼 스크루(162)의 회전축 겸용 핀 지지 헤드부(162b)가 배치된다. 작동 레버(164)에는 조작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러짐 방지홈(164c)이 곳곳에 형성된다.
핀(165)은 작동 레버(164)의 관통공(164b)으로 삽입된 후, 볼 스크루(162)의 회전축 겸용 핀 지지 헤드부(162b)에 형성되는 핀 홀(162c)에 체결됨으로써 볼 스크루(162)의 자리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작동 레버(164)의 회전축심을 형성한다.
이에, 작동 레버(164)를 도 3처럼 가압하면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와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150)가 클램핑될 수 있으며, 반대로 작동 레버(164)를 올리면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140)와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150)가 언클램핑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자전거(10,20)를 연결하기 위한 자전거 연결장치(100)의 다른 구성으로서 후방 휠 연결유닛(170)은 제1 및 제2 자전거(10,20)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후방 휠(12,22)의 제1 및 제2 허브(13,23, hub)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자전거(10,20)의 연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110)만으로는 제1 및 제2 자전거(10,20)의 제1 및 제2 후방 휠(12,22) 영역이 서로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후방 휠 연결유닛(170)이 마련된다. 후방 휠 연결유닛(170)이 제1 및 제2 후방 휠(12,22)에 결합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후방 휠(12,22)의 제1 및 제2 허브(13,23)에 후방 휠 연결유닛(170)이 결합된다.
이러한 후방 휠 연결유닛(170)은 도 8 및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허브(13)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 허브 연결부(171)와, 제1 허브(13)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허브측 상대 회전 연결부(174)가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후방 휠 연결대(173)와, 제2 허브(23)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허브 연결부(172)와, 제2 허브 연결부(172)의 타단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허브측 상대 회전 연결부(176)가 일단부에 마련되며, 제1 후방 휠 연결대(173)와 연결되는 제2 후방 휠 연결대(175)와, 제1 후방 휠 연결대(173)와 제2 후방 휠 연결대(175)를 선택적으로 클램핑(clamping) 또는 언클램핑(unclamping)시키는 제1 서브 클램프(17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클램프(177)의 구조는 전술한 메인 클램프(16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피한다.
이와 같은 후방 휠 연결유닛(170)의 구조에서 제1 후방 휠 연결대(173)와 제2 후방 휠 연결대(175)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마련된다. 이때, 제1 후방 휠 연결대(173)와 제2 후방 휠 연결대(175) 간의 상대적인 유격이 가능하도록 제1 후방 휠 연결대(173)와 제2 후방 휠 연결대(175) 중 하나에는 원형 형상의 홀(175a, hole)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장공 형상의 홀(173a, hole)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제1 및 제2 자전거(10,20)를 연결하기 위한 자전거 연결장치(100)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조향봉 연결유닛(180)은 제1 및 제2 자전거(10,20)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조향봉(14,24)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자전거(10,20)의 연결을 지지하되 제1 및 제2 자전거(10,20)의 핸들(17,24) 조작이 동일해질 수 있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110)과 후방 휠 연결유닛(170)의 작용으로 제1 및 제2 자전거(10,20)가 연결될 수 있으나 제1 및 제2 자전거(10,20)의 제1 및 제2 핸들(17,27)이 같은 방향으로 조작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조향봉 연결유닛(180)이 마련되어 제1 및 제2 자전거(10,20)에 연결된다.
이러한 조향봉 연결유닛(180)은 도 10 및 도 1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향봉(14)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 조향봉 연결부(181)와, 제1 조향봉(14)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조향봉측 상대 회전 연결부(184)가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조향봉 연결대(183)와, 제2 조향봉(24)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조향봉 연결부(182)와, 제2 조향봉 연결부(182)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조향봉측 상대 회전 연결부(186)가 일단부에 마련되며, 제1 조향봉 연결대(183)와 연결되는 제2 조향봉 연결대(185)와, 제1 조향봉(14) 연결대와 제2 조향봉 연결대(185)를 선택적으로 클램핑(clamping) 또는 언클램핑(unclamping)시키는 제2 서브 클램프(187)를 포함한다. 제2 서브 클램프(187)의 구조 역시, 전술한 메인 클램프(16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피한다.
이와 같은 조향봉 연결유닛(180)의 구조에서 제1 조향봉(14) 연결대와 제2 조향봉 연결대(185)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마련된다. 이때, 제1 조향봉(14) 연결대와 제2 조향봉 연결대(185) 간의 상대적인 유격이 가능하도록 제1 조향봉(14) 연결대와 제2 조향봉 연결대(185) 중 하나에는 원형 형상의 홀(185a, hole)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장공 형상의 홀(183a, 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110), 후방 휠 연결유닛(170) 및 조향봉 연결유닛(180)의 구성을 도 1 및 도 2처럼 위치별로 조립함으로써 제1 및 제2 자전거(10,20)를 연결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다인승 자전거(1)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를 통해 도 1 및 도 2처럼 2개의 제1 및 제2 자전거(10,20)를 연결할 수 있어 다인승 자전거(1)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전거(10,20)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다인승 자전거 10 : 제1 자전거
11 : 제1 메인 프레임 12 : 제1 후방 휠
13 : 제1 허브 14 : 제1 조향봉
20 : 제2 자전거 21 : 제2 메인 프레임
22 : 제2 후방 휠 23 : 제2 허브
24 : 제2 조향봉 100 : 자전거 연결장치
110 :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 120 : 제1 유닛 결합모듈
121 : 제1 모듈 베이스 121a : 제1 모듈 결합홀
122 : 제1 프레임 결합부 122a : 제1 곡률면
123 : 제1 액세서리 결합용 더미 헤드 123a : 제1 비원형 홀
130 : 제2 유닛 결합모듈 131 : 제2 모듈 베이스
131a : 제2 모듈 결합홀 132 : 제2 프레임 결합부
132a : 제2 곡률면 132b : 제2 빈 공간부
133 : 제2 액세서리 결합용 더미 헤드 133a : 제2 비원형 홀
140 :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 141 : 제1 연결 베이스
141a : 제1 연통홀 141b : 제1 베이스 플레이트
141c : 제1 절곡 지지부 141d : 제1 걸이식 걸이부
143 : 제1 이격 지지대 143a : 제1 연결홀
150 :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 151 : 제2 연결 베이스
151a : 제2 연통홀 151b : 제2 베이스 플레이트
151c : 제2 절곡 지지부 151d : 제2 걸이식 걸이부
153 : 제2 이격 지지대 153a : 제2 연결홀
160 : 메인 클램프 170 : 후방 휠 연결유닛
171 : 제1 허브 연결부 172 : 제2 허브 연결부
173 : 제1 후방 휠 연결대 175 : 제2 후방 휠 연결대
177 : 제1 서브 클램프 180 : 조향봉 연결유닛
181 : 제1 조향봉 연결부 182 : 제2 조향봉 연결부
183 : 제1 조향봉 연결대 185 : 제2 조향봉 연결대
187 : 제2 서브 클램프

Claims (19)

  1. 이웃된 제1 및 제2 자전거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는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유닛 결합모듈;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유닛 결합모듈;
    일단부는 상기 제1 유닛 결합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
    일단부는 상기 제2 유닛 결합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 사이에서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 및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상기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를 선택적으로 클램핑(clamping) 또는 언클램핑(unclamping)시키는 메인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닛 결합모듈은,
    판면에 다수의 제1 및 제2 모듈 결합홀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모듈 베이스; 및
    상기 제1 및 제2 모듈 베이스의 일측에 마련되되 단부의 외벽이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접하면서 결합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접하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결합부의 외벽은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과 동일한 제1 및 제2 곡률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결합부의 내부에는 무게 감소를 위해 빈 공간으로서의 제1 및 제2 빈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닛 결합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모듈 베이스의 타측에 마련되되 내부에 제1 및 제2 비원형 홀이 형성되며, 소정의 액세서리에 대한 결합 장소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액세서리 결합용 더미 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닛 결합모듈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는,
    상기 제1 모듈 베이스에 접하여 연결되되 상기 제1 모듈 결합홀과 대응되면서 연통되는 다수의 제1 연통홀을 구비하는 제1 연결 베이스;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연결 베이스에 결합되며, 외벽에 다수의 제1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1 이격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는,
    상기 제2 모듈 베이스에 접하여 연결되되 상기 제2 모듈 결합홀과 대응되면서 연통되는 다수의 제2 연통홀을 구비하는 제2 연결 베이스;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연결 베이스에 결합되며, 외벽에 상기 제1 연결홀과 연결 가능한 다수의 제2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2 이격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결 베이스 모두는,
    상기 제1 및 제2 모듈 베이스와 접하는 제1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모듈 베이스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절곡 지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단부에서 절곡되되 단부 영역이 내측으로 더 절곡되어 상기 제1 및 제2 모듈 베이스의 타단부에 걸이식으로 걸리는 제1 및 제2 걸이식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격 지지대와 상기 제2 이격 지지대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 이격 지지대와 상기 제2 이격 지지대 간의 상대적인 유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 중 하나는 원형 형상의 홀(hole)이고, 다른 하나는 장공 형상의 홀(ho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후방 휠의 제1 및 제2 허브(hub)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의 연결을 지지하는 후방 휠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조향봉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의 연결을 지지하되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의 핸들 조작이 동일해질 수 있게 가이드하는 조향봉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휠 연결유닛은,
    상기 제1 허브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 허브 연결부;
    상기 제1 허브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허브측 상대 회전 연결부가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후방 휠 연결대;
    상기 제2 허브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허브 연결부;
    상기 제2 허브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허브측 상대 회전 연결부가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후방 휠 연결대와 연결되는 제2 후방 휠 연결대; 및
    상기 제1 후방 휠 연결대와 상기 제2 후방 휠 연결대를 선택적으로 클램핑(clamping) 또는 언클램핑(unclamping)시키는 제1 서브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휠 연결대와 상기 제2 후방 휠 연결대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 후방 휠 연결대와 상기 제2 후방 휠 연결대 간의 상대적인 유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후방 휠 연결대와 상기 제2 후방 휠 연결대 중 하나에는 원형 형상의 홀(hole)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장공 형상의 홀(hol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봉 연결유닛은,
    상기 제1 조향봉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 조향봉 연결부;
    상기 제1 조향봉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조향봉측 상대 회전 연결부가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조향봉 연결대;
    상기 제2 조향봉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조향봉 연결부;
    상기 제2 조향봉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조향봉측 상대 회전 연결부가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조향봉 연결대와 연결되는 제2 조향봉 연결대; 및
    상기 제1 조향봉 연결대와 상기 제2 조향봉 연결대를 선택적으로 클램핑(clamping) 또는 언클램핑(unclamping)시키는 제2 서브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향봉 연결대와 상기 제2 조향봉 연결대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 조향봉 연결대와 상기 제2 조향봉 연결대 간의 상대적인 유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조향봉 연결대와 상기 제2 조향봉 연결대 중 하나에는 원형 형상의 홀(hole)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장공 형상의 홀(hol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연결장치.
  17. 골격을 이루는 제1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후방 휠에 마련되는 제1 허브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조향봉을 구비하는 제1 자전거;
    골격을 이루는 제2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후방 휠에 마련되는 제2 허브와,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조향봉을 구비하는 제2 자전거; 및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는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을 구비하는 자전거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 연결유닛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유닛 결합모듈;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유닛 결합모듈;
    일단부는 상기 제1 유닛 결합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
    일단부는 상기 제2 유닛 결합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 사이에서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 및
    상기 제1 착탈식 이격 지지부와 상기 제2 착탈식 이격 지지부를 선택적으로 클램핑(clamping)시키는 메인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허브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의 연결을 지지하는 후방 휠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조향봉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의 연결을 지지하되 상기 제1 및 제2 자전거의 핸들 조작이 동일해질 수 있게 가이드하는 조향봉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자전거.
KR1020180078676A 2018-07-06 2018-07-06 자전거 연결장치 KR102070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676A KR102070035B1 (ko) 2018-07-06 2018-07-06 자전거 연결장치
PCT/KR2019/008243 WO2020009508A1 (ko) 2018-07-06 2019-07-04 자전거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다인승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676A KR102070035B1 (ko) 2018-07-06 2018-07-06 자전거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222A true KR20200005222A (ko) 2020-01-15
KR102070035B1 KR102070035B1 (ko) 2020-01-29

Family

ID=6905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676A KR102070035B1 (ko) 2018-07-06 2018-07-06 자전거 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0035B1 (ko)
WO (1) WO202000950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905A (ko) * 2001-11-17 2003-05-23 권병하 평행연결자전거용 자전거
KR20110005678U (ko) * 2009-12-02 2011-06-10 노민영 가변형 자전거
KR20180091694A (ko) 2017-02-06 2018-08-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울기 도출 장치 및 기울기 도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5401A (en) * 1974-05-16 1975-02-11 Walter D Kingsly Dual bicycle coupling kit
KR200339826Y1 (ko) * 2003-07-15 2004-01-28 김양욱 레저커플자전거
KR20110047534A (ko) * 2009-10-30 2011-05-09 김주성 다인승 자전거
US9340250B2 (en) * 2014-08-03 2016-05-17 Ceferino Aponte-Rivera Side-by-side flexible twin bicy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905A (ko) * 2001-11-17 2003-05-23 권병하 평행연결자전거용 자전거
KR20110005678U (ko) * 2009-12-02 2011-06-10 노민영 가변형 자전거
KR20180091694A (ko) 2017-02-06 2018-08-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울기 도출 장치 및 기울기 도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035B1 (ko) 2020-01-29
WO2020009508A1 (ko)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1474B1 (en) Bicycle fork and steering tube
US4582335A (en) Bicycle frame having a modifiable structure
JP3886232B2 (ja) 自転車用スプロケツト支持ユニツト
TWI250103B (en) Bicycle seat assembly
US6877756B2 (en) Folding bicycle
JP2006224960A (ja) 組立式走行体
JP4356466B2 (ja) 自転車用折りたたみ自在車輪及び折りたたみ自転車
JP2006137410A (ja) 変換式乗用玩具
CN102632953B (zh) 用于拖拉自行车的设备
JP2004067078A (ja) 取り外し可能部分を有する自動二輪車用フレーム
WO2009090683A1 (en) Toy vehicle convertible between two use configurations
CN1861467B (zh) 自行车车架
EP1973773B1 (en) A frame for cycles , in particular for mountain bikes
CN104890782A (zh) 两用童车
KR102070035B1 (ko) 자전거 연결장치
US6149177A (en) Bicycle wheel fork with removable peg boss
US7296819B2 (en) Reversible running stroller
KR20150118513A (ko) 자전거 페달의 크랭크 암
CN210555325U (zh) 板式可拆装自行车及其车架的拼接模块
US6626604B1 (en) Bicycle connecting element, particularly for connecting carbon rear forks to frames
US5716304A (en) Elliptical frame structure for exercise bikes
US20020047302A1 (en) Rear bicycle wheel
CN110341856B (zh) 板式可拆装自行车及其车架的拼接模块
CN210555373U (zh) 一种自行车及其前叉与前管的快速连接结构
CN202130241U (zh) 自行车轮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