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853A - 포장 약제 - Google Patents

포장 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853A
KR20200004853A KR1020197035735A KR20197035735A KR20200004853A KR 20200004853 A KR20200004853 A KR 20200004853A KR 1020197035735 A KR1020197035735 A KR 1020197035735A KR 20197035735 A KR20197035735 A KR 20197035735A KR 20200004853 A KR20200004853 A KR 20200004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device
electrode
packaging
solid formulation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400B1 (ko
Inventor
가즈마 요코이
겐조 가시하라
겐타 야마모토
다카히로 소노키
쇼헤이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7Marking tabl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7Endoradiosondes
    • A61B5/073Intestinal transmit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9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p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61B5/147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61B5/4839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combined with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61Capsules, e.g. for swallowing or im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장기간에 걸쳐서 전극의 열화를 방지하여, 제조부터 섭취까지의 시간이 길더라도, 섭취되면 확실하게 신호를 발할 수 있는 포장 약제를 제공한다. 포장 약제는, 약제 분말과 마이크로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고형 제제와, 고형 제제 수용 공간을 갖고 고형 제제 수용 공간에 고형 제제를 수용한 용기와, 고형 제제 수용 공간에 봉입된 불활성 가스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디바이스는, 이온화 경향이 상이한 2개의 전극과, 이들 전극이 전해액에 접촉했을 때에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발하는 발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포장 약제
본 발명은 마이크로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약제(예를 들어, 정제, 캡슐제)를 용기에 포장한 포장 약제에 관한 것이다.
약제 분말과 그 안에 수용된 마이크로디바이스(IC칩)를 상하로부터 압축하여 형성되는 마이크로디바이스 내장 정제가 특허문헌 1 내지 3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디바이스 내장 정제의 하나로서, 섭취되어서 체내의 도전성 액체(예를 들어, 위산)에 접하면 신호를 발하도록 구성된 발신기 구비 정제가 특허문헌 4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디바이스는, 체내의 도전성 액체를 전해액으로 하여 화학 전지를 구성함과 함께 해당 화학 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발하기 때문에, 이온화 경향이 상이한 한 쌍의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과 이들 전극 간에 발생한 기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발하는 발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쪽 애노드 전극의 재료에는 염화구리가 사용되고, 다른 쪽 캐소드 전극에는 마그네슘, 아연 나트륨, 또는 리튬 철이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3895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38795호 공보 일본 특허 재공표 제2014-2000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14-525780호 공보
그런데, 염화구리를 포함하는 애노드 전극은 경시적인 변화에 따라 품질이 열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 열화의 원인은 마이크로디바이스의 정극이 다른 물질, 특히 수분과의 접촉에 있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그 때문에, 마이크로디바이스의 성능을 보증하기 위해서, 건조제를 사용하여 마이크로디바이스를 건조 상태로 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들은, 장기간에 걸쳐서 전극의 열화를 방지하여, 제조부터 섭취까지의 시간이 길더라도, 섭취되면 확실하게 신호를 발할 수 있는 포장 약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애노드 전극은 대기(특히 대기 중의 산소 및 수분)에 접촉하면 열화되기 쉬운 점, 즉, 마이크로디바이스의 애노드 전극을 구성하고 있는 염화구리(CuCl)가 주변 분위기의 산소(O2)와 물(H2O)에 접하여 구리염화물(Cu2(OH)3Cl)을 생성하여 열화되고, 그 결과, 섭취되었을 때에 마이크로디바이스가 목적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그리고, 이 지견에 기초하여, 저농도 산소의 환경에 정제를 둠으로써, 제조로부터 장시간 경과한 후일지라도, 정제는 산소로부터 격리되어서 열화를 방지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약제는,
약제 분말과 마이크로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고형 제제와,
고형 제제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고형 제제 수용 공간에 상기 고형 제제를 수용한 용기와,
상기 고형 제제 수용 공간에 봉입된 불활성 가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디바이스는,
제1 재료를 갖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재료와 상이한 이온화 경향을 갖는 제2 재료를 갖는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전해액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간에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발하는 발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고형 제제가 정제이며, 상기 정제에 상기 마이크로디바이스가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고형 제제가 캡슐을 갖고, 상기 캡슐에 상기 약제 분말과 마이크로디바이스가 수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고형 제제가 캡슐을 갖고, 상기 캡슐에 상기 약제 분말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캡슐에 상기 마이크로디바이스가 보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불활성 가스가 질소 가스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용기가 블리스터 포장체, 파우치 포장체, 병 포장체, 또는 보틀 포장체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재료가 염화구리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제2 재료가 마그네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약제 분말이, 산소와 접촉하더라도 품질이 열화되지 않는 약제 분말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저농도 산소의 환경에 놓인 정제는 산소로부터 격리되어서 열화가 방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로부터 장시간 경과 후에 섭취된 경우에도, 체내에 들어가면 체액(위산)에 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신호를 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약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포장 약제에 포함되는 정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정제에 내장된 마이크로디바이스의 회로 블록도.
도 4는 실험 1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실험 2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실험 3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실험 4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약제의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약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약제(10)를 나타낸다. 도시하는 포장 약제(10)는 블리스터 포장체(용기)(12) 또는 블리스터 포장체 시트를 갖는다. 블리스터 포장체(12)는 예를 들어, 상층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14)와 하층의 알루미늄 시트(16)를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층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14)는 예를 들어 진공 성형에 의해, 수용하는 약제의 형에 맞춘 복수의 제제 수용실(제제 수용 공간)(18)이 형성되어 있고, 제제 수용실(18)의 저부 개구가 하층의 알루미늄 시트(16)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블리스터 포장체(12)의 각 제제 수용실(18)에는 고형 제제(20)가 수용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고형 제제(20)는 정제(22)이다. 정제(22)의 크기는 한정적이지 않지만, 먹기 쉬움을 고려하면, 최장 부분의 크기가 5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제제 수용실(18)은 제조 시에 해당 제제 수용실의 공기가 불활성 가스로 치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정제(22)가 저산소 농도의 환경에 놓여 있다. 불활성 가스의 치환율은 100%일 필요는 없지만, 가능한 한 제제 수용실(18)에 남는 산소의 비율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불활성 가스는 질소이지만, 그 밖의 불활성 가스를 채용해도 된다.
블리스터 포장체(12)의 제제 수용실(18)을 불활성 가스로 치환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13351호 공보 등에 의해 알려져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22)는 마이크로디바이스(마이크로칩)(24)를 보유하고 있다. 마이크로디바이스(24)의 크기는, 최장 부분의 크기가 1㎜ 이하, 바람직하게는 수십 내지 수백마이크로미터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디바이스(24)는 정제(22)의 내부에 보유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부에 마이크로디바이스를 수용한 정제는,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약제 분말과 그 안에 배치된 마이크로디바이스를 상하로부터 압축하여 성형된다. 정제(22)는, 산소에 의해 품질이 열화되지 않는 약제 분말을 포함하는 정제여도 되고, 여기서, 「품질이 열화되지 않는 약제 분말」이란, 보관 기간 중(25℃/36개월, 40℃/6개월)의 함량 저하가 5% 이하, 또는, 유연 물질의 증가가 개개 1.0% 이하, 또는 용출 저하 10% 이하인 약제 분말을 말한다.
마이크로디바이스(24)는 정제(22)의 표면에 설치해도 된다. 이 형태에서는, 정제의 표면에 적당한 식용 접착제(예를 들어, 전분 접착제)를 사용하여 첩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디바이스(24)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기판(실리콘 기판)(26)의 표면에 애노드 전극(28)과 캐소드 전극(30)을 각각 별개로 형성한 것이다. 예를 들어, 기판(26)은 공지된 반도체 제조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고, 애노드 전극(28)과 캐소드 전극(30)은 공지된 성막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실시 형태에서는, 애노드 전극(28)에는 염화구리가 사용되고 있고, 캐소드 전극(30)에는 마그네슘이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디바이스(24)의 기판에는 여러가지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디바이스(24)는 전원부(전원 회로)(32), 제어부(제어 회로)(34), 발신부(발신 회로)(36)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부(32)는 애노드 전극(28)과 캐소드 전극(30)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디바이스(24)가 도전성 체액(예를 들어, 위산)에 접촉했을 때, 이들 애노드 전극(28)과 캐소드 전극(30)과 함께 화학 전지를 구성함과 함께, 이 화학 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을 다른 구성 회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4)는 전원부(3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받아서 필요한 신호를 발신부(36)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신부(36)는 전원부(3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받고, 제어부(34)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포장 약제(10)에 있어서, 정제(22)는 실질적으로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 제제 수용실(18)에 수용되어 있어, 수분이나 산소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따라서, 제조로부터 장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마이크로디바이스(24)의 전극, 특히 염화구리를 포함하는 애노드 전극의 표면에 구리염화부가 발생할 일이 없다. 또한, 환자의 체내에 섭취되어서 위산에 접하면, 애노드 전극(28)과 캐소드 전극(30)이 위산과 함께 화학 전지를 구성하고, 기전력을 발생한다. 이 전력은, 전원부(32)로부터 제어부(34) 및 발신부(36)에 공급된다. 또한, 제어부(34)가 발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발신부(36)가 소정의 신호를 발신한다. 발신된 신호는, 환자가 보유하는 전용 수신기 또는 전용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한 수신 기능 구비 컴퓨터(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수신되어서, 정제의 복용이 기록된다.
실험
마이크로디바이스를 상이한 환경에 두고, 마이크로디바이스의 수명(신호 발생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1〕
마이크로디바이스 내장형 정제를 수용한 양면 알루미늄 블리스터 포장체를 준비하였다. 각 블리스터 포장체에는 정제 A를 수용하였다. 이들 블리스터 포장체에 대해서, 포장체 내의 환경을 산소 농도 20.9%, 5%, 및 1%로 하고, 섭씨 60도의 실험 환경에 둔 직후(0W), 1주일(1W), 2주(2W), 3주(3W), 4주(4W), 6주(6W), 12주 경과(12W)의 각 시점에 있어서, 정제를 실험 환경으로부터 취출하여 시험액에 접촉시켜, 발신 시간을 계측하였다. 또한, 각 시점에 있어서의 정제의 함수량(%)〔(정제에 포함되는 수분 질량/약제의 질량)×100〕을 계측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도 4의 A와 도 4의 B에 도시하였다. 도 4의 A에 있어서, 종축은 발신 시간, 횡축은 계측 시점을 나타낸다. 도 4의 B에 있어서, 종축은 함수량, 횡축은 계측 시점을 나타낸다.
〔실험 2〕
정제 B를 수용한 블리스터 포장체를 준비하였다. 기타의 실험 조건은 실험 1과 동일하다. 실험의 결과를 도 5의 A와 도 5의 B에 도시하였다.
〔실험 3, 4〕
실험 1, 2와 동일한 2종류의 마이크로디바이스 내장형의 양면 알루미늄 블리스터 포장체(정제 A, B를 각각 내장)를 준비하였다. 이들 블리스터 포장체에 대해서, 포장체 내의 환경을 산소 농도 20.9%, 5%, 및 1%로 하고, 섭씨 40도의 실험 환경에 둔 직후(0M), 1개월 경과(1M), 3개월 경과(3M), 6개월 경과(6M)의 각 시점에 있어서, 정제를 실험 환경으로부터 취출하여 시험액에 접촉시키고, 발신 시간을 계측하였다. 실험 3(정제 A)과 실험 4(정제 B)의 결과를 도 6의 A와 도 6의 B, 도 7의 A와 도 7의 B에 각각 도시한다.
실험의 결과, 도 4의 B, 도 5의 B, 도 6의 B 및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장 내의 산소 농도는 정제에 포함되는 수분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았다. 또한, 도 4의 A, 도 5의 A, 도 6의 A 및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산소 농도의 환경(5%, 1%)에서는 마이크로디바이스의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될 일은 없지만, 고산소 농도의 환경(20.9%)에서는 조기에(1W 내지 2W의 단계에서) 마이크로디바이스의 성능이 크게 저하됨을 알았다.
이상, 실험으로부터, 환경의 산소 농도가 마이크로디바이스의 성능 열화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저산소 농도의 환경에 놓인 정제는, 제조로부터 장시간 경과 후에 섭취된 경우에도, 체내에 들어가면 체액에 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신호를 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약제의 고형 제제가 정제인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형 제제(40)는 캡슐제(42)여도 된다. 이 경우, 마이크로디바이스는, 캡슐(44) 중에 분말 약제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수용해도 된다.
또는, 마이크로디바이스는 캡슐(44)의 내면 또는 외면에 고정해도 된다. 이 경우, 전극, 특히 열화되기 쉬운 염화구리의 애노드 전극을 캡슐에 접착하고, 이 애노드 전극이 직접 공기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포장 정제의 용기를 상층과 하층을 모두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한 블리스터 포장로 구성했지만, 플라스틱의 상층과 알루미늄 시트의 하층을 접합한 블리스터 포장체를 용기에 사용해도 된다.
또한, 고형 제제를 수용하는 용기는, 블리스터 포장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파우치형, 병형, 또는 보틀형의 포장체여도 된다.
10: 포장 정제
12: 블리스터 포장체
14: 플라스틱 시트
16: 알루미늄 시트
18: 제제 수용실(제제 수용 공간)
20: 고형 제제
22: 정제
24: 마이크로디바이스
26: 기판
28: 애노드 전극
30: 캐소드 전극
32: 전원부
34: 제어부
36: 발신부
40: 고형 제제
42: 캡슐제
44: 캡슐

Claims (9)

  1. 약제 분말과 마이크로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고형 제제와,
    고형 제제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고형 제제 수용 공간에 상기 고형 제제를 수용한 용기와,
    상기 고형 제제 수용 공간에 봉입된 불활성 가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디바이스는,
    제1 재료를 갖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재료와 상이한 이온화 경향을 갖는 제2 재료를 갖는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전해액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간에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발하는 발신부를 구비하고 있는, 포장 약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제제가 정제이며,
    상기 정제에 상기 마이크로디바이스가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제제가 캡슐을 갖고,
    상기 캡슐에 상기 약제 분말이 수용되고 마이크로디바이스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제제가 캡슐을 갖고,
    상기 캡슐에 상기 약제 분말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캡슐에 상기 마이크로디바이스가 보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가스가 질소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블리스터 포장체, 파우치 포장체, 병 포장체, 또는 보틀 포장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가 염화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가 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분말이, 산소와 접촉하더라도 품질이 열화되지 않는 약제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약제.
KR1020197035735A 2017-05-09 2018-05-01 포장 약제 KR102550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7/017537 2017-05-09
PCT/JP2017/017537 WO2018207257A1 (ja) 2017-05-09 2017-05-09 包装薬剤
PCT/JP2018/017426 WO2018207681A1 (ja) 2017-05-09 2018-05-01 包装薬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853A true KR20200004853A (ko) 2020-01-14
KR102550400B1 KR102550400B1 (ko) 2023-07-04

Family

ID=6410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735A KR102550400B1 (ko) 2017-05-09 2018-05-01 포장 약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00093700A1 (ko)
EP (1) EP3622941B1 (ko)
JP (1) JP7244415B2 (ko)
KR (1) KR102550400B1 (ko)
CN (1) CN110891544A (ko)
AU (1) AU2018264400B2 (ko)
ES (1) ES2965714T3 (ko)
SG (1) SG11201909481SA (ko)
TW (1) TWI765034B (ko)
WO (2) WO20182072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5461A1 (ja) * 2019-10-01 2021-04-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薬剤取出検知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299A (ko) * 2011-07-11 2014-04-30 프로테우스 디지털 헬스, 인코포레이티드 섭취가능한 제품 내에 함유된 통신 시스템
JP2014138795A (ja) 2012-12-19 2014-07-31 Otsuka Pharmaceut Co Ltd 医薬用錠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14138954A (ja) 2012-12-19 2014-07-31 Omori Mach Co Ltd Icチップ供給装置及び錠剤製造装置
JP2014200046A (ja) 2013-03-29 2014-10-23 富士通株式会社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係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9238A (ja) * 1996-12-27 1998-07-21 Sony Corp 光学的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257669B2 (ja) * 1997-12-22 2002-02-18 三菱樹脂株式会社 プレス・スルーパッケージ
US6303143B1 (en) * 1998-06-10 2001-10-16 Sarnoff Corporation Pharmaceutical product
DE59904850D1 (de) * 1999-06-02 2003-05-08 Alcan Tech & Man Ag Durchdrückpackung
GB0130857D0 (en) * 2001-12-22 2002-02-06 Glaxo Group Ltd Medicament dispenser
JP4018930B2 (ja) * 2002-05-17 2007-12-05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酸素インジケーター機能付き包装体
WO2006060458A1 (en) * 2004-12-01 2006-06-08 Vision-Sciences, Inc. Emergency electrode on medical tube
BRPI0518553A2 (pt) * 2004-12-13 2008-11-25 Mcneil Ppc Inc composiÇço farmacÊutica estÁvel, mÉtodo para estabilizaÇço de pelo menos um ingrediente farmaceuticamente ativo e mÉtodo de uso de celulose microcristalina silicificada
JP4853142B2 (ja) * 2006-06-30 2012-01-11 ソニー株式会社 マイクロデバイス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534707B (zh) * 2006-11-16 2012-08-2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全胃肠外营养和/或医药定量的营养管
WO2008095183A2 (en) * 2007-02-01 2008-08-07 Proteus Biomedical, Inc. Ingestible event marker systems
JP2009014469A (ja) * 2007-07-04 2009-01-22 Hitachi Ulsi Systems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13351A (ja) 2008-07-10 2011-10-27 Daiichi Sankyo Co Ltd 容器内のガス置換装置、及びその方法
WO2015112603A1 (en) * 2014-01-21 2015-07-30 Proteus Digital Health, Inc. Masticable ingestible product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US9756874B2 (en) * 2011-07-11 2017-09-12 Proteus Digital Health, Inc. Masticable ingestible product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US20130129869A1 (en) * 2011-11-23 2013-05-23 Hooman Hafezi Compositions comprising a shelf-life stability compon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299A (ko) * 2011-07-11 2014-04-30 프로테우스 디지털 헬스, 인코포레이티드 섭취가능한 제품 내에 함유된 통신 시스템
JP2014525780A (ja) 2011-07-11 2014-10-02 プロテウス デジタル ヘ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摂取可能な製品に組み込まれた通信システム
JP2014138795A (ja) 2012-12-19 2014-07-31 Otsuka Pharmaceut Co Ltd 医薬用錠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14138954A (ja) 2012-12-19 2014-07-31 Omori Mach Co Ltd Icチップ供給装置及び錠剤製造装置
JP2014200046A (ja) 2013-03-29 2014-10-23 富士通株式会社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係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07681A1 (ja) 2018-11-15
TW201900141A (zh) 2019-01-01
EP3622941A1 (en) 2020-03-18
ES2965714T3 (es) 2024-04-16
SG11201909481SA (en) 2019-11-28
JP7244415B2 (ja) 2023-03-22
TWI765034B (zh) 2022-05-21
AU2018264400A1 (en) 2019-11-07
KR102550400B1 (ko) 2023-07-04
JPWO2018207681A1 (ja) 2020-03-12
EP3622941B1 (en) 2023-11-15
EP3622941C0 (en) 2023-11-15
US20200093700A1 (en) 2020-03-26
EP3622941A4 (en) 2020-12-09
CN110891544A (zh) 2020-03-17
WO2018207257A1 (ja) 2018-11-15
AU2018264400B2 (en)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2921B2 (en) Oscillator, electronic apparatus, and moving object
JP5798774B2 (ja) 電極体
US5769874A (en) Active medical implant with a hermetically sealed capsule
CN101983029B (zh) 制备包括传感器的可吞服胶囊的方法
JP5613853B1 (ja) 携帯用の水素水生成装置及び該装置に使用される水素ガス発生部材
JP2017501531A5 (ko)
SG146474A1 (en) Leadless packaging for image sensor devices
JP2017035487A5 (ko)
KR20200004853A (ko) 포장 약제
RU231846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влажнения материала медицинского имплантата не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US3791377A (en) Radio capsule battery
US11587839B2 (en) Device with chemical reaction chamber
CN107108104A (zh) 焊球容器及焊球保存用封装体
JP2009068893A5 (ko)
TWM404838U (en) Electronic part storage box
JPH03254730A (ja) ディスポーザブル血圧トランスデューサ
JP2004259803A (ja) 電子部品収納用容器
JPH03167842A (ja) 半導体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
WO2014064840A1 (ja) 薬剤経口投与装置
JPH03167845A (ja) 半導体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
JPS62217642A (ja) 混成集積回路素子収納用パツケ−ジ
JPH03173157A (ja) 半導体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
JPS6032342A (ja) 半導体装置
JPH03167846A (ja) 半導体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
JPH03167864A (ja) 半導体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