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677A - 접이식 핸드 카트 - Google Patents

접이식 핸드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677A
KR20200004677A KR1020180077846A KR20180077846A KR20200004677A KR 20200004677 A KR20200004677 A KR 20200004677A KR 1020180077846 A KR1020180077846 A KR 1020180077846A KR 20180077846 A KR20180077846 A KR 20180077846A KR 20200004677 A KR20200004677 A KR 20200004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ading plate
cargo loading
hand ca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072B1 (ko
Inventor
김가영
Original Assignee
김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가영 filed Critical 김가영
Priority to KR1020180077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0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6Bumpers;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손잡이를 접고 펴기가 용이하고 적재화물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주변 장애물과 충돌 시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는 접이식 핸드 카트가 제공된다. 이 접이식 핸드 카트는, 화물적재판 상에 결합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손잡이는 주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손잡이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제어부가 부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손잡이가 상방향으로 펴진 상태에서 고정제어부의 일측과 손잡이가 서로 끼움결합하여 손잡이의 움직임을 고정하고, 고정제어부의 타측을 하방향으로 누르면 끼움결합이 해제되고 손잡이는 주회전축을 중심으로 화물적재판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Description

접이식 핸드 카트{Folding-type hand cart}
본 발명은 핸드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식 핸드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짐이나 화물을 나르기 위해 짐수래용 핸드 카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 핸드 카드의 하부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적은 힘으로 무거운 짐을 나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드 카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은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핸드 카트(10)의 손잡이(20)를 접고 펴는 과정을 살펴본다.
손잡이(20)는 나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화물적재판(30)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20)이 하단 부근에는 금속막대(50)가 설치되어 손잡이(20)의 회전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손잡이(20)가 화물적재판(20) 상에 놓여진 상태, 즉 손잡이(20)가 접힌 상태에서 손잡이(20)를 펴는 시나리오를 생각해 보자. 사용자는 발을 사용하여 금속막대(50)를 하방으로 밟으면, 손잡이(20)의 움직임을 막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손잡이(20)는 자연스럽게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손잡이(20)를 들어올려 나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나서 금속막대(50)에서 발을 떼면 금속막대(50)는 다시 손잡이(20)의 하단을 고정시켜 손잡이(20)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이러한 종래의 핸드 카트(10)의 경우, 금속막대(50)를 밟은 상태에서 손잡이(20)를 펴고 접는 과정이 일견 쉽고 편리해 보이기는 하나 실제 사용해 보면 많은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따른다.
예를 들어, 핸드 카트(10)를 사용한 후 보관을 위해 손잡이(20)를 접고자 할 때 금속막대(50)를 밟은 상태에서도 손잡이(20) 하단부의 잠금상태가 잘 해제되지 않아서 여러 번 시도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러 번에 걸쳐 핸드 카트(10)를 사용하고 나면 금속막대(50)가 하방으로 다소 휘어지게 되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금속막대(50)를 밟더라도 잠금해제가 잘 되지 않거나 힘이 많이 든다.
또한 반대의 경우, 즉 손잡이(20)가 접힌 상태에서 손잡이(20)를 펴는 과정에서도 불편함이 있다. 통상 손잡이(20)가 접힌 상태에서는 화물적재판(20) 상에 짐이 없고 화물적재판(20) 하부에 바퀴(4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핸드 카트(10)는 쉽게 움직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금속막대(50)를 밟으려 하면 화물적재판(30)이 움직이거나 반대편이 상부로 들리게 되는데, 이처럼 불안정한 상태에서 금속막대(50)를 밟고 동시에 손잡이(20)를 펴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대부분 다른 사람이 화물적재판(30)의 반대편을 잡아준 상태에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핸드 카트(10)에 짐을 싣고 이동하는 중에 만일 핸드 카트(10)가 벽에 부딪히면, 벽에 흠집이 생기기도 하고 벽의 방해와 짐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핸드 카트(10)를 전진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핸드 카트(10)를 다시 움직이려면 핸드 카트(10)를 후진시킨 후 방향을 바꿔 다시 전진시켜야 한다.
또한, 핸드 카트(10)가 바닥이 평평하지 않은 곳을 지나갈 때 심한 진동에 의해 핸드 카드(10) 상의 짐이 화물적재판(30) 밖으로 낙상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잡이를 접고 펴기가 용이하고 적재화물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주변 장애물과 충돌 시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는 접이식 핸드 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 카트는 화물적재판(130), 상기 화물적재판(130)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바퀴(140), 및 상기 화물적재판(130)에 결합된 접이식 손잡이(120)를 포함하는 접이식 핸드 카트로서, 상기 화물적재판(130) 상에 결합플레이트(16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20)는 주회전축(12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160)에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120)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제어부(170)가 부회전축(17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160)에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120)가 상방향으로 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제어부(170)의 일측과 상기 손잡이(120)가 서로 끼움결합하여 상기 손잡이(120)의 움직임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제어부(170)의 타측을 하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끼움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손잡이(120)는 상기 주회전축(126)을 중심으로 상기 화물적재판(130)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고정제어부(170)의 일측에는 고정홈(17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76)에 대응하는 고정돌기(122)가 상기 손잡이(120)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76)과 상기 고정돌기(122) 사이에 상기 끼움결합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160)에는 회전가이드홈(162)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회전가이드홈(162)에 삽입되는 회전가이드돌기(124)가 상기 손잡이(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물적재판(130) 하부 모서리에는 결합단차부(134)가 형성되고, 회전 댐퍼부(150)는 상기 결합단차부(134)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화물적재판(130)이 주변 장애물에 부딪치려고 할 때 상기 회전 댐퍼부(150)가 상기 주변 장애물에 접촉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화물적재판(130)은 적재된 화물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부로 갈수로 하부로 파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핸드 카트에 의하면, 손잡이의 단부와 끼움결합을 하는 고정제어부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발로 고정제어부를 밟아서 손잡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손잡이를 접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가 접힌 상태에서는 고정제어부가 손잡이의 움직임을 고정하지 않기 때문에(즉, 손잡이가 접힌 상태에서는 손잡이가 잠금상태에 있지 않음), 단지 손잡이를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손잡이를 펼 수 있어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용이하게 손잡이를 펼 수 있다.
또한, 화물적재판의 모서리에는 회전 댐퍼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핸드 카트가 벽과 같은 주변 장애물에 부딪치면 회전 댐퍼부가 주변 장애물에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핸드 카트를 계속 밀고 전진시킬 수 있다.
나아가, 화물적적재판은 중앙부로 갈수록 하부로 파진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적재된 화물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드 카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은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카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손잡이 하단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핸드 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핸드 카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카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손잡이 하단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핸드 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핸드 카트(100)는 화물이 놓여지는 화물적재판(130), 화물적재판(130)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바퀴(140), 및 화물적재판(130)의 상부에 결합된 손잡이(120)를 포함한다. 손잡이(12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진다. 화물적재판(130)은 적재된 화물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앙부(132)로 갈수록 하부로 파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화물적재판(130)의 모서리에는 결합플레이트(160)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플레이트(160)는 대략 판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화물적재판(130)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결합플레이트(160)와 화물적재판(130)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물질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손잡이(120)의 양단은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16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120)는 주회전축(12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플레이트(160)에 결합된다. 손잡이(120)의 일단은 'ㄴ'자 형상의 꺾인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꺾인 부분에 주회전축(126)이 삽입되어 결합플레이트(160)에 결합된다. 결합플레이트(160)를 향하는 손잡이(120)의 일면에는, 주회전축(126)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회전가이드돌기(12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돌기(122)가 형성된다.
결합플레이트(160)에는 회전가이드홈(162)이 형성되는데, 손잡이(120)의 회전가이드돌기(124)가 회전가이드홈(162)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손잡이(120)가 주회전축(126)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할 때, 회전가이드홈(162) 및 이에 삽입된 회전가이드돌기(124)가 손잡이(1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결합플레이트(160)에는 손잡이(120)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제어부(170)가 설치된다. 고정제어부(170)는 부회전축(17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플레이트(160)에 결합된다. 고정제어부(170)와 손잡이(120)는 결합플레이트(160)의 동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제어부(170)는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을 가지며, 부회전축(178)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고정홈(176)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누름부재(172)가 형성된다. 손잡이(120)기 상방향으로 펴진 상태에서 손잡이(120)의 고정돌기(122)는 고정제어부(170)의 고정홈(176)에 끼움결합을 하여 손잡이(120)의 움직임을 고정시킨다. 누름부재(172)는 부회전축(178)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뻗다가 수평방향으로 꺾인 구조를 가진다. 사용자가 누름부재(172)를 발로 밟아서 하방향으로 누를 경우, 고정제어부(170)는 부회전축(178)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고정돌기(122)와 고정홈(176) 사이의 끼움결합은 자연스럽게 해제된다. 따라서 손잡이(12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사용자는 주회전축(126)을 중심으로 손잡이(120)를 화물적재판(130) 방향으로 회전시켜 손잡이(120)를 접을 수 있다. 고정제어부(170)는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16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고정제어부(170)와 손잡이(120) 하단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주회전축(126) 상에, 결합플레이트(160)와 손잡이(120) 사이에 버퍼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물적재판(130)의 하부 모서리에는 결합단차부(134)가 형성되고, 회전 댐퍼부(150)는 결합단차부(134)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화물적재판(13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회전 댐퍼부(150)는 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나사 등의 결합부재(152)를 통하여 화물적재판(130)에 결합된다. 회전 댐퍼부(150)는 화물적재판(130)의 모서리에서 측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댐퍼부(150)는 화물적재판(130)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부 장애물과 충돌이 많은 손잡이(120) 부근의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핸드 카트(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손잡이(120)가 펴진 상태에서 손잡이(120)의 고정돌기(122)는 고정제어부(170)의 고정홈(176)에 끼움결합을 하기 때문에, 손잡이(120)의 움직임이 고정된다.
만일 펴진 상태의 손잡이(120)를 접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누름부재(172)를 밟으며 고정제어부(170)는 부회전축(178)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홈(176)과 고정돌기(122) 간의 끼움결합이 해제되고 사용자는 손잡이(120)를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여 접을 수 있다.
손잡이(120)가 접힌 상태에서는 손잡이(120)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의 추가 조작 없이 손잡이(120)를 들어 올려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120)를 펼 수 있다.
또한, 화물적재판(130) 모서리에는 외부로 돌출된 회전 댐퍼부(150)가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어서, 핸드 카트(100)가 벽과 같은 주변 장애물에 부딪치더라도 회전 댐퍼부(150)가 주변 장애물에 접촉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핸드 카트(100)를 계속 밀고 전진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핸드 카트
120: 손잡이
122: 고정돌기
124: 회전가이드돌기
126: 주회전축
130: 화물적재판
134: 결합단차부
132: 중앙부
140: 바퀴
150: 회전 댐퍼부
152: 결합부재
160: 결합플레이트
162: 회전가이드홈
170: 고정제어부
172: 누름부재
174: 걸림부재
176: 고정홈
178: 부회전축

Claims (5)

  1. 화물적재판(130), 상기 화물적재판(130)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바퀴(140), 및 상기 화물적재판(130)에 결합된 접이식 손잡이(120)를 포함하는 접이식 핸드 카트로서,
    상기 화물적재판(130) 상에 결합플레이트(16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20)는 주회전축(12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160)에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120)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제어부(170)가 부회전축(17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160)에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120)가 상방향으로 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제어부(170)의 일측과 상기 손잡이(120)가 서로 끼움결합하여 상기 손잡이(120)의 움직임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제어부(170)의 타측을 하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끼움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손잡이(120)는 상기 주회전축(126)을 중심으로 상기 화물적재판(130)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 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제어부(170)의 일측에는 고정홈(17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76)에 대응하는 고정돌기(122)가 상기 손잡이(120)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76)과 상기 고정돌기(122) 사이에 상기 끼움결합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 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160)에는 회전가이드홈(162)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회전가이드홈(162)에 삽입되는 회전가이드돌기(124)가 상기 손잡이(12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 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적재판(130) 하부 모서리에는 결합단차부(134)가 형성되고, 회전 댐퍼부(150)는 상기 결합단차부(134)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화물적재판(130)이 주변 장애물에 부딪치려고 할 때 상기 회전 댐퍼부(150)가 상기 주변 장애물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 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적재판(130)은 적재된 화물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부로 갈수로 하부로 파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 카트.
KR1020180077846A 2018-07-04 2018-07-04 접이식 핸드 카트 KR102106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846A KR102106072B1 (ko) 2018-07-04 2018-07-04 접이식 핸드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846A KR102106072B1 (ko) 2018-07-04 2018-07-04 접이식 핸드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677A true KR20200004677A (ko) 2020-01-14
KR102106072B1 KR102106072B1 (ko) 2020-04-29

Family

ID=6915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846A KR102106072B1 (ko) 2018-07-04 2018-07-04 접이식 핸드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732A (ko) 2020-02-21 2021-08-31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물건 운반용 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372A (ko) 2022-03-18 2023-09-26 이수진 접이식 핸드 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25Y1 (ko) * 2000-04-17 2000-09-15 주식회사전홍 이동식 손수레
KR20050059579A (ko) * 2003-12-15 2005-06-21 송인권 다목적 절첩카트
KR200434937Y1 (ko) * 2006-09-26 2007-01-02 박혜영 쓰레기봉투 거치대와 물받이가 부착된 운반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25Y1 (ko) * 2000-04-17 2000-09-15 주식회사전홍 이동식 손수레
KR20050059579A (ko) * 2003-12-15 2005-06-21 송인권 다목적 절첩카트
KR200434937Y1 (ko) * 2006-09-26 2007-01-02 박혜영 쓰레기봉투 거치대와 물받이가 부착된 운반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732A (ko) 2020-02-21 2021-08-31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물건 운반용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072B1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4286A (en) Combination handtruck and portable work table
US7114602B2 (en) Multiple function luggage
KR20200004677A (ko) 접이식 핸드 카트
KR102027733B1 (ko) 접이식 사륜 핸드카트
US5281019A (en) Foldable plan stand case
KR20210041937A (ko) 물품의 적재 및 운반을 위한 롤테이너
JPH11309011A (ja) 旅行鞄
JP7072895B2 (ja) 折畳み型コンテナ
JP2002068187A (ja) ボックスパレット
JP2004131105A (ja) 輸送用折畳コンテナ
JPH1016951A (ja) 折畳みコンテナのあおり板固定構造
JP5215754B2 (ja) 折り畳み容器
US4058355A (en) Teleprinter console
KR100391306B1 (ko) 핸드 캐리어
KR200443371Y1 (ko) 운반용 수레
JP5992797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US10155525B1 (en) Folding foot-kick for hand truck
JPH027786Y2 (ko)
KR100857912B1 (ko) 화물 적재용 플레이트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손수레
JPH0340702Y2 (ko)
JP3057649U (ja) ボックスパレット
JPH08901Y2 (ja) 可倒式パレット
JP3000246U (ja) テーブル付容器
JP3039549U (ja) 手押し台車
JPS597179Y2 (ja) トラックのボディ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