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433A -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433A
KR20200003433A KR1020180076182A KR20180076182A KR20200003433A KR 20200003433 A KR20200003433 A KR 20200003433A KR 1020180076182 A KR1020180076182 A KR 1020180076182A KR 20180076182 A KR20180076182 A KR 20180076182A KR 20200003433 A KR20200003433 A KR 20200003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air supply
discharge flow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욱
Original Assignee
이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욱 filed Critical 이영욱
Priority to KR102018007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3433A/ko
Publication of KR20200003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나 빌딩을 포함한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실내공기 상태에 따라 실내공기를 환기 시켜 암을 유발하는 유해물질 및 새집증후군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환기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각 세대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되, 이중관으로된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과; 상기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설치되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에 연결된 열교환부(104)와; 상기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 위치시키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내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공급관(106)과; 상기 공기공급관(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 위치시키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외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배기관(10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Ventilation car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실내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빌딩을 포함한 공동주택의 각실 공간의 실내공기 상태에 따라 독립적으로 각실의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암을 유발하는 유해물질 및 새집증후군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으며 실내의 화재경보기와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화재로 부터 안전하도록 하는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처리가 필요한 가공식품의 생산공장에서는 건물의 실내(이하 '메인실내공간'이라 함)에 별도의 가열설비라인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가열설비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메인실내공간 전체의 온도가 불필요하게 상승되고 가열과정에서의 산소소모에 의해 실내 산소가 결핍되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가열설비에서 배출되는 먼지가 메인실내공간 전체에 비산되어 전체적인 작업환경이 나빠지게 된다.
물론, 환기장치가 설치되기는 하지만 가열설비 주변공간이 메인실내공간과 통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실내공간 전체를 환기시키는 구조로 이루어 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냉방이 실시되는 여름철에는 불필요하게 메인실내공간 전체를 환기시킴으로 인해 냉방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고, 실내전체에 비산된 먼지를 완전히 배출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2010년 06월 01일자 출원번호 제10-2010-0051650호(발명의 명칭 : 출원번호 10-2010-0051650)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메인실내공간에 가열설비가 설치된 건물의 환기장치에서, 상기 가열설비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열설비 주변에 상기 메인실내공간과 구획된 환기공간을 형성시키는 구획부. 상기 환기공간 내 천장에 설치되는 배기부, 상기 구획부와 실외를 연결하여 실외공기를 환기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그리고 상기 구획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실내공간과 상기 환기공간을 연결하는 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메인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메인실내공간에 공급하는 공급팬을 포함하는 실내환기장치. " 이다.
그러나, 상기 실내환기장치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 또는 세대 내의 각실의 실내공기 상태에 따라 독립적으로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각 세대 각실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및 새집증후군을 용이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실내 전체공간을 환기시킴으로써 겨울철 열에너지의 소모가 많아져 난방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나 빌딩을 포함한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각실의 실내공기 상태에 따라 실내공기를 독립적으로 환기시켜 암을 유발하는 유해물질 및 새집증후군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각 세대별 실내 환기케어 시스템은,
각 세대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되, 이중관으로된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과;
상기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설치되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에 연결된 열교환부(104)와;
상기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 위치시키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내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공급관(106)과;
상기 공기공급관(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 위치시키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외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배기관(108)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각 세대별 실내 환기케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촬영부(118)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촬영된 촬영정보와 기 설정된 촬영정보를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촬영정보와 촬영된 촬영정보가 일치할 경우,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0)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감지된 이산화탄소값과 기 설정된 감지된 이산화탄소소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값보다 감지된 이산화탄소값이 클 경우 공기배기전자댐퍼(114) 및 공기배기팬(116)으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0)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감지된 이산화탄소값과 기 설정된 감지된 이산화탄소소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값보다 감지된 이산화탄소값이 작을 경우 공기배기전자댐퍼(114)를 원위치시킴과 동시 공기배기팬(116)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공기공급전자댐퍼(112)를 움직여 공기공급관(106)을 여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 세대별 실내 환기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아파트나 빌딩을 포함한 공동주택의 각 세대 각실의 실내공기 상태에 따라 실내공기를 각실별로 독립적으로 환기시킴으로써, 실내의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을 유발하는 유해물질 및 새집증후군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세대별 실내 환기케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각 세대별 실내 환기케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세대별 실내 환기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100)은,
각 세대의 천장을 따라 이중관으로된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이중관으로된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내관은 공기공급관이고, 외관은 공기배출관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열교환부(104)를 설치하되, 상기 열교환부(104)에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을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부(104)는 각 세대의 거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난방 또는 냉방)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는 거실로 공기를 공급해 주는 공기공급관(106)을 위치시키되, 상기 공기공급관(106)은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내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관(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는 거실에 있는 공기를 배출해 주는 공기배출관(108)을 위치시키되, 상기 공기배출관(108)은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외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실내 환기케어 시스템(100)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관(106)의 내부에는 공기공급전자댐퍼(11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되, 공기공급전자댐퍼(112)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공급관(106)을 개폐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관(108)의 내부에는 공기배기전자댐퍼(114)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되, 공기배기전자댐퍼(114)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배출관(108)을 개폐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기전자댐퍼(11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공기배출관(108)의 내부 일측에는 공기배기(또는 공기흡입)팬(116)이 설치되되, 상기 공기배기팬(116)은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관(10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는 촬영부(118)가 설치되되, 상기 촬영부(118)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를 실시간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촬영정보를 제어부(110)로 보낸다.
한편, 상기 촬영부(11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는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0)가 설치되되, 상기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0)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산화탄소값을 제어부(110)로 보낸다.
여기서,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0) 대신에 악취감지센서 또는 연기감지센서 또는 미세먼지감지센서 또는 온도센서 또는 습도감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은 움직임감지센서(122)를 공기공급전자댐퍼(112) 또는 공기배기전자댐퍼(114)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감지센서(122)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공급전자댐퍼(112) 또는 공기배기전자댐퍼(114)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은 경고음발생부(124)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경고음발생부(124)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즉, 움직임감지센서(122)로부터 움직임감지값이 없을 경우, 경고음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케어 시스템(100)의 동작(또는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10)는 열교환부(104)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부(104)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각 세대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이중관으로된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내관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내관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공기공급전자댐퍼(112)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전자댐퍼(112)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공급관(106)을 연다. 이때, 각 세대의 실내로 열교환된 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일정시간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촬영부(118)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촬영부(118)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를 실시간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촬영정보를 제어부(11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촬영된 촬영정보와 기 설정된 촬영정보를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촬영정보와 촬영된 촬영정보가 일치할 경우(예를 들어, 사람이 돌아다니는 장면 또는 3명 이상이 모여 있는 장면),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 공기 중에서 이산화탄소감지하고, 감지된 이산화탄소값을 제어부(11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감지된 이산화탄소값과 기 설정된 감지된 이산화탄소소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값보다 감지된 이산화탄소값이 클 경우 공기배기전자댐퍼(114) 및 공기배기팬(116)으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기전자댐퍼(114)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배출관(108)을 연다.
상기 공기배기팬(116)은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이중관으로된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외관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일정시간 이후,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 공기 중에서 이산화탄소감지하고, 감지된 이산화탄소값을 제어부(11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 공기 중에서 이산화탄소감지하고, 감지된 이산화탄소값을 제어부(11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감지된 이산화탄소값과 기 설정된 감지된 이산화탄소소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값보다 감지된 이산화탄소값이 작을 경우 공기배기전자댐퍼(114), 공기배기팬(116) 및 공기공급전자댐퍼(112)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기전자댐퍼(114)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배출관(108)을 닫는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기팬(116)은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을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전자댐퍼(112)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공급관(106)을 연다. 이때, 각 세대의 실내로 열교환된 공기가 공급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102 :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
104 : 열교환부
106 : 공기공급관
108 : 공기배출관
110 : 제어부
112 : 공기공급전자댐퍼
114 : 공기배기전자댐퍼
116 : 공기배기(또는 공기흡입)팬
118 : 촬영부
120 : 이산화탄소감지센서
122 : 움직임감지센서
124 : 경고음발생부

Claims (4)

  1. 각 세대 각실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되, 이중관으로된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과;
    상기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설치되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에 연결된 열교환부(104)와;
    상기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 위치시키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내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공급관(106)과;
    상기 공기공급관(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 위치시키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외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배기관(108)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이중관으로된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내관은 공기공급관이고, 외관은 공기배출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2. 각 세대 각실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되, 이중관으로된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과;
    상기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설치되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에 연결된 열교환부(104)와;
    상기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 위치시키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내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공급관(106)과;
    상기 공기공급관(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 위치시키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외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배기관(108)과;
    상기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어부(110)와;
    상기 공기공급관(106)의 내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공급관(106)을 개폐하는 공기공급전자댐퍼(112)와;
    상기 공기배출관(108)의 내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배출관(108)을 개폐하는 공기배기전자댐퍼(114)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이중관으로된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내관은 공기공급관이고, 외관은 공기배출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3. 각 세대 각실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되, 이중관으로된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과;
    상기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설치되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에 연결된 열교환부(104)와;
    상기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 위치시키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내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공급관(106)과;
    상기 공기공급관(1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 위치시키되,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외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배기관(108)과;
    상기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어부(110)와;
    상기 공기공급관(106)의 내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공급관(106)을 개폐하는 공기공급전자댐퍼(112)와;
    상기 공기배출관(108)의 내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배출관(108)을 개폐하는 공기배기전자댐퍼(114)와;
    상기 공기배출관(10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각 세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를 실시간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촬영정보를 제어부(110)로 보내는 촬영부(118)와;
    상기 공기공급전자댐퍼(112) 또는 공기배기전자댐퍼(114)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공급전자댐퍼(112) 또는 공기배기전자댐퍼(114)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122)와;
    상기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움직임감지센서(122)로부터 움직임감지값이 없을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124)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이중관으로된 공기공급/공기배출흐름관(102)의 내관은 공기공급관이고, 외관은 공기배출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4. 촬영부(118)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촬영된 촬영정보와 기 설정된 촬영정보를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촬영정보와 촬영된 촬영정보가 일치할 경우,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0)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감지된 이산화탄소값과 기 설정된 감지된 이산화탄소소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값보다 감지된 이산화탄소값이 클 경우 공기배기전자댐퍼(114) 및 공기배기팬(116)으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0)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감지된 이산화탄소값과 기 설정된 감지된 이산화탄소소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값보다 감지된 이산화탄소값이 작을 경우 공기배기전자댐퍼(114)를 원위치시킴과 동시 공기배기팬(116)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공기공급전자댐퍼(112)를 움직여 공기공급관(106)을 여는 제5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의 제어방법.
KR1020180076182A 2018-07-01 2018-07-01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3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182A KR20200003433A (ko) 2018-07-01 2018-07-01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182A KR20200003433A (ko) 2018-07-01 2018-07-01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433A true KR20200003433A (ko) 2020-01-10

Family

ID=6915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182A KR20200003433A (ko) 2018-07-01 2018-07-01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34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886B1 (ko) 2020-08-18 2021-11-12 주식회사 한국필텍 실내공간 화재 발생에 의한 유독가스 및 화재연기 배연 구조를 갖는 환기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886B1 (ko) 2020-08-18 2021-11-12 주식회사 한국필텍 실내공간 화재 발생에 의한 유독가스 및 화재연기 배연 구조를 갖는 환기장치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9097B2 (ja) 空間環境管理システム
KR101003258B1 (ko) 외기냉방 겸용 전열교환 환기장치
KR100991361B1 (ko) 화재경보기능 및 가스누설차단기능을 갖는 공기환기순환장치
KR101304421B1 (ko) 실내의 환기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84890B1 (ko) 화재시 배연의 기능성을 발휘하는 실내 환기시스템
KR101638152B1 (ko) 스마트 화재예방 및 대응 시스템
KR20190106608A (ko)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
KR20120109873A (ko) 옥내의 환기시스템 및 그 제연 방법
CN207780570U (zh) 变电站环境质量智能控制系统
KR101361449B1 (ko)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된 배기팬
CN107990484A (zh) 一种厨房空调控制方法
KR101624547B1 (ko) 공동주택의 제연시스템
KR20200003433A (ko) 실내공간 각실의 공기질 자가측정과 화재 멀티감지제어 환기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687694B (zh) 一种具有净化、除湿、室内压力调节功能的通风器
KR20150007380A (ko) 모듈형 시스템 천장
WO2017120951A1 (zh) 一种带降尘排烟功能的空调系统
CN206281141U (zh) 一种换气装置
KR100604144B1 (ko) 공동주택의 제연설비를 이용한 환기 방법
KR101504620B1 (ko) 원전 주제어실 화재시 가변 역류 환기제어 방법
JP2007212026A (ja) 住宅用換気システム
JP6571466B2 (ja) 空気調和機
JP2010196997A (ja) 建物
JP6692134B2 (ja) 空気調和機
CN112665069A (zh) 一种室内智能通风系统
JPH0264332A (ja) 換気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