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036A -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036A
KR20200003036A KR1020197035023A KR20197035023A KR20200003036A KR 20200003036 A KR20200003036 A KR 20200003036A KR 1020197035023 A KR1020197035023 A KR 1020197035023A KR 20197035023 A KR20197035023 A KR 20197035023A KR 20200003036 A KR20200003036 A KR 20200003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onduit
pipe
control valv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쓰나가 가시마
쇼이치로 아사이
가쓰야 이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00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75Arrangement of valve arrangements on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5Hose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1Actuator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3Type of pump
    • F15B2211/20546Type of pump variable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15B2211/3056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 F15B2211/3059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having multiple valves for multiple output members
    • F15B2211/30595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having multiple valves for multiple output members with additional valves between the groups of valves for multiple out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유압 셔블은, 선회 프레임(31)과, 제1, 제2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작업기와, 제어 밸브(46)와, 제1, 제2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키는 제1 배관(51)을 구비한다. 제1 배관(51)은, 제어 밸브(46)에 접속되는 제1 관로(110)와,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에 각각 접속되는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와, 제1 관로(110)를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에 분기시키는 제1 분기부(140)를 구비한다.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을 지나는 가상 직선(260)을 협지한 한쪽 측에, 작업기(12)가 배치되는 제1 영역(270)이 규정되고, 가상 직선(260)을 협지한 다른 쪽의 측에, 제어 밸브(46) 및 제1 분기부(140)가 배치되는 제2 영역(280)이 규정된다.

Description

작업 기계
본 개시는,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작업기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제2007-2446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유압 셔블은, 붐(boom)을 가지는 작업기와, 붐을 상하로 움직이는 좌우의 붐 실린더와, 작동유의 유량(流量) 및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컨트롤 밸브)와, 제어 밸브 및 붐 실린더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流通)시키는 유압(油壓) 배관을 가진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7-2446호 공보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기는, 제어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동작한다. 이와 같은 작업기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에 있어서는, 작업기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배관 상에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기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배관 상에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하는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작업 기계는, 선회(旋回) 프레임과, 작업기와, 제어 밸브와, 제1 배관을 구비한다. 작업기는,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를 가진다. 제어 밸브는,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된다. 제1 배관은,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킨다. 제1 배관은, 제1 관로(管路)와, 제2 관로와, 제3 관로와, 제1 분기부를 가진다. 제1 관로는, 제어 밸브에 접속된다. 제2 관로는, 제1 액추에이터에 접속된다. 제3 관로는, 제2 액추에이터에 접속된다. 제1 분기부는, 제1 관로를 제2 관로 및 제3 관로에 분기(branching)시킨다. 상면에서 볼 때, 선회 프레임의 선회 중심을 지나는 가상(假想) 직선을 협지한 한쪽 측에, 작업기가 배치되는 제1 영역이 규정되고, 가상 직선을 협지한 다른 쪽의 측에, 제어 밸브 및 제1 분기부가 배치되는 제2 영역이 규정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작업기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배관 상에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하는 작업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압 셔블의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된 각종 기기(機器)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3은 유압 셔블의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 중의 2점 쇄선 VI로 에워싸인 범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제1 배관을 나타내는 상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1 분기부에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 중의 2점 쇄선 XI로 에워싸인 범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 중의 화살표 XII에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제1 배관 및 제2 배관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3은 도 8 중에 나타내는 제1 배관을 구성하는 배관 부품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 중의 2점 쇄선 XVI로 에워싸인 범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 중의 화살표 XVII에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제2 배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서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참조하는 도면에서는, 동일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재에는, 같은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00)은, 본체(11)와,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작업기(12)를 구비한다. 본체(11)는, 선회체(旋回體)(13)와, 주행 장치(traveling device)(15)를 구비한다.
주행 장치(15)는, 한 쌍의 크롤러 벨트(crawler belts)(15cr)과, 주행 모터(15M)를 구비한다. 유압 셔블(100)은, 크롤러 벨트(15cr)의 회전에 의해 주행할 수 있다. 주행 모터(15M)는, 주행 장치(15)의 구동원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주행 모터(15M)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모터이다. 그리고, 주행 장치(15)가 차륜(타이어)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선회체(13)은, 주행 장치(15) 상에 설치되고, 또한 주행 장치(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선회체(13)은, 선회 중심(210)을 중심으로 하여 주행 장치(15)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다. 선회 중심(2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선회체(13)은, 운전실(14)을 구비한다. 운전실(14)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着座)하는 운전석(14S)이 설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운전실(14)에 있어서 유압 셔블(100)을 조작 가능하다.
선회체(13)은, 엔진룸(19)과, 선회체(13)의 후부(後部)에 설치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를 구비한다. 엔진룸(19)에는, 후술하는 엔진(41), 유압 펌프(42) 및 제어 밸브(4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12)는, 선회체(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작업기(12)는, 붐(16)과, 암(arm)(17)과, 버킷(bucket)(18)을 구비한다. 붐(16)은, 선회체(13)에 접속되어 있다. 암(17)은, 붐(16)에 접속되어 있다. 버킷(18)은, 암(17)에 접속되어 있다.
붐(16)의 기단부(基端部)는, 붐 핀(boom pin)(23)을 통해 선회체(13)에 접속되어 있다. 암(17)의 기단부는, 암 핀(arm pin)(24)을 통해 붐(16)의 선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버킷(18)은, 버킷 핀(bucket pin)(25)을 통해 암(17)의 선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붐(16)은, 붐 핀(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암(17)은, 암 핀(2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버킷(18)은, 버킷 핀(2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전후 방향이란, 운전실(14) 내의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후 방향이다.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정대(正對; confrontation)하는 방향이, 전방이며,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배후 방향이, 후방이다.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유압 셔블(100)의 본체(11)로부터 작업기(12)가 돌출되어 있는 측이 전방이며, 전방과 반대의 방향이, 후방인 것으로도 정의할 수 있다. 유압 셔블(100)의 좌우 방향이란, 상면에서 볼 때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작업기(12)는,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와, 액추에이터(21)와, 액추에이터(22)를 구비한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는, 붐(16)을 구동한다. 액추에이터(21)은, 암(17)을 구동한다. 액추에이터(22)는, 버킷(18)을 구동한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와, 액추에이터(21)와, 액추에이터(22)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이다.
도 2는, 유압 셔블의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3은, 유압 셔블의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체(13)은, 선회 프레임(31)을 구비한다. 선회 프레임(31)은, 선회체(13)의 베이스를 이루는 프레임이며, 주행 장치(15)의 바로 위에 설치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31)은, 선회 중심(210)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할 수 있다.
선회 프레임(31)은, 그 구성 부위로서, 바닥판부(36)와, 세로판(37) 및 세로판(38)을 구비한다. 바닥판부(36)는, 선회 중심(2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면형으로 넓어지는 평판(flat plate) 형상을 가진다. 세로판(37) 및 세로판(38)은, 바닥판부(36)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세로판(37) 및 세로판(38)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선회 중심(210)은, 세로판(37) 및 세로판(38)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선회 프레임(31)에는,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2)는, 바닥판부(36)를 관통하고 있다. 개구부(32)는, 선회 중심(210)의 축 상과 중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유압 셔블(100)은, 엔진(41)과, 유압 펌프(42)와, 작동유 탱크(43)와, 제어 밸브(46)를 구비한다. 엔진(41), 유압 펌프(42), 작동유 탱크(43) 및 제어 밸브(46)은, 선회 프레임(31) 상에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12)는,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41), 유압 펌프(42), 작동유 탱크(43) 및 제어 밸브(46)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 밸브(46)은, 세로판(37) 및 세로판(38)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43)에는, 작동유가 저류되어 있다. 유압 펌프(42)는, 엔진(41)에 연결되어 있다. 유압 펌프(42)는, 엔진(41)의 동력을 받아 작동한다. 유압 펌프(42)가 작동함으로써, 작동유 탱크(43) 내의 작동유가 제어 밸브(46)에 보내진다. 제어 밸브(46)의 내부에는, 스풀(spool)(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되어 있다. 제어 밸브(46)은, 스풀이 그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작동유의 유량 및 방향을 제어한다. 제어 밸브(46)은, 작업기(12)의 구동용 액추에이터, 주행 모터(15M) 및 후술하는 선회 모터(47) 등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이들 각종 액추에이터 및 모터로부터의 오일은, 오일 쿨러(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작동유 탱크(43)로 되돌려진다.
유압 셔블(100)은, 스위블(swivel) 조인트(48)를 구비한다. 스위블 조인트(48)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의 축 상과 중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스위블 조인트(48)은, 개구부(32)에 배치되어 있다. 스위블 조인트(48)의 정상부(頂部)가, 개구부(32)를 통해 바닥판부(36) 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위블 조인트(48)은, 회전 조인트이다. 스위블 조인트(48)은, 제어 밸브(46) 및 주행 모터(15M)의 사이를 연결하는 유압 배관 등을 지지하고 있다.
유압 셔블(100)은, 선회 모터(47)를 구비한다. 선회 모터(47)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선회 모터(47)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스위블 조인트(48)[선회 중심(210)]과,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선회 모터(47)은, 세로판(37) 및 세로판(38)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선회 모터(47)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세로판(38)보다 세로판(37)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선회 모터(47)은, 선회 프레임(31)을 선회시키는 구동원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선회 모터(47)은,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모터이다.
도 4는,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 중의 2점 쇄선 VI로 에워싸인 범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는, 붐(16)의 기단측(基端側)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유압 셔블(100)에서는, 2개의 액추에이터(20A, 20B)가 동기하여 동작함으로써, 피구동체로서의 붐(16)이 동작한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의 각각은, 실린더(30)와, 피스톤(29)과, 피스톤 로드(26)를 구비한다.
실린더(30)은, 통형상을 가진다. 실린더(30)은, 그 통형(筒形)에 연장되는 일단(一端)에 의해, 선회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피스톤(29)는, 실린더(30)에 대하여 그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서로 끼워져 있다. 피스톤 로드(26)은, 피스톤(29)으로부터, 실린더(30)의 축 방향을 따른 일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그 선단에 의해 붐(16)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의 각각에는, 로드 측 유압실(27)과, 보텀 측 유압실(28)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 측 유압실(27) 및 보텀 측 유압실(28)은, 제어 밸브(46)보다 작동유가 공급되는 밀폐 공간이다. 로드 측 유압실(27) 및 보텀 측 유압실(28)은, 피스톤(29)을 협지한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로드 측 유압실(27)에는, 피스톤 로드(26)가 배치되어 있다. 로드 측 유압실(27)은, 실린더(3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실린더(30)의 내주면(內周面)과 피스톤 로드(26)의 외주면(外周面)과의 사이에 구획 형성되어 있다. 보텀 측 유압실(28)에는, 피스톤 로드(26)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보텀 측 유압실(28)은, 실린더(3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실린더(30)의 내주면의 내측에 구획 형성되어 있다.
유압 셔블(100)은, 제1 배관(51)과, 제2 배관(71)을 구비한다. 제1 배관(51)은,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와,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킨다. 제1 배관(51)은, 제1 액추에이터(20A)의 보텀 측 유압실(28) 및 제2 액추에이터(20B)의 보텀 측 유압실(28)과,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킨다. 제2 배관(71)은, 제1 배관(51)은 독립적으로,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와,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킨다. 제2 배관(71)은, 제1 액추에이터(20A)의 로드 측 유압실(27) 및 제2 액추에이터(20B)의 로드 측 유압실(27)과,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킨다.
도 7은,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제1 배관을 나타내는 상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제1 배관(5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관(51)은, 제1 관로(110)와,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와, 제1 분기부(140)를 구비한다.
제1 관로(110)은, 제어 밸브(46)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관로(120)은, 제1 액추에이터(20A)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관로(120)은, 제1 액추에이터(20A)의 보텀 측 유압실(28)에 접속되어 있다. 제3 관로(130)은, 제2 액추에이터(20B)에 접속되어 있다. 제3 관로(130)은, 제2 액추에이터(20B)의 보텀 측 유압실(28)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분기부(140)은, 제1 관로(110)와,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분기부(140)은, 제1 관로(110)를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에 분기시키고 있다.
제2 관로(120)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斷面績)과, 제3 관로(130)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과의 합은, 제1 관로(110)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보다 크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를 신장(伸長) 구동시킬 때, 제어 밸브(46)로부터의 작동유가, 제1 관로(110)를 통해 제1 분기부(140)를 향한다. 작동유는, 제1 분기부(140)에 있어서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로 분기되고, 제2 관로(120)를 통해 제1 액추에이터(20A)의 보텀 측 유압실(28)에 공급되고, 제3 관로(130)를 통해 제2 액추에이터(20B)의 보텀 측 유압실(28)에 공급된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를 단축 구동시킬 때, 제1 액추에이터(20A)의 보텀 측 유압실(28)으로부터의 작동유와, 제2 액추에이터(20B)의 보텀 측 유압실(28)으로부터의 작동유가, 각각,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를 통하여, 제1 분기부(140)에 있어서 합류(merging)한다. 작동유는, 제1 관로(110)를 통해 제어 밸브(46)로 돌아온다.
제1 배관(51)을 구성하는 배관 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배관(51)은, 강관(鋼管)(61)과, 3방향 파이프 조인트(64)와, 강관(62)과, 강관(63)과, 유압 호스(57)와, 유압 호스(58)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 호스(57) 및 유압 호스(58)은, 가요성(可撓性)을 가진다.
각 배관 부품에서의 제어 밸브(46) 측의 단부(端部)를 「한쪽 끝」이라고 하고,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 측의 단부를 「다른 쪽 끝」이라고 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관(61)의 한쪽 끝(61p)는, 제어 밸브(46)에 접속되어 있다. 3방향 파이프 조인트(64)에는, 강관(61)의 다른 쪽 끝(61q)와, 강관(62)의 한쪽 끝(62p)와, 강관(63)의 한쪽 끝(63p)이 접속되어 있다. 강관(62)의 다른 쪽 끝(62q)는, 유압 호스(57)의 한쪽 끝(57p)에 접속되어 있다. 강관(63)의 다른 쪽 끝(63q)는, 유압 호스(58)의 한쪽 끝(58p)에 접속되어 있다. 유압 호스(57)의 다른 쪽 끝(57q)는, 제1 액추에이터(20A)의 보텀 측 유압실(28)에 접속되어 있다. 유압 호스(58)의 다른 쪽 끝(58q)는, 제2 액추에이터(20B)의 보텀 측 유압실(28)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강관(61)에 의해, 제1 관로(110)가 구성되어 있다. 3방향 파이프 조인트(64)에 의해, 제1 분기부(140)가 구성되어 있다. 강관(62) 및 유압 호스(57)에 의해, 제2 관로(120)가 구성되어 있다. 강관(63) 및 유압 호스(58)에 의해, 제3 관로(130)가 구성되어 있다.
강관(61)과, 강관(62)과, 강관(63)은,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이 서로 같다. 유압 호스(57)와, 유압 호스(58)은,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이 서로 같다. 강관(62) 및 유압 호스(57)[제2 관로(120)]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과, 강관(63) 및 유압 호스(58)[제3 관로(130)]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과의 합은, 강관(61)[제1 관로(110)]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보다 크다.
유압 셔블(100)의 상면에서 볼 때,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을 지나는 가상 직선(260)을 협지한 한쪽 측에, 작업기(12)가 배치되는 제1 영역(270)이 규정되고,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을 지나는 가상 직선(260)을 협지한 다른 쪽의 측에, 제어 밸브(46)와, 제1 분기부(140)[3방향 파이프 조인트(64)]가 배치되는 제2 영역(280)이 규정된다.
가상 직선(260)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을 지나고, 작업기(12)가 배치되는 제1 영역(270)과, 제어 밸브(46) 및 제1 분기부(140)가 배치되는 제2 영역(280)을 규정할 수 있는 임의의 직선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상 직선(260)이,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을 지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영역(270)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을 협지한 전방측에 위치하고, 제2 영역(280)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을 협지한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 있어서, 작업기와, 제어 밸브 및 제1 분기부를, 서로 반대측으로 가로막는 가상 직선은, 상기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우측 경사 전방으로부터 좌측 경사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라도 되고, 좌측 경사 전방으로부터 우측 경사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라도 된다.
제1 분기부(140)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분기부(14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과,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분기부(140)은, 스위블 조인트(48)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분기부(140)은,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와,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의, 전후 방향에서의 제1 배관(51)의 중심 위치(도 9 중에 나타내는 중심 위치(220)에 대하여, 제어 밸브(46)에 가까운 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배관(51)의 중심 위치(220)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배관(51)의 중심 위치(220)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후방에 위치해도 된다.
제1 배관(51)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이 작을 때, 압력 손실이 커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제1 분기부(140)을,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을 지나는 가상 직선(260)에 대하여 제어 밸브(46)와 같은 쪽에 배치함으로써, 제1 관로(110)의 길이를 보다 짧고, 제1 관로(110)로부터의 분기 후의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의 길이를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관로(120)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과, 제3 관로(130)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과의 합은, 제1 관로(110)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보다 크다. 그러므로, 가상 직선(260)에 대하여 제어 밸브(46)와 같은 쪽에 제1 분기부(140)를 배치함으로써, 제1 배관(51)에서는, 단면적이 큰 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의 2개의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유가, 제1 관로(110)를 통해 제어 밸브(46)에 출입하므로, 작동유가 제1 관로(110)를 흐르는 사이의 압력 손실이 커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제1 분기부(140)을,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을 지나는 가상 직선(260)에 대하여 제어 밸브(46)와 같은 쪽에 배치함으로써, 제1 관로(110)의 길이를 보다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작동유가 제1 관로(110)를 흐르는 사이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관로(110)의 길이와,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의 각각의 길이와의 대소(大小)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관로(110)의 길이는,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의 각각의 길이 이하라도 되고,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의 각각의 길이보다 커져도 된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에 있어서, 로드 측 유압실(27)에는 피스톤 로드(26)가 배치되고, 보텀 측 유압실(28)에는 피스톤 로드(26)가 배치되지 않다. 그러므로, 피스톤(29)을 일정 길이 스트로크시키기 위해 필요한 작동유의 양은, 로드 측 유압실(27)보다 보텀 측 유압실(28)에서 커지게 된다. 이로써, 로드 측 유압실(27)에 작동유를 출입시키는 제2 배관(71)보다, 보텀 측 유압실(28)에 작동유를 출입시키는 제1 배관(51)에 있어서, 작동유의 압력 손실이 현저해진다. 따라서, 제1 배관(51)에 있어서, 제1 분기부(140)를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압력 손실을 저감하는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 10은, 제1 분기부에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관로(110)로부터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를 향하는 작동유의 흐름이, 각각, 화살표 241 및 화살표 242에 의해 표시되고,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로부터 제1 관로(110)를 향하는 작동유의 흐름이, 각각, 화살표 243 및 화살표 244에 의해 나타나 있다.
제1 관로(110)와 제2 관로(120)은, 제1 분기부(140)에 있어서, 90°보다 크고, 180°이하의 분기 각도 α를 이룬다(90°<α≤80°). 제1 관로(110)와 제3 관로(130)은, 제1 분기부(140)에 있어서, 90°보다 크고, 180°이하의 분기 각도 β를 이룬다(90°<β≤180°).
그리고, 분기 각도 α는, 제1 분기부(140)의 전후에 있어서 제1 관로(110) 및 제2 관로(120)를 흐르는 작동유의 방향의 변화를 나타낸 각도이다. 분기 각도 β는, 제1 분기부(140)의 전후에 있어서 제1 관로(110) 및 제3 관로(130)를 흐르는 작동유의 방향의 변화를 나타낸 각도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분기부(140)에 있어서 분기 및 합류하는 작동유의 흐름를 더욱 원활하게 하여, 압력 손실의 새로운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로(110)와 제2 관로(120)은, 제1 분기부(140)에 있어서, 180°의 분기 각도 α를 이룬다(α= 180°). 제1 관로(110)와 제3 관로(130)은, 제1 분기부(140)에 있어서, 둔각(鈍角)의 분기 각도 β를 이룬다(90°<β<180°).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분기부(140)에 있어서 제1 관로(110)와 제2 관로(120)와의 사이를 흐르는 작동유의 압력 손실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2 배관(7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배관(71)은, 제4 관로(160)와, 제5 관로(170) 및 제6 관로(180)와, 제2 분기부(190)를 구비한다.
제4 관로(160)은, 제어 밸브(46)에 접속되어 있다. 제5 관로(170)은, 제1 액추에이터(20A)에 접속되어 있다. 제5 관로(170)은, 제1 액추에이터(20A)의 로드 측 유압실(27)에 접속되어 있다. 제6 관로(180)은, 제2 액추에이터(20B)에 접속되어 있다. 제6 관로(180)은, 제2 액추에이터(20B)의 로드 측 유압실(27)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분기부(190)은, 제4 관로(160)와, 제5 관로(170) 및 제6 관로(180)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분기부(190)은, 제4 관로(160)를 제5 관로(170) 및 제6 관로(180)에 분기시키고 있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를 단축 구동시킬 때, 제어 밸브(46)로부터의 작동유가, 제4 관로(160)를 통해 제2 분기부(190)를 향한다. 작동유는, 제2 분기부(190)에 있어서 제5 관로(170) 및 제6 관로(180)로 분기하고, 제5 관로(170)를 통해 제1 액추에이터(20A)의 로드 측 유압실(27)에 공급되고, 제6 관로(180)를 통해 제2 액추에이터(20B)의 로드 측 유압실(27)에 공급된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를 신장 구동시킬 때, 제1 액추에이터(20A)의 로드 측 유압실(27)으로부터의 작동유와, 제2 액추에이터(20B)의 로드 측 유압실(27)으로부터의 작동유와는, 각각, 제5 관로(170) 및 제6 관로(180)를 통하여, 제2 분기부(190)에 있어서 합류한다. 작동유는, 제4 관로(160)를 통해 제어 밸브(46)로 돌아온다.
제2 배관(71)을 구성하는 배관 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배관(71)은, 강관(81)과, 3방향 파이프 조인트(84)와, 강관(82)과, 강관(83)과, 유압 호스(77)와, 유압 호스(78)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 호스(77) 및 유압 호스(78)은, 가요성을 가진다.
강관(81)의 한쪽 끝은, 제어 밸브(46)에 접속되어 있다. 3방향 파이프 조인트(84)에는, 강관(81)의 다른 쪽 끝과, 강관(82)의 한쪽 끝과, 강관(83)의 한쪽 끝이 접속되어 있다. 강관(82)의 다른 쪽 끝은, 유압 호스(77)의 한쪽 끝에 접속되어 있다. 강관(83)의 다른 쪽 끝은, 유압 호스(78)의 한쪽 끝에 접속되어 있다. 유압 호스(77)의 다른 쪽 끝은, 제1 액추에이터(20A)의 로드 측 유압실(27)에 접속되어 있다. 유압 호스(78)의 다른 쪽 끝은, 제2 액추에이터(20B)의 로드 측 유압실(27)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강관(81)에 의해, 제4 관로(160)가 구성되어 있다. 3방향 파이프 조인트(84)에 의해, 제2 분기부(190)가 구성되어 있다. 강관(82) 및 유압 호스(77)에 의해, 제5 관로(170)가 구성되어 있다. 강관(83) 및 유압 호스(78)에 의해, 제6 관로(180)가 구성되어 있다.
제2 분기부(190)[3방향 파이프 조인트(84)]은, 작업기(12)와 함께 제1 영역(270)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분기부(190)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을 라우팅하는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관(51)을 구성하는 강관(61), 강관(62) 및 강관(63)은, 선회 프레임(31)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배관(51)을 구성하는 유압 호스(57)은, 선회 프레임(31)과, 제1 액추에이터(20A)와의 사이에 가로걸쳐져 있다. 제1 배관(51)을 구성하는 유압 호스(58)은, 선회 프레임(31)과, 제2 액추에이터(20B)와의 사이에 가로걸쳐져 있다.
강관(61)은, 제어 밸브(46)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세로판(37)에 근접하도록 경사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강관(61)은, 세로판(37)에 평행하게 경사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3방향 파이프 조인트(64)에 도달하고 있다.
강관(62)는, 3방향 파이프 조인트(64)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세로판(37)을 따라 경사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강관(62)는, 강관(62)의 최저 높이에 도달하면, 세로판(37)보다 멀어지면서, 전방을 향해 경사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강관(62)는, 세로판(37)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 방향을 바꾸어, 전방을 향해 경사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압 호스(57)에 도달하고 있다. 강관(62)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을 걸쳐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강관(63)은, 3방향 파이프 조인트(64)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세로판(37)을 따라 경사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강관(63)은, 강관(63)의 최고 높이에 도달하면, 세로판(37)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전방을 향해 경사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강관(63)은, 세로판(37)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 방향을 바꾸어, 전방을 향해 경사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압 호스(58)에 도달하고 있다. 강관(63)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을 걸쳐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3방향 파이프 조인트(64)는, 강관(62)의 다른 쪽 끝(62q) 및 강관(63)의 다른 쪽 끝(63q)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강관(61)의 한쪽 끝(61p)는, 3방향 파이프 조인트(64)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좌우 방향에서의 세로판(37)으로부터 3방향 파이프 조인트(64)까지의 거리는, 좌우 방향에서의 세로판(37)으로부터 강관(61)의 한쪽 끝(61p)까지의 거리보다 작고, 좌우 방향에서의 세로판(37)으로부터, 강관(62)의 다른 쪽 끝(62q) 및 강관(63)의 다른 쪽 끝(63q)의 각각까지의 거리보다 작다. 강관(61), 강관(62) 및 강관(63)은, 전체적으로, 스위블 조인트(48) 및 선회 모터(47) 등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세로판(37)에 따른 우회(迂回) 경로를 더듬으면서, 제어 밸브(46)로부터 유압 호스(57, 58)를 향해 경사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압 호스(57)은, 강관(62)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유압 호스(57)은, 경사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액추에이터(20A)에 도달하고 있다. 유압 호스(58)은, 강관(63)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유압 호스(58)은, 경사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액추에이터(20B)에 도달하고 있다. 유압 호스(58)은, 유압 호스(57)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배관(71)을 구성하는 강관(81), 강관(82) 및 강관(83)은, 선회 프레임(31)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배관(71)을 구성하는 유압 호스(77)은, 선회 프레임(31)과, 제1 액추에이터(20A)와의 사이에 가로걸쳐져 있다. 제2 배관(71)을 구성하는 유압 호스(78)은, 선회 프레임(31)과, 제2 액추에이터(20B)와의 사이에 가로걸쳐져 있다.
강관(81)은, 제어 밸브(46)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세로판(37)에 근접하도록 경사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강관(81)은, 세로판(37)을 따라 경사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사이, 강관(81)은, 제1 배관(51)의 강관(61), 강관(62) 및 강관(63)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강관(81)은, 세로판(37)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3방향 파이프 조인트(84)에 도달하고 있다.
강관(82)는, 3방향 파이프 조인트(84)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유압 호스(77)에 도달하고 있다. 강관(83)은, 3방향 파이프 조인트(84)로부터, 세로판(37)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강관(83)은, 세로판(37)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 방향을 바꾸어,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유압 호스(78)에 도달하고 있다.
강관(81), 강관(82) 및 강관(83)은, 전체적으로, 스위블 조인트(48) 및 선회 모터(47) 등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세로판(37)에 따른 우회 경로를 더듬으면서, 제어 밸브(46)로부터 유압 호스(77, 78)를 향해 경사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압 호스(77)은, 강관(82)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유압 호스(77)은, 경사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액추에이터(20A)에 도달하고 있다. 유압 호스(78)은, 강관(83)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유압 호스(78)은, 경사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액추에이터(20B)에 도달하고 있다. 유압 호스(78)은, 유압 호스(77)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유압 호스(77, 78)은, 유압 호스(57, 58)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도 8 중의 2점 쇄선 XI로 에워싸인 범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 중의 화살표 XII에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제1 배관 및 제2 배관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2 중에서는, 도 11 중의 유지구(86)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은, 상면에서 볼 때 서로 중첩되어 연장되는 제1 구간(310)을 구비한다. 제1 분기부(140)[3방향 파이프 조인트(64)]은, 제1 구간(310)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구간(310)에 있어서는, 제2 배관(71)이, 제1 배관(51)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1 구간(310)에 있어서, 제4 관로(160)[강관(81)]이, 제1 관로(110)[강관(61)], 제2 관로(120)[강관(62)] 및 제3 관로(130)[강관(63)]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1 구간(310)에 있어서,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은, 세로판(37)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제1 구간(310)에 있어서, 제1 배관(51)이, 제2 배관(71)의 위쪽에 위치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제1 구간(310)에 있어서, 제1 배관(51)의 제2 관로(120)[강관(62)] 및 제3 관로(130)[강관(63)] 중 어느 한쪽과, 제2 배관(71)의 제4 관로(160)[강관(81)]이, 상면에서 볼 때 서로 중첩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는, 제1 구간에 있어서, 제1 배관 및 제2 배관이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연장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제1 배관 및 제2 배관이, 상면에서 볼 때 단지 교차하고 있는 구성은, 제1 구간에 대응하지 않는다.
제1 분기부(140)[3방향 파이프 조인트(64)]를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후방에 배치한 경우, 선회 프레임(31) 상에 배치되는 선회 모터(47) 등의 기기의 주위의 공간에, 보다 많은 배관을 통할 필요가 생긴다. 이에 대하여,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에, 상면에서 볼 때 서로 중첩되어 연장되는 제1 구간(310)을 설치함으로써, 선회 프레임(31) 상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을 라우팅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로(110),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가 교차하는 제1 분기부(140)[3방향 파이프 조인트(64)]을, 제1 구간(310)에 설치함으로써, 선회 프레임(31) 상의 공간을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은, 상면에서 볼 때, 제1 분기부(140)로부터 서로 중첩되어 연장되는 제2 구간(320)을 구비한다.
제2 구간(320)에 있어서는, 제3 관로(130)[강관(63)]이, 제2 관로(120)[강관(62)]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분기부(140)[3방향 파이프 조인트(64)]은, 제1 관로(110)를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에 도 10 중의 연직면(鉛直面)(360) 내에서 분기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선회 프레임(31) 상의 공간을 더욱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제1 배관(51)을 라우팅(routing)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을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제1 배관(51)의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이 라우팅되는 공간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00)에는,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구(86)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구(86)는, 베이스부(87)와, 제1 유지부(88) 및 제2 유지부(89)를 구비한다.
베이스부(87)는, 선회 프레임(31)의 세로판(37)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부(87)는, 그 구성 부위로서, 판형부(87s)와, 제1 기둥형부(87t) 및 제2 기둥형부(87u)를 구비한다. 판형부(87s)는, 볼트에 의해 선회 프레임(31)의 세로판(37)에 체결되어 있다. 제1 기둥형부(87t) 및 제2 기둥형부(87u)는, 판형부(87s)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1 기둥형부(87t) 및 제2 기둥형부(87u)는, 세로판(37)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기둥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유지부(88) 및 제2 유지부(89)는, 베이스부(87)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유지부(88) 및 제2 유지부(89)는, 각각, 볼트에 의해 제1 기둥형부(87t) 및 제2 기둥형부(87u)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유지부(88) 및 제2 유지부(89)는,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을 유지하고 있다. 제1 유지부(88) 및 제2 유지부(89)는, 배관을 유지할 수 있는 클램프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유지부(88) 및 제2 유지부(89)는, 제1 구간(310)에 있어서,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을 유지하고 있다. 제1 유지부(88)는, 제1 배관(51)의 제3 관로(130)[강관(63)]을 유지하고 있다. 제2 유지부(89)는, 제2 배관(71)의 제4 관로(160)[강관(81)]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일 부품인 유지구(86)를 사용하여,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을 간단하고, 더욱 저렴한 구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지구를, 제1 배관(51)의 제1 관로[강관(61)]와, 제2 배관(71)의 제4 관로(160)[강관(81)]을 유지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다음에, 제1 배관(51)을 구성하는 배관 부품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8 중에 나타내는 제1 배관을 구성하는 배관 부품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제1 배관(51)이, 유압 호스(91)와, 분기 블록(92)과, 강관(93) 및 강관(94)과, 유압 호스(95) 및 유압 호스(96)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 호스(91)의 한쪽 끝은, 제어 밸브(46)에 접속되어 있다. 유압 호스(91)의 다른 쪽 끝은, 분기 블록(92)에 접속되어 있다. 강관(93) 및 강관(94)의 한쪽 끝은, 분기 블록(92)에 접속되어 있다. 분기 블록(92)에는, 유압 호스(91)로부터의 오일 통로를, 강관(93) 및 강관(94)에 대한 오일 통로에 분기되는 오일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강관(93) 및 강관(94)의 다른 쪽 끝은, 각각, 유압 호스(95) 및 유압 호스(96)의 한쪽 끝에 접속되어 있다. 유압 호스(95) 및 유압 호스(96)의 다른 쪽 끝은, 각각,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유압 호스(91)에 의해, 제1 관로(110)가 구성되어 있다. 분기 블록(92)에 의해, 제1 분기부(140)가 구성되어 있다. 강관(93) 및 유압 호스(95)에 의해, 제2 관로(120)가 구성되어 있다. 강관(94) 및 유압 호스(96)에 의해, 제3 관로(130)가 구성되어 있다. 제1 분기부(140)[분기 블록(92)]은, 제어 밸브(46)와 함께 제2 영역(280)에 배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의 제1 배관을 구성하는 배관 부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배관은, 강관, 수지제 배관, 호스, 조인트, 커넥터 및 블록 등의 배관 부품을 포함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작업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100)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모아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유압 셔블(100)은, 선회 프레임(31)과, 작업기(12)와, 제어 밸브(46)와, 제1 배관(51)을 구비한다. 작업기(12)는,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를 구비한다. 제어 밸브(46)은, 선회 프레임(31) 상에 설치된다. 제1 배관(51)은,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와,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킨다. 제1 배관(51)은, 제1 관로(110)와, 제2 관로(120)와, 제3 관로(130)와, 제1 분기부(140)를 구비한다. 제1 관로(110)은, 제어 밸브(46)에 접속된다. 제2 관로(120)은, 제1 액추에이터(20A)에 접속된다. 제3 관로(130)은, 제2 액추에이터(20B)에 접속된다. 제1 분기부(140)은, 제1 관로(110)를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에 분기시킨다. 상면에서 볼 때,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을 지나는 가상 직선(260)을 협지한 한쪽 측에, 작업기(12)가 배치되는 제1 영역이(270)가 규정되고, 가상 직선(260)을 협지한 다른 쪽의 측에, 제어 밸브(46) 및 제1 분기부(140)가 배치되는 제2 영역(280)이 규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100)에 의하면, 제1 분기부(140)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을 지나는 가상 직선(260)에 대하여 제어 밸브(46)와 같은 쪽에 배치되므로, 제1 배관(51)에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기(12)[붐(16)]을 구동시킬 때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 엔진(41)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작업기(12)는,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어 밸브(46)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1 분기부(140)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100)에 의하면, 제1 분기부(140)가 제어 밸브(46)와 같은 후방측에 배치되므로, 제1 배관(51)에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는, 유압 실린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100)에 의하면,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업기(12)를 구동시킬 때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의 각각은, 피스톤 로드(26)를 구비한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의 각각에는, 로드 측 유압실(27)과, 보텀 측 유압실(28)이 형성된다. 로드 측 유압실(27)에는, 피스톤 로드(26)가 배치된다. 보텀 측 유압실(28)에는, 피스톤 로드(26)가 배치되지 않다. 제1 배관(51)은, 제1 액추에이터(20A)의 보텀 측 유압실(28) 및 제2 액추에이터(20B)의 보텀 측 유압실(28)과,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서 오일을 유통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100)에 의하면, 제1 배관(51) 상에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더욱 유효하게 얻을 수 있다.
유압 셔블(100)은, 제2 배관(71)을 더 구비한다. 제2 배관(71)은, 제1 배관(51)은 독립적으로,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와,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킨다.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은, 상면에서 볼 때 서로 중첩되어 연장되는 제1 구간(31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100)에 의하면,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을 컴팩트한 공간에 라우팅할 수 있다.
제1 분기부(140)은, 제1 구간(31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100)에 의하면,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을 또한, 컴팩트한 공간에 라우팅할 수 있다.
유압 셔블(100)은, 제1 배관(51)을 선회 프레임(31)에 대하여 유지하는 제1 유지부(88)와, 제2 배관(71)을 선회 프레임(31)에 대하여 유지하는 제2 유지부(89)를 가지는 유지구(86)를 제1 구간(310)에 있어서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100)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1 배관(51) 및 제2 배관(71)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은, 제1 분기부(140)로부터, 상면에서 볼 때 서로 중첩되어 연장되는 제2 구간(32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100)에 의하면, 제1 배관(51)을 컴팩트한 공간에 라우팅할 수 있다.
제1 분기부(140)은,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와,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의, 전후 방향에서의 제1 배관(51)의 중심 위치(220)에 대하여, 제어 밸브(46)에 가까운 쪽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100)에 의하면, 제1 배관(51) 상에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관로(110)와,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의 각각은, 제1 분기부(140)에 있어서, 90°보다 크고, 180°이하의 분기 각도를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100)에 의하면, 제1 분기부(140)에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관로(110)와, 제2 관로(120)은, 제1 분기부(140)에 있어서, 180°의 분기 각도를 이룬다. 제1 관로(110)와, 제3 관로(130)은, 제1 분기부(140)에 있어서, 둔각의 분기 각도를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100)에 의하면, 제1 분기부(140)에서의 제1 관로(110)와 제2 관로(120) 사이에서의 압력 손실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관로(120)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과, 제3 관로(130)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과의 합은, 제1 관로(110)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보다 크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에 의하면,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관로(110)의 길이를 보다 짧고,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의 합이 상대적으로 큰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의 길이를 보다 길게 설정함으로써, 제1 배관(51)에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붐(16)이 3 이상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는, 제어 밸브(46)로부터의 관로를, 3 이상의 액추에이터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관로에 분기시키는 분기부를,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후방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암(17) 또는 버킷(18)이 복수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는, 암(17 또는 버킷(18)에 유압 공급하는 배관에 본 개시를 적용해도 된다.
(실시형태 2)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 중의 2점 쇄선 XVI로 에워싸인 범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 중의 화살표 XVII에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제2 배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유압 셔블은, 실시형태 1에서의 유압 셔블(100)과 비교하여, 제2 배관(71)에 있어서 제2 분기부(190)가 설치되는 위치가 상이하다. 이하, 실시형태 1에서의 유압 셔블(100)과 중복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4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배관(71)에 있어서, 제2 분기부(190)[3방향 파이프 조인트(84)]이, 제어 밸브(46)와 함께 제2 영역(280)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분기부(190)은,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분기부(19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과,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분기부(19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분기부(140)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분기부(190)은, 제1 분기부(140)로부터 전방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분기부(190)은, 높이 방향에 있어서, 제1 분기부(140)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분기부(190)은, 제1 분기부(14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분기부(190)은, 제1 분기부(140)로부터 후방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제2 분기부(190)은, 제1 분기부(14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동유가 제1 배관(51)의 제1 관로(110)를 흐르는 사이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키는 것에 더하여, 작동유가 제2 배관(71)의 제4 관로(160)를 흐르는 사이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유압 셔블에 의하면, 실시형태 1에 기재된 효과를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유압 셔블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모아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유압 셔블은, 제2 배관(71)을 더 구비한다. 제2 배관(71)은, 제1 액추에이터(20A)의 로드 측 유압실(27) 및 제2 액추에이터(20B)의 로드 측 유압실(27)과,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서 오일을 유통시킨다. 제2 배관(71)은, 제4 관로(160)와, 제5 관로(170) 및 제6 관로(180)와, 제2 분기부(190)를 구비한다. 제4 관로(160)은, 제어 밸브(46)에 접속된다. 제5 관로(170)은, 제1 액추에이터(20A)에 접속된다. 제6 관로(180)은, 제2 액추에이터(20B)에 접속된다. 제2 분기부(190)은, 제2 영역(280)에 배치되고, 제4 관로(160)를 제5 관로(170) 및 제6 관로(180)에 분기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에 의하면, 제1 배관(51) 상에서의 압력 손실에 더하여, 제2 배관(71) 상에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셔블은, 도 1 내지 도 12에 개시된 유압 셔블(100)과 동일한 배관 구조를 가지는 한편, 제1 관로(110)의 길이와,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의 길이와의 사이에, 이하에 설명하는 대소 관계가 존재한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관로(110)의 길이는, 제2 관로(120)의 길이보다 짧다. 제1 관로(110)의 길이는, 제3 관로(130)의 길이보다 짧다.
제1 관로(110)의 길이는, 강관(61)의 한쪽 끝(61p)으로부터 강관(61)의 다른 쪽 끝(61q)까지의 강관(61)의 길이이다. 제2 관로(120)의 길이는, 강관(62)의 한쪽 끝(62p)으로부터 유압 호스(57)의 다른 쪽 끝(57q)까지의 강관(62) 및 유압 호스(57)의 길이이다. 제3 관로(130)의 길이는, 강관(63)의 한쪽 끝(63p)으로부터 유압 호스(58)의 다른 쪽 끝(58q)까지의 강관(63) 및 유압 호스(58)의 길이이다.
제1 배관(51)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이 작을 때, 압력 손실이 커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제1 배관(51)에 있어서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는 제1 관로(110)의 길이가, 제1 배관(51)에 있어서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이 커지게 되는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의 각각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작동유가 제1 배관(51)을 흐르는 사이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관로(120)은, 제1 부위(410)를 구비한다. 제1 부위(410)은, 선회 프레임(31) 상에 존재한다. 제1 부위(410)은, 유압 셔블을 상면에서 본 경우에, 선회 프레임(31)과 중첩되는 제2 관로(120)의 부위이다. 제1 부위(410)은, 강관(62)의 전부(全部)와, 유압 셔블을 상면에서 본 경우에 선회 프레임(31)과 중첩되는 유압 호스(57)의 일부이다.
제3 관로(130)은, 제2 부위(420)를 구비한다. 제2 부위(420)은, 선회 프레임(31) 상에 존재한다. 제2 부위(420)은, 유압 셔블을 상면에서 본 경우에, 선회 프레임(31)과 중첩되는 제3 관로(130)의 부위이다. 제2 부위(420)은, 강관(63)의 전부와, 유압 셔블을 상면에서 본 경우에 선회 프레임(31)과 중첩되는 유압 호스(58)의 일부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관로(110)의 길이는, 제1 부위(410)의 길이보다 짧다. 제1 관로(110)의 길이는, 제2 부위(420)의 길이보다 짧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관로(110)의 길이를 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작동유가 제1 배관(51)을 흐르는 사이의 압력 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작업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모아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유압 셔블은, 차체 프레임으로서의 선회 프레임(31)과, 작업기(12)와, 제어 밸브(46)와, 배관으로서의 제1 배관(51)을 구비한다. 작업기(12)는,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를 구비한다. 제어 밸브(46)은, 선회 프레임(31) 상에 설치된다. 제1 배관(51)은,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와,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킨다. 제1 배관(51)은, 제1 관로(110)와, 제2 관로(120)와, 제3 관로(130)와, 분기부로서의 제1 분기부(140)를 구비한다. 제1 관로(110)은, 제어 밸브(46)에 접속된다. 제2 관로(120)은, 제1 액추에이터(20A)에 접속된다. 제3 관로(130)은, 제2 액추에이터(20B)에 접속된다. 제1 분기부(140)은, 제1 관로(110)를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에 분기시킨다. 제1 관로(110)의 길이는, 제2 관로(120)의 길이보다 짧고, 제3 관로(130)의 길이보다 짧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에 의하면, 제1 관로(110)의 길이가, 제2 관로(120)의 길이보다 짧고, 제3 관로(130)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제1 배관(51)에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기(12)를 구동시킬 때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 엔진(41)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관로(120)은, 선회 프레임(31) 상에 존재하는 제1 부위(410)를 구비한다. 제3 관로(130)은, 선회 프레임(31) 상에 존재하는 제2 부위(420)를 구비한다. 제1 관로(110)의 길이는, 제1 부위(410)의 길이보다 짧고, 제2 부위(420)의 길이보다 짧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에 의하면, 제1 배관(51)에서의 압력 손실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의 차체 프레임은, 선회 가능한 선회 프레임(31)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식의 프레임이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기(12)와, 제어 밸브(46)이,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에 대하여 그 전후에 배치되는 구성이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작업기(12) 및 제어 밸브(46)의 양쪽이, 선회 프레임(31)의 선회 중심(210)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실시형태 4)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서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 붐의 구동용 액추에이터와,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셔블은, 도 1 내지 도 12에 개시된 유압 셔블(100)과 동일한 배관 구조를 가지는 한편, 제1 분기부(140)의 위치가, 선회 프레임(31)에 대한 작업기(12)의 회동(回動) 중심(230)과의 관계로 규정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31)에는, 개구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4)는, 세로판(37) 및 세로판(38)을 관통하고 있다. 개구부(34)에는, 붐 핀(23)이 삽입되어 있다(도 1을 참조). 개구부(34)의 중심에는, 선회 프레임(31)에 대한 작업기(12)[붐(16)]의 회동 중심(230)이 규정된다. 회동 중심(23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는, 선회 프레임(31)에 대한 작업기(12)의 회동 중심(230)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 밸브(46)은, 선회 프레임(31)에 대한 작업기(12)의 회동 중심(230)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분기부(140)은, 선회 프레임(31)에 대한 작업기(12)의 회동 중심(230)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분기부(14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선회 프레임(31)에 대한 작업기(12)의 회동 중심(230)과,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배관(51)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이 작을 때, 압력 손실이 커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제1 분기부(140)을, 선회 프레임(31)에 대한 작업기(12)의 회동 중심(230)보다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제1 관로(110)의 길이를 보다 짧고, 제1 관로(110)로부터의 분기 후의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의 길이를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관로(120)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과, 제3 관로(130)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과의 합은, 제1 관로(110)에서의 오일의 유통로의 단면적보다 크다. 그러므로, 선회 프레임(31)에 대한 작업기(12)의 회동 중심(230)에 대하여 제어 밸브(46)와 같은 쪽에 제1 분기부(140)를 배치함으로써, 제1 배관(51)에서는, 단면적이 큰 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서의 작업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모아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서의 유압 셔블은, 차체 프레임으로서의 선회 프레임(31)과, 작업기(12)와, 제어 밸브(46)와, 배관으로서의 제1 배관(51)을 구비한다. 작업기(12)는,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를 가지고, 선회 프레임(3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어 밸브(46)은, 선회 프레임(31) 상에 설치된다. 제1 배관(51)은,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와, 제어 밸브(46)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킨다. 제1 액추에이터(20A) 및 제2 액추에이터(20B)는, 선회 프레임(31)에 대한 작업기(12)의 회동 중심(230)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어 밸브(46)은, 선회 프레임(31)에 대한 작업기(12)의 회동 중심(230)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1 배관(51)은, 제1 관로(110)와, 제2 관로(120)와, 제3 관로(130)와, 분기부로서의 제1 분기부(140)를 구비한다. 제1 관로(110)은, 제어 밸브(46)에 접속된다. 제2 관로(120)은, 제1 액추에이터(20A)에 접속된다. 제3 관로(130)은, 제2 액추에이터(20B)에 접속된다. 제1 분기부(140)은, 선회 프레임(31)에 대한 작업기(12)의 회동 중심(230)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1 분기부(140)은, 제1 관로(110)를 제2 관로(120) 및 제3 관로(130)로 분기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에 의하면, 제1 분기부(140)이, 선회 프레임(31)에 대한 작업기(12)의 회동 중심(230)보다 후방에 배치되므로, 제1 배관(51)에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기(12)를 구동시킬 때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 엔진(41)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의 차체 프레임은, 선회 가능한 선회 프레임(31)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식의 프레임이라도 된다.
본 개시는, 작업기를 구비하는 각종 작업 기계에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의 작업 기계는, 불도저(bulldozer), 휠 로더(wheel loader), 모터 그레이더(motor grader), 크레인 및 임업 기계 등을 포함해도 된다. 본 개시에서의 작업기는, 리퍼(ripper), 리퍼 버킷, 포크 및 커터 등을 포함해도 된다. 본 개시에서의 액추에이터는, 유압 에너지에 의해, 신축(伸縮), 굴신(屈伸; bending and extending) 및 회전 등의 동작을 행하는 장치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압 모터 등을 포함해도 된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에서가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표시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는, 작업기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에 적용된다.
11: 본체, 12: 작업기, 13: 선회체, 14: 운전실, 14S: 운전석, 15: 주행 장치, 15CR: 크롤러 벨트, 15M: 주행 모터, 16: 붐, 17: 암, 18: 버킷, 19: 엔진룸, 20: 액추에이터, 20A: 제1 액추에이터, 20B: 제2 액추에이터, 21, 22: 액추에이터, 23: 붐 핀, 24: 암 핀, 25: 버킷 핀, 26: 피스톤 로드, 27: 로드 측 유압실, 28: 보텀 측 유압실, 29: 피스톤, 30: 실린더, 31: 선회 프레임, 32, 34: 개구부, 36: 바닥판부, 37, 38: 세로판, 41: 엔진, 42: 유압 펌프, 43: 작동유 탱크, 46: 제어 밸브, 47: 선회 모터, 48: 스위블 조인트, 51: 제1 배관, 57, 58, 77, 78, 91, 95, 96: 유압 호스, 57p, 58p, 61p, 62p, 63P: 한쪽 끝, 57q, 58q, 61q, 62q, 63q: 다른 쪽 끝, 61, 62, 63, 81, 82, 83, 93, 94: 강관, 64, 84: 3방향 파이프 조인트, 71: 제2 배관, 86: 유지구, 87: 베이스부, 87S: 판형부, 87T: 제1 기둥형부, 87U: 제2 기둥형부, 88: 제1 유지부, 89: 제2 유지부, 92: 분기 블록, 100: 유압 셔블, 110: 제1 관로, 120: 제2 관로, 130: 제3 관로, 140: 제1 분기부, 160: 제4 관로, 170: 제5 관로, 180: 제6 관로, 190: 제2 분기부, 210: 선회 중심, 220: 중심 위치, 230: 회동 중심, 260: 가상 직선, 270: 제1 영역, 280: 제2 영역, 310: 제1 구간, 320: 제2 구간, 410: 제1 부위, 420: 제2 부위.

Claims (16)

  1. 선회(旋回) 프레임;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작업기;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제어 밸브; 및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어 밸브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流通)시키는 제1 배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제어 밸브에 접속되는 제1 관로(管路; conduit);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제2 관로;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제3 관로; 및
    상기 제1 관로를 상기 제2 관로 및 상기 제3 관로에 분기시키는 제1 분기부(branch portion);를 구비하고,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선회 프레임의 선회 중심을 지나는 가상(假想) 직선을 협지한 한쪽 측에, 상기 작업기가 배치되는 제1 영역이 규정되고, 상기 가상 직선을 협지한 다른 쪽의 측에, 상기 제어 밸브 및 상기 제1 분기부가 배치되는 제2 영역이 규정되는,
    작업 기계(work machin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는, 상기 선회 프레임의 선회 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선회 프레임의 선회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분기부는, 상기 선회 프레임의 선회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작업 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유압(油壓) 실린더인, 작업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각각은,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각각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가 배치되는 로드 측 유압실과, 상기 피스톤 로드가 배치되지 않은 보텀 측 유압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상기 보텀 측 유압실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상기 보텀 측 유압실과, 상기 제어 밸브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키는, 작업 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상기 로드 측 유압실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상기 로드 측 유압실과, 상기 제어 밸브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키는 제2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제어 밸브에 접속되는 제4 관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제5 관로;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제6 관로;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4 관로를 상기 제5 관로 및 상기 제6 관로에 분기시키는 제2 분기부;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어 밸브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키는 제2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은, 상면에서 볼 때 서로 중첩되어 연장되는 제1 구간을 가지는, 작업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부는, 상기 제1 구간에 설치되는, 작업 기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을 상기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유지하는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배관을 상기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유지하는 제2 유지부를 구비하는 유지구(holder)를 상기 제1 구간에 있어서 더 구비하는, 작업 기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로 및 상기 제3 관로는, 상기 제1 분기부로부터, 상면에서 볼 때 서로 중첩되어 연장되는 제2 구간을 가지는, 작업 기계.
  10.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부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어 밸브와의 사이의,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제1 배관의 중심 위치에 대하여, 상기 제어 밸브에 가까운 쪽에 설치되는, 작업 기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와, 상기 제2 관로 및 상기 제3 관로의 각각은, 상기 제1 분기부에 있어서, 90°보다 크고, 180°이하의 분기 각도를 이루는, 작업 기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와, 상기 제2 관로는, 상기 제1 분기부에 있어서, 180°의 분기 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1 관로와, 상기 제3 관로는, 상기 제1 분기부에 있어서, 둔각(鈍角)의 분기 각도를 이루는, 작업 기계.
  13. 차체 프레임;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작업기;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제어 밸브; 및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어 밸브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키는 배관;
    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은,
    상기 제어 밸브에 접속되는 제1 관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제2 관로;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제3 관로; 및
    상기 제1 관로를 상기 제2 관로 및 상기 제3 관로에 분기시키는 분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로의 길이는, 상기 제2 관로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3 관로의 길이보다 짧은,
    작업 기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로는,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존재하는 제1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관로는,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존재하는 제2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로의 길이는, 상기 제1 부위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2 부위의 길이보다 짧은, 작업 기계.
  15. 차체 프레임;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접속되는 작업기;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제어 밸브;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어 밸브와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유통시키는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한 상기 작업기의 회동 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밸브는,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한 상기 작업기의 회동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관은,
    상기 제어 밸브에 접속되는 제1 관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제2 관로;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제3 관로; 및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한 상기 작업기의 회동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관로를 상기 제2 관로 및 상기 제3 관로에 분기시키는 분기부;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로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斷面績)과, 상기 제3 관로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의 합은, 상기 제1 관로에서의 작동유의 유통로의 단면적보다 큰, 작업 기계.
KR1020197035023A 2017-09-07 2018-08-23 작업 기계 KR202000030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1816 2017-09-07
JP2017171816A JP6735257B2 (ja) 2017-09-07 2017-09-07 作業機械
PCT/JP2018/031101 WO2019049672A1 (ja) 2017-09-07 2018-08-23 作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036A true KR20200003036A (ko) 2020-01-08

Family

ID=6563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023A KR20200003036A (ko) 2017-09-07 2018-08-23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05067B2 (ko)
JP (1) JP6735257B2 (ko)
KR (1) KR20200003036A (ko)
CN (1) CN110709562B (ko)
DE (1) DE112018002023T5 (ko)
WO (1) WO20190496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875A (ko) 2022-06-22 2023-12-29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기지국 빔포밍 시험 장비의 어레이 경로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3475B2 (ja) * 2018-02-07 2019-10-2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D986983S1 (en) * 2018-12-12 2023-05-23 Bruder Spielwaren Gmbh + Co. Kg Toy
JP2021046706A (ja) * 2019-09-18 2021-03-25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2446A (ja) 2005-06-22 2007-01-11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旋回式作業機械の油圧配管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3438A (en) * 1927-12-30 1931-02-17 Bucyrus Co Hydraulically-operated shovel
US5940997A (en) 1997-09-05 1999-08-2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Hydraulic circuit system for hydraulic working machine
JP2002275935A (ja) * 2001-03-14 2002-09-25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における油圧配管構造
JP2006220177A (ja) * 2005-02-08 2006-08-24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
DE112013000286T5 (de) * 2012-07-05 2014-08-07 Komatsu Ltd. Motoreinheit und Baufahrzeug
JP2015017439A (ja) * 2013-07-11 2015-01-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06545041B (zh) * 2015-11-06 2018-10-16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液压控制系统和挖掘机
JP6656913B2 (ja) * 2015-12-24 2020-03-0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2446A (ja) 2005-06-22 2007-01-11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旋回式作業機械の油圧配管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875A (ko) 2022-06-22 2023-12-29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기지국 빔포밍 시험 장비의 어레이 경로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35257B2 (ja) 2020-08-05
US20200256037A1 (en) 2020-08-13
CN110709562A (zh) 2020-01-17
JP2019044547A (ja) 2019-03-22
WO2019049672A1 (ja) 2019-03-14
CN110709562B (zh) 2021-10-22
US11105067B2 (en) 2021-08-31
DE112018002023T5 (de)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3036A (ko) 작업 기계
JP6232261B2 (ja) 作業機
KR101190553B1 (ko)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KR20120030922A (ko) 작업기의 유압 시스템
CN107923147A (zh) 用于动力机械的操纵杆控制器
JP5243618B2 (ja) 軌間可変車台
US20210262193A1 (en) Working vehicle
AU2013237668B2 (en) Conduit cartridge
EP2921591B1 (en) Upper slewing body for construction machine
JP4200985B2 (ja) 旋回式作業機械の油圧配管構造
JP6719116B2 (ja) 作業機械
JP4342360B2 (ja) 作業車
JP2009191555A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5451697B2 (ja) 建設機械
WO2023190379A1 (ja) 建設機械
JP6366534B2 (ja) 作業機
JP7160590B2 (ja) 作業車両
US11851841B2 (en) Construction machine
JP7248617B2 (ja) 作業用車両の作動油タンク
JP2021046706A (ja) 建設機械
JPH0629216Y2 (ja) 軟弱地盤改良機における走行用油圧回路
JP5373312B2 (ja) 作業車両の配管取付構造
JPH0510044Y2 (ko)
JP5333386B2 (ja) 作業機械の配管構造
JP2023082487A (ja) 油圧システムおよび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