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983A - 통기 부재 - Google Patents

통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983A
KR20200002983A KR1020197034677A KR20197034677A KR20200002983A KR 20200002983 A KR20200002983 A KR 20200002983A KR 1020197034677 A KR1020197034677 A KR 1020197034677A KR 20197034677 A KR20197034677 A KR 20197034677A KR 20200002983 A KR20200002983 A KR 20200002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entilation
central axis
sto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662B1 (ko
Inventor
요오조오 야노
유스케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8Hermetically-sealed casings having a pressure compensation device, e.g. membr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8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with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6Venting plugs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tud, pin or spigot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mponent to be fastened, e.g. forming part of the sheet, plate or st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16B43/001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for sealing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통기 부재는, 하우징의 개구에 장착되었을 때, 하우징의 내외의 통기로로 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지지체와, 지지체에 배치된, 관통 구멍을 폐쇄하는 통기막을 구비하고, 지지체는, 관통 구멍을 갖고, 통기막이 배치된 지지부와,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갈고리부를 선단에 갖고, 개구에 삽입되어서 갈고리부가 개구를 통과하는 동안, 통기 부재의 중심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휘고, 개구를 통과한 갈고리부의 하우징에 대한 걸림에 의해 통기 부재를 개구에 고정하는 삽입부를 갖고, 통기 부재는, 개구에 대한 삽입 시에 있어서의 삽입부의 상기 방향으로의 휨을, 삽입부가 탄성 변형되는 범위로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갖는다. 본 개시의 통기 부재에서는, 개구에 대하여 삽입부가 비스듬히 삽입되었을 경우에도, 삽입부에 의한 하우징의 개구에 대한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통기 부재
본 발명은, 하우징의 개구에 장착되는 통기 부재에 관한 것이다.
램프, 인버터, 컨버터, ECU(Electronic Control Unit), 배터리 팩, 레이더 및 카메라 등의 차량 탑재용 전장 부품, 그리고 가정용, 의료용, 오피스용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하우징의 내외 통기를 확보하거나, 하우징 내부의 압력 변동을 완화하거나 하기 위한 통기 부재가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통기 부재에는, 통기성 이외에도, 장착되는 구체적인 전장 부품 등에 따라, 하우징 내로의 더스트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진성,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수성, 기름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유성 및 염의 침입을 방지하는 내CCT성 등의 각종 특성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는, 통기성 및 요구되는 각종 특성을 충족할 수 있는 통기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통기 부재를, 도 13에 도시하였다.
도 13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101)는, 지지체(102)와 통기막(104)을 구비한다. 지지체(102)는, 통기막(104)을 지지하는 지지부(102a)와, 지지부(102a)의 한쪽 측에 형성된 삽입부(102b)를 갖는다. 지지부(102a)의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103)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103)을 피복하도록 통기막(104)이 지지부(102a)에 배치되어 있다. 삽입부(102b)는, 하우징(107)의 개구(108)와 거의 동일한 직경의 원기둥형이고,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삽입부(102b)는, 6개의 다리부(102h)를 갖고 있다. 6개의 다리부(102h) 중, 3개의 다리부(102h)가 갈고리부(102c)를 갖고 있다. 갈고리부(102c)를 갖는 다리부(102h)와, 갈고리부(102c)를 갖지 않는 다리부(102h)는, 둘레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갈고리부(102c)를 갖지 않는 다리부(102h)는, 개구(108)로의 고정 후에 있어서의 통기 부재(10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로 인해, 통기 부재(101)의 중심축(110)을 따라 다리부(102h)의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갈고리부(102c)를 갖지 않는 다리부(102h)의 외주면과, 갈고리부(102c)를 갖는 삽입부(102h)의 외주면은,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한 가상적인 원 상에 있다.
통기 부재(101)는, 삽입부(102b)를 개구(108)에 삽입함으로써 개구(108)에 고정된다. 개구(108)에 대한 삽입 시, 개구(108)의 벽면에 갈고리부(102c)가 접촉함으로써, 갈고리부(102c)를 갖는 다리부(102h)가 통기 부재(101)의 중심축(110) 방향으로 휜다. 그대로 통기 부재(101)를 압입하면, 갈고리부(102c)가 개구(108)를 통과하여 다리부(102h)의 상기 방향으로의 휨이 해소됨과 함께, 휨의 해소에 의해 하우징(107)의 내면에 걸린 갈고리부(102c)가 앵커로 되어, 통기 부재(101)가 개구(108)에 고정된다. 하우징(107)과 지지체(102) 사이에는, 시일 부재(109)가 배치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7425호 공보
통기 부재(101)를 개구(108)에 고정할 때, 개구(108)에 대하여 삽입부(102b)가 비스듬히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눈으로 볼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개구(108), 하우징의 경사면에 형성된 개구(108), 혹은, 기기에 의한 통기 부재(101)의 자동적인 삽입 및 고정의 적용이 어려운 개구(108)에 통기 부재(101)를 고정할 때, 삽입부(102b)가 비스듬히 삽입되기 쉽다. 이때, 갈고리부(102c)를 갖는 다리부(102h) 중, 개구(108)의 벽면에 최초에 접촉한 다리부(102h)의 휨이, 다른 다리부(102h)의 휨보다도 커진다. 이 상태에서, 삽입부(102b)의 삽입 방향이 수정되는 일 없이 통기 부재(101)가 더 압입되면, 벽면에 최초에 접촉한 다리부(102h)의 휨이 과도하게 커져, 다리부(102h)가 손상을 받는다. 다리부(102h)가 손상되면, 갈고리부(102c)가 개구(108)를 통과해도 당해 다리부(102h)의 휨이 해소되지 않아, 갈고리부(102c)에 의한 하우징(107)의 내면으로의 확실한 걸림이 어려워지거나, 극단적인 예로는, 과도하게 휜 다리부(102h)가 파괴되어, 지지체(102)로부터 탈리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갈고리부를 갖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삽입부가 하우징의 개구에 삽입되어서 당해 개구에 고정되는 통기 부재이며, 개구에 대하여 삽입부가 비스듬히 삽입되었을 경우에도, 삽입부에 의한 하우징의 개구에 대한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통기 부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개구에 장착되는 통기 부재이며,
상기 개구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의 내외 통기로로 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배치된, 상기 관통 구멍을 폐쇄하는 통기막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통기막이 배치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갈고리부를 선단에 갖고,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서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통기 부재의 중심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한 상기 갈고리부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걸림에 의해 상기 통기 부재를 상기 개구에 고정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개구에 대한 삽입 시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부의 상기 방향으로의 휨을, 당해 삽입부가 탄성 변형되는 범위로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갖는 통기 부재
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기 부재에서는, 개구에 대한 삽입 시에 있어서의 갈고리부를 갖는 삽입부의 상기 방향으로의 휨이, 스토퍼부에 의해, 당해 삽입부가 탄성 변형 하는 범위로 제한된다. 탄성 변형의 범위의 휨은, 갈고리부가 개구를 통과한 후에 확실하게 해소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통기 부재에서는, 갈고리부를 갖는 삽입부가 하우징의 개구에 대하여 비스듬히 삽입되었을 경우에도, 당해 삽입부에 의한 하우징의 개구에 대한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기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기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통기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에 있어서 삽입부의 휨이 스토퍼부에 의해 멈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에 있어서 삽입부의 휨이 스토퍼부에 의해 멈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4c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에 있어서 삽입부의 휨이 스토퍼부에 의해 멈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기 부재의 일례에 대해서, 개구에 대하여 삽입부가 비스듬히 삽입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통기 부재의 일례에 대해서, 하우징의 개구를 통과하는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통기 부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하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에 있어서 삽입부의 휨이 스토퍼부에 의해 멈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8b는,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에 있어서 삽입부의 휨이 스토퍼부에 의해 멈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통기 부재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하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9a 내지 도 9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에 있어서 삽입부의 휨이 스토퍼부에 의해 멈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10b는, 도 9a 내지 도 9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에 있어서 삽입부의 휨이 스토퍼부에 의해 멈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통기 부재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하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11a 내지 도 11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에 있어서 삽입부의 휨이 스토퍼부에 의해 멈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12b는, 도 11a 내지 도 11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에 있어서 삽입부의 휨이 스토퍼부에 의해 멈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통기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통기 부재는,
하우징의 개구에 장착되는 통기 부재이며,
상기 개구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의 내외 통기로로 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배치된, 상기 관통 구멍을 폐쇄하는 통기막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통기막이 배치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갈고리부를 선단에 갖고,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서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통기 부재의 중심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한 상기 갈고리부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걸림에 의해 상기 통기 부재를 상기 개구에 고정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개구에 대한 삽입 시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부의 상기 방향으로의 휨을, 당해 삽입부가 탄성 변형되는 범위로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갖는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에서는, 제1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독립된 상기 스토퍼부를 더 갖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개구에 대한 삽입 시에 상기 방향으로 휜 상기 삽입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삽입부의 상기 방향으로의 휨을 당해 삽입부가 탄성 변형되는 범위로 제한한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에서는, 제2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된 기둥형 부분이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에서는, 제2 또는 제3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2 이상의 상기 삽입부를 갖고,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2 이상의 삽입부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과 중복되고, 상기 원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원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삽입부 사이에, 상기 원과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개시의 제5 양태에서는, 제4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스토퍼부의 외주면이 접하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의 직경이,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이 접하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의 직경 이하이다.
본 개시의 제6 양태에서는, 제2 또는 제3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삽입부와 상기 중심축 사이에, 또는 상기 중심축과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개시의 제7 양태에서는, 제6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관통 구멍과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개시의 제8 양태에서는, 제7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관통 구멍과 접속된 상기 통기로를 내부에 갖는다.
본 개시의 제9 양태에서는, 제1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2 이상의 상기 삽입부를 갖고,
각각의 상기 삽입부가 상기 스토퍼부를 갖고,
상기 2 이상의 삽입부를 상기 방향으로 균등하게 휘게 하여, 인접하는 상기 삽입부의 상기 스토퍼부끼리를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상기 방향으로의 휨은 당해 삽입부가 탄성 변형되는 범위에 있다.
본 개시의 제10 양태에서는, 제9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위치한다.
본 개시의 제11 양태에서는, 제9 또는 제10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2 이상의 삽입부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과 중복되고, 상기 원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개시의 제12 양태에서는, 제1 내지 제11의 어느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이, 당해 내측면의 폭 방향의 양쪽 단부를 지나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의 내측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갖는다.
본 개시의 제13 양태에서는, 제12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이 평면이다.
본 개시의 제14 양태에서는, 제1 내지 제13의 어느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시일 부재를 통기 부재가 더 구비한다.
본 개시의 제15 양태에서는, 제1 내지 제14의 어느 양태의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통기 부재가 더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취지가 아니다. 또한, 「스토퍼부」는, 삽입부의 휨의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에 특화한, 통기 부재(지지체) 내의 「독립」된 구조 부분이어도, 또한 삽입부 등에 있어서의 일부분(형태는 따지지 않으며, 점, 선, 면 등이어도 된다.)이며, 삽입부가 휘었을 때 결과로서 기타의 삽입부 등의 휨의 범위를 제한하게 되는 것이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c에,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를 도시한다. 통기 부재(1)는, 하우징(11)의 통기용의 개구(12)에 하우징(11)의 외부로부터 장착된다. 통기 부재(1)는, 지지체(2)와 통기막(3)을 구비하고 있다. 개구(12)로의 통기 부재(1)의 장착 시에 하우징(11)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통기로로 되는 관통 구멍(4)을, 지지체(2)는 갖는다. 통기막(3)은, 관통 구멍(4)을 그 한쪽 개구단,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1)의 외부측 개구단에서 폐쇄하고 있다. 통기막(3)은, 두께 방향으로 기체를 투과함과 함께, 이물의 투과를 방지하는 막이다. 이 때문에, 통기 부재(1)에 의해, 하우징(11)의 내외 통기가 확보됨과 함께, 하우징(11)의 내부로의 더스트, 물, 기름 및 염과 같은 이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기막(3)의 형상은 원이다. 단, 통기막(3)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각 형상이어도 된다.
관통 구멍(4)을 가짐과 함께 통기막(3)이 배치된 지지부(5)와, 지지부(5)로부터 연장된 삽입부(6)를, 지지체(2)는 갖고 있다. 지지부(5)는 대략 원반형이다. 삽입부(6)는 지지부(5)의 한쪽 측에 형성되어 있고, 삽입부(6)가 연장되는 방향은, 지지부(5)에 있어서의 삽입부(6)가 형성된 면에 대략 수직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지지부(5)에 있어서의 삽입부(6)가 형성된 면을 하면으로 하고, 당해 면에 반대측인 면을 상면으로 한다. 통기막(3)은 지지부(5)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는, 지지부(5)를 기준으로 하여 삽입부(6)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을 하방으로 하고, 당해 방향에 반대측인 방향을 상방으로 한다. 관통 구멍(4)을 가짐과 함께 통기막(3)을 배치 가능한 한, 지지부(5)의 형상은 대략 원반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기 부재(1)를 개구(12)에 고정 가능한 한, 삽입부(6)가 연장되는 방향은, 지지부(5)의 하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기울어 있어도 된다.
삽입부(6)는, 하우징(11)의 외부측으로부터 원형의 개구(12)에 삽입되어, 통기 부재(1)를 개구(12)에 고정한다. 지지체(2)는, 2 이상의 삽입부(6(6a, 6b, 6c))를 갖고 있다. 통기 부재(1)의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2 이상의 삽입부(6)는, 각각의 외주면(15)이 원(13) 상에 위치하고, 원(13)을 따라 서로 균등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원(13)은, 통기 부재(1)의 중심축(20)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이고, 개구(12)와 동일한 중심을 갖고 있다. 상기 가상적인 원(13)을 둘레로 하는 원형의 영역(14) 내에, 2 이상의 삽입부(6)는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원(13)의 직경은, 개구(12)의 직경 미만이다.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각각의 외주면(15)이 원(13) 상에 위치하고, 원(13)을 따라 서로 불균등하게 이격되도록, 2 이상의 삽입부(6)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2 이상의 삽입부(6)는 관통 구멍(4)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당해 삽입부(6)에 둘러싸인 공간은 하우징(11) 내외의 통기로로 된다.
삽입부(6)의 외주면(15)이 곡면인 데 비해, 삽입부(6)의 내측면(17)은 평면이다. 이 형태는, 삽입부(6)의 단면(삽입부(6)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크고, 개구(12)에 대한 삽입 시에 있어서의 삽입부(6)의 상기 휨의 제한이 보다 확실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삽입부(6)의 내측면(17)은, 그 폭 방향(삽입부(6)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면 내에 수직인 방향)의 양쪽 단부(18a, 18b)를 지나는, 통기 부재(1)의 중심축(20)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31)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삽입부(6)는 원(31)의 내측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한 실시 형태의 삽입부(6)는, 상기 돌출한 부분을 갖고 있다.
삽입부(6)는, 선단에 갈고리부(7)를 갖는다. 갈고리부(7)는, 삽입부(6)가 개구(12)에 삽입되었을 때 개구(12)를 통과하여, 통과 후에 하우징(11)에 걸린다. 하우징(11)으로의 갈고리부(7)의 걸림에 의해, 통기 부재(1)는 개구(12)에 고정되고, 개구(12)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1)의 외부로부터 삽입부(6)가 삽입되기 때문에, 하우징(11)의 내면에 갈고리부(7)가 걸린다. 중심축(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삽입부(6)의 외주면(15)으로부터 튀어나온 형상을, 갈고리부(7)는 갖고 있다. 2 이상의 삽입부(6a, 6b, 6c)에 있어서의 각각의 갈고리부(7)의 돌출단(19)은,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동일한 원(32) 상에 위치한다. 원(32)은, 통기 부재(1)의 중심축(20)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이다. 원(32)의 직경은, 개구(12)의 직경보다도 크다.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한쪽 측면(22)과 다른 쪽 측면(22) 사이의 간격(폭)이 최대로 되는 부분(22a)을 갈고리부(7)는 갖고 있다. 부분(22a)은, 외주면(15)과의 접속부(15a)와, 돌출 단(19) 사이에 위치한다.
갈고리부(7)가 개구(12)를 통과하는 동안, 통기 부재(1)의 중심축(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삽입부(6)는 휜다. 삽입부(6)의 당해 휨은, 개구(12)에 대한 삽입 시에 갈고리부(7)가 개구(12)의 벽면(16)에 접촉하여 밀림으로써 발생한다. 상기 방향으로 삽입부(6)가 휨으로써, 개구(12)에 대한 삽입 시에 갈고리부(7)가 개구(12)를 통과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는 3개의 삽입부(6a, 6b, 6c)를 갖고 있다. 단, 통기 부재(1)가 갖는 삽입부(6)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에 있어서의 삽입부(6)의 수는, 예를 들어 2 이상 6 이하이다. 개구(12)에 대한 삽입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는 한편, 개구(12)로부터의 통기 부재(1)의 탈락이 억제되어, 안정된 고정이 가능한 점에서,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에 있어서의 삽입부(6)의 수는, 3 또는 4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5)는, 삽입부(6)로부터 독립된 스토퍼부(8)를 더 갖고 있다. 스토퍼부(8)는, 지지부(5)로부터 연장된 기둥형 부분이다. 스토퍼부(8)는, 개구(12)에 대한 삽입 시에 중심축(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휜 삽입부(6)와 접촉함으로써, 삽입부(6)의 당해 방향으로의 휨을, 삽입부(6)가 탄성 변형되는 범위로 제한한다(도 4a 내지 도 4c 참조).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스토퍼부(8)와 접촉하고 있는 삽입부(6)의 휨은 당해 범위에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12)에 대하여 삽입부(6)를 비스듬히 삽입하려고 하면, 개구(12)의 벽면(16)에 최초에 접촉한 삽입부(6a)의 상기 방향으로의 휨이, 나머지 삽입부(6b, 6c)의 휨보다도 커진다. 이 상태에서, 통기 부재(1)가 개구(12)에 더 압입되면, 중심축(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삽입부(6a)가 더 휜다. 그러나, 그 휨은, 스토퍼부(8)와의 접촉에 의해, 삽입부(6a)가 탄성 변형되는 범위로 제한된다. 남은 삽입부(6b, 6c)의 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고, 삽입부(6a, 6b, 6c)의 휨은, 갈고리부(7)가 개구(12)를 통과한 후에 확실하게 해소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부(8)와 삽입부(6a)가 접촉한 후, 개구(12)에 대한 삽입부(6)의 삽입 방향이 수정되는 일 없이 통기 부재(1)가 개구(12)에 더 압입되려고 해도, 당해 압입되는 힘은, 개구(12)에 대하여 상기 삽입 방향이 보다 똑바르게 되도록 삽입 방향을 변화시키는 힘(21)으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삽입부(6)의 삽입 방향이 자연스럽게 수정되거나, 또는, 부재끼리의 간섭에 의해 삽입 방향이 자연스럽게 수정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당해 힘을 느낀 통기 부재(1)의 장착자 또는 장착 장치가 삽입 방향을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삽입부(6)가, 탄성 변형에 의한 휨에 의해 개구(12)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원(13)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삽입부(6)의 측면(22) 사이에, 원(13)과 중복되고, 또한 각각의 외주면(24)이 원(23) 상에 위치하도록, 스토퍼부(8)는 배치되어 있다. 원(23)은, 통기 부재(1)의 중심축(20)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이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원(23)의 직경은, 삽입부(6)의 외주면(15)이 위치하는 원(13)의 직경과 동등하다. 원(23)의 직경은, 원(13)의 직경 미만이어도 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중심축(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삽입부(6)가 크게 휘면, 삽입부(6)의 갈고리부(7)가 스토퍼부(8)와 접촉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통기 부재(101)에서는, 개구(108)에 대한 삽입 시에 갈고리부(102c)를 갖는 다리부(102h)가 크게 휘어도, 당해 다리부(102h)와, 갈고리부(102c)를 갖지 않는 다리부(102h)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스토퍼부(8)는, 그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폭이 당해 방향으로 일정한 형상을 갖는다. 단, 스토퍼부(8)의 성형 방법상 피할 수 없는 폭의 변동, 예를 들어 ±0.3mm 이하의 변동이 상기 방향으로 보이는 경우에도, 스토퍼부(8)의 폭은 일정하다고 간주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토퍼부(8)는, 그 연장되는 방향의 길이가, 삽입부(6)에 있어서의 그 연장되는 방향의 길이와 같다. 단, 길이의 차가, 예를 들어 ±0.3mm 이하인 경우에는, 동일한 길이로 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6) 및 스토퍼부(8)는, 모든 갈고리부(7)가 개구(12)를 통과할 때 모든 삽입부(6) 및 모든 스토퍼부(8)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취할 수 있는 형상 및 배치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모든 갈고리부(7)의 돌출 단(19)이 개구(12)의 벽면(16)에 접촉하고 있을 때의 삽입부(6)와 스토퍼부(8)의 클리어런스는, 예를 들어 0.2mm 이하이다.
통기 부재(1)는, 삽입부(6)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시일 부재(9)를 더 구비한다. 시일 부재(9)는, 통기 부재(1)의 개구(12)로의 고정 시에 지지부(5)의 하면과 하우징(11)의 외면 사이에 있어서, 관통 구멍(4)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내외 통기를 방지한다. 이에 의해, 개구(12)를 통한 하우징(11)의 내부로의 더스트, 물, 기름 및 염과 같은 이물의 침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시일 부재(9)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는 원형 단면의 시일 링이다. 통기 부재(1)의 개구(12)로의 고정 시에 시일 링이 찌부러진 상태로 되도록 지지체(2)를 설계하면, 시일 링에 의한 시일이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찌부러진 시일 링에 의해 지지부(5)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갈고리부(7)에 의한 통기 부재(1)의 걸림이 강해지고, 통기 부재(1)의 탈락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는, 시일 링인 시일 부재(9)가 찌부러진 상태가 그려져 있다.
하우징(11)의 개구(12)로의 고정 시에 시일 부재(9)를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시일 부재(9)를 갖지 않는 상태에서 통기 부재(1)는 유통 가능하다.
통기 부재(1)는, 통기막(3)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10)를 더 구비한다. 보호 커버(10)는, 통기막(3)을 덮도록 지지부(5)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보호 커버(10)에 의해, 외부로부터 비래한 물 등의 이물에 의한 통기막(3)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부(25)가 보호 커버(10)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고, 보호 커버(10) 내에 침입한 이물을 개구부(25)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통기막(3)에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직포, 부직포, 메쉬 또는 네트, 혹은 수지 다공질막을 사용할 수 있다. 단, 기체를 투과함과 함께, 액체 등의 이물의 투과를 방지 가능한 한, 통기막(3)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 다공질막과, 통기성을 갖는 보강층을 적층한 통기막(3)이 사용되고 있다. 보강층에 의해, 통기막(3)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지 다공질막은, 예를 들어 공지된 연신법, 또는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불소 수지 다공체 및 폴리올레핀 다공체이다. 불소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EF),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이다.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모노머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1부텐이고, 이들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인 폴리올레핀을 통기막(3)에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또는 폴리락트산을 사용한 나노 파이버 필름 다공체를 통기막(3)에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작은 면적으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하우징(11)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능력이 높은 PTFE 다공체를 통기막(3)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TFE 다공체의 평균 구멍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10㎛ 이하이다. 보강층은, 예를 들어 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직포, 부직포, 메쉬, 네트, 스펀지, 폼 및 다공체이다. 수지 다공질막과 보강층은, 접착제 라미네이트, 열 라미네이트, 가열 용착, 초음파 용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적층할 수 있다.
통기막(3)은, 발액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막(3)의 발액 처리는, 표면 장력이 작은 물질을 포함하는 발액제를 통기막에 도포하고, 도포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건조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발액제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고분자를 상기 물질로서 포함한다. 발액제의 도포는, 예를 들어 에어 스프레이법, 정전 스프레이법, 딥 코팅법, 스핀 코팅법, 롤 코팅법, 커튼 플로우 코팅법, 함침법 등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통기막(3)의 두께는, 강도 및 지지부(5)로의 고정의 용이함을 고려해서, 예를 들어 1㎛ 이상 5mm 이하의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통기막(3)의 통기도는, 일본 공업 규격(JIS) L1096에 정해진 통기성 측정 B법(걸리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공기 투과도(걸리 통기도)로 해서, 예를 들어 0.1 내지 300초/100mL이다.
통기막(3)은 지지부(5)에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지지부(5)로의 통기막(3)의 접합은, 열 용착법, 초음파 용착법, 레이저 용착법 등의 각종 용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통기막(3)을 지지체(2)와 함께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지지부(5)에 통기막(3)을 배치해도 된다.
지지부(5) 및 삽입부(6)를 포함하는 지지체(2), 그리고 보호 커버(10)는, 예를 들어 수지로 구성된다. 수지로 구성되는 이들 부재는, 성형성이 양호하다. 이들 부재는, 사출 성형, 압축 성형, 분말 성형 등의 공지된 성형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지지체(2)에 대해서, 지지부(5) 및 삽입부(6)를 일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 부재(1)의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점에서, 사출 성형에 의한 지지체(2)의 성형이 바람직하다. 지지체(2)를 구성하는 수지는, 전형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페닐렌에테르(PPE)이다. 지지체(2)를 구성하는 수지는, 카본 블랙, 티타늄 화이트 등의 안료류; 유리 입자, 유리 섬유 등의 보강용 필러류; 및 발수재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각 부재의 표면에는, 발액 처리가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발액 처리는, 통기막(3)의 발액 처리법으로서 상술한 방법, 전착 도장법, 또는 플라스마 중합에 의한 피막 형성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보호 커버(10)는 지지체(2)와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체(2)에 대한 보호 커버(10)의 접합은, 열 용착법, 초음파 용착법, 레이저 용착법 등의 각종 용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시일 부재(9)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니트릴 고무(NBR),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수소화 니트릴 고무 및 실리콘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이다.
하우징(11)은, 예를 들어 수지, 금속, 또는 이들 복합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7a 및 도 7b에,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51)를 도시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삽입부(6)로부터 독립하여 지지부(5)가 갖는 스토퍼부(8)의 형상 및 배치가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제1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부(8)는, 지지부(5)로부터 연장된 기둥형 부분이다.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삽입부(6)와 중심축(20) 사이에 스토퍼부(8)는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중심축(20)과 중복되도록 스토퍼부(8)는 배치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지지체(2)는, 제1 실시 형태의 지지체(2)에 비하여 성형성이 우수하다. 스토퍼부(8)는, 개구(12)에 대한 삽입 시에 중심축(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휜 삽입부(6)와의 접촉에 의해, 당해 방향에 대한 삽입부(6)의 휨을 삽입부(6)가 탄성 변형되는 범위로 제한한다(도 8a 및 도 8b 참조).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스토퍼부(8)와 접촉하고 있는 삽입부(6)의 휨은, 당해 범위에 있다. 중심축(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삽입부(6)가 크게 휘면, 내측면(17)의 선단부(17a)가 스토퍼부(8)에 접촉한다.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관통 구멍(4)과 중복되도록 스토퍼부(8)는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부(8)는, 통형,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통형이며, 관통 구멍(4)과 접속된 통기로를 내부에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통형인 스토퍼부(8)의 통 내의 공간이 관통 구멍(4)과 접속되어 있고, 당해 공간이 통기로를 구성하고 있다.
삽입부(6)의 내측면(17)은 평면이다. 이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이유로 바람직하고, 또한, 삽입부(6)의 휨이 작은 상태에서 스토퍼부(8)와 삽입부(6)를 접촉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개구(12)에 대한 삽입 시에 있어서의 삽입부(6)의 상기 휨의 제한이 보다 확실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부(6)의 내측면(17)이 평면이면, 통형인 스토퍼부(8) 외경의 변경이 용이한 등, 스토퍼부(8)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통기 부재(51)에 있어서도, 삽입부(6) 및 스토퍼부(8)는, 모든 갈고리부(7)가 개구(12)를 통과할 때 모든 삽입부(6) 및 모든 스토퍼부(8)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취할 수 있는 형상 및 배치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9a 및 도 9b에,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52)를 도시한다. 제3 실시 형태는, 삽입부(6)로부터 독립하여 지지부(5)가 갖고, 또한 지지부(5)로부터 연장된 기둥형 부분인 스토퍼부(8)의 단면 형상이 상이함과 함께, 스토퍼부(8)가 통기로를 갖지 않는 것 이외에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이다. 제2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축(20)으로부터 3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53)를 갖는 별모양의 단면을, 스토퍼부(8)는 갖고 있다.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관통 구멍(4)과 중복되도록 스토퍼부(8)는 배치되어 있고, 세 돌출부(53)에 있어서, 스토퍼부(8)는 지지부(5)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다.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삽입부(6a, 6b 또는 6c)의 내측면(17)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세 돌출부(53)의 각각은 돌출되어 있다.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세 돌출부(53)가 돌출되는 각 방향 간의 각도는 균등하고, 모두 120도이다. 스토퍼부(8)는, 개구(12)에 대한 삽입 시에 중심축(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휜 삽입부(6)와의 접촉에 의해, 당해 방향에 대한 삽입부(6)의 휨을 삽입부(6)가 탄성 변형되는 범위로 제한한다(도 10a 및 도 10b 참조).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스토퍼부(8)와 접촉하고 있는 삽입부(6)의 휨은, 당해 범위에 있다. 중심축(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삽입부(6)가 크게 휘면, 내측면(17)의 선단부(17a)가 스토퍼부(8)에 접촉한다. 상기 단면의 형상을 갖는 스토퍼부(8)는 자신이 매우 휘기 어렵고, 또한 하나의 삽입부(6a)만이 돌출부(53)에 접촉한 경우에도, 접촉한 돌출부(53)에 가해진 힘을 다른 두 돌출부(53)로 분산시켜 릴리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삽입부(6)와의 접촉에 의한 스토퍼부(8) 자신의 휨이 확실하게 억제되어, 삽입부(6)의 상기 휨의 제한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통기 부재(52)에 있어서도, 삽입부(6) 및 스토퍼부(8)는, 모든 갈고리부(7)가 개구(12)를 통과할 때 모든 삽입부(6) 및 모든 스토퍼부(8)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취할 수 있는 형상 및 배치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11a 및 도 11b에,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61)를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61)의 지지체(2)는, 2 이상의 삽입부(6), 구체적으로는 네 삽입부(6a, 6b, 6c 및 6d)를 갖고 있다. 또한, 각각의 삽입부(6)는, 양쪽 측면(22)의 선단부에 스토퍼부(62)를 갖는다.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 51, 52)가 갖는 스토퍼부(8)는 삽입부(6)로부터 독립되어 있지만,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61)가 갖는 스토퍼부(62)는 삽입부(6)의 일부이다.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2 이상의 삽입부(6)는, 각각의 외주면(15)이 원(13) 상에 위치하고, 원(13)을 따라 서로 균등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13)을 둘레로 하는 원형의 영역(14) 내에, 2 이상의 삽입부(6)는 배치되어 있다.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각각의 외주면(15)이 원(13) 상에 위치하고, 원(13)을 따라 서로 불균등하게 이격되도록, 2 이상의 삽입부(6)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부재(61)에서는, 중심축(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삽입부(6a, 6b, 6c, 6d)를 균등하게 휘게 하여, 인접하는 삽입부(6a, 6b, 6c, 6d)의 스토퍼부(62)끼리를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6a, 6b, 6c, 6d)의 상기 방향으로의 휨은 삽입부(6a, 6b, 6c, 6d)가 탄성 변형되는 범위에 있다(이하, 통기 부재(61)가 갖는 이 특징을 「특징 A」라고 기재함). 이 때문에, 통기 부재(61)에서는, 하우징(11)의 개구(12)에 대한 삽입 시에 있어서의 삽입부(6)의 상기 방향으로의 휨은, 서로 인접하는 삽입부(6)의 스토퍼부(62)끼리의 맞닿음에 의해, 당해 삽입부(6)가 탄성 변형되는 범위로 제한된다. 따라서, 각각의 삽입부(6)의 휨은, 갈고리부(7)가 개구(12)를 통과한 후에 확실하게 해소된다. 또한, 삽입부(6a, 6b, 6c, 6d)를 균등하게 휘게 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중심축(20)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각 삽입부(6a, 6b, 6c, 6d)의 내측면(17), 보다 구체적인 예는 내측부(17)의 선단부(17a)를 상기 방향과 다름없이 동일한 거리만큼 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통기 부재(101)에서는, 개구(108)에 대한 삽입 시에 갈고리부(102c)를 갖는 다리부(102h)가 크게 휘어도, 당해 다리부(102h)와, 이것에 인접하는 다리부(102h)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특징 A가 충족되는 한, 스토퍼부(62)는, 삽입부(6)의 측면(22)에 있어서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도 되고, 삽입부(6)에 있어서의 측면(22)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61)에 있어서의 삽입부(6)의 수는, 예를 들어 3 이상 6 이하이다. 개구(12)에 대한 삽입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는 한편, 개구(12)로부터의 통기 부재(61)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스토퍼부(62)에 의한 상기 특징 A의 달성이 보다 확실하게 되는 점에서,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61)에 있어서의 삽입부(6)의 수는, 4 또는 5가 바람직하다.
삽입부(6)는, 특징 A가 충족되는 한,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각 부재 및 부분은, 특징 A가 충족되는 한,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의 각 부재 및 부분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의도 및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설명적인 것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이 아니라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 있고, 클레임과 균등한 의미 및 범위에 있는 모든 변경은 거기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통기 부재는, 종래의 통기 부재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1: 통기 부재
2: 지지체
3: 통기막
4: 관통 구멍
5: 지지부
6: 삽입부
6a, 6b, 6c: 삽입부
7: 갈고리부
8: 스토퍼부
9: 시일 부재
10: 보호 커버
11: 하우징
12: 개구
13: 원
14: 영역
15: 외주면
16: 벽면
17: 내측면
17a: 선단부
18a, 18b: 단부
19: 돌출 단
20: 중심축
21: 힘
22: 측면
22a: 부분
23: 원
24: 외주면
25: 개구부
31: 원
32: 원
51: 통기 부재
52: 통기 부재
53: 돌출부
61: 통기 부재
62: 스토퍼부
101: 통기 부재
102: 지지체
102a: 지지부
102b: 삽입부
102c: 갈고리부
102h: 다리부
103: 관통 구멍
104: 통기막
107: 하우징
108: 개구
109: 시일 부재

Claims (15)

  1. 하우징의 개구에 장착되는 통기 부재이며,
    상기 개구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의 내외 통기로로 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배치된, 상기 관통 구멍을 폐쇄하는 통기 막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통기 막이 배치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갈고리부를 선단에 갖고,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서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통기 부재의 중심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에 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한 상기 갈고리부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걸림에 의해 상기 통기 부재를 상기 개구에 고정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개구에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부의 상기 방향으로의 휨을, 당해 삽입부가 탄성 변형하는 범위로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갖는 통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독립된 상기 스토퍼부를 더 갖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개구에 대한 삽입 시에 상기 방향으로 휜 상기 삽입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삽입부의 상기 방향으로의 휨을 당해 삽입부가 탄성 변형되는 범위로 제한하는 통기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된 기둥형 부분인 통기 부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2 이상의 상기 삽입부를 갖고,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2 이상의 삽입부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과 중복되고, 상기 원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원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삽입부 사이에, 상기 원과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통기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스토퍼부의 외주면이 접하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의 직경이,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이 접하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의 직경 이하인 통기 부재.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삽입부와 상기 중심축 사이에, 또는 상기 중심축과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통기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관통 구멍과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통기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관통 구멍과 접속된 상기 통기로를 내부에 갖는 통기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2 이상의 상기 삽입부를 갖고,
    각각의 상기 삽입부가 상기 스토퍼부를 갖고,
    상기 2 이상의 삽입부를 상기 방향으로 균등하게 휘게 하여, 인접하는 상기 삽입부의 상기 스토퍼부끼리를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상기 방향으로의 휨은 당해 삽입부가 탄성 변형되는 범위에 있는 통기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위치하는 통기 부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2 이상의 삽입부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과 중복되고, 상기 원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통기 부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이, 당해 내측면의 폭 방향의 양쪽 단부를 지나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적인 원의 내측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갖는 통기 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이 평면인 통기 부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시일 부재를 더 구비하는 통기 부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더 구비하는 통기 부재.
KR1020197034677A 2017-04-28 2018-04-25 통기 부재 KR102592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0376 2017-04-28
JPJP-P-2017-090376 2017-04-28
PCT/JP2018/016877 WO2018199192A1 (ja) 2017-04-28 2018-04-25 通気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983A true KR20200002983A (ko) 2020-01-08
KR102592662B1 KR102592662B1 (ko) 2023-10-24

Family

ID=6392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677A KR102592662B1 (ko) 2017-04-28 2018-04-25 통기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81779B2 (ko)
EP (1) EP3618589B1 (ko)
JP (1) JP7187444B2 (ko)
KR (1) KR102592662B1 (ko)
CN (1) CN110574503B (ko)
WO (1) WO20181991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104B1 (ko) * 2019-11-07 2024-02-0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부품
JPWO2021117779A1 (ko) * 2019-12-09 2021-06-17
USD1017840S1 (en) * 2021-08-25 2024-03-12 Up Way Systems, Lda. Waterproof screw co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613U (ja) * 1981-09-03 1983-03-1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クリツプ
JP2004047425A (ja) 2002-05-15 2004-02-12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通気部材の抜け防止具および通気構造形成キット
US20090047890A1 (en) * 2005-11-17 2009-02-19 Nitto Denko Corporation Vent Member
US20140290488A1 (en) * 2013-03-26 2014-10-02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5593U (ja) * 1984-01-17 1985-08-05 栗田工業株式会社 水処理機の集・散水装置
JP5122347B2 (ja) * 2008-04-04 2013-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5253291B2 (ja) * 2009-05-15 2013-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EP2560469B1 (en) * 2011-08-18 2019-01-16 W.L.Gore & Associates Gmbh Venting device comprising a seal protection
JP6130183B2 (ja) *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67658B2 (ja) * 2013-05-13 2017-07-26 株式会社デンソー 通気部材取付冶具およ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CN205207827U (zh) * 2015-11-02 2016-05-04 宁波通冠电气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防水透气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613U (ja) * 1981-09-03 1983-03-1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クリツプ
JP2004047425A (ja) 2002-05-15 2004-02-12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通気部材の抜け防止具および通気構造形成キット
US20090047890A1 (en) * 2005-11-17 2009-02-19 Nitto Denko Corporation Vent Member
US20140290488A1 (en) * 2013-03-26 2014-10-02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8589B1 (en) 2023-03-01
CN110574503B (zh) 2021-05-11
JP7187444B2 (ja) 2022-12-12
EP3618589A1 (en) 2020-03-04
CN110574503A (zh) 2019-12-13
WO2018199192A1 (ja) 2018-11-01
US20200088440A1 (en) 2020-03-19
JPWO2018199192A1 (ja) 2020-03-12
KR102592662B1 (ko) 2023-10-24
US11781779B2 (en) 2023-10-10
EP3618589A4 (en)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5719B2 (en) Ventilation member
US8246726B2 (en) Ventilation member
KR102636995B1 (ko)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
US8828125B2 (en) Ventilation member
KR20200002983A (ko) 통기 부재
WO2017104457A1 (ja) 通気部材、ランプ
KR102418290B1 (ko)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JP2024042044A (ja) 通気筐体
JP2024042043A (ja) 通気筐体
JP2024057002A (ja) 通気部品
JP5710359B2 (ja) 通気部材
JP6121210B2 (ja) 通気部材
KR20220044778A (ko) 통기 구조
WO2024014516A1 (ja) 通気部品及び通気構造
WO2021090887A1 (ja) 通気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