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778A - 통기 구조 - Google Patents

통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778A
KR20220044778A KR1020227007396A KR20227007396A KR20220044778A KR 20220044778 A KR20220044778 A KR 20220044778A KR 1020227007396 A KR1020227007396 A KR 1020227007396A KR 20227007396 A KR20227007396 A KR 20227007396A KR 20220044778 A KR20220044778 A KR 20220044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ntilation
protrusion
space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우조우 야노
다쿠미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4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6Venting plugs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positio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8Hermetically-sealed casings having a pressure compensation device, e.g. membrane

Abstract

통기 구조(1a)는, 하우징(10a)과, 통기 부품(20a)을 구비한다. 하우징(10a)은, 설치 구멍(11)에 있어서 기둥 형상의 공간(11c)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 면(12)을 갖는다. 통기 부품(20a)은, 설치 구멍(11)을 폐색하도록 하우징(10a)에 장착되어 있다. 통기 부품(20a)은, 하우징(10a)의 내부 공간(15u)과 외부 공간(15s) 사이의 통기로(21)를 갖는다. 통기 부품(20a)은, 지지부(23)와, 통기막(22)과, 돌출부(24)와, 시일 부재(25)를 구비한다. 지지부(23)는, 평면으로 보아 통기로(21)를 둘러싼다. 돌출부(24)는, 지지부(23)로부터 하우징(10a)의 내부 공간(15u)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음과 함께 설치 구멍(11)에 삽입되어 있다. 시일 부재(25)는, 돌출부(24)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면(12)과 돌출부(24) 사이를 시일한다.

Description

통기 구조
본 발명은, 통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개구를 갖는 하우징에 통기 부품이 장착된 통기 구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통기용의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개구부에 설치된 통기 부재를 구비한 통기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개구부에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측으로부터 외부 공간측을 향함에 따라서 개구 직경이 확대되도록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 부재는, 통기막, 통기막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체, 및 지지체의 다리부의 근원에 마련된 시일 링을 구비하고 있다. 시일 링은, 지지체와 하우징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테이퍼를 따라서 변형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소정의 통기 부재가 하우징에 고정된 통기 하우징이 기재되어 있다. 통기 부재는, 지지부와, 삽입부를 갖는다. 지지부는 통기막을 지지한다. 삽입부는, 하우징의 개구부에 삽입된다. 삽입부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지지부의 하우징과 마주보는 면에 O링 등의 시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527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7425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은, 시일 링 또는 시일부에 있어서의 시일을 위한 접촉 면적이 환경 조건의 변화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재검토의 여지를 갖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시일 부재의 시일을 위한 접촉 면적이 환경 조건의 변화에 의해 감소되기 어려운 통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설치 구멍을 갖는 하우징이며, 상기 설치 구멍에 있어서 기둥 형상의 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설치 구멍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측으로부터 외부 공간측에 접근함에 따라서 감소되는 구멍 직경을 갖는 테이퍼를 형성하는, 제1 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설치 구멍을 폐색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부 공간 사이의 통기로를 갖는 통기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기 부품은,
평면으로 보아 상기 통기로를 둘러싸는 환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통기로를 통기 가능하게 폐색하고 있는 통기막과,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설치 구멍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고 있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외주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의 간극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통기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돌출부의 정상부에 형성된 설치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설치 구멍을 폐색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공간 사이의 통기로를 갖는 통기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기 부품은,
평면으로 보아 상기 통기로를 둘러싸는 환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통기로를 통기 가능하게 폐색하고 있는 통기막과,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설치 구멍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고 있는 돌출부와,
평면으로 보아 상기 외측 돌출부를 둘러싸는 환 형상의 측부와,
상기 외측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측부 사이의 간극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통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통기 구조에 있어서, 시일 부재의 시일을 위한 접촉 면적이 환경 조건의 변화에 의해 감소되기 어렵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통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통기 구조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통기 구조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통기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통기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통기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통기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통기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통기 구조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구조(1a)는, 하우징(10a)과, 통기 부품(20a)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a)은 설치 구멍(11)을 갖는다. 게다가, 하우징(10a)은, 설치 구멍(11)에 있어서 기둥 형상의 공간(11c)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 면(12)을 갖는다. 통기 부품(20a)은, 설치 구멍(11)을 폐색하도록 하우징(10a)에 장착되어 있다. 통기 부품(20a)은, 하우징(10a)의 내부 공간(15u)과 하우징(10a)의 외부 공간(15s) 사이의 통기로(21)를 갖는다. 기둥 형상의 공간(11c)은, 예를 들어 외부 공간(15s)에 접하고 있다.
통기 부품(20a)은, 지지부(23)와, 통기막(22)과, 돌출부(24)와, 시일 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23)는, 평면으로 보아 통기로(21)를 둘러싸는 환 형상의 부위이다. 통기막(22)은, 통기로(21)를 통기 가능하게 폐색하고 있다. 돌출부(24)는, 지지부(23)로부터 하우징(10a)의 내부 공간(15u)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음과 함께 설치 구멍(11)에 삽입되어 있다. 게다가, 돌출부(24)는, 하우징(10a)에 접촉하고 있다. 시일 부재(25)는, 돌출부(24)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면(12)과 돌출부(24) 사이를 시일한다. 예를 들어, 시일 부재(25)는, 제1 면(12) 및 돌출부(24)에 의해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에 수직인 방향으로 압축 변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일 부재(25)와, 하우징(10a) 및 돌출부(24)의 접촉 면적이 원하는 값으로 되기 쉬워, 양호한 시일 성능이 실현되기 쉽다. 또한, 환 형상의 지지부(23)는, 평면으로 보아 그 내주 및 외주가 이루는 윤곽이 원인 원환 형상이어도 되고, 그 내주 및 외주가 이루는 윤곽의 적어도 하나가 원 이외의 평면 도형인 환 형상이어도 된다.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 고온 환경의 발생 등의 환경 조건의 변화에 의해, 지지체의 다리부 및 삽입부 등의 통기 부재의 소정의 부위의 탄성률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탄성률의 저하는, 지지체의 다리부 및 삽입부의 내측으로의 변형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변형이 발생하면, 지지체의 다리부와 하우징 사이, 또는, 삽입부와 하우징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시일 링 또는 시일부의 변형의 일부가 해소되어, 개구부의 축선을 따라서 통기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통기 구조에 있어서, 시일 링은 개구부의 테이퍼를 따라서 변형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통기 부재의 이동이 발생하면, 시일 링의 압축 변형의 일부가 해소되어, 시일 링과 개구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된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 시일부는 지지부와 하우징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개구부의 축선을 따라서 통기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시일부와, 지지부 및 하우징의 외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감소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은, 시일 링 부재의 시일을 위한 접촉 면적이 환경 조건의 변화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유리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한편, 통기 구조(1a)에 의하면, 예를 들어 시일 부재(25)는, 제1 면(12) 및 돌출부(24)에 의해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에 수직인 방향으로 압축 변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환경 조건의 변화에 의해 돌출부(24)의 탄성률이 저하되어도, 통기 부품(20a)이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을 따라서 하우징(10a)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하기 어려워, 시일 부재(25)와, 제1 면(12) 및 돌출부(24)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기 어렵다. 그 결과, 통기 구조(1a)에 있어서 환경 조건의 변화가 일어나도 양호한 시일 성능이 실현되기 쉽다. 시일 부재(25)는, 전형적으로는 환 형상의 부재이다.
통기 구조(1a)에 있어서, 하우징(10a)은,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하우징이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전자 제어 장치(ECU), 전력 시스템(EPS), 배터리 팩, 인버터, 컨버터, 밀리미터파 레이다, 및 차량 탑재 카메라 등의 자동차용의 전자 기기이다. 전자 기기는, 자동차용 이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통기 구조(1a)에 의하면, 온도 변화에 의해 하우징(10a)의 내부 공간(15u)과 외부 공간(15s) 사이에 발생하는 차압을 통기로(21)에 의해 해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통기막(22)이 통기로(21)를 폐색하고 있으므로, 내부 공간(15u)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예를 들어 통기 구조(1a)는 방진성을 갖는다. 또한, 통기 구조(1a)에 의해, 물, 오일 및 염 등이 내부 공간에 침입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a)이 탑재된 장치, 차량, 또는 설비를 세정할 때, 통기 구조(1a)를 향하여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에 수직인 방향으로 물이 고압 분사되는 것이 상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일 부재(25)는, 제1 면(12)과 돌출부(24) 사이를 시일한다. 이 때문에, 시일 부재(25)와 제1 면(12) 및 돌출부(24) 사이의 시일 부분은 고압 분사된 물을 받기 어려워, 통기 구조(1a)를 향하여 물이 고압 분사되어도, 시일 부재(25)가 양호한 시일성을 발휘하여, 하우징(10a)의 내부 공간(15u)에 물이 침입하기 어렵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면(12)은, 예를 들어 설치 구멍(11)의 둘레의 하우징(10a)의 외면(16)보다도 설치 구멍(11)에 접하는 하우징(10a)의 내부 공간(15u)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기 구조(1a)에 있어서, 하우징(10a)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높이를 억제하기 쉽다. 제1 면(12)은, 설치 구멍(11)의 둘레의 하우징(10a)의 외면(16)보다도 설치 구멍(11)에 접하는 하우징(10a)의 외부 공간(15s)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부재(25)는, 예를 들어 설치 구멍(11)에 수용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시일 부재(25)의 전체가 설치 구멍(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시일 부재(25)가 고압 분사된 물을 받기 어려워, 시일 부재(2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통기 구조(1a)를 향하여 물이 고압 분사되어도, 보다 확실하게, 하우징(10a)의 내부 공간(15u)으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3)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면(1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설치 구멍(11)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부(23)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면(12)과 마주본다. 이 때문에, 통기 부품(20a)이 설치 구멍(11)의 축선에 수직인 가로 방향으로 쓰러지기 어렵다. 지지부(23)의 전체가 제1 면(1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지지부(23)의 전체가 제1 면(1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부(23)는, 구멍 직경 R1보다 작은 외경 D1을 갖는다. 구멍 직경 R1은, 하우징(10a)의 외부 공간(15s)에 접하는 설치 구멍(11)의 단부에 있어서의 설치 구멍(11)의 직경이다. 외경 D1이 구멍 직경 R1보다 작음으로써, 하우징(10a)에 통기 부품(20a)을 장착하였을 때, 지지부(23)가 하우징(10a)에 접촉하기 어려워, 하우징(10a) 및 통기 부품(20a)에 요구되는 치수 공차를 크게 하기 쉽다. 외경 D1은, 예를 들어 구멍 직경 R1보다 조금 작다. 이 때문에, 하우징(10a)과 지지부(23) 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4)는, 예를 들어 걸림 지지부(24e)를 갖는다. 걸림 지지부(24e)는 하우징(10a)에 걸림 지지된다. 걸림 지지부(24e)는, 예를 들어 하우징(10a)의 내면(14)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통기 부품(20a)이 하우징(10a)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렵다. 걸림 지지부(24e)는, 돌출부(24)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 지지부(24e)는, 예를 들어 스냅 피트에 의해 하우징(10a)에 걸림 지지된다. 돌출부(24)는, 예를 들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걸림 지지부(24e)는, 예를 들어 돌출부(24)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걸림 지지부(24e)의 선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1개 이상의 슬릿(24c)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돌출부(24)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부(24)의 선단부가 탄성 변형되기 쉬워, 통기 부품(20a)을 하우징(10a)에 장착하기 쉽다. 걸림 지지부(24e)는, 나사 고정에 의해 하우징(10a)에 걸림 지지되어도 되고, 바요넷에 의해 하우징(10a)에 걸림 지지되어도 된다.
지지부(23) 및 돌출부(24)는 일체적으로 성형된 부품이어도 되고, 지지부(23) 및 돌출부(24)는 따로따로 제작된 부품이어도 된다. 지지부(23) 및 돌출부(24)의 재료는, 예를 들어 성형성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페닐렌에테르(PPE),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지지부(23) 및 돌출부(24)의 재료는, 열경화성 수지여도 되고, 금속이어도 된다. 지지부(23) 및 돌출부(24)의 재료는, 고무여도 된다. 고무는, 예를 들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또는 수소화 니트릴 고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a)은, 예를 들어 저부(13)를 갖는다. 저부(13)는, 시일 부재(25)보다도 하우징(10a)의 내부 공간(15u)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저부(13)는, 제1 면(12)으로부터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 경우, 돌출부(24)의 걸림 지지부(24e)를 저부(13)에 걸림 지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고, 돌출부(24)의 선단부의 형상을 직선적인 심플한 구조로 하기 쉽다. 게다가, 시일 부재(25)가 제1 면(12)과 돌출부(24) 사이를 시일하는 것과도 맞물려, 시일 부재가 설치 구멍의 축선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변형되는 경우에 비해, 걸림 지지부(24e)에 가해지는 힘이 작아지기 쉽다. 이 때문에, 돌출부(24)의 선단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걸림 지지부(24e)를 작게 하기 쉽다.
저부(13)는, 예를 들어 환 형상이다. 설치 구멍(11)은, 저부(13)에 의해 둘러싸인 개구(11s)를 포함한다. 돌출부(24)는, 예를 들어 저부(13)에 접촉하고 있다. 하우징(10a)이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돌출부(24)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작게 하기 쉽다. 또한, 시일 부재(25)가 내부 공간(15u)에 노출되기 어렵다. 또한, 통기 부품(20a)을 하우징(10a)에 장착할 때, 시일 부재(25)가 잘못하여 내부 공간(15u)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23)는, 전형적으로는, 통기막(22)이 설치된 피착면(23b)을 갖는다. 피착면(23b)은, 예를 들어 환 형상의 면이다. 통기막(22)은, 예를 들어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개구(11s)와 겹쳐 있다. 예를 들어, 통기막(22)의 중앙 부분이 개구(11s)의 전체에 겹쳐 있다. 하우징(10a)이 환 형상의 저부(13)를 가짐으로써, 통기막(22)의 치수를 작게 하기 쉽다.
저부(13)는, 시일 부재(25)와 마주보는 외면(13s)을 갖는다. 피착면(23b)은, 예를 들어 외면(13s)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 경우, 통기막(22)의 상태를 눈으로 보아 확인하기 쉽다.
통기막(22)은, 원하는 통기성을 갖는 한 특정 통기막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기막(22)은, 단층막이어도 되고, 다층막이어도 된다. 통기막(22)이 다층막인 경우, 각 층은, 다공질막, 부직포, 크로스, 및 메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통기막(22)은, 다공질막 및 부직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크로스 및 메쉬 중 적어도 하나와 다공질막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복수의 부직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통기막(22)은, 전형적으로는, 유기 고분자 재료(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공질막의 재료는, 예를 들어 불소 수지이다. 불소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다공질막의 재료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4-메틸펜텐-1,1부텐 등의 모노머의 단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이어도 된다. 다공질막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또는 폴리락트산 등의 나노파이버의 다공막이어도 된다. 다공질막은, 공지의 연신법 또는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부직포, 크로스 및 메쉬의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나일론, 아라미드,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이다.
통기막(22)은, 바람직하게는, PTFE 다공질막을 포함한다. PTFE 다공질막은, 소면적이어도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어, 이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PTFE 다공질막은, 부직포 등의 통기성 지지재에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막(22)은, 필요에 따라서 발액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발액 처리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불소계 표면 수식제를 포함하는 발액성의 피막을 통기막(22)에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발액성의 피막의 형성의 방법은,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액성의 피막의 형성은, 예를 들어 에어 스프레이법, 정전 스프레이법, 딥 코팅법, 스핀 코팅법, 롤 코팅법, 커튼 플로우 코팅법, 또는 함침법 등의 방법에 의해,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불소계 표면 수식제의 용액 또는 디스퍼전으로 수지 다공질막을 코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전착 도장법 또는 플라스마 중합법에 의해, 발액성의 피막을 형성해도 된다.
통기막(22)은, 예를 들어 피착면(23b)에 대해 접착되어 있다. 통기막(22)은, 피착면(23b)에 대해 용착되어 있어도 된다. 용착의 방법으로서는,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및 레이저 용착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3)를 성형할 때, 성형을 위한 금형의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통기막(22)을 배치한 상태에서 수지를 금형에 유입하여 인서트 성형을 행하여, 통기막(22)을 피착면(23b)에 설치해도 된다. 통기막(22)은, 피착면(23b)에 대해 양면 테이프에 의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시일 부재(25)는, 원하는 시일성을 갖는 한, 특정 시일 부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기 부품(20a)이 하우징(10a)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시일 부재(25)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서 시일 부재(25)를 절단하여 얻어지는 단면은, 예를 들어 원, 타원, 또는 각을 갖는 평면이다. 각을 갖는 평면은, 다각형이어도 되고,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도형이어도 된다. 시일 부재(25)는, 환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는 중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시일 부재(25)의 재료는, 원하는 시일성을 발휘할 수 있는 한, 특정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부(23) 및 돌출부(24)의 재료로서 예시한 재료를 시일 부재(25)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시일 부재(25)는, 전형적으로는, 통기 구조(1a)에 있어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체이며, 시일 부재(25)의 재료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품(20a)은, 예를 들어 캡(27)을 더 구비하고 있다. 캡(27)은, 지지부(23)에 연결되어 있다. 캡(27)은, 통기막(22)을 덮음과 함께 통기막(22)과의 사이에 통기 부품(20a)의 외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는 공간(27s)을 형성한다. 공간(27s)은, 통기로(21)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이에 의해, 통기막(22)이 적절하게 보호된다. 또한,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을 따라서 물의 고압 분사가 이루어져도, 시일 부재(25)가 고압 분사된 물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23) 및 캡(27) 중 적어도 한쪽은, 공간(27s)의 외주에 배치된 측벽을 갖고 있어도 된다. 측벽은,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3) 및 캡(27)의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측벽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지지부(23)가 갖는 측벽과 캡(27)이 갖는 측벽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겹쳐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에 수직인 방향으로 물이 고압 분사되어도, 공간(27s)에 물이 침입하기 어렵다.
통기 구조(1a)는, 다양한 관점에서 변경 가능한, 예를 들어 통기 구조(1a)는, 도 3에 도시한 통기 구조(1b), 도 4에 도시한 통기 구조(1c), 도 5에 도시한 통기 구조(1d), 도 6에 도시한 통기 구조(1e), 또는 도 7에 도시한 통기 구조(1f)와 같이 변경되어도 된다. 통기 구조(1b 내지 1f)는,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통기 구조(1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통기 구조(1a)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통기 구조(1b 내지 1f)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기 구조(1a)에 관한 설명은,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한, 통기 구조(1b 내지 1f)에도 해당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구조(1b)는, 하우징(10a) 대신에, 하우징(10b)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b)은,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하우징(10a)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b)에 있어서, 제1 면(12)은, 설치 구멍(11)에 있어서 하우징(10b)의 내부 공간(15u)측으로부터 외부 공간(15s)측에 접근함에 따라서 감소되는 구멍 직경을 갖는 테이퍼를 형성한다. 이 테이퍼에 의해, 예를 들어 원뿔대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기 구조(1b)에 있어서 환경 조건의 변화가 일어나도, 통기 부품(20a)이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을 따라서 하우징(10b)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다. 그 결과, 시일 부재(25)와, 제1 면(12) 및 돌출부(24)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기 어려워, 통기 구조(1a)에 있어서 환경 조건의 변화가 일어나도 양호한 시일 성능이 실현되기 쉽다.
하우징(10b)에 통기 부품(20a)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면(12)의 테이퍼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하우징(10b)의 외부 공간(15s)에 접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구조(1c)는, 통기 부품(20a) 대신에, 통기 부품(20b)을 구비하고 있다. 통기 부품(20b)은,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통기 부품(20a)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통기 구조(1c)에 있어서, 시일 부재(25)는, 제1 면(12)보다도 하우징(10a)의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25p)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설치 구멍(11)의 내부에 염수 등이 저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하우징(10a)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구조(1d)는, 통기 부품(20a) 대신에, 통기 부품(20c)을 구비하고 있다. 통기 부품(20c)은,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통기 부품(20a)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통기 부품(20c)에 있어서, 돌출부(24)는, 플랜지(24f)를 갖는다. 플랜지(24f)는, 시일 부재(25)보다도 하우징(10a)의 내부 공간(15u)에 가까운 위치에서 제1 면(12)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돌출부(24)가 높은 강도를 갖기 쉽다. 플랜지(24f)의 외경은, 예를 들어 기둥 형상의 공간(11c)에 있어서의 설치 구멍(11)의 구멍 직경보다도 작다.
플랜지(24f)는, 예를 들어 슬릿(24c)보다도 지지부(23)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구조(1e)는, 하우징(10a) 대신에 하우징(10c)을 구비하고, 통기 부품(20a) 대신에 통기 부품(20d)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c)은,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하우징(10a)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통기 부품(20d)은,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통기 부품(10c)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통기 부품(20d)은, 역테이퍼부(24b)를 갖는다. 역테이퍼부(24b)는, 하우징(10c)의 외부 공간(15s)측으로부터 내부 공간(15u)측에 접근함에 따라서 확대되는 외경을 갖는다. 역테이퍼부(24b)의 선단부에는, 걸림 지지부(24e)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10c)에 있어서의 설치 구멍(11)의 구멍 직경이 큰 경우에도, 통기막(22)에 요구되는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슬릿(24c)은, 예를 들어 역테이퍼부(24b)에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c)에 있어서, 설치 구멍(11)은 제1 면(12)에 의해서만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0c)은 저부(13)를 갖지 않는다. 통기 구조(1e)에 의하면, 이와 같은 경우라도, 통기막(22)에 요구되는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구조(1f)는, 통기 부품(20a) 대신에, 통기 부품(20e)을 구비하고 있다. 통기 부품(20e)은,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통기 부품(20a)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통기 부품(20e)에 있어서, 지지부(23)에 있어서의 피착면(23b)은, 내부 공간(15u)을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기막(22)이 내부 공간(15u)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므로, 통기막(22)이 보호되기 쉽다. 또한, 통기막(22)의 사이즈를 돌출부(24)의 내경보다 작게 할 수 있다.
통기 구조(1f)에 있어서, 지지부(23) 및 캡(27)은, 예를 들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캡(27)은, 예를 들어 평탄한 외면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캡(27)의 평탄한 외면을 평탄한 면에 고정하여 통기막(22)을 피착면(23b)에 설치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통기막(22)을 피착면(23b)에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도 8에 도시한 통기 구조(1g)를 제공할 수도 있다. 통기 구조(1g)는,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통기 구조(1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통기 구조(1a)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통기 구조(1g)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기 구조(1g)에 관한 설명은,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한, 통기 구조(1g)에도 해당된다.
통기 구조(1g)는, 하우징(10d)과, 통기 부품(20f)을 구비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d)은,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17)를 포함한다. 게다가, 하우징(10d)은, 외측 돌출부(17)의 정상부에 형성된 설치 구멍(11)을 갖는다. 통기 부품(20f)은, 설치 구멍(11)을 폐색하도록 하우징(10d)에 장착되어 있다. 통기 부품(20f)은, 하우징(10d)의 내부 공간(15u)과 외부 공간(15s) 사이의 통기로(21)를 갖는다. 통기 부품(20f)은, 환 형상의 지지부(23)와, 통기막(22)과, 돌출부(24)와, 환 형상의 측부(28)와, 시일 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23)는, 평면으로 보아 통기로(21)를 둘러싼다. 통기막(22)은, 통기로(21)를 통기 가능하게 폐색하고 있다. 돌출부(24)는, 지지부(23)로부터 내부 공간(15u)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음과 함께 설치 구멍(11)에 삽입되어 있으며, 하우징(10d)에 접촉하고 있다. 측부(28)는, 평면으로 보아 외측 돌출부(17)를 둘러싼다. 시일 부재(25)는, 외측 돌출부(17)의 측면(17s)과 측부(28) 사이의 간극을 시일한다. 또한, 환 형상의 지지부(23)는, 평면으로 보아 그 내주 및 외주가 이루는 윤곽이 원인 원환 형상이어도 되고, 그 내주 및 외주가 이루는 윤곽의 적어도 하나가 원 이외의 평면 도형인 환 형상이어도 된다.
통기 구조(1g)에 의하면, 예를 들어 시일 부재(25)는, 측면(17s) 및 측부(28)에 의해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에 수직인 방향으로 압축 변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환경 조건의 변화에 의해 돌출부(24)의 탄성률이 저하되어도, 통기 부품(20f)이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을 따라서 하우징(10d)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하기 어려워, 시일 부재(25)와, 측면(17s) 및 측부(28)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기 어렵다. 그 결과, 통기 구조(1g)에 있어서 환경 조건의 변화가 일어나도 양호한 시일 성능이 실현되기 쉽다. 시일 부재(25)는, 전형적으로는 환 형상의 부재이다.
하우징(10d)은 외측 돌출부(17)를 포함하므로, 외측 돌출부(17)에 염수 등의 액체가 부착되어도 액체가 빠르게 배출되어, 외측 돌출부(17)의 둘레에 액체가 저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10d)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외측 돌출부(17)는, 예를 들어 통 형상이며, 그 내부에 기둥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설치 구멍(15)은, 전형적으로는, 정상부(17t)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정상부(17t)는, 예를 들어 정상부(17t)에 있어서의 하우징(10d)의 내면(14)이 축선 A1에 수직인 환 형상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측 돌출부(17)는, 예를 들어 외측 돌출부(17)의 근원에 있어서 하우징(10d)의 내부 공간(15u)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측 돌출부(17)에 액체가 부착되어도 액체가 빠르게 배출되기 쉽다.
예를 들어, 하우징(10d)이 탑재된 장치, 차량, 또는 설비를 세정할 때, 통기 구조(1g)를 향하여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에 수직인 방향으로 물이 고압 분사되는 것이 상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일 부재(25)는, 측면(17s)과 측부(28) 사이를 시일한다. 이 때문에, 시일 부재(25)와 측면(17s) 및 측부(28) 사이의 시일 부분은 고압 분사된 물을 받기 어려워, 통기 구조(1g)를 향하여 물이 고압 분사되어도, 시일 부재(25)가 양호한 시일성을 발휘하여, 하우징(10d)의 내부 공간(15u)에 물이 침입하기 어렵다. 측부(28)는, 바람직하게는, 시일 부재(25)를 덮고 있다. 환언하면,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통기 구조(1g)를 보았을 때 시일 부재(25)를 시인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기 구조(1g)에 있어서, 보다 확실하게, 시일 부재(25)와 측면(17s) 및 측부(28) 사이의 시일 부분은 고압 분사된 물을 받기 어렵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28)는, 예를 들어 지지부(23)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측부(28)가 변형되기 어려워, 시일 부재(25)와 측부(28)의 접촉 면적이 저하되기 어렵다. 측부(28)는, 지지부(23)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되고, 지지부(23)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측부(28)는, 예를 들어 측방 돌출부(28p)를 갖는다. 측방 돌출부(28p)는, 외측 돌출부(17)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시일 부재(25)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기 쉽다.
측방 돌출부(28p)는, 바람직하게는, 시일 부재(25)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일 부재(25)와 측부(28)의 접촉 면적이 커지기 쉬워, 통기 구조(1g)에 있어서의 시일 성능이 보다 높아지기 쉽다.
돌출부(24)는, 예를 들어 하우징(10d)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 지지부(24e)를 갖는다. 걸림 지지부(24e)는, 예를 들어 하우징(10d)의 내면(14)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통기 부품(20f)이 하우징(10d)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렵다. 걸림 지지부(24e)는, 돌출부(24)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 지지부(24e)는, 예를 들어 스냅 피트에 의해 하우징(10d)에 걸림 지지된다. 돌출부(24)는, 예를 들어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걸림 지지부(24e)는, 예를 들어 돌출부(24)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4)에는 둘레 방향으로 1개 이상의 슬릿(24c)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돌출부(24)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부(24)가 탄성 변형되기 쉬워, 통기 부품(20f)을 하우징(10d)에 장착하기 쉽다. 걸림 지지부(24e)는, 나사 고정에 의해 하우징(10d)에 걸림 지지되어도 되고, 바요넷에 의해 하우징(10d)에 걸림 지지되어도 된다.
통기 부품(20f)은, 예를 들어 캡(27)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캡(27)은, 지지부(23)에 연결되어 있고, 통기막(22)을 덮음과 함께 통기막(22)과의 사이에 통기 부품(20f)의 외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는 공간(27s)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통기막(22)이 적절하게 보호된다. 또한, 설치 구멍(11)의 축선 A1을 따라서 물의 고압 분사가 이루어져도, 시일 부재(25)가 고압 분사된 물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기 부품(20f)이 하우징(10d)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축선 A1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서 시일 부재(25)를 절단하여 얻어지는 단면은,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단면은, 예를 들어 원, 타원, 또는 각을 갖는 평면이다.

Claims (23)

  1. 설치 구멍을 갖는 하우징이며, 상기 설치 구멍에 있어서 기둥 형상의 공간의 측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설치 구멍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측으로부터 외부 공간측에 접근함에 따라서 감소되는 구멍 직경을 갖는 테이퍼를 형성하는, 제1 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설치 구멍을 폐색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부 공간 사이의 통기로를 갖는 통기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기 부품은,
    평면으로 보아 상기 통기로를 둘러싸는 환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통기로를 통기 가능하게 폐색하고 있는 통기막과,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설치 구멍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고 있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외주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의 간극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통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설치 구멍에 수용되어 있는, 통기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통기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제1 면보다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통기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설치 구멍의 둘레의 상기 하우징의 외면보다도 상기 설치 구멍에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부 공간에 접하는 상기 설치 구멍의 단부에 있어서의 구멍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통기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시일 부재보다도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설치 구멍의 축선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저부를 갖는, 통기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는, 환 형상인, 통기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통기막이 마련된 피착면을 갖고,
    상기 설치 구멍은, 상기 저부에 둘러싸인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막은, 상기 설치 구멍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개구와 겹쳐 있는, 통기 구조.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시일 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저부의 외면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상기 통기막이 마련된 피착면을 갖는, 통기 구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시일 부재보다도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제1 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플랜지를 갖는, 통기 구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부 공간측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측에 접근함에 따라서 확대되는 외경을 갖는 역테이퍼부를 갖는, 통기 구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 지지부를 갖는, 통기 구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부품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통기막을 덮음과 함께 상기 통기막과의 사이에 상기 통기 부품의 외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캡을 더 구비한, 통기 구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부품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서 상기 시일 부재를 절단하여 얻어지는 단면은, 원, 타원, 또는 각을 갖는 평면인, 통기 구조.
  16.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돌출부의 정상부에 형성된 설치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설치 구멍을 폐색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공간 사이의 통기로를 갖는 통기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기 부품은,
    평면으로 보아 상기 통기로를 둘러싸는 환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통기로를 통기 가능하게 폐색하고 있는 통기막과,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설치 구멍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고 있는 돌출부와,
    평면으로 보아 상기 외측 돌출부를 둘러싸는 환 형상의 측부와,
    상기 외측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측부 사이의 간극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통기 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상기 시일 부재를 덮고 있는, 통기 구조.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있는, 통기 구조.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상기 외측 돌출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측방 돌출부를 갖는, 통기 구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돌출부는, 상기 시일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통기 구조.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 지지부를 갖는, 통기 구조.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부품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막을 덮음과 함께 상기 통기막과의 사이에 상기 통기 부품의 외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캡을 더 구비한, 통기 구조.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부품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서 상기 시일 부재를 절단하여 얻어지는 단면은, 원, 타원, 또는 각을 갖는 평면인, 통기 구조.
KR1020227007396A 2019-08-09 2020-08-07 통기 구조 KR202200447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47636 2019-08-09
JPJP-P-2019-147636 2019-08-09
JP2019198984 2019-10-31
JPJP-P-2019-198984 2019-10-31
PCT/JP2020/030458 WO2021029386A1 (ja) 2019-08-09 2020-08-07 通気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778A true KR20220044778A (ko) 2022-04-11

Family

ID=7456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396A KR20220044778A (ko) 2019-08-09 2020-08-07 통기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87191A1 (ko)
JP (1) JPWO2021029386A1 (ko)
KR (1) KR20220044778A (ko)
CN (1) CN114207333A (ko)
DE (1) DE112020003803T5 (ko)
WO (1) WO2021029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19593A1 (de) 2020-07-24 2022-01-27 Elringklinger Ag Gehäuseelement, Kombination aus einem Druckausgleichselement und einem Gehäuse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Kombin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7425A (ja) 2002-05-15 2004-02-12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通気部材の抜け防止具および通気構造形成キット
JP2011052791A (ja) 2009-09-03 2011-03-17 Nitto Denko Corp 通気構造および通気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9310C2 (nl) * 2001-11-06 2003-05-07 Actuant Corp Hydraulische inrichting met ademsamenstel.
JP4560477B2 (ja) * 2005-11-15 2010-10-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および防水ケース
JP5122347B2 (ja) * 2008-04-04 2013-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EP2560469B1 (en) * 2011-08-18 2019-01-16 W.L.Gore & Associates Gmbh Venting device comprising a seal protection
JP6052063B2 (ja) * 2013-05-29 2016-12-27 株式会社デンソー 防水筐体
DE102014106501A1 (de) * 2014-05-08 2015-11-12 AZ Ausrüstung und Zubehör GmbH & Co. KG Belüftungssystem für Fahrzeugbeleuchtungen
JP5944955B2 (ja) * 2014-07-24 2016-07-05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通気非透水装置
EP3306705B1 (en) * 2016-10-04 2021-05-19 Kabushiki Kaisha Toshiba Pressure relief mechanism
JP6652038B2 (ja) * 2016-11-17 2020-02-1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装置
JP2018148089A (ja) * 2017-03-07 2018-09-2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装置
CN208452799U (zh) * 2018-07-16 2019-02-01 九洲新能源有限公司 防水透气的电动车控制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7425A (ja) 2002-05-15 2004-02-12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通気部材の抜け防止具および通気構造形成キット
JP2011052791A (ja) 2009-09-03 2011-03-17 Nitto Denko Corp 通気構造および通気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207333A (zh) 2022-03-18
US20220287191A1 (en) 2022-09-08
DE112020003803T5 (de) 2022-05-05
JPWO2021029386A1 (ko) 2021-02-18
WO2021029386A1 (ja)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5719B2 (en) Ventilation member
KR102418290B1 (ko)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US10781994B2 (en) Ventilation member and lamp
EP2733418A1 (en) Ventilation member
KR20140026518A (ko) 통기 유닛
KR20220044778A (ko) 통기 구조
JP5710359B2 (ja) 通気部材
WO2019135399A1 (ja) 筐体キット及び通気部材
KR102634104B1 (ko) 통기 부품
KR20220127862A (ko) 통기 부품
JP6121210B2 (ja) 通気部材
US20230034108A1 (en) Ventilation component
JP2024057002A (ja) 通気部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