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862A - 통기 부품 - Google Patents

통기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862A
KR20220127862A KR1020227027642A KR20227027642A KR20220127862A KR 20220127862 A KR20220127862 A KR 20220127862A KR 1020227027642 A KR1020227027642 A KR 1020227027642A KR 20227027642 A KR20227027642 A KR 20227027642A KR 20220127862 A KR20220127862 A KR 20220127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protrusion
inner member
housing
ou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오조오 야노
도모유키 가사기
다쿠미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7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8Hermetically-sealed casings having a pressure compensation device, e.g. membr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6Venting plugs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통기 부품(1a)은, 내부 부재(10)와, 통기막(20)과, 외부 부재(30)를 구비한다. 내부 부재(10)는, 개관 구조를 가짐과 함께, 개관 구조의 외주면에 돌출부(11)를 갖는다. 통기막(20)은, 내부 부재(10)의 한쪽의 개구를 덮는다. 외부 부재(10)는, 폐관 구조로 형성되고, 돌출부(11)를 걸림 고정하는 걸림 고정부를 폐관 구조의 내주면에 갖는다. 내부 부재(10)는, 외부 부재(30)의 내부에 내부 부재(10)가 삽입되고, 또한, 걸림 고정부(33)에 의해 외부 부재(30)가 돌출부(11)를 걸림 고정한 상태에서, 외부 부재(30)에 고정되어 있다. 통기 부품(1a)은, 하우징(2)의 외표면에 있어서 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2p)에 고정 가능하다. 통기 부품(1a)은, 내부 부재(10) 및 외부 부재(30)를 축선 A를 따라 평면으로 본 때에 IH<OB<OO의 조건을 충족한다.

Description

통기 부품
본 발명은, 통기 부품에 관한 것이다.
램프, 인버터, 컨버터, 전자 제어 장치(ECU), 배터리 팩, 레이더 및 카메라 등의 차량 탑재용 전장 부품, 그리고 가정용, 의료용, 오피스용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통기 부품이 고정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의 내외 통기를 확보하거나, 하우징 내부의 압력 변동을 완화하거나 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통기 부품이 고정될 수 있다. 통기 부품에는, 통기성 이외에도, 고정되는 구체적인 하우징의 용도에 따라, 하우징 내로의 더스트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진성,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수성, 기름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유성 및 염의 침입을 방지하는 내CCT성 등의 각종 특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하우징의 넥부에 끼워져서 하우징에 고정되는 통기 부재가 기재되어 있다(도 14 참조). 이 통기 부재는, 커버 부품과, 대략 통 형상체와,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대략 통 형상체는, 커버 부품의 내부에 끼워져 있다. 대략 통 형상체의 저부 개구가 필터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커버 부품의 내주와 대략 통 형상체의 외주 사이 및 커버 부품의 저면과 대략 통 형상체의 저부 사이에 통기로가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3687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통기 부재는, 하우징의 넥부 등의 돌기에 통기 부재를 고정할 때에 대략 통 형상체의 변형에 수반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관점에서 재검토의 여지를 갖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돌기에 고정할 때에 통기 부품에 있어서 하우징의 돌기에 의해 변형되는 부재의 그 변형에 수반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데에도 유리한 통기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기 부품이며,
탄성 재료를 포함하고, 개관 구조를 가짐과 함께, 상기 개관 구조의 외주면에 있어서 외주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갖는 내부 부재와,
상기 내부 부재의 한쪽의 개구를 덮는 통기막과,
폐관 구조를 가짐과 함께, 상기 돌출부를 걸림 고정하는 걸림 고정부를 상기 폐관 구조의 내주면에 갖는 외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부재는, 상기 외부 부재의 내부에 상기 내부 부재가 삽입되고, 또한, 상기 걸림 고정부에 의해 상기 외부 부재가 상기 돌출부를 걸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당해 통기 부품은, 하우징의 외표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통기구의 에지를 향하여 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에, 상기 돌기가 상기 내부 부재의 다른 쪽의 개구로부터 상기 내부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내부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돌기의 외주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고정 가능하고,
당해 통기 부품이 상기 돌기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 사이에서 기체가 상기 통기막을 통과하여 통기가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부재 및 상기 외부 부재를 축선을 따라 평면으로 본 때에, 상기 돌출부의 외경 OB, 상기 걸림 고정부의 내경 IH 및 상기 돌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외부 부재의 부위의 내경 OO가, IH<OB<OO의 조건을 충족하는,
통기 부품을 제공한다.
상기의 통기 부품은, 하우징의 돌기에 고정할 때에 통기 부품에 있어서 하우징의 돌기에 의해 변형되는 내부 부재의 그 변형에 수반하는 문제를 해소하는데 유리하다.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통기 부품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하는 통기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하는 화살표 C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통기 부품을 본 때의 측면도이다.
도 1d는, 도 1a에 도시하는 통기 부품의 다른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있어서의 A-A선을 따른 통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a에 있어서의 B-B선을 따른 통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b에 있어서의 D-D선을 따른 통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a에 도시하는 통기 부품을 구비한 통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관한 통기 부품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있어서의 E-E선을 따른 통기 부품의 단면도이다.
종래, 폐관 구조를 갖는 외부 부재의 내부에 개관 구조를 갖는 내부 부재를 끼워서 하우징의 통 형상 돌기에 설치되는 통기 부품에 있어서, 내부 부재의 개관 구조의 외주면과 외부 부재의 폐관 구조의 내주면이 내부 부재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왜냐하면,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내부 부재와 외부 부재가 분리되기 어렵고, 하우징의 통 형상의 돌기에 통기 부품을 설치할 때에 통기 부품을 취급하기 쉽다고 생각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내부 부재의 개관 구조의 외주면과 외부 부재의 폐관 구조의 내주면이 내부 부재가 탄성 변형한 상태에서 접촉하고 있으면, 하우징의 통 형상의 돌기에 통기 부품을 고정할 때에 내부 부재의 변형에 수반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새롭게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내부 부재의 내부에 하우징의 통 형상의 돌기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큰 힘이 필요하게 되는 것, 또는, 내부 부재의 개관 구조의 외주면과 외부 부재의 폐관 구조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통기로가 좁아지는 것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에 관한 통기 부품을 안출하였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설명이고,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a 및 도 2a에 도시하는 대로, 통기 부품(1a)은, 내부 부재(10)와, 통기막(20)과, 외부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부재(10)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내부 부재(10)는, 개관 구조를 갖는다. 환언하면, 내부 부재(10)는, 양단에 개구를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 부재(10)는, 돌출부(11)를 갖는다. 돌출부(11)는, 개관 구조의 외주면에 있어서 외주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돌출부(11)는, 내부 부재(10)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통기막(20)은, 내부 부재(10)의 한쪽의 개구(13)를 덮고 있다. 외부 부재(30)는, 폐관 구조를 갖는다. 환언하면, 양단의 한쪽만에 개구를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 부재(30)는, 폐관 구조의 내주면에 걸림 고정부(33)를 갖는다. 걸림 고정부(33)는, 돌출부(11)를 걸림 고정한다. 도 2a에 도시하는 대로, 통기 부품(1a)에 있어서, 내부 부재(10)는, 외부 부재(30)의 내부에 내부 부재(10)가 삽입되고, 또한, 걸림 고정부(33)에 의해 외부 부재(30)가 돌출부(11)를 걸림 고정한 상태에서, 외부 부재(30)에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대로, 통기 부품(1a)은, 하우징(2)의 돌기(2p)에 특정 상태에서 고정 가능하다. 돌기(2p)는, 하우징(2)의 외표면에 있어서 하우징(2)의 내부 공간(2u)과 외부 공간(2v)을 연통시키는 통기구의 에지(2f)를 향하여 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특정 상태는, 돌기(2p)가 내부 부재(10)의 다른 쪽의 개구(14)로부터 내부 부재(10)의 내부에 삽입되고, 또한, 내부 부재(10)의 내주면(12)과 돌기(2p)의 외주면(2q)이 맞닿은 상태이다. 통기 부품(1a)이 돌기(2p)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2)의 내부 공간(2u)과 외부 공간(2v) 사이에서 기체가 통기막(20)을 통과하여 통기가 이루어진다.
도 2a에 도시하는 대로, 내부 부재(10) 및 외부 부재(30)를 축선 A를 따라 평면으로 본 때에, 돌출부(11)의 외경 OB, 걸림 고정부(33)의 내경 IH 및 돌출부(11)와 대향하는 외부 부재(30)의 부위(31b)의 내경 OO가, IH<OB<OO의 조건을 충족한다. 통기 부품(1a)에 있어서, IH<OB의 조건이 충족되고 있음으로써, 외부 부재(30)가 걸림 고정부(33)에 의해 돌출부(11)를 보다 확실하게 걸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통기 부품(1a)에 있어서, OB<OO의 조건이 충족되고 있음으로써, 돌출부(11)와 돌출부(11)와 대향하는 외부 부재(30)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공극(34)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통기 부품(1a)을 돌기(2p)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 부재(10)의 내부에 돌기(2p)가 삽입된다. 이때, 내부 부재(10)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므로, 돌기(2p)에 의해 내부 부재(10)의 내경이 커지도록 내부 부재(10)가 변형된다. 이 변형에 수반하여 내부 부재(10)의 외경도 커지려고 한다. 가령, OB=OO이면, 돌기(2p)와 외부 부재(30) 사이에서 내부 부재(10)가 큰 압축 응력을 받는다. 이에 의해, 내부 부재(10)의 내부에 돌기(2p)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통기 부품(1a)에서는, OB<OO의 조건이 충족되고, 공극(34)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내부 부재(10)의 내부에 돌기(2p)를 삽입시킬 때에, 변형된 내부 부재(10)의 일부가 공극(34)에 받아들여진다. 이에 의해, 돌기(2p)와 외부 부재(30) 사이에서 내부 부재(10)가 큰 압축 응력을 받기 어렵고, 내부 부재(10)의 내부에 돌기(2p)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을 작게 하기 쉽다. 또한, 통기 부품(1a)은, 내부 부재(10)의 내부에 돌기(2p)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의 조정에 있어서 내부 부재(10) 단체를 고려하면 된다는 이점도 가질 수 있다.
통기 부품(1a)에 있어서 IH<OB<OO의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 한, IH, OB 및 OO의 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OO-OB의 값은, 예를 들어 0.1mm 이상 1.0mm 이하이다. 이에 의해, 하우징(2)의 통 형상의 돌기(2p)에 통기 부품(1a)을 고정할 때에 내부 부재(10)의 변형에 수반하는 문제가 보다 확실하게 해소된다.
OO-OB의 값은, 0.2mm 이상이어도 되고, 0.3mm 이상이어도 된다. OO-OB의 값은, 0.9mm 이하여도 되고, 0.8mm 이하여도 된다.
OB-IH의 값은, 예를 들어 0.6mm 이상 2.4mm 이하이다. OB-IH의 값은, 0.7mm 이상이어도 되고, 0.8mm 이상이어도 된다. OB-IH의 값은, 2.3mm 이하여도 되고, 2.2mm 이하여도 된다.
OB의 값은, 예를 들어 5.0mm 이상 20mm 이하이다. OB의 값은, 6.0mm 이상이어도 되고, 7.0mm 이상이어도 된다. OB의 값은, 19mm 이하여도 되고, 18mm 이하여도 된다.
도 2a에 도시하는 대로, 외부 부재(30)의 폐관 구조는 측벽(31) 및 저벽(32)을 갖는다. 측벽(31)은, 축선 A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저벽(32)은, 축선 A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저벽(32)과 측벽(31)이 교차함으로써 코너가 형성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통기막(20)은 저벽(32)에 의해 덮여 있다. 저벽(32)은, 예를 들어 통기 부품(1a)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통기막(20)으로부터 이격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저벽(32)과 통기막(20) 사이에는 공간(36)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36)을 기체가 통과함으로써 통기가 이루어진다.
도 1d 및 도 3에 도시하는 대로, 돌출부(11)는, 내부 부재(10)의 개관 구조의 외주면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는, 예를 들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축선 A의 주위에 있어서의 내부 부재(10)의 배치에 관계없이 외부 부재(30)가 걸림 고정부(33)에 의해 돌출부(11)를 걸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c 및 도 2b에 도시하는 대로, 통기 부품(1a)은, 예를 들어 통기 구멍(35)을 갖는다. 통기 구멍(35)은, 측벽(31)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통기 구멍(35)은, 측벽(31)의 내주면과 측벽(31)의 외주면을 접속하고 있다. 통기 구멍(35)은, 축선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11)보다도 저벽(32)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내부 부재(10)의 외주면과 외부 부재(3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통기로가 넓지 않아도, 통기 구멍(35)에 의해 통기를 행할 수 있다.
통기 구멍(35)은, 예를 들어 저벽(3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환언하면, 통기 구멍(35)은, 저벽(32)의 내주면과 저벽(32)의 외주면을 접속하고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 구멍(35)은, 예를 들어 측벽(31) 및 저벽(3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환언하면, 통기 구멍(35)은, 측벽(31)의 내주면과 저벽(32)의 외주면을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저벽(32)의 내주면과 측벽(31)의 외주면을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 구멍(35)은,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슬릿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c에 도시하는 대로, 통기 구멍(35)은, 예를 들어 통기 구멍(35)으로부터 내부 부재(10) 및 통기막(20)의 적어도 하나를 시인할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통기 구멍(35)은, 외부 부재(30)의 외부에서 통기 구멍(35)을 통하여 외부 부재(30)의 내부를 본 때에 내부 부재(10) 및 통기막(20)의 적어도 하나를 시인할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통기 구멍(35)에 있어서의 외부 부재(30)의 외주면에 접한 개구에 비해 수직인 방향으로 외부 부재(30)의 내부가 관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령, 외부 부재(30)의 외부에서 이물이 통기 구멍(35)을 통과해도, 이러한 이물에 의해 내부 부재(10) 및 통기막(20)의 적어도 하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도 1b 및 도 3에 도시하는 대로, 측벽(31)은, 예를 들어 외측 측벽(31g) 및 내측 측벽(31n)을 갖고 있다. 외측 측벽(31g)은, 예를 들어 돌출부(11)와 대향하는 외부 부재(30)의 부위(31b)와, 복수의 리브(31r)를 포함한다. 복수의 리브(31r)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부위(31b)와 저벽(32) 사이에서 축선 A 주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리브(31r)는, 전형적으로는, 축선 A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내측 측벽(31n)은, 축선 A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외측 측벽(31g)보다도 축선 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내측 측벽(31n)은, 축선 방향에 있어서 부위(31b)와 저벽(3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하는 대로,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측벽(31n)의 단은, 예를 들어 내부 부재(10)의 돌출부(11)와 대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내측 측벽(31n)에 의해,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 부재(10)와 외부 부재(30) 사이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저벽(32)와 통기막(20)의 거리를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측벽(31)은, 예를 들어 복수의 내측 측벽(31n)을 갖고 있고, 복수의 내측 측벽(31n)은 축선 A 주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복수의 내측 측벽(31n)은 축선 A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리브(31r) 및 복수의 내측 측벽(31n)은, 예를 들어 축선 A 주위에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a에 도시하는 대로, 외부 부재(30)에는, 축선 A 주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축선 A 주위에 있어서 리브(31r)의 단부는 내측 측벽(31n)의 단부와 겹쳐 있다. 이에 의해, 축선 A 주위에 있어서의 리브(31r)의 단부와 내측 측벽(31n)의 단부의 간극에 의해 통기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내부 부재(10) 및 통기막(20)을 측벽(31)에 의해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통기 구멍(35)을 넓게 형성하기 쉽다.
도 2a에 도시하는 대로, 걸림 고정부(33)는, 예를 들어 축선 A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축선 A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도 1d에 도시하는 대로, 외부 부재(30)는, 예를 들어 복수의 걸림 고정부(33)를 갖는다. 복수의 걸림 고정부(33)는, 예를 들어 축선 A 주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걸림 고정부(33)는, 예를 들어 축선 A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33)는, 예를 들어 외부 부재(30)의 폐관 구조의 내주면에 있어서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외부 부재(30)가 축선 A 주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걸림 고정부(33)를 갖는 경우, 걸림 고정부(33)의 내경 IH는, 외부 부재(30)를 축선 A를 따라 평면으로 본 때에 복수의 걸림 고정부(33)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으로서 결정되어도 된다.
도 2b에 도시하는 대로, 걸림 고정부(33)는, 예를 들어 경사면(33s)을 갖는다.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특정 위치에서의 경사면(33s)과 내부 부재(10)의 외주면의 거리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특정 위치보다도 돌출부(11)에 가까운 위치에서의 경사면(33s)과 내부 부재(10)의 외주면의 거리보다도 크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외부 부재(30)의 내부에 내부 부재(10)를 설치할 때에 돌출부(11)와 걸림 고정부(33)의 마찰력이 작아지기 쉽다. 이 때문에, 외부 부재(30)의 내부에 내부 부재(10)를 설치하기 쉽다.
도 2a에 도시하는 대로, 축선 A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부(11)의 단부면은, 예를 들어 테이퍼면(11t) 및 기둥면(11p)을 갖는다. 기둥면(11p)의 직경은, 예를 들어 외경 OB에 상당할 수 있다. 기둥면(11p)은, 테이퍼면(11t)보다도 다른 쪽의 개구(14)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11t)의 직경은, 한쪽의 개구(13)를 향하여 감소한다.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부(11)의 전체의 길이 Lz에 대한 테이퍼면(11t)을 이루는 부위의 길이 Lt의 비(Lt/Lz)는, 예를 들어 0.2 내지 0.8이다. 예를 들어, 축선 방향에 있어서 외부 부재(30)와 내부 부재(10)의 거리가 감소하도록 내부 부재(10)와 외부 부재(3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외부 부재(30)의 내부에 내부 부재(10)가 설치된다. 이때, 외부 부재(30)의 걸림 고정부(33) 부근의 부위가 축선 A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변형된다. Lt/Lz가 상기의 범위이면, 외부 부재(30)의 내부에 내부 부재(10)를 설치할 때에 걸림 고정부(33) 부근의 부위의 변형량이 급격하게 변화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외부 부재(30)의 내부에 내부 부재(10)를 설치하기 쉽다. 게다가,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기둥면(11p)의 길이가 짧아지기 쉬우므로, 외부 부재(30)의 내부에 내부 부재(10)를 설치할 때에 걸림 고정부(33) 부근의 부위 변형량이 최대인 기간을 짧게 하기 쉽다.
내부 부재(10)에 포함되는 탄성 재료는, 특정한 탄성 재료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탄성 재료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탄성 수지)이다. 엘라스토머는, 고무여도 된다.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니트릴 고무(NB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수소화 고무, 또는 각종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
외부 부재(30)의 재료는 특정한 재료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외부 부재(30)의 재료는, 예를 들어 수지이다. 수지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술한 엘라스토머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에테르(PPE)이다. 외부 부재(30)의 재료는, 내부 부재(10)에 포함되는 탄성 재료와 동일 종류의 재료여도 되고, 다른 종류의 재료여도 된다.
내부 부재(10) 및 외부 부재(30)에 포함되는 수지는, 카본 블랙 및 티타늄 화이트 등의 안료류; 유리 입자 및 유리 섬유 등의 보강용 필러류; 그리고 발수제라고 하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통기막(20)은, 원하는 통기성을 갖는 한 특정한 통기막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기막(20)은, 단층막이어도 되고, 다층막이어도 된다. 통기막(20)이 다층막인 경우, 각 층은, 다공질막, 부직포, 크로스 및 메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개일 수 있다. 통기막(20)은, 다공질막 및 부직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크로스 및 메시의 적어도 하나와 다공질막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복수의 부직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통기막(20)은, 전형적으로는, 유기 고분자 재료(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공질막의 재료는, 예를 들어 불소 수지이다. 불소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다공질막의 재료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4-메틸펜텐-1,1부텐 등의 모노머의 단체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이어도 된다. 다공질막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또는 폴리락트산 등의 나노파이버의 다공막이어도 된다. 다공질막은, 공지된 연신법 또는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부직포, 크로스 및 메시의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나일론, 아라미드,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이다.
통기막(20)은, 바람직하게는, PTFE 다공질막을 포함한다. PTFE 다공질막은, 소면적에서도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PTFE 다공질막은, 부직포 등의 통기성 지지재에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막(20)의 두께는, 특정한 두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기막(20)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이상 5mm 이하이다. 통기막(20)의 통기도는, 예를 들어 일본 산업 규격 JIS L1096에 정해진 통기성 측정 B법(걸리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경우, 0.1 내지 300초/100mL이다.
통기막(20)은, 필요에 따라 발액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발액 처리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불소계 표면 수식제를 포함하는 발액성의 피막을 통기막(20)에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발액성의 피막 형성은,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발액성의 피막 형성은, 예를 들어 에어 스프레이법, 정전 스프레이법, 딥 코팅법, 스핀 코팅법, 롤 코팅법, 커튼 플로 코팅법, 또는 함침법 등의 방법에 의해,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불소계 표면 수식제의 용액 또는 디스퍼전으로 수지 다공질막을 코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전착 도장법 또는 플라스마 중합법에 의해, 발액성의 피막을 형성해도 된다.
내부 부재(10) 및 외부 부재(30)의 적어도 1개 부재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발액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발액 처리는, 통기막(20)의 발액 처리법으로서 상술한 방법, 전착 도장법, 혹은 플라스마 중합에 의한 피막 형성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통기막(20)은, 예를 들어 내부 부재(10)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면에 대하여 접착되어 있다. 통기막(20)은, 이 단부면에 대하여 용착되어 있어도 된다. 용착의 방법으로서는,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및 레이저 용착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부재(10)를 성형할 때에, 성형을 위한 금형 내부 소정의 위치에 통기막(20)을 배치한 상태에서 수지를 금형에 유입하여 인서트 성형을 행하고, 통기막(20)을 그 단부면에 설치해도 된다. 통기막(20)은, 그 단부면에 대하여 양면 테이프에 의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 부품(1a)을 사용해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통기 구조(3)를 제공할 수 있다. 통기 구조(3)는, 통기 부품(1a)과,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은 그 외주면에 통 형상의 돌기(2p)를 갖고, 통기 부품(1a)는, 돌기(2p)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통기 부품(1a)은, 내부 부재(10)의 다른 쪽의 개구(14)로부터 내부 부재(10)의 내부에 삽입되고, 또한, 내부 부재(10)의 내주면(12)과 돌기(2p)의 외주면(2q)이 맞닿은 특정 상태에서 돌기(2p)에 고정되어 있다. 내부 부재(10)의 개관 구조의 내경은, 돌기(2p)의 외경보다 작다. 또한, 내부 부재(10)의 내주면(12)은, 전형적으로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정 상태에서는, 내부 부재(10)의 돌기(2p)의 외주면(2q)에 맞닿은 부분이 돌기(2p)의 외경에 맞춰서 변형된다. 이에 의해, 통기 부품(1a)이 돌기(2p)에 확실히 고정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대로, 통기 구조(3)에 의하면,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의 내부 공간(2u)과 외부 공간(2v) 사이에서 기체가 통기막(20)을 통과하여 통기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공간(36) 및 통기 구멍(35)은, 이 통기를 위한 통기로에 포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대로, 하우징(2)의 돌기(2p)의 주위에는 환상의 홈(2m)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조(3)를 축선 A를 따라 평면으로 본 때에, 홈(2m)의 외경은 통기 부품(1a)의 외경보다 크다. 이 때문에, 통기 부품(1a)을 돌기(2p)에 고정할 때에 통기 부품(1a)의 일부는, 홈(2m)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내부 부재(10)의 내주면(12)과 돌기(2p)의 외주면(2q)이 맞닿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통기 부품(1a)이 돌기(2p)에 확실히 고정되기 쉽다. 게다가, 하우징(2)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통기 부품(1a)의 겉보기의 돌출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하우징(2)에 있어서 돌기(2p)의 주위에는 홈(2m)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하우징(2)의 재료는, 특정한 재료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우징(2)의 재료는, 예를 들어 수지, 금속,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이다. 전형적으로는, 하우징(2)에 있어서 돌기(2p)를 이루는 재료의 탄성률은, 내부 부재(20)에 포함되는 탄성 재료의 탄성률보다 크다. 하우징(2)은, 예를 들어 램프, 인버터, 컨버터, ECU(Electronic Control Unit), 배터리 팩, 레이더 및 카메라 등의 차량 탑재용 전장 부품의 하우징이다. 하우징(2)는, 가정용, 의료용, 오피스용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의 하우징이어도 된다.
통기 부품(1a)은, 다양한 관점에서 변경 가능하다. 통기 부품(1a)은,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통기 부품(1b)과 같이 변경되어도 된다. 통기 부품(1b)은, 특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통기 부품(1a)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통기 부품(1a)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통기 부품(1b)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기 부품(1a)에 관한 설명은,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한 통기 부품(1b)에도 적용된다.
도 5a에 도시하는 대로, 통기 부품(1b)에 있어서, 외부 부재(30)는 그 폐관 구조의 외주면에 걸림 고정부(39)를 갖는다. 걸림 고정부(39)는, 통기 부품(1b)이 돌기(2p)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2)에 걸림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하우징(2)이 진동해도 통기 부품(1a)이 하우징(2)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기 어렵다.
도 5a에 도시하는 대로, 통기 부품(1b)에 있어서, 외부 부재(30)는, 예를 들어 통기 부품(1b)의 축선 A 주위에 복수의 걸림 고정부(39)를 갖는다. 복수의 걸림 고정부(39)는, 예를 들어 축선 A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39)는, 예를 들어 축선 A에 대하여 경사진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39)는, 통기 부품(1b)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외부 부재(10)의 폐관 구조의 개구 에지로부터 축선 A에 수직인 방향으로 외측 또한 저벽(32)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하는 대로, 통기 부품(1b)이 돌기(2p)에 고정된 상태의 통기 구조(3)에 있어서, 걸림부(39)는, 하우징(2)의 외표면에 있어서 홈(2m)의 외측의 측면을 이루는 부분에 대하여 압박되고, 축선 A를 향하여 휘어져 있다. 걸림 고정부(39)의 이러한 변형에 의해, 걸림 고정부(39)가 하우징(2)에 걸림 고정된다.

Claims (5)

  1. 통기 부품이며,
    탄성 재료를 포함하고, 개관 구조를 가짐과 함께, 상기 개관 구조의 외주면에 있어서 외주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갖는 내부 부재와,
    상기 내부 부재의 한쪽의 개구를 덮는 통기막과,
    폐관 구조를 가짐과 함께, 상기 돌출부를 걸림 고정하는 걸림 고정부를 상기 폐관 구조의 내주면에 갖는 외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부재는, 상기 외부 부재의 내부에 상기 내부 부재가 삽입되고, 또한, 상기 걸림 고정부에 의해 상기 외부 부재가 상기 돌출부를 걸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당해 통기 부품은, 하우징의 외표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통기구의 에지를 향하여 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에, 상기 돌기가 상기 내부 부재의 다른 쪽의 개구로부터 상기 내부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내부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돌기의 외주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고정 가능하고,
    당해 통기 부품이 상기 돌기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 사이에서 기체가 상기 통기막을 통과하여 통기가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부재 및 상기 외부 부재를 축선을 따라 평면으로 본 때에, 상기 돌출부의 외경 OB, 상기 걸림 고정부의 내경 IH 및 상기 돌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외부 부재의 부위의 내경 OO가, IH<OB<OO의 조건을 충족하는,
    통기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 OO로부터 상기 외경 OB를 차감한 차 OO-OB는, 0.1mm 이상 1.0mm 이하인, 통기 부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관 구조의 상기 외주면의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부재는, 상기 폐관 구조의 측벽 및 저벽의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또한,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보다도 상기 저벽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 구멍을 갖는, 통기 부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구멍은, 상기 통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내부 부재 및 상기 통기막의 적어도 하나를 시인할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는, 통기 부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재는, 당해 통기 부품이 상기 돌기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를 상기 폐관 구조의 외주면에 갖는, 통기 부품.
KR1020227027642A 2020-01-14 2021-01-14 통기 부품 KR202201278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03851 2020-01-14
JPJP-P-2020-003851 2020-01-14
PCT/JP2021/001071 WO2021145383A1 (ja) 2020-01-14 2021-01-14 通気部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862A true KR20220127862A (ko) 2022-09-20

Family

ID=7686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642A KR20220127862A (ko) 2020-01-14 2021-01-14 통기 부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043612A1 (ko)
EP (1) EP4092297A4 (ko)
JP (2) JPWO2021145383A1 (ko)
KR (1) KR20220127862A (ko)
CN (1) CN114930993A (ko)
BR (1) BR112022013539A2 (ko)
CA (1) CA3167872A1 (ko)
MX (1) MX2022008710A (ko)
WO (1) WO2021145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11080A (ja) * 2022-07-13 2024-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品及び通気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874A (ja) 2002-05-15 2003-11-28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8247A (ja) * 2001-06-19 2003-01-10 Tdk Corp シールキャップの取り付け構造
KR101411762B1 (ko) * 2008-12-31 2014-06-25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배기 장치
CN203036605U (zh) * 2012-11-01 2013-07-03 日东电工株式会社 透气构件
JP2014184418A (ja) * 2013-03-25 2014-10-02 Nitto Denko Corp 防水通気構造、防水通気部材及び防水通気膜
JP2015033682A (ja) * 2013-08-09 2015-02-19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及び通気部材
JP6173195B2 (ja) * 2013-12-04 2017-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6721978B2 (ja) * 2015-12-15 2020-07-15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ランプ
JP7034581B2 (ja) * 2016-08-30 2022-03-14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KR101885138B1 (ko) * 2016-12-14 2018-08-03 (주)코멤텍 통기성 캡
KR102021145B1 (ko) * 2017-01-25 2019-09-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캡 타입 벤트
EP3617570B1 (en) * 2017-04-28 2023-09-13 Nitto Denko Corporation Gas-permeable unit
US11095800B2 (en) * 2017-12-05 2021-08-17 Fuji Corporation Imaging unit and component mounting machine
DE112018006279T5 (de) * 2017-12-07 2020-08-13 Nitto Denko Corporatio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ützkörp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874A (ja) 2002-05-15 2003-11-28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145383A1 (ko) 2021-07-22
US20230043612A1 (en) 2023-02-09
BR112022013539A2 (pt) 2022-09-06
CN114930993A (zh) 2022-08-19
MX2022008710A (es) 2022-08-08
EP4092297A1 (en) 2022-11-23
WO2021145383A1 (ja) 2021-07-22
JP2024057002A (ja) 2024-04-23
CA3167872A1 (en) 2021-07-22
EP4092297A4 (en)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5719B2 (en) Ventilation member
US10781994B2 (en) Ventilation member and lamp
US9528622B2 (en) Ventilation member
KR102418290B1 (ko)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CN112888885A (zh) 通气部件
JP2024057002A (ja) 通気部品
KR102592662B1 (ko) 통기 부재
WO2019135399A1 (ja) 筐体キット及び通気部材
JP5710359B2 (ja) 通気部材
WO2021029386A1 (ja) 通気構造
KR102634104B1 (ko) 통기 부품
JPWO2020158612A1 (ja) 通気部品
WO2024014516A1 (ja) 通気部品及び通気構造
US20230034108A1 (en) Ventilation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