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666U - 방화용 관통 구조체 - Google Patents
방화용 관통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2666U KR20200002666U KR2020190002217U KR20190002217U KR20200002666U KR 20200002666 U KR20200002666 U KR 20200002666U KR 2020190002217 U KR2020190002217 U KR 2020190002217U KR 20190002217 U KR20190002217 U KR 20190002217U KR 20200002666 U KR20200002666 U KR 2020000266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region
- wall
- deteriorated
- lower portion
- fire prot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방화용 관통 구조체는, 열에 의해 팽창하는 열화 팽창재, 상기 열화 팽창재가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바디(body), 및 상기 바디의 일 단에 결합되는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는, 하부가 개방되어, 상부벽 및 측벽에 의해 내부에 빈공간(empty space)이 형성되는 제1 바디 영역, 및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 바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측벽은,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내벽 및 외벽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방화용 관통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화 팽창재를 포함하는 방화용 관통 구조체에 관련된 것이다.
고층 빌딩 등과 같은 밀폐된 공간 내의 화재, 연기 및 가스는 생명에 상당한 위험을 줄 수 있다. 화재가 구조물의 바닥과 천정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경우, 화재와 이로 인한 연기 및 가스는 빌딩 내 다른 개방 공간, 특히 화재의 발생 지점 보다 높은 개방 공간으로 빈번하게 확산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다층 구조의 건물을 시공할 경우, 층과 층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이 관통되는 부분에 슬라브 타설시 관통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의 관통 슬리브를 거푸집에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또한,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슬라브에 매설되는 관통 슬리브는 층과 층사이를 연결하는 입상관의 관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것을 설치하여 추후 입상관이 휘어지더라도 관통 슬리브를 통과하여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관통슬리브와 그 관통슬리브를 통과하는 입상관의 관경 차이에 의하여 틈이 발생하고, 이는 화재 발생시 화원이나 연기의 통로가 되어 화재로 인한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최근 들어서는 화재발생시 화재 확산이 될 수 있는 배관 관통부분에 내화성 물질을 시공하도록 법적으로 강제하고 있으며, 상기 틈새를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내화재들이 사용되고 있고, 입상관의 시공과 화재확산방지의 두가지 목적을 축적하는 열 발포성 내화 충전재들을 이용하여 상기 틈새를 메꾸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들에 대한 다양한 문제점들이 지속됨에 따라, 이를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건축물의 시공 시간이 단축된 방화용 관통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건축물의 시공 과정이 간소화된 방화용 관통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열화 팽창재의 팽창 효율이 향상된 방화용 관통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방화용 관통 구조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열에 의해 팽창하는 열화 팽창재, 상기 열화 팽창재가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바디(body), 및 상기 바디의 일 단에 결합되는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는 방화용 관통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하부가 개방되어, 상부벽 및 측벽에 의해 내부에 빈공간(empty space)이 형성되는 제1 바디 영역, 및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 바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측벽은,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내벽 및 외벽을 이루되,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상기 내벽은,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연장되고,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상기 외벽은,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만큼 연장되며,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상기 내벽 및 상기 외벽 사이에는, 상기 열화 팽창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상기 내벽으로 정의된 제1 내경은,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상기 측벽으로 정의된 제2 내경과 같고,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상기 외벽으로 정의된 제3 내경은, 상기 제1 내경 보다 큰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 영역, 및 상기 제2 바디 영역은 일체(one body)를 이루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화 팽창재는, 팽창흑연, 난연재, 열가소성 수지, 인산, 및 인산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받침대는, 상기 바디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고,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를 갖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는, 열에 의해 팽창하는 열화 팽창재, 상기 열화 팽창재가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일 단에 결합되는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는, 하부가 개방되어, 상부벽 및 측벽에 의해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는 제1 바디 영역, 및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 바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측벽은,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내벽 및 외벽을 이루되,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상기 내벽은,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만큼 연장되고,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상기 외벽은,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상기 제2 거리만큼 연장되며,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상기 내벽 및 상기 외벽 사이에는, 상기 열화 팽창재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콘크리트에 타설되는 경우, 슬리브의 타설과 열화 팽창재의 삽입이 동시에 시공될 수 있다. 즉, 방화작업을 위한 별도의 열화 팽창재 삽입 시공이 생략되어, 건축물의 전체적인 시공 시간이 단축되고 시공 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열화 팽창재의 도면 및,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고안의 제5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열화 팽창재의 도면 및,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고안의 제5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는, 바디(100), 열화 팽창재(200), 및 고정 받침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상기 바디(100)는, 다층 구조의 건물을 시공하는 경우, 층과 층 사이 또는 벽과 벽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을 관통시키기 위해, 콘크리트에 타설되는 슬리브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바디(100)는 콘크리트에 타설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100)는 원통 형상으로서, 제1 바디 영역(110) 및 제2 바디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 영역(110) 및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은 일체(one body)를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바디(100)는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제1 바디 영역(110) 및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은 상부벽(110a) 및 측벽(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벽(110a) 및 상기 측벽(110b)은,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상부 및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디 영역(110b)을 밀폐시키는 구조체(structure)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바디 영역(110b)의 하부는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은 내부에 빈공간(empty space, E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빈공간(EP)은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상부벽(110a) 및 측벽(110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은,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벽(110a) 및 상기 측벽(110b)에 의해 내부에 빈공간(EP)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상기 상부벽(110)a)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100)가 콘크리트에 타설되는 경우, 상기 상부벽(110a)을 제거하여, 상기 바디(100)의 상부 및 하부를 통해 배관 등을 관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은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은 내벽(122) 및 외벽(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내벽(122) 및 상기 외벽(124)은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상기 측벽(110b)이 분기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외경(RE1) 및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외경(RE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외경(RE2)은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외경(RE1)보다 클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내벽(122)으로 정의되는 제1 내경(RI1)과,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상기 측벽(110b)으로 정의되는 제2 내경(RI2)은 서로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외벽(124)으로 정의되는 제3 내경(RI3)은 상기 제1 내경(RI1)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내벽(122)은,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상기 측벽(110b)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측벽(110b)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은, 도 5에 도시된 Y축 방향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외벽(124)은,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상기 측벽(110b)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후, 다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외벽(124)은, 'ㄱ'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의 직각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방향은 도 5에 도시된 X축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외벽(124)은,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거리(d1)만큼 연장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내벽(124)은,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거리(d2)만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거리(d2)는 상기 제1 거리(d1)보다 짧을 수 있다. 즉, 상기 내벽(122)의 길이는 상기 외벽(124)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내벽(122) 및 상기 외벽(124)이, 상기 제1 바디 영역(110b)의 상기 측벽(110b)으로부터 분기된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내벽(122) 및 상기 외벽(124) 사이에는 삽입홈(GV)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GV)에는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열화 팽창재(200)는 열과 반응하여 팽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화 팽창재(200)는 상기 바디(100)의 상기 빈공간(EP)을 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타설된 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팽창되어, 상기 빈공간(EP)을 채움으로써, 화재 가스가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화 팽창재(200)를 제조하는 방법은, 팽창흑연과 난연재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열가소성 수지와 접착제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인산 또는 인산염 중 어느 하나를 용해시킨 물에 접착제를 분산시킨 후 석고(gypsum) 촙을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3 혼합물을 혼합하여 실런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실런트에 접착제를 첨가하여 상기 실런트의 점성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점성이 조절된 실런트를 용기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 혼합물이 혼합된 상기 실런트의 점성을 조절한 후, 이를 용기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열화 팽창재(200)의 형상이 제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열화 팽창재(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받침대(300)는, 상기 바디(100)의 일 단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받침대(300)는, 상기 제2 바디 영역(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 받침대(300)에 의하여, 상기 열화 팽창재(200)는, 상기 삽입홈(GV) 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받침대(300)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100)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인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체결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310)에는 체결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 받침대(300)와 결합된 상기 바디(100)는, 콘크리트에 타설된 이후, 타설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는, 열에 의해 팽창하는 상기 열화 팽창재(200),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상기 바디(100), 및 상기 바디(100)의 일 단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 받침대(300)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100)는,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벽(110a) 및 측벽(110b)에 의해 내부에 빈공간(EP)이 형성되는 상기 제1 바디 영역(110), 및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하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측벽(110b)은,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하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내벽(122) 및 외벽(124)을 이루되,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내벽(122)은,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만큼 연장되고,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외벽(124)은, 상기 제1 바디 영역(110)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상기 제2 거리만큼 연장되며,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내벽(122) 및 상기 외벽(124) 사이에는,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GV)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콘크리트에 타설되는 경우, 슬리브의 타설과 열화 팽창재의 삽입이 동시에 시공될 수 있다. 즉, 방화작업을 위한 별도의 열화 팽창재 삽입 시공이 생략되어, 건축물의 전체적인 시공 시간이 단축되고 시공 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설명되었다. 이하, 본 고안의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는, 바디(100), 열화 팽창재(200), 및 고정 받침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0), 상기 열화 팽창재(200), 및 상기 고정 받침대(3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상기 바디(100), 상기 열화 팽창재(200), 및 상기 고정 받침대(300)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다만, 상기 제1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100)는, 고정 부재(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바디(100)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설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100)는 고정 부재(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h)는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이 포함하는 상기 내벽(122)으로부터, 상기 삽입홈(GV)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홈(GV) 내에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삽입된 경우, 상기 열화 팽창재(200)는 상기 고정 부재(h)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열화 팽창재의 도면 및, 바디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는, 바디(100), 열화 팽창재(200), 및 고정 받침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0), 상기 열화 팽창재(200), 및 상기 고정 받침대(3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상기 바디(100), 상기 열화 팽창재(200), 및 상기 고정 받침대(300)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다만, 상기 제2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상기 열화 팽창재(200)는, 상부 및 하부의 폭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상기 열화 팽창재(200)를 중심으로 상기 제2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설명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열화 팽창재(200)는 상부 및 하부의 폭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화 팽창재(200)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즉, 상기 열화 팽창재(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폭이 더 좁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된 구조를 갖는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상기 삽입홈(GV)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열화 팽창재(200)와 상기 바디(100)와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화 팽창재(200)는 상기 삽입홈(GV) 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열에 의하여 팽창되는 경우, 상기 실시 예 및 변형 예 1에 따른 열화 팽창재(200)와 비교하여 보다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는, 바디(100), 열화 팽창재(200), 및 고정 받침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0), 상기 열화 팽창재(200), 및 상기 고정 받침대(3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상기 바디(100), 상기 열화 팽창재(200), 및 상기 고정 받침대(300)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다만, 상기 제3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100)는, 내벽(122) 및 외벽(124)의 두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하, 상기 바디(100)를 중심으로 상기 제3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설명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외벽(124)의 두께(t1)와 상기 내벽(122)의 두께(t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벽(122)의 두께(t2)는 상기 외벽(124)의 두께(t1) 보다 얇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화 팽창재(200)의 팽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열과 반응되어 팽창하는 경우, 상기 내벽(122)에 의하여 팽창이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벽(122)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내벽(122)이 용이하게 부서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내벽(122)에 의한 상기 열화 팽창재(200)의 팽창 억제가 저하되어,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는, 바디(100), 열화 팽창재(200), 및 고정 받침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0), 상기 열화 팽창재(200), 및 상기 고정 받침대(3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상기 바디(100), 상기 열화 팽창재(200), 및 상기 고정 받침대(300)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다만, 상기 제4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100)는, 내벽(122)에 크랙(crack, c)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바디(100)를 중심으로 상기 제4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설명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내벽(122)은 크랙(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내벽(122)에 상기 크랙(c)을 형성시켜, 상기 내벽(122)의 내구도를 상대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내벽(122)이 용이하게 부서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내벽(122)에 의한 상기 열화 팽창재(200)의 팽창 억제가 저하되어,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다.
도 10는 본 고안의 제5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5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는, 바디(100), 열화 팽창재(200), 및 고정 받침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0), 상기 열화 팽창재(200), 및 상기 고정 받침대(3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상기 바디(100), 상기 열화 팽창재(200), 및 상기 고정 받침대(300)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다만, 상기 제5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열화 팽창재(200)는,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포함하는 열화 팽창재와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하, 상기 열화 팽창재(200)를 중심으로 상기 제5 변형 예에 따른 방화용 관통 구조체가 설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열화 팽창재(200)는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상기 내벽(122)을 둘러싸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상기 삽입홈(GV)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열화 팽창재(20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제2 바디 영역(120)의 빈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화 팽창재(200)가 열과 반응되어, 팽창이 보다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바디
110: 제1 바디 영역
120: 제2 바디 영역
200: 열화 팽창재
300: 고정 받침대
110: 제1 바디 영역
120: 제2 바디 영역
200: 열화 팽창재
300: 고정 받침대
Claims (5)
- 열에 의해 팽창하는 열화 팽창재, 상기 열화 팽창재가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바디(body), 및 상기 바디의 일 단에 결합되는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는 방화용 관통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하부가 개방되어, 상부벽 및 측벽에 의해 내부에 빈공간(empty space)이 형성되는 제1 바디 영역; 및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 바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측벽은,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내벽 및 외벽을 이루되,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상기 내벽은,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연장되고,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상기 외벽은,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만큼 연장되며,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상기 내벽 및 상기 외벽 사이에는, 상기 열화 팽창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화용 관통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상기 내벽으로 정의된 제1 내경은, 상기 제1 바디 영역의 상기 측벽으로 정의된 제2 내경과 같고,
상기 제2 바디 영역의 상기 외벽으로 정의된 제3 내경은, 상기 제1 내경 보다 큰 것을 포함하는 방화용 관통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영역, 및 상기 제2 바디 영역은 일체(one body)를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방화용 관통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팽창재는, 팽창흑연, 난연재, 열가소성 수지, 인산, 및 인산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화용 관통 구조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받침대는, 상기 바디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고,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를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방화용 관통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2217U KR200493223Y1 (ko) | 2019-05-30 | 2019-05-30 | 방화용 관통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2217U KR200493223Y1 (ko) | 2019-05-30 | 2019-05-30 | 방화용 관통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2666U true KR20200002666U (ko) | 2020-12-09 |
KR200493223Y1 KR200493223Y1 (ko) | 2021-02-19 |
Family
ID=7378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2217U KR200493223Y1 (ko) | 2019-05-30 | 2019-05-30 | 방화용 관통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3223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1470A (ko) * | 2002-04-15 | 2004-12-02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 관통로 화재 차단 장치 |
KR101654682B1 (ko) * | 2015-08-17 | 2016-09-06 | (주)피앤에프테크 | 벽체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배관 시공방법 |
KR101894009B1 (ko) * | 2018-01-23 | 2018-08-31 | (주)세이프코리아 | 내화충전재 결합홈이 일체로 성형되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내화충전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슬리브 |
-
2019
- 2019-05-30 KR KR2020190002217U patent/KR20049322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1470A (ko) * | 2002-04-15 | 2004-12-02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 관통로 화재 차단 장치 |
KR101654682B1 (ko) * | 2015-08-17 | 2016-09-06 | (주)피앤에프테크 | 벽체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배관 시공방법 |
KR101894009B1 (ko) * | 2018-01-23 | 2018-08-31 | (주)세이프코리아 | 내화충전재 결합홈이 일체로 성형되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내화충전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슬리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3223Y1 (ko) | 2021-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43166C (en) | Laser configured hook column anchors and anchoring systems utilizing the same | |
CN104204374A (zh) | 具有锁定元件的建筑立面以及锁定元件 | |
KR20190102802A (ko) | 내화성능 확보가 가능하도록 보강부재가 최적화 배치된 콘크리트 풍도슬래브 | |
KR200493223Y1 (ko) | 방화용 관통 구조체 | |
KR20090003503U (ko) | 레실리언트 채널을 이용한 건식벽체 | |
JP2008240355A (ja) | 柱または梁と耐火間仕切壁との取り合い構造及び方法 | |
JP4928405B2 (ja) | 壁断熱構造とその施工方法 | |
JP4024489B2 (ja) | 下地部材と係合する係合部材、下地部材組立体、及び、下地部材組立法 | |
JP6215528B2 (ja) | 断熱パネル | |
JP2004033246A (ja) | 防火区画体の貫通構造及び同貫通構造を形成する貫通筒体 | |
KR20020029009A (ko) | 치장벽돌벽스페이서 | |
JPH07259211A (ja) | 閉塞性防火構造およびその施工法 | |
JP2003221889A (ja) | プレハブ式建築物構築物等用の耐火パネル | |
KR200317112Y1 (ko) | 건축용 벽돌 | |
KR20210032645A (ko) | 난방 배관 판넬 | |
JP2020169507A (ja) | 耐火被覆構造および耐火被覆工法 | |
CN218522115U (zh) | 一种连接龙骨及其防火墙板结构 | |
JP6389555B2 (ja) | 断熱パネル | |
KR20190019814A (ko) | 단열벽체의 시공구조 | |
JP2005082987A (ja) | 間仕切壁構造 | |
KR20050034071A (ko) | 건축물 내외장용 경량패널 | |
KR100509062B1 (ko) | 건축용 벽돌 | |
JP2006193937A (ja) | ダクト貫通部の処理構造 | |
EP3540308B1 (en) |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a lamp incorporated in a wall or wall caldding | |
KR200189571Y1 (ko) | 샤프트 월용 석고보드 내화구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