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062B1 - 건축용 벽돌 - Google Patents

건축용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062B1
KR100509062B1 KR10-2003-0013618A KR20030013618A KR100509062B1 KR 100509062 B1 KR100509062 B1 KR 100509062B1 KR 20030013618 A KR20030013618 A KR 20030013618A KR 100509062 B1 KR100509062 B1 KR 100509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building
space
resin material
bod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768A (ko
Inventor
구경회
Original Assignee
구경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경회 filed Critical 구경회
Priority to KR10-2003-0013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062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04C1/41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load-bearing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돌 자체의 내부 구조에 의해 냉기와 소음 등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므로써, 건축물 축조시 단열재 시공을 위한 별도의 후 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단열 및 방음효과가 우수한 건축용 벽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벽체를 축조하기 위한 벽돌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구조적 강성체로 된 바디블록(10) 내부에 공간부(13)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13) 양측에는 상기 바디블록(10)을 절개하는 소정간격의 차단홈(17)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3) 내부에는 발포성 수지재(20)가 충전되어 이 발포성 수지재(20)에 의해 차단홈(17)을 중심으로 하는 바디블록(10)의 전방부(11)와 후방부(15)를 일체로 부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벽돌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용 벽돌{Architectural brick}
본 발명은 단열 및 방음효과가 우수한 건축용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돌 자체의 내부 구조에 의해 냉기와 소음 등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므로써, 건축물 축조시 단열재 시공을 위한 별도의 후 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단열 및 방음효과가 우수한 건축용 벽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건축용 벽돌은 대략 사각의 적벽돌 또는 시멘트벽돌로 제작되며 이를 적층하여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각각의 벽돌은 단열 및 방음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축조된 벽체 내측에 별도의 단열재를 대고, 이 단열재 바깥쪽에 불연성 석고보드를 설치하여 마감 처리하는 등 별도의 후 작업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벽돌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축조하게 되면, 작업이 복잡하고, 건축물 시공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상기 벽돌에 의해 축조된 벽체는 화재시 상기 석고보드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그 내측에 위치된 단열재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화재의 위험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벽돌 내부에 공간부(13)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13)에 단열재(30)를 충전하여, 단열 및 방음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벽돌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벽돌도 단열재(30) 둘레에는 시멘트몰탈(40)이나 석재 등의 비 단열재로 둘러싸기 때문에, 이 시멘트몰탈(40) 등을 따라 냉기나 소음이 여전히 건축물 내,외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내,외부로 전달되는 냉기와 소음 등을 벽돌 자체의 내부구조에 의해 차단되도록 하므로써,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단열 및 방음효과가 우수한 건축용 벽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건축물의 벽체를 축조하기 위한 벽돌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구조적 강성체로 된 바디블록(10) 내부에 공간부(13)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13) 양측에는 상기 바디블록(10)을 절개하는 소정간격의 차단홈(17)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3) 내부에는 발포성 수지재(20)가 충전되어 이 발포성 수지재(20)에 의해 차단홈(17)을 중심으로 하는 바디블록(10)의 전방부(11)와 후방부(15)를 일체로 부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벽돌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간부(13) 양측의 차단홈(17)은 전후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건축물 축조시 인접 배치된 벽돌의 차단홈(17)끼리 서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벽돌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의 사시도와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건축용 벽돌은 시멘트몰탈이나 석재 등으로 된 바디블록(10) 내부에 발포성 수지재(20)가 충전되는 공간부(13)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13) 양측에는 상기 바디블록(10)을 전방부(11)와 후방부(15)로 분할하는 소정간격의 차단홈(17)이 형성되어, 상기 발포성 수지재(20)와 차단홈(17)에 의해 냉기 및 소음이 차단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바디블록(10)은 시멘트몰탈이나 석재, 타일 등의 구조적 강성체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13)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이 공간부(13)에 후술할 발포성 수지재(20)가 충전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13)의 양측에는 바디블록(10)을 전방부(11)와 후방부(15)로 분할하여 서로 이격 배치한 소정간격의 차단홈(17)이 형성되어 구조적 강성체인 바디블록(10)을 통해 전달되는 냉기와 소음 등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13) 양측의 차단홈(17)은 전후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건축물 축조시 서로 인접된 벽돌의 차단홈(17)끼리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차단홈(17)을 중심으로 하는 바디블록(10)의 전방부(11)와 후방부(15)가 인접 배치된 벽돌의 일측벽에 방음 몰탈 등으로 부착되어 그 구조적 강도가 개선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홈(17)은 경우에 따라서 공간부(13) 양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되, 바디블록(10)의 전방부(11)와 후방부(15)를 완전히 분할되지 않도록 차단홈(17)의 상단 또는 하단의 일부구간만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디블록(10)의 공간부(13)에는 우레탄 등의 발포성 수지재(20)를 충전하여 이 발포성 수지재(20)에 의해 전방부(11)와 후방부(15)로 분할 형성된 바디블록(10)을 일체로 접착함과 더불어, 방음 및 단열효과를 갖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발포성 수지재(20)는 전술한 우레탄 이외에도 단열 및 방음효과가 있고, 전방부(11)와 후방부(15)로 분할된 바디블록(10)을 일체화되도록 접착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벽돌은 그 내부의 공간부(13)에 발포성 수지재(20)가 충전되어 단열 및 방음효과를 갖게 됨은 물론, 이 발포성 수지재(20) 둘레의 바디블록(10)에 대해서도 그 전방부(11)와 후방부(15)를 서로 분할하여 소정간격 이격시킨 차단홈(17)을 형성하므로써, 소음 및 냉기 등이 이 바디블록(10)을 통해서 축조된 건축물의 내,외측으로 전달되는 것까지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벽돌은 종래와 같이 건축물 축조 후 별도로 단열재 및 석고보드 등을 설치하는 후 공정이 불필요함에 따라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건축비가 줄어드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또한, 시공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발포성 수지재(20)가 종래의 석고보드와는 다른 견고한 벽체 내부에 매입되어 있으므로, 불이 붙을 염려가 없으며, 경우에 따라 누전 등으로 발포성 수지재(20)에 불이 붙더라도 이 수지재가 견고한 바디블록(10)에 의해 둘러싸여져 원활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불이 확산되지 않고 바로 소화되어 난연성이 뛰어난 건축물이 축조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벽돌은 두께방향 중앙부를 횡단하는 가상의 구획선(D)을 중심으로 그 전방(F)과 후방(R)이 좌우로 단차져 형성되고, 이 전방(F)과 후방(R)부의 내부에는 상기 발포성 수지재(20)가 충전되는 전후방 공간부(13)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후방 공간부(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간부(13) 양측에는 전술한 차단홈(17)이 형성되어 구조적 강성체인 바디블록(10)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과 냉기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및 방음재인 발포성 수지재(20)가 두께방향의 전방(F)과 후방(R)에 이중으로 구비되어, 단열 및 방음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다른 실시예는 어느 하나의 공간부(13) 양측에는 차단홈(17)이 형성되어 구조적 강성체인 바디블록(10)을 통해 전달되는 냉기나 소음을 차단하면서도 차단홈(17)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부분에 의해서는 벽돌의 구조적 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벽돌은 그 전후방(F,R)이 좌우로 서로 단차져 형성되므로, 벽체 축조시 인접된 벽돌끼리 서로 맞물려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벽돌은 그 내부의 공간부(13)에 발포성 수지재(20)가 충전되어 단열 및 방음효과를 갖게 됨은 물론, 이 발포성 수지재(20) 둘레의 바디블록(10)에도 소음 및 냉기 등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홈(17)이 형성되어, 벽돌 자체만으로도 냉기와 소음이 차단되므로, 별도의 단열시공을 거치지 않더라도 단열 및 방음효과가 매우 우수한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벽돌은 건축물 축조 후 별도로 단열재 및 석고보드 등을 설치하는 후 공정이 불필요함에 따라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건축비가 절감되며, 화재 발생시 발포성 수지재(20)가 견고한 벽체 내부에 매입되어 종래의 석고보드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것에 비해 난연성이 향상되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벽돌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블록 13 : 공간부
17 : 차단홈 20 : 발포성 수지재

Claims (2)

  1. 건축물의 벽체를 축조하기 위한 벽돌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구조적 강성체로 된 바디블록(10) 내부에 공간부(13)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13) 양측에는 상기 바디블록(10)을 절개하는 소정간격의 차단홈(17)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3) 내부에는 발포성 수지재(20)가 충전되어 이 발포성 수지재(20)에 의해 차단홈(17)을 중심으로 하는 바디블록(10)의 전방부(11)와 후방부(15)를 일체로 부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벽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3) 양측의 차단홈(17)은 전후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건축물 축조시 인접 배치된 벽돌의 차단홈(17)끼리 서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벽돌.
KR10-2003-0013618A 2003-03-05 2003-03-05 건축용 벽돌 KR100509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618A KR100509062B1 (ko) 2003-03-05 2003-03-05 건축용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618A KR100509062B1 (ko) 2003-03-05 2003-03-05 건축용 벽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450U Division KR200314077Y1 (ko) 2003-03-05 2003-03-05 건축용 벽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768A KR20040078768A (ko) 2004-09-13
KR100509062B1 true KR100509062B1 (ko) 2005-08-19

Family

ID=3736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618A KR100509062B1 (ko) 2003-03-05 2003-03-05 건축용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494B1 (ko) * 2007-10-05 2007-12-11 (주) 한국스치로폴 건축용 경량 단열블록
CN104947919B (zh) * 2015-06-24 2018-01-02 深圳市建筑科学研究院股份有限公司 楼板隔声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768A (ko) 2004-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692B1 (ko) 경량블럭을 이용한 단열과 방음기능이 개선된 벽체구조
KR100718701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101306936B1 (ko) 압출성형 단열 복합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외벽재의 시공 방법
KR100509062B1 (ko) 건축용 벽돌
KR200314077Y1 (ko) 건축용 벽돌
KR100701497B1 (ko) 건축용 무모르타르 블럭
KR200317112Y1 (ko) 건축용 벽돌
CN213268561U (zh) 一种卫生间专用夹芯板墙
KR101551873B1 (ko) 공동주택용 단열 및 방음구조
KR100711709B1 (ko) 건축용 벽돌
KR200223802Y1 (ko) 건축용 무기질 경량패널
KR100770058B1 (ko) 기능성 벽돌
KR100519081B1 (ko) 천장용 차음판넬
KR102321970B1 (ko) 화재 시 기밀효과를 갖는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092199A (ja) 高遮音複合壁
JP4565659B2 (ja) タイル
KR100667108B1 (ko) 건축물의 내벽체구조
KR200231263Y1 (ko) 건축용 석재판넬
KR200308740Y1 (ko) 복층 건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체
KR0136228Y1 (ko) 건축용 콘크리트 방음 블록
KR200292420Y1 (ko) 건축용 블록
JPH10231566A (ja) 吸音板
KR100608083B1 (ko) 건축용 차음 및 내화판넬
KR100743386B1 (ko) 건축용 티형 블럭
KR200327346Y1 (ko) 건축용 벽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