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263Y1 - 건축용 석재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용 석재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263Y1
KR200231263Y1 KR2020010003935U KR20010003935U KR200231263Y1 KR 200231263 Y1 KR200231263 Y1 KR 200231263Y1 KR 2020010003935 U KR2020010003935 U KR 2020010003935U KR 20010003935 U KR20010003935 U KR 20010003935U KR 200231263 Y1 KR200231263 Y1 KR 200231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anel
stone
building
panel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2020010003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2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263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석재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석재판넬의 이면에 방수 및 단열, 불연성을 가진 단열판넬을 부착한 개량형의 석재판넬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석재판넬(1)은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건축용 천연 석재판(2)의 이면부에 폴리우레탄폼(poly urethane foam)으로 이루어진 방수층(4)을 갖는 단열방수층(3)을 일체로 형성하여 석재판넬(1)을 형성함으로서 기존의 석재판넬을 시공하는 것에 비하여 염가의 시공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아주 뛰어나고, 시공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시공작업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으며, 별도의 단열재 등을 시공할 필요가 없어 벽두께의 감소로 공간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건축물의 경량화에도 일조할 수 있으며, 기존 석재판 보다 내충격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방수성도 일층 배가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석재판넬{A stone panel for construction use}
본 고안은 건축용 석재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석재판넬의 이면에 방수 및 단열, 불연성을 가진 단열판넬을 부착한 개량형의 석재판넬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석재판넬(101)은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연 석재판을 적정의 규격으로 절단가공한 것을 사용하는바, 이러한 기존 석재판넬(101)을 외부 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는 석재의 특성상 방수 및 단열을 별도로 행하여야 한다.
즉, 건축물(102)의 외면부에 앵커볼트(103)와 브라켓(104) 등을 사용하여 석재판넬(101)을 고정시공한 후 건축물(102)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스치로폼 등과 같은 단열재(105)와 벽돌(106)을 선택적으로 시공한 후 마감모르타르(107)를 사용하여 미장작업으로 마감을 하고 있다.
결국, 종래 석재판넬(101)을 사용하는 경우는 석재판넬(101) 시공 후 별도로 단열재(105) 및 방수재 등을 시공하여야 하므로 시공성의 번거로움 및 공기(工期)의 장기화는 차치하고라도 건축물 내부의 공간점유면적이 좁아져 효율적인 공간활용에 장애가 되어 왔으며, 건축물의 중량화, 그리고 석재판넬의 내충격성 등도 보장받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석재판넬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석재판넬에 단열 및 방수, 불연성, 내충격성 등을 동시에 갖도록 하여 염가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그로 인한 시공작업에 따른 공기의 단축, 공간점유 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석재판넬을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a,1b는 종래의 건축용 석재판넬을 보인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석재판넬 2:석재판
3:단열방수층 4:방수층
101:석재판넬 102:건축물
103:앵커볼트 104:브라켓
105:단열재 106:벽돌
107:마감모르타르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석재판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이의 시공상태를 보인 단면구성도로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의 구성부재와 동일 구성부재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키로 한다.
즉, 본 고안은 통상의 천연 석재판(2)의 이면부에 폴리우레탄폼(poly urethane foam)을 사용한 단열방수층(3)을 일체로 구성토록 한다.
상기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단열방수층(3)은 석재판(2)을 통상의 발포 금형 내부에 미리 인서팅한 후 이의 상면부에 폴리우레탄폼을 주입하고 소정온도로 발포시켜서 양자가 상호 일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석재판(2)과 단열방수층(3)의 접합면에는 폴리우레탄폼이 발포과정에서 일체화되면서 방수층(4)이 피막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석재판넬(1)은 통상의 석재판넬 시공방법과같이 건축물(102)의 외면부에 앵커볼트(103)와 브라켓(104)을 사용하여 시공한 후 건축물(102)의 내면부에는 마감모르타르(107)만 마감작업으로 미장작업을 행하면 간단히 시공작업이 완료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석재판넬(1)은 석재판(2)의 이면부에 단열 및 방수기능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불연성의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단열방수층(3) 및 방수층(4)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와 건축물 내부사이에 단열 기능 및 방수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단열방수층(3)은 석재판(2)의 변질을 방지하고 내충격성도 동시에 향상시켜 수명을 보다 장구히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석재판넬(1)은 건축물의 내외장재 등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천연 석재판(2)의 이면부에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단열방수층(3) 및 방수층(4)을 일체로 형성하여 석재판넬(1)을 형성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다수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우선 기존의 석재판넬을 시공하는 것에 비하여 염가의 시공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아주 뛰어나고, 시공이 간편, 용이하여 시공작업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으며, 별도의 단열재 등을 시공할 필요가 없어 벽두께의 감소로 공간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건축물의 경량화에도 일조할 수 있으며, 기존 석재판에 비하여 변질성이 없으며 외부 충격 등에 대하여 내충격성을 최대로 향상할 수 있고, 방수성도일층 배가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예상외로 다대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건축용 천연 석재판(2)으로 이루어지는 석재판넬(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석재판(2)의 이면에는 폴리우레탄폼으로 구성되는 방수층(4)을 갖는 단열방수층(3)을 일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KR2020010003935U 2001-02-16 2001-02-16 건축용 석재판넬 KR200231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35U KR200231263Y1 (ko) 2001-02-16 2001-02-16 건축용 석재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35U KR200231263Y1 (ko) 2001-02-16 2001-02-16 건축용 석재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263Y1 true KR200231263Y1 (ko) 2001-07-19

Family

ID=7306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935U KR200231263Y1 (ko) 2001-02-16 2001-02-16 건축용 석재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2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248B2 (en) Method of making building panel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panels
EP1994238A2 (en) Building panel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panels and method therefor
KR100361582B1 (ko) 방수단열용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RU2131501C1 (ru) Блок строительный стеновой
KR100191272B1 (ko)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KR200231263Y1 (ko) 건축용 석재판넬
US20050284100A1 (en)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WO2014030111A1 (en) A modular assembly for the construction of insulated building structures
KR101029833B1 (ko) 차음 및 단열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와 바닥구조
KR100505836B1 (ko) 건축용 벽돌
EA019257B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изоляционный бло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835338B1 (ko)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KR100493133B1 (ko) 건축용 벽돌
KR200377961Y1 (ko) 보강부재를 구비한 건축용 복합 판넬
KR20070047526A (ko) 초경량 세라믹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3238213U (ja) 内窓枠の周囲に四周板が付設された外断熱建築物の壁構造
KR200397738Y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KR100639482B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KR100509062B1 (ko) 건축용 벽돌
KR200223802Y1 (ko) 건축용 무기질 경량패널
KR100463671B1 (ko) 건축물의 비내력 벽체용 조립식 패널
KR200317112Y1 (ko) 건축용 벽돌
KR200308740Y1 (ko) 복층 건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체
JP4028821B2 (ja) 建築構造物の断熱補強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20100084397A (ko) 바닥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