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272B1 -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272B1
KR100191272B1 KR1019960067111A KR19960067111A KR100191272B1 KR 100191272 B1 KR100191272 B1 KR 100191272B1 KR 1019960067111 A KR1019960067111 A KR 1019960067111A KR 19960067111 A KR19960067111 A KR 19960067111A KR 100191272 B1 KR100191272 B1 KR 100191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building
construction
panel
o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179A (ko
Inventor
이봉섭
Original Assignee
이봉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섭 filed Critical 이봉섭
Priority to KR101996006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272B1/ko
Publication of KR97001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1/00Fibreboard
    • D21J1/06Dry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1Waste products, e.g. sludg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71Mixtures of material ; Pulp or paper comprising several different materials not incorporated by special processes
    • D21H17/74Mixtures of material ; Pulp or paper comprising several different materials not incorporated by special process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1/00Fibreboard
    • D21J1/04P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황토판넬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건축자재들은 인건비의 상승도를 감안하여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완충층으로 사용하거나, 발포폴리스티렌폼, 특수 방음보드나 암면, 유리면을 완충재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상기와 같이 건축자재들은 건축폐기물의 처리가 마당하게 마련되지 않아 심각한 환경오염문제가 거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정선된 황토 68% 폐지펄프 30%의 혼합물에 물풀 2%를 가교제로 한 혼합조성물에 20%의 물을 붓고 토련기로 반죽해 압출한 소지(素地)를 압출로울러로 일정두께의 평판넬로 규격 성형한 다음 80~150℃ 열풍 콘베어라인에 2시간 정도 노출시켜 고결(固結)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포폴리스티렌폼에 비하여 보다 우수한 보온 방음 효과 및 적절한 통기성을 유지함으로서 쾌적한 주거생활을 즐길수 있도록 한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본 발명은 건축용 황토판넬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 시멘트 콘트리트제나 암면 등의 제품에 비하여 원적외선의 방출 및 단열효과가 뛰어나며 건축폐기물도 일반폐기물의 대상으로 처리될수 있도록함을 목적으로 한 건축용 황토판넬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들로는 120-150㎜ 두께의 콘크리트 슬래브상에 30㎜정도의 두께로 경량콘크리트, 발포폴리스티렌폼, 릭스폴콘크리트 등을 적층 시키며, 상기와 같은 단열층위에 통상 완충층을 적층하는데 완충층소재로는 경량기포콘크리트와 자갈층, 또는 발포포리스티렌폼이나, P.E필림, 모래 또는 마감모르터 등을 적층하는 방법들이 일반적인 시공방법으로 통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인건비의 상승도를 감안하여 원가절감과 공기단축 및 시공성 등을 감안해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완충층으로 사용하거나, 일부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발포폴리스티렌폼과 자갈층의 단순한 구조를 사용해 폴리스티렌폼 단열판에 300㎜간격으로 50㎜구멍을 뚫고 그위에 느름모르터를 시공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통상적으로 발포폴리스티렌폼판넬에 구멍을 뚫은 유공발포폴리스티렌폼이라하며, 구멍을 뚫지 않는 것은 무공폴리스티렌폼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일부에는 특수방음보드나 암면, 유리면을 완충재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요소중에서 완충판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벽체 및 바닥체로 사용되는 건축자재들로서는 통풍성이 좋지 않지만, 보온 및 방음차폐 효과등은 양호하다.
반면 시공이 불편하며, 또한 재건축시 발생하는 스츠로폼 및 특수 방음보드나 암면, 유리면 등의 건축폐기물의 처리가 마당하게 마련되지 않아 심각한 환경오염문제가 거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해 안출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정선된 황토 68% 폐지펄프 30%의 혼합물에 물풀 2%를 가교제로 한 혼합조성물에 20%의 물을 붓고 토련기로 반죽해 압출한 소지(素地)를 압출로울러로 일정두께의 평판넬로 규격 성형한 다음 80~150℃ 열풍 콘베어라인에 2시간 정도 노출시켜 고결(固結)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위와 같이 제조된 건축용 황토판넬은 평판으로된 발포폴리스티렌폼에 비하여 보다 우수한 보온 방음 효과 및 적절한 통기성을 유지함으로서 쾌적한 주거생활을 즐길수 있도록한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정선된 황토 68% 폐지펄프 30%의 혼합물에 물풀 2%를 가교제로 한 혼합조성물에 20%의 물을 붓고 토련기로 반죽해 압출한 소지(素地)를 압출로울러로 일정두께의 평판넬로 규격 성형한 다음 80~150℃ 열풍 콘베어라인에 2시간 정도 노출시켜 고결(固結)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KR1019960067111A 1996-12-18 1996-12-18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KR10019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111A KR100191272B1 (ko) 1996-12-18 1996-12-18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111A KR100191272B1 (ko) 1996-12-18 1996-12-18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179A KR970011179A (ko) 1997-03-27
KR100191272B1 true KR100191272B1 (ko) 1999-06-15

Family

ID=1948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7111A KR100191272B1 (ko) 1996-12-18 1996-12-18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2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345A (ko) * 2001-01-04 2002-07-11 이행락 생활쓰레기와 폐목재를 이용한 다용도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58995A (ko) * 2003-05-23 2003-07-07 오주희 황토를 이용한 가구 판자 제조방법
DE10238897B4 (de) * 2001-09-07 2007-06-28 O.P. Tech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ckerhaltigen Platten und ockerhaltige Platte zur Verwendung als Baumaterial für den Innenberei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610B1 (ko) * 1998-07-23 2001-05-02 박정언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02884B1 (ko) * 1998-10-09 2001-11-30 문동철 황토제품제조방법
KR20000067509A (ko) * 1999-04-29 2000-11-25 김명옥 황토장식판넬
KR20010018770A (ko) * 1999-08-21 2001-03-15 이병학 황토와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와 벽돌 제조방법
KR100512941B1 (ko) * 2002-07-10 2005-09-07 김묘연 불연 및 경량성 내장판넬의 제조방법
KR100907151B1 (ko) * 2007-10-08 2009-07-09 이상호 황토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KR200493726Y1 (ko) * 2019-10-02 2021-06-23 세대산전 주식회사 전기구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345A (ko) * 2001-01-04 2002-07-11 이행락 생활쓰레기와 폐목재를 이용한 다용도 판재 및 그 제조방법
DE10238897B4 (de) * 2001-09-07 2007-06-28 O.P. Tech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ckerhaltigen Platten und ockerhaltige Platte zur Verwendung als Baumaterial für den Innenbereich
KR20030058995A (ko) * 2003-05-23 2003-07-07 오주희 황토를 이용한 가구 판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179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742B1 (ko) 바닥충격음 저감 기능을 갖는 상,하 층간 소음방지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0191272B1 (ko)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KR100346230B1 (ko) 콘크리트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547953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7951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0138273B1 (ko) 건축용 벽체판넬(dry wall panel)의 제조방법
KR20070047526A (ko) 초경량 세라믹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4523B1 (ko) 건축물 내외벽용 경량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547952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7954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68591Y1 (ko) 콘크리트 판넬
KR100547955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의 시공방법
KR20050015828A (ko) 고단열 고강도 자기발포 경량 콘크리트를 이용하여파렛트형의 경량 프리캐스트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JP3336461B2 (ja) 外断熱壁材
KR100532540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차음 기능을 갖는 뜬바닥 구조층용기포 콘크리트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217782697U (zh) 一种保温隔声板
WO2008089414A1 (en) Building panel for walls, roofs and floors, buildings made therefrom and construction techniques using such panels
KR20240066202A (ko)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KR20040027858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00962A (ko) 황토 조성물과 c 형강을 이용한 황토 건축구조물의시공방법
KR200335546Y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20010079254A (ko) 볏짚과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 외벽 방음패널의제조방법 및 그 방음패널
KR20040014003A (ko) 단열방진 경량콘크리트 조성물
JP3285672B2 (ja) 化粧板先付けモルタルコート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プレキャスト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253815B1 (ko) 결로방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