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610B1 -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610B1
KR100288610B1 KR1019980029716A KR19980029716A KR100288610B1 KR 100288610 B1 KR100288610 B1 KR 100288610B1 KR 1019980029716 A KR1019980029716 A KR 1019980029716A KR 19980029716 A KR19980029716 A KR 19980029716A KR 100288610 B1 KR100288610 B1 KR 100288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aper
water
powder
interior material
sti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8474A (ko
Inventor
박정언
Original Assignee
박정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언 filed Critical 박정언
Priority to KR1019980029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610B1/ko
Publication of KR19990078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04B18/241Paper, e.g. waste paper; Paper pul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9Feeding; Proportioning; 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10Moulding of mats
    • B27N3/12Moulding of mats from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18Auxiliary operations, e.g. preheating, humidifying, cutting-of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01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unburned cla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1/00Fibreboard
    • D21J1/04Press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1/00Fibreboard
    • D21J1/06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제조 방법은, 이물질이 제거된 다량의폐지를 파쇄기에서 소정의 크기로 파쇄 시키는 단계, 상기 파쇄 단계에서 파쇄된 다량의 폐지를 정수된 물이 채워진 교반기에 넣어 충분히 불리는 단계, 정선된 황토, 게르마늄 및 쑥분말을 상기 교반기에 적정량을 투입하여 일정시간 동안 교반시키는 단계, 상기 교반단계에서 혼합물이 완전히 혼합되었을 때 소정의 색상이 구비되도록 염료를 첨가시키는 단계,상기 혼합물의 용이한 결합을위해 상기 교반기에 풀등의 접합제를 투입하여 응고되지 않을 정도로 열을 가하는 단계, 상기 교반기에서 잘 혼합된 내장재의 원료를 소정의 형틀에 넣고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압착,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압착, 건조 단계에서 건조된 판재를 소정의 크기와 모양으로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따라, 폐지를 주 원료로하고 인체에 이로운 황토, 게르마늄, 쑥등이 첨가된 단일체의 내장재를 제공하므로써 그 시공이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감소되며, 폐지의 재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건축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지를 주 원료로하고 인체에 이로운 황토, 게르마늄, 쑥등이 첨가된 단일체의 내장재를 제공하므로써 그 시공이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감소되며, 폐지의 재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interior material for bui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usingwastepap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사무실, 및 관공서 등에서 배출되는 폐지는 엄청나지만 이러한 폐지의 재활용은 극히 미비한 수준이다. 예컨대, 선진국의 폐지 재활용은 70% 이상이지만 우리 나라의 폐지 재활용은 10% 미만인 것을 감안하면 폐지 재활용의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따라 재활용되지 않은 폐지는 쓰레기와 함께 매립되거나, 소각되어 토양과 대기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건축용 내장재의 전형적인 시공방법을 보면, 건물의 벽과 천장에 각목등을 이용하여 공간을 형성시킨후 그 공간에 스치로폴등의 단열재를 부착시킨다. 그후, 합판 및 석고보드등의 박판재를 상기 단열재에 설치하고 인테리어 기능을살리기 위하여 벽지를 박판재에 바르므로써 마무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건축용 내장재로서는 고가의 원목, 대리석, 스테인레스 스틸등을 사용하고 그시공방법 또한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내장재의 설치비용이 증대될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이 감소된다. 또한 폐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함으로써 자원이 낭비될뿐아니라 폐지를 소각시키므로써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건축용 내장재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목적은 폐지를 주 원료로하고 인체에 이로운 황토, 게르마늄, 쑥등이 첨가된 단일체의 내장재를 제공하므로써 설치비용이감소되고 설치가 용이하므로써 작업 효율이 증대되며, 폐지의 재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므로써 이에따른 환경오염을감소시킬수 있는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파쇄 단계 110 : 불림 단계
120 : 교반 단계 130 : 첨가 단계
140 : 가열 단계 150 : 압축, 건조 단계
160 : 재단 단계
본 발명에 의해 상기 목적은 쉽게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의 제조 방법은, 이물질이 제거된 다량의 폐지를 파쇄기에서 소정의 크기로 파쇄 시키는 단계, 상기 파쇄 단계에서 파쇄된 다량의 폐지를 정수된 물이 채워진 교반기에 넣어 충분히 불리는 단계, 정선된 황토, 게르마늄 및 쑥분말을 상기 교반기에 적정량을 투입하여 일정시간 동안 교반시키는 단계, 상기 교반단계에서 혼합물이 완전히 혼합되었을 때 소정의 색상이 구비되도록 염료를첨가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의 용이한 결합을위해 상기 교반기에 풀등의 접합제를 투입하여 응고되지 않을 정도로 열을가하는 단계, 상기 교반기에서 잘 혼합된 내장재의 원료를 소정의 형틀에 넣고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압착,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압착, 건조 단계에서 건조된 판재를 소정의 크기와 모양으로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폐지의 물에 대한 중량비는 60 내지 70%; 상기 황토분말의 물에 대한 중량비는 5 내지15%; 상기 게르마늄분말의 물에 대한 중량비는 5 내지 10%; 상기 쑥분말의 물에 대한 중량비는 10 내지 15%; 및 상기 접합제의 전체 혼합된 원료에 대한 중량비는 5%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건축용 내장재는 물에 대한 중량비가 60 내지 70%인 폐지; 5 내지 15%인 황토분말; 5 내지 10%인 게르마늄 분말; 10 내지 15%인 쑥 분말 또는 액기스; 및 전체 혼합된 원료에 대한 중량비가 5%인 접합제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된 다량의 폐지에서 못, 클립 등의 이물질을 우선적으로 제거한 후 파쇄기로 소정의 크기로 파쇄시키는데(100), 이러한 폐지가 후술할 불림 단계(110)에서 정수된 물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불리도록 잘게 파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수된 물을 이용하는 것은 악취를 없애기 위하는 것이며, 이러한 물을 교반기에 넣은후, 상기 파쇄 단계(100)에서 파쇄된 다량의 폐지를 물의 중량에 비하여 60 내지 70%정도로 상기한 교반기에 옮기는데 침지된 폐지가 충분히 물을 흡수하여잘 불리도록 교반시키게 된다.
그후, 아주 미세하게 분쇄된 황토, 게르마늄 및 쑥분말을 물의 중량에 대하여 각각 5 내지 15%, 5 내지 10% 및 10 내지15%의 양으로 교반기에 투입하여 파쇄된 폐지 및 정수된 물과 잘 혼합할 수 있도록 일정시간 동안 교반 시킨다(120). 그리고, 이때 맥반석과 같은 인체에 이로운 광물을 소량 첨가하는것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광석 및 쑥 분말을 첨가 시키므로써 다음과 같은 잇점을 구비하게된다.
즉, 황토는 6-10μ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이러한 원적외선은 인체의 생리작용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혈액의 흐름을 촉진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중금속을 몸밖으로 배출시키는 효과를 수반한다. 그리고, 이러한 황토분말을 첨가시키므로써폐지에 인쇄된 잉크류 역시 황토색으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잉크탈색공정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시간및 경제적손실을 줄일수 있다. 또한, 게르마늄은 우리 몸 안에 있는 60억 조에 달하는 세포 조직에 산소를 풍부하게 공급하여 활성화시키며, BRM(생체방어활성인자) 감마인터페론을 자체 생성시켜 주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머리를 맑게 하여주며 또한 체내의 불순물과 독성을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게르마늄은 약 1000℃에서 구운 것을 사용하여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쑥은 예로부터 약효가 인정된 것으로 상기 교반기에 첨가시 쑥 액기스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광석 및 쑥 분말이나 액기스를 건축용 내장재의 원료에 첨가시키므로써인체에 이롭게되어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광석 분말의 교반단계(120)에서 혼합물이 완전히 혼합되었을 때 소정의 색상이 구비되도록 염료를 첨가시키는데 염색이 잘될수 있도록 충분히 섞는다(130). 그후, 투입된 염료에 의해 염색된 교반기내의 원료에 응집력을 부여하기 위해 밀가루 풀과 같은 접합제를 첨가하여 응고되지 않을 정도로 열을 가하면서 연속하여 섞는다(140). 이때 상기한접합제의 전체 혼합된 원료에 대한 중량비는 5%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이 단계에서 본 출원인이 실시한 바로는 30℃ 이하의 열에서는 응집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30℃이상의 열로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교반기에서 잘 혼합된 건축용 내장재의 원료는 배출기를 통하여 소정의 양만큼 원하는 형상의 형틀에 주입되고 압착기를 이용하여 수요자가 원하는 형상과 두께가 될 수 있도록 압착하면서 완전히 건조되게된다(150). 이러한 압착,건조 단계(150)에서 건조되어 형성된 판상의 건축용 내장재는 소정의 크기와 모양으로 재단되어(160) 건물의 벽이나 천장, 방바닥 등에 설치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폐지의 재활용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므로써 환경오염이 현저히 감소하고 산업발전에 기여 할 수 있게되며, 또한 폐지를 주 원료로한 단일체의내장재를 제공하므로써 설치비용이 감소되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 효율이 증대된다. 게다가, 황토, 게르마늄 및 쑥분말등을 첨가하므로써 쾌적한 주거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물질이 제거된 폐지를 파쇄기에서 소정의 크기로 파쇄 시키는 단계; 파쇄 단계에서 파쇄된 폐지를 정수된 물이 채워진 교반기에 넣어 충분히 불리는 단계; 물에 대한 중량비가 5 내지 15%인 황토 분말, 물에 대한 중량비가 5 내지 10%인 게르마늄 분말 및 물에 대한 중량비가 10 내지 15%인 쑥 분말을 상기 교반기에 투입하여 일정시간동안 교반시키는 단계; 교반단계에서 혼합물이 완전히 혼합되었을 때 소정의 색상이 구비되도록 염료를 첨가시키는 단계; 혼합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상기 교반기에 풀 등의 접합제를 전체 혼합된 원료에 대한 중량비가 5%가 되도록 투입하여 응고되지 않을 정도로 열을 가하는 단계; 상기 교반기에서 혼합된 내장재의 원료를 소정의 형틀에 넣고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압착 및 건조시키는 단계; 및 압착, 건조 단계에서 건조된 판재를 소정의 크기와 모양으로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를이용한 건축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19980029716A 1998-07-23 1998-07-23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288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716A KR100288610B1 (ko) 1998-07-23 1998-07-23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716A KR100288610B1 (ko) 1998-07-23 1998-07-23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474A KR19990078474A (ko) 1999-11-05
KR100288610B1 true KR100288610B1 (ko) 2001-05-02

Family

ID=3751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716A KR100288610B1 (ko) 1998-07-23 1998-07-23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662A (ko) * 2001-03-03 2001-07-13 이찬숙 폐지를 이용한 황토 골판지용 조성물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416A (ko) * 2001-02-10 2002-08-17 백효현 폐자재를 이용한 건축 마감재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의하여 제조된 건축자재
KR100390336B1 (ko) * 2001-02-27 2003-07-10 이영호 건축 내장용 황토판 제조방법 및 그 황토판
KR100478980B1 (ko) * 2001-12-12 2005-03-24 이석재 제지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0611A (ko) * 2002-06-21 2004-01-07 김광석 게르마늄, 적토를 이용한 다목적 판넬 제조방법
KR101645382B1 (ko) * 2015-02-25 2016-08-0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폐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비내력벽 조성물과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179A (ko) * 1996-12-18 1997-03-27 이봉섭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KR970051968U (ko) * 1996-02-09 1997-09-08 황만철 흙 판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1968U (ko) * 1996-02-09 1997-09-08 황만철 흙 판넬
KR970011179A (ko) * 1996-12-18 1997-03-27 이봉섭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662A (ko) * 2001-03-03 2001-07-13 이찬숙 폐지를 이용한 황토 골판지용 조성물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474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2596A (en) Method of producing shaped articles of fiber/binder mixtures
GR3018243T3 (en) Process for establishing optimum soil conditions by naturally forming tilth.
KR100288610B1 (ko) 폐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8032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게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201193217Y (zh) 污泥烧结砖的生产装置
CN103073264A (zh) 一种利用高含水污泥制备陶粒的方法
KR100310097B1 (ko) 굴껍질(석화)과 곡물껍질을 응용한 건축용 판넬성형방법
CN102899114A (zh) 利用食品废弃物和禽畜粪便的燃料制备方法
KR102244600B1 (ko) 목초액과 소각재를 이용한 토목건축용 블럭 제조방법
KR19980086454A (ko) 폐기물 오니를 이용한 건축 및 건설용 블록(block)의 제조방법
KR100979707B1 (ko)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고체연료
CN212820149U (zh) 一种用于处理工业固废残渣的装置
CN101982504B (zh) 以聚丙烯酸及其钠盐为粘合剂与废弃植物纤维制备板材的方法
US20220162126A1 (en) Conversion of gypsum waste into foamed construction material
KR100389966B1 (ko) 폐 멜라민과 폐 페놀수지화장판을 부재료로 이용한 파티클보드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파티클보드
CN113121194A (zh) 一种利用城市废物和工业固废制备建筑3d打印材料的系统及方法
CN109081644A (zh) 一种废弃塑料再利用的处理方法
CN213792053U (zh) 一种生态建材粉碎系统
KR20000063993A (ko) 음식 폐기물 발효 퇴비 및 그 제조방법
CN211142637U (zh) 一种废纸和木屑再利用装置
JPH0643680B2 (ja) 単層繊維板の製造方法
KR20110016150A (ko) 건축폐기물및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
TWI283658B (en) Paper clay with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high plasticity
JP2720366B2 (ja) 単層繊維板の製造方法
JPH09302145A (ja) 微細粉末成型体およびその成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