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202A -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 Google Patents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202A
KR20240066202A KR1020220141079A KR20220141079A KR20240066202A KR 20240066202 A KR20240066202 A KR 20240066202A KR 1020220141079 A KR1020220141079 A KR 1020220141079A KR 20220141079 A KR20220141079 A KR 20220141079A KR 20240066202 A KR20240066202 A KR 20240066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roof
sound
noise reduction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근
Original Assignee
이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근 filed Critical 이윤근
Priority to KR102022014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6202A/ko
Publication of KR2024006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20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04B18/241Paper, e.g. waste paper; Paper pulp
    • C04B18/243Waste from paper processing or recycling paper, e.g. de-inking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슬래브 상에 마련되는 흡음단열부와 상기 흡음단열부 내부에 마련되는 방진탄성복합부와 상기 흡음단열부 상부에 마련되는 방진 몰탈성형마감판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바닥면에서 발생되는 층간 소음의 원인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바닥면의 시공속도가 월등하게 향상되게 되어 공기단축은 물론이고 시공비용이 월등하게 절감되는 것이 가능한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FLOOR NOISE RED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슬래브 상에 마련되는 흡음단열부와 상기 흡음단열부 내부에 마련되는 방진탄성복합부와 상기 흡음단열부 상부에 마련되는 방진 몰탈성형마감판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바닥면에서 발생되는 층간 소음의 원인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바닥면의 시공속도가 월등하게 향상되게 되어 공기단축은 물론이고 시공비용이 월등하게 절감되는 것이 가능한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가구 주택 및 아파트의 바닥 시공방법은 슬래브 상부에 층간소음 저감재, 기포콘크리트, 마감 몰탈성형마감판 및 바닥마감재 순서로 시공되어진다.
층간소음 저감재는 슬래브와 경량 기포콘크리트 사이에 스티로폼(EPS) 및 발포고무재(EVA)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경량기포 콘크리트는 흡음성능 및 단열성능의 효과가 저조할 뿐만 아니라 크랙이 발생하여 층간소음 차단효과가 시공 후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시공시 믹서설비와 몰탈이송을 위한 펌프카 등이 필요하며, 동절기 시공이 어렵고 별도의 양생시간이 필요하여 시공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차음재로서 스티로폼(EPS) 또는 발포고무(EVA)를 적용하는 방법은 단열성능은 우수하나 층간소음 저감효과는 저조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 경화현상 및 처짐현상으로 인하여 시공 이후 소음저감 효과가 더욱 감소하데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EPS( 영문 전체 필요 ) 및 EVA( 영문 전체 필요 )는 합판규격의 넓은 규격으로 시공되므로 시공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슬래브 상부가 평탄하지 않으므로 표면의 평탄성이 없어서 표면형태의 불규칙으로 인한 밀착시공이 어려워 충격음에 대한 공진, 공명현상이 유발되기 때문에 층간소음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방진 마운트에 의한 완전 띄움방식의 층간소음 저감재가 특허가 다수가 제안되어 있다(등록특허 10-2021-0075128, 등록특허 10-2019-0119355, 등록특허 10-2014-0111784, 등록특허 10-2014-007687).
상기 발명들은 방진마운트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재로서 평판구조의 EPS 및 EVA 대비하여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기능이 우수하나, 연질의 차음재를 적용하여 시공후 마감몰탈성형마감판 크랙 및 처짐현상 발생되어 바닥면의 표면이 평탄화되지 않으며 상기 크랙을 통하여 소음이 하부로 쉽게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음재 구성이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계열 및 EPS 단열재로 구성되어 있어 화재시 유독가스 발생되어 소방관이나 거주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층간소음에 대한 법적규제가 강화되면서 콘크리트 슬래브만의 두께를 높이는 경우에는 층간소음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건축비만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층간소음의 문제는 중량 충격음이 63Hz 이하의 저주파 음역대 진동으로 야기됨으로써 단일 방진재의 재질로서는 중량충격음의 진동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포 콘크리트 대신에 공장에서 생산된 모듈형 방진 몰탈성형마감판를 적용하여 진동감쇄의 효과를 제공하면서 2종 이상의 다중 구조의 방진탄성복합부를 제공하여 흡음효과를 월등하게 높이고, 별도의 흡음단열부를 제공하여 단열효과와 차음효과를 제공하여 층간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슬래브 상에 마련되는 흡음단열부; 상기 흡음단열부 내부에 마련되는 방진탄성복합부; 상기 흡음단열부 상부에 마련되는 방진 몰탈성형마감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에 의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흡음단열부는 폴리에스터 압축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진탄성복합부는, 방진마운트 본체유닛과, 상기 방진마운트 본체유닛의 상부에 제1 탄성부, 방진마운트 본체유닛의 하부에 제2 탄성부의 3중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진탄성복합부의 방진마운트 본체유닛은 고무로 형성되며, 제1탄성부재는 연질 고밀도 발포우레탄으로 형성되며, 제2 탄성부재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진 몰탈성형마감판는, 물 1,000kg 기준으로, 포트랜트 시멘트 1,800∼2,200kg, 바텀애쉬 400∼500kg, 고로슬래그 40∼60kg, 게르마늄 황토 20∼30kg, 종이슬래그 2∼3kg가 혼합되어 교반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진 몰탈성형마감판 하부 면에 방진탄성복합부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홈이 형성되고 에어포켓을 형성하는 격자형태로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 상부에 차수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알루미늄 증착필름으로 합지된 폴리에틸렌 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는, 층간소음 특히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으면서 종래의 기포콘크리트 적용을 배제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으며, 고유진동수 및 동탄성 계수가 다른 3중의 탄성부재를 형성한 방진재의 구조체를 구성하여 우수한 중량충격음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는, 방진 몰탈성형마감판 하부에 방진탄성복합부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홈이 형성되고 에어포켓을 형성하는 격자형태로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지지대가 형성되어 그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가 있게 되어 건축물의 층고를 높게 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중량충격음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가 설치되어 바닥의 난방시설이 설치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의 방진탄성복합부의 다른 형태의 개략적인 단면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슬래브(S)상에 배치되는 흡음단열부(1)와, 상기 흡음단열부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설치공에 삽입되어 신축되는 방진탄성복합부(2)와, 상기 흡음단열부(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의 상부가 고정된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을 포함한다.
상기 흡음단열부(1)는, 폴리에스터 압축보드(polyester compact board)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다수의 폴리에스터 섬유가 보드상으로 절단된 것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압축보드는, 폴리에스터 섬유를 압축하여 만든 인체 무해한 환경친화적 신소재 보드이고, 이와 같은 상기 폴리에스터 압축보드로 제조된 상기 흡음단열재는 풍화나 비산 등 먼지 발생을 유발하는 유해환경 요소를 갖는 석고보드, 유리섬유 판넬 등의 재료를 대신할 수 있는 친환경소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음단열부(1)는 폴리에스터의 섬유의 자체융합으로 삼차원의 망상구조를 구성하여 인장강도와 유연함을 동시에 가지며, 내부에 연결된 기공을 보유하여 흡음성, 단열성 및 경량성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흡음부(1)는 난연성 및 습기 안정성이 뛰어나 화재시 저융점 폴리에스터 성분이 저온에서 녹아 불꽃을 덮어서 화염의 진행을 막아주며, 연소시에도 유독가스의 발생이 없고, 폴리에스터 섬유의 고유특성인 습기 안정성이 우수하여 쉽게 배수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함습율 0.07%), 배수후에도 원래상태의 강도를 계속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마련된 상기 단열흡음부(1)는 20 ∼ 30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20mm 미만일 경우에는 흠음성능 및 단열성능이 미흡하며 반대로, 두께가 30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실내층고가 낮아지게 되어 답답하게 되어 나쁜 영향을 미치고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음단열부(1)의 폴리에스터의 섬유는 자체융합으로 삼차원의 망상구조를 구성하여 인장강도와 유연함을 동시에 가지며, 내부에 연결된 기공을 보유하여 흡음성, 단열성 및 경량성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흡음부(1)는 난연성 및 습기 안정성이 뛰어나 화재시 저융점 폴리에스터 성분이 저온에서 녹아 불꽃을 덮어서 화염의 진행을 막아주며, 연소시에도 유독가스의 발생이 없다. 그리고, 폴리에스터 섬유의 고유특성인 습기 안정성이 우수하여 쉽게 배수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함습율 0.07%), 배수후에도 원래상태의 강도를 계속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마련된 상기 단열흡음부(1)는 20∼30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20mm 미만일 경우에는 흠음성능 및 단열성능이 미흡하며 반대로, 두께가 30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실내층고 영향 및 경제적이지 못하다.
폴리에스터 단열흡음부(1)는 30 내지 80 kg/㎥ 범위의 밀도를 가지며, 상기 밀도는 바닥 충격음의 흡음효과 및 단열효과의 연관성이 있다. 폴리에스터의 밀도가 30 kg/㎥ 보다 작은 경우에는 흡음성능 및 단열성능의 효과가 저조하고, 밀도가 80 kg/㎥ 보다 큰 경우에는 구조적 안정성은 우수하나 경제성 대비 단열성능 및 흡음성능의 효과가 미비하다.
폴리에스터 단열흡음재의 밀도는 자체 시험결과 40 내지 50 kg/㎥가 적정하다.
상기 흡음단열부(1)는 내부에 방진탄성복합부(2)를 포함한다.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는 흡음단열부(1)의 내부의 설치공(11)에 삽입고정된다.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는 낮은 동탄성계수(resilient modulus) 및 고유진동수가 상이한 3중 구조로 형성되며, 방진마운트 본체유닛(21), 제1 탄성부재(22), 제2 탄성부재(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방진마운트 본체유닛(21)의 소재는 고무, 상기 제1 탄성부재(22)의 소재는 고밀도 발포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제2 탄성부재(23)의 소재는 실리콘(Silicone)으로 형성되며, 제1, 제2 탄성부재의 소재는 바꾸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진마운트 본체유닛(21)의 소재는 탄성력과 강도를 지닌 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진마운트 본체유닛(21)은 상부에 조립된 제1 탄성부재(22) 및 하부에 조립된 제2 탄성부재(23)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하부에 조립돌출부(21a)가 마련되며,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를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방진몰탈성형마감판(3)과 상기 슬래브(S)의 사이가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의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 4a에서, 상기 방진마운트 본체유닛(21)의 상하면에는 편평한 형태가 제안되어 있으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확실하게 방진마운트 본체유닛(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방진마운트 본체유닛(21)의 상하면에 요홈부(21b)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22), 제2 탄성부재(23)가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요홈부(21b)에 제1 탄성부재(22) 및 제2 탄성부재(23)가 안착되는 높이가 줄어들게 되어 방진탄성복합부(2)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는 낮은 동탄성 계수(resilient modulus) 및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가 상이한 3중 구조로 형성되며, 방진마운트 본체유닛(21), 제1 탄성부재(22), 제2 탄성부재(23)을 포함한다.
동탄성 계수는 바닥충격음 차단성능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결정짓게 되는 중요한 물성치 중의 하나이다. 동탄성 계수가 높게 되면 소재 경도가 높아 진동저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반대로 동탄성 계수가 너무 낮을 경우 마감 몰탈성형마감판(1)의 재하 하중에 대한 안정성 문제로 마감 몰탈성형마감판(1)의 크랙을 유발할 수 있다.
동탄성 계수의 측정은 일반적으로 정현파가진법과 펄스가진법이 이용되고 상기 측정방법은 공지된 것인 바, 동탄성 계수는 S=(2πfo)2*m의 식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S는 동탄성 계수(KS F2868에 의해 측정됨), m은 단위 면적당 하중판의 질량, fo은 시료의 고유진동수이다.
이하, 시험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동탄성 계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험 예
이하, 시험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동탄성 계수의 측정
No 완충재 두께(mm) 동탄성계수(MN/㎥) 비 고
1 EPS 1호 30 16.4 요철형
2 EVA 30 12.1 요철형
3 폴리에스터 30 1.9 40K
4 폴리우레탄 10 3.8 경도25
5 실리콘 10 4.3 경도25
본 동탄성 계수 측정은 KS F 2868(거주공간 뜬바닥용 재료의 동탄성 계수 측정방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펄스가진에 의한 시계열해석법으로 완충재의 동탄성 계수를 측정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1개의 부재로 형성된 방진마운트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의 동탄성 계수(resilient modulus)는, 방진마운트 본체유닛(21)이 **, 제1 탄성부재(22)가 **, 제2 탄성부재(23)가 ** 의 동탄성 계수를 가지므로, 본 발명의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는 3중의 서로 다른 동탄성 계수를 가지므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은, 물 1,000kg 기준으로, 포트랜트 시멘트 1,800∼2,200kg, 바텀애쉬 400∼500kg, 고로슬래그 40∼60kg, 게르마늄 황토 20∼30kg, 종이슬래그 2∼3kg가 혼합되어 교반된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들이 혼합되어 고체로 경화되어 현장에서 조립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바텀애쉬(Bottom Asy)는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재이며 한국의 화력발전에서 연간 수천∼수백만톤 발생하게 된다. 화력발전에서 생산되는 플라이애쉬는 대부분 시멘트 혼화재로 사용되고 있으나 바텀애쉬는 그 입도가 불규칙하여 일부는 경량골재로 사용되고 대부분이 매립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텀애쉬는 이와 같은 처리가 어려운 산업폐기물을 다량의 기공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활용하여 진동흡수 및 강도를 발현시키는 소재로 사용한다.
고로슬래그(Blastfurnace Slag)는 SiO₂, Al₂O₃, FeO₃, CaO, MgO의 조성물로서 제철공장에서 생산되는 산업폐기물이며, 콘크리트 배합에서 시멘트 대체용 결합제로 사용된다. 제철사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이러한 슬래그의 발생량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슬래그는 백색도를 나타내며 비표면적으로 5,000∼9,000㎠/g의 초미세 분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미분말의 고로슬래그의 분말도가 5,000㎠/g 미만이면 표면 활성도가 감소하고 9,000㎠/g 이상이면 표면 활성도는 충분하나 분쇄 제조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 고로슬래그 반응성은 염기도 및 유리화율이 높을수록 크고, 비중은 2.93∼2.96 범위이며, 산화제이철 함량은 0.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최종 결과물에 대하여 다른 분말과의 조성관계를 고려하면서 실험한 결과, 본 발명에서 초미분말 고로슬래그의 분말도는 비표면적으로 7,200㎠/g인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고로슬래그는 이러한 분말도를 가질 때 표면 활성도가 증가하여 Al₂O₃의 용출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에트링가이트(Ettrimgite)의 생성이 촉진되며, 또한, C-H-H계의 수화물들의 겔화를 촉진시키는 것과 동시에 미반응 부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게르마늄 황토는 약6천5백만년 이전인 중생대 백악기의 화산활동 결과로 생성된 화산재가 퇴적하여 조성된 천연 미네랄 광물로서 양질의 원적외선 방출, 습도조절, 곰팡이 발생 차단, 탈취효과 등의 친환경 및 기능성 소재이며 입도는 400∼420 메쉬가 바람직하다.
종이슬래그는 ***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의 하부 면에 길이 및 폭 방향(바둑판모양의 격자형태)으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된 돌기지지대(31)에 둘러쌓이게 한정되는 에어포켓공간(32)을 형성하여 소음을 흡수하고 단열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돌기지지대(31)는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의 하부에 구성되는 흡음단열부(1)와의 사이에 공기층(공기포켓)을 포함하는 에어포켓공간(32)을 형성하여 층간소음의 흡음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지지대(31)의 돌출된 부분은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의 견고한 휨강도와 경량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의 상기 돌기지지대(31)의 사이에는 방진탄성복합부(2)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홈(33)이 형성되어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것과 동시에 삽입고정홈(33)의 깊이만큼 전체적인 높이가 작아지게 되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A)의 설치높이가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는, 중량%로, 포트랜트 시멘트 50∼60%, 바텀애쉬 20∼25%, 게르마늄 황토 5∼8%, 종이슬래그 3∼5%가 혼합되어 교반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의 상부면에는 바로 난방배관(4)이 설치될 수가 있으나, 보다 안전한 시공을 위하여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의 상부면에 차수시트(5)가 설치될 수가 있다.
상기 차수시트(5)는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에틸렌 폼은 독립된 기공 셀에 의한 경량성 및 단열성능이 우수하며 화재시 화염전파를 늦추며 유해가스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 고효율 단열재이다
또한, 알루미늄 증착필름으로 합지된 폴리에티렌 폼은 습기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공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폼은 2 ∼ 5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의 작용효과를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건축물의 하부의 슬래브(S)상에 접하게 배치되는 흡음단열부(1)가 배치되고, 상기 흡음단열부(1)의 내측에 복수가 형성된 설치공(11)내에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가 삽입고정되고, 상기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의 상부의 상기 제1 탄성부재(22)가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의 삽입고정홈(33)에 삽입되게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다수의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의 상부에 차수시트(5)가 배치되고 상기 차수시트(5)의 상부에 난방배관(4)이 배치되고, 배치된 난방배관(4)상에 마감몰탈(6)이 도포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치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A)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이 공장에서 성형되어 현장에서 설치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현장에서 기포 몰탈을 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현저하게 빠르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의 하부에 설치되는 방진탄성복합부(2)가 3중의 재료로 조립되어 있으므로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는 3중의 서로 다른 동탄성 계수를 가지므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가 상부의 하중에 의하여 신축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의 하부 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지지대(31)에 둘러쌓이게 한정되는 에어포켓공간(32)에서 상부에서 발생된 소음이 하부에 구성되는 상기 흡음단열부(1)와 협동하여 소멸되게 되므로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상에 하중이 가해진다고 하더라도 상기 돌기지지대(31)의 돌출된 부분은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의 견고한 휨강도와 경량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손상됨이 없이 그대로 원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는, 층간소음 특히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으면서 종래의 기포콘크리트 적용을 배제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으며, 고유진동수 및 동탄성 계수가 다른 3중의 탄성부재를 형성한 방진재의 구조체를 구성하여 우수한 중량충격음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방진 몰탈성형마감판 하부에 방진탄성복합부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홈이 형성되고 에어포켓을 형성하는 격자형태로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지지대가 형성되어 그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가 있게 되어 건축물의 층고를 높게 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중량충격음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상에 돌출형성된 돌기지지대에 의하여 방진 몰탈성형마감판의 견고한 휨강도와 경량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손상됨이 없이 그대로 원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를 제조하는 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A :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S : 슬래브
1 : 흡음단열부
2 : 방진탄성복합부
3 : 몰탈성형마감판

Claims (5)

  1.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A)에 있어서,
    상기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A)는, 건축물의 슬래브(S)상에 배치되는 흡음단열부(1)와,
    상기 흡음단열부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설치공에 삽입되어 신축되는 방진탄성복합부(2)와,
    상기 흡음단열부(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의 상부가 고정된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탄성복합부는, 방진마운트 본체유닛과, 상기 방진마운트 본체유닛에 결합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서로 다른 동탄성 계수를 갖는 탄성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는 동탄성계 및 고유진동수가 상이한 3중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방진탄성복합부(2)를 구성하는 방진마운트 본체유닛(21)의 소재는 고무, 상기 제1 탄성부재(22)의 소재는 고밀도 발포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제2 탄성부재(23)의 소재는 실리콘(Silicone)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은, 물 1,000kg 기준으로, 포트랜트 시멘트 1,800∼2,200kg, 바텀애쉬 400∼500kg, 고로슬래그 40∼60kg, 게르마늄 황토 20∼30kg, 종이슬래그 2∼3kg가 혼합되어 교반된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들이 혼합되어 고체로 경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의 하부 면에는 격자형태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된 돌기지지대(3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지지대(31)에 둘러쌓이게 한정되는 에어포켓공간(32)이 형성되고,
    상기 방진 몰탈성형마감판(3)의 상기 돌기지지대(31)의 사이에는 방진탄성복합부(2)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홈(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단열부(1)는, 다수의 폴리에스터 섬유가 압축되어 사용되거나 폴리에스터 압축보드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흡음부(1)는 20 ∼ 30mm의 두께를 갖으며,
    상기 단열흡음부(1)는 30 내지 80 kg/㎥ 범위의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KR1020220141079A 2022-10-28 2022-10-28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KR20240066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079A KR20240066202A (ko) 2022-10-28 2022-10-28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079A KR20240066202A (ko) 2022-10-28 2022-10-28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202A true KR20240066202A (ko) 2024-05-14

Family

ID=9107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079A KR20240066202A (ko) 2022-10-28 2022-10-28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62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742B1 (ko) 바닥충격음 저감 기능을 갖는 상,하 층간 소음방지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0975644B1 (ko) 흑연발포폴리스티렌 비드를 사용한 경량콘크리트 패널
KR20060086005A (ko) 저회를 이용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KR100811747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03938B1 (ko) 3중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 방지 구조체
KR100908920B1 (ko)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KR100813152B1 (ko) 단열 및 내화성능이 향상된 흑연발포폴리스티렌 비드를사용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191272B1 (ko)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방법
KR20240066202A (ko)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KR102629422B1 (ko) 고성능 층간소음 저감 구조체
KR100831998B1 (ko)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층간충격음 저감 바닥 구조
KR100806728B1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KR200321612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20060127511A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20070047526A (ko) 초경량 세라믹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WO1993016244A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sound insulation quality of a hollow-core slab and a combination hollow-core with high sound insulation quality
KR20180021308A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
KR102177767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압축코르크 및 경량골재를 활용한 조립식 복합 방음 패널
CN112196216A (zh) 一种浮筑隔声装置及其铺设方法
KR102642937B1 (ko) 트레이형 층간 소음 저감 구조
KR200267004Y1 (ko) 방음패널
KR20040020608A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102177760B1 (ko) 압축코르크를 활용한 조립식 차음 패널
KR10249582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바닥구조
KR102623083B1 (ko) 공명공간을 제거한 1차 몰탈 타설식 소음방지 시공공법 및 시공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