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575U - 야외용 스토브 - Google Patents

야외용 스토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575U
KR20200002575U KR2020190002030U KR20190002030U KR20200002575U KR 20200002575 U KR20200002575 U KR 20200002575U KR 2020190002030 U KR2020190002030 U KR 2020190002030U KR 20190002030 U KR20190002030 U KR 20190002030U KR 20200002575 U KR20200002575 U KR 202000025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hole
fuel
partition wall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324Y1 (ko
Inventor
최태성
이흥재
Original Assignee
최태성
이흥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성, 이흥재 filed Critical 최태성
Priority to KR2020190002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2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5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6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6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개시되는 야외용 스토브가 케이스 부재와, 격벽 부재와, 포트 홀딩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화염에 의한 열에너지가 복수 번 이용됨으로써, 상기 야외용 스토브의 열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야외용 스토브{Stove for outdoor}
본 고안은 야외용 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야외용 스토브는 캠핑 등 야외에서 조리 등을 위해 화염을 제공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야외용 스토브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의 그 것들을 포함한 종래의 야외용 스토브에 의하면, 연료가 연소됨과 함께 그 연소에 의해 발생된 화염이 그대로 화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그러한 외부로 배출되는 화염을 이용하여 조리를 하는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화염이 단순히 외부로 배출되면서 1차적으로만 사용되어지고 있고, 그에 따라 열에너지 소모가 커서, 열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619440호, 등록일자: 2016.05.02., 발명의 명칭: 야외 캠핑용 스토브 등록실용신안 제 20-0022363호, 등록일자: 1982.08.31., 고안의 명칭: 스토브를겸용한야외용버어너 등록특허 제 10-1431387호, 등록일자: 2014.08.11., 발명의 명칭: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본 고안은 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화염에 의한 에너지가 복수 번 이용됨으로써, 열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야외용 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는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에 형성되어 연료가 투입되는 입구가 되는 연료 투입구와, 상기 케이스 몸체에 상기 연료 투입구와 별도로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되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연료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연료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에 의해 상기 케이스 몸체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상기 케이스 몸체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인 화염 토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구획 공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에서 발생된 상기 화염이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구획 공간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하는 격벽 부재; 및 상기 화염이 상기 격벽 부재에 의해 복수의 상기 구획 공간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도중에,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의 일부가 전달되는 포트 홀딩 부재(pot holding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 홀딩 부재에는 가열 대상 물질이 수용될 수 있는 물질 수용 수단이 올려질 수 있고, 상기 화염이 함유하고 있다가 상기 포트 홀딩 부재에 전달된 열에너지의 일부가 상기 포트 홀딩 부재에 올려진 상기 물질 수용 수단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물질 수용 수단에 수용된 상기 가열 대상 물질을 가열할 수 있고,
상기 포트 홀딩 부재를 경유한 상기 화염이 복수의 상기 구획 공간을 경유한 다음 상기 화염 토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부재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에 의하면, 상기 야외용 스토브가 케이스 부재와, 격벽 부재와, 포트 홀딩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화염에 의한 열에너지가 복수 번 이용됨으로써, 상기 야외용 스토브의 열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와 공기 흡입 조절 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를 구성하는 격벽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를 구성하는 격벽 부재를 구성하는 수평 분할 격벽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와 공기 흡입 조절 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를 구성하는 격벽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를 구성하는 격벽 부재를 구성하는 수평 분할 격벽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100)는 케이스 부재(110)와, 격벽 부재(130)와, 포트 홀딩 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부재(110)는 상기 야외용 스토브(100)의 내부를 외부와 분리시키는 것으로, 케이스 몸체(111)와, 연료 투입구(112)와, 공기 유입구(113)와, 화염 토출구(114)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몸체(111)는 직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내부에서 발생되어 유동되는 화염에 의해 전체적으로 데워지면서, 상기 야외용 스토브(100)가 난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일부가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내부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개방된 부분에는 투명창(미도시)이 형성되어 외부에 대하여 차폐된다.
상기 연료 투입구(112)는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일 측에 형성되어, 장작 등의 연료가 투입되는 입구가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 유입구(113)는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일 측에 상기 연료 투입구(112)와 별도로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되는 것이다.
상기 연료 투입구(112)와 상기 공기 유입구(113)는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같은 면 상에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화염 토출구(114)는 상기 연료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된 상기 연료와 상기 공기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에 의해 상기 케이스 몸체(111)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상기 케이스 몸체(111)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인 것으로,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덮개에 형성된다.
상기 격벽 부재(130)는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구획 공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111)에서 발생된 상기 화염이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구획 공간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상기 포트 홀딩 부재(pot holding member)(120)는 상기 화염이 상기 격벽 부재(130)에 의해 복수의 상기 구획 공간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도중에,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의 일부가 전달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트 홀딩 부재(120)에는 가열 대상 물질이 수용될 수 있는 냄비, 주전자, 커피 포트 등의 물질 수용 수단이 올려질 수 있고, 상기 화염이 함유하고 있다가 상기 포트 홀딩 부재(120)에 전달된 열에너지의 일부가 상기 포트 홀딩 부재(120)에 올려진 상기 물질 수용 수단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물질 수용 수단에 수용된 상기 가열 대상 물질을 가열할 수 있고, 상기 포트 홀딩 부재(120)를 경유한 상기 화염이 복수의 상기 구획 공간을 경유한 다음 상기 화염 토출구(114)를 통해 상기 케이스 부재(1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격벽 부재(130)는 수평 분할 격벽(136)과,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131)과, 화염 노출측 격벽(138)과, 전측 분리 격벽(139)과, 후측 분리 격벽(135)과, 화염 발생홀(147)과, 연료 공급홀(132)과, 상측 안내 격벽(140)과, 하측 안내 격벽(141)과, 연료 이동홀(146)과, 공기 이동홀(145)과, 공기 관통홀(142)과, 재 수용홀(144)과, 공기 공급홀(133)과, 화염 허들링홀(134)과, 화염 하강홀(148)과, 화염 하강 상승 연결홀(137)과, 화염 상승홀(149)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은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내부 공간을 상하의 두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이다.
상기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131)은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에 의해 분할된 공간 중 상기 연료 투입구(112), 상기 공기 유입구(113) 및 상기 화염 토출구(114)에 모두 연통되는 상부 공간에서, 상기 연료 투입구(112) 및 상기 공기 유입구(113)와 대면되되 상기 연료 투입구(112) 및 상기 공기 유입구(113)와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일 측 내벽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내부 공간 쪽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화염 노출측 격벽(138)은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에 의해 분할된 공간 중 상기 연료 투입구(112), 상기 공기 유입구(113) 및 상기 화염 토출구(114)에 모두 연통되는 상부 공간에서, 상기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131)과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타 측 내벽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전측 분리 격벽(139)은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에 의해 분할된 공간 중 상기 연료 투입구(112), 상기 공기 유입구(113) 및 상기 화염 토출구(114)에 모두 연통되는 상부 공간에서, 상기 공기 유입구(113) 및 상기 화염 토출구(114)에 모두 연통되는 공간과 상기 화염 토출구(114)에 연통되는 공간이 서로 구획되도록, 상기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131) 및 상기 화염 노출측 격벽(138)의 연결 지점과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내벽 중 상기 연료 투입구(112) 및 상기 공기 유입구(113)가 형성된 것인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전면 내벽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후측 분리 격벽(135)은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에 의해 분할된 공간 중 상기 연료 투입구(112), 상기 공기 유입구(113) 및 상기 화염 토출구(114)에 모두 연통되는 상부 공간에서, 상기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131)과 상기 화염 노출측 격벽(138)에 의해 막혀 상기 연료 투입구(112), 상기 공기 유입구(113)및 상기 화염 토출구(114)에 모두 비연통되는 상부 공간을 두 부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전측 분리 격벽(139)과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후면 내벽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화염 발생홀(147)은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일 측 내벽,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 상기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131) 및 상기 후측 분리 격벽(135)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연료 및 상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화염이 발생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화염 발생홀(147)에서는 최초에는 라이터 등의 별도의 점화기(미도시)에 의한 불꽃이 외부로부터 전달되어, 상기 화염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연료 공급홀(132)은 상기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131)의 하단과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의 상면이 일정 간격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료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된 상기 연료가 상기 화염 발생홀(147)로 공급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상측 안내 격벽(140)은 상기 연료 투입구(112)와 상기 연료 공급홀(132)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진 패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측 안내 격벽(140)의 양 측은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일 측 내벽과 상기 전측 분리 격벽(139)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하측 안내 격벽(141)은 상기 연료 투입구(112)와 상기 연료 공급홀(132)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상측 안내 격벽(140)과 평행하게 일정 각도로 경사진 패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측 안내 격벽(141)의 양 측은 상기 상측 안내 격벽(140)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일 측 내벽과 상기 전측 분리 격벽(139)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연료 이동홀(146)은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일 측 내벽, 상기 상측 안내 격벽(140), 상기 하측 안내 격벽(141) 및 상기 전측 분리 격벽(13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연료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된 상기 연료가 상기 연료 공급홀(132)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료 이동홀(146)은 상기 연료 투입구(112)로부터 상기 연료 공급홀(132)까지 일정 각도 경사진 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료 이동홀(146)에서는 상기 연료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된 상기 연료가 자중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하강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이동홀(145)은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일 측 내벽, 상기 하측 안내 격벽(141),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 및 상기 전측 분리 격벽(13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공기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료 이동홀(146)과 상기 공기 이동홀(145)은 상기 하측 안내 격벽(141)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화염 발생홀(147) 이외의 공간에서 임의로 상기 화염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관통홀(142)은 상기 공기 이동홀(145)을 통해 이동된 상기 공기가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의 하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에 관통 형성된 것이다.
상기 재 수용홀(144)은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의 하측 공간을 이루면서, 상기 공기 관통홀(142)을 통해 관통된 상기 공기가 경유되고, 상기 화염에 의해 발생되는 재가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번호 143은 상기 전측 분리 격벽(139) 및 상기 후측 분리 격벽(135)이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의 하측 공간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재 수용홀(144)을 구획하는 하측 공간 구획 패널이다.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일 측 내벽,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전면 내벽,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후면 내벽,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바닥 내벽,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 및 상기 하측 공간 구획 패널(14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재 수용홀(144)로 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홀(133)은 상기 재 수용홀(144)과 상기 화염 발생홀(147)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 중 상기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131)과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후면 내벽 사이 부분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재 수용홀(144) 내의 상기 공기가 상기 화염 발생홀(147)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화염 발생홀(147)로의 상기 공기의 공급 및 상기 화염 발생홀(147)로부터 상기 재 수용홀(144)로의 상기 재의 낙하는 가능하면서, 상기 화염 발생홀(147) 내의 상기 연료가 상기 재 수용홀(144)로 임의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공급홀(133)은 상기 연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염 허들링홀(134)은 상기 후측 분리 격벽(135)의 상단과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덮개 저면이 일정 간격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화염 발생홀(147)에서 발생되어 상기 화염 발생홀(147)을 통해 상승된 상기 화염이 상기 후측 분리 격벽(135)을 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화염 하강홀(148)은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타 측 내벽,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 상기 화염 노출측 격벽(138) 및 상기 후측 분리 격벽(13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화염 허들링홀(134)을 통해 넘어온 상기 화염이 하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화염 하강 상승 연결홀(137)은 상기 화염 노출측 격벽(138)의 하단과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의 상면이 일정 간격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화염 하강홀(148)을 통해 하강된 상기 화염이 상기 화염 하강홀(148)로부터 유출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상기 화염 상승홀(149)은 상기 케이스 몸체(111)의 타 측 내벽, 상기 수평 분할 격벽(136), 상기 화염 노출측 격벽(138) 및 상기 전측 분리 격벽(13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화염 토출구(114)와 그 상부가 연통되며, 상기 화염 하강 상승 연결홀(137)을 통해 유동된 상기 화염이 상기 화염 토출구(114)를 향해 상승되는 것이다.
상기 포트 홀딩 부재(120)는 포트 홀딩 몸체(121)와, 포트 홀딩 흡열판(122)을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열 전도가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트 홀딩 몸체(121)는 상기 화염 발생홀(147), 상기 화염 허들링홀(134) 및 상기 화염 하강홀(148)의 상부에 걸쳐 일정 면적의 패널 형태로 배치되고, 그 상단에 상기 물질 수용 수단이 올려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포트 홀딩 흡열판(122)은 상기 포트 홀딩 몸체(121)의 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복수 연장되어, 상기 화염 발생홀(147), 상기 화염 허들링홀(134) 및 상기 화염 하강홀(148)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 중 일부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야외용 스토브(100)는 공기 흡입 조절 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 흡입 조절 부재(150)는 상기 공기 유입구(113)의 개폐 정도를 가변시켜, 상기 공기 유입구(113)를 통한 상기 공기의 흡입 정도를 조절시키는 것이다.
상기 공기 유입구(113)는 바람개비 날개 형태로 복수 개가 하나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 조절 부재(150)는 상기 공기 유입구(113)의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원형 패널 형태로 형성된 공기 흡입 조절 몸체(151)와, 상기 공기 흡입 조절 몸체(151) 상에 복수 개 관통 형성되되 상기 각 공기 유입구(113)와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기 흡입 조절 개구(152)와, 상기 공기 흡입 조절 몸체(151)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공기 유입구(113)의 상기 중심점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153)을 포함한다.
사용자 등의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153)을 중심으로 상기 공기 흡입 조절 몸체(151)가 회전되면, 상기 각 공기 흡입 조절 개구(152)와 상기 각 공기 유입구(113)의 겹쳐지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상기 각 공기 흡입 조절 개구(152)와 상기 각 공기 유입구(113)가 겹쳐지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커질수록 상기 공기 유입구(113)를 통한 상기 공기의 유입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고, 상기 각 공기 흡입 조절 개구(152)와 상기 각 공기 유입구(113)가 겹쳐지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아질수록 상기 공기 유입구(113)를 통한 상기 공기의 유입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100)의 작동에 대화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연료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연료는 상기 연료 이동홀(146) 및 상기 연료 공급홀(132)을 통해 상기 화염 발생홀(147)로 공급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는 상기 공기 이동홀(145), 상기 공기 관통홀(142), 상기 재 수용홀(144) 및 상기 공기 공급홀(133)을 통해 상기 화염 발생홀(147)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상기 연료와 상기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화염 발생홀(147)에서 상기 화염이 발생된다.
상기 화염은 상기 화염 발생홀(147)을 통해 상승되어, 상기 화염 허들링홀(134)을 통해 상기 후측 분리 격벽(135)을 넘어 상기 화염 하강홀(148)을 통해 하강된 다음, 상기 화염 하강 상승 연결홀(137)을 통해 상기 화염 노출측 격벽(138)을 지나 상기 화염 상승홀(149)을 통해 상승된다.
그런 다음, 상기 상기 화염 토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화염이 상기 화염 발생홀(147), 상기 화염 허들링홀(134), 상기 화염 하강홀(148), 상기 화염 하강 상승 연결홀(137) 및 상기 화염 상승홀(149)을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 몸체(111)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면서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가 1차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몸체(111)가 전체적으로 데워지면서, 상기 야외용 스토브(100)가 난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포트 홀딩 부재(120)가 상기 화염 발생홀(147), 상기 화염 허들링홀(134) 및 상기 화염 하강홀(148)의 상부에 걸쳐 배치됨으로써, 상기 화염 발생홀(147), 상기 화염 허들링홀(134) 및 상기 화염 하강홀(148)을 통해 상기 화염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의 일부가 상기 포트 홀딩 부재(120)를 통해 상기 물질 수용 수단에 전달되면서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가 2차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익 물질 수용 수단에 수용된 상기 가열 대상 물질에 대한 가열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화염 토출구(114)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가 3차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화염 토출구(114)에 조리 기구 등을 비치하여, 상기 화염 토출구(114)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화염이 그러한 조리 등에 이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화염 발생홀(147)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어 상기 화염이 발생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상기 재는 상기 공기 공급홀(133)을 통해 낙하되어 상기 재 수용홀(144)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야외용 스토브(1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10)와, 상기 격벽 부재(130)와, 상기 포트 홀딩 부재(12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상기 화염에 의한 열에너지가 복수 번 이용됨으로써, 상기 야외용 스토브(100)의 열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야외용 스토브에 의하면, 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화염에 의한 열에너지가 복수 번 이용됨으로써, 열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야외용 스토브
110 : 케이스 부재
120 : 포트 홀딩 부재
130 : 격벽 부재
150 : 공기 흡입 조절 부재

Claims (5)

  1.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에 형성되어 연료가 투입되는 입구가 되는 연료 투입구와,
    상기 케이스 몸체에 상기 연료 투입구와 별도로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되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연료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연료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에 의해 상기 케이스 몸체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상기 케이스 몸체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인 화염 토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
    상기 케이스 부재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구획 공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에서 발생된 상기 화염이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구획 공간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하는 격벽 부재; 및
    상기 화염이 상기 격벽 부재에 의해 복수의 상기 구획 공간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도중에,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의 일부가 전달되는 포트 홀딩 부재(pot holding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 홀딩 부재에는 가열 대상 물질이 수용될 수 있는 물질 수용 수단이 올려질 수 있고, 상기 화염이 함유하고 있다가 상기 포트 홀딩 부재에 전달된 열에너지의 일부가 상기 포트 홀딩 부재에 올려진 상기 물질 수용 수단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물질 수용 수단에 수용된 상기 가열 대상 물질을 가열할 수 있고,
    상기 포트 홀딩 부재를 경유한 상기 화염이 복수의 상기 구획 공간을 경유한 다음 상기 화염 토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부재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스토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부재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 공간을 상하의 두 공간으로 구획하는 수평 분할 격벽과,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수평 분할 격벽에 의해 분할된 공간 중 상기 연료 투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화염 토출구에 모두 연통되는 상부 공간에서, 상기 연료 투입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와 대면되되 상기 연료 투입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상기 케이스 몸체의 일 측 내벽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 공간 쪽으로 연장되는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과,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수평 분할 격벽에 의해 분할된 공간 중 상기 연료 투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화염 토출구에 모두 연통되는 상부 공간에서, 상기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과 상기 케이스 몸체의 타 측 내벽을 연결하는 화염 노출측 격벽과,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수평 분할 격벽에 의해 분할된 공간 중 상기 연료 투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화염 토출구에 모두 연통되는 상부 공간에서,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화염 토출구에 모두 연통되는 공간과 상기 화염 토출구에 연통되는 공간이 서로 구획되도록, 상기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 및 상기 화염 노출측 격벽의 연결 지점과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벽 중 상기 연료 투입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것인 상기 케이스 몸체의 전면 내벽을 서로 연결하는 전측 분리 격벽과,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수평 분할 격벽에 의해 분할된 공간 중 상기 연료 투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화염 토출구에 모두 연통되는 상부 공간에서, 상기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과 상기 화염 노출측 격벽에 의해 막혀 상기 연료 투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및 상기 화염 토출구에 모두 비연통되는 상부 공간을 두 부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전측 분리 격벽과 상기 케이스 몸체의 후면 내벽을 서로 연결하는 후측 분리 격벽과,
    상기 케이스 몸체, 상기 수평 분할 격벽, 상기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 및 상기 후측 분리 격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화염이 발생될 수 있는 화염 발생홀과,
    상기 연료 및 공기 유입측 대면 격벽의 하단과 상기 수평 분할 격벽의 상면이 일정 간격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료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연료가 상기 화염 발생홀로 공급되는 통로가 되는 연료 공급홀과,
    상기 연료 투입구와 상기 연료 공급홀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 안내 격벽과,
    상기 연료 투입구와 상기 연료 공급홀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하측 안내 격벽과,
    상기 케이스 몸체, 상기 상측 안내 격벽, 상기 하측 안내 격벽 및 상기 전측 분리 격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연료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연료가 상기 연료 공급홀로 안내되도록 하는 연료 이동홀과,
    상기 케이스 몸체, 상기 하측 안내 격벽, 상기 수평 분할 격벽 및 상기 전측 분리 격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 이동홀과,
    상기 공기 이동홀을 통해 이동된 상기 공기가 상기 수평 분할 격벽의 하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수평 분할 격벽에 관통 형성된 공기 관통홀과,
    상기 수평 분할 격벽의 하측 공간을 이루면서, 상기 공기 관통홀을 통해 관통된 상기 공기가 경유되고, 상기 화염에 의해 발생되는 재가 수용될 수 있는 재 수용홀과,
    상기 재 수용홀과 상기 화염 발생홀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수평 분할 격벽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재 수용홀 내의 상기 공기가 상기 화염 발생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 공급홀과,
    상기 후측 분리 격벽의 상단과 상기 케이스 몸체의 덮개 저면이 일정 간격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화염 발생홀에서 발생되어 상기 화염 발생홀을 통해 상승된 상기 화염이 상기 후측 분리 격벽을 넘도록 하는 화염 허들링홀과,
    상기 케이스 몸체, 상기 수평 분할 격벽, 상기 화염 노출측 격벽 및 상기 후측 분리 격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화염 허들링홀을 통해 넘어온 상기 화염이 하강될 수 있는 화염 하강홀과,
    상기 화염 노출측 격벽의 하단과 상기 수평 분할 격벽의 상면이 일정 간격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화염 하강홀을 통해 하강된 상기 화염이 상기 화염 하강홀로부터 유출되는 통로가 되는 화염 하강 상승 연결홀과,
    상기 케이스 몸체, 상기 수평 분할 격벽, 상기 화염 노출측 격벽 및 상기 전측 분리 격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화염 토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화염 하강 상승 연결홀을 통해 유동된 상기 화염이 상기 화염 토출구를 향해 상승되는 화염 상승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연료는 상기 연료 이동홀 및 상기 연료 공급홀을 통해 상기 화염 발생홀로 공급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는 상기 공기 이동홀, 상기 공기 관통홀, 상기 재 수용홀 및 상기 공기 공급홀을 통해 상기 화염 발생홀로 공급되어, 상기 화염 발생홀에서 상기 화염이 발생되고,
    상기 화염은 상기 화염 발생홀을 통해 상승되어, 상기 화염 허들링홀을 통해 상기 후측 분리 격벽을 넘어 상기 화염 하강홀을 통해 하강된 다음, 상기 화염 하강 상승 연결홀을 통해 상기 화염 노출측 격벽을 지나 상기 화염 상승홀을 통해 상승된 다음, 상기 화염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상기 화염이 상기 화염 발생홀, 상기 화염 허들링홀, 상기 화염 하강홀, 상기 화염 하강 상승 연결홀 및 상기 화염 상승홀을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 몸체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면서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가 1차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상기 포트 홀딩 부재는 상기 화염 발생홀, 상기 화염 허들링홀 및 상기 화염 하강홀의 상부에 걸쳐 배치됨으로써, 상기 화염 발생홀, 상기 화염 허들링홀 및 상기 화염 하강홀을 통해 상기 화염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의 일부가 상기 포트 홀딩 부재를 통해 상기 물질 수용 수단에 전달되면서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가 2차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상기 화염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가 3차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스토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발생홀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어 상기 화염이 발생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재가 상기 공기 공급홀을 통해 낙하되어 상기 재 수용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스토브.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야외용 스토브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개폐 정도를 가변시켜,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한 상기 공기의 흡입 정도를 조절시키는 공기 흡입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스토브.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홀딩 부재는
    상기 화염 발생홀, 상기 화염 허들링홀 및 상기 화염 하강홀의 상부에 걸쳐 일정 면적의 패널 형태로 배치되고, 그 상단에 상기 물질 수용 수단이 올려질 수 있는 포트 홀딩 몸체와,
    상기 포트 홀딩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복수 연장되어, 상기 화염 발생홀, 상기 화염 허들링홀 및 상기 화염 하강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화염이 함유한 열에너지 중 일부를 흡수할 수 있는 포트 홀딩 흡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스토브.
KR2020190002030U 2019-05-20 2019-05-20 야외용 스토브 KR200493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30U KR200493324Y1 (ko) 2019-05-20 2019-05-20 야외용 스토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30U KR200493324Y1 (ko) 2019-05-20 2019-05-20 야외용 스토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75U true KR20200002575U (ko) 2020-11-30
KR200493324Y1 KR200493324Y1 (ko) 2021-03-10

Family

ID=7357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030U KR200493324Y1 (ko) 2019-05-20 2019-05-20 야외용 스토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633B1 (ko) 2022-04-08 2022-11-21 이종수 캠핑용 다기능 스토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387B1 (ko) 2013-07-08 2014-08-18 서명훈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KR101498865B1 (ko) * 2014-11-03 2015-03-05 유경순 터보식 화목 보일러
KR101524436B1 (ko) * 2014-05-04 2015-06-09 임재욱 화목겸용 펠렛난로
KR101619440B1 (ko) 2015-09-14 2016-05-10 김성재 야외 캠핑용 스토브
JP2017078553A (ja) * 2015-10-21 2017-04-27 百瀬機械設計株式会社 ロケットストーブ発電装置
KR200487595Y1 (ko) * 2017-03-30 2018-10-10 이한기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387B1 (ko) 2013-07-08 2014-08-18 서명훈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KR101524436B1 (ko) * 2014-05-04 2015-06-09 임재욱 화목겸용 펠렛난로
KR101498865B1 (ko) * 2014-11-03 2015-03-05 유경순 터보식 화목 보일러
KR101619440B1 (ko) 2015-09-14 2016-05-10 김성재 야외 캠핑용 스토브
JP2017078553A (ja) * 2015-10-21 2017-04-27 百瀬機械設計株式会社 ロケットストーブ発電装置
KR200487595Y1 (ko) * 2017-03-30 2018-10-10 이한기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24Y1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12387B (zh) 气体燃烧器和燃烧器盖
US9080774B2 (en) Cooker
US9702564B2 (en) Cooker
KR101392216B1 (ko)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가열장치
KR200486674Y1 (ko) 난로
KR20160022688A (ko) 화목난로
KR200493324Y1 (ko) 야외용 스토브
JP4785980B1 (ja) 燃焼装置
JP3175791U (ja) 加熱装置
KR10143113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JP6896276B2 (ja) 加熱調理器
JP2012254245A (ja) グリル
KR101782594B1 (ko)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KR10143112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JP6935091B2 (ja) 加熱調理器
KR101861205B1 (ko) 고형연료 난로
KR101723483B1 (ko)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JP7242111B1 (ja) 薪ストーブ
KR101751059B1 (ko) 빌트인 타입 가스오븐레인지
KR102591827B1 (ko)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JP3242406U (ja) ストーブ
JP6621509B2 (ja) 操作が容易な燃焼装置
JP6967771B2 (ja) 加熱調理器
KR101431134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200271448Y1 (ko) 숯불화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