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387B1 -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 Google Patents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387B1
KR101431387B1 KR1020130079416A KR20130079416A KR101431387B1 KR 101431387 B1 KR101431387 B1 KR 101431387B1 KR 1020130079416 A KR1020130079416 A KR 1020130079416A KR 20130079416 A KR20130079416 A KR 20130079416A KR 101431387 B1 KR101431387 B1 KR 101431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ipe
air
air inflow
combustion cylinder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명훈
Original Assignee
서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명훈 filed Critical 서명훈
Priority to KR102013007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3/00Heaters not covered by group F24B1/00, e.g. charcoal braz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0/00Combustion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ility or trans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3Supply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에 관한 것으로 하측 단부가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각각 관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홈이 형성되고,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고, 제1연결부에는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공기유입부가 형성되는 제1연소통과, 상기 제1연소통의 상측 단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측 단부가 안착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제1연소통의 제1공기유입부에 대응되게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관통되는 제2공기유입홈이 형성되고,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연결부가 형성되는 제2연소통과, 상기 제2연소통의 상측 단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측 단부가 안착되어 구비되며,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3연결부가 형성되고, 제3연결부에는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제3공기유입부가 형성되는 제3연소통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Stove for outdoor with multi-layer}
본 발명은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1연소통, 제2연소통 및 제3연소통을 적층 결합하고, 제1연소통의 내부에 열원으로 사용되는 화목 등을 삽입하여 착화할 시에 공기가 제3연소통의 상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와류되면서 열원까지 이동되게 함으로써 공기의 원활한 공급으로 인하여 열원으로 사용되는 화목이 완전연소되면서도 연기의 발생이 저감되고 열원의 화력 또한 상승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낚시나 캠핑 또는 레포츠 등의 다양한 레저 문화의 확산으로 야외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야외 레저 활동 시에 음식을 조리하거나 낮은 기온으로 인한 체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스토브, 버너 등의 다양한 가열용 제품들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토브, 버너 등은 음식을 조리하거나 체온의 저하 방지를 위한 연소를 하기 위해서는 열원으로 가스 또는 기름을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유발하면서도 열원으로 사용되는 가스 또는 기름을 휴대하기에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소부 및 보온부를 포함하는 펠릿 및 장작 겸용 스토브에 있어서, 연소부는 펠릿이나 장작을 연소하여 난방 기능을 수행하고, 연소부 및 보온부는 화염전달부를 통해 상호 접속되며, 보온부는 화염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난방열을 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1220호에서와 같이 공지된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의 제품은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야외 레저활동 시에 이동을 하면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은 외부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흐르지 않아 열원으로 사용되는 펠릿 및 장작 등이 불완전 연소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펠릿 및 장작 등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연기도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09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종래에 제품의 크기가 크면서도 무게가 무거워 야외 레저활동 시에 이동을 하면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외부에서 열원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열원으로 사용되는 펠릿 및 장작 등이 불완전 연소되고, 연기도 많이 발생하던 것을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1연소통, 제2연소통 및 제3연소통을 적층 결합하고, 제1연소통의 내부에 열원으로 사용되는 화목 등을 삽입하여 착화할 시에 공기가 제3연소통의 상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와류되면서 열원까지 이동되게 함으로써 공기의 원활한 공급으로 인하여 열원으로 사용되는 화목이 완전연소되면서도 연기의 발생이 저감되고 열원의 화력 또한 상승하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무게 또한 가벼워 야외 활동에 적합한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측 단부가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각각 관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홈이 형성되고,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고, 제1연결부에는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공기유입부가 형성되는 제1연소통과, 상기 제1연소통의 상측 단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측 단부가 안착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제1연소통의 제1공기유입부에 대응되게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관통되는 제2공기유입홈이 형성되고,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연결부가 형성되는 제2연소통과, 상기 제2연소통의 상측 단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측 단부가 안착되어 구비되며,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3연결부가 형성되고, 제3연결부에는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제3공기유입부가 형성되는 제3연소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1연소통, 제2연소통 및 제3연소통을 적층 결합하고, 제1연소통의 내부에 열원으로 사용되는 화목 등을 삽입하여 착화할 시에 공기가 제3연소통의 상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와류되면서 열원까지 이동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여 열원으로 사용되는 화목이 완전연소되고, 열원인 화목의 완전 연소로 인해 연기의 발생이 저감되며, 열원의 화력 또한 상승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무게 또한 가벼워 야외 활동에 적합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의 외부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절단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는 하측 단부가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각각 관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홈(12)이 형성되고,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연결부(14)가 형성되고, 제1연결부(14)에는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공기유입부(16)가 형성되는 제1연소통(10)과, 상기 제1연소통(10)의 상측 단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측 단부가 안착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제1연소통(10)의 제1공기유입부(16)에 대응되게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관통되는 제2공기유입홈(22)이 형성되고,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연결부(24)가 형성되는 제2연소통(20)과, 상기 제2연소통(20)의 상측 단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측 단부가 안착되어 구비되며,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3연결부(32)가 형성되고, 제3연결부(32)에는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제3공기유입부(34)가 형성되는 제3연소통(3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하측 단부가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각각 관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홈(12)이 형성되고,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연결부(14)가 형성되고, 제1연결부(14)에는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공기유입부(16)가 형성되는 제1연소통(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연소통(10)은 내열성을 갖는 원통형의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며,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공기유입홈(12)은 열원으로 사용되는 화목이나 숯, 펠릿 등에 착화를 하였을 시에 초기 불의 세기가 약할 때 외부 공기를 열원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14)는 후술되는 제2연소통(20)이 제1연소통(10)의 상측 단부에 안착될 시에 제2연소통(20)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제2연소통(20)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14)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제1공기유입부(16)가 형성되며, 제1공기유입부(16)의 상측은 개방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연소통(10)의 내측 공기유입홈(12)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18)가 형성되며, 돌기부(18)의 상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판형의 지지판(40)이 안착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40)의 상부에는 본 발명의 열원으로 사용되는 화목이나 펠릿, 숯 등이 안착되는 것이며, 지지판의 하부에는 열원이 타고 남은 재 등을 모아주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연소통(10)의 내측 지지판(40)의 하부에는 물을 채워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때 채워지는 물은 열원이 타고 남은 재 등이 바람에 의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연소통(10)의 상측 단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하부가 개방형인 하측 단부가 안착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제1연소통(10)의 제1공기유입부(16)에 대응되게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관통되는 제2공기유입홈(22)이 형성되고,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연결부(24)가 형성되는 제2연소통(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연소통(20)에 형성되는 제2공기유입홈(22)은 제1공기유입부(16)에 대응되게 다수개가 형성되어 열원으로 사용되는 화목이나 펠릿, 숯 등이 제1연소통(10)의 내부에서 착화 되었을 시에 초기 불의 세기가 약할 때 제1공기유입부(16) 및 제2공기유입홈(22)을 통하여 외부 공기를 열원에 공급하여 열원에 불이 잘 붙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연결부(24)는 후술되는 제3연소통(30)이 제2연소통(20)의 상측 단부에 안착 될 시에 제3연소통(30)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제3연소통(30)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연소통(20)의 상측 단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형으로 형성된 하측 단부가 안착되어 구비되며,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3연결부(32)가 형성되고, 제3연결부(32)에는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제3공기유입부(34)가 형성되는 제3연소통(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3연결부(34)의 상부에는 조리용기 등이 안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며, 제3연결부(32)의 상부에 조리용기 등이 안착되어 사용될 시에는 제3연결부(32)에 형성된 제3공기유입부(34)를 통해 제1연소통(10)으로 외부공기가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1연소통(10), 제2연소통(20) 및 제3연소통(30)은 각각의 높이가 20~40㎝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높이가 20㎝ 이하로 형성될 경우에는 제3연소통(30) 상부에서 제1연소통(10)에 있는 열원에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하부로 내려오면서 와류 되지 못하여 열원의 연소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각각의 높이가 40㎝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부피가 너무 커져서 이동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연소통(10), 제2연소통(20) 및 제3연소통(30)에는 각각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50)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의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연소통(10)에 구비되는 지지판(40)의 하부에 일정한 양의 물을 채운 뒤 열원으로 사용되는 화목이나 펠릿, 숯 등을 지지판(40)의 상부에 구비하여 착화시킨다. 그 다음으로는 제1연소통(10)의 상부에 제2연소통(20) 및 제3연소통(30)을 적층하여 구비하고, 제1연소통(10) 내측에 구비된 열원이 제대로 착화 될 때까지 외부공기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제1연소통(10)의 제1공기유입부(16)에 제2연소통(20)의 제2공기유입홈(22)을 맞춰 외부공기가 열원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한 과정 후에 열원에 불길이 어느 정도 커지면 제2연소통(20)을 회전시켜 제1연소통(10)의 제1공기유입부(16)에 제2연소통(20)의 제2공기유입홈(22)이 일치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을 막는다. 이는 열원이 발화하는데 필요한 외부공기를 제3연소통(30)의 상부에서 공급받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3연소통(30)을 통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제1연소통(10)에 있는 열원 측으로 와류 되면서 내려오게 되며, 이 와류 현상으로 인해 공기의 유입이 빨라지게 되면서도 많아지게 되어 열원의 연소가 잘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와류 되면서 공급되는 외부공기는 제1연소통(1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외부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열원이 골고루 연소 되면서도 완전 연소가 되고, 화력 또한 높아져서 연기의 발생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야외용 스토브 10 : 제1연소통
12 : 공기유입홈 14 : 제1연결부
16 : 제1공기유입부 18 : 돌기부
20 : 제2연소통 22 : 제2공기유입홈
24 : 제2연결부 30 : 제3연소통
32 : 제3연결부 34 : 제3공기유입부
40 : 지지판 50 : 손잡이

Claims (5)

  1. 하측 단부가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각각 관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홈(12)이 형성되고,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연결부(14)가 형성되고, 제1연결부(14)에는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공기유입부(16)가 형성되는 제1연소통(10);
    상기 제1연소통(10)의 상측 단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측 단부가 안착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제1연소통(10)의 제1공기유입부(16)에 대응되게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관통되는 제2공기유입홈(22)이 형성되고,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연결부(24)가 형성되는 제2연소통(20);
    상기 제2연소통(20)의 상측 단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측 단부가 안착되어 구비되며, 상측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3연결부(32)가 형성되고, 제3연결부(32)에는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제3공기유입부(34)가 형성되는 제3연소통(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소통(10)의 내측 공기유입홈(12)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18)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8)의 상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판형의 지지판(40)이 안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소통(10), 제2연소통(20) 및 제3연소통(30) 각각의 높이는 20~40㎝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유입부(16) 및 제3공기유입부(34)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KR1020130079416A 2013-07-08 2013-07-08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KR101431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416A KR101431387B1 (ko) 2013-07-08 2013-07-08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416A KR101431387B1 (ko) 2013-07-08 2013-07-08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387B1 true KR101431387B1 (ko) 2014-08-18

Family

ID=5175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416A KR101431387B1 (ko) 2013-07-08 2013-07-08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75U (ko) 2019-05-20 2020-11-30 최태성 야외용 스토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596Y1 (ko) * 1980-12-27 1982-04-09 이대연 구멍탄 연소통을 노출시킨 난로
US20110041828A1 (en) 2009-08-20 2011-02-24 Brad Litzenberger Portable campfire chimne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596Y1 (ko) * 1980-12-27 1982-04-09 이대연 구멍탄 연소통을 노출시킨 난로
US20110041828A1 (en) 2009-08-20 2011-02-24 Brad Litzenberger Portable campfire chimne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75U (ko) 2019-05-20 2020-11-30 최태성 야외용 스토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27554A1 (zh) 一种内燃式野营柴火炉
WO2014086135A1 (zh) 野营炉
KR20170002517U (ko) 고체연료용 화로
CN103776063A (zh) 高效低排放生物质节能炉
KR101431387B1 (ko) 적층구조를 갖는 야외용 스토브
KR200470513Y1 (ko) 난방 및 취사 모드로 전환 가능한 다목적 난로
CN203628716U (zh) 一种柴炉
CN214581261U (zh) 一种烧热效率高的节能减排燃气灶
JP5292442B2 (ja) クッキングストーブ
CN205717346U (zh) 采暖炉的气化燃烧配风机构
CN104913343B (zh) 一种炉灶装置
CN201715557U (zh) 生物质燃料炊用热水炉
CN206724233U (zh) 用于燃气灶的锅支架及燃气灶
CN218820519U (zh) 一种多功能炉具
CN217715869U (zh) 旋转燃烧炉
CN202328394U (zh) 双进气管燃气炉
CN202328396U (zh) 中压自动式点火燃气炉
CN107796022A (zh) 燃气灶口节能罩
CN103486586A (zh) 一种家用燃气燃烧器的内火盖及应用该内火盖的燃烧器
CN210601719U (zh) 一种热倒流循环烤火炉
CN202647839U (zh) 一种炉膛
CN202338923U (zh) 生物质气化炉
CN201522001U (zh) 多用节能灶
CN203215759U (zh) 平面阻隔燃气节能锅炉
CN110608434B (zh) 一种基于液体燃料燃烧的温差发电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