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553A -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553A
KR20200002553A KR1020180109240A KR20180109240A KR20200002553A KR 20200002553 A KR20200002553 A KR 20200002553A KR 1020180109240 A KR1020180109240 A KR 1020180109240A KR 20180109240 A KR20180109240 A KR 20180109240A KR 20200002553 A KR20200002553 A KR 20200002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support
frame
w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248B1 (ko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박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욱 filed Critical 박상욱
Priority to US16/301,41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277174A1/en
Priority to PCT/KR2018/011174 priority patent/WO2019235692A1/ko
Publication of KR2020000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은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핸드 리프트 장치에 설치되어 화물을 적재 가능한 화물 적재유닛으로서, 상기 핸드 리프트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핸드 리프트 장치를 통하여 승강 가능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화물을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는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평 상태로 배치되고, 화물의 적재 시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외측으로 벌어진 후 탄성력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며 상기 화물의 외면을 지지하는 파지날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암의 일 측에 화물의 적재 시 화물의 외면에 가압되어 외측으로 벌어진 후 탄성력 의해 자동적으로 내측으로 오므라들며 화물의 외면을 지지하는 파지날개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핸드 리프트 장치의 이동을 통해 파지날개를 화물의 외면에 슬라이드 이동 시키는 작업만으로 자동적으로 화물을 적재 가능하여 화물 적재 시간을 월등히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Cargo loading unit and hand lif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스 형태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 트럭 또는 운반대차 등과 같은 핸드 리프트 장치는 무거운 화물을 적재하고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재플레이트에 화물을 적재한 후 일정 각도로 눕힌 다음 바퀴를 이용하여 일정 거리까지 운반하는 방식과, 화물이 적재된 적재플레이트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방식이 사용된다.
종래에 핸드 리프트 장치는 작업자가 복수의 화물을 적재플레이트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처음에 화물을 바닥까지 내려가 있는 적재플레이트 위에 놓을 때에 허리를 굽혀 적재하여야 하고, 그 위에 순서대로 화물을 적재하는 동안 허리를 굽히거나 펴는 등 신체에 무리를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반대로, 핸드 리프트 장치의 적재플레이트에 복수로 적재된 화물을 하역할 때에도 화물을 옮기기 위하여 허리를 굽히거나 펴는 작업을 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더욱이 적재된 복수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핸드 리프트 장치를 일정 각도로 눕혀야 하지만, 여성 등의 노약자가 핸드 리프트 장치에 복수로 적재된 화물의 무게 때문에 쉽게 핸드 리프트 장치를 일정 각도로 눕히거나 바로 세우는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선행특허문헌 1은 핸드 트럭에 적재된 물품을 이동함에 있어 평지에서는 차륜과 등반 보조 부로 인해 안정적인 구조로 이동함과 아울러 계단과 같은 일정 높이의 단차가 형성된 장소에서는 내부 동력을 통한 등반 부의 회전 등반으로 물품을 안정적으로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킬 수 있는 핸드 트럭을 개시한다. 선행특허문헌 1 은 물품을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혹은 낮은 위치에 있는 물품을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를 위하여 리프트부를 구비하고 있기는 하지만, 개시된 핸드 트럭은 구조가 복잡하고 자체 중량이 크며 제작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선행특허문헌 2는 핸드카에 모터를 마련하여 동력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동과 적재판을 상승 또는 하강하는 리프트기능을 갖는 핸드카를 개시한다.
선행특허문헌 2는 물품을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혹은 낮은 위치에 있는 물품을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를 위하여 리프트부를 구비하고 있기는 하지만, 적재판에 고중량의 물품이 놓이게 되는 경우 리프트 기능을 부여하는 체인을 강고히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적재 안정성에 한계가 있는 구조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856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핸드 리프트 장치의 이동을 통해 파지날개를 화물의 외면에 슬라이드 이동 시키는 작업만으로 자동적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고, 화물의 적재 시 안정적으로 화물을 지지할 수 있는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은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핸드 리프트 장치에 설치되어 화물을 적재 가능한 화물 적재유닛으로서, 상기 핸드 리프트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핸드 리프트 장치를 통하여 승강 가능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화물을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는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평 상태로 배치되고, 화물의 적재 시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외측으로 벌어진 후 탄성력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며 상기 화물의 외면을 지지하는 파지날개;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핸드 리프트 장치에 설치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하측에 수평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암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암을 지지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암은,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암 및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부재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암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날개는, 상기 제1 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날개 및 상기 제2 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은 상기 수평부재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지지암은,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파지공간 조절유닛;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공간 조절유닛은, 상기 지지암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송블록; 상기 이송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파지날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래킷; 및 상기 지지암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브래킷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래킷을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물의 비적재시,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에 지지되는 상기 화물의 외면 사이의 거리 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날개는, 상기 지지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 상기 축부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 단부에 상기 화물의 적재 시 상기 화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경사 안내면이 형성되는 날개본체; 및 상기 축부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날개본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파지날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날개는 0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파지날개는, 상기 날개본체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의 적재 시 상기 화물의 외면에 접촉되어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가이드 롤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된 제1 스프로킷,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된 제2스프로킷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스프로킷 및 상기 제2 스프로킷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체인; 상기 체인과 연결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화물이 적재되도록 구성된 화물 적재유닛; 상기 화물 적재유닛이 승하강하도록 상기 체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프레임부가 형성하는 영역 중 상기 화물 적재유닛이 승하강하는 범위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근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화물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동을 조절하여 상기 화물 적재유닛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화물 적재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로드셀(load cel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부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지지부는, 내측에 상기 프레임부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슬롯을 형성하여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지지구조물; 상기 프레임지지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지지구조물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수행 가능한 휠; 및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단부에 상기 프레임부의 이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캐스터를 구비하는 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은 마그네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포크는 상기 지지패널의 표면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휠은,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휠 모터; 및 상기 휠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휠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통하여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휠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상향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프레임부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을 지지하는 수직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은,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프레임부의 양 측면 및 후면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서거나, 앉은 상태로 탑승 가능한 탑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암의 일 측에 화물의 적재 시 화물의 외면에 가압되어 외측으로 벌어진 후 탄성력 의해 자동적으로 내측으로 오므라들며 화물의 외면을 지지하는 파지날개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핸드 리프트 장치의 이동을 통해 파지날개를 화물의 외면에 슬라이드 이동 시키는 작업만으로 자동적으로 화물을 적재 가능하여 화물 적재 시간을 월등히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핸드 리프트 장치를 통해 화물 적재유닛을 상승시킬 경우, 화물의 단턱부를 지지하는 파지날개에 화물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더해지고, 이에 따라, 파지날개는 화물의 외면을 향하여 내측으로 더 오므라들게 되어 화물에 작용하는 지지력이 강화되고, 화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화물의 적재 시 화물의 바닥면을 지지하여 들어 올리지 않고, 수용공간에 수용된 화물의 둘레면을 지지함에 따라, 적재된 화물의 무게중심을 낮춰 보다 안정적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핸드 리프트 장치를 통하여 화물 적재유닛을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다량의 화물을 자동으로 하역할 수 있고, 적재된 화물을 설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의 제1 암에 제1 날개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의 수평부재에 제1 암 및 제2 암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의 제1 날개가 파지공간 조절유닛을 통해 제1 암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에 화물이 비적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에 화물이 적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의 날개본체에 가이드 롤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의 구동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의 구동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의 프레임부로부터 이동 지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의 프레임부에 고정 지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에 탑승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1)(이하 '화물 적재유닛(1)'이라 함)은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핸드 리프트 장치(2)에 설치되고, 핸드 리프트 장치(2)의 제어를 통해 자동적으로 화물의 적재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화물 적재유닛(1)은 지지프레임(11)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1)은 핸드 리프트 장치(2)에 설치되어 핸드 리프트 장치(2)를 통하여 승강 가능하고, 복수개의 구조물 형태로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지지프레임(11)은 핸드 리프트 장치(2)에 설치되는 수직부재(111), 수직부재(111)의 하측에 수평 상태로 배치되고, 후술할 지지암(12)과 연결되어 지지암(12)을 지지하는 수평부재(112), 및 수직부재(111)와 수평부재(112)를 연결하는 보강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화물 적재유닛(1)은 지지암(arm, 12)을 포함한다.
지지암(12)은 지지프레임(11)의 단부로부터 핸드 리프트 장치(2)의 전진방향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고, 내측에 화물을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space)을 형성한다. 그리고, 지지암(12)은 지지프레임(11)의 길이방향, 즉, 수평부재(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는, 지지암(12)은 수평부재(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부재(112)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암(12a) 및 수평부재(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부재(112)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암(1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의 제1 암에 제1 날개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1 암(12a)과 제2 암(12b)은 중공 형태의 관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암(12a)과 제2 암(12b)의 상면에는 후술할 파지날개(13)의 축부(131) 및 탄성부재(133)가 설치되는 지지구조물(1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구조물(121)은 내부가 관통된 터널 구조로 형성되고, 각 암(12a, 12b)의 상면에서 각 암(12a, 12b)의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중간 또는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b)를 참조하면, 지지구조물(121)이 각 암(12a, 12b)의 단부에 형성될 경우, 서로 대향 배치되는 각 암(12a, 12b)의 측면에는 파지날개(13)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편(12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암(12a) 및 제2 암(12b)은 수평부재(112)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수평부재(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의 수평부재에 제1 암 및 제2 암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암(12a)과 제2 암(12b)은 제1 구조물(122) 및 제2 구조물(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122)은 각각 수평부재(112)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부공간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일면에 파지날개(13) 및 탄성부재(133)가 설치되는 지지구조물(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조물(123)은 제1 구조물(12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 구조물(122)의 하중을 지지하고, 일부가 수평부재(112)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며, 제1 암(12a) 및 제2 암(12b)의 구동장치(125)가 구동될 경우, 가이드 홈(112a)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구조물(12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 구조물(123)의 일부분의 길이는 제1 구조물(122)의 전체 길이에 대응되거나, 제1 구조물(122)의 전체 길이의 1/2 이상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암(12a)과 제2 암(12b)의 각 단부에는 래크기어(112b)의 상측 및 하측에 대향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래크기어(112b)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복수개의 피니언 기어(124) 및 복수개의 피니언 기어(12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125)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암(12a)의 구동장치(125)와 제2 암(12b)의 구동장치(125)는 동시에 제어될 수 있으며, 구동 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 암(12a)과 제2 암(12b)의 상대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장치(125)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암(12a)과 제2 암(12b)의 상대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암(12a)의 구동장치(125) 및 제2 암(12b)의 구동장치(125)에 제어명령이 전송될 경우, 각 구동장치(125)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며 래크기어(112b)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암(12a)과 제2 암(12b)은 상대운동을 수행하여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부재(112)는 중공 형태의 관형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1 암(12a) 및 제2 암(12b)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고, 수평부재(112)의 일 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암(12a) 및 제2 암(12b)의 외면에 접촉되어 제1 암(12a)과 제2 암(12b)의 이동을 안내 가능한 가이드 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재(112)의 내측에는, 제1 암(12a) 및 제2 암(12b)에 각각 구비된 피니언 기어(124)와 치합되어 피니언 기어(124)의 이동을 안내하는 래크기어(112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의 제1 날개가 파지공간 조절유닛을 통해 제1 암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암(12)은 제1 암(12a) 및 제2 암(12b)에 각각 설치되어 후술할 제1 날개(13a) 및 제2 날개(13b)를 지지하고, 제1 날개(13a) 및 제2 날개(13b)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제1 날개(13a) 및 제2 날개(13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파지공간 조절유닛(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공간 조절유닛(126)은 지지암(12)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6a)과 가이드레일(126a)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26a)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송블록(126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지공간 조절유닛(126)은 이송블록(126b)에 설치되어 파지날개(1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래킷(126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브래킷(126c)의 상측 중앙부에는 파지날개(13)의 축부(1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구조물(121)이 형성되고, 지지구조물(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파지날개(13)는 화물의 비적재 시 지지브래킷(126c)의 표면에 지지되어 수평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파지공간 조절유닛(126)은 지지암(12)의 상면에 설치되고, 지지브래킷(126c)과 결합되어 지지브래킷(126c)을 이동시키는 구동장치(126d)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장치(126d)는 선형 이동 가능한 유압장치 등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화물 적재유닛(1)은 파지날개(13)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파지날개(13)는 지지암(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공간에 수평 상태로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는, 파지날개(13)는 화물의 비적재 시 각 암(12a, 12b)의 표면에 지지되어 수용공간 내에 수평 상태로 배치되거나, 각 암(12a, 12b)의 측면에 설치된 지지편(127)의 표면에 지지되어 수용공간 내에 수평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날개(13)는 제1 암(1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날개(13a) 및 제2 암(12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날개(1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에 화물이 비적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에 화물이 적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물(cargo)의 비적재시, 제1 날개(12a) 및 제2 날개(12b) 사이의 거리(D)는 제1 날개(12a) 및 제2 날개(12b)에 지지되는 화물의 외면 사이의 거리(D') 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파지날개(13)는 축부(131), 날개본체(132) 및 탄성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축부(131)는 지지암(12)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구조물(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날개본체(132)의 일 측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날개본체(132)는 축부(131)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되어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축부(131)의 회전 시 축부(131)와 함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길이방향을 따라 날개본체(132)의 일 측 및 타 측 단부에는 화물의 적재 시 화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경사 안내면(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경사 안내면(132a)은 화물의 적재 시 화물이 수용공간으로 진입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폭이 점자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화물의 적재 시 화물의 외면에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화물을 수용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
탄성부재(133)는 축부(131)의 둘레에 설치되어 날개본체(1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33)는 파지날개(1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33)에 지지되는 파지날개(13)는 0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133)는 지지암(12)에 지지되는 제1 지지선재, 날개본체(132)를 지지하는 제2 지지선재 및 축부(131)의 둘레에 설치되어 제1 지지선재 및 제2 지지선재를 연결하는 코일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는 리턴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날개(13)는 화물(cargo)의 적재 시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외측으로 벌어진 후 탄성력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며 화물의 외면을 지지한다.
더 자세하게는, 각 암(12a, 12b)의 표면상에 수평상태로 배치된 제1 날개(13a) 및 제2 날개(13b)는 핸드 리프트 장치(2)의 전진 이동을 통해 화물(cargo)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화물의 외면에 가압되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외측으로 벌어진 제1 날개(13a) 및 제2 날개(13b)는 화물의 외면에 지지되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물이 제1 날개(13a) 및 제2 날개(13b) 사이의 중앙지점에 도달했을 때,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며 화물의 외면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핸드 리프트 장치(2)에 의해 본 화물 적재유닛(1)이 상승될 경우, 파지날개(13)는 화물의 상측 테두리에 구비된 단턱부(A1)를 지지하여 화물을 들어 올리게 된다. 이때, 화물의 단턱부(A1)를 지지하는 파지날개(13)에는 화물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더해진다. 따라서, 파지날개(13)는 화물의 상승 시 화물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해 화물의 외면을 향하여 내측으로 더 오므라들게 되고, 이로 인해 화물에 작용하는 지지력이 강화되어 화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화물 적재유닛(1)에 적재 가능한 화물은 상부가 개구되어 내측에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화물의 상측 테두리에는 외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단턱부(A1)를 형성하는 절곡부(A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A2)는 화물의 높이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화물의 외면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절곡부(A2) 사이에는 파지날개(13)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홈(A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날개(13)는 가이드 롤러(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유닛의 날개본체에 가이드 롤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 롤러(134)는 날개본체(132)의 단부에 설치되어 화물의 적재 시 화물의 외면에 접촉되어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화물 적재유닛(2)은 지지암(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암(12)의 내측에 복수로 설치되고, 파지날개(13)와 연결되어 구동 시 파지날개(13)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각도조절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도조절수단은 파지날개(13)의 축부(131)에 설치되어 축부(131)를 회전시키는 제1 기어부, 지지암(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 기어부와 치합되고, 제1 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기어부, 및 지지암(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기어부와 연결되고, 핸드 리프트 장치(2)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켜 제2 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2)(이하 '핸드 리프트 장치(2)'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화물 적재유닛(1)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핸드 리프트 장치(2)의 구동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는 프레임부(21), 프레임부(21)의 길이 방향 따라 배치된 체인(22), 체인(22)에 연결되고 화물이 적재되도록 구성된 화물 적재유닛(1), 체인(2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24), 화물 적재유닛(1)에 적재된 화물(미도시)을 감지하는 센서부(25) 및 센서부(25)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동력전달부(2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6)를 포함한다.
프레임부(21)는 수직프레임(211), 제1 스프로킷(212) 및 제2 스프로킷(213)을 포함한다.
수직프레임(211)의 내측으로는 가이드 레일(114)이 형성되고, 제1 스프로킷(212)은 수직프레임(211)의 상측에, 제2 스프로킷(213)은 수직프레임(211)의 하측에 설치된다.
체인(22)은 제1 스프로킷(212)및 제2 스프로킷(213)에 맞물리게 설치된다. 제1 스프로킷(212)과 제2스프로킷(113)은 수직프레임(211)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체인(22)을 지지하는 풀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스프로킷(212) 및 제2 스프로킷(213)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211)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인(22)은 후술할 동력전달부(24)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제1 스프로킷(212) 및 제2 스프로킷(213)에 맞물려 회전한다.
화물 적재유닛(1)은 체인(22)에 연결되고 수직프레임(211)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14)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화물 적재유닛(1)의 배면에는 체인(22)에 결합되어 체인(22)의 이동 시 수직프레임(211)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14)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14)와, 화물 적재유닛(1)과 승강부재(132)를 연결하는 결합부재(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승강부재(14)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결합부재(15)는 돌출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포함하여, 암수 끼움 고정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화물 적재유닛(1)의 결합 방식에 따르면, 별도의 체결도구를 이용하여 복수의 구조물을 서로 연결시키는 종래의 볼트-너트 결합방식과는 달리, 별도의 도구 없이 본 핸드 리프트 장치(2)에 화물 적재유닛(1)을 신속히 탈착할 수 있고, 나아가 본 핸드 리프트 장치(2)에 화물 적재유닛(1)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동력전달부(24)는 전동모터(241)를 포함한다. 전동모터(241)는 바람직하게 브러쉬리스(brushless) 모터일 수 있고, 그 밖에도 전동모터(241)로는 스테핑(stepping) 모터, 서보(servo) 모터 등 공지의 다양한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동모터(241)의 구동축은 제2 스프로킷(213)과 맞물려 회전하며 체인(22)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체인(22)은 제1 스프로킷(212) 및 제2 스프로킷(213)에 순차적으로 기어 결합되고, 전동모터(241)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은 제2 스프로킷(213)을 통해 체인(22)으로 전달된다.
체인(22)은 승강부재(14)와 연결되고, 동력전달부(24)로부터의 구동력을 승강부재(14)를 통해 화물 적재유닛(1)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체인(22)의 일단은 승강부재(14)의 상단에 연결되고, 체인(22)의 타단은 승강부재(14)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체인(22)과 승강부재(14)가 연결되는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체인에 장력을 제공하는 체인텐셔너(221)가 개재될 수 있다.
체인텐셔너(221)는 자체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 부재이고, 양 단부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인텐셔너(221)는 일단이 체인(22)에 연결되고, 타단 이 승강부재(14)에 연결되어 체인(22)과 승강부재(14)의 연결을 매개하면서 체인(22) 에 장력을 부가할 수 있다. 체인텐셔너(221)는 체인(22)의 장력이 기설정된 정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화물 적재유닛(1)에 고중량의 하중이 실리는 경우 체인(22)이 일시적으로 처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체인텐셔너(221)는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체인(22)의 처짐을 보완할 수 있다.
그러나, 체인텐셔너(22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인(22)의 처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선택적으로 전동모터(241)와 체인(22)의 사이에는 전동모터(241)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의 구성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동모터(241)의 회전력이 감속기를 거쳐 체인(22)으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전동모터(241)의 구동축과 제2 스프로킷(213)의 회전축 사이에는 웜과 웜기어가 각각 포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센서부(25)는 화물 적재유닛(1)에 적재된 화물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5)는 화물 적재유닛(1)에 적재된 화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251)와, 근접센서(251)를 지지하는 센서지지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근접센서(251)는 물체(본 발명에서는 화물)가 접근해 왔을 때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홀센서, 광센서와 같은 공지의 다양한 근접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근접센서(251)는 센서가이드(252)의 양단의 범위에서 수직프레임(211)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된다. 이때, 근접센서(251)가 센서가이드(252) 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근접센서(251)는 화물 적재유닛(1)이 승강하는 범위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가이드(252)는 브래킷의 형태로 구성되어 수직프레임(111)의 임의의 지점에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접센서(251)는 센서가이드(252) 에 형성된 슬롯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자석과 같은 다양한 부착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도 있다.
또한, 센서부(25)는 로드셀(load cell, 2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로드셀(253)은 파지날개(13)가 지지되는 지지암(12)의 하면에 설치되어 지지암(12)의 내측에 개재되고, 지지암(12)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을 감지하여 이의 신호를 제어부(26)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6)는 센서부(25)로부터의 화물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화물 적재유닛(1)의 승강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는 적재된 화물의 높이 혹은 화물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화물 적재유닛(1)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는 센서부(25)의 근접센서(251)로부터 전송된 감지 신호에 따라 동력전달부(24)의 구동을 조절함으로써 화물 적재유닛(1)의 승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6)는 센서부(25)로부터의 화물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화물 적재유닛(1)에 적재된 화물의 상단부의 높이를 기설정된 높이로 유지하도록 동력전달부(24)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는, 본 핸드 리프트 장치(2)가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 (load) 모드' 또는 화물을 하적하는 '하적 (unloa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각 구성에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적재모드'는 작업자가 화물 적재유닛(1)으로 짐을 싣는 경우의 자동 동작 모드이다. 복수 개의 짐을 싣는 경우 통상 작업자는 하나의 화물을 적재한 후 그 화물의 상부에 다음 화물을 적재하게 되는데, 다음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통상 이전에 적재된 화물의 높이만큼 더 높게 들어 다음 화물을 적재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의 허리에는 큰 하중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핸드 리프트 장치(2) 는 작업자가 복수 개의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화물을 드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전에 적재된 화물의 높이만큼 화물 적재유닛(1)이 하강하도록 동력전달부(24)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6)는 센서부(25)로부터 화물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동력전달부(24)의 구동을 유지하고, 센서부(25)로부터 화물 감지 신호의 수신이 중단되는 경우 동력전달부(24)의 구동을 중지한다.
'하적모드'는 작업자가 화물 적재유닛(1)으로부터 짐을 내리는 경우의 자동 동작 모드이다. 복수 개의 짐을 내리는 경우 통상 작업자는 하나의 화물을 하적한 후 그 화물의 하부에 위치한 다음 화물을 하적하게 되는데, 다음 화물을 하적하기 위해서는 통상 이전에 하적한 화물의 높이만큼 더 낮게 허리를 숙여 다음 화물을 하적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의 허리에는 큰 하중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2)는 작업자가 복수 개의 화물을 하적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화물을 드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전에 하적된 화물의 높이만큼 화물 적재유닛(1)이 상승하도록 동력전달부(24)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6)는 센서부(25)로부터 화물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동력전달부(24)의 구동을 유지하고, 센서부(25)로부터 화물 감지 신호의 수신되는 경우 동력전달부(24)의 구동을 중지한다.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는 이러한 자동 동작 모드(적재모드, 하적모드)의 구동을 통해 적재 화물이 기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으면서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는 종래의 적재, 하적의 단순 반복의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의 고질적인 허리 통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의 작업 효율을 상당히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제어부(26)는 센서부(25)의 로드셀(253)로부터 전송된 감지 신호에 따라 동력전달부(24)의 구동을 조절함으로써 화물 적재유닛(1)의 승하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6)는 선택된 구동모드에 따라, 센서부(25)로부터 전송된 화물 감지 신호, 즉 화물 적재유닛(1)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에 관한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동력전달부(24)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화물 적재유닛(1)에 적재된 화물의 상단부의 높이를 기설정된 높이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화물 적재유닛(1)이 하강하도록 동력전달부(24)가 구동되는 '적재모드' 에서, 제어부(26)는 센서부(25)로부터 수신된 화물 감지 신호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신호와 실시간 비교하고, 화물 감지 신호가 제1 기준신호에 도달할 때까지 동력전달부(24)의 구동을 유지한다. 여기서, 제1 기준신호는 적재될 화물의 총 하중에 대응되는 신호로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화물 적재유닛(1)이 상승하도록 동력전달부(24)가 구동되는 '하적모드' 에서, 제어부(26)는 센서부(25)로부터 수신된 화물 감지 신호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신호와 실시간 비교하고, 화물 감지 신호가 제2 기준신호에 도달할 때까지 동력전달부(24)의 구동을 유지한다. 여기서, 제2 기준신호는 0의 값에 대응되는 신호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는 작업자가 핸드 리프트 장치(2)의 작동을 조작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부(27)는 전동모터(241)의 작동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와, 화물 적재유닛(1)을 임의의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는 조이스틱과,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를 수동 모드로 조작하도록 세팅(setting)하는 수동조작스위치와, 센서부(25)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동력전달부(24)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세팅하는 자동조작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16)를 포함한다. 배터리(216)는 제어부(26)와 함께 본 핸드 리프트 장치(2)의 하측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2)는 이동 지지부(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핸드 리프트 장치(2)의 프레임부(21)로부터 이동 지지부(28)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 지지부(28)는 프레임부(2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임부(21)를 지지하고, 프레임부(21)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지지부(28)는 프레임지지구조물(281), 한 쌍의 지지패널(282), 한 쌍의 휠(283) 및 한 쌍의 포크(28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지지구조물(281)은 내측에 프레임부(21)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슬롯(281a) 을 형성하여 슬롯(281a)에 수용된 프레임부(21)의 외면을 지지하고, 프레임부(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지지구조물(281)은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부(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패널(282)은 프레임지지구조물(281)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지지구조물(281)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후술할 한 쌍의 휠(283) 및 한 쌍의 포크(284)와 결합되어 한 쌍의 휠(283) 및 한 쌍의 포크(284)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지지패널(282)은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지지구조물(281)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지지패널(282)에는 체결을 위하여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패널(282)은 비철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한 쌍의 지지패널(28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마그네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한 쌍의 지지패널(282)은 반드시 이의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알루미늄 혹은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휠(283)은 지지패널(282)에 결합되어 프레임부(21)의 후방에 배치되고,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화물이 적재된 프레임부(21)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휠(283)은 자체적으로 동력을 발생시켜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모터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한 쌍의 휠(283)은 지지패널(282)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휠 모터(2831)와, 휠 모터(28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휠 모터(2831)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통하여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휠 본체(28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휠 모터(2831)는 배터리(216)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26) 및 컨트롤부(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부(27)의 조작을 통해 회전방향, 회전속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한 쌍의 포크(284)는 지지패널(282)에 결합되어 프레임부(21)의 전방에 배치되고, 단부에 프레임부(21)의 이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캐스터(285)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 핸드 리프트 장치(2)에 적재하는 화물의 높이가 큰 경우, 프레임부(21)로부터 본 화물 적재유닛(1)을 분리하여 포크(284)에 직접 화물을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본 핸드 리프트 장치(2)의 이동 시 캐스터(285)를 통하여 쉽게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캐스터(285)는 지면상에서 한 쌍의 포크(28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을 따라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포크(284)는 지지패널(282)의 표면을 따라 프레임부(21)의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적재될 화물의 무게 및 크기에 따라 포크(284)의 길이를 조절하여 프레임부(21)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패널(28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한 쌍의 포크(284)에는 상기 복수개의 체결공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포크(284)는 상술한 복수개의 체결공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후,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지지패널(282)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는 핸들바(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바(215)는 프레임부(21)의 후면에 설치되고, 프레임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프레임부(21)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다양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핸들바(215)를 파지 가능함은 물론, 한 쌍의 휠(283)이 구동된 상태에서, 핸들바(215)를 이용하여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를 조향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핸들바(215)에는 본 핸드 리프트 장치 (2)의 제어를 수행 가능한 보조 제어수단(미도시)이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바(215)를 파지한 상태에서, 핸드 리프트 장치(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는 고정 지지부(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핸드 리프트 장치(2)의 프레임부(21)에 고정 지지부(29)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고정 지지부(29)는 프레임부(2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지지되어 프레임부(21)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고정 지지부(29)는 고정패널(291) 및 수직지지프레임(29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패널(291)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고, 후술할 수직지지프레임(292)을 지지하여 수직지지프레임(292)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면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수직지지프레임(292)은 고정패널(29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상향 돌출되어 내측에 프레임부(21)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슬롯(292a)을 형성하고, 슬롯(292a)에 수용된 프레임부(21)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지지프레임(292)은, 슬롯(292a)에 수용된 프레임부(21)의 양 측면 및 후면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는 탑승부(4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핸드 리프트 장치(2)에 탑승부(40)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탑승부(40)는 프레임부(21)의 후방 설치되고, 사용자가 서거나, 앉은 상태로 탑승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탑승부(40)는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 상태로 탑승 가능한 발판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않은 상태로 탑승 가능한 의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탑승 시 핸드 리프트 장치 (2)가 후방 측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탑승부 (40)의 하측에는 지면에 지지되어 탑승부 (4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면으로 분산시키는 별도의 캐스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탑승부(4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3)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3)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핸드 리프트 장치(2)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3)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3)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3)의 구동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3)는, 프레임부(31), 프레임부(31)의 길이 방향 따라 배치된 체인(32), 체인(32)에 연결되고 화물이 적재되도록 구성된 화물 적재유닛(1), 체인(3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34), 화물 적재유닛(1)에 적재된 화물을 감지하는 센서부(35) 및 센서부(35)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동력전달부(3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6)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력전달부(34)는 전동모터(341), 전동모터(341)의 구동축과 맞물리는 회전축(342)과, 회전축(342)에 연결된 제3 스프로킷(343)을 포함한다.
체인(32)은 제1 스프로킷(312), 제3 스프로킷(343) 및 제2 스프로킷(313)에 순차적으로 기어 결합되고, 전동모터(341)로부터의 구동력이 제3 스프로킷(343)을 통해 체인(32)으로 전달된다.
제3 스프로킷(343)은 제1 스프로킷(312)과 제2 스프로킷(313)의 사이에 배치되되, 제1 스프로킷(312)과 제2 스프로킷(313)이 이루는 일직선상의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제1 스프로킷(312), 제3 스프로킷(343) 및 제2 스프로킷(313)을 잇는 체인(32)은 제3 스프로킷(343)의 부근에서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동력전달부(34)는 제4 스프로킷(344)과 보강체인(345)을 더 포함한다.
제4 스프로킷(344)은 제1 스프로킷(312)과 제2 스프로킷(313)이 이루는 일직선상의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4 스프로킷(344)은 제3 스프로킷(343)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보강체인(345)은 제3 스프로킷(343) 및 제4 스프로킷(344)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제3 스프로킷(343) 및 제4 스프로킷(344)에 기어 결합된다. 보강체인(345)은 체인(32)과 제3 스프로킷(343)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3 스프로킷(343)을 통해 전달되는 전동모터(341)의 구동력에 의해 체인(32)과 보강체인(345)이 정역 회전한다.
제4 스프로킷(344)과 보강체인(345)은 체인(32)이 제3 스프로킷(343)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는 과정에서 구동 안정성을 보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스프로킷(343)이 축이 되어 체인(32)이 회전하는 동력전달부(34)에 별도의 축이 되는 제4 스프로킷(344)을 부가함으로써 제3 스프로킷(343)으로부터 체인(32)이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동력전달부(34)는 제5 스프로킷(346)과 제6 스프로킷(3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스프로킷(346)은 제1 스프로킷(312)과 제3 스프로킷(343)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배치되고, 제6 스프로킷(347)은 제3 스프로킷(343)과 제2 스프로킷(313)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5 스프로킷(346) 및 제6 스프로킷(347)은 체인(32)이 제3 스프로킷(343)을 감싸는 방향으로 체인(32)을 가압할 수 있다.
제5 스프로킷(346)과 제6 스프로킷(347)은 체인(32)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며 체인(32)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인(32)에 추가적인 장력을 부가할 수 있다. 즉, 제5 스프로킷(346)과 제6 스프로킷(347)은 체인(32)의 장력이 기설정된 정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3)는 별도로 구비되는 체인텐셔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인텐셔너는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체인(32)의 처짐을 보완할 수 있다.
체인텐셔너는 예컨대, 제5 스프로킷(346)과 제6 스프로킷(347)에 양 단부가 연결되는 스프링 부재일 수 있다. 스프링 부재는 제5 스프로킷(346)과 제6 스프로킷(347)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체인(32)을 가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암(12)의 일 측에 화물의 적재 시 화물의 외면에 가압되어 외측으로 벌어진 후 탄성력 의해 자동적으로 내측으로 오므라들며 화물의 외면을 지지하는 파지날개(13)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핸드 리프트 장치(2)의 이동을 통해 파지날개(13)를 화물의 외면에 슬라이드 이동 시키는 작업만으로 자동적으로 화물을 적재 가능하여 화물 적재 시간을 월등히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핸드 리프트 장치(2)를 통해 화물 적재유닛(1)을 상승시킬 경우, 화물의 단턱부(A1)를 지지하는 파지날개(13)에 화물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더해지고, 이에 따라, 파지날개(13)는 화물의 외면을 향하여 내측으로 더 오므라들게 되어 화물에 작용하는 지지력이 강화되고, 화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화물의 적재 시 화물의 바닥면을 지지하여 들어 올리지 않고, 수용공간에 수용된 화물의 둘레면을 지지함에 따라, 적재된 화물의 무게중심을 낮춰 보다 안정적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핸드 리프트 장치(2)를 통하여 화물 적재유닛(1)을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다량의 화물을 자동으로 하역할 수 있고, 적재된 화물을 설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화물 적재유닛
11. 지지프레임
111. 수직부재
112. 수평부재
112a. 가이드 홈 112b. 래크기어
113. 보강부재
12. 지지암
12a. 제1 암 12b. 제2 암
121. 지지구조물
122. 제1 구조물
123. 제2 구조물
124. 피니언 기어
125. 구동장치
126. 파지공간 조절유닛
126a. 가이드레일 126b. 이송블록
126c. 지지브래킷 126d. 구동장치
127. 지지편
13. 파지날개
13a. 제1 날개 13b. 제2 날개
131. 축부
132. 날개본체
132a. 경사 안내면
133. 탄성부재
134. 가이드 롤러
14. 승강부재
15. 결합부재
2. 핸드 리프트 장치
21. 프레임부
211. 수직프레임
212. 제1 스프로킷
213. 제2 스프로킷
214. 가이드레일
215. 핸들바
216. 배터리
22. 체인
221. 체인텐셔너
24. 동력전달부
241. 전동모터
25. 센서부
251. 근접센서
252. 센서가이드
253. 로드셀
26. 제어부
27. 컨트롤부
28. 이동 지지부
281. 프레임지지구조물
281a. 슬롯
282. 지지패널
283. 휠
2831. 휠 모터
2832. 휠 본체
284. 포크
285. 캐스터
29. 고정 지지부
291. 고정패널
292. 수직지지프레임
292a. 슬롯
3. 핸드 리프트 장치
31. 프레임부
311. 수직프레임
312. 제1 스프로킷
313. 제2 스프로킷
314. 가이드레일
315. 핸들바
316. 배터리
32. 체인
34. 동력전달부
341. 전동모터
342. 회전축
343. 제3 스프로킷
344. 제4 스프로킷
345. 보강체인
346. 제5 스프로킷
347. 제6 스프로킷
35. 센서부
351. 근접센서
352. 센서가이드
36. 제어부
37. 컨트롤부
38. 이동 지지부
381. 프레임지지구조물
382. 지지패널
383. 휠
384. 포크
385. 캐스터
40. 탑승부

Claims (20)

  1.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핸드 리프트 장치에 설치되어 화물을 적재 가능한 화물 적재유닛으로서,
    상기 핸드 리프트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핸드 리프트 장치를 통하여 승강 가능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화물을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space)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는 지지암(arm); 및
    상기 지지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평 상태로 배치되고, 화물의 적재 시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외측으로 벌어진 후 탄성력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며 상기 화물의 외면을 지지하는 파지날개;
    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핸드 리프트 장치에 설치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하측에 수평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암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암을 지지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은,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암 및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부재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암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날개는,
    상기 제1 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날개 및 상기 제2 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은 상기 수평부재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운동이 가능한 화물 적재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은,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파지공간 조절유닛; 을 더 포함하는 화물 적재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공간 조절유닛은,
    상기 지지암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송블록;
    상기 이송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파지날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래킷; 및
    상기 지지암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브래킷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래킷을 이동시키는 구동장치;
    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유닛.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의 비적재시,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에 지지되는 상기 화물의 외면 사이의 거리 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화물 적재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날개는,
    상기 지지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
    상기 축부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 단부에 상기 화물의 적재 시 상기 화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경사 안내면이 형성되는 날개본체; 및
    상기 축부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날개본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파지날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날개는 0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로 회전 가능한 화물 적재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날개는,
    상기 날개본체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의 적재 시 상기 화물의 외면에 접촉되어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가이드 롤러; 를 더 포함하는 화물 적재유닛.
  11.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된 제1 스프로킷,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된 제2스프로킷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스프로킷 및 상기 제2 스프로킷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체인;
    상기 체인과 연결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화물이 적재되도록 구성된 화물 적재유닛;
    상기 화물 적재유닛이 승하강하도록 상기 체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프레임부가 형성하는 영역 중 상기 화물 적재유닛이 승하강하는 범위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근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화물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동을 조절하여 상기 화물 적재유닛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화물 적재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로드셀(load cell);을 더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부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부는,
    내측에 상기 프레임부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슬롯을 형성하여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지지구조물;
    상기 프레임지지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지지구조물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수행 가능한 휠; 및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단부에 상기 프레임부의 이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캐스터를 구비하는 포크;
    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은 마그네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포크는 상기 지지패널의 표면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핸드 리프트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휠 모터; 및
    상기 휠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휠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통하여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휠 본체;
    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상향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프레임부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을 지지하는 수직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은,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프레임부의 양 측면 및 후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서거나, 앉은 상태로 탑승 가능한 탑승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KR1020180109240A 2018-06-07 2018-09-12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KR102135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01,416 US20200277174A1 (en) 2018-06-07 2018-09-20 Hand lift device
PCT/KR2018/011174 WO2019235692A1 (ko) 2018-06-07 2018-09-20 핸드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5337 2018-06-29
KR1020180075337 2018-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53A true KR20200002553A (ko) 2020-01-08
KR102135248B1 KR102135248B1 (ko) 2020-07-17

Family

ID=6915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240A KR102135248B1 (ko) 2018-06-07 2018-09-12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2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213B1 (ko) * 2021-08-27 2022-02-08 이승우 수동 리프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5497A (ja) * 1998-03-10 1999-09-21 Komatsu Forklift Co Ltd フォークリフトのクランプ兼用バケット装置
JP2003182998A (ja) * 2001-12-19 2003-07-03 Nippon Yusoki Co Ltd 荷役車輌の走行制御装置
JP2004009926A (ja) * 2002-06-10 2004-01-15 Atex Co Ltd リフト付運搬車
JP2008156039A (ja) * 2006-12-22 2008-07-10 Honda Motor Co Ltd ハンドリフター
JP2012201432A (ja) * 2011-03-24 2012-10-22 Toyota Industries Corp 把持装置
KR20130058486A (ko) * 2011-11-25 2013-06-04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좌판이 부착된 스태커
KR101685615B1 (ko) 2015-06-08 2016-12-15 정현균 핸드 트럭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5497A (ja) * 1998-03-10 1999-09-21 Komatsu Forklift Co Ltd フォークリフトのクランプ兼用バケット装置
JP2003182998A (ja) * 2001-12-19 2003-07-03 Nippon Yusoki Co Ltd 荷役車輌の走行制御装置
JP2004009926A (ja) * 2002-06-10 2004-01-15 Atex Co Ltd リフト付運搬車
JP2008156039A (ja) * 2006-12-22 2008-07-10 Honda Motor Co Ltd ハンドリフター
JP2012201432A (ja) * 2011-03-24 2012-10-22 Toyota Industries Corp 把持装置
KR20130058486A (ko) * 2011-11-25 2013-06-04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좌판이 부착된 스태커
KR101685615B1 (ko) 2015-06-08 2016-12-15 정현균 핸드 트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213B1 (ko) * 2021-08-27 2022-02-08 이승우 수동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248B1 (ko)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896B1 (ko) 핸드 리프트 트럭
CA3012505C (en) Automated brick lay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135197B1 (ko) 핸드 리프트 장치
US20150196439A1 (en) Transportation device for transporting goods and people on stairs and flat surfaces
KR101580528B1 (ko)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KR20160087834A (ko) 자체-작동 코트들
US8291529B2 (en) Side push handles for a patient lift
CN104684526A (zh) 用于在楼梯和平坦表面上运输货物和人员的运输装置
CN105127642B (zh) 一种起重机小车架焊接翻转设备
KR20200002553A (ko)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US20200277174A1 (en) Hand lift device
JP2001514147A (ja) リフト用キャリジ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CN207632332U (zh) 同步升降及吊臂自动张合的重载吊具
KR20170122884A (ko) 사다리차의 적재대 슬라이드장치
KR20200002554A (ko)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JP6282211B2 (ja) パネル施工機及びパネル施工方法
JP2009066053A (ja) 車椅子昇降機
TWI394623B (zh) 線鋸機用升降機
KR20110040385A (ko) 샤클 운반용 대차
KR102135211B1 (ko) 핸드 리프트 장치
KR20210001462A (ko) 핸드 리프트 장치의 화물 적재 유닛
JPH03211195A (ja) 航空機の車輪付き脚搬送交換装置
JPH0967003A (ja) 昇降荷送り装置付き運搬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