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990U - 기중차단기의 접점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기중차단기의 접점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990U
KR20200001990U KR2020190000884U KR20190000884U KR20200001990U KR 20200001990 U KR20200001990 U KR 20200001990U KR 2020190000884 U KR2020190000884 U KR 2020190000884U KR 20190000884 U KR20190000884 U KR 20190000884U KR 20200001990 U KR20200001990 U KR 202000019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unit
present
movab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567Y1 (ko
Inventor
이규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2020190000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567Y1/ko
Priority to CN201921598317.4U priority patent/CN210489455U/zh
Publication of KR20200001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9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5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26Movable parts and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는 베이스유닛, 가동접점유닛 및 홀더를 포함한다. 베이스유닛은 다수 개의 베이스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가동접점유닛은 베이스유닛에 결합되어 이동한다. 홀더는 가동접점유닛에 수용되는 바디 및 노출면이 가동접점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를 포함한다. 또한 노출면은 인접한 가동접점유닛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진다.

Description

기중차단기의 접점어셈블리{CONTECT ASSEMBLY FOR AIR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기중차단기의 주회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접점어셈블리에 관한 거시다.
일반전으로 차단기는 전류가 흐르도록 회로를 연결하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게 회로를 차단한다. 그리고, 차단기는 단락이나 합선과 같은 이상상태에서 빠르게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차단기는 가정용 차단기로부터 산업용, 발전시설에 적용되는 중대형 차단설비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된다. 대부분의 차단기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와 도체를 연결하거나 서로 분리시키는 기계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대개 도체접점의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도체접점은 회전하거나 직선운동을 한다. 고정된 고정접점에 이동 가능한 가동접점이 접하거나 분리되며 전류가 차단 또는 인가된다. 이때,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이 서로 접해 있다가 분리되는 경우에 아크(arc)가 발생한다.
아크는 서로 접촉돼 있던 접점이 분리되면서 발생한다. 강한 전류가 흐르는 접점은 각각의 끝단이 접촉저항에 의해 과열된다. 접점이 과열된 상태에서 접점 사이가 분리되면 용융된 금속이 증발하며 방전된다. 용융된 금속은 기중차단기 내부에 포함되는 소호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일부 기화된 금속은 기중차단기가 냉각됨에 따라 기중차단기 내부에 배치된 부품들에 융착되기도 한다. 특히 정밀한 작동을 수행해야 하는 가동접점에 용융금속이 융착되면 가동접점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고안으로서 기중차단기의 내부에 금속 비산물이 융착되어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접점어셈블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는 베이스유닛, 가동접점유닛 및 홀더를 포함한다. 베이스유닛은 다수 개의 베이스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가동접점유닛은 베이스유닛에 결합되어 이동한다. 홀더는 가동접점유닛에 수용되는 바디 및 노출면이 가동접점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를 포함한다. 또한 노출면은 인접한 가동접점유닛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가동접점유닛은 전류가 통하는 가동접점, 베이스유닛에 결합되고 베이스유닛 상에서 회전하는 가동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동프레임은 회전 시 베이스유닛과 인접하여 슬라이딩 되는 면인 만곡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홀더의 노출면은 홀더가 가동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만곡부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홀더는 노출면이 만곡부와 단차를 형성하지 않도록 가동프레임에 결합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유닛은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만곡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는 가동접점유닛의 단차를 최소화 해 금속비산물의 융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금속비산물이 가동접점유닛에 융착되어도 가동접점유닛이 작동되면 자연스럽게 제거되고, 이에따라 별도의 융착물 제거작업을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고안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가동접점이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가동접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에서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에서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접점어셈블리에서 홀더에 금속비산물이 융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의 홀더에 금속비산물이 융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가동접점이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가동접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는 베이스유닛(300), 가동접점유닛(100) 및 홀더(200)를 포함한다. 베이스유닛(300)은 다수 개의 베이스(310, 320)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가동접점유닛(100)은 베이스유닛(300)에 결합되어 이동한다. 홀더(200)는 가동접점유닛(100)에 수용되는 바디(220), 노출면(212)이 가동접점유닛(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210)를 포함한다. 또한, 노출면(212)은 인접한 가동접점유닛(10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갖는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는 기중차단기(10)의 주회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접점에 해당한다. 상세하게는 기중차단기(10)의 접점은 고정되어 있는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11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는 가동접점(110) 및 가동접점(110)과 결합된 주변 구성들을 칭한다.
가동접점유닛(100)은 일측에 가동접점(110)이 마련된다. 가동접점(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접점과 접해 전류를 인가하고, 고정접점과 분리됨으로써 전류를 차단한다. 그리고, 가동접점(110)이 결합되며 베이스를 중심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동프레임(120)을 포함한다.
가동프레임(120)은 만곡부(122)를 포함한다. 만곡부(122)는 가동프레임(120) 일면이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가동프레임(120)은 동작을 위해 인접한 구동부와 연결핀(130)으로 연결된다. 이때, 홀더(200)가 가동프레임(120)의 만곡부(122)를 통해 삽입되고, 홀더(200)는 가동프레임(120)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핀(130)을 고정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에서 홀더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에서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0)는 헤드(210) 및 바디(220)를 포함한다. 바디(220)는 가동접점유닛(100)의 가동프레임(120)에 수용되고 일단이 연결핀(130)과 접해 가압한다. 헤드(210)는 가동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수요되고 노출면(212)이 가동프레임(120)의 만곡부(122) 방향으로 노출된다.
이때, 가동프레임(120)의 만곡부(122)는 일정한 곡률로 만곡된다. 그리고, 헤드(210)의 노출면(212)은 만곡부(122)가 갖는 곡률과 대응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한다. 즉, 가동프레임(120)의 외측둘레 중 일부를 형성하는 만곡부(122)는 중간에 홀더(200)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홀더(200)는 만곡부(122)를 통해 가동프레임(120)에 삽입된다. 또한, 헤드(210)의 노출면(212)은 만곡부가 이루는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지녀 만곡부의 곡면이 최소한의 단차만을 지니고 이어지게 한다.
그리고, 베이스유닛(300)은 다수 개의 베이스(310, 320)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6은 종래의 접점어셈블리에서 홀더에 금속비산물이 융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의 홀더에 금속비산물이 융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의 베이스유닛(300)은 제1베이스(310) 및 제2베이스(320)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베이스(310) 및 제2베이스(320)가 결합된 경계에는 돌출부(330)가 형성된다.
돌출부(330)는 제1베이스(310)의 일부가 외불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330)는 가동프레임(120)을 향해 돌출된다. 다만, 돌출부(330)는 가동프레임(120) 및 홀더(200)로 인해 발생하는 단턱과 간섭이 없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가동프레임(120)의 외측둘레와 이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는 아래와 같은 작동을 수행한다.
기중차단기의 가동접점(110)이 고정접점과 분리되면 일부 금속이 용융되어 비산한다. 그리고, 아크가 발생한다. 가동접점(110)의 주변이 냉각되면 융용되었던 금속비산물이 가동접점(110) 및 가동프레임(120)의 표면에 융착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접점어세블리는 홀더(200)의 헤드(210)와 가동프레임(120)의 만곡부(122)가 형성하는 단차가 최소화 되어 금속비산물의 융착 빈도나 융착된 크기가 감소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헤드(210a)가 편평하게 형성되었다. 이는 가동프레임(120)의 만곡부(122)와 헤드(210a)가 이루는 단차를 크게 형성하였다. 따라서, 금속비산물이 융착되는 크기가 컸고, 베이스유닛(300)의 단차와 간섭이 발생할 경우에 가동프레임(120)의 이동에 제약이 생기기도 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는 가동프레임(120)의 만곡부(122)가 홀더(200)의 헤드(210)와 이루는 단차가 작다. 따라서, 금속비산물의 융착이 감소한다. 금속비산물이 융착되는 경우에도 그 크기가 크기 않고 베이스유닛(300)의 돌출부(330)와 접하면 바로 제거된다. 따라서 금속비산물의 융착물이 가동프레임(120)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접점어셈블리의 안정성을 높이고 오작동을 감소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기중차단기
100: 가동접점유닛 110: 가동접점
120: 가동프레임 122: 만곡부
130: 연결핀
200: 홀더 210: 헤드
212: 노출면 220: 바디
300: 베이스 유닛 310: 제1베이스
320: 제2베이스 330: 돌출부

Claims (5)

  1. 다수 개의 베이스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가동접점유닛;
    상기 가동접점유닛에 수용되는 바디 및 노출면이 상기 가동접점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면은 인접한 상기 가동접점유닛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는 기중차단기의 점접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유닛은,
    전류가 통하는 가동접점;
    상기 베이스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유닛 상에서 회전하는 가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프레임은 회전 시 상기 베이스유닛과 인접하여 슬라이딩 되는 면인 만곡부;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점접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노출면은 상기 홀더가 상기 가동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만곡부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는 기중차단기의 점접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노출면이 상기 만곡부와 단차를 형성하지 않도록 상기 가동프레임에 결합되는 기중차단기의 점접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점접어셈블리.
KR2020190000884U 2019-03-04 2019-03-04 기중차단기의 접점어셈블리 KR200493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84U KR200493567Y1 (ko) 2019-03-04 2019-03-04 기중차단기의 접점어셈블리
CN201921598317.4U CN210489455U (zh) 2019-03-04 2019-09-24 空气断路器的触点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84U KR200493567Y1 (ko) 2019-03-04 2019-03-04 기중차단기의 접점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90U true KR20200001990U (ko) 2020-09-14
KR200493567Y1 KR200493567Y1 (ko) 2021-04-22

Family

ID=7050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884U KR200493567Y1 (ko) 2019-03-04 2019-03-04 기중차단기의 접점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3567Y1 (ko)
CN (1) CN210489455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185Y1 (ko) * 2006-12-29 2008-01-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부품 연결장치
KR20090020395A (ko) * 2007-08-23 2009-02-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소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185Y1 (ko) * 2006-12-29 2008-01-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부품 연결장치
KR20090020395A (ko) * 2007-08-23 2009-02-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소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567Y1 (ko) 2021-04-22
CN210489455U (zh)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711B1 (ko) 직류 및 교류 동작용의 컨택터
CN102667995A (zh) 具有增强熄弧能力的电路断流器
KR200493567Y1 (ko) 기중차단기의 접점어셈블리
KR100331197B1 (ko) 부하 차단 스위치용 회전 아크 단속기
US11380501B2 (en) High voltage electric power switch with carbon arcing electrodes and carbon dioxide dielectric gas
JP2009176442A (ja) 開閉器
KR100493402B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접촉자 구조
US751028A (en) Means for extinguishing electric arcs
CN107230602B (zh) 一种小型断路器的吹弧机构
JP2007141679A (ja) ガス遮断器
KR20180001748U (ko) 진공 인터럽터
EP1040496B1 (en) Electrical circuit breaker
JPH08287813A (ja) 限流素子および配線用遮断器
JPH07282710A (ja) 開閉器
JPS60112217A (ja) 高電圧遮断器
JP2009054481A (ja) ガス遮断器
JP2000182486A (ja) ガス開閉器
JPH0113315Y2 (ko)
JPH06176654A (ja) 開閉器
WO2020003347A1 (ja) ガス遮断器
JPH0113316Y2 (ko)
JP4149537B2 (ja) 圧縮空気駆動型気中開閉器
JPH03116621A (ja) 高速大電流スイッチ
CN201877352U (zh) 真空灭弧装置
JPH06309999A (ja) パッファ式遮断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