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796U - 돔구조물용 외장막 - Google Patents

돔구조물용 외장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796U
KR20200001796U KR2020190000497U KR20190000497U KR20200001796U KR 20200001796 U KR20200001796 U KR 20200001796U KR 2020190000497 U KR2020190000497 U KR 2020190000497U KR 20190000497 U KR20190000497 U KR 20190000497U KR 20200001796 U KR20200001796 U KR 202000017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structure
membrane member
dome
side membran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창규
Original Assignee
주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규 filed Critical 주창규
Priority to KR2020190000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796U/ko
Publication of KR202000017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9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52Cove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지오데식 돔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출입구(11)가 마련된 돔구조물(10)에 장착되어 내부를 커버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에 있어서, 비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입구(11)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까지 상기 돔구조물(10)의 측방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돔구조물(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측부막부재(120); 및 비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돔구조물(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돔구조물(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막부재(130);를 포함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돔구조물용 외장막{OUTSIDE TENT FOR DOME STRUCTURE}
본 고안은 지오데식 돔형상을 갖는 돔구조물의 외부에 장착되어 내부를 커버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돔구조물을 사용하는 용도, 사용환경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돔구조물 상에서 장착되는 위치 및 높이가 조절되어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보다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돔구조물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의 돔구조물(10)은 다수 개의 단위프레임(21)이 삼각셀(22)의 형태로 연결되어 지오데식 돔형상으로 조립되면서 돔구조물의 골조를 구성하는 천막프레임(20) 및, 상기 천막프레임(20)의 외측을 덮어서 외부와 격리시키는 천막지(30)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돔구조물은 비투과성 재질인 천막지(30)를 커버수단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시선으로부터 내부를 커버할 수 있어 개인의 사생활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와 외부의 주변환경을 차단시키기 때문에 폐쇄감을 발생시키고 주변 경관을 내부에서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출입문(31) 외에는 외부와 연결된 환풍로가 없기 때문에 하계와 같이 기온이 높고 태양광이 강한 환경에서는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열사병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투명재질의 시트로 천막지(30)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경우 내부에서 주변경관을 볼 수 있어 개방감을 줄 수 있으나 반대로 내부 전체가 외부시선에 노출되기 때문에 개인의 사생활이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투명시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하계시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태양광이 내부로 그대로 투과되기 때문에 천막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되기 때문에 더욱 심각한 열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6170호(2011.01.20), 지오데식 돔 천막 및 그 제작방법.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돔구조물을 사용하는 용도, 사용환경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돔구조물의 외부면 전체차단, 측방 전체차단, 측방 부분차단, 상부 전체차단 및 상부 일부차단 등과 같이 다양한 커버모드로 돔구조물의 외부를 커버할 수 있어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커버모드로의 전환이 간단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지오데식 돔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출입구(11)가 마련된 돔구조물(10)에 장착되어 내부를 커버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에 있어서, 비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입구(11)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까지 상기 돔구조물(10)의 측방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돔구조물(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측부막부재(120); 및 비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돔구조물(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돔구조물(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막부재(130);를 포함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부막부재(120)는 측방으로 연장된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부막부재(120)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길게 연장되도록 측부막부재(120)에 장착되며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측부막부재(120)를 돔구조물(10)의 둘레에 밀착시키는 탄성밴드(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돔구조물(10)은 다수 개의 프레임바(12)가 체결구(13)에 의해 삼각셀(14)의 형태로 연결되면서 지오데식 돔형상으로 조립되고, 상기 탄성밴드(140)는 측부막부재(120)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밴드(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탄성밴드(140)에 고정장착된 상태로 상기 돔구조물(10)의 프레임바(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측부막부재(120)를 돔구조물(10)의 외부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제1고정수단(12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수단(125)은 끈, 벨크로 밴드, 케이블타이 또는 스냅단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부막부재(120)의 양측단 변부에는 상기 출입구(11)를 형성하는 프레임바(12)에 측부막부재(12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제2고정수단(122)이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수단(122)은 케이블타이, 끈, 벨크로 밴드 또는 스탭단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부막부재(120)는 비투광성이면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 둘레가 하부에 겹쳐지도록 접어지거나 하부 둘레가 상부에 겹쳐지도록 접어지며, 상기 측부막부재(12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수단(126) 및 제2체결수단(127)이 동일 수직선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체결수단(126)과 제2체결수단(127)의 결합에 의해 상기 측부막부재(120)의 접어진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막부재(130)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각 모서리에는 체결공(131)이 형성되며, 상기 돔구조물(10)의 하단에 배치된 체결구(13)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며, 각 체결공(131)과 관통공(15)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로프(150); 및 각 로프(150)에 장착되며 로프(1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돔구조물(1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막부재(130)의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길이조절수단(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길이조절수단(160)은 삼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모서리마다 제1통공(161), 제2통공(162) 및 제3통공(16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로프(150)는 일단이 상부막부재(130)의 체결공(131)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제1통공(161), 제2통공(162) 및 체결구(13)의 관통공(15)에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3통공(163)에 연결되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160)의 회동된 상태에서 따라 길이조절된 상태가 록킹되거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록킹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비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진 측부막부재(120)는 돔구조물(10)에 마련된 출입구(11)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까지 돔구조물(10)의 측방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돔구조물(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비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막부재(130)는 돔구조물(10)에 장착된 측부막부재(120)에 의해 돔구조물(10)의 개구된 상부를 커버하도록 돔구조물(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돔구조물(10)에 측부막부재(120)와 상부막부재(130)를 함께 장착하여 외부면 전체를 차단할 수 있고, 두 막부재(120,130) 중 어느 한 막부재(120,130)만을 장착하여 측방 전체를 차단하거나 상부 전체를 차단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돔구조물(10)을 사용하는 용도, 사용환경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커버모드로 돔구조물(10)의 외부를 커버할 수 있어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공기순환통로를 형성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측부막부재(120)는 측방으로 연장된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밴드(140)는 상기 측부막부재(120)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길게 연장되도록 측부막부재(12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측부막부재(120)를 반구형상을 갖는 돔구조물(10)의 외부면을 따라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돔구조물용 외장막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측부막부재(120)는 비투광성이면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 둘레가 하부에 겹쳐지도록 접어지거나 하부 둘레가 상부에 겹쳐지도록 접어지며, 상기 측부막부재(12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수단(126) 및 제2체결수단(127)이 동일 수직선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체결수단(126)과 제2체결수단(127)의 결합으로 상기 측부막부재(120)의 접어진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돔구조물(10)의 측방 일부만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커버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환풍로를 형성하여 더욱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상기 돔구조물(10)은 다수 개의 프레임바(12)가 체결구(13)에 의해 삼각셀(14)의 형태로 연결되면서 지오데식 돔형상으로 조립되고, 상기 탄성밴드(140)는 측부막부재(120)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밴드(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제1고정수단(125)은 탄성밴드(140)에 고정장착된 상태로 돔구조물(10)의 프레임바(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측부막부재(120)를 돔구조물(10)의 외부에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측부막부재(120)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탄성밴드(140)에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바람 등의 외부가압이 가해지더라도 장착부위가 쉽게 벌어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상부막부재(130)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각 모서리에는 체결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돔구조물(10)의 하단에 배치된 체결구(13)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31)과 관통공(15) 사이에는 로프(150)가 연결되고, 각 로프(150)에 장착되는 길이조절수단(160)은 로프(1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돔구조물(1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막부재(130)의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함으로써, 돔구조물(10)의 상부 일부만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커버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환풍로를 더 형성하여 환기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돔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외장막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부막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조부에 측부막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부막부재의 상부 둘레가 하부에 겹쳐지도록 접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부막부재에 투광창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조부에 상부막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수단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각 로프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상부막부재의 위치가 조절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록렌즈부와 축열재에 의해 돔구조물의 내부가 가열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돔구조물용 외장막(100)은 돔구조물을 사용하는 용도, 사용환경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돔구조물에 장착되는 외장막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보다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외장막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막부재(120) 및 상부막부재(1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돔구조물(10)은 다수 개의 프레임바(12)가 체결구(13)에 의해 삼각셀(14)의 형태로 연결되어 지오데식 돔형상으로 조립되며 일측에는 출입구(11)가 마련된다.
상기 측부막부재(120)는 돔구조물(10)의 측방둘레를 커버하는 부재로서 천막, PVC, 또는 유리섬유 등과 같은 비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입구(11)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까지 돔구조물(10)의 측방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돔구조물(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막부재(120)가 측방으로 연장된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돔구조물(10)의 반구형상으로 인해 측부막부재(120)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돔구조물(10)에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돔구조물(10)은 다수 개의 프레임바(12)가 체결구(13)에 의해 삼각셀(14)의 형태로 연결되면서 지오데식 돔형상으로 조립되고, 상기 탄성밴드(140)는 측부막부재(120)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밴드(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제1고정수단(125)은 탄성밴드(140)에 고정장착된 상태로 돔구조물(10)의 프레임바(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측부막부재(120)를 돔구조물(10)의 외부에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측부막부재(120)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탄성밴드(140)에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바람 등의 외부가압이 가해지더라도 장착부위가 쉽게 벌어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막부재(120)의 양측 변부에는 측부막부재(120)의 양측 단부를 돔구조물(10)의 출입구(11)에 고정시키는데 이용되는 관통공(123)이 각각 형성되고, 케이블타이, 끈, 벨크로 밴드 또는 스냅단추 등의 제1고정수단(125)을 이용하여 각 관통공(123)과 프레임바(12)의 둘레를 함께 묶는 방식으로 측부막부재(120)의 양측 변부를 출입구(11)의 양측방에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측부막부재(120) 및 상부막부재(130)의 구성을 통해 돔구조물(10)에 측부막부재(120)와 상부막부재(130)를 함께 장착하여 외부면 전체를 차단할 수 있고, 두 막부재(120,130) 중 어느 한 막부재(120,130)만을 장착하여 측방 전체를 차단하거나 상부 전체를 차단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돔구조물(10)을 사용하는 용도, 사용환경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커버모드로 돔구조물(10)의 외부를 커버할 수 있어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보다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막부재(120)는 비투광성이면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 둘레가 하부에 겹쳐지도록 접어지거나 하부 둘레가 상부에 겹쳐지도록 접어지며, 상기 측부막부재(12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수단(126) 및 제2체결수단(127)이 동일 수직선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체결수단(126)과 제2체결수단(127)의 결합으로 상기 측부막부재(120)의 접어진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돔구조물(10)의 측방 일부만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커버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환풍로를 형성하여 더욱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수단(126)과 제2체결수단(127)으로 스냅단추, 벨크로, 케이블타이 또는 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막부재(120)의 측방에는 관통되거나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광창(124)이 형성되어 내부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외부경관을 관람할 수 있다.
더불어, 도 2,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막부재(130)는 상기 상부막부재(130)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각 모서리에는 체결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돔구조물(10)의 하단에 배치된 체결구(13)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31)과 관통공(15) 사이에는 로프(150)가 연결되고, 각 로프(150)에 장착되는 길이조절수단(160)은 로프(1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돔구조물(1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막부재(130)의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함으로써, 돔구조물(10)의 상부 일부만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커버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환풍로를 더 형성하여 환기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수단(160)은 삼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모서리마다 제1통공(161), 제2통공(162) 및 제3통공(16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로프(150)는 일단이 상부막부재(130)의 체결공(131)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제1통공(161), 제2통공(162) 및 체결구(13)의 관통공(15)에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3통공(163)에 연결되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160)의 회동된 상태에서 따라 길이조절된 상태가 록킹되거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록킹해제됨으로써 각 로프(150)의 길이조절을 위한 조작이 간단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공(161)과 제2통공(162)이 상하로 정렬하도록 길이조절수단(160)을 회동시키면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길이조절수단(160)이 로프(15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쉽게 이동가능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길이조절수단(160)을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로프(150)의 길이가 짧아지고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로프(15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공(161)과 제2통공(162)을 대각방향에 정렬하도록 길이조절수단(160)을 회동시키면 로프(150)가 꺽이게 되면서 각 통공(161,162)과 로프(150)의 외부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록킹상태가 되어 길이조절수단(160)이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길이조절수단(160)에 의한 로프(150)의 길이조절 방식으로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로프(150) 중 일측방에 배치된 로프(150)들과 반대방향의 타측방에 배치된 로프(150)들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증감시킴으로써 측부막부재(120)와 상부막부재(130) 사이에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돔구조물(10)의 상부 일부만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커버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환풍로를 형성하여 순환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록렌즈부(170) 및 방열부(18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측부막부재(120)와 상부막부재(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돔구조물(10)은 볼록렌즈부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생략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렌즈형상으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록렌즈부(170)는 상기 상부막부재(130)의 중앙에 장착되며 투광재질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을 집약시켜 하향 조사하며, 상기 돔구조물(10) 내에서 상기 볼록렌즈부(170)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는 방열부(180)는 볼록렌즈부(170)에 통해 집약된 태양광에 의해 가열되며 가열된 열을 주변으로 방열하면서 내부를 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부(180)는 스틸, 알루미늄 및 구리 등과 같이 방열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공간이 마련된 방열챔버(181), 상기 방열챔버(181)의 내부에 배치되며 물, 금속, 모래 및 자갈 등과 같이 축열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 축열부재(182) 및, 일측은 상기 축열부재(182)에 접촉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방열챔버(181)에 관통삽입되며 상기 집약된 태양광에 의해 가열되면서 상기 축열부재(182)를 승온시키는 열전달부재(18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볼록렌즈부(170) 및 방열부(180)의 구성을 통해 난방연료를 소모하지 않아도 돔구조물(10)의 내부를 난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돔구조물 11...출입구
12...프레임바 13...체결구
15...관통공 100...돔구조물용 외장막
120...측부막부재 126...제1체결수단
127...제2체결수단 130...상부막부재
131...체결공 140...탄성밴드
150...로프 160...길이조절수단
170...볼록렌즈부 180...방열부

Claims (5)

  1. 지오데식 돔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출입구(11)가 마련된 돔구조물(10)에 장착되어 내부를 커버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에 있어서,
    비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입구(11)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까지 상기 돔구조물(10)의 측방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돔구조물(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측부막부재(120); 및
    비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돔구조물(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돔구조물(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막부재(130);를 포함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부막부재(120)는 측방으로 연장된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부막부재(120)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길게 연장되도록 측부막부재(120)에 장착되며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측부막부재(120)를 돔구조물(10)의 둘레에 밀착시키는 탄성밴드(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부막부재(120)는 비투광성이면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 둘레가 하부에 겹쳐지도록 접어지거나 하부 둘레가 상부에 겹쳐지도록 접어지며,
    상기 측부막부재(12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수단(126) 및 제2체결수단(127)이 동일 수직선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체결수단(126)과 제2체결수단(127)의 결합에 의해 상기 측부막부재(120)의 접어진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막부재(130)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각 모서리에는 체결공(131)이 형성되며,
    상기 돔구조물(10)의 하단에 배치된 체결구(13)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며,
    각 체결공(131)과 관통공(15)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로프(150); 및
    각 로프(150)에 장착되며 로프(1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돔구조물(1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막부재(130)의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길이조절수단(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볼록렌즈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막부재(130)의 중앙에 장착되며 투광재질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을 집약시켜 하향 조사하는 볼록렌즈부(170); 및
    상기 돔구조물(10) 내에서 상기 볼록렌즈부(170)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집약된 태양광에 의해 가열되며 가열된 열을 주변으로 방열하면서 내부를 난방하는 방열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구조물용 외장막.
KR2020190000497U 2019-01-31 2019-01-31 돔구조물용 외장막 KR202000017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97U KR20200001796U (ko) 2019-01-31 2019-01-31 돔구조물용 외장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97U KR20200001796U (ko) 2019-01-31 2019-01-31 돔구조물용 외장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96U true KR20200001796U (ko) 2020-08-10

Family

ID=7203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97U KR20200001796U (ko) 2019-01-31 2019-01-31 돔구조물용 외장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796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170A (ko) 2009-07-13 2011-01-20 재흥 고 지오데식 돔 천막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170A (ko) 2009-07-13 2011-01-20 재흥 고 지오데식 돔 천막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7887A (en) Thermal shutters
US4585020A (en) Self-contained tent
US20180128950A1 (en) Feature for Inhibiting Light Stripe Between Cellular Elements in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4677903A (en) Construction utilizing a passive air system for the heating and cooling of a building structure
US7987863B2 (en) Modular pole tent and joining means
KR101831493B1 (ko) 버티칼 어닝장치
KR20200001796U (ko) 돔구조물용 외장막
US20050000555A1 (en) Camping tent with improved ventilation
US20060037636A1 (en) Deflection resistant tent
JP2020084756A (ja) テント
US6202662B1 (en) Ventilated umbrella
KR100937685B1 (ko) 슬랫 구조체
JP2009133195A (ja) サッシ
JP5240209B2 (ja) 断熱障子及びこれを用いた建具
KR101090972B1 (ko) 접이식 창문
KR102312383B1 (ko) 차양방충망 내재형 고효율 커튼 월
KR102567376B1 (ko) 천 연결 프레임
CN214365327U (zh) 一种便携式单帐篷
EP0131256B1 (en) A self-contained tent
KR101858023B1 (ko) 이중 창호 부착용 프레임
KR200311189Y1 (ko) 창틀의 방충망레일 조립구조
KR200420115Y1 (ko) 텐트
JP2009228403A (ja) 日除け装置
KR102199701B1 (ko) 조립식파티션
KR102386507B1 (ko) 실내용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