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328U - 다용도 걸이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328U
KR20200001328U KR2020180005754U KR20180005754U KR20200001328U KR 20200001328 U KR20200001328 U KR 20200001328U KR 2020180005754 U KR2020180005754 U KR 2020180005754U KR 20180005754 U KR20180005754 U KR 20180005754U KR 20200001328 U KR20200001328 U KR 202000013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cradle
cover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혁
한신천
김현지
Original Assignee
최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혁 filed Critical 최민혁
Priority to KR2020180005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328U/ko
Publication of KR202000013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거치대와, 거치대의 길이 방향측 양단에 결합되어 거치대를 수납장의 벽면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지지구와, 지지구들의 전면을 통해 벽면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지지구들의 전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덮개 및, 거치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단에 대상물이 걸림 위치되는 걸이구를 포함하며, 지지구들은 상단에 상부 걸림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하부 걸림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덮개는 지지구들이 대응되게 삽입되는 장착홈과, 장착홈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부 걸림홈에 걸림 위치되는 상부 걸림돌기 및, 장착홈의 하면으부터 돌출되어 하부 걸림홈에 걸림 위치되는 하부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Description

다용도 걸이장치{MULTIPURPOSE HANGER}
본 고안은 다용도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작에 적용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다용도 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되어 각종 물품을 진열, 보관, 정리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수납장은, 실내 또는 실외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수납 공간을 여러 층으로 분할하는 수납 선반 등이 구성된다.
또한, 수납 공간은 별도의 패널 등에 의해 다수로 구획될 수 있고, 수납 공간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서랍이 결합된 구조도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수납장은 수납 선반에 물품을 올려 놓거나 서랍 등에 물품(의류 등)을 수납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일정 형태로 걸어두어야 하는 물품(가방 등)을 정리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구조였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공개특허 제10-2012-0022246호(2012년 03월 12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측면으로 인출되는 선반을 구비한 다목적 수납장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체결부재가 노출되는 지지구의 전면에 덮개를 푸쉬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덮개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지지구의 전면을 통해 결합된 체결부재가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다용도 걸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걸이구가 거치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므로, 걸이구가 거치대에 흔들림 없이 거치될 수 있고, 대상물의 형상이나 사이즈 등에 따라 걸이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걸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는, 좌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길이 방향측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대를 수납장의 벽면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들의 전면을 통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지지구들의 전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덮개 및, 상기 거치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단에 대상물이 걸림 위치되는 걸이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들은 상단에 상부 걸림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하부 걸림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지지구들이 대응되게 삽입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부 걸림홈에 걸림 위치되는 상부 걸림돌기 및, 상기 장착홈의 하면으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부 걸림홈에 걸림 위치되는 하부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는 상기 지지구의 측방을 통해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걸림홈과 상기 하부 걸림홈은 상기 거치대와 반대되는 일측이 측방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걸림돌기와 상기 하부 걸림돌기는 상기 상부 걸림홈과 상기 하부 걸림홈의 일측을 통해 측방으로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지지구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일측이 측방으로 개방되고, 반대되는 타측에는 결합시 상기 지지구의 측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 벽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걸림돌기와 상기 하부 걸림돌기는 상기 덮개를 상기 지지구의 전면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지지구의 상방과 하방으로 탄성 변형된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기 상부 걸림홈과 상기 하부 걸림홈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걸림돌기와 상기 하부 걸림돌기의 후면에는 상기 덮개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덮개를 상기 지지구의 전면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지지구의 상단과 하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부 걸림돌기와 상기 하부 걸림돌기를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구는 상기 거치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들은 상기 벽면에 결합시 상기 거치대의 후단을 상기 벽면으로부터 이격 위치시켜, 상기 벽면과 상기 거치대의 사이에 간격부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걸이구는 상단이 후방으로 절곡된 후,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간격부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구는 상기 거치대의 전면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거치대의 상단에 안착된 후, 상기 간격부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거치대의 후단에 밀착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후,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체결부재가 노출되는 지지구의 전면에 덮개를 푸쉬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덮개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지지구의 전면을 통해 결합된 체결부재가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걸이구가 거치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므로, 걸이구가 거치대에 흔들림 없이 거치될 수 있고, 대상물의 형상이나 사이즈 등에 따라 걸이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의 덮개와 지지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의 덮개와 지지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의 덮개와 지지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수납장의 수납선반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수납장의 수납선반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수납장의 수납선반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의 상부 걸림돌기와 하부 걸림돌기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의 덮개와 지지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의 덮개와 지지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의 덮개와 지지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수납장의 수납선반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수납장의 수납선반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를 수납장의 수납선반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의 상부 걸림돌기와 하부 걸림돌기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는 거치대(100)와, 한 쌍의 지지구(200)와, 체결부재(300)와, 한 쌍의 덮개(400) 및, 걸이구(500)를 포함한다.
먼저, 거치대(100)는 수납장(10)의 벽면(11, 수납 선반의 전면 등)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술 될 걸이구(500)가 거치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거치대(100)는 좌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것으로, 거치대(100)는 금속 소재 등을 이용해 직선 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100)의 길이 방향측 단면 형상은 전면과 후면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00)의 후면은 후술 될 지지구(200)들에 의해 수납장(10)의 벽면(11)과 일정 거리로 이격 위치되며, 이때 거치대(100)와 벽면(11)의 사이에는 간격부(G)가 형성된다.
아울러, 거치대(100)의 길이 방향측 양단에는 후술 될 지지구(200)의 일측단을 대응되게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홀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구(200)는, 거치대(100)의 길이 방향측 양단을 수납장(10)의 벽면(11)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거치대(100)의 길이 방향측 양단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지지구(200)들을 수납장(10)의 벽면(11)에 결합시키는 경우, 거치대(100)의 후단을 벽면(11)으로부터 이격 위치시키며, 이때 벽면(11)과 거치대(100)의 사이에 간격부(G)가 형성된다.
이를 위한, 지지구(200)들은 전면과 후면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지지구(200)의 일측단은 거치대(100)의 길이 방향측 일단과 대응되게 삽입된다.
이때, 지지구(200)들의 일측단에는 도 6과 8에서처럼 거치대(100)의 삽입홀에 대응되게 삽입시키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구(200)들에는 후술 될 체결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210)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200)들은 상단에 상부 걸림홈(220)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단에 하부 걸림홈(230)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걸림홈(220)과 하부 걸림홈(230)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부 걸림홈(220)과 하부 걸림홈(230)은 거치대(100)와 반대되는 일측이 측방으로 개방된다.
이와 같은 상부 걸림홈(220)과 하부 걸림홈(230)은, 후술 될 상부 걸림돌기(420)와 하부 걸림돌기(430)가 측방을 통해 슬라이드 결합된다.
체결부재(300)는, 지지구(200)들의 전면을 통해 수납장(10)의 벽면(11)에 결합되는 것으로, 체결부재(300)의 전단이 지지구(200)들의 체결홀(210)을 통해 수납장(10)의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300)는 전단이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체결홀(210)을 통해 수납장(10)의 벽면(11)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머리부가 체결홀(210)의 내부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덮개(400)들은, 지지구(200)들의 전면에 결합되어 체결부재(300)의 전단을 전방에서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400)는 지지구(20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감싸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400)들은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수지 계열, 금속 계열 등)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400)들은 지지구(200)들의 전면에 결합시 전면 및 상하면이 거치대(100)의 전면 및 상하면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덮개(400)들의 후면에는 지지구(200)들이 대응되게 삽입되는 장착홈(410)이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홈(410)의 상면에는 전술한 상부 걸림홈(220)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상부 걸림돌기(420)가 하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홈(410)의 하면에는 전술한 하부 걸림홈(230)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하부 걸림돌기(430)가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걸림돌기(420)와 하부 걸림돌기(430)는, 상부 걸림홈(220)과 하부 걸림홈(230)의 일측을 통해 측방으로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덮개(400)는 지지구(20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일측이 측방으로 개방되고, 반대되는 타측에는 결합시 지지구(200)의 측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 벽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벽부(440)는, 덮개(400)를 지지구(200)의 전면에 결합시키는 경우, 지지구(200)의 일측면에 걸림 위치되며, 이때 걸림 벽부(400)가 지지구(200)의 일측단을 외부에서 커버한다.
이와 같은 덮개(400)는, 도 8에서처럼 지지구(200)의 전면으로 밀어 넣어 결합시키거나, 도 6에서처럼 지지구(200)의 일측면을 통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400)를 지지구(200)의 전면으로 밀어 넣어 결합시키는 경우, 상부 걸림돌기(420)와 하부 걸림돌기(430)가 지지구(200)의 상방과 하방으로 탄성 변형된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부 걸림홈(220)과 하부 걸림홈(230)에 각각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부 걸림돌기(420)와 하부 걸림돌기(430)가 상부 걸림홈(220)과 하부 걸림홈(230)에 각각 결합되므로, 덮개(400)가 지지구(200)의 전방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반면, 덮개(400)를 지지구(200)의 측방으로 슬라이드 결합시키는 경우, 상부 걸림돌기(420)와 하부 걸림돌기(430)가 상부 걸림홈(220)와 하부 걸림홈(230)을 통해 각각 슬라이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부 걸림돌기(420)와 하부 걸림돌기(430)가 상부 걸림홈(220)과 하부 걸림홈(230)에 각각 결합되므로, 덮개(400)가 지지구(200)의 전방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상부 걸림돌기(420)와 하부 걸림돌기(430)의 후면에는 도 12에서처럼 덮개(400)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421)(43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421)(431)은, 덮개(400)를 지지구(200)의 전면으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지지구(200)의 상단과 하단에 밀착되어 상부 걸림돌기(420)와 하부 걸림돌기(430)를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경사면(421)(431)이 지지구(200)의 상단과 밀착된 상태로 결합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므로, 지지구(200)의 상단과 하단에 걸리지 않고 덮개(400)를 밀어 결합시킬 수 있다.
걸이구(500)는, 거치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걸이구(500)의 하단에 대상물(20, 옷걸이, 가방 등)이 걸림 위치된다.
여기서, 걸이구(500)는 거치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위치가 가변되는 것으로, 걸이구(599)는 상단이 후방으로 절곡된 후, 하방으로 절곡되어 간격부(G)의 내부에 삽입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걸이구(500)는 거치대(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몸체(510)와, 제1걸림부(520) 및, 제2걸림부(530)로 구분될 수 있다.
몸체(510)는, 거치대(100)의 전면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부분으로, 몸체(510)의 후면이 거치대(100)의 전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1걸림부(520)는, 몸체(510)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거치대의 상단에 안착된 후, 간격부(G)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거치대(100)의 후단에 밀착된다.
이때, 제1걸림부(520)의 내주면이 거치대(100)의 상면과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510)와 제1걸림부(520)가 거치대(100)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므로, 걸이구(500)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걸림부(530)는, 몸체(510)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후,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으나, 제2걸림부(53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걸림부(530)에 옷걸이를 거치시키는 경우, 도 9 내지 11에서처럼 옷걸이의 고리 부위가 제2걸림부(530)의 수평 부위에 걸림 위치되고, 제2걸림부(530)의 수직 부위에 의해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체결부재(300)가 노출되는 지지구(200)의 전면에 덮개를 푸쉬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덮개(400)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지지구(200)의 전면을 통해 결합된 체결부재(300)가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다.
또한, 본 고안은 걸이구(500)가 거치대(1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므로, 걸이구(500)가 거치대(100)에 흔들림 없이 거치될 수 있고, 대상물(20)의 형상이나 사이즈 등에 따라 걸이구(5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수납장 11: 벽면
20: 대상물 100: 거치대
200: 지지구 210: 체결홀
220: 상부 걸림홈 230: 하부 걸림홈
300: 체결부재 400: 덮개
410: 장착홈 420: 상부 걸림돌기
421: 경사면 430: 하부 걸림돌기
431: 경사면 440: 걸림 벽부
500: 걸이구 510: 몸체
520: 제1걸림부 530: 제2걸림부
G: 간격부

Claims (9)

  1. 좌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길이 방향측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대를 수납장의 벽면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들의 전면을 통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지지구들의 전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덮개 및, 상기 거치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단에 대상물이 걸림 위치되는 걸이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들은, 상단에 상부 걸림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하부 걸림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지지구들이 대응되게 삽입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부 걸림홈에 걸림 위치되는 상부 걸림돌기 및, 상기 장착홈의 하면으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부 걸림홈에 걸림 위치되는 하부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걸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지지구의 측방을 통해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걸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림홈과 상기 하부 걸림홈은,
    상기 거치대와 반대되는 일측이 측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상부 걸림돌기와 상기 하부 걸림돌기는,
    상기 상부 걸림홈과 상기 하부 걸림홈의 일측을 통해 측방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걸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지지구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일측이 측방으로 개방되고, 반대되는 타측에는 결합시 상기 지지구의 측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 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걸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걸림돌기와 상기 하부 걸림돌기는,
    상기 덮개를 상기 지지구의 전면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지지구의 상방과 하방으로 탄성 변형된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기 상부 걸림홈과 상기 하부 걸림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걸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림돌기와 상기 하부 걸림돌기의 후면에는,
    상기 덮개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덮개를 상기 지지구의 전면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지지구의 상단과 하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부 걸림돌기와 상기 하부 걸림돌기를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다용도 걸이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는,
    상기 거치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걸이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들은,
    상기 벽면에 결합시 상기 거치대의 후단을 상기 벽면으로부터 이격 위치시켜, 상기 벽면과 상기 거치대의 사이에 간격부를 형성시키며,
    상기 걸이구는,
    상단이 후방으로 절곡된 후,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간격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걸이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는,
    상기 거치대의 전면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거치대의 상단에 안착된 후, 상기 간격부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거치대의 후단에 밀착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후,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걸이장치.
KR2020180005754U 2018-12-12 2018-12-12 다용도 걸이장치 KR202000013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754U KR20200001328U (ko) 2018-12-12 2018-12-12 다용도 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754U KR20200001328U (ko) 2018-12-12 2018-12-12 다용도 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28U true KR20200001328U (ko) 2020-06-22

Family

ID=7112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754U KR20200001328U (ko) 2018-12-12 2018-12-12 다용도 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32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200B2 (en) Sliding rails for mounting shelf
US6726040B1 (en) Sectional rack with drawers
US2721632A (en) Partition structure for articles of furniture
KR101694333B1 (ko) 의류 수납기구
US4645276A (en) Angle iron for supporting plates, panels or other objects and cabinet formed using angle irons of this type
KR101886927B1 (ko) 주방가구 하부수납장의 서랍용 걸이형 선반
KR20200001328U (ko) 다용도 걸이장치
KR200480389Y1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US20100253193A1 (en) Lateral File Drawer And Anti-Tip Device
JP6261026B2 (ja) スライド収納装置
KR200484135Y1 (ko) 우산꽂이
JP5074955B2 (ja) 収納棚
CA2932280C (en) Sliding rails for mounting shelf
JP4152380B2 (ja) 収納ユニット及び収納ユニット用棚受け部
KR20160002101U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JP4943252B2 (ja) デスク装置
KR200493880Y1 (ko) 수납장치
JP3097416U (ja) 流し台用整理棚
KR101694334B1 (ko) 의류 수납기구
KR101973962B1 (ko)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
JP6634220B2 (ja) 収納家具
KR200491470Y1 (ko) 공구함
WO2021084966A1 (ja) 引き出し
US9398807B2 (en) Hook for clothes hanger
KR101635584B1 (ko) 주방용품용 부품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