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836U - 양방향 전기 구이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전기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836U
KR20200000836U KR2020180004728U KR20180004728U KR20200000836U KR 20200000836 U KR20200000836 U KR 20200000836U KR 2020180004728 U KR2020180004728 U KR 2020180004728U KR 20180004728 U KR20180004728 U KR 20180004728U KR 20200000836 U KR20200000836 U KR 202000008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roasting
plate
heating coil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열
Original Assignee
박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열 filed Critical 박정열
Priority to KR2020180004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836U/ko
Publication of KR202000008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31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 A47J37/0736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47J2037/0617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with mean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heat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육류나 생선 등을 굽기 위한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구조의 단순화된 구조 개선을 통해 제작상의 편리함과 사용상의 편리함 및 소형화된 구조의 구현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승강수단의 다양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구이판이 승강수단에 고정 장착되는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써, 구이판의 승강 작동 과정에서의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되게 하며, 또한 히팅코일의 상부에서 음식물이 유입시 이를 차단하여 항시 히팅코일의 안정된 작동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전기 작동 구조를 통해 실내에서 사용시 가스의 폭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양방향 전기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전기 구이기{Electricity roaster for two-way}
본 고안은 각종 육류나 생선 등을 굽기 위한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 구조의 개선을 통한 구조의 단순화와, 이에 따른 고장의 방지 및 안정된 작동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사용상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양방향 전기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기는 각종 육류나 생선 등을 굽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테이블용 구이기는 테이블에 매설된 상태로 가스를 이용하여 화염이 구이기의 상부에 안착된 구이판에 직접 전달되게 함으로서, 가열된 구이판에 올려진 구이물이 고온의 구이판에 의해 구워져 이를 섭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한 구이기는 테이블에 매설된 함체상의 본체와 그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숯불실 또는 가스연소에 의한 가열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숯불실 또는 가열실의 상부에는 판상의 구이판 또는 금속망의 구이망이 안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의 구이기는 숯불 또는 가스불을 이용하여 구이판에 직접 열을 가해 구이판의 열기에 의해 구이판에 올려진 구이물을 굽게 되는 것으로, 구이시 구이물이 쉽게 구이판에 눌러 붙으며, 이로 인해 구이물이 타는 등 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이 중 구이물에서 발생되는 육즙이나 기름 등이 구이판 하부의 숯불이나 가스불로 떨어져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발암물질을 발생시켰으며, 그 사용상에 있어서도 테이블에 고정되어 이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출원 제10-2013-0069762호, 특허출원 제10-2015-0116603호와 같이 구이물을 굽기위해 화염을 발생시키는 화염기가 구이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 및 하부로 화염이 전해지게 함으로써, 구이물을 구울시 화염이 상부로부터 구이판에 올려진 구이물로 직접 전달되게 하여 구이판에 구이물이 눌어붙어 타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구이시 구이물에서 발생되는 육즙 등의 기름이 화염으로 떨어져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발암물질의 발생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직화 구이기는, 화염부와 구이판과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인바, 항시 일정한 구이속도를 유지되어야 하였으며, 이는 구이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화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이기는, 구이물과 함께 국물 등을 섭취시 별도의 화염수단을 통해 국물을 데워 먹어야 하는 등 구이기 기능상의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등록 제10-1715572호와 같이 구이대의 승강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상부로 열원이 부여되어 상부에서 국물 등의 조리가 가능하게 한 양방향 구이기를 제안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양방향 구이기는 링크의 구조가 복잡하여 구이기 제작이 매우 곤란하였으며, 이러한 복잡한 구조에 따라 대형화되어 그 휴대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이대가 단순히 승강수단 상부에 거치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승강 작동 과정에서 유동이 발생 및 심할 경우 구이대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염판이 다공성 성질을 가지는 세라믹판으로 구성된 것인데, 그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어 자칫 개방된 상부로 가스가 유출되는 등 안전상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연료로 사용되는 부탄가스가 사용중 가스가 기화되면서 냉각되어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이기는 부탄가스를 사용하는 특성상 항시 가스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1715572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승강구조의 단순화된 구조 개선을 통해 제작상의 편리함과 사용상의 편리함 및 소형화된 구조의 구현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승강수단의 다양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양방향 전기 구이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구이판이 승강수단에 고정 장착되는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써, 구이판의 승강 작동 과정에서의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되게 하는 등 구이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양방향 전기 구이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히팅코일의 상부에서 음식물이 유입시 이를 차단하여 항시 히팅코일의 안정된 작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양방향 전기 구이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 작동 구조를 통해 실내에서 사용시 가스의 폭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양방향 전기 구이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내부에는 공간부를 이루도록 상부로 개방되며 일측에는 기름받이가 삽탈되는 본체;
본체의 타측에서 상부로 수집 입설되는 지주;
지주의 상단에서 연결부를 통해 공간부 측으로 돌출되며 내부에는 열기의 발생이 가능한 히팅코일이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화염기;
공간부에 형성되어 상,하 승강을 단속하는 승강수단; 및
승강수단의 상부에 거치되어 구이물이 올려지며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된 구이판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지주에는,
히팅코일의 온도를 제어하는 조절스위치가 형성된 제어부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를 통해 히팅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화염기에는,
둘레에는 안전망이 형성되고, 히팅코일의 상부에는 열기의 상부 이동은 가능하고 상부로부터 수분의 유입은 방지하는 이물 유입방지구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화염기의 상부에 거치되어 선택 사용 가능한 국물의 조리가 가능한 조리용기 및 구이물의 구이가 가능한 보조구이판으로 된 보조 조리수단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이물 유입방지구는,
화염기의 내주면에서 하방을 향하게 경사 형성 및 중앙이 관통되게 구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열기통공이 형성된 열기 유도판과, 열기 유도판의 상부에서 각각의 열기통공의 상부에 지붕을 형성하는 다수의 유입방지갓으로 구성하며,
승강수단은,
폭 방향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본체의 공간부 내부 일측 전,후방에서 상부로 입설되며, 상부에는 연결봉이 관통되는 캠홈이 형성된 지지부;
일측이 지지부의 양측 캠홈을 관통하는 연결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간부의 내측에서 지주의 측면에 축설되어 링크 구동하는 승강 작동부; 및
본체의 일측에 축설 및 회전 조절되며, 내측에는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연결봉의 단부가 삽입되며 본체에 형성되는 안내부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연결봉 안내부가 형성되어 승강 작동부의 승강을 단속하는 조절노브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이판은,
상단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승강 작동부의 상단에 장착되는 폭 방향 양측 한 쌍의 장착편이 형성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는, 링크구조의 개선을 통해 승강수단의 단순화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제작상의 편리함과 사용상의 편리함 및 장치의 소형화의 구현이 가능하며, 특히 스프링 작동을 통한 승강수단의 3단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등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구이판이 승강수단의 거치대에 고정되게 구성된 것인바, 승강 작동 과정 또는 구이 과정에서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화염기의 내부에서 히팅코일의 상부에 열기는 통과하고 수분의 낙하는 방지하는 이물 유입방지구가 구성된 것인바, 상부 조리시 음식물이 넘치더라도 히팅코일의 안정된 보호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 작동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실내에서 가스의 폭발 등의 위험을 완전 방지하는 등 항시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화염기 요부도.
도 5는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승강수단 요부도.
도 6은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구이판 요부도.
도 7은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미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구이 준비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제1 상승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제2 상승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사용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3은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사용상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화염기 요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1)는, 본체(100)와, 지주(200)와, 화염기(300)와, 승강수단(400)과, 구이판(5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좌,우 길이를 이루면서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공간부(101)를 이루는 함체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길이방향 일측(도면중 좌측)으로 슬라이딩 삽탈 가능한 기름받이(110)기 구성된 것으로, 기름받이(110)는 공간부(101)의 내측으로 삽탈되어 후술하는 구이판(500)에서 구이물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나 육즙의 수거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지주(20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도면중 우측)에서 공간부(101)로부터 상부를 향하게 수직으로 입설되게 구성된다.
이때, 지주(200)에서는 후술하는 히팅코일(310)의 발열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히팅코일(310)의 온도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부(210)가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210)에는 조절스위치(222)가 구성된 것으로, 조절스위치(222)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원의 ON/OFF 및 온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10)에는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선 연결되는 플러그(212)가 구성된 것으로, 플러그(212)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히팅코일(310)로 전달되어 그 히팅코일(310)을 발열하게 구성된다.
상기 화염기(300)는, 상기 지주(200)의 상단으로부터 연결부(301)를 통해 본체(100)의 공간부(101) 중앙 상부로 연장되게 구성된 것으로, 상,하로 관통되게 구성된다.
이때, 화염기(300)에는, 그 내주면에 상기 제어부(21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이 가능한 원형의 히팅코일(310)이 구성된다.
그리고, 히팅코일(310)의 상부에는 관통되는 화염기(300)의 상부에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시 그 히팅코일(31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히팅코일(310)을 보호하는 이물 유입방지구(330)가 구성된다.
이때 이물 유입방지구(330)는 먼저, 화염기(3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한편, 중앙이 관통되는 환형 형태로 구성된 열기 유도판(331)이 구성된 것으로, 열기 유도판(331)은 바람직하게는 화염기(300)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앙 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이루며, 그 중앙은 관통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열기 유도판(331)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로 관통되는 열기통공(332)(332')이 구성된 것으로, 그 열기통공(332)(332')을 통해 발열되는 히팅코일(310)의 열기가 상부로 전달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열기통공(332)(332')은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수분이나 이물 등이 열기통공(332)(33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방지갓(333)(333')으로 덮어지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유입방지갓(333)(333')은 열기 유도판(33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구성된 것으로, 수평 형태를 이루면서 열기통공(332)(332')의 상부로 이격되어 열기통공(332)(332')의 상부에 지붕을 형성하게 구성된다.
즉, 히팅코일(310)에서 발생되는 열기는 대류현상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인바, 이때 이동하는 열기는 열기 유도판(331)의 관통된 중앙 및 다수의 열기통공(332)(332')을 통해 상부로 이동 가능하게 되며, 화염기(300)의 상부에서 낙하되는 각종 이물이나 수분은 유입방지갓(333)(333')을 통해 열기통공(332)(332')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히팅코일(310)과의 간섭으로 인한 연기의 발생 방지 및 히팅코일(310)의 보호가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기 작동하는 히팅코일(310)을 구성시에는 통상의 전기 작동식 구이기 또는 전기팬과 같이 제어부(210)의 조절스위치(211)와 연동 작동되는 온도센서(도면중 미도시함)가 구성되어 온도의 제거가 가능하게 구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화염기(300)에는 도 4를 참조하여 화염기(300)의 둘레에는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망(32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화염기(30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구이판(500)을 이용한 구이물의 구이 이외에 히팅코일(310)로부터 상부로 이동하는 열기를 이용한 조리가 가능한 보조 조리수단(34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보조 조리수단(340)은, 이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마늘 등의 구이나 국물이 있는 음식의 추가 조리가 가능한 상부 개방형 용기 형태를 이루는 조리용기(341)와, 구이물의 구이가 가능한 보조구이판(342)로 구성된 것으로, 조링용기(341)과 보조구이판(342)는 선택적으로 화염기(300)의 상부에 거치 사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400)은,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01)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구이판(500)의 상,하 승강을 단속하게 구성된 것으로, 링크 작동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승강수단(400)은 도 5를 참조하여 지지부(410)(410')와, 승강 작동부(420)와, 조절노브(430)로 구성된다.
먼저 지지부(410)(410')는, 본체(100)의 전,후 폭 방향으로 대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좌,우 길이를 가지는 판체 형태로 구성되며, 공간부(101)의 내부 일측 전,후방에서 상부로 수직 입설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부(410)(410')에는 캠홈(411)이 구성된 것으로, 캠홈(411)은 후술하는 승강 작동부(420)의 좌,우 이동 가이드 및 승강 작동부(420)의 상,하 승강을 단속하게 구성되되, 양측의 캠홈(411)에는 승강 작동부(420)의 승강을 단속하는 연결봉(412)이 관통되게 구성된다
이때, 캠홈(411)은 중앙에는 좌,우 길이를 이루는 수평부(411a)를 이루고, 수평부(411a)의 일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승강 작동부(420)가 하강한 상태에서 연결봉(412)이 걸림 고정되는 하강 걸림홈(411b)이 구성되고, 수평부(411a)의 타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승강 작동부(420)가 상승한 상태에서 연결봉(412)이 걸림 고정되는 상승 걸림홈(411c)이 구성된다.
상기 승강 작동부(420)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410)(410')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간부(101)의 내측에서 지주(200)의 측면에 축설되어 링크 작동하게 구성된다.
승강 작동부(420)는 먼저, 좌,우 길이를 이루는 제1 링크부재(421)가 구성된다.
이때, 제1 링크부재(421)는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지주(200) 측으로 개방되는 "ㄷ"형 절곡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그 연결된 일측이 양측 지지부(410)(410')의 캠홈(411)을 관통하는 연결봉(412)에 축설되게 구성되고, 타측은 지주(200) 측을 향하게 상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승강 작동부(420)에는 좌,우 길이를 이루는 제2 링크부재(423)가 구성된다.
이때, 제2 링크부재(423)는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지주(200) 측으로 개방되는 "ㄷ"형 절곡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그 개방된 타측이 지주(200)의 측면에 축설되게 구성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봉(412) 측을 향하게 상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축설시에는 별도의 브라켓(도면중 미도시함)을 통해 축설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 링크부재(423)는 상기 제1 링크부재(421)의 폭 보다 큰 폭을 이루어 그 제1 링크부재(421)를 폭 방향 감싸게 구성되며, 그 중간부가 제1 링크부재(421)의 중간부와 힌지(H) 연결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승강 작동부(420)에는 후술하는 구이판(500)의 거치 장착이 가능한 구이판 장착대(425)가 구성된다.
이때, 구이판 장착대(425)는 좌,우 길이를 이루는 틀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먼저 그 일측에는 수평형 가이드장공(426)이 구성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423)의 일측이 가이드핀(427)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구이판 장착대(425)의 타측에는 상기 제1 링크부재(421)의 타측이 축설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구이판 장착대(425)의 타측 상단에는 구이판(500)의 고정이 가능한 구이판 걸이편(428)이 구성된 것으로, 구이판 걸이편(428)은 상부로 돌출 및 상단이 하부로 개방되도록 절곡되게 구성된다.
한편, 승강 작동부(420)에는 상기 연결봉(412)을 지주(200) 측으로 당기는 탄성을 부여하는 양측 한 쌍의 인장스프링(429)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인장스프링(429)은 각각의 지지부(410)(410') 외측에 위치되게 구성되며, 각각의 일단이 연결봉(412)에 연결되게 구성되고, 타단이 각각의 지지부(410)(410')의 지주(200) 측 하부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인장스프링(429)의 탄성은 바람직하게는 연결봉(412)을 캠홈(411)의 중간부 즉, 수평부(411a)의 중간부 까지 당기는 탄성을 가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러한 인장스프링(429)의 탄성 정도는 반복된 실험을 통해 적용하였다.
즉,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1)는 승강 작동부(420)의 링크 구성을 단순화 시킴으로 그 구조적인 간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절노브(43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서 외측에 축설되어 회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조절노브(430)에는 그 내측면에는 축설된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상기 연결봉(412)의 일단이 삽입되는 연결봉 안내부(431)가 구성된 것으로, 연결봉 안내부(431)는 장홈 구성되어 연결봉(412)이 삽입 및 회전 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유격을 연결봉(412)의 소정 유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체(100)에는 상기 연결봉(412)이 결합되는 캠홈(411)과 대응되도록 안내부 가이드홈(120)이 구성되어 조절노브(43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연결봉 안내부(431)가 삽입 및 회전 안내되게 구성된다.
상기 구이판(500)은, 구이 과정에서 구이물이 올려질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승강 작동부(420)의 상부 즉, 구이판 장착대(425)의 상부에 거치되어 승강 작동부(420)의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 작동되게 구성되며, 중앙에는 다수의 통공(501)이 관통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구이판(500)은 도 6을 참조하여 그 상단 둘레에는 상부로 소정 돌출되는 테두리부(510)가 구성된다.
그리고, 구이판(500)의 저면에는 전,후 폭 방향 한 쌍을 이루며, 좌,우 길이를 이루어 상기 구이판 장착대(425)의 폭 방향 양측을 감싸는 장착편(520)이 하방 돌출되게 구성된다.
즉, 구이판(500)은 장착편(520)을 통해 구이판 장착대(425)의 폭 방향 양측을 감싸면서 그 구이판 장착대(425)에 거치되고, 테두리부(510)의 일단이 구이판 장착대(425)의 구이판 걸이편(428)에 걸려 고정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조절노브(430)는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하되, 양측의 조절노브(430)가 연동 작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본체(100)의 양측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게 안내부 가이드홈(120)을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양측의 조절노브(430)는 본체(100)에 축설되는 한편 연결봉 안내부(431)를 통해 연결봉(412)의 양단이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의 조절노브(430)는 본체(100)의 전방에서 본체(100)와 간섭받지 않도록 연결대(432)로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연결봉(412)의 양측을 조절노브(430)로 연결 및 양측의 조절노브(430)를 연결대(432)로 연결하게 되면, 연결대(432)의 조작에 의해 조절노브(43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연결봉(412)의 양측에서 균일한 회전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인바, 안정된 승강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1)는, 미사용시에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승강 작동부(420)가 접혀져 본체(100)의 공간부(101)에 수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승강 작동부(420)는 그 접혀진 상태에서는 조절노브(430)가 도면중 좌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이루는 것으로, 이에 연결봉(412)은 캠홈(411)의 하강 걸림홈(411b)에 걸림된 상태를 이루고, 제2 링크부재(423)와 구이판 장착대(425)를 연결하는 가이드핀(427)은 가이드장공(426)의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승강 작동부(420)는 제1,2 링크부재(421)(421')가 힌지(H)를 축으로 하여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이루어 구이판 장착대(425)가 하강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도 9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구이기(1)를 사용시에는 먼저, 구이판(500)을 장착하되, 구이판(500)은 승강 작동부(420)의 구이판 장착대(425)에 거치되되, 그 저면에 형성된 장착편(520)이 구이판 장착대(425)의 폭 방향을 감싸게 거치되고, 그 일단의 테두리부(510)가 구이판 걸이편(428)에 걸려 고정되는 것으로, 구이판(500)은 이중 고정을 통해 유동 없이 안정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장착된 구이판(500)의 상부에는 구이물을 올려 구이를 준비하고, 제어부(210)의 조절스위치(211)를 작동시켜 전기를 공급 및 히팅코일(310)에 열기를 부여하면 되는 것으로, 이렇게 히팅코일(310)에서 발생되는 열기는 구이판(500)의 상부로 전달 및 구이물을 구울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1)는 구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먼저 서서히 구이를 구행하기 위해서는 승강 작동부(420)를 중간 높이까지 상승시켜 구이를 수행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조절노브(430)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연결봉(412)을 하강 걸림홈(411b)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인장스프링(429)의 복귀 탄성이 부여되게 된다.
이때, 인장스프링(429)의 복귀 탄성은 연결봉(412)을 캠홈(411)의 수평부(411a) 위치까지만 부여되게 되는 것인바, 연결봉(412)은 캠홈(411)의 수평부(411a)의 중간에 위치되고, 이러한 연결봉(412)의 작동과 함께 가이드핀(427) 또한 연동되어 가이드장공(426)의 우측으로 이동 및 중간부에 위치되게 되며, 이에 제1,2 링크부재(421)(421')는 힌지(H)를 축으로 하여 교차 회동하여 소정 세워지게 되는 것으로, 이에 제1,2 링크부재(421)(421')를 연결하고 있는 구이판 장착대(425)를 중간부 높이로 상승시키게 된다.
이에, 구이판(500)은 중앙 상승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히팅코일(310)과의 이격 거리를 통해 서서히 구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속한 구이를 위해서는 승강 작동부(420)를 상부로 최대한 상승시켜 구이를 수행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조절노브(430)를 도면상 우측으로 최대한 회전 조절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연결봉(412)은 캠홈(411)의 상승 걸림홈(411c) 측으로 이동 걸림되고, 이러한 연결봉(412)의 작동과 함께 가이드핀(427) 또한 연동되어 가이드장공(426)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제1,2 링크부재(421)(421')는 힌지(H)를 축으로 하여 교차 회동하여 세워지게 되는 것으로, 이에 제1,2 링크부재(421)(421')를 연결하고 있는 구이판 장착대(425)를 최대한 상승시키게 된다.
이에, 구이판(500)은 최대한 상승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히팅코일(310)과 근접한 위치에서 신속한 구이가 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1)는, 구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구이판(500)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의 구이가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구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육즙이나 기름 등은 구이판(500)의 통공(501)을 통해 하부로 낙하 및 기름받이(110)에 수거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1)를 사용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12 및 도 13의 도시와 같이 구이물과 함께 섭취 가능한 마늘이나 양파 등의 구이나 찌개 등과 같은 국물의 조리나 구이물의 추가 조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보조 조리수단(340)에 의해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히팅코일(310)에서 발생되는 열기는 대류 현상에 의해 상부로 전달되게 된다.
이에, 먼저 도 12를 참조하여 국물 등의 조리시에는 화염기(300)의 상부에 내용물이 담겨진 조리용기(341)를 올려놓게 되면 히팅코일(310)의 열기는 이물 유입방지구(330)의 관통된 중앙과 열기통공(332)(332')을 통해 조리용기(341)로 전달 및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국물 등을 조리시 그 국물이 넘치게 되면 화염기(30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는 것인바, 본 고안에서는 이물 유입방지구(330)에 의해 넘치는 수분이 히팅코일(3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여 보조적인 구이를 수행시에는 화염기(300)의 상부에 보조구이판(341)을 올려놓게 되면 조리시에는 화염기(300)의 상부에 내용물이 담겨진 조리용기(341)를 올려놓게 되면 히팅코일(310)의 열기는 이물 유입방지구(330)의 관통된 중앙과 열기통공(332)(332')을 통해 보조구이판(342)로 전달 및 구이물의 구이나 구이판(500)에서 구워진 구이물의 보온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양방향 전기 구이기는 승강수단의 구조적인 간소화를 가져오면서도 그 승강 작동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되는 등 사용상의 편리함과 구이물의 효율적인 구이가 가능하게 된다.
100 : 본체 101 : 공간부
110 : 기름받이 120 : 안내부 가이드홈
200 : 지주 210 : 제어부
211 : 조절스위치 212 : 플러그
300 : 화염기 301 : 연결부
310 : 히팅코일 320 : 안전망
330 : 이물 유입방지구 331 : 열기 유도판
332,332' : 열기통공 333,333' : 유입방지갓
340 : 보조 조리수단
341 : 조리용기 342 : 보조구이판
400 : 승강수단 410,410' : 지지부
411 : 캠홈 411a : 수평부
411b : 하강 걸림홈 411c : 상승 걸림홈
412 : 연결봉
420 : 승강 작동부 421 : 제1 링크부재
423 : 제2 링크부재 425 : 구이판 장착대
426 : 가이드장공 427 : 가이드핀
428 : 구이판 걸이편 429 : 인장스프링
430 : 조절노브 431 : 연결봉 안내부
500 : 구이판 501 : 통공
510 : 테두리부 520 : 장착편

Claims (5)

  1. 내부에는 공간부(101)를 이루도록 상부로 개방되며 일측에는 기름받이(110)가 삽탈되는 본체(100);
    본체(100)의 타측에서 상부로 수집 입설되는 지주(200);
    지주(200)의 상단에서 연결부(301)를 통해 공간부(101) 측으로 돌출되며 내부에는 열기의 발생이 가능한 히팅코일(310)이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화염기(300);
    공간부(101)에 형성되어 상,하 승강을 단속하는 승강수단(400); 및
    승강수단(400)의 상부에 거치되어 구이물이 올려지며 중앙에는 통공(501)이 형성된 구이판(5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지주(200)에는,
    히팅코일(310)의 온도를 제어하는 조절스위치(211)가 형성된 제어부(210)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210)를 통해 히팅코일(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212)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화염기(300)에는,
    둘레에는 안전망(320)이 형성되고, 히팅코일(310)의 상부에는 열기의 상부 이동은 가능하고 상부로부터 수분의 유입은 방지하는 이물 유입방지구(33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화염기(300)의 상부에 거치되어 선택 사용 가능한 국물의 조리가 가능한 조리용기(341) 및 구이물의 구이가 가능한 보조구이판(342)으로 된 보조 조리수단(340)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이물 유입방지구(330)는,
    화염기(300)의 내주면에서 하방을 향하게 경사 형성 및 중앙이 관통되게 구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열기통공(332)(332')이 형성된 열기 유도판(331)과, 열기 유도판(331)의 상부에서 각각의 열기통공(332)(332')의 상부에 지붕을 형성하는 다수의 유입방지갓(333)(333')으로 구성하며,
    승강수단(400)은,
    폭 방향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본체(100)의 공간부(101) 내부 일측 전,후방에서 상부로 입설되며, 상부에는 연결봉(412)이 관통되는 캠홈(411)이 형성된 지지부(410)(410');
    일측이 지지부(410)(410')의 양측 캠홈(411)을 관통하는 연결봉(412)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간부(101)의 내측에서 지주(200)의 측면에 축설되어 링크 구동하는 승강 작동부(420); 및
    본체(100)의 일측에 축설 및 회전 조절되며, 내측에는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연결봉(412)의 단부가 삽입되며 본체(100)에 형성되는 안내부 가이드홈(120)을 따라 가이드되는 연결봉 안내부(431)가 형성되어 승강 작동부(420)의 승강을 단속하는 조절노브(43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이판(500)은,
    상단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는 테두리부(510)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승강 작동부(420)의 상단에 장착되는 폭 방향 양측 한 쌍의 장착편(520)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기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승강 작동부(420)는,
    평면상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지주(200) 측으로 개방되는 "ㄷ" 형태를 이루며, 연결된 일측은 연결봉(412)이 축설되고 타측은 상향 경사를 이루는 제1 링크부재(421);
    평면상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지주(200) 측으로 개방되는 "ㄷ" 형태를 이루며, 개방된 타측은 지주(200)의 측면에 축설되고 일측은 상향 경사를 이리며, 중간부가 제1 링크부재와 힌지(H)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423); 및
    좌, 우 길이를 이루는 직사각형 틀체 형태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수평형 가이드장공(426)이 형성되어 제2 링크부재(423)의 일측이 가이드핀(427)으로 연결되고, 타측에는 제1 링크부재(421)의 타측이 축설되며, 타측 상단에는 구이판(500)의 테두리부(510)를 걸어 고정하는 하부 개방형 구이판 걸이편(428)이 형성되어 구이판(500)이 거치되는 구이판 장착대(425)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구이판(500)은,
    장착편(520)이 구이판 장착대(425)의 폭 방향 양측을 감싸며 거치되고, 테두리부(510)가 구이판 걸이편(428)에 걸려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기 구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승강 작동부(420)에는,
    연결봉(412)을 지주(200) 측으로 당기되, 캠홈(411)의 중간부 위치까지 당기는 탄성을 부여하는 양측 한 쌍의 인장스프링(429)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각각의 인장스프링(429)은,
    일단이 연결봉(412)의 양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의 지지부(410)(410')의 지주(200) 측에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기 구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캠홈(411)은,
    중앙의 수평부(411a)와, 수평부(411a)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승강 작동부(420)가 하강한 상태에서 연결봉(412)이 걸림되는 하강 걸림홈(411b)과, 수평부(411a)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승강 작동부(420)가 상승한 상태에서 연결봉(412)이 걸림되는 상승 걸림홈(411c)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기 구이기.
  5. 제 1항에 있어서,
    조절노브(430)는 양측에 각각 형성하고,
    가이드홈(120)은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 및 각각의 조절노브(430)이 결합되게 하며,
    각각의 조절노브(430)는 연결봉(412)의 양단이 결합되게 하고,
    양측의 조절노브(430)는 연결대(432)로 연결되어, 연결대(432)의 작동에 따라 연동 작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기 구이기.
KR2020180004728U 2018-10-17 2018-10-17 양방향 전기 구이기 KR202000008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728U KR20200000836U (ko) 2018-10-17 2018-10-17 양방향 전기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728U KR20200000836U (ko) 2018-10-17 2018-10-17 양방향 전기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36U true KR20200000836U (ko) 2020-04-27

Family

ID=7045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728U KR20200000836U (ko) 2018-10-17 2018-10-17 양방향 전기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83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3585A (zh) * 2020-05-13 2020-08-11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可升降电烤炉
KR102174897B1 (ko) * 2020-05-12 2020-11-05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EP4151134A4 (en) * 2020-05-12 2024-04-24 Fibertech Co Ltd PORTABLE DIRECT FLAME ROASTING GR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572B1 (ko) 2016-10-11 2017-03-22 박종찬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572B1 (ko) 2016-10-11 2017-03-22 박종찬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897B1 (ko) * 2020-05-12 2020-11-05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WO2021230605A1 (ko) * 2020-05-12 2021-11-18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EP4151134A4 (en) * 2020-05-12 2024-04-24 Fibertech Co Ltd PORTABLE DIRECT FLAME ROASTING GRID
CN111513585A (zh) * 2020-05-13 2020-08-11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可升降电烤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572B1 (ko)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KR101965101B1 (ko) 가스와 전기 겸용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JP5975179B2 (ja) 焼き器
AU7796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king foods in a barbeque grill
US9877610B2 (en) Grill
KR20200000836U (ko) 양방향 전기 구이기
KR101401017B1 (ko)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
US20120237647A1 (en) Multi-functional platform food preparation device
US20160220066A1 (en) Accessories for barbeque grill
KR20090010615A (ko) 기능성 조리가열장치
KR200480913Y1 (ko) 캠핑용 확장형 조립식 화로대
KR101379180B1 (ko) 스마트 구이기
KR101703292B1 (ko) 접철식 휴대용 화로대
KR20140070030A (ko) 그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음식물 구이기
KR101738814B1 (ko) 하향식 숯불구이기구
KR100950184B1 (ko) 개폐식 투명판이 설치된 구이탁자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KR200244899Y1 (ko)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KR101780387B1 (ko) 숯가스 발생 장치
US8561527B2 (en) Tortilla toaster
KR101351182B1 (ko) 승강 조절식 화염기를 갖는 휴대용 구이기
KR20130000624U (ko) 휴대용 조리기구
KR102181486B1 (ko) 구이판 승강 및 양방향 조리 구조를 갖는 구이기가 장착된 구이 테이블
KR20160145418A (ko) 상 방향 가열 조리기
KR200242492Y1 (ko) 할로겐램프가 설치된 구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