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825A - 테라스 철도 차량 - Google Patents

테라스 철도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825A
KR20200000825A KR1020190075639A KR20190075639A KR20200000825A KR 20200000825 A KR20200000825 A KR 20200000825A KR 1020190075639 A KR1020190075639 A KR 1020190075639A KR 20190075639 A KR20190075639 A KR 20190075639A KR 20200000825 A KR20200000825 A KR 20200000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loor
opening
sidewall
low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사르티
조엘 하쳇
알렉시스 보넷
조리스 보네수르
에티엔 페거
Original Assignee
스피드이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피드이노브 filed Critical 스피드이노브
Publication of KR20200000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7/00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00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 B61D1/06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with multiple deck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0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7/00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 B61D37/006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for restaurant ca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중간 바닥에 의해 분리된 하층 및 상층을 포함하며, 중간 바닥은 상층 및 하층 상에 나타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중간 바닥은 또한 개구부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다리부를 형성하며, 이 다리부는 상층에서 차량의 제1 길이방향 단부와 제2 길이방향 단부를 연결하는, 철도 차량에 관한 것이다.
승객들의 통행은 하층에서 제1 길이방향 단부와 제2 길이방향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차단된다.

Description

테라스 철도 차량{Terrace railway car}
본 발명은, 중간 바닥에 의해 분리된 하층 및 상층을 포함하며, 중간 바닥은 상층 및 하층 상에 나타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중간 바닥은 또한 개구부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다리부를 형성하며, 이 다리부는 상층에서 차량의 제1 길이방향 단부와 제2 길이방향 단부를 연결하는, 철도 차량에 관한 것이다.
철도 차량 분야에서, 주어진 길이에서 철도 차량의 유용한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2개의 층을 가진 차량을 생산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차량을 2개의 중첩된 층으로 나누는 것은 종종 천장 아래 높이의 손실을 가져오며, 이는 승객에게 갇혀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2층 철도 차량의 경우, 중간 바닥에 개구부를 배치함으로써 하층과 상층을 연결하여 차량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구부 위에 막혀 있지 않은 높이가 높아 승객들에게 쾌적한 "대성당 효과"를 준다.
종래기술의 차량에서는, 개구부가 상층을 2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나누고, 차량를 통과하는 승객의 통행이 하층에서 행해지고, 차량은 각 단부에서 상층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을 포함한다.
2층 차량의 이러한 배치는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다. 실제로, 하층을 통과하는 통로를 남겨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하층에서 이용 가능한 면적은 감소된다. 특히, 승객들은 자리잡을 공간이 부족하게 되고, 부피가 큰 수하물 또는 탑승 직원을 위한 분배 트롤리(trolley)를 가지고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하층 및 상층에 승객 및 직원들을 위한 커다란 유용 면적을 갖는 한편, "대성당 효과"가 가지는 장점을 갖는, 2층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승객들의 통행이 하층에서 제1 길이방향 단부와 제2 길이방향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차단되는, 전술한 유형의 차량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들)에 따라 고려되는 다음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개구부는 하층의 길이의 1/4 이상인 길이와 하층의 폭의 절반 이상인 폭을 가지며;
- 차량은 승객들의 식사를 위해 사용되며, 하층은 준비 구역과 식사 구역을 포함하고, 준비 구역은 하층의 전체 폭에 걸쳐 차량의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 준비 구역은 제1 측벽으로부터 제2 측벽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카운터에 의해 식사 구역으로부터 분리되고;
- 차량은 상층과 식사 구역을 연결하는 단일 계단을 구비하고;
- 계단은 하층의 폭의 1/3 이상인 폭을 가지며;
- 식사 공간은 제1 측벽 또는 제2 측벽을 따라 정렬된 식사 좌석을 포함하고;
- 상층은 제1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 열과 개구부를 따라 다리부 위로 연장되는 복도를 포함하고;
- 차량은 준비 구역과 상층 사이에 분배 트롤리를 옮길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하고; 그리고
-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각각 차량의 외측 및 준비 구역 상에 나타나는 진입 개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고 단지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이하의 설명을 읽으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상층의 평면도이고;
- 도 2는 도 1의 차량의 하층의 평면도이고;
-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상층의 평면도이며; 그리고
- 도 4는 도 3의 차량의 하층의 평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10)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차량은, 음료 및/또는 음식과 같은 제품을 얻길 원하는 승객을 수용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제품을 섭취하기에 적합한 공간을 제공하는 전용 식당 차량이다.
차량(10)은 제1 단부(12)와 제2 단부(14) 사이에서 길이방향 축(X-X')을 따라 연장된다. 차량(10)은 제1 측벽(16) 및 제2 측벽(18)에 의해 측방향으로 한정되며, 이들 측벽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서로 평행하며, 길이방향 축(X-X')의 양측에서 연장된다.
차량(10)는 두 층을 갖는 차량이고,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상층(20) 및 도 2에 도시된 하층(22)을 포함한다.
상층(20) 및 하층(22)은 제1 단부(12)에서부터 제2 단부(14)까지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와, 제1 측벽(16)으로부터 제2 측벽(18)까지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차량(10)은 또한 상층(20)과 하층(22)을 연결하는 단일 계단(24)과, 하층(22)으로부터 상층(20)을 분리하는 중간 층(26)을 포함한다.
차량(10)은 제1 단부(12) 및 제2 단부(14)에 위치하며 상층(20)에 나타나는, 2개의 통로(28)에 의해 열차의 선행 및 후행 차량과 연결된다.
하층(22)에서 승객들의 통행은 제1 길이방향 단부(12) 및 제2 길이방향 단부(14) 중 적어도 하나에서, 특히 제1 길이방향 단부(12) 및 제2 길이방향 단부(14)에서, 차단된다.
이 차량(10)으로부터 선행 및 후행 차량들로의 통행은 상층(20)에서 이뤄진다. 따라서, 승객에게 하층(22)의 횡단을 허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하층(22)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lay out)할 수 있도록 한다.
하층(22)은 카운터(34)에 의해 분리되는 준비 구역(30) 및 식사 구역(32)을 포함한다.
준비 구역(30) 및 식사 구역(32)은 모두 제1 측벽(16)으로부터 제2 측벽(18)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카운터(34)는 제1 측벽(16)으로부터 제2 측벽(18)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준비 구역(30)과 식사 구역(32)은 각각 하층(22)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준비 구역(30)은 승객이 섭취할 수 있는 제품을 탑승 직원이 준비하기 위한 곳이며, 따라서 평상시에는 탑승 직원이 점유하고 있다.
하층(22)의 전체 폭에 걸친 준비 구역(30)의 레이아웃(lay out)은 탑승 직원이 서로 지나가고 승객에게 제품을 분배하는 동안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카운터(34)는 준비 구역(30)에 위치한 탑승 직원이 식사 구역(32)에 위치한 승객에게 제품을 분배할 수 있도록 한다. 카운터(34)는 하층(22)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어, 분배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카운터(34)는 탑승 직원이 준비 구역(30)과 식사 구역(32)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35)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카운터(34)는 개폐부(retractable portion)를 갖는다.
따라서, 준비 구역(30)은 음식 및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직원이 이용할 수 있는 주방 장치(36)를 포함한다. 준비 구역(30)은 또한 양호한 조건 하에서 음식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냉장 저장 시스템(38)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냉장 저장 시스템(38)은 적어도 하나의 냉장 롤링 베이스(40)를 포함하는데, 이는 음식을 담고 저온에 저장하기 적합하면서, 쉽게 움직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냉장 롤링 베이스(40)를 직접 이동시키면서 여행 사이에 차량(10)에 보급(supply)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측벽(16) 및 제2 측벽(18)은 각각, 한편은 식사 구역(32) 또는 준비 구역(30) 상에, 그리고 다른 한편은 차량(10)의 외측 상에 나타나는 진입 개구부(42)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진입 개구부(42)는 식사 구역(32)과 차량(10)의 외측 상에 나타난다. 차량(10)에의 보급은 개구부(42)를 통해 이루어지며, 따라서 개구부는 차량(10)의 양측에 위치하고, 이는 양측에 위치한 플랫폼에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차량(10)는 플랫폼을 작동시키는 리프트(44)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리프트(44)는 계단(24) 및 개구부(42) 근처의 식사 구역(32)에 위치한다. 리프트(44)는 플랫폼의 높이를 변화시키는데 적합하다. 따라서, 플랫폼은 높이가 다르다면 준비 구역의 나머지 부분의 높이로부터 플랫폼의 높이까지 움직일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냉장 롤링 베이스(40)와 같은 휠에 장착된 무거운 하중을 들어올림으로써 보급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식사 구역은 예를 들어 계단(24) 아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자동 분배기(56)를 더 포함하여, 이는 제품 분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바닥(26)은 식사 구역(32) 위에, 상층(20) 및 하층(22) 상에 나타나는 개구부(60)를 형성한다. 개구부(60)는 식사 구역에 쾌적한 외관을 제공하며, 이는 그곳에 위치한 승객 위에 막혀 있지 않은 높이가 높게 있기 때문에 트인 외관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개구부(60)는 하층(22)의 길이의 1/4 이상인 길이와 하층(22)의 폭의 절반 이상인 폭을 갖는다.
개구부(60)의 커다란 면적은, 개구부(60)가 상층(20)의 전체 폭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크게 "대성당 효과"를 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개구부(60)에는 개구부(60)의 주변을 따라 연장되는 난간(61)이 제공된다.
바닥(26)은 또한 개구부(60)와 제2 측벽(18) 사이에서 연장되는 다리부(62)를 형성한다. 다리부(62)는 상층(20)에서 바닥(26)이 제1 단부(12)와 제2 단부(14)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도록 한다.
상층(20)은 승객, 탑승 직원 및 분배 트롤리(50)의 통행에 적합한 2개의 통로(28)를 연결하는 복도(64)와, 제1 측벽(16)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66) 열을 포함한다. 복도(64) 및 좌석(66) 열은 특히 다리부(62) 위로 연장된다.
상층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복도(64)를 따라 위치하는 분배 트롤리(50)를 위한 저장 위치(68)를 포함하며, 이는 제2 측벽(18) 가까이에 위치한다.
분배 트롤리(50)는 상층(20)에서 탑승 직원에 의한 제품의 분배뿐만 아니라 상층(20)에 나타나는 통로(28)에 의해 진입하는 다른 차량에 의한 제품의 분배를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계단(24)은 상층(20)과 식사 구역(32)을 연결한다. 계단(24)은 제2 측벽(18)을 따라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상단부에서 나타나고, 승객이 상층(20)에서부터 하층(22)으로 또는 그 반대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제1 단부(12) 및 제2 단부(14)에 위치한 2개의 계단이 아닌, 단일 계단에 의한 식사 구역(32)의 서비스는, 전체 점유 공간을 감소시키고 더 많은 공간을 계단(24)에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차량(10)의 특징과 상이한 특징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리프트(44)가 개구부들(42) 사이의 준비 구역(30)에 위치하는 반면, 개구부(42)는 준비 구역(30)과 차량(10')의 외측 상에 나타난다.
준비 구역(30)은 하층(22)과 상층(20) 사이에서 분배 트롤리(50)를 옮기기에 적합한 엘리베이터(52)뿐만 아니라 복수의 분배 트롤리(50)를 위한 저장 공간(48)을 더 포함한다.
엘리베이터(52)는 분배를 수행하기 위해, 탑승 직원이 준비 구역(30)에서 분배 트롤리(50)를 다시 채워 놓은 다음 상층(20)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한다.
유리하게는, 식사 구역(32)은 제1 측벽(16)을 따라 정렬된 식사 좌석(54)을 포함하여, 승객이 자리에 앉아 제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리하게는, 식사 구역(32)은 승객이 섭취를 용이하게 하도록 식사 좌석(54) 근처에 위치한 테이블을 포함한다.
바닥(26)은 개구부(60)와 제1 측벽(16) 사이에서 연장되는 다리부(62')를 형성한다.
개구부(60)에는 계단(24)의 끝부분을 제외하고, 개구부(60')의 주변을 따라 연장되는 난간(61')이 제공된다.
계단(24)은 식사 구역(32)과 상층(20) 사이에서 승객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넓은 폭을 가지며, 특히 수하물을 든 승객이 서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유리하게는, 계단(24)은 하층(22)의 폭의 1/3 이상인 폭을 갖는다.
이러한 차량(10, 10')의 레이아웃는 식당 차량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실제로, 하층(22)을 하층의 전체 폭을 차지하는 준비 구역(30)과 식사 구역(32)으로 분리함으로써, 이동을 용이하게하고 탑승 직원 및 승객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에서, 차량(10)은 식당 차량이 아닌, 일반 차량이다. 그러면 식사 구역(32)과 준비 구역(30)은 승객 좌석 또는 어린이 놀이 공간 또는 멀티미디어 공간과 같은 다른 기능적 구역으로 대체된다. 상층(20)에서만 승객들이 통행하는 것은, 보다 효율적인 하층(22)의 레이아웃을 가질 수 있게 하며, 하층(22)의 레이아웃은 기능적 구역의 성질에 따라 달라진다.

Claims (9)

  1. 철도 차량(10)으로서, 중간 바닥(26)에 의해 분리된 하층(22) 및 상층(20)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바닥(26)은 상층(20) 및 하층(22) 상에 나타나는 개구부(60)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 바닥(26)은 또한 상기 개구부(60)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다리부(62)를 형성하며, 상기 다리부(62)는 상층(20)에서 차량의 제1 길이방향 단부(12)와 제2 길이방향 단부(14)를 연결하고,
    승객들의 통행은 하층(22)에서 제1 길이방향 단부(12) 및 제2 길이방향 단부(14) 중 적어도 하나에서 차단되고,
    차량(10)은 승객들의 식사를 위해 사용되며, 하층(22)은 준비 구역(30)과 식사 구역(32)를 포함하고, 준비 구역(30)은 하층(22)의 전체 폭에 걸쳐 차량의 제1 측벽(16)과 제2 측벽(16)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철도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60)는 하층(22)의 길이의 1/4 이상인 길이와 하층(22)의 폭의 절반 이상인 폭을 갖는, 철도 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구역(30)은 상기 제1 측벽(16)으로부터 상기 제2 측벽(22)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카운터(34)에 의해 상기 식사 구역(32)으로부터 분리되는, 철도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20)과 상기 식사 구역(32)을 연결하는 단일 계단(24)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24)은 하층(22)의 폭의 1/3 이상인 폭을 갖는, 철도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사 구역(32)은 상기 제1 측벽(16) 또는 상기 제2 측벽(18)을 따라 정렬된 식사 좌석(54)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20)은 상기 제1 측벽(16)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 열(66)과 개구부(60)를 따라 상기 다리부(62) 위로 연장되는 복도(64)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구역(30)과 상기 상층(20) 사이에 분배 트롤리(50)를 옮길 수 있는 엘리베이터(52)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16)과 상기 제2 측벽(18)은 각각 차량(10)의 외측 및 준비 구역(30) 상에 나타나는 진입 개구부(42)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
KR1020190075639A 2018-06-25 2019-06-25 테라스 철도 차량 KR202000008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5637A FR3082815A1 (fr) 2018-06-25 2018-06-25 Voiture a terrasse
FR1855637 2018-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25A true KR20200000825A (ko) 2020-01-03

Family

ID=6340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639A KR20200000825A (ko) 2018-06-25 2019-06-25 테라스 철도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608090B2 (ko)
EP (1) EP3587212B1 (ko)
KR (1) KR20200000825A (ko)
CN (1) CN110626373B (ko)
ES (1) ES2843298T3 (ko)
FR (1) FR3082815A1 (ko)
PL (1) PL358721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0241B1 (fr) * 2021-12-14 2023-12-15 Speedinnov Voiture à deux niveaux pour véhicule ferroviaire et véhicule ferroviaire associ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08178A (en) * 1920-12-27 1924-09-09 London General Omnibus Co Vehicle
GB224461A (en) * 1924-04-30 1924-11-13 Byron Schermerhorn Harvey Railway dining cars
US5063859A (en) 1988-10-07 1991-11-12 Rader Thomas G Double-level railroad car having a flat center sill
EP0625457B1 (de) * 1993-05-17 1997-10-15 Inventio Ag Einstiegseinrichtung für Doppelstock-Eisenbahnwagen
DE102006042070B4 (de) 2006-09-05 2019-05-09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Schienenfahrzeug mit Restaurantbereich
FR2956640B1 (fr) 2010-02-24 2014-11-21 Alstom Transport Sa Voiture ferroviaire passagers a deux niveaux
DE102013101928A1 (de) * 2013-02-27 2014-08-28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Eisenbahnwagon
US9845155B2 (en) * 2016-01-05 2017-12-19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ying passengers, flight crew personnel, containers and food service carts
FR3049549B1 (fr) * 2016-03-31 2019-06-21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Voiture ferroviaire de transport de voyageurs et rame comprenant une telle voiture
USD915967S1 (en) * 2016-07-22 2021-04-13 Motor Coach Industries Limited Vehicle
FR3055874B1 (fr) * 2016-09-13 2019-07-19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Voiture de restauration modulable, notamment pour un vehicule ferroviaire
FR3055873B1 (fr) * 2016-09-13 2018-10-12 Alstom Transp Tech Voiture de restauration a deux niveaux pour vehicule ferrovia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82815A1 (fr) 2019-12-27
CN110626373B (zh) 2024-03-29
US11772686B2 (en) 2023-10-03
EP3587212A1 (fr) 2020-01-01
EP3587212B1 (fr) 2020-11-04
ES2843298T3 (es) 2021-07-16
CN110626373A (zh) 2019-12-31
US20190389491A1 (en) 2019-12-26
PL3587212T3 (pl) 2021-05-04
US11608090B2 (en) 2023-03-21
US20220281490A1 (en)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8108B2 (en) Aircraft configuration with ramp access to multiple decks
CN101132962B (zh) 双层铁路车辆
CN103057706B (zh) 允许在多层上接纳乘客的飞行器客舱和相应的飞行器
CN101035709A (zh) 在运输工具中用于输送和/或载人的系统
US11772686B2 (en) Terrace railway car
US10449974B2 (en) Two-floor passenger railway car and train comprising such a car
RU2719498C1 (ru) Двухэтажно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RU2748288C2 (ru) Двухэтажный вагон-ресторан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EP3489105B1 (en) Railway vehicle carriage structure and railway vehicle
KR101595776B1 (ko) 이층 고속열차
KR101675370B1 (ko) 이층 고속열차
US1607718A (en) Double-deck coach
CN111703446A (zh) 具有错位地板的多层车厢
RU2006115769A (ru) Способ перевозки пассажиров в метрополитене и вагон, его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CN107792096A (zh) 一种轨道车辆车厢结构及轨道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