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707U - 배관고정용 브라캐트 - Google Patents

배관고정용 브라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707U
KR20200000707U KR2020180004482U KR20180004482U KR20200000707U KR 20200000707 U KR20200000707 U KR 20200000707U KR 2020180004482 U KR2020180004482 U KR 2020180004482U KR 20180004482 U KR20180004482 U KR 20180004482U KR 20200000707 U KR20200000707 U KR 202000007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ing
bracket
bolt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자
김재복
Original Assignee
한명자
김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자, 김재복 filed Critical 한명자
Priority to KR2020180004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707U/ko
Publication of KR20200000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7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고정용 브라캐트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배관 고정용 브라캐트(1A)를 ㄴ형으로 절곡 형성하여 벽면부착부(11a)의 작용을 하는 수직면에는 상하부에 대소의 고정구멍(11)(11')을 형성하고, 배관파이프(p)을 올려 안착 고정시키는 배관고정부(11b)는 수평면으로 형성하되, 상기 배관고정부(11b)에는 U볼트(2)의 양끝 수나사부(2')가 삽입 관통되도록 양측에 장공(11")을 천공하여, 상기 배관고정부(11b) 위에 배관파이프(p)를 안착시켜놓은 상태에서 U볼트(2)로 배관파이프(p)를 감싸면서 U볼트(2)의 양 끝 수나사부(2')가 장공(11")을 통하여 배관고정부(11b) 하부로 노출되게 한 뒤 너트(3)를 체결 고정할 수 있게 하며, 브라캐트(1A)의 코너부에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가압 성형한 보강힘살부(16')와, 브라캐트(1A)의 양측 단부를 30°~ 60°로 절곡시켜 보강힘살부(16)를 구성함으로서 고하중의 배관을 장착하고자 할 때는 물론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브라캐트(1A)의 배관고정부(11b)가 배관파이프(p)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놓은 상태에서 U볼트(2)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U볼트(2)의 양 끝단의 수나사부(2')가 배관고정부(11b) 하부로 그대로 노출되는데다가 배관고정부(11b) 하부가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너트(3) 체결이 매우 여유롭고 손쉽게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인력 및 시간단축으로 인한 시공원가 절감효과가 극대화되며, 브라캐트(1A) 본체 코너부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 성형한 보강힘살부(16')와 브라캐트(1A) 본체 양측단부를 30°~ 90°로 절곡시켜 보강힘살부(16)를 형성하였음으로 고하중의 배관을 설치하고자 할 때나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브라캐트가 오므러들거나 펴지는 등의 변형이나 파손 염려가 전혀 없어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르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고정용 브라캐트{A bracket for a pipe}
본 고안은 배관 고정용 브라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고정시 U볼트와 너트의 체결 공간이 넓게 확보되어 배관고정을 더욱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브라캐트 본체 양측단부를 30°~ 90°, 바람직하게는 45°로 절곡시켜 보강힘살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코너부 중앙부에도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가압하여 보강힘살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서 편리한 시공성과 더불어 강도 극대화를 이룰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축물 내부 또는 외부에 가스관, 상수도관, 배수관을 비롯하여 각종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을 시설할 때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 끝단에 부착부(11e)가 구비됨과 동시에 중앙부가 벽면(w)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끔 공간부(11f)가 구비된 배관고정부(11g)를 가진 브라캐트(1X)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브라캐트(1X)는 부착부(11e)에 나사체결을 하거나 또는 벽면(w)이나 천장에 설치된 앵커볼트에 끼울 수 있는 구멍(11')이 형성되어 있고, 배관고정부(11g)에는 양측에 장공(11")을 형성함으로서 U볼트(2)와 너트(3)로서 배관 파이프(p)를 설치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공간부(11f)는 U볼트(2)로서 배관파이프(p)를 고정 설치할 때 벽면(w),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배관파이프(p)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함으로서, 유체 이송에 따른 진동이나 소음이 벽면(w)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공간부(11f) 내로 돌출되는 U볼트(2) 끝에 너트(3)를 체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브라캐트(1X)는 구조적 특성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즉, 배관파이프(p)는 길이도 길고 무거운 데다가 브라캐트(1X)의 배관고정부(11g) 표면에 대고 U볼트(2)를 배관파이프(p) 외주면을 감싸면서 양 끝부분을 장공(11")에 끼워 공간부(11f)로 U볼트(2)의 끝이 돌출되게 되면, 좁고 협소한 공간부(11f) 내로 너트(3)를 잡은 손을 넣어 U볼트(2) 끝에 체결해 주어야만 하였기 때문에 이루 말할 수 없이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간혹 손을 다치게 될 염려도 컸으며, 너트(3) 체결이 어눌하고 번거로워 배관파이프(p) 설치에 따른 시간도 과다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는 것이다.
특히, 상기 브라캐트(1X)를 벽면(w)이나 바닥면, 또는 천장에 설치하게 되면 공간부(11f)는 배관파이프(p)의 이면, 즉, 벽면(w) 쪽에 숨어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배관파이프(p)에 의해 가려져 잘 보이지 않게 되며, 더 나아가 상기 배관파이프(p)를 감싸 지지하는 U볼트(2)의 양 끝단부도 공간부(11f)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데다가 공간부(11f)의 크기가 손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을 정도로 여유있는 크기가 아니기 때문에 U볼트(2) 끝에 너트(3)를 체결하기가 더더욱 더디고 힘이 많이 들게 된다.
또한, 상기한 브라캐트(1X)는 배관파이프(p)를 벽면(w)이나 천장에 설치하고자 할 때 적어도 2인 이상의 작업자가 서로 호흡을 맞춰가며 배관파이프(p)가 쳐지지 않도록 잡아 주어야만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력 또한 많이 들며, 이렇게 많은 인력이 소요되면서도 시공시간은 과다 소요되어 비용의 과다소요 등 많은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① 실용신안등록 제0156707호(1999.06.16.등록) ② 실용신안공개 제20-1994-0001410(1994.01.03.공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배관고정용 브라캐트를 구성함에 있어, 배관고정부가 배관파이프를 얹어 놓은 상태에서 U볼트로 장착 고정시킬 수 있게 하되, 브라캐트의 강도를 극대화시켜 고하중의 배관이 안착되거나 브라캐트에 심한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브라캐트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함으로서 시공성과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배관 고정용 브라캐트(1A)를 형성하되, ㄴ형으로 절곡 형성하여 벽면부착부(11a)의 작용을 하는 수직면에는 상하부에 대소의 고정구멍(11)(11')을 형성하고, 배관파이프(p)을 올려 안착 고정시키는 배관고정부(11b)는 수평면으로 형성하되, 상기 배관고정부(11b)에는 U볼트(2)의 양끝 수나사부(2')가 삽입 관통되도록 양측에 장공(11")을 천공하여, 상기 배관고정부(11b) 위에 배관파이프(p)를 안착시켜놓은 상태에서 U볼트(2)로 배관파이프(p)를 감싸면서 U볼트(2)의 양 끝 수나사부(2')가 장공(11")을 통하여 배관고정부(11b) 하부로 노출되게 한 뒤 너트(3)를 체결 고정할 수 있게 하며, 브라캐트(1A)의 코너부에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가압 성형한 보강힘살부(16')와, 브라캐트(1A)의 양측 단부를 30°~ 90°로 절곡시켜 보강힘살부(16)를 구성함으로서 고하중의 배관을 장착하고자 할 때는 물론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브라캐트(1A)의 배관고정부(11b)가 배관파이프(p)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놓은 상태에서 U볼트(2)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U볼트(2)의 양 끝단의 수나사부(2')가 배관고정부(11b) 하부로 그대로 노출되는데다가 배관고정부(11b) 하부가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너트(3) 체결이 매우 여유롭고 손쉽게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인력 및 시간단축으로 인한 시공원가 절감효과가 극대화되며, 브라캐트(1A) 본체 코너부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 성형한 보강힘살부(16')와 브라캐트(1A) 본체 양측단부를 30°~ 60°로 절곡시켜 보강힘살부(16)를 형성하였음으로 고하중의 배관을 설치하고자 할 때나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브라캐트가 오므러들거나 펴지는 등의 변형이나 파손 염려가 전혀 없어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르게 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고안의 예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브라캐트의 좌측면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브라캐트의 평면예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벽면에 가스배관을 비롯하여 각종 배관을 설치할 때 작업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고, 더불어 강도를 극대화시켜 고하중의 배관도 안정적으로 설치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배관고정용 브라캐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2~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2는 사시도이고, 도3은 우측면예시도이며, 도4는 평면예시도이고, 도5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2~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브라캐트(1A)는 ㄴ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형성된 벽면부착부(11a)에는 상하부에 대소의 고정구멍(11)(11')이 천공되어 있고, 수평으로 형성된 배관고정부(11b)에는 좌우 소정위치에 장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소의 고정구멍(11)(11')은 본 고안의 브라캐트(1A)를 장착할 환경, 즉 벽면(w)의 상태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큰 구멍인 고정구멍(11)은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벽면 장착을 할 때 사용하는 구멍이고, 작은 구멍인 고정구멍(11')은 나사를 이용하여 벽면장착을 할 때 사용하는 구멍이다.
상기 좌우 장공(11")의 간격은 배관파이프(p)를 감싼 U볼트(2)의 양 끝단 수나사부(2')가 안정적으로 끼워지는 간격으로 형성되며 도2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면부착부(11a)를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 소정위치에 못 또는 나사나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시키면 배관고정부(11b)가 수평을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배관고정부(11b)위에 안정적으로 배관파이프(p)를 안착시켜 놓을 수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U볼트(2)는 배관파이프(p)를 감싸면서 양 끝 수나사부(2')를 장공(11")으로 통과시키면 상기 수나사부(2')가 배관고정부(11b)저면으로 돌출되게 되어 작업자가 수나사부(2')와 너트(3)를 바라보면서 작업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공간이 여유로워 각종 전동공구 등을 이용하여 너트(3)를 체결할 수도 있어 매우 신속하고도 안정적으로 배관파이프(p)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브라캐트(1A)는 본체 양측단부를 30°~ 60°로 절곡시켜 보강힘살부(16)를 구성하고, 벽면부착부(11a)와 배관고정부(11b)가 만나는 코너부에도 바깥쪽에서 안쪽방향으로 가압 성형한 보강힘살부(16')를 형성하였으므로 매우 튼튼하여 고하중의 관체를 받쳐 지지할 때는 물론 외부적인 충격이 작용할 때도 ㄱ자형태의 브라캐트가 오믈어들거나 펴지는 일 없이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벽면용 브라캐트(1A)는 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면에 장착할 때 뒤집은 상태로도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관파이프(p)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 및 여건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설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U볼트의 양끝 수나사부(2')가 배관고정부(11b)의 장공(11")을 통과하여 배관고정부(11b) 하부에서 너트(3)로 체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이고, 배관고정부(11b) 하부는 넓고 여유로운 공간이기 때문에 너트(3) 체결작업이 매우 손쉬우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더불어 각종 전동공구의 활용도 용이하여 작업성 및 시공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권리범위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안의 목적과 사상의 범위 안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할 수 있고, 또 이러한 변형이라면 당연히 본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하겠다.
1A : 벽면용 브라캐트 2 : U볼트 2': 수나사부
3 : 너트 11a: 벽면부착부 11b : 배관고정부
11' : 고정구멍 11" : 장공 p : 배관파이프

Claims (1)

  1. 배관 고정용 브라캐트(1A)를 형성하되, ㄴ형으로 절곡 형성하여 벽면부착부(11a)의 작용을 하는 수직면에는 상하부에 대소의 고정구멍(11)(11')을 형성하고, 배관파이프(p)을 올려 안착 고정시키는 배관고정부(11b)는 수평면으로 형성하되, 상기 배관고정부(11b)에는 U볼트(2)의 양끝 수나사부(2')가 삽입 관통되도록 양측에 장공(11")을 천공하여, 상기 배관고정부(11b) 위에 배관파이프(p)를 안착시켜놓은 상태에서 U볼트(2)로 배관파이프(p)를 감싸면서 U볼트(2)의 양 끝 수나사부(2')가 장공(11")을 통하여 배관고정부(11b) 하부로 노출되게 한 뒤 너트(3)를 체결 고정할 수 있게 하며, 브라캐트(1A)의 코너부에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가압 성형한 보강힘살부(16')와, 브라캐트(1A)의 양측 단부를 30°~ 90°중 어느 한 각도로 절곡시켜 보강힘살부(16)를 구성함으로서 고하중의 배관을 장착하고자 할 때는 물론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용 브라캐트.
KR2020180004482U 2018-09-27 2018-09-27 배관고정용 브라캐트 KR202000007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82U KR20200000707U (ko) 2018-09-27 2018-09-27 배관고정용 브라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82U KR20200000707U (ko) 2018-09-27 2018-09-27 배관고정용 브라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07U true KR20200000707U (ko) 2020-04-06

Family

ID=7022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482U KR20200000707U (ko) 2018-09-27 2018-09-27 배관고정용 브라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707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410Y1 (ko) 1991-06-24 1994-03-16 유인만 개폐 개러리판재 조립장치
KR0156707B1 (ko) 1995-12-21 1999-01-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410Y1 (ko) 1991-06-24 1994-03-16 유인만 개폐 개러리판재 조립장치
KR0156707B1 (ko) 1995-12-21 1999-01-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908B1 (ko) 내진 스프링 안전 행거
KR101355372B1 (ko) 시스템 비계
KR200483799Y1 (ko) 배관 거치대
KR200451427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JP6170697B2 (ja) 天井下地構造
US20150240477A1 (en) Apparatus for securing insulation panels to a supporting structure and ceiling support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JP6412664B2 (ja) 天井下地構造
KR100945461B1 (ko)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가설방음벽
EP3088813B1 (en) Machinery mounting device and indoor unit
WO2020143222A1 (zh) 一种装配式吊顶结构及其安装方法
KR200457795Y1 (ko)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JP6148099B2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200000707U (ko) 배관고정용 브라캐트
KR20170032555A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KR20110004735U (ko) 파이프 배관용 클램프
JP6346744B2 (ja) 目隠し板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80002185U (ko) 천장 또는 바닥용 배관고정 브래킷
KR102025331B1 (ko) 실외기 설치용 유동방지 지그
JP4203477B2 (ja) 排水管固定部材
KR101063630B1 (ko)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KR200430182Y1 (ko) 입상형 에어덕트용 고정지지구
JP2007225269A (ja) エアコン隠蔽配管用のドレン配管取付具
JP6906344B2 (ja) 胴縁取付用金具
JP7075733B2 (ja) 補強構造
JP2021014765A (ja) ネジ取付部材固定器具及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