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507U - 컨테이너 선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507U
KR20200000507U KR2020180003988U KR20180003988U KR20200000507U KR 20200000507 U KR20200000507 U KR 20200000507U KR 2020180003988 U KR2020180003988 U KR 2020180003988U KR 20180003988 U KR20180003988 U KR 20180003988U KR 20200000507 U KR20200000507 U KR 202000005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s
shift plate
jack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이동주
심우승
김현수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3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507U/ko
Publication of KR20200000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5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 B63B2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는, 선체 측벽에 마련된 도어를 통해 컨테이너를 선박 내로 반입하는 스키드 레일; 상기 컨테이너가 적층되는 높이 방향을 따라 세워지는 잭업 레그; 및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면서 승하강되도록 상기 잭업 레그에 설치되는 쉬프트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CONTAINER LOADING APPARATUS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컨테이너 선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선박으로서, 다량의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해상 운송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다량의 컨테이너를 선박에 적재하는 방법으로는, 육상 또는 선박에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을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량의 컨테이너를 육상으로부터 선박으로 선적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 선적 방법은, 육상 또는 선박에 컨테이너 크레인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작업성 저하와 설치공간이 별도로 소요되며, 특히,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컨테이너가 하나씩 운반되는 이송방법으로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선박의 정박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됨으로 인해 항만 이용료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선적장치가 간소화되며, 컨테이너 선적 시간이 절감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된 컨테이너 선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는, 선체 측벽에 마련된 도어를 통해 컨테이너를 선박 내로 반입하는 스키드 레일; 상기 컨테이너가 적층되는 높이 방향을 따라 세워지는 잭업 레그; 및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면서 승하강되도록 상기 잭업 레그에 설치되는 쉬프트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는 승하강 동작을 통해 상기 잭업 레그의 상부부터 하부로 상기 컨테이너를 적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잭업 레그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를 열 단위로 구분하는 셀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는 상기 셀 가이드와 간섭을 회피하는 그물망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 가이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밑면을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셀 가이드에서 상기 컨테이너를 향해 돌출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컨테이너가 기설정된 위치에 오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재는 슬라이딩 구조 또는 힌지 구조에 의해 돌출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둘 이상의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선박은, 상기 컨테이너 선적장치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은, 컨테이너 크레인이 불필요하여 선적장치가 간소화되며, 다수의 컨테이너를 동시에 이송하여 컨테이너 선적 시간이 절감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가 구비된 컨테이너선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컨테이너 선적장치에 선적된 일 열의 컨테이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의 선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에 선적된 일 열의 컨테이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i는 도 5의 컨테이너 선적장치의 선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가 구비된 컨테이너선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가 구비된 컨테이너선(1)은 선체(10), 스키드 레일(20) 및 잭업 레그(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10)는 엔진(미도시)에 의해 추진된다. 선체(10)는 선수와 선미를 갖고, 선체(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컨테이너(CON)를 수용하는 적재공간이 형성된다. 컨테이너(CON)들은 선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선체(10)의 측벽에는 도어(11)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11)는 다수의 컨테이너(CON)를 동시에 선체(10) 내로 반입하거나 반출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11)는 선체(10)의 측벽의 일부가 외측으로 열리는 힌지 구조일 수 있다. 도어(11)는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스키드 레일(20)은 컨테이너(CON)를 선체(10) 내로 이송하는 장치로서, 도어(11)에 걸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키드 레일(20)은 컨테이너(CON)의 이송 경로를 가이드하며, 이송 경로에 따라 직선 또는 굴곡 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 스키드 레일(20)은 동시에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CON)의 수의 대응하여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CON)의 이송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잭업 레그(30)는 적층되는 컨테이너(CON)들을 따라서 상방으로 형성되는 수직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잭업 레그(30)는 후술되는 쉬프트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쉬프트 플레이트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한다. 잭업 레그(30)는 동시에 적재 가능한 복수의 컨테이너(CON)들을 블록 단위로 구분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블록(CB)은 5*6 매트릭스 형태이며, 잭업 레그(30)는 컨테이너 블록(CB)의 네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으나, 컨테이너선(1)은 선체(10)의 추진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미도시)과, 엔진의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돌(미도시)과, 선원의 선내거주를 위한 각종 생활시설 및 항해를 위한 각종 항해설비가 배치되는 데크 하우스(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컨테이너 선적장치에 선적된 일 열의 컨테이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편의상, 도 2는 하나의 컨테이너 블록(CB)을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컨테이너선(1) 내에는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 블록(CB)이 반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는 쉬프트 플레이트(40), 셀 가이드(50) 및 받침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쉬프트 플레이트(40)는 컨테이너(CON)들을 지지하면서 승하강되도록 잭업 레그(30)에 설치된다. 잭업 레그(30)는 쉬프트 플레이트(40)의 승하강 동작을 위한 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쉬프트 플레이트(4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고, 네 모서리 각각이 잭업 레그(3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쉬프트 플레이트(40)는 후술되는 셀 가이드(50)와 간섭을 회피하는 그물망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쉬프트 플레이트(40)의 형상은 예시적이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쉬프트 플레이트(40)는 승하강 동작을 통해 잭업 레그(30)의 상부부터 하부로 컨테이너(CON)들을 적층한다. 예컨대, 제1 내지 제6 컨테이너들(CON1~CON6)을 수직으로 적재한다고 가정하면, 최초 반입된 제1 컨테이너(CON1)를 최상단부에 적재하고 순차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제2 컨테이너(CON2) 내지 제6 컨테이너(CON6)를 적재한다. 구체적인 적재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셀 가이드(50)는 잭업 레그(30)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컨테이너(CON)들을 열 단위로 구분한다. 셀 가이드(50)들 사이로 컨테이너(CON)가 반입될 수 있다. 셀 가이드(50)는 적층되는 컨테이너(CON)들을 선체(10)의 바닥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되, 컨테이너(CON)의 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셀 가이드(50)는 선체(10)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 형태일 수 있다. 셀 가이드(50)는 래싱브릿지와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셀 가이드(50)는 쉬프트 플레이트(40)와 간섭을 피하기 위해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받침부재(60)는 셀 가이드(50)로부터 돌출되어 컨테이너(CON)의 밑면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받침부재(60)는 하나의 컨테이너(CON)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두 셀 가이드(50)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 컨테이너(CON)의 양 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받침부재(60)는 셀 가이드(50)에서 컨테이너(CON)를 향해 돌출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마련되어, 쉬프트 플레이트(40)에 안착된 컨테이너(CON)가 기설정된 위치에 오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받침부재(60)는 슬라이딩 구조 또는 힌지 구조에 의해 돌출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부재(60)는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재(60)는 직삼각형 단면 구조일 수 있다. 받침부재(60)는 컨테이너(CON)의 밑면과 마주하는 상부면(63)과, 일변이 상부면(63)과 접하면서 경사진 경사면(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재(60)의 동작을 설명하자면, 컨테이너(CON)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경사면(64)을 밀어 올리면, 받침부재(60)가 힌지축(61)을 중심으로 셀 가이드(50)측으로 회동한다. 컨테이너(CON)가 이동하는 동안 받침부재(60)는 셀 가이드(50) 내에 잠복해 있다가 컨테이너(CON)가 지나간 후 외부로 돌출되어 걸림턱 구조로 상부면(63)에 안착된 컨테이너(CON)를 지지하게 된다. 받침부재(60)는 외부의 압력, 즉 컨테이너(CON)와 접촉에 의해 회동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의 선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단, 컨테이너(CON)들이 하단으로 수평 반입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먼저 반입된 제1 컨테이너(CON1)를 쉬프트 플레이트(40)가 지지하면서 최상단부로 승강한다. 제1 컨테이너(CON1)가 경과하는 동안 받침부재(60)는 셀 가이드(50)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쉬프트 플레이트(40)만 최하단부로 하강한다. 이때, 최상단부에 위치한 제1 컨테이너(CON1)는 받침부재(60)에 의해 지지된다. 하강된 쉬프트 플레이트(40)로 제2 컨테이너(CON2)가 반입된다. 다시 쉬프트 플레이트(40)가 승강하여 제1 컨테이너(CON1)의 하단에 제2 컨테이너(CON2)를 적재한다.
이후, 남은 컨테이너의 반입 및 쉬프트 플레이트(40)의 승하강 동작이 반복되면서 순차적으로 제3 내지 제6 컨테이너(CON3~CON6)를 적재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에 선적된 일 열의 컨테이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i는 도 5의 컨테이너 선적장치의 선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전술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모순되지 않는 한 전술한 개시 사항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는 위로부터 차례로 3개, 2개, 1개의 컨테이너(CON)들이 적층되는 셀 가이드(50a)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내지 제6 컨테이너들(CON1~CON6)을 수직으로 적재한다고 가정하면, 상단부에는 제1 내지 제3 컨테이너(CON1, CON2, CON3)가 한꺼번에 적재되고, 그 하단에는 제4 및 제5 컨테이너(CON4, CON5)가 적재되며, 그 하단에는 제6 컨테이너(CON6)가 적재된다. 이때, 받침부재(60)는 제1 내지 제3 컨테이너(CON1, CON2, CON3)를 지지하는 하나와, 제4 및 제5 컨테이너(CON4, CON5)를 지지하는 다른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단일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전술된 실시예 대비 받침부재(6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의 선적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먼저 반입된 제1 컨테이너(CON1)를 쉬프트 플레이트(40)가 지지하면서 하단에 위치한 받침부재(60) 위로 승강한다. 이때, 제1 컨테이너(CON1)를 최상단까지 들어올릴 필요는 없다. 승강하는 제1 컨테이너(CON1)가 경과하는 동안, 받침부재(60)는 셀 가이드(50)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쉬프트 플레이트(40)만 하강하여 원위치로 돌아온다. 이때, 제1 컨테이너(CON1)는 하단에 위치한 받침부재(60)에 의해 지지된다.
도 6d 내지 도 6f를 참조하면, 원 위치된 쉬프트 플레이트(40)로 제2 컨테이너(CON2)가 반입된다. 그리고, 쉬프트 플레이트(40)가 승강하여 제1 컨테이너(CON1)와 제2 컨테이너(CON2)를 함께 들어올린다. 다음으로, 쉬프트 플레이트(40)만 하강하여 원위치로 돌아온다. 이때, 제1 컨테이너(CON1)와 제2 컨테이너(CON2)는 하단에 위치한 받침부재(60)에 의해 지지된다.
도 6g 내지 도 6i를 참조하면, 원 위치된 쉬프트 플레이트(40)로 제3 컨테이너(CON3)가 반입된다. 그리고, 쉬프트 플레이트(40)가 승강하여 제1 컨테이너(CON1), 제2 컨테이너(CON2) 및 제3 컨테이너(CON3)를 함께 들어올린다. 이번에는 3개의 컨테이너를 최상단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쉬프트 플레이트(40)만 하강하여 원위치로 돌아온다. 이때, 제1 내지 제3 컨테이너(CON1, CON2, CON3)는 상단에 위치한 받침부재(60)에 의해 지지된다. 이로써, 상단 3개의 컨테이너 적재가 완료된다.
이후, 남은 컨테이너의 반입 및 쉬프트 플레이트(40)의 승하강 동작이 반복되면서 순차적으로 제4 내지 제6 컨테이너(CON4, CON5, CON6)를 적재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장치는 둘 이상의 컨테이너(CON)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70)는 컨테이너(CON) 하단에 마련된 포크포켓(forklift pocket, PP)에 삽입될 수 있다. 포크포켓(PP)은 컨테이너(CON)에 다수개 구비될 수 있고, 연결부재(70)는 포크포켓(PP)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직선형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단, 연결부재(70)는 포크포켓(PP)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연결부재(70)는 복수의 컨테이너(CON)를 고정하는 프레임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접한 두 컨테이너(CON)는 연결부재(70)를 통해 기구적으로 연결되므로, 쉬프트 플레이트(40b)는 컨테이너(CON)들을 행 방향으로 지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셀 가이드(50b)는 쉬프트 플레이트(40b)와 간섭을 피하기 위해 다수개로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 크레인이 불필요하여 선적장치가 간소화되며, 다수의 컨테이너를 동시에 이송하여 컨테이너 선적 시간이 절감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컨테이너선 CON: 컨테이너
10: 선체 20: 스키드 레일
30: 잭업 레그 40: 쉬프트 플레이트
50: 셀 가이드 60: 받침부재
70: 연결부재

Claims (9)

  1. 선체 측벽에 마련된 도어를 통해 컨테이너를 선박 내로 반입하는 스키드 레일;
    상기 컨테이너가 적층되는 높이 방향을 따라 세워지는 잭업 레그; 및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면서 승하강되도록 상기 잭업 레그에 설치되는 쉬프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는 승하강 동작을 통해 상기 잭업 레그의 상부부터 하부로 상기 컨테이너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잭업 레그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를 열 단위로 구분하는 셀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는 상기 셀 가이드와 간섭을 회피하는 그물망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적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셀 가이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밑면을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셀 가이드에서 상기 컨테이너를 향해 돌출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쉬프트 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컨테이너가 기설정된 위치에 오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슬라이딩 구조 또는 힌지 구조에 의해 돌출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적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컨테이너 선적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2020180003988U 2018-08-27 2018-08-27 컨테이너 선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2000005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88U KR20200000507U (ko) 2018-08-27 2018-08-27 컨테이너 선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88U KR20200000507U (ko) 2018-08-27 2018-08-27 컨테이너 선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07U true KR20200000507U (ko) 2020-03-06

Family

ID=6976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988U KR20200000507U (ko) 2018-08-27 2018-08-27 컨테이너 선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50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05666A1 (en) Offshore cargo rack for use in transferring palletized loads between marine vessel and an offshore platform
JP2013518788A (ja) コンテナ処理装置、そのようなものの利用法、および積み下ろし時の方法
EA001289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и выгрузки грузовых контейнеров с агрегатом тележки на палубе
CN101559824B (zh) 运输平台、运输单元及堆码大型货物的方法
US6077019A (en) Cargo containe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JP5306837B2 (ja) 腹盤木及び船舶の支持方法
CN105644723B (zh) 集装箱船
KR102525152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20200000507U (ko) 컨테이너 선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N201224484Y (zh) 用于运输超宽集装箱的运输架
US20200062447A1 (en) Offshore Cargo Rack For Use In Transferring Palletized Loads Between A Marine Vessel And An Offshore Platform
KR20110074385A (ko) 컨테이너 이송/적재 장치
KR20150002648U (ko) 분리형 래싱 브리지 운반장치
KR20110038872A (ko) 컨테이너 선하역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운송선
US874705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cean freight transportation
KR102530035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CN202492025U (zh) 一种平台运输架
CN211443581U (zh) 一种新型运输架
CN113460226B (zh) 远洋货船
KR101336403B1 (ko)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
KR20120118245A (ko) 고압가스 운반선의 실린더 모듈 운반 및 탑재 방법
KR20110089765A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CN101391647A (zh) 一种非iso标准尺寸集装箱的组合式运输方法
KR20110074387A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이송선
KR20150007650A (ko) 컨테이너선의 측면 블록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