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403B1 -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 - Google Patents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403B1
KR101336403B1 KR1020110049082A KR20110049082A KR101336403B1 KR 101336403 B1 KR101336403 B1 KR 101336403B1 KR 1020110049082 A KR1020110049082 A KR 1020110049082A KR 20110049082 A KR20110049082 A KR 20110049082A KR 101336403 B1 KR101336403 B1 KR 101336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ndle
floating dock
suppor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963A (ko
Inventor
신기일
박남식
신용진
박제범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40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 계류중인 플로팅도크에 탑재되어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도크의 이송공간부 저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묶음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록묶음의 중심축은 상기 이송공간부의 중앙축선과 일치되게 배치되어, 플로팅도크 내부에서 블록묶음을 플로팅 또는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 { Floating Dock For Block Bundle And Block Bundle Process }
본 발명은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단위블럭을 센터적층형태로 배치시켜 블록묶음을 구성시키고 지지블럭을 배치시킴으로서, 플로팅도크 내부에서 블록묶음을 플로팅 또는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의 PE(pre-erection)구역에 배치된 블록묶음은 이송장비 즉 트랜스포터, 모듈 트랜스포터, 대차 및 그리퍼잭, 대차 및 윈치와 같은 수평이송식 운송장비나, 육상크레인 내지 해상크레인을 이용하여 바지선으로 이동,배치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지선에 배치된 중.소형블록과 대형블록을 조립한 블록묶음을 해상에 배치된 플로팅도크에 이동시켜 탑재시키기 위해서는 해상크레인을 이용해 육상의 블록묶음을 들어 해상에 배치된 바지선에 이동시킨 후 바지선을 플로팅도크로 이동한 후 재차 해상크레인을 이용해 플로팅도크로 블룩묶음을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블록묶음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도크 내부에서 단위블럭(중.소형블럭 및 대형블럭)들이 반폭(대칭되게)형태로 묶여 배치되므로 플로팅도크 내부에서 블록묶음을 플로팅 또는 이동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단위블럭을 센터적층형태로 배치시켜 블록묶음을 구성시키고 지지블럭을 배치시킴으로서, 플로팅도크에서 블록묶음을 플로팅 또는 이동시킬 수 있는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해상에 계류중인 플로팅도크에 탑재되어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도크의 이송공간부 저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묶음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록묶음의 중심축은 상기 이송공간부의 중앙축선과 일치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묶음은 상기 이송공간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로팅도크의 양측벽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묶음은 상기 지지블럭의 상부에 각각의 단일블록들이 적층되어 묶음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상에 계류중인 플로팅도크에 탑재되어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공정에 있어서, 플로팅도크의 내부 저면에 다수의 지지블럭을 배치시키는 지지블럭배치공정와 상기 지지블럭배치공정 후 상기 지지블럭의 상부에 단위블럭들을 적층하여 대형선 중앙부의 블럭묶음을 형성시키는 블럭묶음형성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묶음형성공정에서는 상기 단위블럭들의 중심축이 상기 플로팅도크의 중앙축선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적층되어 상기 블럭묶음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묶음형성공정에서는 상기 플로팅도크의 양측벽 사이에 플로팅 및 이동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블럭묶음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은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단위블럭을 센터적층형태로 배치시켜 블록묶음을 구성시키고 지지블럭을 배치시킴으로서, 플로팅도크 내부에서 블록묶음을 플로팅 또는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블록의 묶음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10)(이하 블록 묶음구조)는 해상에 계류중인 플로팅도크(100)에 탑재되어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로서, 이에 이와같은 블록 묶음구조(10)는 상기 플로팅도크(100)의 이송공간부(110) 저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블록(30)과 상기 지지블록(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묶음(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록묶음(20)의 중심축은 상기 이송공간부(110)의 중앙축선과 일치되게 배치된다.
상기 플로팅도크(100)는 해상에 계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블록(30)과 상기 블록묶음(20)은 이송장치 즉, 트랜스포터, 모듈 트랜스포터, 대차 및 그리퍼잭, 대차 및 윈치와 같은 수평이송식 운송장비나, 육상크레인 내지 해상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플로팅도크(100)로 이송하여 탑재시킨다.
상기 지지블록(30)은 석재로 이루어지며, 이송장비(도시생략)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공간부(110)의 양측에 등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플로팅도크(100)는 해상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바지선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면 양측에는 블록묶음(20)을 지지하도록 측벽이 마련된다.
여기서, 블록묶음의 플로팅도크 탑재방법은 크게 바지선 탑재단계, 바지선 이동단계, 플로팅도크 연결단계, 플로팅도크 탑재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지선 탑재단계에서 블록묶음(20)을 바지선으로 이송 및 탑재하고, 상기 바지선 이동단계에서 상기 바지선을 상기 플로팅도크(100)까지 이동시키며, 상기 플로팅도크 연결단계에서 상기 바지선을 플로팅도크(100)에 계류시키고, 상기 플로팅도크 탑재단계에서 최종적으로 블록묶음(20)을 상기 플로팅도크(100)로 이송 및 탑재시키게 된다.
상기 블록묶음(20)은 상기 이송공간부(110)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로팅도크(100)의 양 측벽(120)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송장비로 상기 블록묶음(20)을 이동시 측벽(120)과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 측벽(120)과 간격을 유지하게 되고, 측벽(120)과의 간격은 통상 1~2m가 바람직하고 현장여건에 따라 유격되는 간격은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블록묶음(20)은 상기 지지블록(30)의 상부에 각각의 단일블록들이 적층되어 묶음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단일블럭은 대형블럭과 상기 대형블럭의 상부에 적층되는 소형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형블럭의 저면과 상기 플로팅도크(100)의 상면에는 중심선을 표시하여 중심선이 상,하로 일치되도록 상기 블록묶음(2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는 작업공정을 설명하면 먼저, 플로팅도크(100)에 지지블록(30)을 이송장비가 통행할 수 있도록 양측에 배치한 후 이송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블록(30)의 상부에 블록묶음(20)을 배치시키게 된다.
이때, 플로팅도크(100)에 배치되는 블록 묶음구조(10)는 플로팅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지지블록(30)이 구비되며 상기 블록묶음(20)은 하부에 대형블럭이 배치되고 상측에 중형 및 소형블럭이 적층되는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어, 이동에 따른 작업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대형선박에 적용되는 중앙부를 선적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공정을 설명하면 플로팅도크의 내부 저면에 다수의 지지블록(30)을 배치시키는 지지블럭배치공정(S1)과 상기 지지블럭배치공정(S1) 후 상기 지지블록(30)의 상부에 단위블럭들을 적층하여 대형선 중앙부의 블록묶음(20)을 형성시키는 블럭묶음형성공정(S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블럭묶음형성공정(S2)에서는 상기 단위블럭들의 중심축이 상기 플로팅도크의 중앙축선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적층되어 상기 블록묶음(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럭묶음형성공정(S2)에서는 상기 플로팅도크(100)의 양측벽 사이에 플로팅 및 이동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블럭묶음을 형성시키게 된다.
10 : 블록 묶음구조 20 : 블록묶음
30 : 지지블록 100 : 플로팅도크
110 : 이송공간부 120 : 측벽

Claims (6)

  1. 해상에 계류중인 플로팅도크에 탑재되어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도크의 이송공간부 저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묶음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록묶음의 중심축은 상기 이송공간부의 중앙축선과 일치되게 배치되고,
    상기 블록묶음은 상기 지지블럭의 상부에 각각의 단일블록들이 적층되어 묶음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일블럭의 대형블록은 하부에 상기 단일블럭의 소형블럭은 대형블럭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블럭묶음의 대형블럭의 저면과 상기 블럭묶음의 대형블럭과 대응하는 상기 플로팅도크의 상면에는 각각 중심선을 표시하여 상기 중심선이 상, 하 일치하도록 상기 블록묶음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묶음은 상기 이송공간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로팅도크의 양측벽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3. 삭제
  4. 해상에 계류중인 플로팅도크에 탑재되어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공정에 있어서,
    플로팅도크의 내부 저면에 다수의 지지블럭을 배치시키는 지지블럭배치공정; 및
    상기 지지블럭배치공정 후 상기 지지블럭의 상부에 단위블럭들을 적층하여 대형선 중앙부의 블럭묶음을 형성시키는 블럭묶음형성공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럭묶음형성공정에서는 상기 블럭묶음의 대형블럭의 중심축이 상기 플로팅도크의 중앙축선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적층하기 위하여 상기 블럭묶음의 대형블럭의 저면과 상기 플로팅도크의 상면에 중심선을 형성하여 상기 중심선이 상, 하 일치되도록 상기 블록묶음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럭의 묶음공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묶음형성공정에서는 상기 플로팅도크의 양측벽 사이에 플로팅 및 이동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블럭묶음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럭의 묶음공정.
KR1020110049082A 2011-05-24 2011-05-24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 KR101336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082A KR101336403B1 (ko) 2011-05-24 2011-05-24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082A KR101336403B1 (ko) 2011-05-24 2011-05-24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963A KR20120130963A (ko) 2012-12-04
KR101336403B1 true KR101336403B1 (ko) 2013-12-04

Family

ID=4751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082A KR101336403B1 (ko) 2011-05-24 2011-05-24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4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928B1 (ko) * 2005-12-01 2007-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 대의 해상크레인을 이용한 기가블록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928B1 (ko) * 2005-12-01 2007-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 대의 해상크레인을 이용한 기가블록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963A (ko) 201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346050U (zh) 一种陆上码头到驳船、驳船到驳船的过驳装置
US7419329B1 (en) Semi-submersible dry-docking lift apparatus
KR101281644B1 (ko)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JP5306837B2 (ja) 腹盤木及び船舶の支持方法
CN102476722B (zh) T型材放置、转运平台
KR101336403B1 (ko) 플로팅도크에 배치되는 대형선 중앙부 블록의 묶음구조 및 그 블럭의 묶음 공정
KR101347349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제작방법
CN103144870B (zh) 集装箱适配性转换机构
CN202688882U (zh) 深水桥墩双壁钢围堰施工用围堰下放定位平台
CN203237638U (zh) 集装箱适配性转换机构
KR20120112750A (ko) 바지선에 의한 해상 수송 방법 및 해상 수송용 바지선
KR101068662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CN108327857A (zh) 一种多功能的海洋工程装备
CN210126619U (zh) 一种吸附式浮岛结构
KR20110081662A (ko) 컨테이너 하역 시스템 및 방법
KR101192601B1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KR20110089766A (ko) 컨테이너 운송 장치 및 운송 방법
JP2009242085A (ja) レールマウント式門型クレーンのスイッチバック式レーン移動方法及び装置
KR101459618B1 (ko)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KR101192600B1 (ko) 컨테이너 자동 하역 시스템 및 하역 방법
KR101222729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해상 시공 및 진수방법
KR20110038872A (ko) 컨테이너 선하역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운송선
KR101531894B1 (ko) 해양 가스 또는 원유처리용 초대형 부유바지선의 조립과 설치방법
KR20120059726A (ko) Bop 트랄리 하중 테스트를 위한 웨이트 적재 시트
CN203865369U (zh) 一种房屋工字型钢构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