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396U - 스크랩 이탈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랩 이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396U
KR20200000396U KR2020180003724U KR20180003724U KR20200000396U KR 20200000396 U KR20200000396 U KR 20200000396U KR 2020180003724 U KR2020180003724 U KR 2020180003724U KR 20180003724 U KR20180003724 U KR 20180003724U KR 20200000396 U KR20200000396 U KR 202000003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pad material
lower mold
pressing memb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040Y1 (ko
Inventor
강용연
Original Assignee
부성에버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성에버텍(주) filed Critical 부성에버텍(주)
Priority to KR2020180003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40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2007/1872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using breakaway p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드소재가 놓여지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패드소재의 스크랩을 가압하는 관형의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크랩에 삽입되는 니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소재의 스크랩 형성부위와 대응되는 상기 하부금형의 부위에는 상기 가압부재 또는 상기 니들부재에 가압을 받은 스크랩이 떨어지는 이탈구가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랩 이탈장치{Scraps breakaway apparatus}
본 고안은 스크랩 이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패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스크랩을 패드소재상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스크랩 이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나 우레탄폼을 포함한 발포폼으로 제조되는 패드는 차량의 내장재, 건축물의 내/외장재 등에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현장 및 실내 주거환경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패드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차량에 사용되는 패드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대상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위와 같은 패드를 제조하고자 할 시에는, 패드소재상에 구멍을 천공하는 작업을 1차적으로 실시하고, 2차적으로는 패드의 최종 형태를 패드소재상에서 분리시키는 작업을 실시해야한다.
하지만, 기존에는 위와 같은 작업공정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형을 이용한 성형장치 또는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화 공정으로 패드를 제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패드소재상에 구멍을 천공하는 작업공정과 패드의 최종 형태를 패드 원단상에서 분리시키는 작업이 별도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패드에 형성되어야되는 구멍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제품의 생산성도 크게 향상시키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패드소재상에서 구멍을 천공할 시에 발생되는 스크랩이 패드소재상에서 제대로 이탈되지 못하고 패드소재에 붙은 상태로 잔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패드의 최종 형태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천공작업을 실시할 시에, 패드소재에서 버려지는 스크랩이 패드소재의 일면 전체에 붙은 접착성 시트지에 의하여 완전히 이탈되지 못하고 패드소재에 너덜하게 붙은 상태로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527호의 '음순간 패드 제조 방법 및 장치'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드소재상에서 천공작업에 의해 형성된 스크랩을 패드소재가 놓여지는 하부금형의 아래로 용이하게 떨어뜨릴 수 있도록 구성된 스크랩 이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패드소재가 놓여지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배치된 가동금형에 마련되며, 상기 패드소재의 스크랩을 가압하는 관형의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크랩에 삽입되는 니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소재의 스크랩 형성부위와 대응되는 상기 하부금형의 부위에는 상기 가압부재 또는 상기 니들부재에 가압을 받은 스크랩이 떨어지는 이탈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구는 상기 스크랩이 형성하는 면적보다는 작고 상기 가압부재가 형성하는 평면적보다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스크랩을 가압하고 상승되었을 때 상기 패드소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가동금형에 상단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금형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이동로드; 상기 이동로드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동금형이 하강될 시에 상기 하부금형에 놓인 상기 패드소재와 접촉되는 유동방지 플레이트; 상기 유동방지 플레이트에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재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관통구; 및 상기 유동방지 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가동금형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이동로드의 부위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의 하부에는 상기 이탈구를 통하여 상기 패드소재에서 이탈되는 스크랩이 수거되는 스크랩 수거부가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랩 수거부는, 상기 하부금형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승강 플레이트;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을 받아 상기 이탈구를 통하여 상기 하부금형의 하부로 떨어지는 스크랩이 적재되는 적재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이탈장치는, 패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이 가압부재의 승/하강 운동에 의하여 패드소재상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으므로, 스크랩을 제거하는 별도의 작업과정이 요구되지 않아 패드의 생산성이 상승되고 더불어 인건비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이탈장치는, 패드소재에 변형이나 파손을 가하지 않고 패드소재상에서 스크랩만 간단하게 이탈시켜 패드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이탈장치는, 가동금형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패드소재가 하부금형에서 유동되어 기설정된 위치에서 어긋나는 현상이 유동방지부에 의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더불어 패드소재의 손실을 줄여 제품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이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이탈장치에 의해 스크랩이 패드소재상에서 이탈되어 하부금형의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수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유동방지 플레이트가 패드소재와 면접촉된 상태에서 가압부재의 승하강 운동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이탈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이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이탈장치에 의해 스크랩이 패드소재상에서 이탈되어 하부금형의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수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유동방지 플레이트가 패드소재와 면접촉된 상태에서 가압부재의 승하강 운동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이탈장치(100)는, 패드소재(10)가 놓여지는 하부금형(110); 상기 하부금형(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패드소재(10)의 스크랩(5)을 가압하는 관형의 가압부재(120); 및 상기 가압부재(120)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재(120)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크랩(5)에 삽입되는 니들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소재(10)는, 도시되지 않은 소재 공급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하부금형(110)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패드의 용도에 따라 천(부직포), 우레탄, 발포폼 등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금형(110)에 놓여지는 패드소재(10)는, 도시되지 않은 성형기의 펀칭부재로부터 가압을 받아 1차적으로 펀칭 가공되어 있는 상태라 할 수 있겠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패드소재(10)는, 제작하고자 하는 패드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된 펀칭부재에 1차적으로 가압을 받은 상태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패드소재(10)에는 제작하고자 하는 패드의 형태를 가지는 가공부(11)와 이 가공부(11)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크랩(5)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가공부(11)는, 후가공 공정을 통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패드가 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고, 상기 스크랩(5)은 천공 상태의 패드를 제작하기 위하여 상기 패드소재(10)에 형성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랩(5)은 천공 상태의 패드를 제작하기 위하여 상기 패드소재(10)상에서 이탈되어 버려지는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참고로, 상기 가공부(11)는, 상기 스크랩(5)이 상기 패드소재(10)상에서 이탈된 후, 상기 패드소재(10)의 일면 전체에 부착된 접착성 시트지 상에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성 시트지 상에서 상기 가공부(11)를 분리시키는 작업장식은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 또는 기계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작업 등 다양한 공지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금형(110)은, 패드소재(10)가 형성하는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110)에는 다수개의 이탈구(111, 도 2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구(111)는 상기 하부금형(110)에 패드소재(10)에 놓여졌을 때, 상기 패드소재(10)의 스크랩(5) 형성부위와 대응되는 상기 하부금형(110)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구(1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소재(10)상에서 상기 스크랩(5)이 차지하는 면적보다는 작고 상기 가압부재(120)가 형성하는 평면적보다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120)는, 상기 하부금형(110)의 상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동금형(150, 도 4참조)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120)는 상기 가동금형(140)상에 횡과 열방향을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면이 복잡하게 도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세 개만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120)는 가동금형의 하강에 의해 상기 스크랩(5)의 윗면을 가압한 채 상기 이탈구(111)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120)의 내측에 마련된 니들부재(130)는, 상기 스크랩(5)을 관통한 채 상기 이탈구(111)로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120)가 가동금형의 하강에 의해 상기 스크랩(5)을 가압하면, 상기 스크랩(5)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하부금형(110)에 형성된 이탈구(11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니들부재(130)는 상기 스크랩(5)을 관통한 채 상기 이탈구(11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그 다음, 상기 가압부재(120)가 상기 이탈구(111)에 삽입되면,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니들부재(130)는 상기 스크랩(5)을 꽂은 채로 상기 하부금형(11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가 되고 상기 스크랩(5)은 원상태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가압부재(120)가 가동금형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이탈구(111)의 내측에서부터 이탈되면, 도 5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110)의 하부에 배치되었던 스크랩(5)이 상기 니들부재(130)에 꽂혀진 채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랩(5)은 상기 이탈구(111)에 통과될 수 없는 평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그 윗면이 상기 이탈구(111)를 구획하는 상기 하부금형(110)의 저면에 가압을 받게되면서 상기 니들부재(130)상에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120)의 승/하강 운동에 의해 상기 스크랩(5)이 패드소재(10)상에서 이탈되어 상기 하부금형(110)의 하부로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금형(110)의 하부에는, 상기 이탈구(111)를 통하여 상기 패드소재(10)에서 이탈되는 스크랩(5)이 적재되는 스크랩 수거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랩 수거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210);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승강 플레이트(220); 상기 승강 플레이트(220)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재(120)의 가압을 받아 상기 이탈구(111)를 통하여 상기 하부금형(110)의 하부로 떨어지는 스크랩(5)이 적재되는 적재 플레이트(230);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220)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승강 플레이트(220)는 공지의 볼스크류(S)의 너트와 연결되며, 상기 볼스크류(S)는 상기 구동모터(210)의 출력축과 연결된 기어부(21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10)의 출력축이 회전되면 상기 볼스크류(S)의 너트가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며, 이에 연동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220)가 상기 하부금형(110)이 배치된 방향으로 상승되거나 또는 작업다이(300)의 바닥측으로 하강될 수 있다.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220)와 연동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기 하부금형(110)의 하부로 떨어지는 스크랩(5)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40)는, 홀센서와 같은 공지의 위치 검출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220)의 최고 높이 또는 최저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240)는, 상기 작업다이(300)의 바닥면에 설치된 지지 브라켓(B1)과 상기 하부금형(110)의 저부에 설치된 지지 브라켓(B2)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센서부(240)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220)가 기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거나 또는 기설정된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플레이트(220)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에 적재되는 쿠션패드의 적재량이 증가될 수록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저부에서부터 상기 작업다이(300)의 바닥측으로 하강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210)가 일정시간을 두고 구동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220)를 점진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승강 플레이트(220)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에 스크랩(5)이 한 장씩 적재될 때마다, 상기 스크랩(5)의 한 장 두께만큼 하강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구동모터(210)는 서보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일정시간을 간격을 두고 구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해당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서는 고안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그 구체적인 구성설명이 생략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210)가 일정간격으로 구동되는 시간은 상기 가압부재(120)에 가압을 받아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에 적재되는 스크랩(5)의 적재량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에 스크랩(5)이 기설정된 양만큼 적재되면 작업자는 적재된 스크랩(5)을 수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 작업과장이 끝나면, 상기 승강 플레이트(220)는 기설정된 최고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금(110)의 저부와 근접한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이탈장치(100)는, 상기 가압부재(120)가 상기 스크랩(5)을 가압하고 상승되었을 때 상기 패드소재(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금형(140)에 상단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금형(110)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이동로드(310); 상기 이동로드(310)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동금형(140)이 하강될 시에 상기 하부금형(110)에 놓인 상기 패드소재(10)와 접촉되는 유동방지 플레이트(320); 상기 유동방지 플레이트(320)에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재(120)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관통구(330); 및 상기 유동방지 플레이트(320)의 상부와 상기 가동금형(140)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이동로드(310)의 부위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동방지부(300)는, 상기 가동금형(140)이 하강되었다가 상승되었을 때, 상기 하부금형(110)을 따라 이송되는 패드소재(10)가 상기 하부금형(110)의 윗면에서 이격되어 곡면지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재(120)가 상기 스크랩(5)을 가압하고 상승되었을 때, 상기 하부금형(110)에 놓인 패드소재(10)가 상기 하부금형(110)의 윗면에서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어 기설정된 위치에서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는바, 위와 같은 문제점을 상기 유동방지부(300)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로드(310)는, 상기 가동금형(140)의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가동금형(140)이 상기 하부금형(110)을 향해 하강되면 그 하단이 상기 하부금형(110)의 윗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로드(310)의 하단과 접촉되는 상기 하부금형(110)의 부위에는 상기 패드소재(10)가 놓여지지 않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가동금형(140)이 하강되면, 우선적으로 상기 이동로드(310)의 하단이 상기 하부금형(110)의 윗면과 접촉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이동로드(310)가 상승되면서 상기 압축 스프링(340)이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방지 플레이트(320)의 저면은 상기 패드소재(10)와 면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방지 플레이트(320)는, 상기 하부금형(110)에 놓여진 패드소재(10)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120)는, 상기 유동방지 플레이트(320)의 저면이 상기 패드소재(10)의 윗면과 면접촉되면, 상기 유동방지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관통구(330)를 통과하여 패드소재(10)의 스크랩(5)을 가압한 뒤 상기 하부금형(110)에 형성된 이탈구(11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스크랩(5)은 패드소재(10)상에서 이탈되어 상기 이탈구(111)를 통해 상기 하부금형(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다시 상기 가동금형(140)과 함께 상승되는 상기 가압부재(120)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110)의 저면과 걸림되면서 상기 니들부재(130)상에서 분리되어 상기 하부금형(110)의 하부로 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금형(140)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20)가 상기 이탈구(111)에서부터 상승되어도 상기 유동방지 플레이트(320)는 상기 패드소재(10)의 윗면과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패드소재(10)가 상기 하부금형(110)의 윗면에서 이격되어 상부르 들뜨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유동방지 플레이트(320)는, 상기 가압부재(120)가 상기 스크랩(5)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이탈구(111)에 삽입되거나, 또는, 상향으로 상승되어 이탈구(111)에서부터 빠져나오는 순간에도, 상기 패드소재(10)의 윗면과 면접촉되어 하부금형(110)상에서 패드소재(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이탈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동방지부(300)에 의하여, 패드소재(10)가 기설정된 하부금형(110)의 윗면상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스크랩 이탈장치 110 : 하부금형
111 : 이탈구 120 : 가압부재
130 : 니들부재 140 : 가동금형
200 : 스크랩 수거부 210 : 구동모터
220 : 승강 플레이트 230 : 적재 플레이트
240 : 센서부 300 : 유동방지부
310 : 이동로드 320 : 유동방지 플레이트
330 : 관통구 340 : 압축 스프링
10 : 패드소재 11 : 가공부
5 : 스크랩

Claims (3)

  1. 패드소재가 놓여지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배치된 가동금형에 마련되며, 상기 패드소재의 스크랩을 가압하는 관형의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크랩에 삽입되는 니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소재의 스크랩 형성부위와 대응되는 상기 하부금형의 부위에는 상기 가압부재 또는 상기 니들부재에 가압을 받은 스크랩이 떨어지는 이탈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이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구는 상기 스크랩이 형성하는 면적보다는 작고 상기 가압부재가 형성하는 평면적보다는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이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스크랩을 가압하고 상승되었을 때 상기 패드소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가동금형에 상단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금형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이동로드;
    상기 이동로드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동금형이 하강될 시에 상기 하부금형에 놓인 상기 패드소재와 접촉되는 유동방지 플레이트;
    상기 유동방지 플레이트에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재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관통구; 및
    상기 유동방지 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가동금형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이동로드의 부위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이탈장치.
KR2020180003724U 2018-08-10 2018-08-10 스크랩 이탈장치 KR200492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24U KR200492040Y1 (ko) 2018-08-10 2018-08-10 스크랩 이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24U KR200492040Y1 (ko) 2018-08-10 2018-08-10 스크랩 이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96U true KR20200000396U (ko) 2020-02-19
KR200492040Y1 KR200492040Y1 (ko) 2020-07-24

Family

ID=6963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724U KR200492040Y1 (ko) 2018-08-10 2018-08-10 스크랩 이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5493A (zh) * 2020-05-07 2020-10-16 永发印务(东莞)有限公司 一种免装下清废针的清废模具
KR20210153414A (ko) * 2020-06-10 2021-12-17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셀 분할 기판용 더미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셀 분할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664B1 (ko) * 2007-05-23 2008-05-22 퍼스트레이저몰드 주식회사 자동 절단편 배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664B1 (ko) * 2007-05-23 2008-05-22 퍼스트레이저몰드 주식회사 자동 절단편 배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5493A (zh) * 2020-05-07 2020-10-16 永发印务(东莞)有限公司 一种免装下清废针的清废模具
KR20210153414A (ko) * 2020-06-10 2021-12-17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셀 분할 기판용 더미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셀 분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040Y1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040Y1 (ko) 스크랩 이탈장치
EP2266723A1 (en) Automatic machine for punching and cutting wheel rims
KR101006954B1 (ko) 프레스금형용 스크랩 자동배출장치
CN108065484B (zh) 一种全自动冲孔铆扣机
CN106964743B (zh) 一种自动铆钉机
CN104275381A (zh) 可防止印痕的模切造模装置
JP5399043B2 (ja) 粉末化粧料の成形装置及び粉末化粧料の成形方法
CN210497869U (zh) 一种五金冲压用切边机
KR102098779B1 (ko) 쿠션패드 제조용 프레스 장치
JP6511996B2 (ja) プレス機
CN107521081A (zh) 一体缸的成型方法
KR20170126288A (ko) 고무성형 제품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
KR102121664B1 (ko) 전철 창틀 성형방법
KR101382349B1 (ko) 프레스용 스크랩 취출장치
KR101857568B1 (ko) 금속링 성형 장치
CN214816417U (zh) 冰箱滑轨机
CN112641141A (zh) 一种模压机平整度调节装置
KR200389842Y1 (ko) 사출물의 부착방지장치가 구비된 금형장치
KR20160001346U (ko) 연성 패널 타발장치
CN220094830U (zh) 一种拼嵌式安装垫脚的落料模
CN214127049U (zh) 一种模压机平整度调节装置
KR200415887Y1 (ko) 핸드폰 케이스용 압착기
JP2014046347A (ja) プレス加工装置
KR102496086B1 (ko) 강도보완판이 형성된 롤러 통과식 프레스 펀칭 장치
KR102511302B1 (ko) 롤러 통과식 프레스 펀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