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351U -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 Google Patents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351U
KR20200000351U KR2020200000406U KR20200000406U KR20200000351U KR 20200000351 U KR20200000351 U KR 20200000351U KR 2020200000406 U KR2020200000406 U KR 2020200000406U KR 20200000406 U KR20200000406 U KR 20200000406U KR 20200000351 U KR20200000351 U KR 202000003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ragrance
air conditioner
present
phytonc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은
Original Assignee
이하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은 filed Critical 이하은
Priority to KR2020200000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351U/ko
Publication of KR20200000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1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in the air-conditioning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주름져 다수 겹으로 접혀져 제조되는 필터에 액상의 방향제를 코팅하여 제조함으로서 필터본연의 기능인 공기중의 미립자를 역화함과 동시에 더러운 공기를 청정하고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도록 한 에어컨 필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Car aircon filter}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주름져 다수 겹으로 접혀져 제조되는 필터에 액상의 방향제를 코팅하여 제조함으로서 필터본연의 기능인 공기중의 미립자를 역화함과 동시에 더러운 공기를 청정하고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도록 한 에어컨 필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보유대수의 증가와 더불어 대기환경의 오염이 심해지면서, 자동차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주행시에는 도로에서 발생되는 먼지, 분진, 꽃가루 등의 세균성 미립자와, 앞차의 배기가스로부터 배출되는 벤젠, 톨루엔 등의 각종 유해물질이 후방의 자동차 내부로 유입되어, 자동차의 히터나 에어컨을 가동하게 되면, 이때 발생되는 악취와 세균성 미립자가 캐빈(Cabin)이라 불리는 차동차 실내로 그대로 유입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어, 자동차용 공조장치(히터나 에어컨)의 전방부에 에어필터를 두어, 미립자나 유해물질이 차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자동차 공조장치용 에어필터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로서 산과 골이 연속되게 형성되도록 지그재그 식으로 접힌 부직포재질의 여과부재와, 상기 여과부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고 재질은 수지체 또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필터는 대별하여 먼지 등의 입자를 여과시키는 것과, 악취 등의 냄새를 흡착시키는 2종이 있다.
전자의 경우는 대기중에 포함되어 있으면서 인체에 질병을 유발하는 미세입자 중에서 3㎛이상의 입자들을 자동차의 공조장치내에서 자동차의 외기 유입모드 또는 내부순환모드 작동시에 여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주로 활성탄소가 가지는 흡착력을 이용하여 냄새를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는 실외기 유입구측이나 증발기 전면, 즉 물이 유입 가능한 위치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탈취제의 용제가 용해되어 없어지거나, 용제의 잔존기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탈취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필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필터를 제작할 때 소취제 기능을 하는 수지나 활성탄등을 필터를 구성하는 부직포와 일체로 제작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제거하도록 하였으나 부직포에 일체로 제작된 소취제가 먼지 부하를 받게 되면 부하의 경과에 따라 여과의 둔화는 물론 포집원리에 의한 여과도 경미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활성탄소섬유가 경화되어 부서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부직포에 활성탄을 일체로 한 에어필터는 물론 부직포의 4방을 결합하는 프레임에 방향제를 첨가한 필터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 역시 여과가 둔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와 같이 밀집된 공간에서 향 발산을 위하여 통상 필터 제작시 향발산 물질을 일체로 제작하여 발향을 하나 통상의 향발산 필터는 그 수명이 극히 짧아 향 발산이 지속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등록실용신안 20-465648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로 주름져 다수 겹으로 접혀져 제조되는 필터에 액상의 발향액을 흡착 도포하여 제조함으로서 필터 본연의 기능인 공기중의 미립자를 역화함과 동시에 더러운 공기를 청정하고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도록 한 에어컨 필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필터는 필터의 제조 시 자연 향균 물질인 피톤치드를 필터에 흡착되도록 도포한 후 도포된 필터를 상하 주름져 다수 겹으로 제조함으로서 필터에 흡착 도포된 피톤치드 향이 더욱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탈취효과를 극대화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필터는 3㎛이상의 입자들을 자동차의 공조장치내에서 필터가 제거하고, 활성탄소가 가지는 흡착력을 이용하여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피톤치드로 인하여 살균작용 및 방향효과가 탁월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필터에 흡착 도포된 피톤치드는 종래의 액상물질을 침전하여 제조된 필터에 비하여 향발산 시간이 보다 오래지속되어 종래의 것보다 향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방향제의 경우에도 방향효과가 탁월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조공정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를 설명한다.
도 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는 상하 주름져 다수 겹으로 접혀지는 필터(100)와, 상기 필터(100)의 외부를 감싸는 프레임(10)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필터는 실처럼 얇은 섬유로 직조되어 흡착성이 높고 여과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또는 필터용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때 필터는 분사되는 발향액을 흡착 도포하기 위하여 대략 1M X 1M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방향으로 수직으로 세워둔 상태에서 방향액을 도포하는 것이 작업성 또한 우수하다.
본 고안의 필터에 흡착 도포되는 발향액은 피톤치드를 나노입자로 분쇄하고 분쇄된 나노입자에 물을 적정량 혼합하여 발향액을 얻어 발향액을 필터에 분사하도록 한다.
이때 피톤치드에 물을 혼합하는 이유는 필터에 흡착되는 피톤치드의 흡착력을 높혀 주기 위함으로 즉, 필터에 흡착된 발향액의 수분이 날아가면서 피톤치드가 필터에 더욱 강력하게 흡착되도록 혼합하는 것으로 피톤치드 80중량%에 물 20중량%를 혼합하여 발향액을 얻어 필터에 흡착 도포한다.
피톤치드와 물 혼합물인 발향액의 도포는 토네이도 건을 이용하여 강한 에어 압력과 토네이도건의 와류를 이용하여 필터에 도포하여 발향액이 손쉽게 흡착되도록 한다.
발향액의 도포는 10초 간격으로 5회 분사하여 발향액이 필터에 흡착 도포되도록 분사하고, 이후 다시 10초 간격으로 5회 분사한 후 20분정도 상온에서 건조 후 필터에 발향액의 흡착 도포를 완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발향액을 10초 간격으로 5회 분사하는 과정을 3회로 실시하였으나 2회를 실시하는 과정과 발향시간의 차이가 미미하여 2회로 충분한 것이다.
또한 혼합된 발향액에 원액에 필터를 전체적으로 스며들게 함침하여 제조하였으나 이 경우 필터 효과가 전혀 없는 문제점이 있어 적합하지 못한 것이다.
완성된 필터는 각 차종의 필터 크기에 맞게 절단하여 상하 주름져 다수 겹으로 접어 필터(100)를 제조하고 제조된 필터에 외부를 감싸는 프레임(10)을 구비하여 완성한 후 포장하여 출하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피톤치드를 물과 혼합하여 필터에 흡착 도포하여 상온에서 건조하 고 건조된 필터를 이용하여 각 차종에 맞게 필터를 제조하므로 종래의 필터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본 고안의 피톤치드와 물이 혼합된 발향액은 필터에 흡착 도포시 약 40-50일정도 방향시간이 지속되어 살균작용 및 방향효과가 탁월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용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가정용 에어컨필터는 물론 각종 필터에 다양하게 적용가능한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프레임 100: 필터

Claims (3)

  1. 피톤치드를 나노입자로 분쇄하고 분쇄된 나노입자에 물을 혼합하여 발향액을 구비하고, 구비된 피톤치드와 물 혼합물인 발향액을 토네이도 건을 이용하여 강한 에어 압력과 토네이도 건의 와류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또는 필터용부직포에 분사여 건조하고, 건조된 필터에 발향액을 흡착 도포하여 건조된 필터를 각 차종의 필터 크기에 맞추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액은 피톤치드 80중량%에 물 20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발향액의 분사는 10초 간격으로 5회 발향액이 필터에 흡착 도포되도록 분사하고, 이후 다시 10초 간격으로 5회 분사한 후 20분정도 상온에서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KR2020200000406U 2020-02-03 2020-02-03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KR202000003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06U KR20200000351U (ko) 2020-02-03 2020-02-03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06U KR20200000351U (ko) 2020-02-03 2020-02-03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172A Division KR20190135766A (ko) 2018-05-29 2018-05-29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51U true KR20200000351U (ko) 2020-02-12

Family

ID=6949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406U KR20200000351U (ko) 2020-02-03 2020-02-03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35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508B1 (ko) * 2021-10-15 2022-03-15 박영희 항균구리섬유를 포함하는 기능성 에어필터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항균구리섬유를 포함하는 기능성 에어필터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구리섬유를 포함하는 기능성 에어필터용 부직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48Y1 (ko) 2012-09-03 2013-03-06 한국코엔주식회사 에어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48Y1 (ko) 2012-09-03 2013-03-06 한국코엔주식회사 에어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508B1 (ko) * 2021-10-15 2022-03-15 박영희 항균구리섬유를 포함하는 기능성 에어필터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항균구리섬유를 포함하는 기능성 에어필터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구리섬유를 포함하는 기능성 에어필터용 부직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28990C (en) Compound air filters and methods thereof
US10632411B2 (en) HVAC home air filter
KR101500464B1 (ko) 부직포 및 활성탄을 이용한 항균 및 살균 기능이 있는 필터 제조 방법
US20060110297A1 (en) Vehicle cabin air filter freshener
US20060005711A1 (en) Replaceable filt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dapted to scent air
KR102602437B1 (ko) 캐빈 공기 필터
DE102013021071A1 (de) Filtermedium, Filterelement und Filteranordnung
CN107466247B (zh) 包括多层过滤材料的空气过滤器
KR101576270B1 (ko)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의 제조방법
US20220370943A1 (en) Hvac home air filter
KR20200000351U (ko)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CN106890549B (zh) Hvac系统空气过滤器
KR20190135766A (ko) 향 발산이 오래 지속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KR20130024208A (ko) 자동차용 기능성 필터
JP2001213157A (ja) カーエアコン用フィルター
US20130014646A1 (en) Vents A/C Filter
JP4025134B2 (ja) エアフィルタ
KR20190000747U (ko) 천연 항균 송진물질이 포함된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JP6257547B2 (ja) 脱臭剤封入濾材
JP2003210559A (ja) エア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53115A (ja) 空気清浄化フィルター
CN219050654U (zh) 一种车用滤芯和汽车
KR200335644Y1 (ko) 탈취 흡착 기능을 갖는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내장재
JP4776066B2 (ja) 空気清浄フィルタを用いた空気処理装置
KR102646727B1 (ko) Hvac 가정용 공기 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