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11U -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 - Google Patents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11U
KR20200000111U KR2020180003094U KR20180003094U KR20200000111U KR 20200000111 U KR20200000111 U KR 20200000111U KR 2020180003094 U KR2020180003094 U KR 2020180003094U KR 20180003094 U KR20180003094 U KR 20180003094U KR 20200000111 U KR20200000111 U KR 202000001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arms
treatment instrument
tissue
endoscop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준
Original Assignee
최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준 filed Critical 최원준
Priority to KR2020180003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111U/ko
Publication of KR202000001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시경을 통해 체내로 삽입노출시켜 체내의 출혈부위 등의 생체조직을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봉합처치 하는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은, 중간에 형성되는 루프부(10)와, 상기 루프부의 근방 위치에서 양측부를 교차시켜 이격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20)(20')과, 상기 아암들의 각 선단에 형성되는 조직파지부(30)(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아암들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1~2개로 형성되는 보강부(40)(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Clip for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본 고안은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시경을 통해 체내로 삽입노출시켜 체내의 출혈부위 등의 생체조직을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봉합처치 하는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등록특허 제10-0832957호 참조)은, 스테인리스강재로 두께가 얇고 폭이 좁게 성형한 띠형태의 소재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중간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루프부의 근방 위치에서 양측부를 교차시킨 다음 확대 개방 습성을 갖으며 각 선단에 조직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아암을 이격하는 상태로 연장시켜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클립은 그 두께가 매우 얇고 폭이 좁은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어서 아암들의 휨 강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응급처치를 위해 클립을 체내에 삽입시켜 아암을 오므려서 선단의 조직파지부가 출혈부위의 생체조직을 파지토록 하였을 때 생체조직이 두껍게 파지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휨 강도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 정도에 따라 쉽게 조직파지부의 클립핑력이 느슨하게 되거나 아암에 휨 변형 등이 발생하므로 처치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클립이 기능을 상실한 상태로 생체조직을 파지하고 있어도 떼어내서 내시경을 통해 체외로 인출할 수 없기 때문에 그대로 두고 새로운 클립을 다시 체내로 삽입하여 처치를 하여야 하므로 응급을 요하는 처치시간의 지연 등에 따라 위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은 물론이고, 클립 및 비용의 낭비 등이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들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두께가 매우 얇고 폭이 좁은 소재로 구성되는 클립의 아암들 휨 강도를 최대한 높여서 조직파지부가 출혈부위 등의 생체조직을 항상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봉합처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간에 형성되는 루프부와, 상기 루프부의 근방 위치에서 양측부를 교차시켜 이격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과, 상기 아암들의 각 선단에 형성되는 조직파지부들 및 상기 아암들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1~2개로 형성되는 보강부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한번의 처치로 생체조직을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파지하여 봉합시켜 주게 되는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은, 한번의 처치로 생체조직을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파지하여 봉합시켜 주게 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응급을 요하는 처치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어 위급상황의 발생은 물론 클립 및 비용의 낭비 등이 초래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얻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이 연결된 클립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선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이 연결된 클립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선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의 본 고안에 따른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은, 중간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루프부(10)와, 상기 루프부의 근방 위치에서 양측부를 교차시켜 확대 개방 습성을 갖게 이격되는 상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20)(20')과, 상기 아암들의 각 선단에 형성되는 조직파지부(30)(30') 및 상기 아암들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강부(40)(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클립은, 루프부(10)를 누름관(51)의 선단 내에서 상기 누름관에 결합하는 와이어의 연결부재(52) 선단에 걸어져서 클립유닛(50)을 형성하게 된다.
보강부(40)(40')는, 아암(20)(20')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엠보싱가공하여 단수로 길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보강부(40)(40')는, 아암(20)(20')의 휨 강도를 최대한 높여 줌으로써 조직파지부(30)(30')의 클립핑력이 약하되거나 상기 아암의 힘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에 따른 클립은, 아암(20)(20')에 보강부(40)(40')를 각각 복수인 2개로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물론, 보강부(40)(40')는 아암(20)(20')의 폭을 감안하여 1 또는 2개로 형성하면 되는 것으로서, 상기 폭이 동일한 아암에 2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1개로 형성되는 보강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면 된다.
그러나, 보강부(40)(40')를 2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은 아암(20)(20')의 폭을 감안하면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은, 아암(20)(20')이 오므려진 상태로 처치기구에 의해 내시경을 통해 체내에 삽입 노출되어 상기 아암들이 벌어진 후 연결부재(52)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겨서 상기 연결부재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클립의 후단부가 누름관(51)의 선단부 내로 삽입됨에 상기 아암들의 선단부 간격이 오므려지므로 조직파지부(30)(30')들이 생체조직을 파지하게 된다.
이때, 아암(20)(20')에는 길이방향으로 보강부(40)(40')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휨 강도가 최대로 높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조직파지부(30)(30')들이 파지하게 되는 생체조직의 두께가 두꺼워도 상기 아암들의 휨 변형은 물론 조직파지부의 클립핑력이 약화되는 현상도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은 한번의 처치로 생체조직을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파지하여 봉합시켜 주게 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응급을 요하는 처치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어 위급상황이 발생은 물론 클립 및 비용의 낭비 등이 초래되지 않도록 한다.
10 : 루프부 20,20' : 아암
30,30'; 조직파지부 40,40' : 보강부

Claims (2)

  1. 중간에 형성되는 루프부(10)와, 상기 루프부(10)의 근방 위치에서 양측부를 교차시켜 이격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20)(20')과, 상기 아암(20)(20')들의 각 선단에 형성되는 조직파지부(30)(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아암(20)(20')들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강부(40)(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40)(40')는, 1 내지 2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
KR2020180003094U 2018-07-05 2018-07-05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 KR202000001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94U KR20200000111U (ko) 2018-07-05 2018-07-05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94U KR20200000111U (ko) 2018-07-05 2018-07-05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11U true KR20200000111U (ko) 2020-01-15

Family

ID=6915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094U KR20200000111U (ko) 2018-07-05 2018-07-05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11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2049A1 (en) Pyeloplasty clip
JP4935040B2 (ja) 内視鏡用クリップ
CN105078536A (zh) 一种双联组织夹及施夹器
JP2004216058A (ja)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US11071552B2 (en) Hemostasis clip
JP2008119068A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US9579098B2 (en) Bendable suture needle with free varying angle and holder therefor
AU2016305903B2 (en) Voice disorder treatment tool and voice disorder treatment set
JP2021035529A (ja) 横方向接続領域によって接続された2つの可動アームを有する外科用ステープル
JP2007159794A (ja) 内視鏡用クリップ
JP2022507653A (ja) 手術クリップ
KR20200000111U (ko) 내시경 처치기구용 클립
JP7249477B2 (ja) 内視鏡用クリップユニット
WO2015151629A1 (ja) 内視鏡用処置具
US5385568A (en) Surgical instrument for manipulating a thread
JP4935039B2 (ja) 内視鏡用クリップ
US20170224329A1 (en) Anatomical-structure-ligating device
US10863990B2 (en) Malleable plastic surgical clip
JP2018061672A (ja) 留置用クリップ
JP6649830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3733019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4420523B2 (ja) 内視鏡用スネア
HK1057496A1 (en) A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internal body organ
KR20100089496A (ko) 수술용 클립 및 클립 어플라이어
JP5233401B2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