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302A - 개선된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 - Google Patents

개선된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302A
KR20190143302A KR1020180071078A KR20180071078A KR20190143302A KR 20190143302 A KR20190143302 A KR 20190143302A KR 1020180071078 A KR1020180071078 A KR 1020180071078A KR 20180071078 A KR20180071078 A KR 20180071078A KR 20190143302 A KR20190143302 A KR 20190143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ductive adhesive
gas generating
battery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624B1 (ko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71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624B1/ko
Priority to EP19822251.5A priority patent/EP3699981A4/en
Priority to CN201980005704.9A priority patent/CN111344881A/zh
Priority to PCT/KR2019/003390 priority patent/WO2019245137A1/ko
Priority to CN202310926142.XA priority patent/CN117039096A/zh
Priority to US16/765,374 priority patent/US11721839B2/en
Publication of KR20190143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01M2/266
    • H01M2/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1Methods or arrangement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단위셀을 복수개 포함하는 전극 적층체 그리고 상기 전극 적층체에 포함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뻗어 나온 전극 탭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도성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접착부는 슬러리 형태의 안전 소자 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ELECTRODE ASSEMBLY WITH IMPROVED CONNECTION BETWEEN ELECTRODE TAPS}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개선된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이차 전지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등의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 장치에 대한 에너지원으로도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에는 예를 들어 니켈 카드뮴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리튬 이차 전지는 고온에 노출되거나, 과충전, 외부 단락, 침상 관통, 국부적 손상 등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큰 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발열에 의해 전지가 가열되면서 폭발이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 즉, 전지의 압력이나 온도가 상승하면 활물질의 분해 반응과 다수의 부반응들이 진행되며, 이에 따라 전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고, 이는 다시 전해액과 전극 사이의 반응을 가속화시킨다. 종국에는 전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열폭주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온도가 일정 이상까지 상승하면 전지의 발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상승된 전지의 내압에 의해 리튬 이차 전지가 폭발하게 된다.
따라서, 리튬 이차 전지가 과전류 상태, 고온 상태 등의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에 놓였을 때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셀 바깥쪽에 소자를 장착하는 방법과, 셀 내부의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온도의 변화를 이용하는 PTC 소자, CID 소자,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는 보호 회로, 전지 내압의 변화를 이용하는 안전 벤트(safety vent) 등이 전자에 해당하고, 전지 내부의 온도나 전압, 전류 등의 변화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 전기화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 후자에 속한다.
셀 내부의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추가적인 설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모든 종류의 전지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물질의 첨가로 인해 레이트 특성이나 전지 용량 등의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고 신뢰성 있는 작동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지의 성능 저하를 최소로 하면서 확실한 전류 차단 효과를 가져오는 방안이 필요하다.
실시예들은,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과충전 등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충분한 전지 용량을 구현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단위셀을 복수개 포함하는 전극 적층체 그리고 상기 전극 적층체에 포함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뻗어 나온 전극 탭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도성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접착부는 슬러리 형태의 안전 소자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접착부는 전도성 물질과 접착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소자 물질은 가스 발생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소자 물질이 가스 발생 물질인 경우 상기 가스 발생 물질이 분해 전압에 도달할 때 가스가 발생하여 상기 전도성 접착부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발생 물질이 Li2O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소자 물질은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부는 필름형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부는 상기 전극 탭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앞에서 설명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극 탭들 사이의 전도성 접착부에 가스 발생 물질을 포함시켜, 정상 동작 상태에서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과충전과 같은 비정상 동작 상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극 조립체의 전극 탭들이 전극 리드에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단선 II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표시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가스 발생 이후의 도 4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극 조립체의 전극 탭들이 전극 리드에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극성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전극판들(110)과 복수의 제2 전극판들(120)이 분리막(미도시)이 개재되어 있는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전극 조립체(100)는, 제1 전극판들(110), 분리막, 및 제 2 전극판들(1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의 스택형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판(110)은 양극 합제가 전극 본체 상에 도포되어 있는 양극판이고, 제2 전극판(120)은 음극 합제가 전극 본체 상에 도포되어 있는 음극판일 수 있다. 제1 전극판들(110) 각각에는 제1 전극 탭(112)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전극판들(120) 각각에는 제2 전극 탭(12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전극판(110) 및 제2 전극판(120)은 평면 형상에서 네 방향으로 형성된 제1, 2, 3, 4 외주변들(103, 104, 105, 106)을 가진 구조의 전극 본체(107)를 포함한다. 제1 전극 탭(112)은 제1 전극판(110)의 전극 본체의 제1 외주변(103)으로부터 외향 연장되어 있고, 제2 전극 탭(122)은 제2 전극판(120)의 전극 본체의 제1 외주변(103)으로부터 외향 연장되어 있다. 제1 전극 탭(112)은 제1 전극판(1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의 결합 방법에 의해 제1 전극판(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 탭(122)도 제2 전극판(12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의 결합 방법에 의해 제2 전극판(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 탭들(112)은 제1 전극 리드(132)에 연결되어 제1 단자(133)를 형성하고, 제2 전극 탭들(122)은 제2 전극 리드(134)에 연결되어 제2 단자(13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1 전극 탭들(113, 114, 115, 116, 117, 118)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 탭들(112) 사이에는 전도성 접착부(250)가 위치한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 탭들(112)은 용접이 아닌, 접착성을 가진 전도성 접착부(250)를 통해 서로 부착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제1 전극 탭들(11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전극 탭(118)의 일면은 제1 전극 리드(132)의 일면과 접속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제1 전극 리드(132)의 일면과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전극 탭(118)의 일면은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전극 리드(132)의 일면과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전극 탭(118) 사이에도 전도성 접착부(250)를 형성하여 제1 전극 리드(132)와 제1 전극 탭(118)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접착부(250)는 PCT 물질 또는 가스 발생 물질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절단선 II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도성 접착부(250)는 제1 전극 탭(112)과 동일한 형상 및 폭(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최소 요구되는 접착력을 만족하는 전도성 접착부(250)의 길이 또는 면적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고출력 모델의 경우 제1 전극 탭(112) 면적이 좁을 때 전류 집중으로 인하여 온도가 국부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므로, 제1 전극 리드(132)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1 전극 탭(112)의 중첩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전도성 접착부(25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표시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도성 접착부(250)은 접착성 물질(251), 전도성 물질(252) 및 가스 발생 물질(253)을 포함한다. 접착성 물질(251)은 전해액과 반응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계열이 바람직하다. 접착성 물질(251)은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acrylate)/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4-Hydroxybutyl acrylate)=98:2이거나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Ethyl hexyl acrylate)/아크릴산(acrylic acid)=98:2일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제1 전극 탭(112)은 양극 집전체와 동일한 종류의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제1 전극 탭(112)과 중첩하는 전도성 접착부(250)의 전도성 물질(252)은 알루미늄 입자, CNT(Carbon nanotube), 및 카본블랙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알루미늄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1 전극 탭(112)과 전도성 접착부(250) 사이에 알루미늄 재질을 기조로 하는 전류의 경로가 접촉 저항 증가 없이 제공될 수 있다. 알루미늄 입자는 구형 입자일 수 있다.
도 1에서 제2 전극 탭(122)은 음극 집전체와 동일한 종류의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리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제2 전극 탭(122)에서의 전도성 접착부의 전도성 물질은 CNT, 카본블랙 및 구리 입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구리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2 전극 탭(122)과 전도성 접착부 사이에 구리 재질을 기조로 하는 전류의 경로가 접촉 저항 증가 없이 제공될 수 있다.
이차 전지의 정상 동작 상태에서, 저항이 낮은 전도성 물질(252)에 의한 전기적인 통로에 의해 전도성 접착부(250)는 가스 발생 물질(253)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와 대비하여 크게 저항이 감소하지 않은 수준의 도전성을 갖는다.
가스 발생 물질(253)은 소정 전압에 도달할 때 분해되어 가스가 발생하는 물질로 구성된다. 여기서 소정 전압은 가스 발생 물질(253)이 분해되어 가스가 발생하기 위한 분해 전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는 가스 발생 이후의 도 4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분해 전압 도달 전 전도성 접착부(250)는 제1 두께(X)를 갖지만,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가 되면 분해 전압에 도달하여 가스 발생 물질(253)에 의해 가스가 발생되면, 발생된 가스에 의해 전도성 접착부(250)의 부피가 증가하여 전도성 접착부(250)의 두께는, 제1 두께(X) 보다 큰 제2 두께(Y)가 될 수 있다. 증가된 전도성 접착부(250)의 부피에 따라 전도성 물질(252)의 유동이 일어나고, 전도성 물질(252) 사이의 거리가 증가한다. 전도성 물질(25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전도성 접착부(250)의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는 전지셀의 저항 증가와 전압 증가를 야기시켜, 종국적으로 종료 전압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과충전이나 과방전 등의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가 종료되어, 이차 전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스 발생 물질(253)은 소정 전압 도달시 가스가 발생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Li2CO3, K2CO3, CaCO3, BaCO3, SrCO3 물질일 수 있다. 특히 Li2CO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발생 물질(253)로서 Li2CO3가 사용되면 전극 조립체(100) 내에 가해지는 전압이 4.7~4.85V 이상이 되면, Li2CO3이 분해되어 CO, CO2 가스가 생성된다. 발생된 CO, CO2 가스에 의해 전도성 접착부(250)의 부피가 증가한다. 분해 전압은 가스 발생 물질(253)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변경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라 가스 발생 물질(253)로 사용 가능한 Li2CO3(4.7V 이상), K2CO3(4.5V 이상), CaCO3(4.8V 이상), BaCO3(4.9V 이상), SrCO3(4.9V 이상)의 분해 전압을 고려하여 분해 전압은 4.5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물질, 접착성 물질 및 가스 발생 물질로 구성된 전도성 접착부는 슬러리 형태로 전극 집전체와 전극 탭 사이에 도포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전도성 접착부가 슬러리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전도성 접착부의 두께를 조절하거나, 전도성 접착부 내 가스 발생 물질의 함량을 조절 할 수 있다.
가스 발생 물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비정상 작동 상태의 소정 전압에서 발생하는 기체의 양이 많아져 더욱 신속하게 종료 전압에 도달할 수 있으나, 그와 동시에 전지 내의 저항으로 작용하여 전지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전지가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양자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필요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슬러리 두께를 조절하거나, 가스 발생 물질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별다른 추가 공정 없이도, 과충전이나 과방전 등에 대한 종료 전압 도달 정도와 전도성 접착부의 저항값을 제조되는 전지 마다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전지 제조에 대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슬러리 형태로 도포되기 때문에, 접도성 물질, 접착성 물질 및 가스 발생 물질이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전기 전도도, 접착 정도 및 종료 전압 도달 정도를 효과적으로 확보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도성 접착부(250)는 약 10 마이크로 미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도성 접착부(250)를 구성하는 접착성 물질(251)은 40%로 고정될 수 있고, 전도성 물질(252)은 30중량% 내지 50중량%이며, 가스 발생 물질(253)은 10중량%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과충전, 외부단락, 침상관통, 국부적 손상 등에 대한 안정성 확보를 위한 가스 발생 물질을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층 내에 위치시킨다면, 가스 발생 물질이 차지하는 공간만큼 활물질의 양이 줄어들고 전지 용량이 감소될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발생 물질을 전극 본체가 아니라 전극 탭 사이에 위치하는 전도성 접착부(250)에 포함시킴으로써 활물질 감소로 인한 전지 효율 저하를 최소화 하였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접착부는 접착성 물질 및 전도성 물질에 가스 발생 물질이 슬러리 형태로 첨가된 구조를 가지나, 변형 실시예로 가스 발생 물질 대신에 PTC 물질이 슬러리 형태로 전도성 접착부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4의 가스 발생 물질(253) 자리를 PTC 물질이 대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PCT 물질이 포함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PTC 물질은 전지 내 온도가 상승하면, 그에 따라 급격히 저항이 증가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과충전이나 과방전과 같은 비정상적인 작동 상황에 의해 전지 내 온도가 상승하면, 전도성 접착부에 포함된 PTC 물질이 상승된 온도에 의해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전도성 접착부의 저항 증가로 인해 종국적으로 전지는 종료 전압에 도달하게 되어 비정상적인 작동 상황에 대한 이차 전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PTC 물질은 온도 상승에 따라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실리콘 고무 또는 폴리에틸렌 물질일 수 있다.
전도성 물질, 접착성 물질 및 PTC 물질로 구성된 전도성 접착부는 슬러리 형태로 전극 집전체와 전극 탭 사이에 도포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전도성 접착부가 슬러리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전도성 접착부의 두께를 조절하거나, 전도성 접착부 내 PTC 물질의 함량을 조절 할 수 있다.
PTC 물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비정상 작동 상태에서 더욱 급격하게 저항이 증가하여 신속하게 종료 전압에 도달할 수 있으나, 그와 동시에 전지 내의 저항으로 작용하여 전지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전지가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PTC 물질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필요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슬러리 두께를 조절하거나, PTC 물질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별다른 추가 공정 없이도, 과충전이나 과방전 등에 대한 종료 전압 도달 정도와 전도성 접착부의 저항값을 제조되는 전지 마다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전지 제조에 대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PTC 소자의 경우 이미 작동 온도가 정해져 있어, 생산하는 전지마다 PTC 작동 온도가 다른 경우 소자를 다르게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공정이 번거롭고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슬러리 두께를 조절하거나, PTC물질의 함량을 조절하여 보다 간편하게 PTC 작동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슬러리 형태로 도포되기 때문에, 접도성 물질, 접착성 물질 및 PTC 물질이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전기 전도도, 접착 정도 및 종료 전압 도달 정도를 효과적으로 확보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PCT 물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접착부에 관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 외에, 앞에서 설명한 가스 발생 물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접착부에 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과충전, 외부 단락 등의 비정상적인 작동상황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지 용량의 제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극 탭의 수가 증가하는 고출력 모델에서 전류 차단 효과와 전지 용량 개선 효과가 더욱 명확히 나타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전극조립체
250: 전도성 접착부
251: 접착성 물질
252: 전도성 물질
253: 가스 발생 물질

Claims (10)

  1.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단위셀을 복수개 포함하는 전극 적층체 그리고
    상기 전극 적층체에 포함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뻗어 나온 전극 탭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도성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접착부는 슬러리 형태의 안전 소자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2. 제1항에서,
    상기 전도성 접착부는 전도성 물질과 접착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3. 제2항에서,
    상기 안전 소자 물질은 가스 발생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4. 제3항에서,
    상기 안전 소자 물질이 가스 발생 물질인 경우 상기 가스 발생 물질이 분해 전압에 도달할 때 가스가 발생하여 상기 전도성 접착부의 부피가 증가하는 전극 조립체.
  5. 제4항에서,
    상기 분해 전압은 4.5V 이상의 전압인 전극 조립체.
  6. 제4항에서,
    상기 가스 발생 물질이 Li2O3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7. 제1항에서,
    상기 안전 소자 물질은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8. 제1항에서,
    상기 전도성 접착부는 필름형인 전극 조립체.
  9. 제1항에서,
    상기 전도성 접착부는 상기 전극 탭의 단부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
  10. 제1항의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0180071078A 2018-06-20 2018-06-20 개선된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 KR102601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078A KR102601624B1 (ko) 2018-06-20 2018-06-20 개선된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
EP19822251.5A EP3699981A4 (en) 2018-06-20 2019-03-22 ELECTRODES KIT WITH IMPROVED CONNECTION BETWEEN THE PAD TABS
CN201980005704.9A CN111344881A (zh) 2018-06-20 2019-03-22 具有在电极接片之间的改进的连接结构的电极组件
PCT/KR2019/003390 WO2019245137A1 (ko) 2018-06-20 2019-03-22 개선된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
CN202310926142.XA CN117039096A (zh) 2018-06-20 2019-03-22 具有在电极接片之间的改进的连接结构的电极组件
US16/765,374 US11721839B2 (en) 2018-06-20 2019-03-22 Electrode assembly with improved connection between electrode tab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078A KR102601624B1 (ko) 2018-06-20 2018-06-20 개선된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302A true KR20190143302A (ko) 2019-12-30
KR102601624B1 KR102601624B1 (ko) 2023-11-10

Family

ID=6898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078A KR102601624B1 (ko) 2018-06-20 2018-06-20 개선된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21839B2 (ko)
EP (1) EP3699981A4 (ko)
KR (1) KR102601624B1 (ko)
CN (2) CN111344881A (ko)
WO (1) WO20192451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1808A1 (ko) * 2022-11-22 2024-05-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2731B2 (ja) * 2020-01-31 2023-08-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電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074A (ko) * 2003-10-10 2005-04-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피.티.씨. 분말을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4228A (ko) * 2011-12-08 2013-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슬릿을 이용하여 연결된 전극 리드와 전극 탭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JP2016062778A (ja) * 2014-09-18 2016-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非水電解液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8942A (ja) 1996-12-19 1998-07-21 Yuasa Corp 集合電池
KR20030075782A (ko) * 2002-03-20 2003-09-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tc를 내장한 리튬 이온 전지
TWI251359B (en) 2003-10-10 2006-03-11 Lg Cable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PTC pow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381078B2 (ja) * 2008-12-19 2014-01-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002523A1 (ja) 2010-07-02 2012-01-0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Ptc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有する2次電池
EP2596539B1 (en) 2010-07-22 2019-03-27 Bathium Canada Inc. Current collecting terminal for electrochemical cells
KR101655275B1 (ko) 2010-12-13 2016-09-08 주식회사 엘지화학 Ptc 특성을 갖는 용접부가 구비된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DE112011105974B4 (de) 2011-12-19 2021-11-2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ie mit Stromunterbrechungsmechanismus einer Druckbauart
WO2016027673A1 (ja) 2014-08-19 2016-02-2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流遮断機能を有す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81681A (ja) * 2014-10-15 2016-05-16 凸版印刷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6390344B2 (ja) 2014-10-24 2018-09-1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68593A (ko) 2014-12-08 2017-06-19 리텔퓨즈 재팬 지.케이. 전극
JP2017054739A (ja) 2015-09-10 2017-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2157594B1 (ko) * 2015-10-14 2020-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및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JP6608049B2 (ja) * 2016-02-05 2019-11-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ケーブル型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074A (ko) * 2003-10-10 2005-04-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피.티.씨. 분말을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4228A (ko) * 2011-12-08 2013-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슬릿을 이용하여 연결된 전극 리드와 전극 탭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JP2016062778A (ja) * 2014-09-18 2016-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非水電解液二次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1808A1 (ko) * 2022-11-22 2024-05-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5137A1 (ko) 2019-12-26
US20200343519A1 (en) 2020-10-29
CN111344881A (zh) 2020-06-26
KR102601624B1 (ko) 2023-11-10
EP3699981A4 (en) 2021-03-24
US11721839B2 (en) 2023-08-08
CN117039096A (zh) 2023-11-10
EP3699981A1 (en)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76651A1 (en) Current collector for a stacked battery design
JP4579880B2 (ja) 二次電池
JP4274256B2 (ja) 蓄電装置用電極及び蓄電装置
CN104603985B (zh) 电极引线及具有该电极引线的二次电池
KR101753213B1 (ko)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JP4628682B2 (ja) 電池部ユニット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2次電池
US20040126650A1 (en) Electrode assembly for lithium ion cell and lithium cell using the same
US8974944B2 (en)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KR101730576B1 (ko)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20130130099A1 (en) Secondary battery of differential lead structure
KR101999529B1 (ko) 노치가 형성된 리드박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459179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2601624B1 (ko) 개선된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
CN109565070B (zh) 可再充电电池
KR102379765B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US20200373549A1 (en)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venting internal short circuit
WO2019245143A1 (ko) 개선된 전극 탭과 집전체 연결 구조를 갖는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172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20080038662A (ko) 이차전지
CN111725473B (zh) 二次电池
US11431046B2 (en) Lithium-ion cell using aluminum can
KR20080039090A (ko) 이차전지
KR20040079866A (ko) 리튬이온 2차전지
KR20080036743A (ko) 이차전지
KR20180119046A (ko) 접착특성을 가진 천공된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