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368A -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368A
KR20190142368A KR1020197034397A KR20197034397A KR20190142368A KR 20190142368 A KR20190142368 A KR 20190142368A KR 1020197034397 A KR1020197034397 A KR 1020197034397A KR 20197034397 A KR20197034397 A KR 20197034397A KR 20190142368 A KR20190142368 A KR 20190142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mage
display screen
us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413B1 (ko
Inventor
페이 예
치 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1701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772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 예는 이미지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미지 공유 방법은, 제1 전자 디바이스가 제2 전자 디바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 링크를 설정하고; 제1 전자 디바이스는 Wi-Fi(Wireless Fidelity)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Wi-Fi 링크를 설정하고, 제2 전자 디바이스는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Wi-Fi 링크를 설정하고;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획득하고, Wi-Fi 링크를 통해 이미지를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이미지를 수신한 후, 제2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점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제2 전자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점등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하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서비스 프로세싱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데이터 프로세싱 분야, 특히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인터넷(mobile Internet)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점점 더 많은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휴대 전화(mobile phone) 및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등)가 파일(file)(예를 들어, 사진 및 비디오)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 전화 A에서 몇몇의 사진을 선택하고, Wi-Fi(Wireless Fidelity)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활성화하고, 송신할 객체를 검색하고, Wi-Fi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지정된 휴대 전화 B에 이들 사진을 송신할 수 있다. 휴대 전화 B의 사용자는, 휴대 전화 A의 사용자가 공유한 사진의 수신을 확인(confirm)할 필요가 있다. 휴대 전화 B가 수신을 확인하면 휴대 전화 B는 해당 사진을 저장한다. 종래 기술에서, 두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서 파일을 공유하는 방법은 매우 복잡하므로, 상기 방법에서 사용자는 많은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어,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서 파일을 공유하는 효율이 낮아지고, 전자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지능적인 상호 작용(intelligent interaction) 능력을 감소시킨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 예들은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여, 전자 디바이스가 이미지를 공유할 때, 사용자의 동작 단계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의 트랜잭션(transaction) 프로세싱 효율이 증가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지능적인 상호 작용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 예는 이미지 공유 방법을 제공하고, 이미지 공유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된다. 이미지 공유 방법은,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블루투스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Wi-Fi 다이렉트(Wi-Fi Direct)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다이렉트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단계;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이미지 정보는 획득한 이미지 및 제1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하고, 이미지는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캡처한 스크린 샷(screenshot) 또는 이미지임 -;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한 이미지 정보를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후,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 및 디바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 또는 디바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미지 및 디바이스 정보를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한 후, 이미지 공유 방법은,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touch operation)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수신되면,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단계 - 여기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미지 및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컨트롤(control)을 포함함 -;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이미지 및 디바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 방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가 이미지를 공유할 때, 사용자의 동작 단계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의 트랜잭션 프로세싱 효율이 증가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지능적인 상호 작용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이미지 및 디바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파일(file)의 이미지를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고, 이미지 설명을 이미지 아래에 자동으로 추가하는 단계 - 여기서, 파일은 편집 중인 워드(Word) 문서이고, 워드 문서는 복수의 문자를 갖고, 이미지는 복수의 문자 사이에 삽입되고, 이미지가 삽입된 후, 워드 문서는 조판(typesetting)을 자동으로 조정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됨 - 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편집을 포함하는 기술적 해결 방안에 따라, 문서 편집은 더 간단해지고, 이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 효율이 증가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 정보를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제2 전자 디바이스와 제1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거리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 예는 이미지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이미지 공유 방법은 다음 단계들,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블루투스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다이렉트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단계;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이미지 정보는 획득한 이미지를 포함함 -;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 정보를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후,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 방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가 이미지를 공유할 때, 사용자의 동작 단계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의 트랜잭션 프로세싱 효율이 증가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지능적인 상호 작용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이미지를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후, 이미지 공유 방법은,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수신되면,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여기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미지 및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컨트롤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현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미지에 관심이 있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에 대한 더 많은 컨트롤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지능적인 상호 작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수신되지 않으면,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이미지가 표시하는 것이 중지된다.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수신되지 않으면, 그것은 사용자가 이미지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표시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지능적인 상호 작용 능력이 더욱 개선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터치 동작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특별히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특정 위치를 터치할 필요가 없고, 비교적 편리한 방식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이미지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이미지 정보는, 제1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버전 또는 디바이스 이름을 더 포함한다.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이미지가 표시되면, 제1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버전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누가 이미지를 송신하는지 시각적으로 알 수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의 지능적인 상호 작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시작점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시점이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 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터치 스크린, Wi-Fi 장치, 블루투스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장치를 사용하여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한다. Wi-Fi 장치는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한다.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는 Wi-Fi 다이렉트를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이미지 정보는 획득한 이미지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이미지 정보를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후, 다른 전자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 및 디바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 또는 디바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생략한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 방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가 이미지를 공유할 때, 사용자의 동작 단계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의 트랜잭션 프로세싱 효율이 증가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지능적인 상호 작용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 예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컴퓨터 디바이스는 메모리, 프로세서,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블루투스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다이렉트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단계;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이미지 정보는 획득한 이미지를 포함함 -;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 정보를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후,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이미지를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한 후, 방법은,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수신되면,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여기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미지 및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컨트롤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현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미지에 관심이있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에 대한 더 많은 컨트롤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지능적인 상호 작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명령을 저장하고, 명령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전술한 측면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며, 명령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전술한 측면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적 특징, 기술적 해결 방안, 장점 또는 유사한 단어에 대한 설명은, 모든 특징 및 장점이 임의의 단일 실시 예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대로, 특징 또는 장점에 대한 설명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가 특정 기술적 특징, 기술적 해결 방안 또는 장점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명세서에서, 기술적 특징, 기술적 해결 방안 또는 장점에 대한 설명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 예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 기술적 해결 방안 및 장점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더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일 실시 예가, 특정 실시 예에서의 하나 이상의 특정 기술적 특징, 기술적 해결 방안 또는 장점 없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모든 실시 예를 반영하지 않는 특정 실시 예에서 추가적인 기술적 특징 및 장점이 식별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환경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및 휴대용 컴퓨터에 대한 사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일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일부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일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일부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일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일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일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4는 일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의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다양한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일 수 있거나, 휴대 전화, 휴대용 컴퓨터(랩톱), 태블릿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형태는 아래의 실시 예에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환경의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101)는 무선 링크(311)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에서 기지국(305)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휴대용 컴퓨터(102)는 무선 링크(312)를 사용하여 기지국(305)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태블릿 컴퓨터(103)는 무선 링크(313)를 사용하여 기지국(305)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 전화(101), 휴대용 컴퓨터(102) 및 태블릿 컴퓨터(103)는 여러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3 가지 유형의 전자 디바이스가 동일한 셀(즉, 동일한 기지국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에 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휴대 전화(101)는 무선 링크(121)를 사용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휴대용 컴퓨터(102)는 무선 링크(122)를 사용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태블릿 컴퓨터(103)는 무선 링크(123)를 사용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Wi-Fi와 관련된 표준 프로토콜을 따르는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는 Wi-Fi 핫스팟일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대안적으로, 블루투스와 관련된 표준 프로토콜을 따르는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는 블루투스 비콘(beacon)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휴대 전화(101), 휴대용 컴퓨터(102) 및 태블릿 컴퓨터(103)는 다른 무선 통신 방식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101), 휴대용 컴퓨터(102) 및 태블릿 컴퓨터(103)는 Wi-Fi 다이렉트를 통해 서로 Wi-Fi 링크를 설정하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3 개의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파일(예를 들어, 사진, 비디오 또는 문서)을 서에 송신(즉,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3 개의 전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블루투스 비콘에 의해 서로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3 개의 전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아래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300)의 하드웨어의 개략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300)를 예로서 이용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도면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300)는 단지 전자 디바이스의 일례일 뿐이며, 전자 디바이스(300)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가질 수 있거나, 둘 이상의 구성 요소의 조합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구성 요소가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및/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300)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1), 무선 주파수(RF) 회로(302), 메모리(303), 터치 스크린(304), 블루투스 장치(305), 하나 이상의 센서(306), Wi-Fi 장치(307), 위치 결정 장치(308), 오디오 회로(309), 주변기기 인터페이스(310) 및 전원 공급 장치(311)와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 라인(도 3에 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 3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조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전자 디바이스(300)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일부 구성 요소가 결합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 요소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자 디바이스(300)의 구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로세서(301)는 전자 디바이스(300)의 제어 중심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라인을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300)의 다양한 부분에 연결된다. 프로세서(301)는, 메모리(303)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메모리(303)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300)의 다양한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1)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와 추가로 통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응용 프로그램 등을 프로세싱한다.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모뎀 프로세서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301)에 통합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1)는 Huawei Technologies Co., Ltd.에 의해 제조된 Kirin 960 칩일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302)는 정보 수신 및 송신 또는 통화 중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무선 주파수 회로(302)는 기지국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다음 프로세싱을 위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서(30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주파수 회로(302)는 업링크 관련 데이터를 기지국으에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회로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트랜시버,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회로(302)는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디바이스와 추가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임의의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일반 패킷 라디오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이메일, SMS(Short Messaging Service)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303)는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301)는, 전자 디바이스(300)의 다양한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303)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실행한다. 메모리(303)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를 들어, 사운드 재생 기능 또는 이미지 재생 기능)에 의해 요구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전자 디바이스(300)의 사용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얘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및 주소록)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03)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 다른 휘발성 고체 저장 디바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3)는 다양한 운영체제, 예를 들어 Apple Inc.가 개발한 iOS® 운영 체제 및 Google Inc.가 개발한 Android® 운영 체제를 저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304)은 터치 패널(304-1) 및 디스플레이(304-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304-1)은 전자 디바이스(300) 위 또는 근처의 전자 디바이스(300)의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객체를 이용한 터치 패널(304-1) 위 또는 터치 패널(304-1) 근처의 사용자의 동작)를 수집하고, 수집한 터치 정보를 프로세서(301)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터치 패널(304-1) 근처의 사용자의 동작은 플로팅 터치라고 지칭될 수 있고, 플로팅 터치를 수행할 수 있는 터치 패널(304-1)은 용량성, 적외선 감지 또는 초음파와 같은 유형의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304-1)은 두 가지 구성 요소, 즉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터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검출하고, 해당 신호를 터치 제어기에 전달한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터치 정보를 터치 포인트 좌표로 변환하고, 터치 포인트 좌표를 프로세서(301)에 송신한다. 터치 컨트롤러는 프로세서(301)에 의해 송신된 명령을 추가로 수신 및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304-1)은 저항성, 용량성,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와 같은 복수의 유형의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 스크린이라고도 함)(304-2)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 및 전자 디바이스(300)의 다양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4-2)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304-1)은 디스플레이(304-2)를 덮을 수 있다. 터치 패널(304-1) 위 또는 근처에서 터치 이벤트를 검출한 후, 터치 패널(304-1)은 터치 이벤트를 프로세서(301)에 전달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결정한다. 이후, 프로세서(301)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304-2)에, 대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 터치 패널(304-1)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304-2)은 전자 디바이스(3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2 개의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일부 실시 예에서, 터치 패널(304-1)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304-2)은, 전자 디바이스(3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도 통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304)은 복수의 재료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서, 터치 패널(층)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층)만이 제시되고, 본 출원의 실시 예에서 다른 층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블루투스 장치(305)는 전자 디바이스(300)와 다른 단거리 전자 디바이스(휴대 전화 또는 스마트워치 등)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서의 블루투스 장치는 집적 회로 또는 블루투스 칩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300)는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또는 다른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3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광 센서는 주변 광의 밝기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304)의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전자 디바이스(300)가 귀 쪽으로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끌 수 있다. 일 유형의 모션 센서로서, 가속도 센서는 다양한 방향(일반적으로 3 축)에서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적(static)일 때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휴대 전화의 자세를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간 전환, 관련 게임 및 자력계 자세 교정) 및 진동 인식과 관련된 기능(예, 만보계 및 노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300)에는,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및 적외선 센서와 같은 다른 센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Wi-Fi 장치(307)는 Wi-Fi와 관련된 표준 프로토콜을 따르는 네트워크 액세스를 전자 디바이스(30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300)는 Wi-Fi 장치(307)를 사용하여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고, 사용자가 이메일을 수신 및 송신하고, 웹 페이지를 브라우징하고,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는 등의 작업을 돕는다. 전자 디바이스(300)는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Wi-Fi 장치(307)는 대안적으로,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 있고,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Wi-Fi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 결정 장치(308)는 전자 디바이스(300)에 지리적 위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결정 장치(308)는 구체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또는 Russian GLONASS와 같은 위치 결정 시스템의 수신기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위치 결정 시스템에 의해 송신된 지리적 위치를 수신한 후, 위치 결정 장치(308)는 프로세싱을 위해 정보를 프로세서(301)에 전송하거나, 저장을 위해 정보를 메모리(303)에 송신한다.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위치 결정 장치(308)는 AGPS(Assisted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수신기일 수 있다. AGPS는 보조 및 협력을 통해 GPS 위치 결정을 수행하는 동작 모드이다. AGPS는 전자 디바이스(300)의 보다 빠른 위치 결정을 허용하기 위해 GPS 위성 신호와 협력하여 기지국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AGPS 시스템에서, 위치 결정 장치(308)는 보조 위치 결정 클라우드 서버(예를 들어, 휴대 전화 위치 결정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여 위치 결정 보조를 획득할 수 있다. AGPS 시스템은 위치 결정 장치(308)가 레인징 서비스(ranging service) 및 위치 결정 서비스를 완료하도록 돕는 보조 위치 결정 클라우드 서버의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보조 위치 결정 클라우드 서버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300)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 결정 장치(308)(즉, GPS 수신기)와 통신하여 위치 결정 보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위치 결정 장치(308)는 대안적으로,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기초한 위치 결정 기술일 수 있다. 각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전역적으로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지며, 전자 디바이스는, Wi-Fi가 활성화된 경우, 근처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스캔 및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MAC 주소가 획득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위치 클라우드 서버에 표시할 수 있는 이러한 데이터(예를 들어, MAC 주소)를 송신하고, 클라우드 서버는 각각의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지리적 위치를 검색하고, Wi-Fi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강도를 결합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를 계산하고, 지리적 위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 결정 장치(308)에 송신한다.
오디오 회로(309), 스피커(313) 및 마이크로폰(314)은 사용자와 전자 디바이스(300) 사이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회로(309)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 신호를 스피커(313)에 전송할 수 있다. 스피커(313)는 전기 신호를 출력을 위한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마이크로폰(314)은 수집된 사운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 회로(309)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RF 회로(302)로 출력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예를 들어 다른 휴대 전화에 송신하거나,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메모리(303)에 출력한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310)는 외부 입력/출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외부 디스플레이, 외부 메모리 및 가입자 식별 모듈)에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마우스를 연결하고, 통신 사업자에서 제공하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는 가입자 식별 모듈 슬롯의 금속 컨택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310)는 외부 입력/출력 주변 디바이스를 프로세서(301) 및 메모리(303)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300)는 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311)(예컨대, 배터리 또는 전원 관리 칩)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전원 관리 칩을 이용하여 프로세서(301)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 장치(311)를 이용하여 충전 및 방전 관리, 소비 전력 관리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자 디바이스(300)는 카메라(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 플래시, 마이크로 프로젝터, 근거리 통신(NFC)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의 모든 방법은 전술한 하드웨어 구조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3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 예는 이미지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구현될 수 있다. 2 개의 전자 디바이스는 전술한 하드웨어 구조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300)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1: 제1 전자 디바이스는, 블루투스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한다.
단계 S402: 제1 전자 디바이스는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제2 전자 디바이스는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한다.
단계 S403: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획득(또는 캡처)한다.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캡처하거나, 특정 동작을 수행하여 스크린 샷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스크린 샷도 획득한 이미지에 해당한다.
단계 S404: 이미지를 캡처한 후,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Wi-Fi 링크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Wi-Fi 다이렉트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05: 이미지를 수신한 후,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을 때 이미지를 표시하기로 결정한다.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지 않으면,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원이 켜져 있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를 볼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서, 켜진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는 대안적으로,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가 획득한 이미지를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즉시 전송하고,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있을 때 이미지를 표시하는 기술적 해결 방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데이터 트래픽을 소비하지 않고, 보다 효율적이고 보다 신속하게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서, 단계 S401 전에,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0: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가 동일한 디바이스 계정에 로그인된다. 본 출원의이 본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 계정의 기능은, 전자 디바이스의 일부 기능은 전자 디바이스가 특정 계정에 로그인된 후에만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 및 연락처 동기화와 같은 기능은, 전자 디바이스가 계정에 로그인한 후에만 사용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가 계정에 로그인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사용자가, 로그인을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디바이스 계정 ID 및 암호를 입력하면, 인증 정보(디바이스 계정 ID 및 암호)는, 인증을 위해 모바일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계정에 로그인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관련 기능이 사용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주로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므로, 클라우드 서버는 어느 전자 디바이스가 동일한 디바이스 계정에 로그인되어 있는지 알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6: 제2 전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 초) 내에 사용자의 동작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동작이 수신되면, 제2 전자 디바이스는 단계 S407을 수행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동작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2 전자 디바이스는 단계 S408을 수행한다. 동작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임의의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터치하고, 사용자는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측면에서 볼륨 키를 누른다.
단계 S407: 이미지가 표시되면, 이미지를 조작하기 위한 가상 버튼, 링크 또는 아이콘 등의 컨트롤을 표시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손가락(1003)에 의해 수행된 터치 동작이 수신된 후, 이미지(1001)가 표시될 때 2 개의 가상 버튼(1004 및 1005)이 추가로 표시되어, 사용자는 이미지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동작이 수신되면, 이것은 사용자가 이미지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더 많은 컨트롤이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이후 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동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전자 디바이스와 사용자 간의 지능적인 상호 작용 능력이 향상된다.
단계 S408: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이미지 표시를 중지한다. 제2 전자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동작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이것은, 사용자는 이미지를 볼 수 있지만 이미지를 저장할 의사가 없거나 이미지에 대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의사가 없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표시할 필요가 없으며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지적 수준이 개선된다.
본 실시 예에서, 단계 S400, 단계 S401 및 단계 S402 사이에는 명확한 순서가 없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 이어지는 단계가 단계 S403 이전에 모두 수행될 수 있다면, 단계 S402는 단계 S401 이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단계 S400은 단계 S402 이후에 수행될 수 있고: 두 전자 디바이스가 동일한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두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블루투스 링크가 설정되고, 두 전자 디바이스는 동일한 디바이스 계정에 로그인된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단계 S404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이미지를 캡처한 후, 제1 전자 디바이스는 먼저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1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링크를 통해 캡처한 이미지를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전송하거나; 또는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꺼져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전자 디바이스가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제2 전자 디바이스가, 스크린이 꺼져 있는지 여부, 메모리 용량 및 디바이스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버전 정보와 같은 현재 디바이스태 정보를, 무선 링크(예를 들어, 블루투스 링크 또는 Wi-Fi 링크)를 통해 제1 전자 디바이스에 능동적으로 피드백하는 것일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피드백된 디바이스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가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은 대안적으로,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가 동일한 디바이스 계정에 로그인되어 있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정보(스크린이 꺼져 있는지 여부 및 크기), 메모리 용량 및 두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버전 정보와 같은 일부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1 전자 디바이스는 클라우드 서버에 질의를 실행하고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정보를 리턴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질의를 실행하고 제1 전자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리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미지를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할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있을 때에만, 캡처한 이미지를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캡처한 이미지 외에, 제1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버전 및 디바이스 이름과 같은 제1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기술적인 구현 측면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 정보를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고, 이미지 정보는 캡처한 이미지 및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후,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 및 디바이스 정보를 모두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를 표시할 때,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1001) 외에,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프롬프트 박스(1002)가 표시되고, 프롬프트 박스(1002)는, 이미지가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누가 이미지를 전송하는지 알고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된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 방안은, 이미지 공유 방법의 전술한 실시 예에 기초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출원의 본 실시 예에서 2 개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 2 개의 전자 디바이스, 즉 제1 전자 디바이스(101) 및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제공된다.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도 3의 하드웨어 구조를 갖는 휴대 전화일 수 있고, 제2 전자 디바이스(103)는 도 3의 하드웨어 구조를 갖는 태블릿 컴퓨터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일부 기능이 사용되기 전에, 제1 전자 디바이스(101) 및 제2 전자 디바이스(103)는 모두 특정 디바이스 계정에 로그인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연락처 동기화 및 인스턴트 공유 기능은, 제1 전자 디바이스가 화웨이 ID에 로그인한 후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제1 전자 디바이스가 화웨이 ID에 로그인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제2 전자 디바이스(103)도 동일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디바이스(101)를 예로 들면, 아이콘(501)은 제1 전자 디바이스(101)의 3 개의 인터페이스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바로가기(shortcut) 및 위젯(widget)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을 나타낸다. 현재 표시된 인터페이스는 메인 인터페이스이다. 메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키(503)를 터치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키(503)는 터치 스크린(304)상의 가상 키일 수 있거나, 물리적 키일 수 있다. 메인 인터페이스는 대안적으로, 손가락을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304)에서 슬라이드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은 아이콘(502)으로 표시되는 설정을 터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제1 전자 디바이스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하 "GUI")를 터치 스크린(304)에 표시한다. 도 6a에서, 설정과 관련된 비행기 모드, Wi-Fi 및 모바일 네트워크와 같은 메뉴 옵션이 표시된다. 비행기 모드, Wi-Fi 및 블루투스가 활성화되거나 켜져 있지 않다. 메뉴 옵션(601)은 화웨이 ID와 관련된 메뉴 옵션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아이콘(602)을 터치함으로써 메뉴 옵션(601)의 특정 인터페이스를 입력하거나 메뉴 옵션(601)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메뉴 옵션을 입력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 상에서, 사용자가 이미 화웨이 ID를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는 가상 버튼(603)을 클릭하고 로그인을 위한 계정 및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관련 데이터를 네트워크 측의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한다. 사용자가 화웨이 ID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사용자는 가상 버튼(604)을 클릭하고 다른 인터페이스에 등록 정보를 입력하여, 화웨이 ID의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에서 인증이 성공한 후, 클라우드 서버는 데이터를 전자 디바이스로 리턴하고, 이후 전자 디바이스가 로깅된 화웨이 ID와 관련된 정보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에 표시된다. 도 6c에서, 표시된 GUI는, 계정의 사용자 프로파일 사진(605) 및 계정 정보(606)(디바이스 계정 ID, 사용자 레벨,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함)를 포함한다. GUI는 몇 가지 일반적인 설정 메뉴 옵션을 추가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메뉴 옵션(607)은 연락처 동기화를 위한 기능 메뉴 옵션을 나타낸다. 가상 버튼(608)은 연락처 동기화 기능이 현재 활성화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다른 예에서, GUI는 메뉴 옵션(609)을 표시한다. 메뉴 옵션(609)은 인스턴트 공유(Instant Sharing) 기능을 나타낸다. 가상 버튼(610)은 인스턴트 공유 기능이 비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낸다.
본 출원에서 인스턴트 공유 기능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비디오를 녹화하거나 또는 스크린 샷을 캡처한 후, 전자 디바이스가 수집된 사진, 비디오 또는 스크린 샷을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즉시 공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본 실시 예에서, "인스턴트"는 이미지(그림, 비디오 또는 스크린 샷)를 획득하는 동작과,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이미지를 송신하는 동작 사이의 시간 간격이 매우 짧고, 마이크로 초 단위로 측정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두 동작 사이에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작이 없을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메뉴 옵션(609)의 이름 "인스턴트 공유"이지만, 그 명칭은 본 출원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서, 메뉴 옵션(609)의 이름은 "즉시 공유"와 같은 다른 이름일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611)의 손가락이 가상 버튼(610)을 클릭하면, 인스턴트 공유 기능이 활성화된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c의 가상 버튼(610)은 가상 버튼(613)으로 변경된다. 가상 버튼(613)은 인스턴트 공유 기능이 활성화됨을 나타낸다. 또한 블루투스 또는 Wi-Fi가 활성화되어 있다. 대응하는 심볼(611 및 612)는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 바(status bar)에서 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장치는, 블루투스가 또한 활성화된 다른 전자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페어링을 시작한 후, 두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블루투스 링크가 설정된다. 또한, 블루투스 장치는 마스터 모드에서 작동하고, 다른 전자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모드에서 작동한다. 마스터 모드와 슬레이브 모드는 모두 블루투스 기술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본 명세서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검색 및 페어링과 같은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관련 GUI를 능동적으로 사용하여 다른 관련 전자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페어링을 수행하고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장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의 블루투스 링크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기술적으로, 블루투스 장치는 최대 7 개의 블루투스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설정된 링크는 소규모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할 때,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인식 가능한 방식으로 프롬프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디바이스 A에 대한 블루투스 연결이 설정되었습니다."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다.
인스턴트 공유 기능이 활성화되면, 전자 디바이스의 Wi-Fi 장치가 켜질 수 있고, Wi-Fi 장치는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Wi-Fi 신호를 검색하기 시작한다. 일련의 절차 및 동작 후에, 전자 디바이스는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고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 무선 링크를 설정하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들 간의 핸드 셰이크(handshake)로 간주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들이 서로를 신뢰한다는 것을 나타냄을 이해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가 Wi-Fi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면, 그것은 전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언제든지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이미지를 송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d로부터, 제1 전자 디바이스(101)의 인스턴트 공유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제1 전자 디바이스(101)가 전술한 화웨이 ID와 같은 관련 디바이스 계정에 이미 로그인되어 있는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로그인한 디바이스 계정에는 인스턴트 공유를 위한 하위 메뉴가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인스턴트 공유 기능은 대안적으로, 제1 전자 디바이스가 관련 디바이스 계정에 로그인하지 않고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7a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도 5의 설정(502)을 클릭한 후에 열리는 설정 GUI이다. GUI 상에, 설정 메뉴가 표시된다. 메뉴 옵션(701)은 인스턴트 공유를 위한 메뉴 옵션이고, 가상 버튼(702)은 인스턴트 공유 기능이 비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가상 버튼(703)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Wi-Fi 기능도 비활성화되고, 가상 버튼(704)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도 비활성화된다. 제1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 동작을 검출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가상 버튼(702)은 가상 버튼(705)으로 변경된다. 가상 버튼(705)은 인스턴트 공유 기능이 활성화됨을 나타낸다. 또한, (가상 버튼(70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Wi-Fi 기능 또한 활성화되고, (가상 버튼(707)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또한 활성화된다. 또한, 블루투스의 심볼(708)은 상태 바(710)에 표시될 수 있고, 와이파이의 심볼(709)은 상태 바(7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스턴트 공유 기능은 제1 전자 디바이스가 관련 디바이스 계정으로 로깅하지 않고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 예에서, 인스턴트 공유 기능이 활성화된 후, 제1 전자 디바이스(101)가 이미지(예를 들어, 정면/후면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비디오, 또는 특정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획득한 스크린 샷)를 캡처한 경우,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무선 링크(예를 들어, 블루투스 링크 또는 Wi-Fi 링크)를 통해, 캡처한 이미지를 제2 전자 디바이스(103)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꺼져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로 이미지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전자 디바이스(101)가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제2 전자 디바이스(103)가, 스크린이 꺼져 있는지 여부, 메모리 용량 및 디바이스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버전 정보와 같은 현재 디바이스태 정보를, 제1 전자 디바이스에 능동적으로 피드백하는 것일 수 있다. 이후, 제2 전자 디바이스(103)에 의해 피드백된 디바이스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101)가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은 대안적으로,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를 사용하여,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디바이스(101) 및 제2 전자 디바이스(103)는 동일한 디바이스 계정에 로그인되어 있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정보(스크린이 켜져 있지 않은지 여부 및 크기), 메모리 용량 및 두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버전 정보와 같은 일부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클라우드 서버에 질의를 실행하고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정보를 리턴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질의를 실행하고 제1 전자 디바이스(101)로 메시지를 리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미지를 제2 전자 디바이스(103)에 송신할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있을 때에만, 캡처한 이미지를 제2 전자 디바이스(103)에 송신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비디오를 시청하거나, 텍스트를 타이핑하거나, 또는 스크린이 켜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누군가 이미지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가 통지 바(notification bar)에 표시된다. 이미지는, 사용자가 해당 통지를 클릭한 후에만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101)에 의해,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은 대안적으로, 블루투스 또는 Wi-Fi가 활성화된 후 그리고 제1 전자 디바이스(101)가 이미지를 캡처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스턴트 공유는,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한 후 보다 빠르고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대안적으로, 이미지를 캡처한 후,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지 않고 이미지를 제2 전자 디바이스(103)에 전송하여, 할 수 있으며, 제2 전자 디바이스(103)는 이미지를 적시에 신속하게 저장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이미지가 제2 전자 디바이스(103)에 전송된 후, 제2 전자 디바이스(103)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상태에 기초하여 이미지에 대해 여러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꺼진 것으로 판정되면, 제2 전자 디바이스(103)는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을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를 수신한 후, 제2 전자 디바이스(103)는, 먼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으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지 않으면, 이미지 저장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인스턴트 공유 기능이 활성화된 후, 제1 전자 디바이스(101)가 이미지(예를 들어, 정면/후면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또는 비디오 또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획득한 스크린 샷)를 캡처할 때,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가 로깅된 디바이스 계정과 제1 전자 디바이스(101)가 로깅된 디바이스 계정이 동일한지 여부를 먼저 결정할 수 있다.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사진 또는 비디오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가 로깅된 디바이스 계정과 제1 전자 디바이스(101)가 로깅된 디바이스 계정이 동일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만, 무선 링크(예를 들어, 블루투스 링크 또는 Wi-Fi 링크)를 사용하여 제2 전자 디바이스(103)와 즉시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진/비디오 공유의 정확성이 보장됨으로써, 제1 전자 디바이스(101) 상의 데이터에 대한 프라이버시(privacy) 및 보안을 추가로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에 대한 블루투스 연결을 설정한 후,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계정이 제1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계정과 동일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제2 전자 디바이스와 제1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계정이 동일한 것으로 판정되면,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인스턴트 공유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또는 켤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캡처한 후,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사용자에게 묻지 않고 캡처한 이미지를 무선 링크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103)에 송신한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인스턴트 공유 기능이 활성화된 후, 제1 전자 디바이스(101)가 이미지(예를 들어, 정면/후면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또는 비디오 또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획득한 스크린 샷)를 캡처할 때,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제2 전자 디바이스(103)가 로깅된 디바이스 계정이 제1 전자 디바이스(101)가 로깅된 계정과 동일한지 여부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전자 디바이스(101)가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제2 전자 디바이스(103)가 로깅된 디바이스 계정이 제1 전자 디바이스(101)가 로깅된 계정이 동일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무선 링크를 통해, 캡처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에 송신한다. 전술한 해결 방안은 이미지(사진, 비디오 등) 공유의 정확성을 보장하고, 이에 따라 제1 전자 디바이스의 데이터의 프라이버시 및 보안을 추가로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기술적 솔루션은 다음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시나리오 1: 한 사용자가 두 개의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및 휴대용 컴퓨터를 가지고 있고, 동일한 디바이스 계정이 로그인되어 있다. 휴대 전화와 휴대용 컴퓨터는 블루투스를 통해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하고, 동일한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Wi-Fi 링크를 설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집, 사무실 또는 커피 숍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용 컴퓨터에서 The Little Prince에 대한 의견(comment)에 대한 기사를 작성하고 있으며, 이제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으로서 그림을 기사에 추가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그 사진은 즉시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사진을 거의 동시에 볼 수 있고, 사진에 대한 편집 또는 다른 프로세싱을 즉시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사진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사의 특정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2에서, 사용자가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기 전에, 의견의 일부 콘텐츠(1201)(예를 들어, 텍스트 및 멀티미디어)가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한 후, 사진(1202)은 휴대용 컴퓨터로 즉시 전송된다. 도 12의 심볼 1203은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된 기사의 특정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사진(1202)은 휴대용 컴퓨터의 현재 기사에 삽입되어 표시되고, 사진 아래에 사진 설명이 자동으로 추가될 수 있다(예를 들어, "그림"또는 "사진은 사용자의 휴대 전화로부터 제공됨'과 같은 유사한 설명이 추가됨). 또한 기사에 사진이 삽입되므로, 기사의 조판이 변경된다. 휴대용 컴퓨터는 사진의 크기 및 모양에 기초하여 기사를 자동으로 조판하고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지능적인 상호 작용 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사용자의 문서 처리 효율이 증가한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문서(예를 들어, 워드 문서)가 편집된 후, 휴대용 컴퓨터는 편집된 문서를 무선 링크를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의 휴대 전화에 송신하거나, 편집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 의한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문서를 휴대 전화로 송신할지 여부를 물어볼 수 있다. 전술한 해결 방안에 따르면, 사용자는 여러 전자 디바이스의 조정을 통해 하나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효율이 증가한다.
시나리오 2: 복수의(2 개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및 휴대용 컴퓨터)가 모두 집에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 A는 침실에 있고, 전자 디바이스 B는 거실에 있고, 전자 디바이스 C는 주방에 있지만 전자 디바이스는 서로 가까이 있다. 전자 디바이스 A, B 및 C는 동일한 디바이스 계정에 로그인되어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는 동일한 사용자가 소유한 다른 전자 디바이스이다. 또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는 모두, 동일한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무선 연결을 설정한다. 즉,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는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시나리오에서, 인스턴트 공유 기능은 전자 디바이스 A에서 활성화된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 A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캡처하면, 이미지는 Wi-Fi 링크를 통해 스크린이 켜져 있는 전자 디바이스 B에 전송될 수 있고, 이미지는 전자 디바이스 B의 스크린에 즉시 표시된다. 그러나, 전자 디바이스 C의 스크린은 꺼져 있기 때문에 이미지는 전자 디바이스 C에 전송되지 않는다. 스크린이 켜져 있는 전자 디바이스 B는, 전자 디바이스 B가 사용자의 가족 또는 친구에 의해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스크린이 꺼져 있는 전자 디바이스 C는, 전자 디바이스가 현재 어떤 사람도 사용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 A는 캡처한 이미지를 스크린이 켜져 있는 전자 디바이스 B에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획득한 이미지(예를 들어, 사진 또는 비디오)를 가족/친구와 즉시 공유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인스턴트 공유 기능이 활성화된 후, 제1 전자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제1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다른 크기 및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를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신호의 검출 세기에 기초한 방법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Wi-Fi 신호의 강도에 기초한 방법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제1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제1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는 대안적으로, 전술한 방법과 상이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a)는 인스턴트 공유 기능이 활성화된 제1 전자 디바이스(101)이고, 전자 디바이스(a 내지 d) 모두는 동일한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a)는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디바이스(b, c 및 d)와 전자 디바이스(a)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a로부터, 전자 디바이스(b)는 전자 디바이스(a)에 가장 근접하고, 전자 디바이스(c)는 전자 디바이스(a)에 그 다음으로 가장 근접하고, 전자 디바이스(d)는 전자 디바이스(a)로부터 가장 먼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전자 디바이스(a)가 카메라를 사용하여 이미지(802)를 캡처한 후, 이미지는 Wi-Fi 링크를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디바이스(b)는 전자 디바이스(a)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전자 디바이스(a)는 원본 크기의 캡처한 이미지를 전자 디바이스(b)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디바이스(b)의 스크린이 켜져 있을 수 있고, 이미지는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802)는 전자 디바이스(b)의 스크린에 표시된다. 전자 디바이스(d)는 전자 디바이스(a)로부터 가장 멀고, 전자 디바이스(d)의 스크린은 꺼져 있다. 이 경우, 전자 디바이스(a)는 이미지를 전자 디바이스(d)에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a)는 전자 디바이스(c)와 전자 디바이스(a)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저해상도의 이미지(803)를 전자 디바이스(c)에 송신할 수 있으며, 이미지는 전자 디바이스(c)의 스크린에 즉시 표시된다. 본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a)로부터 더 멀리 있는 전자 디바이스는, 전송된 그림의 더 작은 크기 및 더 낮은 해상도를 나타낸다.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좁을수록, 해당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전자 디바이스(a)의 사용자 사이의 친밀감이 더 높아짐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는 더 높은 해상도의 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인스턴트 공유 방법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이미지 공유는 보다 지능적이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유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a)는 여러 거리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a)는 캡처한 이미지를 전자 디바이스(a)에 가장 가까운 전자 디바이스(b)에 먼저 전송하고,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전자 디바이스(a)에서 가장 멀리 있는 전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Wi-Fi 근거리 네트워크의 경우, 동시에 네트워크 리소스의 낭비가 더 줄어든다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a)에 근접한 전자 디바이스(b)의 사용자와 전자 디바이스(a)의 사용자 사이의 친밀도가 가장 높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b)는 전자 디바이스(a)에 의해 송신된 이미지를 가장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b)가 전자 디바이스(a)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적시에, 신속하게 획득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와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 거리가 변경되면(즉,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새로운 거리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디바이스(101)(전자 디바이스(a), 전자 디바이스(A) 등일 수 있음)는 캡처한 이미지(901)를 무선 링크(910)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103)(전자 디바이스(b), 전자 디바이스(B) 등일 수 있음)에 송신할 수 있고, 이미지(901)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된다. 도 9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101)로부터 전송된 이미지(901)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된다. 이미지는 플로팅(floating)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미지를 조작하기 위한 편집(902), 저장(903) 및 취소(904)와 같은 일부 일반적인 가상 버튼이 이미지 아래에 표시될 수 있다. "편집"은, 가상 버튼(902)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한 후,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전자 디바이스가 편집 관련 GUI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이미지(901)에 대해 (색상 보정 또는 자르기와 같은) 편집을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저장"은 가상 버튼(903)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한 후,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전자 디바이스(103)가, 제2 전자 디바이스(101)의 메모리에, 제1 전자 디바이스(101)에 의해 전송된 이미지(901)를 저장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취소"는 가상 버튼(904)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한 후,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전자 디바이스(103)가, 제1 전자 디바이스(101)에 의해 인스턴트 공유된 이미지(901)를 저장하지 않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방향은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크기에 적응할 수 있다. 도 9에서, (평면 좌표계에서 양 방향이 모두 Y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표시된 이미지(901)의 길이 방향은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너비 방향과 동일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방식 측면에서, 이미지(901)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적응할 수 없다. 도 10a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101)에 의해 전송된 이미지(1001)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에 표시되고, (평면 좌표계에서 양 방향이 모두 Y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이미지(1001)의 길이 방향은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미지(1001)의 디스플레이 방향은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더 잘 적응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에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Wi-Fi를 통해 제1 전자 디바이스(101)에 의해 전송된 이미지(1001)는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고, 이미지(1001)는 플로팅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전자 디바이스(103)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 초) 이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또는 근처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하지 않으면, 이전에 표시된 이미지(1001)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것이 중지된다. 즉, 이미지는 캐시에 저장되지 않는다.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이미지(1001)가 표시되면,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프롬프트 박스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이미지는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됨. 5 초 내에 아무런 조작도 하지 않으면 이미지가 더 이상 표시되지 않고 로컬에 저장되지 않음"인 프롬프트 박스(1002)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프롬프트 박스(1002)는, 이미지를 송신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아무런 조작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일어나는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제2 전자 디바이스(103)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또는 근처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하면, 이전에 표시된 이미지(1001)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계속 표시된다. 이는 이미지가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캐시에 저장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터치 동작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1003)의 터치 동작일 수 있거나, 터치 동작은 이미지(1001)에서 사용자의 손가락(1003)의 터치 동작일 수 있고, 즉, 사용자의 손가락(1003)은 이미지(1001)가 위치한 지점를 터치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전자 디바이스(103)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2 개의 가상 버튼 편집(1004) 및 저장(1005)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편집"은 가상 버튼(1004)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한 후,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전자 디바이스(103)가 편집 관련 GUI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제1 전자 디바이스(101)에 의해 전송된 이미지에 대해 (색상 보정 또는 자르기와 같은) 편집을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저장"은 가상 버튼(1005)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한 후,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전자 디바이스(103)가, 제2 전자 디바이스(101)의 메모리에, 이미지(1001)를 저장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메모리는 비 휘발성일 수 있다. 전술한 구현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미지에 관심이 있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에 대한 더 많은 컨트롤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지능적인 상호 작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서, 이미지가 편집된 후, 제2 전자 디바이스(103)는 편집된 이미지를 무선 링크를 통해 제1 전자 디바이스(101)에 추가로 송신하거나, 편집 후, 사용자에 의한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1 전자 디바이스(101)로 송신할지 여부를 물어볼 수 있다. 전술한 해결 방안에 따르면, 사용자는 여러 전자 디바이스의 조정을 통해 하나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효율이 증가한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101)에 의해 전송된 이미지는 대안적으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으므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롬프트 박스(1006)는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가 현재 제2 전자 디바이스(10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고, 이미지(1001)가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에 표시됨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슬라이드하여 잠금 해제를 수행한 후, 이미지(1001)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이미지(1001)를 본 후에, 사용자는 이미지(1001)에 대해 어떠한 동작(예를 들어 터치)도 수행하지 않고, 다만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프롬프트 박스(1006)를 터치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이미지(1001)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드하여 잠금 해제를 수행한 후, 이미지(1001)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계속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미지(1001)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전술한 실시 예의 제1 전자 디바이스(101))는 자동으로, 사진 촬영 후 인스턴트 공유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사용자에게 프롬프트가 표시된 후 사용자 인증에 기초하여 인스턴트 공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지(1101)를 캡처하기 위해 카메라를 사용한 후, 이미지(1101)는 먼저 사용자에 의해 미리보기를 위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사용자에게 인스턴트 공유 기능을 활성화할 지 여부를 물어볼 수 있다. 도 11a에서, 프롬프트 박스(1102)는 사용자에게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묻기 위해 사용되며, 가상 버튼(1103 및 1104)이 도면에 추가로 표시된다. 가상 버튼(1103)은, 가상 버튼(1103)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한 후,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전자 디바이스가 인스턴트 공유 기능을 활성화하고, 이어서 Wi-Fi, 블루투스 등을 활성화하고,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관련 절차에 기초하여 다른 전자 디바이스 및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가상 버튼(1104)은, 가상 버튼(1104)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한 후,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전자 디바이스가 인스턴트 공유 기능을 활성화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는 사진 촬영 아이콘(1105)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아이콘을 클릭하여 사진 촬영을 위한 GUI를 표시하여 사진을 계속 촬영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가상 버튼(1103)을 클릭하여 인스턴트 공유 기능을 활성화한 후, 전자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를 찾지 못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실패를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롬프트 박스(1107)는, 전자 디바이스가 현재 다른 적절한 전자 디바이스를 찾지 못하여 결국 공유가 실패했음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가상 버튼(1106)을 클릭한 후,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전자 디바이스는 사진 촬영을 위해 GUI로 되돌아 가서, 사용자가 사진을 계속 촬영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카메라가 촬영을 수행하기 시작할 때, 사용자에게 인스턴트 공유 기능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물을 수 있거나, 컨트롤이 사진 촬영을 위한 메인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컨트롤은 인스턴트 공유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A, B, C 및 D)는 동일한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1401)에 대한 무선 링크를 설정한다. 또한, 블루투스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서, 전자 디바이스(B, C 및 D)는, 블루투스 마스터 디바이스 역할을 하는 전자 디바이스(A)에 대한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한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B)가 사진(1402)을 촬영한 후, 사진은 전자 디바이스(A)와 자동으로 즉시 공유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A)는 마스터 디바이스이고, 전자 디바이스(C 및 D) 모두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전자 디바이스(B)는 Wi-Fi 무선 링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C 및 D)에 사진(1402)을 송신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A)는 기본적으로, 블루투스 슬레이브 디바이스(전자 디바이스 B, C 또는 D)에 의해 Wi-Fi 무선 링크를 통해 송신된 이미지(예를 들어, 사진 또는 비디오) 또는 사운드 녹음 및 문서(예를 들어, 워드 문서 또는 TXT 문서)를 수신하기 위해 블루투스 마스터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A)의 사용자는 인스턴트 공유된 사진, 비디오, 사운드 녹음, 문서 등에 기초하여 특정 편집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도 14에서, 전자 디바이스(B)는 사진(1402)을 촬영하고, 인스턴트 공유를 통해 사진(1402)을 전자 디바이스(A)에 송신한다. 전자 디바이스(C)는 사운드 녹음(1403)을 녹음하고, 인스턴트 공유를 통해 사운드 녹음(1403)을 전자 디바이스(A)에 송신한다. 전자 디바이스(D)는 인스턴트 공유를 통해 문서(1404)를 전자 디바이스(A)에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디바이스(A)의 사용자는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사진(1402), 사운드 녹음(1403) 및 문서(1404))를 구성 및 편집할 수 있고, 편집하는 동안, 전자 디바이스(B, C 및 D)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계속 수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데이터 편집을 완료한 후, 전자 디바이스(A)는 편집된 데이터를 블루투스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 A에서, 데이터가 송신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 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30)는 프로세서(1301), 터치 스크린(1302), Wi-Fi 장치(1303), 블루투스 장치(1304), 전원 공급 장치(1305) 및 메모리(130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30)의 전술한 부품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1307)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디바이스(130)은 무선 주파수 회로, 위치 결정 장치, 마이크로 프로젝터, NFC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전자 디바이스(130)는 블루투스 장치(1304)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Wi-Fi 장치(1303)는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한다. 전자 디바이스(130)는 Wi-Fi 다이렉트를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점대점 연결(point-to-point connection)을 설정하여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형성한다. 프로세서(1301)는 메모리(1306)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이미지 정보는 획득한 이미지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130)의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301)는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이미지 정보를 송신한다.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후, 다른 전자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다른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 및 디바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면, 다른 전자 디바이스는 이미지 또는 디바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컴퓨터 디바이스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전술한 실시 예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 - 여기서 터치 스크린은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함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복수의 응용 프로그램;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명령을 포함하고, 명령은 전술한 실시 예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및 "제2"와 같은 용어가 전술한 실시 예에서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전자 디바이스는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용어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전자 디바이스로 명명될 수 있고, 제2 전자 디바이스는 본 출원의 실시 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유사하게 제1 전자 디바이스로 명명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에 기초하여, "하면(if)"이라는 용어는 "경우(when)", "후(after)" 또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또는 "검출에 대한 응답으로"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문맥에 기초하여, "결정하면"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를 검출하면"이라는 문구는 "결정하는 경우" 또는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를 검출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로 해석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실시 예 및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a", "said" 및 "the")는 문맥상 달리 명시되지 않는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열거된 항목의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타내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실시 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가 사용될 때, 실시 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컴퓨터에 로딩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은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은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 등) 방식으로 다른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소프트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digital versatile disc)),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SSD(solid state disk)) 등일 수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전술한 설명은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전술한 예시적인 논의는 상세하게 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전술한 교시 내용에 따르면, 많은 수정 형태 및 변형 형태가 가능하다. 실시 예는 기술적 해결 방안의 원리 및 원리의 실제 적용을 완전히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설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특정 사용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수정을 갖는 기술적 해결 방안 및 다양한 실시 예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이미지 공유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 공유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고, 상기 이미지 공유 방법은,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Wireless Fidelity)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Wi-Fi 다이렉트(Wi-Fi Direct)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다이렉트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획득한 이미지 및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는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캡처한 스크린 샷(screenshot) 또는 이미지임 -;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획득한 이미지 정보를 상기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이미지 및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생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및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한 후, 상기 이미지 공유 방법은,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touch operation)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 동작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컨트롤(control)을 포함함 -;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 동작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상기 이미지 및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파일(file)의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고, 이미지 설명을 상기 이미지 아래에 자동으로 추가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파일은 편집 중인 워드(Word) 문서이고, 상기 워드 문서는 복수의 문자를 갖고, 상기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문자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이미지가 삽입된 후, 상기 워드 문서는 조판(typesetting)을 자동으로 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됨 - 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거리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상기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 방법.
  4. 이미지 공유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 공유 방법은,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블루투스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다이렉트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획득한 이미지를 포함함 -;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후, 상기 이미지 공유 방법은,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 동작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컨트롤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 동작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이 중지되는, 이미지 공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인, 이미지 공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버전 또는 디바이스 이름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의 시작점은, 상기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시점인, 이미지 공유 방법.
  10. 전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터치 스크린, Wi-Fi 장치, 블루투스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를 사용하여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Wi-Fi 장치는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는 Wi-Fi 다이렉트를 통해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 여기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획득한 이미지 및/또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함 -;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상기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생략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컴퓨터 디바이스로서,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는 메모리,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블루투스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Wi-Fi 링크를 설정하고,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Wi-Fi 다이렉트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획득한 이미지를 포함함 -;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Wi-Fi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를 구현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한 후,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 동작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컨트롤을 포함함 - 를 더 구현하는, 컴퓨터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한 후,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컨트롤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디바이스.
  13.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4.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97034397A 2017-04-24 2017-04-24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KR102249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13272A KR102381772B1 (ko) 2017-04-24 2017-04-24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1665 WO2018195708A1 (zh) 2017-04-24 2017-04-24 分享图像的方法及电子设备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272A Division KR102381772B1 (ko) 2017-04-24 2017-04-24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368A true KR20190142368A (ko) 2019-12-26
KR102249413B1 KR102249413B1 (ko) 2021-05-06

Family

ID=639201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272A KR102381772B1 (ko) 2017-04-24 2017-04-24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KR1020197034397A KR102249413B1 (ko) 2017-04-24 2017-04-24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272A KR102381772B1 (ko) 2017-04-24 2017-04-24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754540B2 (ko)
EP (2) EP4270971A1 (ko)
JP (1) JP6714803B1 (ko)
KR (2) KR102381772B1 (ko)
CN (4) CN109156041B (ko)
AU (3) AU2017411918A1 (ko)
WO (1) WO2018195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3146A1 (zh) 2019-10-30 2021-05-06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207111B (zh) * 2020-01-16 2022-09-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发送方法及移动设备
CN111694530B (zh) * 2020-06-09 2023-05-23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适配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928196B2 (en) * 2020-09-15 2024-03-12 Tawaun Bell Apparatuses for improved electronic data storage and transfer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14679708A (zh) * 2020-12-25 2022-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12612626A (zh) * 2020-12-28 2021-04-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20220210336A1 (en) * 2020-12-30 2022-06-30 Snap Inc. Selector input device to transmit media content items
KR20240026591A (ko) * 2022-08-22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5334246A (zh) * 2022-09-06 2022-11-11 抖音视界有限公司 用于影像拍摄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609A (ko) * 2012-02-24 2014-07-21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컨텍스트 기반 컨텐츠 리스트 생성
JP2015118648A (ja) * 2013-12-20 2015-06-25 株式会社 ゼネテック 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共有システムにおける表示方法
US20160094648A1 (en) * 2014-09-29 2016-03-31 Wistron Corporation Content sharing method and device
CN106407365A (zh) * 2016-09-08 2017-02-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图片共享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280A (en) 1934-09-14 1935-10-29 Victor Alexander Ferdinand Sound recording
JP2003125321A (ja) 2001-10-17 2003-04-25 Konica Corp アルバム作成端末、写真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及び写真アルバム作成方法並びに支援プログラム
US20130097302A9 (en) * 2003-10-01 2013-04-18 Robert Khedouri Audio visual player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ent distribution using the same
KR100658614B1 (ko) * 2004-01-16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4956202B2 (ja) 2007-01-16 201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19280B2 (en) * 2007-07-10 2011-09-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in a dual-signal device
KR20090114165A (ko) * 2008-04-29 2009-11-03 (주)지캠프 기사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상기 방법을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5369974B2 (ja) * 2009-08-04 2013-12-18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及び画像共有システム
US10089327B2 (en) * 2011-08-18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Smart camera for sharing pictures automatically
CN104094183A (zh) * 2011-11-16 2014-10-08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在用户设备之间无线地共享数据的系统和方法
US8864019B2 (en) 2011-12-22 2014-10-21 Pink Zulu Labs, Inc. Auto configurable transfer and management system
US9940118B2 (en) 2012-02-23 2018-04-10 Dahrwin Llc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highly dynamic wireless ad-hoc networks
CN102638774A (zh) * 2012-03-31 2012-08-15 王方淇 一种移动终端数据同步分享的方法和系统
KR101875744B1 (ko) * 2012-07-13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N103577089A (zh) 2012-08-10 2014-02-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文件传输的方法及触摸屏终端
US9152211B2 (en) * 2012-10-30 2015-10-0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lectronic device with enhanced notifications
CN103023964A (zh) * 2012-10-31 2013-04-03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车载信息共享娱乐系统
KR20140090297A (ko) * 2012-12-20 2014-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WO2014104568A1 (en) * 2012-12-27 2014-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st device,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hos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EP2755411B1 (en) * 2013-01-09 2021-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device information on a wireless device supporting Wi-Fi Direct and Bluetooth communication
US9298361B2 (en) * 2013-03-15 2016-03-29 Apple Inc. Analyzing applications for different access modes
JP6107518B2 (ja) 2013-07-31 2017-04-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17015A (ko) * 2013-08-01 2015-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카드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KR102047703B1 (ko) * 2013-08-09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85181B1 (ko) * 2013-10-23 2020-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WO2015068988A1 (ko) 2013-11-06 2015-05-14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9462438B2 (en) 2013-11-14 2016-10-04 Google Inc. Do-not-disturb modes
CN103874168A (zh) 2013-12-27 2014-06-18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蓝牙匹配进行网络鉴权的方法和路由装置
KR102144339B1 (ko) 2014-02-11 2020-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JP2015162040A (ja) * 2014-02-27 2015-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3973786B (zh) * 2014-05-07 2017-05-2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通知消息的同步方法及电子设备
US9207835B1 (en) * 2014-05-31 2015-12-08 Apple Inc. Message user interfaces for capture and transmittal of media and location content
US10681591B2 (en) * 2014-07-31 2020-06-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Bluetooth communication
CN104156217B (zh) 2014-08-15 2017-06-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内容共享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6442916B2 (ja) 2014-08-20 2018-12-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文書共有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文書データ更新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045269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JP6278031B2 (ja) 2015-02-04 2018-02-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20160227097A1 (en) * 2015-02-04 2016-08-04 Casio Computer Co., Ltd. Data processing device that executes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by linking with other apparatus
KR20160121982A (ko) * 2015-04-13 2016-10-21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웹 컨테이너 공유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018573A1 (ko) * 2015-07-24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9965175B2 (en) * 2015-08-25 2018-05-08 Myscript System and method of digital note taking
US10574726B2 (en) * 2015-10-16 2020-02-25 Google Llc Techniques for attaching media captured by a mobile computing device to an electronic document
CN105739699B (zh) * 2016-01-29 2018-11-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消息提示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US10447659B2 (en) * 2016-03-02 2019-10-15 Google Llc Sharing protected user content between devices
US20170264440A1 (en) * 2016-03-14 2017-09-14 Smartiply Inc. Proximity-Based Collaborative Information Security
KR101658614B1 (ko) * 2016-05-09 2016-09-21 서종혁 이동식 영상 촬영장치, 정보 공유 단말, 이동식 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는 정보 공유 시스템
CN106095401A (zh) 2016-05-26 2016-11-09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通知栏消息处理方法及装置
CN106210262A (zh) * 2016-06-20 2016-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图片分享方法、装置和移动设备
CN106211033A (zh) * 2016-06-28 2016-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分享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6254213B (zh) * 2016-08-02 2020-02-07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应用的消息免打扰方法、系统和应用后台系统
CN106231130B (zh) * 2016-09-20 2019-11-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通知消息的屏蔽方法及装置
CN106527882A (zh) * 2016-09-29 2017-03-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内容分享的方法、装置及终端
US20180150195A1 (en) * 2016-11-25 2018-05-31 Johnny Lugo Social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users to view, manage and respond to a plurality of news events
US9959010B1 (en) * 2016-12-23 2018-05-01 Beijing Kingsoft Internet Security Software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terminal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609A (ko) * 2012-02-24 2014-07-21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컨텍스트 기반 컨텐츠 리스트 생성
JP2015118648A (ja) * 2013-12-20 2015-06-25 株式会社 ゼネテック 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共有システムにおける表示方法
US20160094648A1 (en) * 2014-09-29 2016-03-31 Wistron Corporation Content sharing method and device
CN106407365A (zh) * 2016-09-08 2017-02-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图片共享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04449B2 (en) 2023-02-16
US11372537B2 (en) 2022-06-28
CN112996141A (zh) 2021-06-18
WO2018195708A1 (zh) 2018-11-01
EP3609192A1 (en) 2020-02-12
CN109156041B (zh) 2021-02-12
CN115843129A (zh) 2023-03-24
CN113015263A (zh) 2021-06-22
CN109156041A (zh) 2019-01-04
AU2021204449A1 (en) 2021-07-29
KR20210052599A (ko) 2021-05-10
EP3609192B1 (en) 2023-04-19
US20220308724A1 (en) 2022-09-29
AU2017411918A1 (en) 2019-12-05
AU2023202760A1 (en) 2023-05-18
EP3609192A4 (en) 2020-04-22
CN112996141B (zh) 2022-09-23
KR102381772B1 (ko) 2022-04-01
US20200117331A1 (en) 2020-04-16
KR102249413B1 (ko) 2021-05-06
CN113015263B (zh) 2022-10-11
US10754540B2 (en) 2020-08-25
JP2020522151A (ja) 2020-07-27
US20210026511A1 (en) 2021-01-28
JP6714803B1 (ja) 2020-07-01
EP4270971A1 (en)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413B1 (ko)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CN110622123B (zh) 一种显示方法及装置
CN114449091B (zh) 一种显示方法及装置
US20210204127A1 (en) Image Sharing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A2843627C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pplication data
EP37612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applications based on scenario
EP3764253A1 (en) Method for quickly opening application or application function, and terminal
EP3623932B1 (en) Display method and device
JP7327729B2 (ja) 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