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314A -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314A
KR20190142314A KR1020197020523A KR20197020523A KR20190142314A KR 20190142314 A KR20190142314 A KR 20190142314A KR 1020197020523 A KR1020197020523 A KR 1020197020523A KR 20197020523 A KR20197020523 A KR 20197020523A KR 20190142314 A KR20190142314 A KR 20190142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glass
layer
molecular weight
average molecular
intermedi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806B1 (ko
Inventor
쇼우고 요시다
마나부 마츠모토
가즈히코 나카야마
준 사사키
모유루 오카노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42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39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88Adjustment of the adherence to the glass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1Double glazing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6PVB, i.e. polyinylbuty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접합 유리의 단부에서 중간막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접합 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이며, 상기 접합 유리에 있어서 광의 조사 시험: 「상기 접합 유리에, 크세논광을, 블랙 패널 온도 83℃ 및 습도 50%RH로 144시간 조사한 후, 상기 접합 유리를 80℃의 순수에 24시간 침지하는 공정을 4사이클 행한다.」을 행했을 때,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가 0.5를 초과한다.

Description

접합 유리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서 파손되어도 유리 파편의 비산량이 적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의 일례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자외선 흡수제, 가소제, 접착력 조정제 및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중간막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말론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또는 옥살산아닐리드계 화합물이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황변 경향이 낮고, UV-A선 및 가시광에 대하여 높은 투과율을 갖고, UV-B선에 대하여 낮은 투과율을 갖는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중간막은, 폴리비닐아세탈과, 가소제와, UV 흡수제인 옥사닐리드형 화합물을 포함한다.
일본특허공개 제2003-327454호 공보 US2012/0052310A1
종래의 접합 유리에서는, 해당 접합 유리의 단부에서 중간막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돌출부는, 접합 유리에 광 및 열 등이 부여되었을 때 특히 생기기 쉽다. 상기 돌출부는, 예를 들어 직경 0.5㎜ 정도의 반구상이다. 이 돌출부는, 중간막이 수분을 흡수한 후, 수분이 휘발 또는 배출될 때 형성된다고 추정된다.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 중간막에 돌출부가 생기면, 접합 유리의 외관이 나빠지거나, 중간막과 유리판 등과의 접착력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막이 다층인 경우에,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간막의 유리판에 접하는 층에 기인하여 생기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합 유리의 단부에서 중간막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이며,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고, 하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기의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가 0.5를 초과하는,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제1 광의 조사 시험: 상기 접합 유리에, 크세논광을, 블랙 패널 온도 83℃, 조내 온도 50℃ 및 습도 50%RH로 144시간 조사한 후, 상기 접합 유리를 깊이 15㎝의 수조를 사용해서 80℃의 순수에 24시간 침지하고, 23℃ 습도 50%의 환경에서 4시간 건조하는 공정을 행한다. 상기 공정을 1사이클로 하여, 상기 공정을 4사이클 행한다. 크세논광의 조사 시에, 방사 조도는 180W/㎡이고, 방사 조도 측정 파장은 300 내지 400㎚이고, 이너 필터는 석영, 및 아우터 필터는 석영: #275(컷오프 275㎚)이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측으로부터 크세논광을 조사한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가시광선 투과율이 다른 경우에,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쪽의 접합 유리 부재측으로부터 크세논광을 조사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하기의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가 0.7을 초과한다.
제2 광의 조사 시험: 상기 접합 유리에, 크세논광을, 블랙 패널 온도 83℃, 조내 온도 50℃ 및 습도 50%RH로 144시간 조사한 후, 상기 접합 유리를 깊이 15㎝ 수조를 사용해서 80℃의 순수에 24시간 침지하고, 23℃ 습도 50%의 환경에서 4시간 건조하는 공정을 행한다. 상기 공정을 1사이클로 하여, 상기 공정을 7사이클 행한다. 크세논광의 조사 시에, 방사 조도는 180W/㎡이고, 방사 조도 측정 파장은 300 내지 400㎚이고, 이너 필터는 석영, 및 아우터 필터는 석영: #275(컷오프 275㎚)이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측으로부터 크세논광을 조사한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가시광선 투과율이 다른 경우에,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쪽의 접합 유리 부재측으로부터 크세논광을 조사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의, 상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가 1.5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의, 상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가 1.4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의 측면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이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거나, 또는 착색되어 있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층이, 상기 제1층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3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3층이, 상기 제1층의 상기 제1 표면과 반대인 제2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또는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있어서, 윈드실드용 유리로서 사용되는 접합 유리이며, 상기 중간막과 차외측의 접합 유리 부재와의 접착면에 흑색 도장이 실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있어서, 사이드 유리, 루프 유리 또는 백라이트용 유리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있어서, 사이드 유리로서 사용되고, 상기 사이드 유리의 일부가, 직접 옥외에 노출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이며,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라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라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가 0.5를 초과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접합 유리의 단부에서 중간막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한다. 상기 중간막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중간막이,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 하기의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라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 하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라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 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가, 0.5를 초과한다.
제1 광의 조사 시험: 상기 접합 유리에, 크세논광을, 블랙 패널 온도 83℃, 조내 온도 50℃ 및 습도 50%RH로 144시간 조사한 후, 상기 접합 유리를 깊이 15㎝의 수조를 사용해서 80℃의 순수에 24시간 침지하고, 23℃ 습도 50%의 환경에서 4시간 건조하는 공정을 행한다. 상기 공정을 1사이클로 하여, 상기 공정을 4사이클 행한다. 크세논광의 조사 시에, 방사 조도는 180W/㎡이고, 방사 조도 측정 파장은 300 내지 400㎚이고, 이너 필터는 석영, 및 아우터 필터는 석영: #275(컷오프 275㎚)이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측으로부터 크세논광을 조사한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가시광선 투과율이 다른 경우에,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쪽의 접합 유리 부재측으로부터 크세논광을 조사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접합 유리의 단부에서 중간막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접합 유리의 투명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합 유리의 단부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중간막과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적층되어 있는 부분의 접합 유리의 단부를 의미한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중간막과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적층되어 있는 부분보다 측방으로 비어져 나온 중간막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비어져 나온 중간막 부분의 내측이, 접합 유리의 단부이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중간막과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적층되어 있는 부분의 측방에, 상기 중간막을 덮는 피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피복부의 내측이, 접합 유리의 단부이다.
또한, 상기 중간막이 단층(제1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접합 유리에 접하는 층은, 중간막(제1층)이다. 상기 중간막이 제1층과 제2층의 2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접합 유리에 접하는 층은, 제1층 및 제2층이고, 즉 제1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제1층과, 제2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제2층이다. 상기 중간막이 제2층과 제1층과 제3층의 3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접합 유리에 접하는 층은, 제2층 및 제3층이고, 즉 제1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제2층과, 제2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제3층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 중간막이 외측을 향해서 돌출된 중간막의 볼록부이다. 예를 들어, 중간막이 외측에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볼록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광조사 시험에 있어서의 상기 공정의 사이클수를, 4사이클로부터, 7사이클로만 변경한 광조사 시험을, 제2 광조사 시험이라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 하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라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 하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라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 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가, 0.7을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접합 유리의 단부에서 중간막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한층 더 억제하고, 접합 유리의 외관을 한층 더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 광의 조사 시험: 상기 접합 유리에, 크세논광을, 블랙 패널 온도 83℃, 조내 온도 50℃ 및 습도 50%RH로 144시간 조사한 후, 상기 접합 유리를 깊이 15㎝의 수조를 사용해서 80℃의 순수에 24시간 침지하고, 23℃ 습도 50%의 환경에서 4시간 건조하는 공정을 행한다. 상기 공정을 1사이클로 하여, 상기 공정을 7사이클 행한다. 크세논광의 조사 시에, 방사 조도는 180W/㎡이고, 방사 조도 측정 파장은 300 내지 400㎚이고, 이너 필터는 석영, 및 아우터 필터는 석영: #275(컷오프 275㎚)이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측으로부터 크세논광을 조사한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가시광선 투과율이 다른 경우에,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쪽의 접합 유리 부재측으로부터 크세논광을 조사한다.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비(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는,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이다.
상기 제1 광조사 시험에서의 상기 비(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상기 제1 광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조사 시험에서의 상기 비(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상기 제2 광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조사 시험에서의 상기 비(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광조사 조건보다 가혹한 조건으로도,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비(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는, 바람직하게는 0.7을 초과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상이다. 4사이클 시험 전 및 7사이클 시험 전은, 0사이클 시이다.
상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을, 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이라 한다. 상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을, 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이라 한다. 상기 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의 상기 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를, 비((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라고 기재한다. 상기 비((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는,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상기 비((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를 충족하면,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을, 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이라 한다. 상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을, 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이라 한다. 상기 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의 상기 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를, 비((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라고 기재한다. 상기 비((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는, 바람직하게는 1.4 이하이다. 상기 비((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를 충족하면,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00 이하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바람직한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강도가 높아진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지기 어렵다.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2㎜의 위치의 중간막의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을 측정할 때는,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2㎜의 위치를 중앙선으로 하는 폭 1㎜의 직사각편이 사용된다.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1㎜의 위치의 중간막의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을 측정할 때는,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1㎜의 위치를 중앙선으로 하는 폭 1㎜의 직사각편이 사용된다.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의 중간막의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을 측정할 때는,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를 중앙선으로 하는 폭 1㎜의 직사각편이 사용된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으로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환산으로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분자량 기지의 폴리스티렌 표준 시료의 GPC 측정을 행한다. 폴리스티렌 표준 시료(쇼와 덴꼬사제 「Shodex Standard SM-105」)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 1,270, 3,180, 6,940, 21,800, 52,500, 139,000, 333,000, 609,000, 1,350,000, 2,700,000, 3,900,000의 11시료를 사용한다. 각각의 표준 시료 피크의 피크 톱이 나타내는 용출 시간에 대하여 분자량을 플롯하여 얻어지는 근사 직선을 검량선으로서 사용한다. 항온항습실(습도 30%(±3%), 온도 23℃)에 1개월 방치한 중간막을 사용한다. 다층의 중간막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항온항습실(습도 30%(±3%), 온도 23℃)에 1개월 방치한 다층 중간막으로부터 표면층(상기 제2, 제3층)과 중간층(상기 제1층)을 박리하고, 박리된 제1층(중간층)을 N-메틸-2-피롤리돈(NMP)에 용해시켜서, 0.1중량%의 용액을 조제한다. 얻어진 용액을 GPC 장치에 의해 분석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다. GPC 장치로서, GPC 장치(Shodex사제 GPC 101 「Ditector: RI-71S, 칼럼: GPC LF-G(Shodex사제) 1개와 GPC LF-804(Shodex사제) 2개를 직렬로 접속」)를 사용한다. 이동층 10mM LiBr을 더한 N-메틸피롤리돈, 유속 0.5ml/분, 칼럼 온도 40℃, 샘플 용해 농도: 0.2중량%, 인젝션양: 100μl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의 측면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중간막의 측면이 노출되어 있어도, 본 발명에서는,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의 측면이 노출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이,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이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거나, 또는 착색되어 있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이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층은, 통상, 돌출부가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의 선택이나 중간막의 단부의 상태의 제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을 만족함으로써, 돌출부를 생기기 어렵게 하여,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된다.
얻어진 중간막을 온도 23℃, 습도 30%에서 1개월 이상 보관한 후에, 중간막이 다층인 경우에는 제1층 및 제3층을 박리함으로써 단리하고, 프레스 성형기로 프레스 성형한 측정 대상물에 대해서, TAINSTRUMENTS사제 「ARES-G2」를 사용하여 측정을 행한다. 또한, 중간막이 단층인 경우에는 직경 8㎜로 절단하여, 측정을 행한다. 지그로서, 직경 8㎜의 패럴렐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3℃/분의 강온 속도로 100℃로부터 -10℃까지 온도를 저하시키는 조건 및 주파수 1㎐ 및 변형 1%의 조건으로 측정을 행한다. 얻어진 측정 결과에 있어서,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 Tg(℃)라 한다.
상기 착색되어 있는 층은, 예를 들어 착색제를 포함한다. 상기 착색되어 있는 층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어 80% 이하이고, 70% 미만이어도 된다.
접합 유리의 투명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히타치 하이테크사제 「U-4100」)를 사용하여, JIS R3211: 1998에 준거하여, 파장 380 내지 780㎚에서 측정된다. 상기 중간막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2매의 클리어 유리 사이에 중간막을 배치해서 측정되어도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11)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중간막(1)을 구비한다. 중간막(1)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1)의 제1 표면(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의 제1 표면(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의 제2층(3)의 외측의 표면(3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의 제3층(4)의 외측의 표면(4a)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다. 중간막(1)은, 제1층(2)과, 제1층(2)의 제1 표면(2a)측에 배치된 제2층(3)과, 제1층(2)의 제1 표면(2a)과는 반대인 제2 표면(2b)측에 배치된 제3층(4)을 구비한다. 제2층(3)은, 제1층(2)의 제1 표면(2a)에 적층되어 있다. 제3층(4)은, 제1층(2)의 제2 표면(2b)에 적층되어 있다. 제1층(2)은, 중간층이다. 제2층(3) 및 제3층(4)은, 예를 들어 보호층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층이다. 제1층(2)은, 제2층(3)과 제3층(4)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중간막(1)은, 제2층(3)과 제1층(2)과 제3층(4)이 이 순으로 나란히 배치된 다층 구조를 갖는다. 중간막(1)에서는, 제2층(3)과 제1층(2)과 제3층(4)이 이 순으로 나란히 적층되어 있다.
제2층(3)의 제1층(2)측과는 반대측의 외측의 표면(3a)은, 접합 유리 부재가 적층되는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층(4)의 제1층(2)측과는 반대측의 외측의 표면(4a)은, 접합 유리 부재가 적층되는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층(2)과 제2층(3) 사이 및 제1층(2)과 제3층(4) 사이에는 각각,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층(2)과 제2층(3) 및 제1층(2)과 제3층(4)은 각각,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층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층을 들 수 있다.
중간막(1)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제1층(2)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제2층(3)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제3층(4)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41)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중간막(31)을 구비한다. 중간막(31)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31)의 제1 표면(3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31)의 제1 표면(3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3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31)은, 1층의 구조를 갖는 단층의 중간막이다. 중간막(31)은, 제1층이다. 중간막(31)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막은,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중간막은, 1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2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3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제1층만을 구비하는 1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단층의 중간막)이어도 되고, 제1층과 다른 층을 구비하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다층의 중간막)이어도 된다.
이하, 상기 중간막을 구성하는 상기 제1층(단층의 중간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의 상세, 그리고 상기 제1층,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상세를 설명한다.
(열가소성 수지)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한다.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 (0)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열가소성 수지 (1)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열가소성 수지 (2)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열가소성 수지 (3)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 (2)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 (3)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3)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0),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3)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시클로올레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아세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 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내지 99.9몰%의 범위 내이다.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또는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아이오노머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아이오노머 수지는, 아이오노머화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아이오노머 수지는, 산기가 도입된 폴리비닐아세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아이오노머 수지는, 예를 들어 -CH2-CH-기를 주쇄에 갖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아이오노머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골격을 갖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골격이, -CH2-CH-기를 주쇄에 갖는다. -CH2-CH-기에 있어서의 「-CH-」 부분의 탄소 원자에는, 하나의 다른 기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아이오노머 수지에서는, 주쇄에 있어서, -CH2-CH-기가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아이오노머 수지를 얻을 때의 중화에는, 금속이 사용된다.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및 자기 수복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금속은, Na, Li, K, Mg, Zn, Cu, Co, Al, Fe, Ni, Cr 또는 M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은, 특히 Na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아이오노머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이하의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 비닐과,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모노머를 공중합시켜서, 비누화하고,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한 후, 아이오노머화하는 방법.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한 후, 아이오노머화하는 방법. 폴리비닐아세탈을,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를 갖는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한 후, 아이오노머화하는 방법.
아이오노머화의 방법으로서는, 용액 중에, 금속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 및 혼련 중에, 금속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은, 용액의 상태에서 첨가되어도 된다.
상기 이온성 관능기는, 카르복실기, 카르복실기의 염기, 술폰산기, 술폰산기의 염기, 술핀산기, 술핀산기의 염기, 술펜산기, 술펜산기의 염기, 인산기, 인산기의 염기, 포스폰산기, 포스폰산기의 염기, 아미노기, 또는 아미노기의 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기에 대해서는, 아이오노머화의 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현하고, 본 발명의 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현한다.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및 자기 수복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아이오노머 수지의 이온성 관능기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이다.
상기 이온성 관능기의 함유율은, 수지 중의 이온성 관능기가 될 수 있는 기 및 이온성 관능기의 금속염을 구성하고 있는 이온성 관능기의 비율의 합을 의미한다. 상기 이온성 관능기의 함유율은, NMR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본 NMR으로 이온성 관능기에서 유래하는 피크(카르복실기에서는 45ppm 부근에 드러난다)와, 30ppm 부근에 나타나는 주쇄에서 유래하는 피크의 적분값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70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포함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또는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알데히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또는 이소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4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기계 강도가 한층 더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20몰% 이상이면 반응 효율이 높고 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28몰%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31.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2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3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3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7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5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6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더욱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이다. 차음성을 더욱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해서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해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7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가 0.1몰% 이상, 25몰% 이하이면, 내관통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해서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해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3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1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이하와 같이 해서 구한다. 우선,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과,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차감한 값을 구한다. 얻어진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해서 몰분율을 구한다. 이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 아세탈화도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STM D1396-92에 의한 측정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상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상기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 산출될 수 있다.
(가소제)
중간막의 접착력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에, 중간막(각 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로서, 종래 공지된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1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그리고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유기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1염기성 유기산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헵틸과 아디프산노닐과의 혼합물,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바스산디부틸, 유변성 세바스산 알키드 및 인산 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아디프산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 내지 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에 있어서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 (0)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0)의 함유량을, 함유량 (0)이라 한다. 상기 함유량 (0)은,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0)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함유량 (0)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투명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제1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1)의 함유량을, 함유량 (1)이라 한다. 상기 함유량 (1)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제2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2)의 함유량을, 함유량 (2)라 한다. 상기 제3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3)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3)의 함유량을, 함유량 (3)이라 한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4중량부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45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2중량부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2)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3)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부 이하이다.
(차열성 물질)
상기 중간막은, 차열성 물질(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성 물질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차열성 물질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거나, 또는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성분 X와 상기 차열 입자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성분 X:
상기 중간막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차열성 물질이다. 상기 성분 X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 X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X로서, 종래 공지된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X로서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안트라시아닌 및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나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안트라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탈로시아닌 및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 가시광선 투과율을 한층 더 높은 레벨로 유지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 및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더욱 한층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에 산소 원자가 결합한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열 입자:
상기 중간막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차열성 물질이다.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의 산화물에 의해 형성된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보다 긴 파장 780㎚ 이상의 적외선은, 자외선과 비교하여, 에너지양이 작다. 그러나, 적외선은 열적 작용이 커서, 적외선이 물질에 흡수되면 열로서 방출된다. 이 때문에,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열선이라고 부르고 있다. 상기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열 입자란, 적외선을 흡수 가능한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차열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도프 산화주석 입자, 인듐 도프 산화주석 입자,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갈륨 도프 산화아연 입자(GZO 입자), 인듐 도프 산화아연 입자(IZO 입자),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 입자(AZO 입자), 니오븀 도프 산화티타늄 입자,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주석 도프 산화아연 입자, 규소 도프 산화아연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나, 6붕화 란탄(LaB6)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차열 입자를 사용해도 된다.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기 때문에, 금속 산화물 입자가 바람직하고, ATO 입자, GZO 입자, IZO 입자,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으며, 또한 입수가 용이하므로,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가 바람직하고, 산화텅스텐 입자도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산화텅스텐 입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텅스텐 입자」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포함된다. 상기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및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더욱 한층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해당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는, 식: Cs0.33WO3으로 표현되는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열선의 차폐성이 충분히 높아진다.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 입자의 분산성이 높아진다.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은,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을 나타낸다. 평균 입자 직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닛키소사제 「UPA-EX150」)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각 함유량(특히 산화텅스텐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각 함유량(특히 산화텅스텐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이다.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금속염)
상기 중간막은,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및 마그네슘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이하, 금속염 M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 M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과 유리판 등의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성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금속염 M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금속염 M은, Li, Na, K, Rb, Cs, Mg, Ca, Sr 및 B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염은, K 및 Mg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염 M은,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 알칼리 금속염,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마그네슘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및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으로서는,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프로피온산마그네슘, 프로피온산칼륨,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 2-에틸부탄산칼륨, 2-에틸헥산산마그네슘 및 2-에틸헥산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중간막, 또는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에 있어서의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5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ppm 이하이다.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과 유리판의 접착성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
상기 중간막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폐제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가 장기간 사용되어도, 가시광선 투과율이 한층 더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트리아진 화합물),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말론산에스테르 화합물),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옥살산아닐리드 화합물) 및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에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 입자, 백금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팔라듐 입자 및 팔라듐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는, 차열 입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및 산화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에 관해서, 표면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의 표면의 피복 재료로서는, 절연성 금속 산화물, 가수분해성 유기 규소 화합물 및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5.0eV 이상의 밴드 갭 에너지를 갖는다.
상기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P」),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0」),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6」) 및 2-(2'-히드록시-3',5'-디-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8」)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을 차폐하는 성능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타벤존(BASF사제 「Chimassorb8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ADEKA사제 「LA-F70」 및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BASF사제 「Tinuvin1577F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2-(p-메톡시벤질리덴)말론산디메틸,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2-(p-메톡시벤질리덴)-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말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의 시판품으로서는, Hostavin B-CAP, Hostavin PR-25, Hostavin PR-31(모두 클라리안트사제)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N-(2-에틸페닐)-N'-(2-에톡시-5-t-부틸페닐)옥살산디아미드, N-(2-에틸페닐)-N'-(2-에톡시-페닐)옥살산디아미드, 2-에틸-2'-에톡시-옥시아닐리드(클라리안트사제 「SanduvorVSU」) 등의 질소 원자 상에 치환된 아릴기 등을 갖는 옥살산디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BASF사제 「Tinuvin12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 및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 및 벤트트리아졸 화합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중량% 이하이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이 0.2중량% 이상인 것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상기 중간막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및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페놀 골격을 갖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황계 산화 방지제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는 인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또는 인계 산화 방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 3'-t-부틸페놀)부티릭애시드글리콜에스테르 및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젠프로판산)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노닐페닐포스파이트, 비스(트리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 아인산 및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1-페닐옥시)(2-에틸헥실옥시)포스포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BASF사제 「IRGANOX 245」, BASF사제 「IRGAFOS 168」, BASF사제 「IRGAFOS 38」,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사제 「스밀라이저 BHT」, 사까이 가가꾸 고교사제 「H-BHT」, 및 BASF사제 「IRGANOX 1010」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0.03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방지제의 첨가 효과가 포화하므로,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2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안정제)
상기 중간막은,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안정제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이 장기간 사용되거나, 태양광에 노출되거나 해도, 변색이 한층 더 억제되어, 가시광선 투과율이 한층 더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광안정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변색을 한층 더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광안정제는, 힌더드아민 광안정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더드아민 광안정제로서는,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수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아민 광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변색을 한층 더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아민 광안정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힌더드아민 광안정제는,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킬기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아민 광안정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콕시기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아민 광안정제인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킬기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아민 광안정제로서는, BASF사제 「Tinuvin765」 및 「Tinuvin622SF」 및 ADEKA사제 「아데카스탭 LA-52」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콕시기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아민 광안정제로서는, BASF사제 「TinuvinXT-850FF」 및 「TinuvinXT-855FF」 및 ADEKA사제 「아데카스탭 LA-81」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수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아민 광안정제로서는, BASF사제 「Tinuvin770DF」 및 클라리안트사제 「Hostavin N24」등을 들 수 있다.
변색을 한층 더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광안정제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 이하이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2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하이다. 상기 광안정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변색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다른 성분)
상기 중간막, 상기 제1층,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은 각각, 필요에 따라, 커플링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금속염 이외의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중간막의 다른 상세)
상기 중간막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0.5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m 이하이다. 중간막이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경우에는, 일단부와 타단부의 거리는, 중간막의 길이 방향의 거리이다. 중간막이 정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일단부와 타단부의 거리는, 서로 대향하는 일단부와 타단부의 거리이다.
2층 이상의 구조 또는 3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인 경우에, 접합 유리의 차음 성능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상기 제1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용면의 관점, 및 차열성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투명성이 한층 더 양호해진다.
중간막의 두께를 T라 한다. 다층의 중간막의 경우에,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 돌출부를 한층 더 생기기 어렵게 하고, 또한 접합 유리의 투명성의 저하를 한층 더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62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T 이상, 바람직하게는 0.375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T 이하이다.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 돌출부를 한층 더 생기기 어렵게 하고, 또한 접합 유리의 투명성의 저하를 한층 더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의 각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62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T 이상, 바람직하게는 0.9375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의 각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다.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 돌출부를 한층 더 생기기 어렵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이 상기 제2층과 상기 제3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제2층과 상기 제3층과의 합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62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T 이상, 바람직하게는 0.9375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제2층과 상기 제3층과의 합계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은, 두께가 균일한 중간막이어도 되고, 두께가 변화하고 있는 중간막이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웨지형이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단층의 중간막의 경우에,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해서 압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다층의 중간막의 경우에, 예를 들어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서 각 층을 각각 형성한 후에, 얻어진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및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해서 공압출함으로써,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속적인 생산에 적합하기 위해서, 압출 성형하는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제2층과 상기 제3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제2층과 상기 제3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동일한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제2층과 상기 제3층이 동일한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양측의 표면 중 적어도 한 쪽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양측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립 엠보싱법, 엠보싱 롤법, 캘린더 롤법 및 이형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정량적으로 일정한 요철 모양인 다수의 요철 형상의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엠보싱 롤법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다른 상세)
상기 접합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과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도 포함된다. 상기 접합 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며,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각각, 유리판 또는 PET 필름이며,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중 적어도 한 쪽이,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트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판 유리 및 선입 판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를 대신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유리판인 경우에, 해당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PET 필름인 경우에, 해당PET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서, 적층체를 얻는다. 다음에, 예를 들어 얻어진 적층체를 압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백에 넣어 감압 흡인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 내지 110℃로 예비 접착해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얻는다. 이어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거나 해서, 약 120 내지 150℃ 및 1 내지 1.5㎫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시에, 제1층과 제2층과 제3층을 적층해도 된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이들 용도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차량용 또는 건축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의 앞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루프 유리 또는 백라이트용 유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중간막은, 자동차의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중간막은, 자동차에 있어서, 사이드 유리로서 사용되고, 상기 사이드 유리의 일부가, 직접 옥외에 노출되도록 사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용도로,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유리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을 억제하여, 접합 유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있어서, 사이드 유리, 루프 유리 또는 백라이트용 유리로서 사용된다. 사이드 유리는 시인되기 쉽다. 루프 유리는 태양광 등에 의해 변질되기 쉽다. 백라이트용 유리는, 백라이트에 의해 외관 결점이 시인되기 쉽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를 사이드 유리, 루프 유리 또는 백라이트용 유리로서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외관을 달성하여,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있어서, 윈드실드용 유리로서 사용되는 접합 유리이며, 상기 중간막과 차외측의 접합 유리 부재와의 접착면에 흑색 도장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폴리비닐부티랄(PVB) 수지에 관해서는, 부티랄화도(아세탈화도), 아세틸화도 및 수산기의 함유율은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ASTM D1396-92에 의해 측정한 경우도,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과 마찬가지 수치를 나타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부티랄화도 68몰%, 아세틸화도 1몰%, 수산기의 함유율 31몰%, 중량 평균 분자량 150,000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X))
부티랄화도 68몰%, 아세틸화도 1%, 수산기의 함유율 31몰%, 중량 평균 분자량 68,000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비교예 1)
중간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제작: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중간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100중량부
가소제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40중량부
얻어지는 중간막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자외선 차폐제(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얻어지는 중간막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산화 방지제(2,6-디-t-부틸-p-크레졸)
중간막의 제작:
중간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해서 압출함으로써, 단층의 중간막(두께 800㎛)을 제작했다.
접합 유리의 제작:
얻어진 중간막을, 세로 8㎝×가로 8㎝로 잘라냈다. 이어서, 2매의 클리어 유리(세로 8㎝×가로 7㎝×두께 2.5㎜)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넣고, 진공 라미네이터에서 90℃에서 30분간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적층체에 있어서, 클리어 유리로부터 비어져 나온 중간막 부분을 잘라 내어,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1)
단부에 광안정제 함유 시트를 사용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1의 중간막의 외주연 5㎜의 영역의 두께 방향의 한쪽의 표면에, 광안정제(BASF사제 「Tinuvin765」)을 포함하는 광안정제 함유 시트를 적층하여, 중간막을 얻었다. 얻어진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2)
단부를 전자선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1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전자선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전자선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3)
단부를 자외선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1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자외선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자외선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4)
단부를 열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1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열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열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5)
단부를 카르보디이미드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1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카르보디이미드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카르보디이미드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6)
단부를 실란 커플링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1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실란 커플링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실란 커플링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7)
단부를 이소시아네이트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1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이소시아네이트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8)
단부를 붕소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1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붕소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붕소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비교예 2)
제1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제작: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1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X) 100중량부
가소제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60중량부
얻어지는 중간막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자외선 차폐제(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얻어지는 중간막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산화 방지제(2,6-디-t-부틸-p-크레졸)
제2층 및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제작: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2층 및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100중량부
가소제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40중량부
얻어지는 중간막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자외선 차폐제(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얻어지는 중간막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산화 방지제(2,6-디-t-부틸-p-크레졸)
중간막의 제작:
제1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과, 제2층 및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공압출기를 사용해서 공압출했다. 제2층(두께 330㎛)/제1층(두께 100㎛)/제3층(두께 330㎛)의 적층 구조를 갖는 중간막(두께 760㎛)을 제작했다.
접합 유리의 제작:
얻어진 중간막을, 세로 8㎝×가로 8㎝로 잘라냈다. 이어서, 2매의 클리어 유리(세로 811㎝×가로 7㎝×두께 2.5㎜)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넣고, 진공 라미네이터에서 90℃에서 30분간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적층체에 있어서, 클리어 유리로부터 비어져 나온 중간막 부분을 잘라 내어,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9)
단부에 광안정제 함유 시트를 사용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2의 중간막의 외주연 5㎜의 영역의 두께 방향의 한쪽의 표면에, 광안정제(BASF사제 「Tinuvin765」)을 포함하는 광안정제 함유 시트를 적층하여, 중간막을 얻었다. 얻어진 중간막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10)
단부를 전자선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2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전자선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전자선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11)
단부를 자외선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2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자외선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자외선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12)
단부를 열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2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열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열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13)
단부를 카르보디이미드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2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카르보디이미드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카르보디이미드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14)
단부를 실란 커플링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2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실란 커플링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실란 커플링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15)
단부를 이소시아네이트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2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이소시아네이트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16)
단부를 붕소 가교 처리한 중간막의 예:
비교예 2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 붕소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을 스며들게 하고, 중간막의 단부를 붕소 가교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평가)
(1-1)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의 제작
광의 조사 시험은 스가 시껭끼사 제조, SX-75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얻어진 접합 유리(광의 조사 시험 전의 접합 유리)는 접합 유리의 한쪽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샘플 고정구에 고정했다. 고정된 접합 유리의 표면의 한쪽으로부터, 방사 조도 180W/㎡(방사 조도 측정 파장 300 내지 400㎚)의 크세논광 180W/㎡를, 블랙 패널 온도 83℃, 조내 온도 50℃ 및 습도 50%RH로 144시간 조사했다. 그 후, 상기 접합 유리를 깊이 15㎝의 수조를 사용해서 80℃의 순수에 24시간 침지하고, 23℃ 습도 50%의 환경에서 4시간 건조했다. 이 공정을 1사이클로 하여, 이 공정을 4사이클 행하였다.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를 얻었다.
(1-2)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의 제작
상기 제1 광조사 시험에 있어서의 상기 공정의 사이클수를, 4사이클로부터, 7사이클로만 변경한 제2 광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를 얻었다.
(2) 비((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비((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
상기 (1-1) 및 (1-2)에서 얻어진 제1, 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를 준비했다.
상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의 노출부 단부로부터 해당 단부를 갖는 단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서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클리어 유리에 접하는 층(제1층, 또는 제2, 제3층)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다. 또한, 상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의 노출부 단부로부터 해당 단부를 갖는 단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측(세로 방향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클리어 유리에 접하는 층(제1층, 또는 제2, 제3층)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다. 비((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를 구하였다.
상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의 노출부 단부로부터 해당 단부를 갖는 단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서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클리어 유리에 접하는 층(제1층, 또는 제2, 제3층)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다. 또한, 상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의 노출부 단부로부터 해당 단부를 갖는 단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측(세로 방향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클리어 유리에 접하는 층(제1층, 또는 제2, 제3층)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다. 비((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를 구하였다.
(3) 비((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 및 비((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
상기 (1-1) 및 (1-2)에서 얻어진 제1, 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를 준비했다.
상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의 노출부 단부로부터 해당 단부를 갖는 단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서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클리어 유리에 접하는 층(제1층, 또는 제2, 제3층)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다. 또한, 상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의 노출부 단부로부터 해당 단부를 갖는 단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클리어 유리에 접하는 층(제1층, 또는 제2, 제3층)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다. 비((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4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를 구하였다.
상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의 노출부 단부로부터 해당 단부를 갖는 단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서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클리어 유리에 접하는 층(제1층, 또는 제2, 제3층)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다. 또한, 상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의 노출부 단부로부터 해당 단부를 갖는 단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클리어 유리에 접하는 층(제1층, 또는 제2, 제3층)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다. 비((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7사이클 시험 후의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를 구하였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으로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폴리스티렌 환산으로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분자량 기지의 폴리스티렌 표준 시료의 GPC 측정을 행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 시료(쇼와 덴꼬사제 「Shodex Standard SM-105」)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 1,270, 3,180, 6,940, 21,800, 52,500, 139,000, 333,000, 609,000, 1,350,000, 2,700,000, 3,900,000의 11시료를 사용했다. 각각의 표준 시료 피크의 피크 톱이 나타내는 용출 시간에 대하여 분자량을 플롯하여 얻어지는 근사 직선을 검량선으로서 사용했다. 항온항습실(습도 30%(±3%), 온도 23℃)에 1개월 방치한 중간막을 사용했다. 다층의 중간막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항온항습실(습도 30%(±3%), 온도 23℃)에 1개월 방치한 다층 중간막으로부터 표면층(상기 제2, 제3층)과 중간층(상기 제1층)을 박리하고, 박리된 제1층(중간층)을 N-메틸-2-피롤리돈(NMP)에 용해시켜서, 0.1중량%의 용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용액을 GPC 장치에 의해 분석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을 측정했다. GPC 장치로서, GPC 장치(Shodex제 GPC 101 「Ditector: RI-71S, 칼럼: GPC LF-G(Shodex사제) 1개와 GPC LF-804(Shodex사제) 2개를 직렬로 접속」)를 사용했다. 이동층 10mM LiBr을 더한 N-메틸피롤리돈, 유속 0.5ml/분, 칼럼 온도 40℃, 샘플 용해 농도: 0.2중량%, 인젝션양: 100μl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을 분석했다.
(4) 제1,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의 단부에서의 중간막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 용이함
상기 (1-1)에서 얻어진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를 준비했다. 이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접합 유리에서는, 이하의 공정이 4사이클 행해지고 있다.
공정:
얻어진 접합 유리(광의 조사 시험 전의 접합 유리)의 일방측으로부터, 크세논광 180W/㎡를, 블랙 패널 온도 83℃, 조내 온도 50℃ 및 습도 50%RH로 144시간 조사한다. 그 후, 상기 접합 유리를 깊이 15㎝의 수조를 사용해서 80℃의 순수에 24시간 침지하고, 23℃ 습도 50%의 환경에서 4시간 건조한다.
상기 공정을 7사이클까지 증가시키고, 7사이클까지 돌출부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관찰했다. 돌출부가 발생한 사이클수로부터, 접합 유리의 단부에서의 중간막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 용이함을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접합 유리의 단부에서의 중간막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발생 용이함의 판정 기준]
○○: 7사이클 후에,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 중간막에 돌출부가 발생하지 않았다
○: 4사이클 후에,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 중간막에 돌출부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5사이클 또는 6사이클 후에,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 중간막에 돌출부가 발생하였다
×: 4사이클 후에,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 중간막에 돌출부가 발생하였다
상세 및 결과를 하기의 표 1,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1 : 중간막
1a : 제1 표면
1b : 제2 표면
2 : 제1층
2a : 제1 표면
2b : 제2 표면
3 : 제2층
3a : 외측의 표면
4 : 제3층
4a : 외측의 표면
11 : 접합 유리
21 : 제1 접합 유리 부재
22 : 제2 접합 유리 부재
31 : 중간막
31a : 제1 표면
31b : 제2 표면
41 : 접합 유리

Claims (13)

  1.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이며,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고,
    하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기의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가 0.5를 초과하는 접합 유리.
    제1 광의 조사 시험: 상기 접합 유리에, 크세논광을, 블랙 패널 온도 83℃, 조내 온도 50℃ 및 습도 50%RH로 144시간 조사한 후, 상기 접합 유리를 깊이 15㎝ 수조를 사용해서 80℃의 순수에 24시간 침지하고, 23℃ 습도 50%의 환경에서 4시간 건조하는 공정을 행한다. 상기 공정을 1사이클로 하여, 상기 공정을 4사이클 행한다. 크세논광의 조사 시에, 방사 조도는 180W/㎡이고, 방사 조도 측정 파장은 300 내지 400㎚이고, 이너 필터는 석영, 및 아우터 필터는 석영: #275(컷오프 275㎚)이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측으로부터 크세논광을 조사한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가시광선 투과율이 다른 경우에,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쪽의 접합 유리 부재측으로부터 크세논광을 조사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의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가 0.7을 초과하는 접합 유리.
    제2 광의 조사 시험: 상기 접합 유리에, 크세논광을, 블랙 패널 온도 83℃, 조내 온도 50℃ 및 습도 50%RH로 144시간 조사한 후, 상기 접합 유리를 깊이 15㎝ 수조를 사용해서 80℃의 순수에 24시간 침지하고, 23℃ 습도 50%의 환경에서 4시간 건조하는 공정을 행한다. 상기 공정을 1사이클로 하여, 상기 공정을 7사이클 행한다. 크세논광의 조사 시에, 방사 조도는 180W/㎡이고, 방사 조도 측정 파장은 300 내지 400㎚이고, 이너 필터는 석영, 및 아우터 필터는 석영: #275(컷오프 275㎚)이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측으로부터 크세논광을 조사한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가시광선 투과율이 다른 경우에,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쪽의 접합 유리 부재측으로부터 크세논광을 조사한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2㎜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의, 상기 제1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가 1.5 이하인 접합 유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1㎜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의, 상기 제2 광의 조사 시험 후의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거리 70㎜의 위치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상기 접합 유리 부재에 접하는 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가 1.4 이하인 접합 유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유리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의 측면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 접합 유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이,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이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거나, 또는 착색되어 있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 접합 유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이,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층이, 상기 제1층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이,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3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3층이, 상기 제1층의 상기 제1 표면과 반대인 제2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또는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인 접합 유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에 있어서, 윈드실드용 유리로서 사용되는 접합 유리이며, 상기 중간막과 차외측의 접합 유리 부재와의 접착면에 흑색 도장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접합 유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에 있어서, 사이드 유리, 루프 유리 또는 백라이트용 유리로서 사용되는 접합 유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자동차에 있어서, 사이드 유리로서 사용되고,
    상기 사이드 유리의 일부가, 직접 옥외에 노출되도록 사용되는 접합 유리.
KR1020197020523A 2017-04-28 2018-03-30 접합 유리 KR102542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0385 2017-04-28
JPJP-P-2017-090385 2017-04-28
PCT/JP2018/014008 WO2018198677A1 (ja) 2017-04-28 2018-03-30 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314A true KR20190142314A (ko) 2019-12-26
KR102542806B1 KR102542806B1 (ko) 2023-06-14

Family

ID=6391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523A KR102542806B1 (ko) 2017-04-28 2018-03-30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20425B2 (ko)
EP (1) EP3617171A4 (ko)
JP (2) JP6943849B2 (ko)
KR (1) KR102542806B1 (ko)
CN (1) CN110650929B (ko)
TW (1) TWI827541B (ko)
WO (1) WO2018198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0929B (zh) * 2017-04-28 2023-04-07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
KR102453219B1 (ko) * 2020-09-01 2022-10-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수지층, 접합용 중간막, 광투과적층체 및 이동수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7454A (ja) 2002-05-08 2003-11-19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20120052310A1 (en) 2010-08-26 2012-03-01 Kuraray Europe Gmbh Plasticizer-Containing Films Based On Polyvinyl Acetal Having Selective Permeability For UV Radiation
KR20160140581A (ko) * 2014-03-28 2016-12-0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9078A (en) * 1988-11-07 1991-03-12 Monsanto Company Reducing blocking and increasing flow of plasticized polyvinyl butyral sheet
DE4323897A1 (de) * 1993-07-16 1995-01-19 Hoechst Ag Plastifizierte Polymerformkörper aus modifizierten Polyvinylbutyralen
EP0636471B1 (en) * 1993-07-28 2001-03-21 Asahi Glass Company Ltd. Method for producing of a laminated glass
JP4076730B2 (ja) 2000-03-02 2008-04-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100458923B1 (ko) 2000-03-02 2004-12-03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2009035444A (ja) * 2007-08-01 2009-02-19 Nippon Sheet Glass Co Ltd ウインドシールドおよびウインドシールド用中間膜
JP2010111563A (ja) 2008-10-08 2010-05-20 Fujifilm Corp 合わせガラス貼り合せ材及び合わせガラス
US20100227135A1 (en) * 2009-03-06 2010-09-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ght weight glass laminates
CN105473528A (zh) 2013-09-27 2016-04-06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EP3192778B1 (en) * 2014-09-11 2019-05-29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EP3279160A4 (en) 2015-03-31 2018-12-19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WO2018182032A1 (ja) * 2017-03-31 2018-10-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CN110650929B (zh) 2017-04-28 2023-04-07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7454A (ja) 2002-05-08 2003-11-19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20120052310A1 (en) 2010-08-26 2012-03-01 Kuraray Europe Gmbh Plasticizer-Containing Films Based On Polyvinyl Acetal Having Selective Permeability For UV Radiation
JP2012046748A (ja) * 2010-08-26 2012-03-08 Kuraray Europe Gmbh Uv線に対して選択的透過性を有する、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をベースとする可塑剤含有フィルム
KR20160140581A (ko) * 2014-03-28 2016-12-0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55286A1 (en) 2020-02-20
KR102542806B1 (ko) 2023-06-14
TWI827541B (zh) 2024-01-01
US11420425B2 (en) 2022-08-23
JPWO2018198677A1 (ja) 2020-03-12
JP2022000409A (ja) 2022-01-04
TW201843125A (zh) 2018-12-16
CN110650929A (zh) 2020-01-03
WO2018198677A1 (ja) 2018-11-01
EP3617171A4 (en) 2021-01-20
JP6943849B2 (ja) 2021-10-06
EP3617171A1 (en) 2020-03-04
CN110650929B (zh)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802B1 (ko) 접합 유리
KR20160020425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360711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2022000409A (ja) 合わせガラス
KR20200016824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542811B1 (ko) 접합 유리
KR102524218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N107406315B (zh)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KR102446085B1 (ko) 열가소성 수지막 및 유리판 함유 적층체
KR20220116427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20110725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N111132948A (zh) 夹层玻璃
WO2019065837A1 (ja) 合わせ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