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667A -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수반하는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수반하는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667A
KR20190141667A KR1020197030392A KR20197030392A KR20190141667A KR 20190141667 A KR20190141667 A KR 20190141667A KR 1020197030392 A KR1020197030392 A KR 1020197030392A KR 20197030392 A KR20197030392 A KR 20197030392A KR 20190141667 A KR20190141667 A KR 20190141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lactobacillus
composition
amino acid
bifidobacter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니카 안젤라 셀라
사라 엠. 커티스
조나탄 패트릭 뢰프케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신테시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신테시스 인크. filed Critical 마이크로신테시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14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5Proteins from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lubricating compositions
    • A61L29/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3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Lactobacillus (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5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defined sequ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대상체에서 장내 감염 또는 비-장내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로부터 유래된 펩티드가 제공된다. 상기 펩티드는 또한 대상체에서 장내 감염 또는 비-장내 감염의 병독성의 감소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티드의 조성물 및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의 배양물 분획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수반하는 조성물 및 방법
본 발명은 프로바이오틱 분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양태에서 프로바이오틱 분자,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프로바이오틱 분자의 다양한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종에 의해 생성되는 작은 바이오펩티드는 장출혈성 대장균(Escherichia coli) 감염에 대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Medellin-Pena et al., 2009]. 상기 바이오펩티드는 군체형성 및 정족수 감지(quorum sensing)에 관여하는 대장균 유전자의 전사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하향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주 상피 세포에 대한 대장균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었다[Medellin-Pena et al., 2009]. 바이오펩티드는 대장균의 III형 분비 시스템(type III secretion system; T3SS)에 영향을 미쳤고, 정족수 감지(quorum sensing; QS) 신호전달 시스템을 방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독성 유전자(virulence gene)의 하향 조절을 초래하였음이 입증되었다[Medellin-Pena et al., 2007, Medellin-Pena and Griffiths, 2009].
국제 특허 출원 공개 WO 2009/155711은 살모넬라(Salmonella) 또는 대장균과 같은 해로운 병원성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락토바실러스, 락토코커스(Lactococc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또는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의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로부터 유래된 단리되고 특성화된 분자를 기재한다. 상기 단리된 분자는 또한 포유동물의 위장관에 프로바이오틱스를 제공하는 영양 또는 의료 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WO 2015/021530은 병원성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로부터 유래된 분자를 기재한다. 단리된 분자는 또한 포유동물의 위장관에 프로바이오틱스를 제공하는 영양 또는 의료 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결함 중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거나 완화시키고/시키거나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대안적인 요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락트산 탈수소효소 세포 독성 분석을 나타낸다. 무세포 상청액에 의한 세포 독성 억제의 용량 반응 곡선. 오차 막대는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도 2는 락트산 탈수소효소 세포 독성 분석을 나타낸다. 무세포 상청액에 의한 세포 독성 억제의 용량 반응 곡선. 오차 막대는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발명의 개요
일 양태에 따르면, 아미노산 서열 MALPPK를 포함하는 펩티드가 제공되며, 여기서 펩티드는 19개 미만의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다.
일 양태에 따르면, 아미노산 서열 MALPPK로 이루어진 펩티드가 제공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아미노산 서열 CVLPPK를 포함하는 펩티드가 제공되며, 여기서 펩티드는 68개 미만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아미노산 서열 CVLPPK로 이루어진 펩티드가 제공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아미노산 서열 HLLPLP를 포함하는 펩티드가 제공되며, 여기서 펩티드는 9개 미만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아미노산 서열 HLLPLP로 이루어진 펩티드가 제공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서열 XX[L 또는 I]PPK를 포함하는 펩티드가 제공되며, 여기서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소수성 아미노산을 나타내고, 펩티드는 19개 미만의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다.
일 양태에 따르면, 서열 XX[L 또는 I]PPK로 이루어진 펩티드가 제공되며, 여기서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소수성 아미노산을 나타낸다.
일 양태에 따르면, 서열 X1X2[L 또는 I]PPK로 이루어진 펩티드가 제공되며, 여기서 X1은 N, C, Q, M, S 및 T로부터 선택되고, X2는 A, I, L 및 V로부터 선택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LPVPK, ALPK, EVLNCLALPK, LPLP, HLLPLPL, YVPEPF, KYVPEPF, 및 EMPFKPYPVEP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가 제공되며, 여기서 펩티드는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또는 20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펩티드는 락토바실러스, 락토코커스, 스트렙토코커스, 비피도박테리움,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로부터 유래된다.
일 양태에서, 락토바실러스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La-5),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양태에서, 락토코커스는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이다.
일 양태에서, 비피도박테리움은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및 비피도박테리움 크루디락티스(Bifidobacterium crudilactis)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양태에서, 스트렙토코커스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이다.
일 양태에서, 펩티드는 항바이러스제, 당 공급원, 식용 식품, 영양 보충제 및 섭취가능한 액체 중 하나 이상과 조합된다.
일 양태에서, 펩티드는 무세포 상청액 또는 이의 분획으로부터 농축된다.
일 양태에서, 펩티드는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된 것과 같은, 건조된 배양물 분획으로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건조된 배양물 분획은 무세포 상청액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조성물은 식품, 음료 제품, 건강 제품, 의약 또는 영양 보충제이다.
일 양태에서, 조성물은 펩티드가 유래된 살아있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조성물은 펩티드가 유래된 박테리아 이외의 살아있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조성물 중 펩티드는 정제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대상체에서 감염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 및/또는 대상체에서 감염의 병독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본원에 기재된 펩티드 또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감염은 장내 감염이다.
일 양태에서, 감염은 비-장내(non-enteric) 감염이다.
일 양태에서, 감염은 요로 감염, 질 감염, 호흡기 감염, 위 감염, 바이오필름-생성 감염, 유방염, 피부 감염 및 구강 감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펩티드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MRS의 항생제 내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펩티드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MRS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펩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을 예방 또는 파괴 및/또는 침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펩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펩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장내 병원체의 대상체의 조직에 대한 부착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펩티드를 포함하는 불활성 물체가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불활성 물체는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포함하는 스텐트, 카테터 또는 상처 드레싱이며, 상기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일정 기간에 걸쳐 물체로부터 방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 주어진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위장 감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왔다. 이론에 의해 구속받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국제 특허 출원 공개 WO 2009/155711 및 WO 2015/021530에 기재된 분자는 III형 분비 시스템(T3SS) 병원체의 정족수 감지(QS) 시스템을 방해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전 연구는 프로바이오틱 분자가 다양한 장내 병원체에 대한 독성 유전자의 하향 조절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엘. 아시도필러스 균주의 무세포 추출물은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Clostridium difficile)에서 정족수 감지를 방해할 수 있었고, 씨. 디피실리 독성 유전자를 하향 조절할 수 있었다[Yun et al., 2014]. 락토바실러스 및 비피도박테리움 균주의 무세포 추출물은 캄필로박터 제주니(Camphylobacter jejuni)의 성장을 억제하고, flaA sigma 28 프로모터를 하향 조절하며, 캄필로박터 제주니에서 ciaB 및 flaA 유전자의 발현을 하향 조절할 수 있었다[Ding et al., 2005, Mundi et al., 2013]. 락토바실러스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또한 살모넬라의 병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주로 T3SS에 수반되는 독성 유전자를 표적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harma 2014]. 2015년에 수행된 현장 시험은 젖을 뗀 새끼 돼지로 생체 내에서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시험했으며, 설사의 중증도 및 사례를 감소시키는 데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University of Guelph/MicroSintesis, 2015].
이제 이러한 작용 방식이 또한 장내 병원체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병원체 및 감염에서 정족수 감지에 의해 조절되는 독성 유전자의 영향을 하향 조절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추가적으로, 또한 장내 또는 비-장내 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및/또는 이와 같은 감염의 병독성의 감소에 효과적인 신규 펩티드가 확인되었다. 또한, 양태에서 이들 펩티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약물 내성을 극복할 수 있고, 다른 양태에서는 약물 내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른 양태에서는 약물 내성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된 감염의 병독성을 치료 및/또는 예방 및/또는 감소시킬 수 있고, 다른 양태에서는 박테리아 및/또는 약물 내성 박테리아에 대한 항생제의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다.
정의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문헌[Singleton et al., Dictionary of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2nd ed., J. Wiley & Sons (New York, N.Y. 1994)];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s Harbor Press (Cold Springs Harbor, NY 1989)]을 참조하며, 이들 각각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다음의 용어들이 하기에 정의되어 있다.
"유래된"이란, 프로바이오틱 분자가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는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배양 배지 내로 직접 분비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분자는, 예를 들어 더 긴 펩티드로부터 절단됨으로써, 배양 배지 내에서 간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서열의 "변이체"는 천연 서열 내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삽입, 결실, 변형 및/또는 치환에 의해 천연 또는 야생형 서열의 서열과 상이한 펩티드 서열을 갖는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서열이다. 이와 같은 변이체는 일반적으로 천연 서열과 100% 미만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변이체는 상응하는 자연 발생 서열의 서열과 적어도 약 70%의 서열 동일성,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75%, 보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80%, 훨씬 더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85%, 훨씬 더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90%, 훨씬 더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95%, 96%, 97%, 98%, 또는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질 것이다. 변이체는 상응하는 천연 서열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는 임의의 길이의 뉴클레오티드 단편이다. 변이체는 또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천연 서열의 말단 또는 내부에 첨가되는 서열을 포함한다. 변이체는 또한 다수의 아미노산이 결실되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서열을 포함한다.
"서열 동일성 백분율"은 본원에서, 필요한 경우, 최대 서열 동일성 백분율을 달성하기 위해, 서열 동일성의 일부로서 임의의 보존적 치환을 고려하지 않으면서 서열을 정렬하고 갭을 도입한 후 관심의 서열 중 잔기와 동일한 후보 서열 중 아미노산 잔기의 백분율로 정의된다. 후보 서열로의 5', 3', 또는 내부 연장, 결실 또는 삽입 중 어느 것도 서열 동일성 또는 상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정렬을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BLAST"와 같이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다.
본원의 목적을 위하여 "활성인" 또는 "활성"은 천연 또는 자연 발생 프로바이오틱 분자의 생물학적 활성을 지칭하며, 여기서 "생물학적" 활성은 천연 또는 자연 발생 프로바이오틱 분자에 의해 야기된 생물학적 기능(억제 또는 자극)을 지칭한다.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와 함께 사용될 때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또는 "생물학적 활성"은 천연 프로바이오틱 분자 또는 서열의 이펙터 기능을 나타내거나 공유하는 프로바이오틱 분자 또는 아미노산 서열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동물에서 감염을 예방, 억제, 또는 치료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다.
변이체 서열과 함께 사용될 때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또는 "생물학적 활성"은 변이체 서열이 모 서열의 이펙터 기능을 나타내거나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변이체 서열의 생물학적 활성은 모 서열과 비교하여 증가하거나, 감소하거나, 또는 동일한 수준일 수 있다.
"단리된"은 공급원으로부터 정제되거나 재조합 또는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정제된 분자를 지칭한다. 정제된 프로바이오틱 분자에는 다른 아미노산이 실질적으로 없다.
본원에서 "실질적으로 없는"은 다른 공급원 아미노산에 의한 오염이 약 5% 미만, 전형적으로 약 2% 미만, 보다 전형적으로 약 1% 미만, 훨씬 더 전형적으로 약 0.5% 미만, 가장 전형적으로 약 0.1% 미만임을 의미한다. "본질적으로 순수한" 프로바이오틱 분자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약 90 중량%의 프로바이오틱 분자,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95 중량%, 보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90 중량%, 훨씬 더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95 중량%, 훨씬 더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99 중량%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 또는 "요법"은 유익하거나 원하는 임상 결과를 얻기 위한 접근법이다. 본원에 기재된 목적을 위해, 유익하거나 원하는 임상 결과는, 감지 가능한지 감지 가능하지 않은지 여부에 관계 없이, 증상의 완화, 질환 정도의 감소, 질환 상태의 안정화(즉, 악화시키지 않음), 질환 진행의 지연 또는 둔화, 질환 상태의 개선 또는 완화, 및 차도(부분적이든 전체적이든 관계 없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치료" 및 "요법"은 또한 치료 또는 요법을 받지 않은 경우 예상 생존과 비교하여 생존 연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치료" 또는 "요법"은 장애의 병리를 변경하려는 의도로 실행된 중재이다. 구체적으로, 치료 또는 요법은 감염과 같은 질환 또는 장애의 병리를 직접적으로 예방하거나, 늦추거나 또는 다르게는 감소시킬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치료제에 의한 치료 또는 요법에 감염이 더 민감한 상태가 되게 만들 수 있다.
용어 "치료적 유효량", "유효량" 또는 "충분량"은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을 포함한 대상체에게 투여될 때, 원하는 결과를 얻기에 충분한 양, 예를 들어 감염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양을 의미한다.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의 유효량은 대상체의 질환 상태, 연령, 성별, 및 체중과 같은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투여량 또는 치료 요법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최적의 치료 반응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치료적 유효량으로의 대상체의 치료 요법은 단일 투여로 이루어지거나, 대안적으로 일련의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기간의 길이는 질환의 중증도 및/또는 부위, 대상체의 연령, 제제의 농도, 제제에 대한 환자의 반응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다르다. 치료에 사용되는 제제의 효과적인 투여량은 특정 치료 요법의 과정에 걸쳐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투여량의 변경은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진단 분석에 의해 발생하고 명백해질 수 있다.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감염과 같은 해당 질환 또는 장애에 대한 통상적인 요법으로의 치료 전, 동안 또는 후에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대상체"는 조류, 어류, 무척추동물, 양서류, 포유동물, 및 파충류를 포함한 동물계의 임의의 구성원을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대상체는 인간 또는 비-인간 척추동물이다. 비-인간 척추동물은 가축, 반려동물, 및 실험실 동물을 포함한다. 비-인간 대상체는 또한 구체적으로 비-인간 영장류뿐만 아니라 설치류를 포함한다. 비-인간 대상체는 또한 구체적으로, 가금류, 닭, 말, 소, 돼지, 염소, 개, 고양이, 기니피그, 햄스터, 밍크, 토끼, 갑각류, 및 연체동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형적으로 대상체는 가금류 또는 포유동물이다. 용어 "포유동물"은 인간, 다른 고등 영장류, 가축 및 농장 동물, 및 개, 고양이, 소, 말, 양, 돼지, 염소, 토끼 등과 같은 동물원, 스포츠, 또는 애완 동물을 포함하여, 포유동물로 분류된 임의의 동물을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와 "조합"한 투여는 임의의 순서로 동시(병행) 및 연속적 투여를 포함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조합이 약학적 용도를 위한 제형의 나머지 성분과 상용성이고, 일반적으로 미국 식품 의약품국(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 의해 반포된 것들을 포함하여, 확립된 정부 표준에 따라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힌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담체"는 이용된 투여량 및 농도에서 이에 노출된 세포 또는 대상체에 대하여 비독성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종종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수성 pH 완충 용액이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예는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및 다른 유기산과 같은 완충제;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한 항산화제; 저분자량(약 10개 미만의 잔기) 폴리펩티드;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단백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친수성 폴리머;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또는 리신과 같은 아미노산; 글루코스, 만노스, 및 덱스트린을 포함한 단당류, 이당류, 및 다른 탄수화물; EDTA와 같은 킬레이트제; 만니톨 및 소르비톨과 같은 당알코올; 나트륨과 같은 염-형성 반대이온; 및/또는 TWEEN™,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PLURONICS™와 같은 비이온성 게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리포좀"은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와 같은 제제를 대상체, 예컨대 포유동물에게 전달하는 데 유용한 다양한 유형의 지질, 인지질 및/또는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작은 소포이다. 리포좀의 구성요소는 생물학적 막의 지질 배열과 유사한 이중층 형성으로 일반적으로 배열된다.
본 출원의 범주를 이해함에 있어서, 관사 "a", "an", "the", 및 "상기"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및 이의 파생어는 언급된 특징, 요소, 구성요소,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다른 언급되지 않은 특징, 요소, 구성요소,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닌 개방형 용어인 것으로 의도된다. 전술한 내용은 또한 용어 "포함하는(including)", "갖는(having)" 및 이들의 파생어와 같은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단어에도 적용된다.
특정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 임의의 양태는 또한 "~로 이루어지는" 또는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로 이루어지는"은 폐쇄형 또는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고,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은 명시된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첨가된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공정의 결과로서 존재하는 피할 수 없는 물질인 불순물로서 존재하는 물질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어구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을 사용하여 정의된 조성물은 임의의 공지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부형제, 희석제, 담체 등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한 세트의 구성요소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은 5 중량% 미만, 전형적으로 3 중량% 미만, 보다 전형적으로 1 중량% 미만의 명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된 임의의 구성요소는 단서 또는 부정적 제한에 의해 청구된 발명에서 명시적으로 배제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양태에서, 장내 박테리아 및/또는 장내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장내 감염은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및 방법으로부터 명시적으로 배제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분자는 박테리오신이 아니다.
추가적으로, 본원에 제공된 모든 범위는 명시적으로 언급되거나 언급되지 않거나 관계 없이 범위의 끝 및 임의의 중간 범위 지점을 또한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약" 및 "대략"과 같은 정도의 용어는 최종 결과가 크게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수식된 용어의 합리적인 양의 편차를 의미한다. 이러한 정도의 용어는 이러한 편차가 수식하는 단어의 의미를 부정하지 않으면 수식된 용어의 적어도 ± 5%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분자 및 조성물
본 발명은,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및 대상체에서 감염, 전형적으로 비-장내 감염을 최소화, 억제,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는 박테리아의 추가 배양물 분획, 예컨대 무세포 상청액으로부터 단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제공한다. 특히, 분자(들)는 에어로코커스(Aerococcus), 바실러스(Bacillus),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비피도박테리움,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푸소박테리움(Fusobactehum), 락토바실러스, 락토코커스, 류코노스톡(Leuconostoc), 멜리소코커스(Melissococcus),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페디오코커스, 펩토스트렙토코커스(Peptostrepococcus),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스트렙토코커스 및 바이셀라(Weissella) 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박테리아 종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구체적인 프로바이오틱 활성 락트산 박테리아 종은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엔테로코커스 페시움(Enterococcus faeci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우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시로타(Lactobacillus casei Shirota),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아종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casei subsp.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아종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subsp. 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actobacillus crispatus),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아종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ckii subsp. lacti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아종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파르시미니스(Lactobacillus farciminu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아종 파라카세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락토바실러스 사케(Lactobacillus sake), 락토코커스 락티스,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크레모리스(Lactocoocus lactis subsp. cremoris), 스트렙토코커스 페칼리스, 스트렙토코커스 페시움,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Streptococcus salivarius)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를 포함한다. 추가 예는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를 포함한 프로바이오틱 활성인 비피도박테리움 종을 포함한다.
추가 박테리아 종은 프로바이오틱 활성인 페니바실러스 라우투스(Paenibacillus lautus),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마이크로코커스 바리안스(Micrococcus varians), 페디오코커스 아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페디오코커스 아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페디오코커스 할로필러스(Pediococcus halophilus), 스타필로코커스 카르노서스(Staphylococcus carnosus) 및 스타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Staphylococcus xylosus)뿐만 아니라, EP 공개 0576780에 기재되고, US5908646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C-705, DSM 7061로 기재된 미생물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아종 람노서스 균주 LC-705, DSM 7061(이는 단독으로 또는 피로피오니박테리움 속 또는 락토바실러스 카세이의 또 다른 균주의 박테리아와 함께 사용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분자를 생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바이오특 박테리아 균주는,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균주 DSM15954,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아종 인판티스 균주 DSM15953,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아종 롱검 균주 DSM15955, 엔테로코커스 페시움 균주 DSM15958,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균주 DSM13241(La-5),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delbrueckii) 아종 불가리쿠스 균주 DSM15956,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균주 DSM14998,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균주 DSM14997,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 DSM14797,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균주 DSM15957,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ATCC55845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ATCC55826으로 이루어진 균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전형적인 양태에서, 분자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5)뿐만 아니라, 페디오코커스의 균주, 비피도박테리움의 균주(예컨대,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및 비피도박테리움 크루디락티스,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및 또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락토코커스 락티스,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로부터 유래된다.
이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비-장내 병원체에 대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내 및 비-장내 병원체에 대하여 효과적인 신규 분자가 확인되었다.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국제 특허 출원 공개 WO 2009/155711 및 WO 2015/021530에 기재된 분자를 포함하며, 이들 출원은 각각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양태에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온도 저항성(가열, 냉동 및 해동되어도 여전히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이고, 냉동된 상태로 장기간(2년 초과) 동안 안정적이며, 대량으로(예를 들어, 약 2 mg/L)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고, 동결건조 및/또는 분무건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건조될 수 있는 소분자, 전형적으로는 단백질성 물질(proteinaceous)이다. 전형적으로, 분자는 펩티드이다.
분자는 임의의 유형의 동물 및 인간과 같은 대상체에게 투여하기 위해 다양한 물질로 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자는 동물 또는 인간 소비를 위한 임의의 유형의 식품, 영양 보충제 또는 음료에 혼입될 수 있다.
치료제로서,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동물 또는 인간에게 감염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치료 또는 예방으로서, 치료는 원하는 다른 요법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전체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의 사용에 추가적으로 조성물 및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분자가 배양 배지에서 치료적 유효량으로 생성되도록 박테리아가 배양되고/되거나 사용된다면, 전체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양태에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5)와 같은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로부터 유래되며, 여기서 분자는 아미노산 서열 MALPPK, CVLPPK, HLLPLP, 및 LKPTPEG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분자는 아미노산 서열 MALPPK, CVLPPK, HLLPLP, 및 LKPTPEG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분자의 활성이 실질적으로 감소되지 않는 한, 이들 서열은 결실, 치환 또는 삽입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당업자는 이해한다. 예를 들어, 서열은 XX[L 또는 I]PPK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X는 소수성 아미노산을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서열은 X1X2[L 또는 I]PPK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X1은 N, C, Q, M, S, 및 T로부터 선택되고, X2는 A, I, L, 및 V로부터 선택된다.
서열은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삽입, 치환, 또는 결실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분자는 추가로 글리코실화, 비글리코실화(unglycosylation), 유기 및 무기 염으로 변경되고 공유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생체 내 반감기를 증가시키도록 변형된, 예를 들어 PEG화된 분자가 포함된다. 본원에 기재된 분자에 대한 가능하지만 비제한적인 변형은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결실 또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첨가와 함께 아미노산의 치환의 조합을 포함하는 변형을 포함한다.
일반화된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분자는 단독으로 또는 조성물 내에서 치료적 유효량으로, 그리고 수용자의 감염 상태/건강, 연령, 성별, 및 체중과 같은 인자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투여 요법은 최적의 치료 반응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주치의 또는 수의사의 재량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회로 분할된 용량이 매일 또는 주기적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고/거나, 용량은 치료 상황의 긴급성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투여를 위한 분자의 양은 투여 경로, 투여 시간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개별 대상체의 반응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적합한 투여 경로는, 예를 들어 국소, 경구, 직장 또는 비경구(예를 들어, 정맥내, 피하 또는 근육내) 경로를 통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분자는 지속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폴리머에 혼입될 수 있고, 폴리머는 예를 들어 감염 부위에서 전달이 요구되는 곳 부근에 이식되거나, 폴리머는 예를 들어 피하 또는 근육내에 이식되거나, 정맥내 또는 복강내로 전달되어 본원에 기재된 분자의 전신 전달을 초래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분자는, 예를 들어 정제, 캡슐, 로젠지, 사쉐, 용액, 현탁액, 에멀젼, 분말, 에어로졸, 좌제, 스프레이, 파스티유(pastille), 연고, 크림, 페이스트, 폼, 젤, 탐폰, 페서리, 과립, 볼루스, 구강 세정제, 또는 경피 패치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분자는 무세포 상청액으로서 투여될 수 있으며, 이는 양태에서 무세포 상청액 농축물이다. 농축물은 액체 또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제형은 구강, 직장, 비강, 흡입, 국소(피부, 경피, 협측 및 설하를 포함함), 질, 비경구(피하, 근육내, 정맥내, 피내, 안내, 기관내, 및 경막외를 포함함), 유방내, 또는 흡입 투여에 적합한 것을 포함한다. 제형은 단위 투여 형태로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고, 통상적인 제약 기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법은 활성 성분 및 약학적 담체(들) 또는 부형제(들)를 회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형은 활성 성분을 액체 담체 또는 미분된 고체 담체와 또는 둘 다와 균일하고 친밀하게 회합시킨 다음, 제품을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각각 미리 결정된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사쉐 또는 정제와 같은 개별 단위; 분말 또는 과립; 수성 액체 또는 비수성 액체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수중유 액체 에멀젼 또는 유중수 에멀젼 등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정제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조 성분과 함께 압축 또는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압축 정제는, 선택적으로 결합제,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보존제, 표면 활성제 및/또는 분산제와 혼합된,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자유 유동 형태인 본원에 기재된 분자를 적합한 기계에서 압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성형된 정제는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적신 분말 화합물의 혼합물을 적합한 기계에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정제는 선택적으로 코팅되거나 스코어링될 수 있으며, 내부의 활성 성분의 서방 또는 제어된 방출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구강 내 국소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가향 베이스, 전형적으로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래거캔스에 성분을 포함하는 로젠지; 불활성 베이스, 예컨대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에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파스티유; 및 적합한 액체 담체에 투여될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제를 포함한다.
피부에 국소 투여하기에 적합한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에 투여될 성분을 포함하는 연고, 크림, 젤, 또는 페이스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국소 전달 시스템은 투여될 성분을 함유하는 경피 패치이다.
직장 투여를 위한 제형은, 예를 들어 코코어 버터 또는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적합한 베이스를 갖는 좌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담체가 고체인 비강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코 근처에 유지된 분말 용기로부터 비강을 통한 빠른 흡입에 의해 투여되는 입자 크기, 예를 들어 20 내지 500 미크론 범위의 거친 분말을 포함한다. 담체가 액체인, 예를 들어 비강 스프레이 또는 비강 점적액으로 투여하기에 적합한 제형은 활성 성분의 수성 또는 유성 용액을 포함한다.
질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활성 성분에 추가적으로 당업계에 적절한 것으로 공지된 담체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는 페서리, 탐폰, 크림, 젤, 페이스트, 폼 또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흡입에 적합한 제형은 활성 성분에 추가적으로 당업계에 적절한 것으로 공지된 담체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는 미스트, 더스트, 분말 또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산화방지제, 완충제, 정균제 및 제형을 의도된 수용자의 혈액과 등장성으로 만드는 용질을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주사 용액; 및 현탁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현탁액을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저-미크론(low-micron), 또는 나노미터(예를 들어, 평균적인 단면에서 2000 나노미터 미만, 전형적으로 1000 나노미터 미만, 가장 전형적으로 500 나노미터 미만) 크기의 입자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항 혈관신생제의 미립자 제제를 포함하며, 상기 입자는 본원에 기재된 분자 단독으로 또는 부속 성분과 함께 또는 지속 방출을 위한 폴리머 중의 본원에 기재된 분자로 구성된다. 제형은 단위 용량 또는 다회 용량 용기, 예를 들어 밀봉된 앰플 및 바이알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 직전에 멸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주사용 수의 첨가만을 필요로 하는 냉동 건조(동결건조)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즉석 주사 용액 및 현탁액은 상기 기재한 종류의 멸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 0.00001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및 그 사이의 임의의 범위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형적인 용량은 300 mg의 용량 당 약 0.1 μg 내지 약 100 μg의 본원에 기재된 분자, 예컨대 300 mg의 용량 당 약 0.5 μg, 약 1 μg, 약 2 μg, 약 3 μg, 약 4 μg, 약 5 μg, 약 6 μg, 약 7 μg, 약 8 μg, 약 9 μg, 약 10 μg, 약 25 μg, 약 50 μg, 또는 약 75 μg, 예컨대 300 mg의 용량 당 약 0.1 μg 내지 약 10 μg, 또는 약 1 μg 내지 약 5 μg, 또는 약 1 μg 내지 약 2 μg(및 모든 관련 증분 및 중량 백분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치료될 감염의 중증도, 감염의 재발 가능성이 고려되는지 여부, 또는 감염 예방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인자에 따라서, 몇 시간, 며칠, 몇 주, 또는 몇 개월의 기간에 걸쳐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몇 시간, 며칠, 몇 주, 몇 개월 등의 기간에 걸쳐 일정한 것, 예를 들어 일정한 주입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투여는 간헐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분자는 며칠의 기간 동안 하루에 한 번, 몇 시간 동안 한 시간에 한 번, 또는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임의의 다른 일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유효량의 활성 물질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과 혼합물로 조합되도록,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공지된 방법 그 자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비히클은, 예를 들어 문헌["Handbook of Pharmaceutical Additives" (Michael 및 Irene Ash 편저, Gower Publishing Limited, Aldershot, England (1995))]에 기재되어 있다. 이를 기초로 하여,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 또는 희석제와 관련된 물질의 용액을 독점적으로 포함하지는 않지만, 적합한 pH의 완충 용액에 함유되고/되거나 생리학적 유체와 삼투압이 서로 같은 등장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특허 5,843,456(이의 전문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을 참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멸균 식염수, 락토스, 수크로스, 인산칼슘, 젤라틴, 덱스트린, 아가, 펙틴, 땅콩유, 올리브유, 참기름 및 물을 포함한다. 또한,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 예를 들어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수크로스, 덱스트린 및 글루코스를 포함하는 탄수화물, 알부민 또는 카세인과 같은 단백질, 및 알칼리성 포스페이트와 같은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비제한적 양태에서, 프로바이오틱 분자의 투여는 분자를 소화관으로 도입할 가능성이 있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예컨대 경구로 또는 직장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그 후에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혈류로 들어간다.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생성하는 박테리아 및/또는 단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담체와 혼합되어 액체 또는 고체 공급물 또는 음료수에 적용될 수 있다. 담체 물질은 동물에게 무독성이어야 한다.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생성하는 박테리아 및/또는 단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또한 동물의 입에 직접 주사되는 접종 페이스트로서 제공되는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식미를 개선시키고, 저장기간을 개선시키며, 영양학적 이점을 부여하는 등을 위해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재현가능하고 측정된 용량이 필요한 경우, 분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루멘 캐뉼러(rumen cannula)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될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로부터 단리된 분자의 양은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의해 좌우된다.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로부터의 프로바이오틱 분자의 투여 전, 동안 및 후의 감염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당업자는 동물에 의해 전달되는 감염의 양을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투여량 수준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의 하나 이상의 균주로부터의 분자는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주어진 개체에서 가장 지속적인 균주에 대해 개별 동물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균주의 조합이 유리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투여하는 방법은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인지에 관계 없이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병원체 감염이 동물에 의해 전달되고 있는지 여부를 먼저 결정할 필요가 제거된다. 무리의 모든 동물에게 유효량을 일상적으로 투여함으로써, 병원체 감염에 의한 오염의 위험은 예방 및 치료의 조합에 의해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단리돤 분자 및 이러한 것을 함유하는 배양물 분획이 대상체에서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공지된 요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의 조성물은 단리되었는지 또는 배양물 분획 중에 있는지 또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와 함께 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또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최대 약 0.01 중량% 내지 약 0.1 중량%의 양으로 글루코스와 같은 당 공급원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이 식품과 함께 직접 섭취되거나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은 요거트, 아이스크림, 치즈, 베이킹 제품, 예컨대 빵, 비스킷 및 케이크, 유제품 및 유제품 대체 식품, 제과 제품, 식용유 조성물, 스프레드, 아침식사용 시리얼, 쥬스, 육류, 농산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식품 및 음료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임이 또한 이해된다. 용어 "식품"의 범주 내에서, 특히 기능성 식품, 즉 통상적인 식품과 외관이 유사하고 정상적인 식이의 일부로서 소비되는 것으로 의도되지만, 단순한 영양소를 제공하는 것 이상의 생리학적 역할로 변형된 식품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는 식품을 포함하여야 한다. 유사하게,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캡슐 또는 건조 및 압축된 정제 또는 직장 또는 질 좌제, 또는 에어로졸 또는 흡입제와 같은 투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활성 프로바이오틱 분자의 양은 특정 식품 또는 음료에 따라 변할 것이며, 특히 섭취가능한 캡슐/정제로서 제형화될 때, 제품의 최대 약 100%의 임의의 양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단리된 형태 또는 배양물 분획으로서 제공되는지에 관계 없이, 본원에 기재된 분자는 치료의 방법으로 또는 영양 보충을 위해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의 사용과 조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이해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분자는 분자가 유래한 종의 살아있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와 조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이러한 박테리아 종은 조성물로부터 배제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분자는 상기 분자를 생성하지 않는 종의 살아있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와 조합될 수 있다.
사용 방법
예상치 않게, 단리된 형태로 또는 프로바이오틱 분자가 유래된 박테리아의 형태로 투여되는지에 관계 없이,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장내 또는 비-장내 감염의 양태에서, 감염의 치료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 다수는 구체적으로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분자는 서로 및/또는 항생제와 또는 다른 항감염제와 상승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항생제 저항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또는 항생제와 같인 통상적인 치료에 대한 특정 병원체 미생물의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장내 또는 비-장내 감염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고/하거나 장내 또는 비-장내 감염의 병독성을 감소시킨다.
장내 감염
장내 감염에 일반적으로 관련된 박테리아 중에는 대장균, 예컨대 EHEC,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e), 및 여러 종의 살모넬라, 시겔라(Shigella), 및 혐기성 연쇄상구균이 있다. 장내 감염은 설사, 복부 불편함, 메스꺼움 및 구토, 및 식욕부진을 특징으로 한다. 심한 구토와 설사로 인해 체액과 전해질이 크게 손실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성 둘 다의 장내 감염의 치료를 위한 특정 프로바이오틱 분자의 사용은 국제 특허 출원 공개 WO 2009/155711 및 WO 2015/021530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출원 둘 다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다. 이제 MALPPK, CVLPPK, 및 HLLPLP와 같은 추가적인 펩티드가 확인되며, 이러한 펩티드는 또한 이와 같은 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 사용된다.
요로 감염
요로 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은 인간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박테리아 감염 중 하나이며, 대장균은 모든 UTI 중 90%의 원인이 되고, 매년 1,130만 명으로 추정되는 여성들에게 영향을 미친다[Marrs et al., 2005]. 건강한 여성의 질에서 발견되는 세균총(flora)에서 우세한 락토바실러스 균주는 직장과 회음부에 퍼져있고, 질에서 장벽을 형성하여 요로병원균에 의한 진입을 차단한다. 프로바이오틱스를 통한 젖산균의 수를 인위적으로 증가시시키는 개념은 오랫동안 이론화되어 왔지만, 최근에야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id and Bruce, 2005]. 다양한 연구에서 UTI를 치료하는 데 사용된 락토바실러스의 프로바이오틱 균주가, 특히 재발성 UTI를 예방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uce et al., 1992; Chrisholm, 2015; Delley et al., 2015; Stapleton et al., 2011]. 재발성 요로 감염에 대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비-항균 치료법을 찾아야 할 강한 필요성이 존재한다[Stapleton et al., 2011].
가장 흔한 UTI 병원체는 QS에 의해 조절되는 병독성을 갖는 대장균이며, 장내 대장균은 이전에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로 치료될 때 독성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문헌[Medellin-Pena et al., 2007], [Medellin-Pena and Griffiths, 2009], 이들은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 요로병원균 대장균(Uropathogenic E. coli; UPEC)은 장내 대장균과 동일한 활성화된 독성 유전자를 다수 갖고 있으며, T3SS를 갖는다.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UPEC 균주의 병독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어야 한다[Snyder et al., 2004]. Reid [2000]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의 균주가 요로상피 세포에 부착하는 요로병원균인 엔테로코키(Enterococci)를 상당히 억제하는 화합물을 생성함을 보여주었다. UTI에 대해 생체 내에서 주목되는 주요 유전자는, 감염이 발생하는 데 필요한 요로상피 세포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해 필요한 가는털(fimbrial) 단백질인 fim 유전자이다[Snyder et al., 2004]. 본 발명자들은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에 노출될 때 하향 조절하기 위하여 UPEC 균주에서 이들 유전자의 조절을 시험하여 바이오펩티드가 대장균의 요로병원균 균주에서 병독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보장할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예컨대 대장균 또는 에스 사프로피티쿠스(S. saprophyticus)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 방광염의 치료; 예컨대 대장균, 클렙시엘라(Klebsiella), 엔테로박터(Enterobacter), 또는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lis)에 유발되는 신우신염의 치료; 예컨대 대장균, 엔테로코키, 클렙시엘라, 프로테우스, 또는 피. 아에루기노사(P. aeruginosa)에 의해 유발되는 복합 UTI; 또는 예컨대 대장균, 그람음성구균, 스타필로코커스, 또는 엔테토코커스에 의해 유발되는 전립선염의 치료에서 사용될 수 있었다.
세균성 질염
또 다른 흔한 감염은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 BV)으로, 이는 질세균총에서 보호성 젖산균의 우세로부터 병원성 박테리아로의 이동 및 부인과 병원 방문객 중 최대 25%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rrons and Tassone, 2008]. BV는 HIV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저체중아와 조산의 위험을 증가시킨다[Reid and Burton, 2002]. 전통적인 항생제를 이용한 BV 치료율은 낮으며, 6개월째에 최대 50%의 여성에서 감염이 재발한다[Barrons and Tassone, 2008].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매일 섭취하는 것으로 무증상 BV가 있는 환자에서 정상 질세균총이 회복되었다[Reid and Burton, 2002]. 이 연구에서 락토바실러스 균주 단독 사용이 표준 항생제 요법과 비슷한 BV 치료율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Barrons and Tassone, 2008].
연구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의 냉동 건조된 좌제의 사용이 프로바이오틱 세포에 의한 비뇨생식로의 보다 빠른 군체형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Barrons and Tassone, 2008; Reid and Bruce, 2006].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가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 방법에 저항성이 있으므로, 냉동 건조 좌제는 실현 가능한 전달 방식이다. 이는 프로바이오틱 분자가 감염 부위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게 한다.
호흡기 감염
호흡기 감염은 매우 다양한 감염(이염, 폐렴, 인두염), 및 헤모필러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Streptococcus pyogenes),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Streptococcus pneumoniae),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와 같은 일반 균주를 포함한 병원체를 포괄한다[Nagalingam et al, 2013]. 호흡기 감염은 특히 유아와 노인에게 매우 심각하여, 전 세계적으로 이환율과 사망률에 크게 기여한다. 대안적인 치료법 및 예방법이 유익할 것이다[Veras de Araujo et al., 2015].
하부 및 상부 호흡기 감염 둘 다 본원에 기재된 분자를 이용한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연쇄상구균 인두염(패혈성 인후염(strep throat))에서 그룹 A 스트렙토코커스인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 및/또는 다른 인후염은 본원에 기재된 분자로 치료될 수 있다.
Nagalingam외 다수는 부비강 마이크로비옴의 조성이 질환과 관련이 있음을 제안한다. 만성 비부비동염이 있는 환자의 부비강 마이크로비옴은 건강한 개체의 것과 비교하여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 개체수에서 현저한 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Nagalingam et al., 2013]. 이들은 LAB의 보충이 GI 및 비뇨생식로의 경우와 유사하게 호흡기의 점막 표면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추가로 제안한다[Nagalingam et al., 2013]. 프로바이오틱 및 상부 호흡기 감염의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존재한다. 2가지 예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가 경구로 보충된 2가지 매우 민감한 집단(유아 및 노인)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더 적은 상부 호흡기 감염(URI)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음을 나타내었다[Maldonado et al, 2012; Guillmard et al., 2010].
대부분의 연구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의 경구 섭취를 이용했지만, 비강 스프레이도 또한 효과적이었다[Skovberg et al., 2009]. 이는 또 다른 전달 방식으로서 비강 스프레이를 제안한다. 이는 감염 부위로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의 전달을 향상시킬 것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는 만성 위염을 유발하고, 소화성 궤양 질환의 발병의 원인이 되며, 위 점막-연관 림프 조직 림프종 및 위선암과 같은 위 악성종양의 발병의 위험 인자로 고려된다[Wang et al., 2004]. 기존 항생제 치료가 효과적이지만, 항균 내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게다가 이와 같은 약물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부작용은 종종 치료의 중단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대안적인 치료법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ang et al., 2004]. 이들 연구에서, Wang외 다수[2004]는 락토바실러스 및 비피도박테리움 균주를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 요거트를 섭취하면 인간에서 에이치. 파일로리의 감염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Wang et al., 2004]. 더 오래된 연구에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a1의 상청액은 시험관 내에서 에이치. 파일로리의 성장을 억제하였고, 인간에서 에이치. 파일로리에 대한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확인했다[Michetti et al., 1999]. Canducci외 다수에 의한 또 다른 연구는 또한 엘. 아시도필러스 소비 배양물 상청액은 시험관 내뿐만 아니라 생체 내에서 에이치. 파일로리의 생존력을 극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2000]. 이는 무세포 소비 배지에서 락토바실러스 균주에 의해 생성된 프로바이오틱 생체활성물이 에이치. 파일로리 감염의 치료에 유익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메티실린-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RSA) 감염
메티실린-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는 폐렴, 패혈증, 골수염 및 심내막염을 포함한 다수의 생명을 위협하는 감염의 원인이 된다. 전형적으로 장기간 동안 환자에 군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환자의 50%에는 1년 후에도 여전히 군체가 형성되어 있다[Karska-Wysocki, et al., 2010]. MRSA는 다수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는 바이오필름 생성 병원체이다. 이 연구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가 24시간 배양 후 MRSA 세포의 99%를 제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 연구는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하는 생체활성 펩티드를 생성하는 유산균에 대한 효과를 연결시킨다[Karska-Wysocki, et al., 2010].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바이오필름 생성을 조절하는 QS 시스템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이오필름을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MRSA의 치료뿐만 아니라 다른 항생제 내성 병원체의 치료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구강 건강
과학적 연구는 프로바이오틱스가 구강 건강을 유지하고 구강 질환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프로바이오틱스는 공생세균총을 향상시키고 병원체의 군체형성을 예방하여, 치은염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Iniesta et al., 2012]. 구강 건강에서 젖산균 프로바이오틱스의 사용을 평가하는 몇몇 연구가 있었다. 결과는 엘. 루테리 함유 정제의 사용이 타액 중 프레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뿐만 아니라, 치주 병원체, 예컨대 피. 진지발리스(P. gingivalis)의 수의 상당한 감소와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낸다[Iniesta et al., 2012]. 결과는 엘. 루테리 로젠지의 경구 투여가 만성 치주염에서 스케일링 및 치근활택술(root planing)과 함께 유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Teughels et al., 2013].
포르피르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monas gingivalis)는 치주염의 원인이 되는 흔한 병원체이다. 프로바이오틱 락토바실러스 균주는 피. 진지발리스의 수를 상당히 감소시켰다[Matsuoka and Koga, 2014]. 실시예는 락토바실러스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의 사용이 병원체의 부착을 방해할 수 있고, 군체형성이 상당한 건강상 이점을 초래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로부터,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효모, 진균, 및 기생충을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병원체의 치료에서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양태에서, 병원체는 장내 또는 비-장내 병원체이고/이거나 감염은 장내 또는 비-장내 부위에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아비오트로피아(Abiotrophia), 아크로모박터(Achromobacter), 아시다미노코커스(Acidaminococcus), 아시도보락스(Acidovorax),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악티노바실러스(Actinobacillus), 악티노바쿨럼(Actinobaculum), 악티노마두라(Actinomadura), 악티노마이세스(Actinomyces), 에어로코커스(Aerococcus), 에어로모나스(Aeromonas), 아피피아(Afipia),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알칼리게네스(Alcaligenes), 알로이오코커스(Alloiococcus), 알테로모나스(Alteromonas), 아미콜라타(Amycolata), 아미콜라톱시스(Amycolatopsis), 안에어로보스피리룸(Anaerobospirillum), 안에어로랍더스(Anaerorhabdus), "안귈리나(Anguillina)", 아라크니아(Arachnia), 아카노박테리움(Arcanobacterium), 아르코박터(Arcobacter), 아트로박터(Arthrobacter), 아토포비움(Atopobium), 아우레오박테리움(Aureobacterium), 바실러스, 박테로이데스, 발네아트릭스(Balneatrix), 바르토넬라(Bartonella), 버지엘라(Bergeyella), 비피도박테리움, 빌로필라(Bilophila), 브란하멜라(Branhamella), 보렐리아(Borrelia), 보르데텔라(Bordetella), 브라키스피라(Brachyspira), 브레비바실러스(Brevibacillus), 브레비박테리움(Brevibacterium), 브레번디모나스(Brevundimonas), 브루셀라, 버크홀데리아(Burkholderia), 부티아욱셀라(Buttiauxella), 부티리비브리오(Butyrivibrio), 칼리마토박테리움(Calymmatobacterium),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카프노사이토파가(Capnocytophaga), 카르디오박테리움(Cardiobacterium), 카토넬라(Catonella), 세데세아(Cedecea), 셀룰로모나스(Cellulomonas), 센티페다(Centipeda), 클라미디아(Chlamydia), 클라미도필라(Chlamydophila), 크로모박테리움(Chromobacterium), 카이세오박테리움(Chyseobacterium), 크리세오모나스(Chryseomonas), 시트로박터(Citrobacter), 클로스트리디움, 콜린셀라(Collinsella), 코마모나스(Comamonas),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콕시엘라(Coxiella), 크립토박테리움(Cryptobacterium), 델피아(Delfiia), 더마박터(Dermabacter), 더마토필러스(Dermatophilus), 데설포모나스(Desulfomonas), 데설포비브리오(Desulfovibrio), 디알리스터(Dialister), 디켈로박터(Dichelobacter), 돌로시코커스(Dolosicoccus), 돌로시그라눌럼(Dolosigranulum), 에드워드시엘라(Edwardsiella), 에게르텔라(Eggerthella), 에를리키아(Ehrlichia), 아이케넬라(Eikenella), 엠페도박터(Empedobacter), 엔테로박터, 엔테로코커스, 에르위니아(Erwinia), 에리시펠로트릭스(Erysipelothrix), 에스케리치아(Escherichia), 유박테리움(Eubacterium), 유잉겔라(Ewingella), 엑시구오박테리움(Exiguobacterium), 팍클라미아(Facklamia), 필리팍토르(Filif actor), 플라비모나스(Flavimonas), 플라보박테리움(Flavobacterium), 플렉시스피라(Flexispira), 프란시셀라(Francisella), 푸소박테리움, 가드네렐라(Gardnerella), 게멜라(Gemella) 글로비카텔라(Globicatella), 고르도나(Gordona), 헤모필러스(Haemophilus), 하프니아(Hafnia), 헬리코박터(Helicobacter), 헬로코커스(Helococcus), 홀데마니아(Holdemania), 이그나비그라넘(Ignavigranum), 존소넬라(Johnsonella), 킨겔라(Kingella), 클렙시엘라, 코쿠리아(Kocuria), 코세렐라(Koserella), 쿠르티아(Kurthia), 카이토코커스(Kytococcus), 락토바실러스, 락토코커스, 라우트로피아(Lautropia), 레클레르시아(Leclercia), 레지오넬라(Legionella), 레미노렐라(Leminorella), 렙토스피라(Leptospira), 렙토트리키아(Leptotrichia), 류코노스톡, 리스테리아(Listeria), 리스토넬라(Listonella), 메가스페라(Megasphaera), 메틸로박테리움(Methylobacterium), 마이크로박테리움(Microbacterium), 마이크로코커스, 미츠오켈라(Mitsuokella), 모빌런쿠스(Mobiluncus), 모에레렐라(Moellerella), 모락셀라(Moraxella), 모르가넬라(Morganella), 마이코박테리움(Mycobacterium),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마이로이데스(Myroides), 나이세리아(Neisseria), 노카르디아(Nocardia), 노카르디옵시스(Nocardiopsis), 오크로박트럼(Ochrobactrum), 오에스코비아(Oeskovia), 오리겔라(Oligella), 오리엔티아(Orientia), 페니바실러스(Paenibacillus), 판토에아(Pantoea), 파라클라미디아(Parachlamydia), 파스퇴렐라(Pasteurella), 페디오코커스, 펩토코커스(Peptococcus), 펩토스트렙토코커스(Peptostreptococcus), 포토박테리움(Photobacterium), 포토랍더스(Photorhabdus), 플레시오모나스(Plesiomonas) 포르피리모나스(Porphyrimonas), 프레보텔라(Prevotella),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테우스(Proteus), 프로비덴시아(Providencia), 슈도모나스, 슈도노카르디아(Pseudonocardia), 슈도라미박터(Pseudoramibacter), 사이크로박터(Psychrobacter), 라넬라(Rahnella), 랄스토니아(Ralstonia), 로도코커스(Rhodococcus), 리케치아(Rickettsia), 로칼리메아(Rochalimaea), 로세오모나스(Roseomonas), 로티아(Rothia), 루미노코커스(Ruminococcus), 살모넬라(Salmonella), 셀레노모나스(Selenomonas), 세르퓨리나(Serpulina), 세라티아(Serratia), 슈와넬라(Shewenella), 시겔라(Shigella), 심카니아(Simkania), 슬락키아(Slackia), 스핑고박테리움(Sphingobacterium), 스핑고모나스(Sphingomonas), 스피릴룸(Spirillum), 스타필로코커스, 스테노트로포모나스(Stenotrophomonas), 스토마토코커스(Stomatococcus), 스트렙토바실러스(Streptobacillus), 스트렙토코커스,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석시니비브리오(Succinivibrio), 스테렐라(Sutterella), 서토넬라(Suttonella), 타투멜라(Tatumella), 티시에렐라(Tissierella), 트라불시엘라(Trabulsiella), 트레포네마(Treponema), 트로페리마(Tropheryma), 츠카무렐라(Tsukamurella), 투리셀라(Turicella), 우레아플라스마(Ureaplasma), 바고코커스(Vagococcus), 베이요넬라(Veillonella), 비브리오(Vibrio), 위크셀라(Weeksella), 울리넬라(Wolinella), 산토모나스(Xanthomonas), 제노랍더스(Xenorhabdus), 예르시니아(Yersinia) 및 요케넬라(Yokenell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속으로부터의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테리아 감염은 악티노마이세스 유로페우스(Actimomyces europeus), 악티노마이세스 조지아(Actimomyces georgiae), 악티노마이세스 게렌세리아(Actimomyces gerencseriae), 악티노마이세스 그라에베니치(Actimomyces graevenitzii), 악티노마이세스 이스라엘리(Actimomyces israelii), 악티노마이세스 메이어리(Actimomyces meyeri), 악티노마이세스 네슬룬디(Actimomyces naeslundii), 악티노마이세스 네우이 네우이(Actimomyces neuii neuii), 악티노마이세스 네우이 아니트라투스(Actimomyces neuii anitratus), 악티노마이세스 오돈토리티쿠스(Actimomyces odontolyticus), 악티노마이세스 라딘가(Actimomyces radingae), 악티노마이세스 투리센시스(Actimomyces turicensis),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Actimomyces viscosus), 아트로박터 크레아티놀리티쿠스(Arthrobacter creatinolyticus), 아트로박터 쿰민시(Arthrobacter cumminsii), 아트로박터 울루웬시스(Arthrobacter woluwensis), 바실러스 안트라시스(Bacillus anthraci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바실러스 서큘란스(Bacillus circulans),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마이로이데스,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바실러스 스페리쿠스(Bacillus sphaeric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보렐리아 아프젤리(Borrelia afzelii), 보렐리아 안데르소니(Borrelia andersonii), 보렐리아 비세티(Borrelia bissettii), 보렐리아 부르그도르페리(Borrelia burgdorferi), 보렐리아 가리니(Borrelia garinii), 보렐리아 자포니카(Borrelia japonica), 보렐리아 루시타니아(Borrelia lusitaniae), 보렐리아 타누키(Borrelia tanukii), 보렐리아 투르디(Borrelia turdi), 보렐리아 발라이시아나(Borrelia valaisiana) 보렐리아 코카시카(Borrelia caucasica), 보렐리아 크로시두라(Borrelia crocidurae), 보렐리아 리커렌티스(Borrelia recurrentis), 보렐리아 두토니(Borrelia duttoni), 보렐리아 그레인게리(Borrelia graingeri), 보렐리아 헤름시(Borrelia hermsii), 보렐리아 히스파니카(Borrelia hispanica), 보렐리아 라티슈위(Borrelia latyschewii), 보렐리아 마조티(Borrelia mazzottii), 보렐리아 파르케리(Borrelia parkeri), 보렐리아 페르시카(Borrelia persica), 보렐리아 리커렌티스, 보렐리아 투리카타(Borrelia turicatae), 보렐리아 베네주엘렌시(Borrelia venezuelensi), 보르데텔라 브론치셉티카(Bordetella bronchiseptica), 보르데텔라 힌지(Bordetella hinzii), 보르데텔라 홀름세이(Bordetella holmseii), 보르데텔라 파라퍼투시스(Bordetella parapertussis), 보르데텔라 퍼투시스(Bordetella pertussis), 보르데텔라 트레마텀(Bordetella trematum), 클로스트리디움 압소넘(Clostridium absonum), 클로스트리디움 아르겐티넨스(Clostridium argentinense), 클로스트리디움 바라티(Clostridium baratii), 클로스트리디움 비페르멘탄스(Clostridium bifermentans), 클로스트리디움 바이에링키(Clostridium beijerinckii),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클로스트리디움 카다베리스(Clostridium cadaveris), 클로스트리디움 카니스(Clostridium carnis), 클로스트리디움 셀라툼(Clostridium celatum), 클로스트리디움 클로스트리디오폼(Clostridium clostridioforme), 클로스트리디움 코클레아리움(Clostridium cochlearium), 클로스트리디움 코클레아툼(Clostridium cocleatum), 클로스트리디움 팔락스(Clostridium fallax), 클로스트리디움 고니(Clostridium ghonii), 클로스트리디움 글리코리쿰(Clostridium glycolicum), 클로스트리디움 헤모리티쿰(Clostridium haemolyticum), 클로스트리디움 하스티폼(Clostridium hastiforme),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톨리티쿰(Clostridium histolyticum), 클로스트리디움 인돌리스(Clostridium indolis), 클로스트리디움 이노쿰(Clostridium innocuum), 클로스트리디움 이레귤라레(Clostridium irregulare), 클로스트리디움 렙툼(Clostridium leptum), 클로스트리디움 리모숨(Clostridium limosum), 클로스트리디움 말레노미나툼(Clostridium malenominatum), 클로스트리디움 노비(Clostridium novyi), 클로스트리디움 오로티쿰(Clostridium oroticum), 클로스트리디움 파라푸트리피쿰(Clostridium paraputrificum), 클로스트리디움 피리폼(Clostridium piliforme), 클로스트리디움 푸트레파시엔스(Clostridium putrefasciens), 클로스트리디움 라모숨(Clostridium ramosum), 클로스트리디움 셉티쿰(Clostridium septicum), 클로스트리디움 소르델리(Clostridium sordelii), 클로스트리디움 스페노이데스(Clostridium sphenoides), 클로스트리디움 스포로게니스(Clostridium sporogenes), 클로스트리디움 서브테르미날레(Clostridium subterminale), 클로스트리디움 심비오숨(Clostridium symbiosum), 클로스트리디움 테르티움(Clostridium tertium), 에스케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에스케리치아 페르구소니(Escherichia fergusonii), 에스케리치아 헤르마니(Escherichia hermanii), 에스케리치아 불네리스(Escherichia vulneris), 엔테로코커스 아비움(Enterococcus avium), 엔테로코커스 카세리플라버스(Enterococcus casseliflavus), 엔테로코커스 세코럼(Enterococcus cecorum), 엔테로코커스 디스파르(Enterococcus dispar), 엔테로코커스 두란스(Enterococcus durans),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엔테로코커스 페시움, 엔테로코커스 플라베센스(Enterococcus flavescens), 엔테로코커스 갈리나럼(Enterococcus gallinarum), 엔테로코커스 히레(Enterococcus hirae), 엔테로코커스 말로도라투스(Enterococcus malodoratus), 엔테로코커스 먼드티(Enterococcus mundtii), 엔테로코커스 슈도아비움(Enterococcus pseudoavium), 엔테로코커스 라피노서스(Enterococcus raffinosus), 엔테로코커스 솔리타리우스(Enterococcus solitarius), 헤모필러스 에집티우스(Haemophilus aegyptius), 헤모필러스 아프로필러스(Haemophilus aphrophilus), 헤모플러스 파르 아프로필러스(Haemophilus par aphrophilus),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자(Haemophilus parainfluenzae), 헤모필러스 세그니스(Haemophilus segnis), 헤모필러스 듀크레이(Haemophilus ducreyi), 헤모필러스 인플루엔자, 클렙시엘라 오르니톨리티카(Klebsiella ornitholytica), 클렙시엘라 옥시토카(Klebsiella oxytoca), 클렙시엘라 플란티콜라(Klebsiella planticola), 클렙시엘라 뉴모니아, 클렙시엘라 오자에나(Klebsiella ozaenae), 클렙시엘라 테리게나(Klebsiella terrigena), 리스테리아 이바노비(Lysteria ivanovii),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ysteria monocytogenes), 마이코박테리움 압스케수스(Mycobacterium abscessus), 마이코박테리움 아프리카눔(Mycobacterium africanum), 마이코박테리움 알베이(Mycobacterium alvei), 마이코박테리움 아시아티쿰(Mycobacterium asiaticum), 마이코박테리움 아우룸(Mycobacterium aurum),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마이코박테리움 보헤미쿰(Mycobacterium bohemicum),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Mycobacterium bovis), 마이코박테리움 브란데리(Mycobacterium branderi), 마이코박테리움 브루마(Mycobacterium brumae), 마이코박테리움 셀라툼, 마이코박테리움 첼로나(Mycobacterium chelonae), 마이코박테리움 추벤스(Mycobacterium chubense), 마이코박테리움 콘플루엔티스(Mycobacterium confluentis), 마이코박테리움 콘스피쿰(Mycobacterium conspicuum), 마이코박테리움 쿠키(Mycobacterium cookii), 마이코박테리움 플라베센스, 마이코박테리움 포르투이툼(Mycobacterium fortuitum), 마이코박테리움 가디움(Mycobacterium gadium), 마이코박테리움 가스트리(Mycobacterium gastri), 마이코박테리움 게나벤스(Mycobacterium genavense), 마이코박테리움 고르도나(Mycobacterium gordonae), 마이코박테리움 구디(Mycobacterium goodii), 마이코박테리움 헤모필룸(Mycobacterium haemophilum), 마이코박테리움 하시쿰(Mycobacterium hassicum), 마이코박테리움 인트라셀룰라레(Mycobacterium intracellulare), 마이코박테리움 인터젝툼(Mycobacterium interjectum), 마이코박테리움 하이델베렌스(Mycobacterium heidelberense), 마이코박테리움 칸사시(Mycobacterium kansasii), 마이코박테리움 렌티플라붐(Mycobacterium lentiflavum), 마이코박테리움 레프라(Mycobacterium leprae), 마이코박테리움 말멘스(Mycobacterium malmoense), 마이코박테리움 마리눔(Mycobacterium marinum), 마이코박테리움 마이크로게니쿰(Mycobacterium microgenicum), 마이코박테리움 마이크로티(Mycobacterium microti), 마이코박테리움 뮤코제니쿰(Mycobacterium mucogenicum), 마이코박테리움 네오아우름(Mycobacterium neoaurum), 마이코박테리움 논크로모제니쿰(Mycobacterium nonchromogenicum), 마이코박테리움 페레그리넘(Mycobacterium peregrinum), 마이코박테리움 플레이(Mycobacterium phlei), 마이코박테리움 스크로풀라슘(Mycobacterium scrofulaceum), 마이코박테리움 심모이데이(Mycobacterium shimoidei), 마이코박테리움 시미에(Mycobacterium simiae), 마이코박테리움 스메그마티스(Mycobacterium smegmatis), 마이코박테리움 스줄가이(Mycobacterium szulgai), 마이코박테리움 테레(Mycobacterium terrae), 마이코박테리움 써모레지스타빌레(Mycobacterium thermoresistabile), 마이코박테리움 트리플렉스(Mycobacterium triplex), 마이코박테리움 트리비아레(Mycobacterium triviale),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마이코박테리움 투스시에(Mycobacterium tusciae), 마이코박테리움 울서란스(Mycobacterium ulcerans), 마이코박테리움 바카(Mycobacterium vaccae), 마이코박테리움 울린스키(Mycobacterium wolinskyi), 마이코박테리움 제노피(Mycobacterium xenopi), 마이코플라스마 부칼레(Mycoplasma buccale), 마이코플라스마 파우시움(Mycoplasma faucium), 마이코플라스마 페르멘탄스(Mycoplasma fermentans), 마이코플라스마 게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 마이코플라스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 마이코플라스마 리포필룸(Mycoplasma lipophilum), 마이코플라스마 오랄레(Mycoplasma orale), 마이코플라스마 페네트란스(Mycoplasma penetrans), 마이코플라스마 피룸(Mycoplasma pirum), 마이코플라스마 뉴모니아, 마이코플라스마 프리마툼(Mycoplasma primatum), 마이코플라스마 살리바리움(Mycoplasma salivarium), 마이코플라스마 스페르마토필룸(Mycoplasma spermatophilum),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슈도모나스 알칼리게네스,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Pseudomonas chlororaphis),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슈도모나스 루테올라(Pseudomonas luteola), 슈도모나스 멘도치나(Pseudomonas mendocina), 슈도모나스 몬테일리(Pseudomonas monteilii), 슈도모나스 오리지하비탄스(Pseudomonas oryzihabitans), 슈도모나스 페르토시노게나(Pseudomonas pertocinogena), 슈도모나스 슈달칼리게네스(Pseudomonas pseudalcaligenes), 슈도모나스 퓨티다(Pseudomonas putida), 슈도모나스 슈투트제리(Pseudomonas stutzeri), 리케치아 아프리카(Rickettsia africae), 리케치아 아카리(Rickettsia akari), 리케치아 오스트랄리스(Rickettsia australis), 리케치아 코노리(Rickettsia conorii), 리케치아 펠리스(Rickettsia felis), 리케치아 호네이(Rickettsia honei), 리케치아 자포니카, 리케치아 몽골로티모나(Rickettsia mongolotimonae), 리케치아 프로와젤디(Rickettsia prowazeldi), 리케치아 리케치에(Rickettsia rickettsiae), 리케치아 시비리카(Rickettsia sibirica), 리케치아 슬로바카(Rickettsia slovaca), 리케치아 티피(Rickettsia typhi),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 콜레라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choleraesuis),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 아리조나(Salmonella choleraesuis arizonae),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 봉고리(Salmonella choleraesuis bongori),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 디아리조나(Salmonella choleraesuis diarizonae),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 휴테나(Salmonella choleraesuis houtenae),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 인디카(Salmonella choleraesuis indica),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 살라마(Salmonella choleraesuis salamae),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살모넬라 티피(Salmonella typhi),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시겔라 보이디(Shigella boydii), 시겔라 디센테리에(Shigella dysentaeriae), 시겔라 플렉스네리(Shigella flexneri),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리쿨라리스(Staphylococcus auricularis), 스타필로코커스 캐피티스 캐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 capitis), 스타필로코커스 씨. 우레올리티쿠스(Staphylococcus c. ureolyticus), 스타필로코커스 카프라(Staphylococcus caprae),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타필로코커스 코흐니 코흐니(Staphylococcus cohnii cohnii), 스타필로코커스 씨. 우레올리티쿠스,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타필로코커스 에쿠오룸(Staphylococcus equorum), 스타필로코커스 갈리나럼(Staphylococcus gallinarum), 스타필로코커스 헤모리티쿠스(Staphylococcus haemolyticus), 스타필로코커스 호미니스 호미니스(Staphylococcus hominis hominis), 스타필로코커스 에이치. 노보바이오셉티쿠스(Staphylococcus h. novobiosepticius), 스타필로코커스 하이쿠스(Staphylococcus hyicus), 스타필로코커스 인터메디우스(Staphylococcus intermedius), 스타필로코커스 루그두넨시스(Staphylococcus lugdunensis), 스타필로코커스 파스테리(Staphylococcus pasteuri), 스타필로코커스 사카로리티쿠스(Staphylococcus saccharolyticus), 스타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Staphylococcus saprophyticus), 스타필로코커스 쉬레이페리 쉬레이페리(Staphylococcus schleiferi schleiferi), 스타필로코커스 에스. 코아귤런스(Staphylococcus s. coagulans), 스타필로코커스 스키우리(Staphylococcus sciuri), 스타필로코커스 시뮬란스(Staphylococcus simulans), 스타필로코커스 워네리(Staphylococcus warneri), 스타필로코커스 자일로서스(Staphylococcus xylosus),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에(Streptococcus agalactiae), 스트렙토코커스 카니스(Streptococcus canis), 스트렙토코커스 디스갈락티아 디스갈락티아(Streptococcus dysgalactiae dysgalactiae), 스트렙토코커스 디스갈락티아 에퀴시밀리스(Streptococcus dysgalactiae equisimilis), 스트렙토코커스 에퀴 에퀴(Streptococcus equi equi), 스트렙토코커스 에퀴 주에피데미쿠스(Streptococcus equi zooepidemicus),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에(Streptococcus iniae), 스트렙토코커스 포르시너스(Streptococcus porcinus),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 스트렙토코커스 안지노수스(Streptococcus anginosus), 스트렙토코커스 콘스텔라투스 콘스텔라투스(Streptococcus constellatus constellatus), 스트렙토코커스 콘스텔라투스 파린기디스(Streptococcus constellatus pharyngidis), 스트렙토코커스 인터메디우스(Streptococcus intermedius),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Streptococcus mitis),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 스트렙토코커스 상귀니스(Streptococcus sanguinis), 스트렙토코커스 크리스타투스(Streptococcus cristatus),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Streptococcus gordonii),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상귀니스(Streptococcus parasanguinis),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스트렙토코커스 베스티불라리스(Streptococcus vestibularis), 스트렙토코커스 크리세티(Streptococcus criceti),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라티(Streptococcus ratti),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 스트렙토코커스 아시도미니머스(Streptococcus acidominimus), 스트렙토코커스 보비스, 스트렙토코커스 에퀴너스(Streptococcus equinus),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 스트렙토코커스 수이스(Streptococcus suis), 비브리오 알지놀리티쿠스(Vibrio alginolyticus), 비브리오 카차리에(V, carchariae),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e), 씨. 신신나티엔시스(C. cincinnatiensis), 비브리오 담셀라(Vibrio damsela),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Vibrio fluvialis), 비브리오 푸니시(Vibrio furnissii), 비브리오 홀리사(Vibrio hollisae), 비브리오 메트쉬닉코비(Vibrio metschnikovii), 비브리오 미미쿠스(Vibrio mimicus),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Vibrio parahaemolyticus),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예르시니아 페스티스(Yersinia pestis), 예르시니아 알도바(Yersinia aldovae), 예르시니아 베르코비에리(Yersinia bercovieri),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예르시니아 프레데릭세니(Yersinia frederiksenii), 예르시니아 인터메디아(Yersinia intermedia), 예르시니아 크리스텐세니(Yersinia kristensenii), 예르시니아 몰라레티(Yersinia mollaretii), 예르시니아 슈도투베르쿨로시스(Yersinia pseudotuberculosis) 및 예르시니아 로데이(Yersinia rohde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아스트로비리데(Astroviridae), 칼리시비리데(Caliciviridae), 피코나비리데(Picornaviridae), 토가비리데(Togaviridae), 플라비비리데(Flaviviridae), 카로나비리데(Caronaviridae), 파라믹스비리데(Paramyxviridae), 오르토믹소비리데(Orthomyxoviridae), 번야비리데(Bunyaviridae), 아레나비리데(Arenaviridae), 랍도비리데(Rhabdoviridae), 필로비리데(Filoviridae), 레오비리데(Reoviridae), 보르나비리데(Bornaviridae), 레트로비리데(Retroviridae), 폭스비리데(Poxviridae), 헤르페스비리데(Herpesviridae), 아데노비리데(Adenoviridae), 파포바비리데(Papovaviridae), 파르보비리데(Parvoviridae), 헤파드나비리데(Hepadnaviridae)(예를 들어, 콕사키(Coxsackie) A-24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11, 아데노 바이러스 21, 콕사키 B 바이러스, 보르나병 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캘리포니아뇌염 바이러스, 인유두종 바이러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콜로라도진드기열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백시니아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1,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2,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3, 뎅그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파르보바이러스 B19 콕사키 A- 16 바이러스, HSV-1, 간염 A 바이러스, 간염 B 바이러스, 간염 C 바이러스, 간염 D 바이러스, 간염 E 바이러스,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콕사키 B1-B5,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B 또는 C, 라크로스 바이러스, 라사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 콕사키 A 또는 B 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림프구성 맥락수막염 바이러스, HSV-2, 멈프스 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공수병 바이러스, 루비바이러스, 천연두 바이러스, WEE 바이러스, 황열 바이러스 및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패밀리로부터의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효모 또는 진균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숙주를 감염시키는 진균 또는 효모는 아스퍼질러스 종(Aspergillus sp.), 더마토피테스(Dermatophytes), 블라스토마이세스 더마티티디스(Blastomyces dermatitidis), 칸디다 종(Candida sp.), 히스토플라스마 캡슐라툼(Histoplasma capsulatum), 스포로트릭스 쉔키(Sporothrix schenckii), 히스토플라스마 캡슐라툼(Histoplasma capsulatum ) 및 유색 진균(Dematiaceous Fungi)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기생충" 또는 "기생충 감염"은, 단세포 또는 다세포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또 다른 유기체, 예를 들어 인간을 감염시킬 수 있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또는 효모 이외의 유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기생충의 예는, 예를 들어 안실로스토마 세일라니쿰(Ancylostoma ceylanicum), 안실로스토마 듀오데날(Ancylostoma duodenale), 아스카리스 룸브리코이데스(Ascaris lumbricoides), 발란티듐 콜라이(Balantidium coli), 블라스토시스티스 호미니스(Blastocystis hominis), 클로노르키스 시넨시스(Clonorchis sinensis), 사이클로스포라 카예타넨시스(Cyclospora cayetanensis), 디엔타메바 프라질리스(Dientamoeba fragilis), 디필로보트리움 라툼(Diphyllobothrium latum), 디필리디움 카니눔(Dipylidium caninum), 엔세팔리토준 인테스티날리스(Encephalitozoon intestinalis), 엔타메바 히스토리티카(Entamoeba histolytica), 엔테로비우스 베르미큘라리스(Enterobius vermicularis), 파시올라 헤파티카(Fasciola hepatica), 엔테로비우스 베르미큘라리스, 파시올라 헤파티카, 파시올롭시스 부스키(Fasciolopsis buski), 기아르디아 인테스티날리스(Giardia intestinalis; 기아르디아 람블리아(Giardia lamblia)와 동의어), 헤테로파이에스 헤테로파이에스(Heterophyes heterophyes), 히메노레피스 디미누타(Hymenolepis diminuta), 히메노레피스 나나(Hymenolepis nana), 이소스포라 벨리(Isospora belli), 메타고니무스 요코가와이(Metagonimus yokogawai), 네카토르 아메리카누스(Necator americanus), 오피스토르키스 펠리네우스(Opisthorchis felineus), 파라고니무스 웨스테르마니(Paragonimus westermani), 쉬스토소마 헤마토비움(Schistosoma haematobium), 쉬스토소마 인터칼라툼(Schistosoma intercalatum), 쉬스토소마 자포니쿰(Schistosoma japonicum), 쉬스토소마 만소니(Schistosoma mansoni), 타에니아 사기나타(Taenia saginata), 트리쿠리스 트리키우라(Trichuris trichiura), 바베시아 디베르겐스(Babesia divergens), 플라스모디움 팔시파룸(Plasmodium falciparum), 플라스모디움 말라리아(Plasmodium malariae), 플라스모디움 오발레(Plasmodium ovale), 플라스모디움 비박스(Plasmodium vivax), 레이슈마니아 브라질리엔시스(Leishmania braziliensis) 및 레이슈마니아 도노바니(Leishmania donovan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생충을 포함한다.
양태에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일반적으로 바이오필름 형성을 감소시키거나 이미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파괴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또한 독성 유전자, 전형적으로 T3SS와 연관된 것들을 하향 조절하고, 조직 및/또는 표면에 병원체의 부착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사용한 상처의 치료 및 상처에서 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이 또한 고려된다.
특정 양태에서, 특정 장내 감염의 치료가 고려된다. 예를 들어,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아종 파라투베르쿨로시스는 소에서 요네병(Johne's disease)의 원인이 된다. 미국 낙농업은 상기 질환으로 인해 연간 15억 달러의 손실이 있으며, 미국에서 우군(dairy herd)의 22%가 감염되어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는 T3SS를 가지므로,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의 사용을 통해 치료 및/또는 예방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다 일반적인 양태에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종래 항생제 요법에 대한 대안 또는 부가 요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항생제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항생제 내성의 발달을 완화시킬 수 있다.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예를 들어 비경구, 정맥내, 피하, 피내, 근육내, 두개내, 안와내, 눈, 심실내, 피막내, 척추내, 낭내, 복강내, 비강내, 직장내, 질내, 에어로졸 또는 구강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로 또는 감염 부위에 직접 투여된다.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예를 들어 항생제를 포함하는 감염에 대한 통상적인 치료제와 조합하여,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적절한 경우 이와 같은 통상적인 치료제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임의의 적합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약 1 내지 약 10000 ng/kg, 예컨대 약 1 내지 약 1000, 약 1 내지 약 500, 약 10 내지 약 250, 또는 약 50 내지 약 100 ng/kg, 예컨대 약 1, 약 10, 약 25, 약 50, 약 75, 약 100, 약 150, 약 200, 약 250, 약 300, 또는 약 500 ng/kg을 포함하는 용량으로 제공된다.
상기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하기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완전한 이해를 얻을 수 있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기재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황이 방편을 시사하거나 제공할 수 있으므로, 형태의 변경 및 등가물의 대체가 고려된다. 특정 용어가 본원에서 이용되었지만, 이와 같은 용어는 설명의 의미인 것으로 의도되며 제한의 목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요로병원균 대장균 및 바이오펩티드 동정의 개요
목적:
이들 실험의 목적은 La-5로부터의 무세포 상청액이 요로병원균 대장균(UPEC)에서 독성 유전자의 발현을 하향 조절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재료 및 방법:
이 실험에서 사용된 La-5 무세포 상청액은 배치 D4였다. 개 요로 감염으로부터 2가지 UPEC 균주를 단리하였다. 이들은 구엘프 대학교(University of Guelph)의 병리 생물학 실험실로부터 제공받았다. 균주 1의 별칭은 UPEC99이고, 균주 2의 별칭은 UPEC804였다. 균주를 LB 한천 상에서 배양하였다. LB 및 인공 소변 배지의 2가지 상이한 배지로 시험하였다.
시험한 프라이머 세트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1
문헌[Sharma 20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살모넬라 분석과 유사하게 분석을 실행하였다. 무세포 상청액의 존재 하에 4시간 동안 UPEC를 성장시켰다. 세포를 수확하고 RNA를 추출하였다. RNA를 DNAse I로 처리하여 게놈 DNA를 제거하였다. RNA를 cDNA를 만들기 위한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cDNA를 qPCR에 의해 분석하고 유전자 발현을 참조 유전자에 대하여 정규화하여 무세포 배지 대조군이 없는 것과 비교하였다.
결과:
표 1.1: LB와 인공 소변 배지의 유전자 발현 비교.
Figure pct00002
표 1.1의 데이터는 무세포 상청액이 HylA를 하향 조절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FliC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또한 인공 소변 배지와 비교하여, LB 배지에서 HylA의 하향 조절이 더 많이 있다. LB 배지에서 유전자의 더 많은 하향 조절이 있으므로, 이들 유전자의 발현은 LB 배지만을 이용하여 추가로 조사하였다. 반응이 균주 특이적임을 확인하기 위해 이 실험을 다시 시험하였다.
표 1.2: 균주 특이적 유전자 조절 비교
Figure pct00003
표 1.2의 데이터는, HylA가 균주 2에서는 발현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무세포 상청액이 HylA를 하향 조절할 수 있지만, 단지 균주 1에서만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무세포 상청액은 FliC의 하향 조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표 1.3: 배치 D4 및 UPEC 균주 1(E99)의 용량 반응 곡선
Figure pct00004
1× 용량은 무세포 상청액 10 mL(1×)와 동일하다. HylA의 하향 조절은 분석된 물질의 양과 관련이 있다. 이는 무세포 상청액이 HylA의 조절 및 잠재적인 후속 메커니즘과 특정 상호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표 1.4: 안정성 배치(S1)를 이용한 균주 1(E99)에서 HylA 유전자 발현의 요약 표
Figure pct00005
1× 용량은 무세포 상청액 10 mL(1×)와 동일하다. 추가의 독립적인 생산 배치에 대한 건조 무세포 상청액이 또한 HylA 발현의 하향 조절을 할 수 있는지는 결정하기 위하여 물질의 제2 배치를 시험하였다. 시험한 건조 무세포 상청액의 양 및 HylA의 하향 조절에 의한 용량 반응이 있었다.
실시예 2: 무세포 상청액으로부터 생체활성 분자의 동정
목적:
이들 실험의 목적은 무세포 상청액으로부터 생체활성 펩티드를 동정하는 것이었다.
물질 및 방법:
Sephadex G75 수지를 사용하여 무세포 상청액을 분리하였다. 샘플을 분리하고 분획을 수집하였다: 분획 1(163000 Da 초과), 분획 2(163000 내지 14500 Da), 분획 3(14500 내지 1300 Da), 분획 4(1300 내지 110 Da), 분획 5(110 내지 10 Da). 샘플을 수집하고 살모넬라 엔테리카 티피뮤리움 DT104(Salmonella enteric typhimurium DT104) 균주를 사용하여 qPCR에 의해 분석하였다. HilA의 하향 조절을 참조 유전자 16S와 비교하였다.
프라이머
HilA FWD 5'-3'-TGTCGGAAGATAAAGAGCAT
HilA REV 5'-3'-AAGGAAGTATCGCCAATGTA
16S FWD 5'-3'-CAAGTCATCATGGCCCTTAC
16S REV 5'-3'-CGGACTACGACGCACTTTAT
G75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의 활성 분획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추가로 분리하였다. 역상으로부터의 분획: 분획 1(0 내지 2분), 분획 2(2 내지 4분), 분획 3(4 내지 16분), 분획 4(16 내지 32분), 분획 5(32 내지 40분), 분획 6(40 내지 58분). 분획을 건조시키고 중화시켜 용매로부터 아세토니트릴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제거하였다. 건조된 분획을 상기한 바와 동일한 qPCR 분석 조건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획을 구엘프 대학교 어드밴스 어낼리티컬 센터(University of Guelph Advance Analytical center)에서 드노보 시퀀싱(de novo sequencing)에 의해 분석하였다. 6개 배치의 활성 분획으로부터의 펩티드를 비교하고, 배치로부터의 일반적인 펩티드를 추론하였다.
표 2.1: 크기 배제 분획의 qPCR 하향 조절
Figure pct00006
크기 배제 분획 3은 투입과 유사한 활성을 가지는데, 이는 이 분획의 활성이 생체활성 분자의 주요 구성요소임을 시사하는 것이므로, 추가로 특성화하였다.
표 2.2: 크기 배제 분획 3으로부터 정제된 역상(RP) 분획의 qPCR 하향 조절
Figure pct00007
드노보 시퀀싱을 위해 RP 분획 3 및 5를 선택하였지만, MALPPK가 분획 3에서도 발견되었지만, 다른 펩티드는 분획 5에서만 발견되었다는 것에 주목하면, 분획 5가 가장 활성이 크기 때문에 결과는 분획 5로부터의 것이다.
표 2.3: 6개의 생성 배치로부터 분석된 RP 분획 5 바이오펩티드들의 드노보 시퀀싱
Figure pct00008
살모넬라 엔테리카 티피뮤리움 DT104(Salmonella enterica typhimurium DT104)에서 HilA와 같은 독성 유전자의 하향 조절의 원인이 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확인하기 위해 드노보 시퀀싱을 사용하였다. 6개의 독립적인 생산 배치를 분석하였다.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G75)를 사용하여 무세포 상청액을 분리하였다. 샘플을 분자 질량을 기초로 하여 5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14.5 내지 1.3 kDa의 예측된 분자량 범위를 갖는 제3 분획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로 분석하고, 분획 RP 5를 드노보 시퀀싱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된 모든 바이오펩티드의 비교는 모든 6개의 배치 사이에서 공통되는 2개의 펩티드 및 적어도 4개의 배치에 공통적인 2개의 추가적인 펩티드를 확인하였다. 드노보 시퀀싱은 단지 정성 분석일 뿐이므로, 이들 펩티드 4가지 모두를 합성하여 어느 펩티드가 살모넬라 엔테리카 티피뮤리움 DT104에서 HilA의 하향 조절의 원인이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표 2.4: 안정성 배치 1(S1)의 크기-배제 분획 3으로부터의 바이오펩티드의 반정량화
Figure pct00009
드노보 시퀀싱으로부터 선택된 바이오펩티드 및 국제 특허 출원 공개 WO 2009/155711에서 확인된 2개의 추가 펩티드를 다중반응탐색법(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을 사용하여 질량 분석법으로 분석하여 안정성 배치 S1에 존재하는 바이오펩티드의 양을 반정량화하였다. 각각의 펩티드의 피크 높이를 각각의 바이오펩티드의 공지된 양의 일련의 희석물의 피크 높이와 비교하였다. 이러한 반정량화 방법은 MALPPK가 분석된 6개 펩티드 중에서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펩티드임을 확인하였다.
표 2.5: 개별 합성 바이오펩티드의 존재 하에서 HylA 및 HilA의 발현 변화의 qPCR 분석
Figure pct00010
합성 바이오펩티드를 분석 당 50 μg으로 분석하였다. qPCR 분석은 YPVEPF를 제외한 모든 펩티드가 HylA의 하향 조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펩티드 MALPPK는 HylA의 하향 조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이어서 LKPTPEGD, YPPGGP, CVLPPK, 및 HLLPLP의 순이다.
요약:
표 2.1 내지 2.5에 제시된 데이터는, La-5 발효 배지의 무세포 상청액에서 발견된 펩티드가 살모넬라 엔테리카 티피뮤리움 DT104 및 헤모리신 A(HylA)에서 HilA의 발현을 하향 조절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HylA는 UPEC에 의해 생성된 기공-형성 독소이며, 감염에 수반되는 병독성 인자 중 하나이다. 무세포 상청액의 존재 하에서 플라젤린(FliC)의 발현이 하향 조절되지 않으므로, 상호 작용은 특이적인 것으로 보인다. 2개의 독립적인 생성 배치는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HylA의 특이적 하향 조절을 입증하였다. 크기 배제 분획 3의 드노보 시퀀싱으로부터 4개의 펩티드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4개의 펩티드 및 이전 특허로부터의 2개의 추가 펩티드를 합성하여, HylA 유전자 발현에 대한 이들의 효과를 qPCR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YPVEPF를 제외한 모든 바이오펩티드가 활성적이었으며, MALPPK가 분석된 6개 펩티드 중 가장 활성적인 펩티드였다.
실시예 3: 요로병원균 대장균의 세포 독성 분석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생리학적 세포 독성 분석을 사용하여 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무세포 배지에서 요로병원균 대장균에서 독소 생성의 감소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재료 및 방법:
건조된 무세포 상청액을 LB 브로스에 용해하고(14 mg/mL) 0.1 N NaOH를 사용하여 pH 7.2로 조정하였다. 용액을 LB 브로스를 이용하여 최종 농도로 희석하였다. 브로스(5 mL)에 50 μL의 18시간 UPEC099 균주 배양물을 접종하였다. 4시간 동안 37℃에서 2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샘플을 성장시켰다. 배양물의 1 mL 분취액을 10,000 x g에서 원심분리하여 대장균 세포를 제거하였다. 상청액(100 μL)을 1 mL의 HT29 포유동물 세포(1E6 세포/mL)에 첨가하고 5% CO2가 보충된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혼합물을 1.5 mL 튜브로 옮기고 250 x g에서 원심분리하여 포유동물 세포를 제거하였다. 상청액(50 μL)을 사용하여 Pierce 락트산 탈수소효소 LDH 세포독성 분석(Thermo Fisher Scientific)을 사용하여 세포 독성에 대한 시험을 하였다. 분석을 위한 용액을 제조자 지시에 따라 제조하였다. 50 μL의 상청액을 96 웰 플레이트에서 50 μL의 분석 반응 혼합물과 배양하였다. 분석물을 포일로 덮어 빛으로부터 보호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반응 정지(50 μL) 혼합물을 첨가하고, 96 웰 플레이트를 490 nm 및 680 nm에서 판독하였다. 세포 독성을 계산하기 위해 흡광도 값을 사용하였으며, 데이터는 억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결과/논의:
도 1 및 2에 제시된 데이터는 무세포 상청액을 이용한 UPEC 독소 생성의 억제를 나타낸다. 이들 데이터는 무세포 상청액이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HT29 포유동물 세포에 대한 독소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생리학적 지지를 제공한다. 락트산 탈수소효소는 세포 용해에서 생리학적 마커이며, 종말점 분석에서 락트산 탈수소효소의 억제는 더 적은 포유동물 세포가 용해되어 무세포 상청액이 UPEC099에 의해 생성된 독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함을 시사한다.
실시예 4: 추가의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로부터의 무세포 상청액 테스트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다른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가 무세포 상청액에서 유사한 생체활성 펩티드를 생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물질 및 방법:
모든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를 동일한 발효 배지를 사용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원심분리에 의해 세포를 발효 배지로부터 분리하고, 무세포 상청액을 0.1 N NaOH를 이용하여 pH 7로 중화시켰다. 상청액을 10 mL 샘플로 분취하고 냉동 건조시켰다. 분취액을 생물학적 분석 또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하였다.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하여, Sephadex G75 수지를 사용하여 샘플을 분리하였다. 샘플을 분리하고 분획으로 수집하였다: 분획 1(163000 Da 초과), 분획 2(163000 내지 14500 Da), 분획 3(14500 내지 1300 Da), 분획 4(1300 내지 110 Da), 분획 5(110 내지 10 Da). 각각의 프로바이오틱 배양물로부터 분획 3을 수집하고 건조시켰으며, 건조된 샘플을 구엘프 대학교 어드밴스 어낼리티컬 센터에서 드노보 시퀀싱에 의해 분석하였다(표 3).
추가적으로, 실시예 1에 기재된 살모넬라 qPCR 분석 또는 UPEC 099 또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81M을 사용하는 락트산 탈수소효소(LDH) 분석을 사용하여 각각의 프로바이오틱 배양물로부터의 1× 샘플을 시험하였다. LDH 분석을 위하여, 건조된 무세포 상청액을 5 mL의 용원성 브로스에 재현탁시키고, UPEC 099 또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81M을 이용하여 접종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샘플을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분석하였다. 상청액의 100 μL 분취액을 12웰 플레이트에서 mL당 1×106개 세포로 1 mL 포유동물 HT29 세포에 첨가하였다. 샘플을 45분 동안 37℃ 및 5% CO2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제조자의 프로토콜(Pierce LDH Cytotoxicity assay kit, Thermo Scientific, Rockford, Il, USA)을 사용하여 상청액을 분석하였다. 프로토콜에서 제공된 공식을 사용하여 비처리 대조군 및 세제 용해 대조군을 사용하여 억제 백분율을 계산하였다(표 3).
무세포 상청액 및 SEC 분획 3으로부터 확인된 펩티드로부터의 활성 요약.
박테리아 종 균주명 균주 은행 코드 UPEC 099를 이용한 LDH 억제(%) MRSA 81M을 이용한 LDH 억제(%) HilA 하향 조절 배수 펩티드 서열 MALPPK 펩티드 서열
HLLPLP
펩티드 서열
YPVEPF
엘. 아시도필러스 La-5 DSM-13241 83 80 -77 MALPPK HLLPLP YPVEPF
엘. 람노서스 GG [Gorbach-Goldin] ATCC 53103 48 43 -36 LPVPK TTLPLPTT N.D.
엘. 루테리 DSM- 17938 90 0 -43 EVLNCLALPK HLLPLP EMPFKPYPVEPF
엘. 락티스 Berridge X 13 [BUCSAV 453, NCDO 496, NCIB 8586] ATCC 11454 95 17 -202 MALPPK HLLPLPL KYVPEPF
실시예 5: 약물 내성 극복
목적: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a-5와 같은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로부터의 무세포 상청액이 항생제에 대한 약물 내성 박테리아, 구체적으로 세폭시틴에 대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Staphylococci)의 민감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
물질 및 방법:
배치 N9 내지 N10 및 N13으로부터 이 실험에서 사용된 La-5 무세포 상청액을 수득하였다. 이 실험에서 3가지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MRS) 균주를 사용하였다: 1) 개 피부 감염으로부터 임상적으로 분리된 스타필로코커스 슈드인터메디우스(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별칭이 C260 22-2011 dtqa인 균주); 2) 캐나다 PEI의 샬럿타운에 있는 식료품점에서 구입한 쇠고기로부터 단리된 가축-연관 균주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별칭이 LA - 414M SPA t034인 균주); 및 3) 캐나다 PET의 샬럿타운에 있는 식료품점에서 구입한 가금류로부터 단리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별칭이 81M SPA t008인 균주). 3가지 모든 MRS 균주는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대학교에 있는 대서양 수의과 대학(Atlantic Veterinary College; AVC)이 제공하였다. 옥사실린 디스크 확산 방법을 사용하여 AVC 직원이 이들 균주의 메티실린 내성을 확인하였다. 균주를 원래 양 혈액 한천 경사면 상에서 배양한 다음, 용원성 브로스 한천 플레이트로 옮겼다. 메탄올에 재현탁된 세폭시틴을 항생제 내성 시험에 사용하고, 2가지 상이한 배지 유형, 즉 표준 용원성 브로스 및 표준 BBL™ 양이온-조정 뮬러-힌튼 배지(Cation-Adjusted Mueller-Hinton Medium; Becton, Dickinson and Company)에서 성장을 시험하였다. 세폭시틴의 최소 억제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무세포 상청액의 존재 및 부재 하에 각각의 배지에서 각각의 균주에 대하여 결정하였다. 분석을 포도상구균 종의 MIC 시험에 대한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CLSI) 가이드라인[CLSI, 2015]뿐만 아니라, 유럽 임상 미생물학 및 감염병 학회의 유럽 항균성 감수성 시험 위원회(EUCAST)[EUCAST, 2003]에 따라서 실행하였다.
MIC 시험에 대한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았다. 무세포 상청액을 각각의 배지에 재현탁시키고, 0.22 μM 기공 크기 필터를 통해 여과멸균하였다. 건조된 무세포 상청액의 필요한 농도를 칭량하고, 0 내지 60 mg/mL 범위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세폭시틴을 첨가하여 0 내지 250 μg/mL 범위의 최종 종도를 수득하였다. 호기성 조건에서 16 내지 20시간 동안 37℃ 및 200 rpm으로 진탕하면서 용원성 브로스 또는 뮬러 힌튼에서 밤새 각각의 균주의 배양물을 성장시켜 600 nm(OD600)에서 1.2 내지 1.6의 광학 밀도를 달성하였다. 밤새 배양물을 1,000배 희석시키고 각각의 샘플에 접종하였으며; 밤새 배양물의 이러한 희석물은 약 5×106 CFU/mL을 함유하는 접종물을 생성하였다. 배양물(150 μL)을 96웰의 투명한 평평한 바닥 미량정량판에서 성장시켰다. 그 다음, 미량정량판을 파라필름으로 덮고, 35℃±2℃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600 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를 판독하였다. MIC 값은 0.1 미만의 OD600 판독값을 초래하는 항생제의 농도였다. 데이터는 2개의 생물학적 복제본에서 2개의 기술 복제본의 평균이다.
메티실린 및 세폭시틴과 같은 β-락탐은 박테리아 세포벽 생합성을 억제한다. 박테리아는 이러한 억제제를 피하여 항생제 내성을 초래하는 메커니즘을 발전시켰다. MecA는 β-락탐에 결합하고, 이에 의하여 β-락탐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전자이다. MecA 유전자를 획득한 포도상구균은 메티실린 내성이다. MecA의 발현은 정족수 감지에 의해 조절되므로,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무세포 상청액이 정족수 감지를 억제함으로써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의 감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데이터는 무세포 상청액이 세폭시틴 항생제에 대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종의 감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결국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종의 증식을 정지시키거나 예방하는 데 필요한 세폭시틴의 농도를 감소시킨다. 무세포 상청액(5 mg/mL, 30 mg/mL, 및 60 mg/mL)의 시험된 농도에 있어서, 데이터는 용량 반응을 나타내며: 무세포 상청액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0 mg/mL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폭시틴 MIC에서 더 큰 감소가 있다. 세폭시틴 및 무세포 상청액의 조합은 세폭시틴 단독과 비교하여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의 감수성을 2.5 내지 6.25배 증가시킬 수 있다(표 4).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에 대한 세폭시틴 MIC 값의 범위
O.D. 0.1 미만까지 성장을 억제시키는 세폭시틴 농도(μg/mL)의 범위
분석당 건조된 무세포의 농도(mg/mL) MSRP C260
용원성 브로스
MRSA LA 414M 용원성 브로스 MRSA LA 414M 뮬러-힌튼 브로스 MRSA 81M 용원성 브로스 MRSA 81M
뮬러-힌튼 브로스
0 125~175 30~40 50~60 75~125 75~100
5 50~75 15~20 40~50 40~50 40~50
30 20~30 15~20 20~30 30~40 30~40
60 20~30 10~15 20~30 30~40 20~30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하여, Sephadex G75 수지를 사용하여 샘플을 분리하였다. 샘플을 분리하고 분획으로 수집하였다: 분획 1(163000 Da 초과), 분획 2(163000 내지 14500 Da), 분획 3(14500 내지 1300 Da), 분획 4(1300 내지 110 Da), 분획 5(110 내지 10 Da).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81M은 크기 배제 분획 3과 함께 배양될 때 세폭시틴에 대해 가장 민감하였다. 이 데이터는 활성 구성요소가 크기 배제 분획 3에 있음을 나타내며(표 5), 이러한 효과의 원인이 되는 생체활성 분자가 본원에 기재되고 특성화된 것과 동일함을 강하게 시사한다.
무세포 상청액의 크기 배제 분획을 이용한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81M에 대한 세폭시틴 MIC 값의 범위
대조군 O.D. 0.1 미만까지 성장을 억제시키는 세폭시틴 농도(μg/mL)의 범위
미처리(0 mg/mL) 60~75
무세포 상청액(30 mg/mL) 20~30
크기 배제 분획 번호
분획 1 60~75
분획 2 75~100
분획 3 30~40
분획 4 60~75
분획 5 40~50
상기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특정 용어가 본원에서 이용되었지만, 이와 같은 용어는 설명의 의미인 것으로 의도되며, 제한의 목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기 인용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각각의 개별 간행물,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 것으로 나타내어지는 것과 동일한 정도로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본원에 상세하게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또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Claims (36)

  1. 아미노산 서열 MALPPK를 포함하며, 19개 미만의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 펩티드.
  2. 아미노산 서열 MALPPK로 이루어진 펩티드.
  3. 아미노산 서열 CVLPPK를 포함하며, 68개 미만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펩티드.
  4. 아미노산 서열 CVLPPK로 이루어진 펩티드.
  5. 아미노산 서열 HLLPLP를 포함하며, 9개 미만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펩티드.
  6. 아미노산 서열 HLLPLP로 이루어진 펩티드.
  7. 서열 XX[L 또는 I]PPK를 포함하되,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소수성 아미노산을 나타내고, 19개 미만의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 펩티드.
  8. 서열 XX[L 또는 I]PPK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소수성 아미노산을 나타내는 펩티드.
  9. 서열 X1X2[L 또는 I]PPK로 이루어지되, X1은 N, C, Q, M, S, 및 T로부터 선택되고, X2는 A, I, L, 및 V로부터 선택되는 펩티드.
  10. LPVPK, ALPK, EVLNCLALPK, LPLP, HLLPLPL, YVPEPF, KYVPEPF, 및 EMPFKPYPVEP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서열로 이루어지되,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또는 20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펩티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로부터 유래된 펩티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La-5),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펩티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코커스는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인 펩티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은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박테리움 크루디락티스(Bifidobacterium crudilactis),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펩티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렙토코커스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인 펩티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는 항바이러스제, 당 공급원, 식용 식품, 영양 보충제 및 섭취가능한 액체 중 하나 이상과 조합되는 것인 펩티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는 무세포 상청액 또는 이의 분획으로부터 농축된 것인 펩티드.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는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된 것과 같은, 건조된 배양물 분획으로 제공되는 것인 펩티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배양물 분획은 무세포 상청액인 펩티드.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음료 제품, 건강 제품, 의약 또는 영양 보충제인 조성물.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펩티드가 유래된 살아있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펩티드가 유래된 박테리아 이외의 살아있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펩티드는 정제된 것인 조성물.
  25. 대상체에서 감염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고/하거나 대상체에서 감염의 병독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티드 또는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은 장내 감염인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은 비-장내(non-enteric) 감염인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은 요로 감염, 질 감염, 호흡기 감염, 위 감염, 바이오필름-생성 감염, 유방염, 피부 감염 및 구강 감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9.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티드 또는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MRS의 항생제 내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인 방법.
  3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티드 또는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MRS를 치료하는 방법.
  32.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티드 또는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을 예방 또는 파괴 및/또는 침투하는 방법.
  33.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티드 또는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34.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티드 또는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장내 병원체의 대상체의 조직에 대한 부착을 감소시키는 방법.
  35.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대하여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티드 또는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불활성 물체.
  36. 제35항에 있어서,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포함하는 스텐트, 카테터 또는 상처 드레싱이며, 상기 프로바이오틱 분자는 일정 기간에 걸쳐 상기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불활성 물체.
KR1020197030392A 2017-03-16 2018-03-16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수반하는 조성물 및 방법 KR201901416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72047P 2017-03-16 2017-03-16
US62/472,047 2017-03-16
PCT/CA2018/050319 WO2018165764A1 (en) 2017-03-16 2018-03-16 Compositions and methods involving probiotic molecu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667A true KR20190141667A (ko) 2019-12-24

Family

ID=6352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392A KR20190141667A (ko) 2017-03-16 2018-03-16 프로바이오틱 분자를 수반하는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20200016290A1 (ko)
EP (1) EP3596103A4 (ko)
JP (1) JP7252145B2 (ko)
KR (1) KR20190141667A (ko)
CN (1) CN110621689B (ko)
AU (2) AU2018233588A1 (ko)
BR (1) BR112019019255A2 (ko)
CA (1) CA3056718A1 (ko)
CL (1) CL2019002641A1 (ko)
EA (1) EA201992175A1 (ko)
MA (1) MA52150A (ko)
MX (1) MX2019011060A (ko)
PE (1) PE20191785A1 (ko)
PH (1) PH12019502341A1 (ko)
SG (1) SG11201909602TA (ko)
WO (1) WO20181657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065B1 (ko) * 2022-05-12 2023-07-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치로부터 유래된 LAB(lactic acid bacteri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오필름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A51873A (fr) 2017-03-16 2020-01-22 Microsintesis Inc Molécules probiotiques pour réduire la virulence d'agents pathogènes
KR102135195B1 (ko) * 2018-10-08 2020-07-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테트라제노코커스 할로필러스를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786703A (zh) * 2019-07-02 2022-07-22 微合成有限公司 群体感应抑制剂和/或后生元代谢物及相关方法
CN112980712A (zh) * 2019-12-14 2021-06-18 山东大学 一种调节高原人群情绪及肠道菌群稳定的微生物组合物及其应用
CN114591879B (zh) * 2022-05-11 2022-12-06 中国农业大学 一种抑制幽门螺杆菌的发酵乳杆菌及其应用
WO2024097250A1 (en) * 2022-10-31 2024-05-10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Polymeric carrier for probiotics
CN117815160B (zh) * 2023-11-08 2024-05-28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潞河医院 一种黄芪散饮片的制备及其在治疗慢性肾功能不全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24400T2 (de) * 1989-04-28 1996-06-27 Takara Shuzo Co Dem menschlichen Calpastatin ähnliches Polypeptid
FR2686085B1 (fr) * 1992-01-10 1995-08-04 Agronomique Inst Nat Rech Peptides representant des fragments du cmp, anticorps diriges contre lesdits peptides, et leurs utilisations.
WO1994018832A1 (en) * 1993-02-26 1994-09-01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Cd4 mediated modulation of lipid kinases
US7393663B2 (en) * 1997-08-01 2008-07-01 Serono Genetics Institute S.A. Expressed sequence tags and encoded human proteins
US20040031072A1 (en) * 1999-05-06 2004-02-12 La Rosa Thomas J. Soy nucleic acid molecules and other molecules associated with transcription plants and uses thereof for plant improvement
ATE542896T1 (de) * 2004-12-23 2012-02-15 Campina Nederland Holding Bv Mit dpp-iv hemmenden peptiden angereichertes proteinhydrolysat und deren verwendung
CN101351554B (zh) * 2005-10-04 2016-05-18 索利金尼克斯公司 包括通过调节先天免疫治疗和预防感染在内的治疗和预防免疫相关疾病的新型肽
JP2009516738A (ja) * 2005-11-21 2009-04-23 ティーガスク−ザ アグリカルチャー アンド フ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オーソリティー カゼイン由来の抗菌ペプチドおよびそれを生成するLactobacillus株
US8431528B2 (en) * 2008-05-16 2013-04-30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Antibacterial Lactobacillus GG peptides and methods of use
US20110262400A1 (en) * 2008-06-27 2011-10-27 University Of Guelph Probiotic bacterial molecules and their use in methods to treat/prevent infection by harmful bacteria and to provide nutritional health
US8758765B2 (en) * 2008-07-29 2014-06-24 The University Of Chicago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o Staphylococcal bacterium proteins
GB201001602D0 (en) * 2010-02-01 2010-03-17 Cytovation As Oligopeptidic compounds and uses therof
WO2011119484A1 (en) * 2010-03-23 2011-09-29 Iogenetics, Llc Bioinformatic processes for determination of peptide binding
WO2014035345A1 (en) * 2012-08-29 2014-03-06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Peptides and uses thereof
WO2014033281A1 (en) * 2012-08-31 2014-03-06 Westfaelische Wilhelms-Universitaet Muenster Methods and peptide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 bcr-abl and a c-abl associated disease
CN112656782A (zh) * 2013-05-01 2021-04-16 尼奥酷里私人有限公司 治疗细菌感染的方法
EP3033351A4 (en) * 2013-08-12 2017-03-22 Mansel Griffiths Antiviral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probiotic bacterial molecules
JP6262694B2 (ja) * 2014-08-18 2018-01-17 森永乳業株式会社 プロリルオリゴペプチダーゼ阻害剤
AU2016253145B2 (en) * 2015-04-23 2020-07-02 Nant Holdings Ip, Llc Cancer neoepitopes
MA51873A (fr) * 2017-03-16 2020-01-22 Microsintesis Inc Molécules probiotiques pour réduire la virulence d'agents pathogè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065B1 (ko) * 2022-05-12 2023-07-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치로부터 유래된 LAB(lactic acid bacteri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오필름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52145B2 (ja) 2023-04-04
AU2022202600B2 (en) 2024-01-04
CL2019002641A1 (es) 2020-05-15
CN110621689B (zh) 2024-04-16
CA3056718A1 (en) 2018-09-20
CN110621689A (zh) 2019-12-27
EA201992175A1 (ru) 2020-03-05
BR112019019255A2 (pt) 2020-04-14
US20240016970A1 (en) 2024-01-18
PH12019502341A1 (en) 2020-10-12
EP3596103A4 (en) 2021-01-20
PE20191785A1 (es) 2019-12-24
MX2019011060A (es) 2019-12-09
EP3596103A1 (en) 2020-01-22
US20200016290A1 (en) 2020-01-16
MA52150A (fr) 2020-01-22
JP2020510095A (ja) 2020-04-02
WO2018165764A1 (en) 2018-09-20
AU2018233588A1 (en) 2019-10-31
AU2022202600A1 (en) 2022-05-12
SG11201909602TA (en)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03650B2 (en) Probiotic molecules for reducing pathogen virulence
AU2022202600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involving probiotic molecules
JP7491643B2 (ja) 相乗的細菌組成物並びにその生成及び使用の方法
JP6942745B2 (ja) 組成物および方法
Aly et al. Studies on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as potential probiotics, on the immune response and resistance of Tilapia nilotica (Oreochromis niloticus) to challenge infections
Hoare et al. Ecological therapeutic opportunities for oral diseases
ES2545209T3 (es) Método de obtención de una nueva cepa de Bifidobacterium bifidum con actividad frente a la infección por Helicobacter pylori
US20220347257A1 (en) Quorum-sensing inhibitors and/or postbiotic metabolites and related methods
CN109789172A (zh) 用于难辨梭菌治疗的组合物和方法
WO2001034168A9 (en) Inhibition of pathogens by bacillus coagulans strains
Mahdi et al. Treatment strategy by lactoperoxidase and lactoferrin combination: Immunomodulatory an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Ruan et al. Encapsulated Bifidobacteria reduced bacterial translocation in rats following hemorrhagic shock and resuscitation
EA046254B1 (ru) Пробиотические молекулы для снижения вирулентности патогена
EP2135614A1 (en) Intestinal dismicrobism compound having anti-diarrhoea, anti-inflammatory and lactose and lactose derivative intolerance lenitive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