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331A -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331A
KR20190141331A KR1020180067943A KR20180067943A KR20190141331A KR 20190141331 A KR20190141331 A KR 20190141331A KR 1020180067943 A KR1020180067943 A KR 1020180067943A KR 20180067943 A KR20180067943 A KR 20180067943A KR 20190141331 A KR20190141331 A KR 20190141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lation
video
subtitle
translator
appl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765B1 (ko
Inventor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이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준 filed Critical 이동준
Priority to KR102018006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765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역 서비스 제공자(플랫폼)가 다수의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여 한 명 이상의 번역자에게 번역 프로젝트를 진행하되, 번역이 완료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반 시청자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여 시청할 수 있고, 번역 신청자는 무료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되, 일반 시청자보다 시청 비용이 저렴하게 함으로써 번역 신청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FOR TRANSLATING VIDEO SUBTITLES}
본 발명은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번역 서비스 제공자(플랫폼)가 번역 신청자에게 일정 비율의 번역비를 지불하도록 하여 다수의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고, 전체 비용 이상의 번역비가 모이면 한 명 이상의 번역자에게 번역비를 지급하여 번역 프로젝트를 진행하되, 번역이 완료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반 시청자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여 시청할 수 있고, 번역 신청자는 무료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되, 일반 시청자보다 시청 비용이 저렴하게 함으로써 번역 신청을 유도할 수 있는 온라인 스트리밍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네트워크(인터넷 망) 및 전자 기술을 발전으로 네트워크에 가입하는 가입자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일반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는 포탈 사이트를 통한 검색 서비스, 블로그 서비스, 메일 서비스 등이 있으며, 오늘날 가입자들이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수동적인 입장에 그치지 않고, 능동적으로 컨텐츠를 제작하는 동영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동영상은 네트워크 상에서 가입자들간의 새로운 문화로 자리매김하여 많은 가입자들이 네트워크의 포탈 사이트를 통해 동영상을 이용하거나, 동영상을 자체 제작하여 다른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가입자 입장에서 컨텐츠의 재창조 또는 재해석 등과 같은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은 네트워크 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지역적 구분없이 모든 가입자들이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데 반해, 제작되는 동영상의 언어가 각 국가 또는 사용 언어별 지역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외국어 번역 능력에 따라 가입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동영상이 제한적이 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예를 들어, 국내(한글 언어권) 가입자가 영어권 국가의 가입자가 자체 제작한 동영상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영어권 가입자는 영어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제작하기 때문에 국내 가입자가 영어 번역 능력이 떨어지면, 영어권 동영상을 적절하게 이용하지 못하게 된다. 즉, 영어권 가입자는 음성, 자막 및 주위 정보들이 모두 영어로 구현되는 영어권 동영상을 제작할 것이므로, 국내 가입자는 영어 번역 능력에 따라 영어권 동영상의 이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국내 가입자가 영어권 동영상을 검색하고, 포탈 사이트의 게시판을 통해 해당 영어권 동영상에 대한 자막 내용 또는 번역을 영어 번역 능력이 좋은 다른 가입자에게 문의하고, 다른 가입자로부터 검색한 영어권 동영상에 대한 내용 및 번역 내용을 게시판의 질의 사항에 대한 답변으로 제공받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영어권 동영상을 검색한 국내 가입자가 별도의 질의 과정을 통해 영어권 동영상에 대한 질의하고, 다른 가입자가 영어권 동영상에 대한 답변을 할 때까지 많은 시간이 소모될 것이므로, 영어권 동영상에 대한 관심이 저하되거나, 긴급하게 영어권 동영상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른 대처 방법이 없게 된다.
또한, 국내 가입자가 다른 언어권에서 제작된 동영상을 검색하는 방식 역시 국내 가입자의 언어 능력에 따라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다른 언어권으로 제작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다른 언어권으로 제작된 동영상의 자막 내용에 대한 번역 및 편집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번역 서비스 제공자(플랫폼)가 다수의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여 한 명 이상의 번역자에게 번역 프로젝트를 진행하되, 번역이 완료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반 시청자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여 시청할 수 있고, 번역 신청자는 무료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되, 일반 시청자보다 시청 비용이 저렴하게 함으로써 번역 신청을 유도할 수 있는 온라인 스트리밍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번역 신청자, 번역자 또는 일반 시청자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다수의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여 상기 번역 신청자로부터 입력되는 번역 신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번역자에게 동영상 자막에 대한 번역을 요청하고, 상기 번역자로부터 입력되는 자막 번역 내용을 상기 동영상에 부가하여 번역 동영상을 상기 번역 신청자 및 일반 시청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번역 신청자 및 일반 시청자의 검색 요청에 부합하는 상기 동영상 자막 번역 영상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번역 신청자에게 일정 비율의 번역비를 지불하도록 하여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원하는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번역 완료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반 시청자에게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여 시청하도록 하고, 번역 신청자에게는 무료로 시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2인 이상이 분담하여 번역하는 경우에, 1명의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가 지정되며, 상기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는 나머지 번역자들보다 더 높은 요율의 번역료를 지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번역 신청자로부터 동영상 자막의 식별 정보, 제작된 제1 언어권 또는 번역 신청하는 제2 언어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번역 신청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번역자 별 개인 정보, 번역 가능 정보 또는 번역 능력 점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번역자 리스트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각 번역자가 번역한 번역 동영상 자막에 대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들의 선호도, 번역 횟수, 번역 기간, 인기 게시물 선정 이력 또는 번역 만족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번역 능력 점수를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번역 신청자로부터 번역 신청이 있으면, 게시판으로 상기 번역 신청 정보를 게시하면서 상기 번역자 리스트에서 번역 능력 점수가 높으면서 번역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제1 언어권에서 제2 언어권으로 번역 가능한 번역자를 검색하여 번역을 신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번역 신청자, 번역자 또는 일반 시청자 중 하나에 속하는 가입자 별 열람 이력, 번역 이력 또는 접속 이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동영상에 상기 번역 정보를 텍스트 기반으로 부가하여 상기 번역 동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을 조회하고, 번역 내용의 표시 범위와, 번역 내용의 시작 및 종료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동영상에 상기 자막 번역 내용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일반 시청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하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내용 또는 자막 번역 내용이 포함되는 상기 동영상 및 자막 번역 동영상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번역 신청자에게 일정 비율의 번역비를 지불하도록 하여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원하는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는 번역 신청자 모집부와, 번역 신청자, 번역자 또는 일반 시청자 별 개인 정보, 인증 정보 및 번역자 리스트를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부와, 상기 번역 신청자로부터 번역 신청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동영상 자막 번역에 적합한 번역자를 검색 지정하여 상기 번역자에게 해당 동영상에 대한 번역을 신청하는 번역 신청부와, 지정된 번역자에게 일정한 번역비를 지급하는 번역비 지급부와, 상기 번역자로부터 번역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동영상에 자막 번역 정보를 부가하는 동영상 편집부와, 상기 동영상, 자막 번역 동영상 또는 자막 번역 내용을 상기 서비스 이용자들의 추천 정도, 열람 횟수, 언어권, 카테고리 또는 번역자 중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구분 관리하는 동영상 관리부와, 상기 자막 번역 동영상을 상기 번역 신청자 및 일반 시청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일반 시청자가 입력하는 키워드에 부합되는 상기 동영상, 자막 번역 동영상 또는 자막 번역 내용을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부와, 상기 동영상, 자막 번역 동영상, 자막 번역 내용 또는 번역 신청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입자 관리부는, 번역자 별 개인 정보, 번역 가능 정보 또는 각 번역자가 번역한 자막 번역 동영상에 대한 일반 시청자들의 선호도, 번역 횟수, 번역 기간, 인기 게시물 선정 이력 또는 번역 만족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책정되는 번역 능력 점수를 관리하고, 가입자 별 열람 이력, 번역 이력 또는 접속 이력 중 하나 이상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번역 신청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번역 신청 정보를 저장하면서 게시판에 번역 신청 정보를 게시하고, 상기 번역자 리스트에서 번역 능력 정수가 높으면서 번역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제1 언어권에서 제2 언어권으로 번역 가능한 번역자를 검색하여,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상기 동영상에 대한 자막 번역을 신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영상 제공부는, 상기 일반 시청자가 초기 접속하면, 초기 화면을 통해 일반 시청자들의 추천 정도, 열람 횟수, 언어권, 카테고리 또는 번역자 중 하나 이상의 구분 조건으로 인기도가 높은 동영상 및 자막 번역 동영상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영상 제공부는, 상기 일반 시청자가 입력하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번역 내용을 가지는 자막 번역 동영상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원하는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는 단계와, 번역 신청자, 번역자 또는 일반 시청자 별 개인 정보, 인증 정보 및 번역자 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번역 신청자로부터 번역 신청 정보가 입력되면, 번역자를 선택해서 상기 번역자에게 해당 동영상에 대한 자막 번역을 신청하는 단계와, 상기 번역자로부터 번역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동영상에 자막 번역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번역 정보가 부가되는 자막 번역 동영상을 해당 번역 신청자 및 일반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원하는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는 단계에서, 번역 신청자에게 일정 비율의 번역비를 지불하도록 하여 번역 신청자들을 모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번역 완료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반 시청자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여 시청하고, 번역 신청자는 무료로 시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2인 이상이 분담하여 번역하는 경우에, 1명의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가 지정되며, 상기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는 나머지 번역자들보다 더 높은 요율의 번역료를 지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번역 서비스 제공자(플랫폼)가 다수의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여 한 명 이상의 번역자에게 번역 프로젝트를 진행하되, 번역이 완료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반 시청자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여 시청할 수 있고, 번역 신청자(초기 번역 신청 및 비용 지불자)가 번역 완료된 콘텐츠의 이용시 일반 시청자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번역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으로 제공되는 동영상 중 번역 서비스 이용자가 요청하는 동영상의 자막 내용을 번역하여 빠른 시간 내에 제공할 수 있으며, 많은 번역자 중 번역 능력 점수가 높은 번역자에게 번역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언어권으로 제작된 동영상에 대한 자막 내용을 번역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번역 서비스 이용자들이 실시간으로 다른 언어권의 동영상을 검색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번역 서비스 이용자가 번역된 내용을 기반으로 키워드를 통해 동영상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른 동영상을 보다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가입자(번역 신청자, 번역자 및 일반 시청자)의 행위 방식으로 설명하나, 가입자가 네트워크 접속 가능 단말(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 및 동영상을 제공받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가입자(100)가 네트워크(예를 들어 유/무선 인터넷 망)(200)를 통해 다수의 가입자(100)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포탈 사이트 서버(400)에 접속하며, 가입자(100)는 소유하는 네트워크 접속 가능 단말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포탈 사이트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다.
포탈 사이트 서버(400)는 가입자(100)들이 제작되는 동영상을 등록하고, 다른 가입자(100)들이 등록한 동영상을 검색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포탈 사이트를 운영하며, 네트워크(200) 상에 존재하는 다른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가입자(100)가 요청하는 조건에 부합되는 동영상을 검색하여 제공한다.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며, 포털 사이트 서버(400)와 연동하거나, 포털 사이트 서버의 운용자가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같이 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번역 신청자(100a)는 포털 사이트 또는 기타 방식으로 검색되는 동영상에 대한 자막 번역 신청을 실시하는 가입자(100)이고, 번역자(100b)는 번역을 요청되는 동영상의 자막 내용을 번역하는 가입자(100)이고, 일반 시청자(100c)는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기등록된 자막 번역 동영상을 검색하여 사용하는 가입자(100)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번역 신청자(100a)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번역비를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제공해야 한다.
이때, 1명의 번역 신청자(100a)가 번역비 전부를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번역비 전체 비용의 1/n (n은 번역 신청자 수)만 지불한다.
그러므로, 동영상 1편의 자막 번역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 동영상의 번역비를 충족시키는 다수의 번역 신청자(100a)가 모여야 한다.
만일, 이 조건의 충족되지 않는 경우, 번역 신청자(100a)의 번역비는 처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충분한 수의 번역 신청자(100a)가 번역 신청을 한 경우에는 번역이 이루어진다. 더 많은 번역 신청자(100a)가 신청하는 경우, 1/n (n은 번역 신청자 수)로 지불하기 때문에 번역 신청비가 더 줄어들 수 있다.
한편,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번역 신청자(100a)로부터 번역이 요청되면 즉, 번역 신청자(100a)로부터 동영상 및 자막 번역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동영상에 대한 번역 요청 정보를 게시판에 게재하면서 번역자(100b)에게 번역을 의뢰한다.
이때, 번역 의뢰 정보는 선택되는 동영상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 제작된 제1 언어권 정보 및 번역을 의뢰하는 제2 언어권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영상에 대한 자막 번역 작업이 가능한 번역자 리스트를 관리하며, 번역 신청자(100a)로부터 번역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게시판에 번역 요청 정보를 게시하여, 번역 가능한 번역자(100b)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1 언어권 및 제2 언어권을 기반으로 번역 작업이 가능한 번역자(100b)를 검색하여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번역자(100b)에게 동영상에 대한 번역 요청이 있음을 알린다.
이때,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번역자 리스트를 번역자(100b)별 개인 정보(예를 들어, 핸드폰 번호), 번역 가능한 번역 가능 정보(예를 들어, 영어->국어, 독일어->국어, 국어->영어 등)로 관리할 수 있으며, 각 번역자(100b)별 번역 능력 점수(예를 들어, 상/중/하 또는 수치화된 점수)를 관리하여, 번역 요청이 있으면, 번역 능력이 좋으면서 번역 가능한 번역자(100b)를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번역 능력 점수는 번역자(100b)별 번역 기간, 이후 해당 번역 동영상을 이용한 가입자(100)들의 평점을 기준으로 책정할 수 있다.
그리고,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번역 신청자(100a)를 통해 모인 번역비를 다수의 번역자(100b)에게 제공한다. 이때, 짧은 동영상의 경우에는 1 명의 번역자(100b)가 전담할 수도 있고, 그보다 긴 동영상은 2인 이상의 번역자(100b)가 분담하여 번역하게 된다.
만일, 2인 이상이 분담하여 번역하는 경우, 1명의 대표 번역자, 즉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가 지정되며,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는 나머지 번역자들보다 더 높은 요율의 번역료를 지급받는다.
번역자(100b)는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운용하는 게시판을 확인하거나, 별도로 번역 요청을 수신하면, 번역 요청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동영상 자막에 대한 내용을 번역하여 번역 내용을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입력한다.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번역자(100b)로부터 번역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동영상에 번역 정보를 부가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번역 신청자(100a)에게 제공한다.
이때,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영상에 번역 내용을 동기화하여 부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영상에 번역 내용을 텍스트 방식으로 자막 처리할 수 있으며, 동영상의 재생 시간(프레임)을 조회하여, 번역 내용의 표시 범위와, 표시 시작 및 종료 시간을 기반으로 동영상에 텍스트 방식의 번역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그리고,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막 번역이 요청된 동영상 및 자막 번역 정보가 포함된 번역 동영상을 데이터 베이스(미도시, 도 2의 380 참조)에 구축하여, 일반 시청자(100c)가 요청하는 조건에 부합되는 동영상 또는 자막 번역 동영상을 검색하여 제공한다.
이때, 일반 시청자(100c)는 텍스트를 기반으로 조건 검색을 요청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영상 또는 자막 번역 동영상에 일반 시청자(100c)가 요청하는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조회한다. 특히, 일반 시청자(100c)는 자막 번역이 완료된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특정 금액을 지불해야만 동영상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번역 신청자(100a)는 본인이 번역을 신청한 동영상에 한하여 무료로 동영상을 볼 수 있다. 1/n (n은 번역 신청자 수)로 지불하는 번역 비용이 번역이 완료된 동영상을 시청하는 시청 비용과 비교하여 더 저렴하기 때문에, 이것이 시청자들로 하여금 번역이 완료된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보다 번역을 직접 요청하게 하는 인센티브가 된다.
또한,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일반 시청자(100c)가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그 금액 전액을 수익으로 가져 가게 된다.
그리고, 번역 자막이 제공되는 동영상은 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예를 들어, 유튜브)가 보유한 동영상이 될 수 있고, 번역 신청자(100a)가 직접 업로드한 동영상이 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번역 신청자 모집부(310), 가입자 관리부(320), 번역 신청부(330), 번역비 지급부(340), 동영상 편집부(350), 동영상 관리부(360), 동영상 제공부(370) 및 데이터 베이스(DB: data base)(380)를 포함한다.
번역 신청자 모집부(310)는 번역 신청자에게 일정 비율의 번역비를 지불하도록 하여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원하는 번역 신청자(100a)를 모집한다.
가입자 관리부(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동영상 번역 서비스에 가입하는 가입자(100), 즉, 번역 신청자(100a), 번역자(100b) 및 서비스 이용자(100c)의 개인 정보, 인증 정보(아이디 및 비밀 번호) 및 번역자 리스트를 관리한다.
가입자 관리부(320)는 번역자(100b)별 개인 정보(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핸드폰 번호), 번역 가능 정보 및 번역 능력 점수를 번역자 리스트로 관리 할 수 있으며, 번역 능력 점수는 각 번역자(100b)가 번역한 자막 번역 동영상에 대한 일반 시청자(100c)들의 선호도, 번역 횟수, 번역 기간, 인기 게시물 선정 이력, 번역 만족도 등과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책정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 관리부(320)는 접속하는 가입자(100)별 열람 이력, 번역 이력 및 접속 이력 등과 같은 이력 정보를 관리한다.
가입자 관리부(320)는 번역 신청자(100a)로부터 번역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데이터 베이스(380)에 번역 요청 정보를 저장하면서 게시판에 번역 요청 정보를 게시하면서 번역자 리스트를 조사한다.
그리고, 번역 신청부(330)는 번역 능력 점수가 높으면서 번역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제1 언어권에서 제2 언어권으로 번역 가능한 번역자(100b)들을 검색한 후 이들 중 적당한 번역자를 선택하여,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기 선택된 번역자(100b)에게 동영상 자막에 대한 번역 요청이 있음을 알린다.
또한, 번역비 지급부(340)는 번역 신청자(100a)로부터 받은 번역비를 다수의 번역자(100b)에게 지급한다. 이때, 짧은 동영상의 경우에는 1명이 전담할 수도 있고, 그보다 긴 동영상은 2인 이상의 번역자(100b)가 분담하여 번역하게 된다.
만일, 2인 이상의 번역자(100b)가 분담하여 번역하는 경우, 1명의 대표 번역자, 즉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가 지정되며,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는 나머지 번역자들보다 더 높은 요율의 번역료를 지급받는다.
그리고, 동영상 편집부(350)는 번역자(100b)로부터 번역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동영상에 자막 번역 정보를 부가하여, 데이터 베이스(38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 편집부(350)는 영어권 동영상의 음성에 대한 텍스트 번역 정보가 입력되면, 영어권 동영상에 텍스트 번역 정보가 자막 처리되도록 부가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 편집부(350)는 동영상의 재생 시간(프레임)을 조회하고, 자막 번역 내용의 표시 범위와, 자막 번역 내용의 시작 및 종료 시간을 기반으로 동영상에 자막 번역 내용을 부가할 수 있으며, 시간 입력은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정확하게 동기화시키거나 일정 시간을 가산 또는 차감하거나, 스톱 워치와 유사하게 동영상을 선택하면, 자막 번역 내용을 표시할 시점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동영상에 자막 번역 내용을 부가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관리부(360)는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및 자막 번역 내용이 부가되는 자막 번역 동영상을 데이터 베이스(380)에 구축 관리하고, 동영상 및 번역 동영상을 일반 시청자(100c)들의 추천 정도, 열람 횟수, 언어권, 카테고리, 번역자(100b) 등과 같은 조건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동영상 관리부(360)는 번역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동영상, 자막 번역 내용이 부가되는 번역 동영상 및 번역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380)에 저장하여, 일반 시청자(100c)가 동영상을 필요에 따라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동영상 제공부(370)는 동영상 편집부(350)에서 동영상에 자막 번역 내용을 부과하는 편집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동영상에 대한 번역 요청한 번역 신청자(100a)에게 자막 번역 동영상을 제공한다.
그리고, 동영상 제공부(370)는 일반 시청자(100c)가 접속하면, 검색 화면을 출력하고, 일반 시청자(100c)가 입력하는 조건에 부합되는 동영상 및 자막 번역 동영상을 데이터 베이스(380)에서 검색하여 제공한다.
즉, 동영상 제공부(370)는 일반 시청자(100c)가 초기 접속하면, 초기 화면을 통해 일반 시청자(100c)들의 추천 정도, 열람 횟수, 언어권, 카테고리, 번역자(100b) 등과 같은 구분 조건으로 인기도가 높은 동영상 및 자막 번역 동영상 리스트를 제공하고, 서비스 이용자(100c)가 선택하는 동영상 및 자막 번역 동영상을 제공한다
그리고, 동영상 제공부(370)는 일반 시청자(100c)가 입력하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내용이 포함되는 동영상 및 자막 번역 동영상을 검색하여 제공한다.
이때, 동영상 제공부(370)는 일반 시청자(100c)가 입력하는 텍스트 키워드와 일치하는 번역 내용이 포함되는 자막 번역 동영상이 있는지 검색하여 그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동영상 제공부(370)는 다른 언어권에서 제작된 동영상을 국내 가입자가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번역 내용에 가입자(100)가 입력하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자막 번역 동영상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번역 신청자에게 일정 비율의 번역비를 지불하도록 하여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원하는 번역 신청자(100a)를 모집한다(S 100).
이때, 번역 신청자(100a)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번역비를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 운영자에게 지불해야 한다.
이때, 1명의 번역 신청자(100a)가 번역비 전부를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번역비 전체 비용의 1/n (n은 번역 신청자 수)만 지불한다.
그러므로, 동영상 1편의 자막 번역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 동영상의 번역비를 충족시키는 다수의 번역 신청자(100a)가 모여야 한다.
만일, 이 조건의 충족되지 않는 경우, 번역 신청자(100a)의 번역비는 처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충분한 수의 번역 신청자(100a)가 번역 신청을 한 경우에는 번역이 이루어진다. 더 많은 번역 신청자(100a)가 신청하는 경우, 1/n (n은 번역 신청자 수)로 지불하기 때문에 번역 신청비가 더 줄어들 수 있다.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다수의 가입자(100) 중 동영상 번역 서비스에 가입하는 가입자(100)를 관리한다(S 110).
이때,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영상 번역 서비스에 가입하는 가입자(100), 즉, 번역 신청자(100a), 번역자(100b) 및 일반 시청자(100c)의 개인 정보, 인증 정보(아이디 및 비밀 번호) 및 번역자 리스트를 관리한다.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번역자(100b)별 개인 정보(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핸드폰 번호), 번역 가능 정보 및 번역 능력 점수를 번역자 리스트로 관리한다.
이때,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번역자(100b)가 번역한 자막 번역 동영상에 대한 일반 시청자(100c)들의 선호도, 번역 횟수, 번역 기간, 인기 게시물 선정 이력, 번역 만족도 등과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번역 능력 점수를 책정하며, 가입자(100)별 열람 이력, 번역 이력 및 접속 이력 등과 같은 이력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입자(100)가 접속하면, 이력 정보를 출력하면서 마지막 접속에 검색한 동영상 및 자막 번역 동영상의 리스트를 제공하거나, 번역 작업 중인 동영상을 제공한다.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접속하는 가입자(100)로부터 번역 요청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번역을 요청하는 동영상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 제작되어진 제1 언어권 정보 및 번역 요청하는 제2 언어권 정보가 포함되는 번역 요청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번역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데이터 베이스(380)에 번역 요청 정보를 저장하면서 게시판에 번역 요청 정보를 게시한다(S 120).
그리고,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번역자 리스트에서 번역 능력 정수가 높으면서 번역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제1 언어권에서 제2 언어권으로 번역 가능한 번역자(100b)를 검색하여,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번역자(100b)에게 동영상에 대한 번역 요청이 있음을 알린다(S 130).
즉,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게시판을 통해 다수의 번역자(100b)에게 번역 요청이 있음을 알리면서 번역 능력 점수가 높은 번역자(100b)에게 별도로 공지한다.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운영자는 모인 번역비를 다수의 번역자(100b)에게 제공한다(S 140).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2인 이상의 번역자들이 분담하여 번역하는 경우에, 1명의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가 지정되며, 상기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는 나머지 번역자들보다 더 높은 요율의 번역료를 지급받는다.
그 다음, 번역자(100b)는 게시판 또는 별로도 통해 번역 요청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이 번역이 가능하면, 해당 동영상에서 번역 가능한 내용에 대한 번역을 처리하여, 번역 내용을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입력한다(S 150).
이때, 번역자(100b)는 번역 작업을 통해 광고하고자 하는 홍보자 또는 사업가인 경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협의에 의해 번역 내용이 광고 정보를 포함시켜 홍보 활동을 할 수 있거나, 소정의 번역료를 지불 받을 수 있다.
또한, 번역자(100b)가 번역 내용을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입력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접속 가능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클립 보드로 복사 / 붙여 넣기를 통해 입력하거나,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응용 프로그램에 직접 입력하거나, 번역 내용을 별도의 파일로 생성하여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번역자(100b)로부터 번역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동영상에 번역 정보를 부가하여, 번역 동영상을 데이터 베이스(380)에 저장한다(S 160).
예를 들어,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영어권 동영상의 음성에 대한 텍스트 번역 정보가 입력되면, 영어권 동영상에 텍스트 번역 정보가 자막 처리되도록 부가할 수 있으며, 동영상의 재생 시간(프레임)을 조회하고, 번역 내용의 표시 범위와, 번역 내용의 시작 및 종료 시간을 기반으로 동영상에 번역 내용을 부가할 수 있으며, 시간 입력은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정확하게 동기화시키거나 일정 시간을 가산 또는 차감하거나, 스톱 워치와 유사하게 동영상을 선택하면, 번역 내용을 표시할 시점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동영상에 번역 내용을 부가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영상, 번역 내용이 부가되는 번역 동영상 및 번역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380)에 저장하면서 번역 신청자(100a)에게 번역 동영상을 제공한다(S 170).
이때,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번역 신청자(100a)로부터 마일리지 또는 포인트 등과 같은 보상 내용을 입력받고, 자막 번역 동영상을 제공하면서 번역 신청자(100a)로부터 보상 내용을 징수하여 번역자(100b)에게 지불할 수 있다.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영상 및 번역 동영상을 서비스 이용자(100c)들의 추천 정도, 열람 횟수, 언어권, 카테고리, 번역자(100b) 등과 같은 조건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S 180).
이때,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번영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동영상, 번역 내용이 부가되는 동영상 및 번역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380)에 저장하여, 서비스 이용자(100c)가 동영상을 필요에 따라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일반 시청자(100c)로부터 동영상 검색이 요청되는지를 확인한다.
즉,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일반 시청자(100c)가 초기 접속하면, 초기 화면을 통해 일반 시청자(100c)들의 추천 정도, 열람 횟수, 언어권, 카테고리, 번역자(100b) 등과 같은 구분 조건으로 인기도가 높은 동영상 및 번역 동영상 리스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일반 시청자(100c)로부터 키워드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일반 시청자(100c)로부터 입력되는 입력하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내용이 포함되는 동영상 및 번역 동영상을 검색한다.
이때,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일반 시청자(100c)가 입력하는 텍스트 키워드와 일치하는 번역 내용이 포함되는 번역 동영상이 있는지 검색하여 그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다른 언어권에서 제작된 동영상을 국내 가입자(100)가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번역 내용에 가입자(100)가 입력하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번역 동영상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그리고,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다수개의 동영상 및 번역 동영상의 검색 결과 리스트를 출력하고, 일반 시청자(100c)가 선택하는 동영상 및 번역 동영상을 데이터 베이스(380)로부터 제공한다(S 190).
이때,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일반 시청자(100c)의 선택에 따라 동영상, 번역 동영상 및 번역 내용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번역 서비스 제공자(플랫폼)가 다수의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여 한 명 이상의 번역자에게 번역 프로젝트를 진행하되, 번역이 완료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반 시청자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여 시청할 수 있고, 번역 신청자는 무료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되, 일반 시청자보다 시청 비용이 저렴하게 함으로써 번역 신청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가입자 100a: 번역신청자
100b: 번역자 100c: 일반 시청자
200: 네트웍크 300: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
310: 번역 신청자 모집부 320: 가입자 관리부
330: 번역 신청부 340: 번역비 지급부
350: 동영상 편집부 360: 동영상 관리부
370: 동영상 제공부 380: 데이타 베이스
400: 포탈 사이트 서버

Claims (14)

  1. 번역 신청자, 번역자 또는 일반 시청자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다수의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여 상기 번역 신청자로부터 입력되는 번역 신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번역자에게 동영상 자막에 대한 번역을 요청하고, 상기 번역자로부터 입력되는 자막 번역 내용을 상기 동영상에 부가하여 번역 동영상을 상기 번역 신청자 및 일반 시청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번역 신청자 및 일반 시청자의 검색 요청에 부합하는 상기 동영상 자막 번역 영상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번역 신청자에게 일정 비율의 번역비를 지불하도록 하여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원하는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번역 완료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반 시청자에게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여 시청하도록 하고, 번역 신청자에게는 무료로 시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2인 이상의 번역자들이 분담하여 번역하는 경우에, 1명의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가 지정되며, 상기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는 나머지 번역자들보다 더 높은 요율의 번역료를 지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번역 신청자로부터 동영상 자막의 식별 정보, 제작된 제1 언어권 또는 번역 신청하는 제2 언어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번역 신청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번역자 별 개인 정보, 번역 가능 정보 또는 번역 능력 점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번역자 리스트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각 번역자가 번역한 번역 동영상 자막에 대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들의 선호도, 번역 횟수, 번역 기간, 인기 게시물 선정 이력 또는 번역 만족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번역 능력 점수를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번역 신청자로부터 번역 신청이 있으면, 게시판으로 상기 번역 신청 정보를 게시하면서 상기 번역자 리스트에서 번역 능력 점수가 높으면서 번역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제1 언어권에서 제2 언어권으로 번역 가능한 번역자를 검색하여 번역을 신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번역 신청자, 번역자 또는 일반 시청자 중 하나에 속하는 가입자 별 열람 이력, 번역 이력 또는 접속 이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동영상에 상기 번역 정보를 텍스트 기반으로 부가하여 상기 번역 동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을 조회하고, 번역 내용의 표시 범위와, 번역 내용의 시작 및 종료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동영상에 상기 자막 번역 내용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일반 시청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하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내용 또는 자막 번역 내용이 포함되는 상기 동영상 및 자막 번역 동영상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번역 신청자에게 일정 비율의 번역비를 지불하도록 하여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원하는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는 번역 신청자 모집부와,
    번역 신청자, 번역자 또는 일반 시청자 별 개인 정보, 인증 정보 및 번역자 리스트를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부와,
    상기 번역 신청자로부터 번역 신청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동영상 자막 번역에 적합한 번역자를 검색 지정하여 상기 번역자에게 해당 동영상에 대한 번역을 신청하는 번역 신청부와,
    지정된 번역자에게 일정한 번역비를 지급하는 번역비 지급부와,
    상기 번역자로부터 번역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동영상에 자막 번역 정보를 부가하는 동영상 편집부와,
    상기 동영상, 자막 번역 동영상 또는 자막 번역 내용을 상기 서비스 이용자들의 추천 정도, 열람 횟수, 언어권, 카테고리 또는 번역자 중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구분 관리하는 동영상 관리부와,
    상기 자막 번역 동영상을 상기 번역 신청자 및 일반 시청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일반 시청자가 입력하는 키워드에 부합되는 상기 동영상, 자막 번역 동영상 또는 자막 번역 내용을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부와,
    상기 동영상, 자막 번역 동영상, 자막 번역 내용 또는 번역 신청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원하는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는 단계와,
    번역 신청자, 번역자 또는 일반 시청자 별 개인 정보, 인증 정보 및 번역자 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번역 신청자로부터 번역 신청 정보가 입력되면, 번역자를 선택해서 상기 번역자에게 해당 동영상에 대한 자막 번역을 신청하는 단계와,
    상기 번역자로부터 번역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동영상에 자막 번역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번역 정보가 부가되는 자막 번역 동영상을 해당 번역 신청자 및 일반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원하는 번역 신청자를 모집하는 단계에서, 번역 신청자에게 일정 비율의 번역비를 지불하도록 하여 번역 신청자들을 모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 완료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반 시청자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여 시청하고, 번역 신청자는 무료로 시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2인 이상의 번역자들이 분담하여 번역하는 경우에, 1명의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가 지정되며, 상기 번역 프로젝트 담당자는 나머지 번역자들보다 더 높은 요율의 번역료를 지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80067943A 2018-06-14 2018-06-14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226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43A KR102226765B1 (ko) 2018-06-14 2018-06-14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43A KR102226765B1 (ko) 2018-06-14 2018-06-14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331A true KR20190141331A (ko) 2019-12-24
KR102226765B1 KR102226765B1 (ko) 2021-03-11

Family

ID=6902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943A KR102226765B1 (ko) 2018-06-14 2018-06-14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76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482B1 (ko) * 2020-12-29 2021-10-28 주식회사 퀀텀에듀솔루션 학습 영상 및 예문의 인공지능 추천기반 언어학습 시스템 및 방법
CN114143592A (zh) * 2021-11-30 2022-03-0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视频处理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091928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소셜임팩트 음성인식서버, 번역서버와 집단지성을 이용한 동영상의 자막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102431383B1 (ko) * 2021-07-04 2022-08-10 글로지 주식회사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다국어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과,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431384B1 (ko) * 2021-05-25 2022-08-10 글로지 주식회사 다국어 자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451492B1 (ko) * 2021-09-30 2022-10-07 글로지 주식회사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다국어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서버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509A (ko) 2021-09-03 2023-03-10 이정찬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에서 협업 컨텐츠로 인해 발생된 광고수익 분배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39245A (ko) 2022-09-19 2024-03-26 히즈콥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다국어 자막송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0145A (ja) * 2007-10-29 2009-05-21 Brother Ind Ltd 翻訳依頼管理方法、翻訳依頼管理装置、及び翻訳依頼管理プログラム
KR20100008427A (ko) * 2008-07-16 2010-01-26 임오영 Ucc동영상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34787A (ko) * 2013-05-14 2014-11-25 이점한 유저 참여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0145A (ja) * 2007-10-29 2009-05-21 Brother Ind Ltd 翻訳依頼管理方法、翻訳依頼管理装置、及び翻訳依頼管理プログラム
KR20100008427A (ko) * 2008-07-16 2010-01-26 임오영 Ucc동영상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34787A (ko) * 2013-05-14 2014-11-25 이점한 유저 참여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928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소셜임팩트 음성인식서버, 번역서버와 집단지성을 이용한 동영상의 자막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102317482B1 (ko) * 2020-12-29 2021-10-28 주식회사 퀀텀에듀솔루션 학습 영상 및 예문의 인공지능 추천기반 언어학습 시스템 및 방법
WO2022145946A1 (ko) *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퀀텀에듀솔루션 학습 영상 및 예문의 인공지능 추천기반 언어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2431384B1 (ko) * 2021-05-25 2022-08-10 글로지 주식회사 다국어 자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버의 제어 방법
WO2022250194A1 (ko) * 2021-05-25 2022-12-01 글로컬라이즈 주식회사 다국어 자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431383B1 (ko) * 2021-07-04 2022-08-10 글로지 주식회사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다국어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과, 서버의 제어 방법
WO2023282371A1 (ko) * 2021-07-04 2023-01-12 글로컬라이즈 주식회사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다국어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과, 서버의 제어 방법
US11966712B2 (en) 2021-07-04 2024-04-23 Gloz Inc.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lingual subtitle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rver
KR102451492B1 (ko) * 2021-09-30 2022-10-07 글로지 주식회사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다국어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서버의 제어 방법
CN114143592A (zh) * 2021-11-30 2022-03-0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视频处理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143592B (zh) * 2021-11-30 2023-10-27 抖音视界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视频处理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765B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1331A (ko)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332315B2 (en) Timestamped commentary system for video content
KR101097693B1 (ko) 미디어 전달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1312123B1 (ko) 미디어 전달 방법, 시스템 및 장치
Flensburg et al. Mapping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Infrastructures, markets, and policies as regulatory forces
JP2007501454A (ja) 視聴者メンバをセグメント化し目標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JP4801908B2 (ja) 放送番組の広告入札受付システムおよび番組表示システム
US20140143241A1 (en) Internet news platform and related social network
CN111782919A (zh) 在线文档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090099439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KR102146952B1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는 숫자열 기반의 실시간 정보 유통 시스템 및 정보 유통 방법
JP5016377B2 (ja) コンテンツリスト提供方法、コンテンツ配信装置、配信管理装置、視聴情報管理装置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コンテンツ情報配信装置
KR20000054666A (ko)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019496B1 (ko) Ucc동영상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11861B1 (ko)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과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190052939A (ko) 이벤트 전문가와 이벤트 의뢰자 사이의 중개서비스 방법
JP2002073688A (ja) 情報収集/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CN112199553A (zh) 一种信息资源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782597B1 (ko) 통합 인트로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1446463B1 (ko) 짤막뉴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뉴스 제공 방법
KR101923130B1 (ko) Sns 제공시스템
KR101223344B1 (ko)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220755B1 (ko) 방송영상을 이용한 방송정보 검색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40014894A (ko) 개인방송 홈페이지 시스템
KR101303257B1 (ko) 네트워크 연동형 프로그램 안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