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861B1 -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과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과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861B1
KR101811861B1 KR1020160035932A KR20160035932A KR101811861B1 KR 101811861 B1 KR101811861 B1 KR 101811861B1 KR 1020160035932 A KR1020160035932 A KR 1020160035932A KR 20160035932 A KR20160035932 A KR 20160035932A KR 101811861 B1 KR101811861 B1 KR 101811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advertisement
video
multinational
moving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111A (ko
Inventor
이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팔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팔락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팔락성
Priority to KR102016003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86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04N21/2547Third Party Billing, e.g. billing of advert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영상에 다국적자막을 포함하여 생성되는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과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에 노출되는 광고를 시청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상기 광고에 따른 수익을 상기 동영상의 소유자와 상기 다국적자막의 제작자에게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과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A method for providing moving picture having multinational captions and a reco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영상에 다국적자막을 포함하여 생성되는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과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에 노출되는 광고를 시청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상기 광고에 따른 수익을 상기 동영상의 소유자 및 상기 다국적자막의 제작자에게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케이팝(K-pop) 시장을 중심으로 한류문화 시장이 급격히 팽창하고 있다. 아이돌 그룹 중심의 케이팝 시장은 성인 가요로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문화부문의 무역수지가 크게 개선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한류문화 컨텐츠를 글로벌화하기 위한 번역서비스는 이러한 추세를 따라가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현재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방식은 자막과 영상이 이원화된 타임라인을 사용한 것이 대부분이며, 국내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나 음악전문 포털사이트의 경우 사용자 참여성이 부족하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음원의 스트리밍 서비스만 이용하게 되고,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나 음악전문 포털사이트는 케이팝 가사번역과 같은 음원 외의 서비스로 확장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한편, 해외에서 컴퓨터 전용 리워드 프로그램들이 등장하는데 캐시피에스타 같은 프로그램은 광고 배너를 컴퓨터의 바탕화면의 일정 공간에 설치하는 방식이며 사용하는 시간만큼 광고 수익을 분배해주는 방식의 시스템이다.
그러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그 만큼 좁은 화면을 이용해야 하고 광고 수익 분배 방식에 대해서 투명하게 운영되지 않는 답답함이 존재한다.
인터넷 초기 시절 사용자에게 광고수익을 분배해 주었던 대표적인 서비스는 골드뱅크라는 웹사이트였다.
이는 사용자가 골드뱅크사이트를 방문해서 광고주의 광고를 시청해야 광고수익을 분배해주는 방식이었다. 이 또한 사용자에게 일정 시간 할당하여 광고 시청을 강요하는 방식이다.
인터넷의 광고 수익을 분배하는 방법으로 가장 범용화된 방식 중 하나는 구글의 애드센스라는 기술이다.
구글에 광고자로 계정을 등록한 후 게시자의 사이트에 구글의 키워드 광고나 배너광고를 삽입시켜 놓는다.
게시자의 사이트를 방문한 사람이 배너를 클릭하는 것과 같은 광고수익을 발생시키면 그 수익에 일정 분배를 게시자가 가져가는 구조의 시스템이다.
국내 포탈 사이트인 네이버는 애드포스트라는 이름으로, 다음은 애드클릭스라는 이름으로 이 방식을 따라하고 있다.
이러한 수익 분배 방식은 유투브에서도, 어떤 게시자가 업로드한 동영상을 방문자가 실행할 때 중간에 배너가 삽입되거나 동영상 인트로에 영상 광고를 미리 내보내어 일정 시간 이상 시청했을 때 발생하는 광고 수익을 분배하는 방식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최근 모바일 사용자가 급증하고 대부분의 트래픽을 차지하게 되면서 위와 비슷한 방식의 수익분배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는데 핸드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만든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 내부의 일정공간에 구글의 배너 광고를 삽입하게 되고 방문자가 해당 광고를 클릭했을 때 개발자에게 일정 수익이 분배되는 방식이다.
상기 방식은 인터넷에 게시물을 작성한 사람이 광고 수익의 일정 부분을 분배 받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동영상의 소유자나, 해당 동영상의 자막(번역 자막)을 제작하는 사람에게는 아무런 이익이 전달되지 않는다.
최근 모바일에는 사용자에게 수익을 분배하는 방식의 서비스가 매우 많이 등장하고 있다.
사용자 핸드폰의 잠금 화면이나 바탕화면이 광고 배너로 되어있거나 광고 앱을 일정 시간 이상 실행한다거나 광고주의 앱을 설치한다거나 했을 때 수익을 분배하는 방식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잠금 화면과 바탕 화면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용자에게 어떤 행동을 강요하고 있다.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8617호의 '웹 컨텐츠의 온라인광고 수익 배분 방법 및 시스템' 발명은 사용자가 자체 제작 또는 제공하는 광고 컨텐츠에 대해서 사용자 및 웹사이트 운영자가 적절하게 광고수익을 분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는데, 사용자에게 광고 수익을 분배한다는 점에서는 기존 기술과 상이하나 근본적으로 사용자가 광고를 제작하는 등의 부차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단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128617](공개일자: 2009. 12. 16) 한국공개특허 [10-2009-0020828](공개일자: 2009. 02. 2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영상에 다국적자막을 포함하여 생성되는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과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에 노출되는 광고를 시청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상기 광고에 따른 수익을 상기 동영상의 소유자 및 상기 다국적자막의 제작자에게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소유자가 동영상을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자막 제작자가 상기 업로드된 동영상의 다국적 자막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가 상기 제작된 다국적 자막을 심사하여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을 업로드하는 단계;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에 대한 광고료 수익을 얻는 단계;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가 상기 업로드된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 서비스시 상기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의 서비스 횟수에 따라 상기 동영상 소유자 및 상기 자막 제작자에게 수익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가 광고를 포함한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을 서비스함으로써 얻는 광고 수익을 해당 동영상의 소유자 및 자막 제작자에게도 분배함으로써,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의 제작이 활성활 될 수 있다. 나아가, 제작되는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이 많아질수록, 한류문화 컨텐츠가 세계 방방곡곡으로 퍼져나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해당 동영상의 소유자 및 자막 제작자는, 본인이 작업한 제작물(동영상 또는 다국적 자막)에 대한 수익을 분배받기 때문에, 동영상 또는 다국적 자막의 품질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가 자막 제작자가 제작한 다국적 자막의 품질을 심사하기 때문에, 시청자에게 고품질의 다국적 자막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작자의 작업 동영상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도 4의 S470 단계의 설명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동영상 소유자 단말(110), 자막 제작자 단말(120), 시청자 단말(130) 및 광고주(단말?)(140)와 통신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100)는 인터페이스부(101), 제어부(102), 처리부(103),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0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01), 상기 제어부(102), 상기 처리부(103),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04)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1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1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1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1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동영상 소유자 단말(110) 및 자막 제작자 단말(120)과 통신하며, 동영상 소유자 단말(110) 및 자막 제작자 단말(120)로부터 자막포함동영상을 생성하여 서비스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100)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운영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소유자 단말(110)은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해당 동영상의 조회에 따라 수익을 얻고자 관심을 가진 자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1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소유자 단말(11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120)은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동영상 소유자가 업로드한 동영상을 검색하여 자막을 제작하고자 하는 동영상을 선택하는 자막 제작자의 단말기로서, 상기 동영상 소유자 단말(110)과 마찬가지의 속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시청자 단말(140)은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100)에 접속한 후 자막포함동영상을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기로서, 상기 동영상 소유자 단말(110)과 마찬가지의 속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광고주(130)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에 광고를 의뢰하는 의뢰인 또는 네트워크(온라인)를 통해 광고를 의뢰하는 단말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광고를 의뢰하는 의뢰인으로 도시하였으나, 광고를 의뢰하는 광고주 단말일 수도 있다. 상기 광고주 단말도 상기 동영상 소유자 단말(110)과 마찬가지의 속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부(101)는 상기 각 동영상 소유자 단말(110), 자막 제작자 단말(120) 및 시청자 단말(130)과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10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하며, 자막포함동영상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영상 소유자 단말(110), 자막 제작자 단말(120) 및 시청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2)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01)와, 후술할 처리부(103)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04)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처리부(103)는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막포함동영상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처리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04)는, 동영상 및 자막포함동영상에 대한 기본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동영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04a), 동영상 소유자, 자막 제작자, 시청자, 및 유료 서비스에 가입하는 시청자 등을 회원으로 가입시켜 그 인적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회원 데이터베이스(104b), 광고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04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영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04a)는 상기 동영상 소유자가 업로드한 동영상의 제목, 분야(카테고리), 난이도, 재생시간(동영상의 메타 데이터로 확인되는 부분), 타겟 시청자의 성별 및 연령, 기본 언어(동영상 제작 언어), 상기 기본 언어를 텍스트화한 문서파일, 및 자막이 필요한 언어(다국어) 등의 기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의 기본정보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상기 동영상의 조회수, 상기 동영상을 통해 노출된 광고 횟수, 해당 동영상의 제작된 자막의 재생 시간 비율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의 기본정보는 상기 동영상 소유자로부터 전달받는 정보 및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업체에서 설정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04a)는 처리부(103)에 의해 참조되어 그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회원 데이터베이스(104b)는 동영상 소유자가 동영상을 업로드하기 위해, 자막 제작자가 다국적 자막을 제작하기 위해 작업할 동영상 및 언어를 검색하기 위해, 또한 유료 회원들이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로그인하는데 사용하는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 등의 식별 정보와, 이름, 주민등록번호, 법인등록번호, 계좌번호, 연락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원 데이터베이스(104b)는 처리부(103)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한편,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04c)는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 데이터 및 해당 광고에 대한 종류(동영상, 배너), 광고의 분야(카테고리), 재생시간(동영상의 메타 데이터로 확인되는 부분, 배너 광고의 경우 설정이 필요함), 타겟 시청자의 성별 및 연령, 해당 광고의 계약 횟수(노출 빈도) 및 해당 광고의 회당 가격 등의 기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의 기본정보는 상기 광고주로부터 전달받는 정보 및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업체가 설정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동영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04a), 회원 데이터베이스(104b),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104c)의 세 가지 데이터베이스로 분류하였지만, 이러한 분류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은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란,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컴퓨터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단순한 연산 처리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먼저, 동영상 소유자(210)가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의 서버(웹페이지)에 동영상을 업로드한다(201). 상기 동영상 소유자(210)는 해당 동영상의 기본정보의 일부를 입력할 수 있으며, 해당 동영상의 대표영상의 구간을 설정하면, 동영상 검색시 대표영상만을 먼저 재생시킬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소유자(210)가 해당 동영상의 기본 언어를 텍스트화한 문서파일을 함께 업로드 할 수 있으며, 동영상 검색시 상기 문서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잇는 옵션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기본 언어를 텍스트화한 문서파일이 없는 동영상에 대해서는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가 추후 제작하여 업로드 할 수도 있다.
이후, 자막 제작자(220)가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에 업로드된 동영상들을 검색하고, 동영상들의 기본정보, 대표영상 및 기본 언어를 텍스트화한 문서파일(예를 들어, *.doc, *.txt, *.smi) 등을 참고하여 작업할 동영상에 대한 다국적 자막을 제작한다(202).
이때, 자막 제작자(220)에 따라서는, 번역 작업만을 진행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번역 작업 및 자막 파일 생성 작업까지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자막 제작자(220)는 번역 작업만을 진행하는 경우, 동영상 검색시 다운받은 해당 동영상의 기본 언어를 텍스트화한 문서파일을 이용하여, 기본 언어를 텍스트화한 내용 밑에 번역 내용만을 추가하여 이를 작업완료상태로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에 제출하여 심사를 받을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는 상기 자막 제작자(220)가 작업한 다국적 자막을 심사하여, 심사가 통과된 다국적 자막과 해당 동영상으로 자막포함동영상을 생성한다(203). 이때, 다국적 자막과 해당 동영상을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업로드 할 수도 있고, 다국적 자막 파일(예를 들어, *.smi, *.srt, *.sub, *.ssa)과 해당 동영상 파일(예를 들어, *.avi, *.wmv, *.asf, *.flv, *.mov, *.mpeg, *.mpg, *.mpeg2, *.mp4)을 각각 업로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광고주(230)와 광고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204).
광고 계약 단계에서, 광고의 노출 빈도에 따라 광고료를 책정하고, 광고의 기본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광고의 노출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가, 상기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보다, 회당 광고료가 더 비싸게 책정될 수 있다.
일예로 다음 <표 1>과 같이, 광고의 노출 빈도가 100만번까지는 회당 광고료가 3원으로 책정될 수 있으나, 광고의 노출 빈도가 100만번이 넘으면, 회당 광고료가 2원으로 책정될 수 있다.
광고 노출 빈도 회당 단가 광고료
100만번 미만까지 3원 광고 횟수 × 3원
100만번 이상 2원 광고 횟수 × 2원
한편, 웹상에서 광고주 공개경쟁 경매를 통해 적정 광고료가 책정될 수도 있다.
이후, 시청자(240)가 자막포함동영상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가로, 광고가 노출되며, 노출된 광고 횟수에 따라 광고주(230)로부터 광고료 수익을 얻을 수 있다(206).
한편, 상기 시청자(240)가 유료서비스에 가입하고 서비스료를 지불한 이후(207), 광고 없는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맞춤형 동영상을 추천받을 수 있다. 유료서비스는 월단위 또는 연단위로 가입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는 상기 동영상 소유자(210) 및 자막 제작자(220)에게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작자의 작업 동영상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막 제작자가 작업할 동영상을 검색하면, 도 3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동영상 A(310)의 분야는 스포츠(311)이고, 기본 언어(제작 언어)는 한국어(312)이고, 자막이 필요한 언어1은 영어(313)이고, 자막이 필요한 언어2는 중국어(314)이고, 자막이 필요한 언어3은 일본어(315)이고, 자막이 필요한 언어4는 불어(316)이고, 자막이 필요한 언어5는 독일어(317)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자막이 필요한 언어들 중, 영어(313)와 일본어(315)에 대해서는 이미 비활성화가 되어 있어, 이미 자막이 제작되었거나, 다른 자막 제작자에게 선택되어 자막이 제작중인 것을 표시해준다.
한편, 동영상 소유자가 동영상 A(310)의 대표영상 구간을 설정해놓으면, 대표영상만을 재생시킬 수 있는 옵션(318)을 제공해 줄 수도 있다. 한편, 동영상 소유자(210)나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가 동영상 A(310)의 기본 언어를 텍스트화한 문서파일을 업로드 했으면, 상기 문서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옵션(319)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동영상 B(320)의 분야는 스포츠(321)이고, 기본 언어(제작 언어)는 한국어(322)이고, 자막이 필요한 언어1은 영어(323)이고, 자막이 필요한 언어2는 중국어(324)이고, 자막이 필요한 언어3은 일본어(325)이고, 자막이 필요한 언어4는 불어(326)이고, 자막이 필요한 언어5는 독일어(327)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자막이 필요한 언어들 중, 중국어(324)에 대해서는 이미 비활성화가 되어 있어, 이미 자막이 제작되었거나, 다른 자막 제작자에게 선택되어 자막이 제작중인 것을 표시해준다.
예를 들어, 자막 제작자(220)가 동영상 B(320)의 자막이 필요한 언어들 중에서, 영어(323)를 선택하면, 중국어(324)와 마찬가지로 비활성화 될 수 있다.
한편, 동영상 소유자가 동영상 B(320)의 대표영상 구간을 설정해놓으면, 대표영상만을 재생시킬 수 있는 옵션(328)을 제공해 줄 수도 있다. 한편, 동영상 소유자(210)나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가 동영상 B(320)의 기본 언어를 텍스트화한 문서파일을 업로드 했으면, 상기 문서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옵션(329)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자막 제작자(220)가 작업완료일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가 최대 작업 기간(예를 들어, 14일)을 설정해 놓았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자막 제작자(220)가 상기 작업완료일 또는 상기 최대 작업 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자막 제작을 완료하지 않는 경우, 해당 동영상의 기본정보를 수정하여 상기 자막 제작자의 선택으로 비활성화되었던 자막이 필요한 언어(외국어)를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자막 제작자(220)가 미리 제작할 동영상의 다국어를 먼저 선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정 기간 이후에는 다른 자막 제작자에게 작업의 기회를 주고자 함이다.
이후, 자막 제작자(220)는 동영상 B(320)의 영어 자막을 제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동영상 소유자(210)가 동영상을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의 서버에 업로드한다(S410).
상기 동영상 소유자(210)는 해당 동영상의 기본정보의 일부를 입력할 수 있으며, 해당 동영상의 대표영상의 구간을 설정하면, 동영상 검색시 대표영상만을 먼저 재생시킬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동영상 소유자(210)가 입력하는 동영상의 기본정보는, 동영상의 제목, 분야(카테고리), 기본 언어(동영상 제작 언어) 및 대표영상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동영상의 난이도, 타겟 시청자의 성별 및 연령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에서 입력하는 해당 동영상의 기본정보는 동영상의 메타 데이터로부터 확인되는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및 자막이 필요한 언어들(다국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자막 제작자(220)가 상기 업로드된 동영상의 다국적 자막을 제작한다(S420).
자막 제작자(220)가 제작할 자막을 선택시 인터페이스 및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가 상기 제작된 다국적 자막을 심사하여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을 생성한다(S430).
이때,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는 상기 자막 제작자(220)가 선택한 언어로 제작된 자막을 심사하는데, 심사에 통과되면, 해당 동영상에 해당 자막을 포함하여 생성되는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을 업로드한다. 한편, 제작된 자막이 심사에서 통과되지 않았으면, 해당 동영상의 기본정보를 수정하여 상기 자막 제작자의 선택으로 비활성화되었던 자막이 필요한 언어를 다시 활성화시킨다.
한편,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의 기본정보는 해당 동영상의 기본정보로 유지된다.
광고주(230)로부터 의뢰받은 광고에 대한 광고료 수익을 얻는다(S440).
상기 광고주(230)와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는 광고의 노출 빈도에 따라 광고료를 차등으로 책정할 수 있다. 상기 광고의 노출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가, 상기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보다, 회당 광고료가 더 비싸게 책정될 수 있다. 한편, 웹상에서 광고주 공개경쟁 경매를 통해 적정 광고료가 책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고주(230)로부터 해당 광고의 기본정보를 전달받거나 입력받을 수 있다. 광고의 기본정보는, 광고 데이터 및 해당 광고에 대한 종류(동영상, 배너), 광고의 분야(카테고리), 재생시간(동영상 광고인 경우, 메타 데이터로 확인되는 부분이고, 배너 광고의 경우 설정이 필요함), 타겟 시청자의 성별 및 연령, 해당 광고의 계약 횟수(노출 빈도) 및 해당 광고의 회당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의 기본정보는 상기 광고주(230)로부터 전달받는 정보 및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업체(200)가 설정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가 시청자에게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을 제공한다(S450).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 제공시, 조회수가 기설정된 횟수보다 높은 인기 동영상을 시청자(240)에게 추전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청자(240)가 유료서비스에 가입된 회원인 경우, 광고를 노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유료서비스에 가입된 시청자의 기본정보(성별, 연령, 접속 지역 등) 및 조회한 동영상들의 기본정보(분야, 난이도, 재생시간, 자막 언어 등)를 빅데이터화하여 해당 시청자에게 맞춤형 동영상을 추천해줄 수 있다.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 서비스시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상기 광고를 노출한다(S460).
광고 노출 방법과 관련해서는,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의 타켓 시청자의 성별 및 연령과 광고의 타켓 시청자의 성별 및 연령이 유사한 것을 우선으로 노출해줄 수 있다. 즉, 동영상 시청시의 광고도 시청자 맞춤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회수가 기설정 횟수보다 높은 인기 동영상의 경우, 인기가 낮은 동영상 보다 광고의 노출 빈도를 높게 할 수 있다.
한편, 광고가 동영상 광고인 경우, 해당 동영상의 서비스 시작 전, 해당 동영상의 재생 중간, 및 해당 동영상의 재생 이후 중 아무 때나 노출될 수 있으며, 광고가 배너 광고이면, 해당 동영상의 재생 중간에 아무 때나 기설정된 배너 광고의 재생시간 만큼 노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의 서비스 횟수에 따라 동영상 소유자 및 자막 제작자에게 수익을 분배한다(S470).
수익 분배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S470 단계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익 분배 단계(S470)는, 동영상 소유자에게 분배되는 수익 계산법(510) 및 자막 제작자에게 분배되는 수익 계산법(520)을 포함한다.
동영상 소유자(210)에게 분배되는 수익 계산법(510)은, 조회수와 횟수당 분배금액을 곱한 수익1을 산정할 수 있다.
한편, 동영상 소유자(210)에게 분배되는 수익 계산법(510)은, 조회수, 해당 동영상으로부터의 광고 수익 금액 및 기설정된 분배비율을 곱하여 수익2를 산정할 수 있다.
횟수당 분배금액 또는 기설정된 분배비율은, 동영상 소유자(210)와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 간의 계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각 동영상에 대하여 다른 수익 계산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단일 동영상에 복수의 언어로 제작된 자막이 포함되어 각각 업로드되는 경우에는, 각 동영상에 대하여 조회수를 모두 카운트 하여 총 조회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는 수익1 또는 수익2를 누적하여 기설정된 금액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동영상 소유자(210)에게 지불할 수 있다.
자막 제작자(220)에게 분배되는 수익 계산법(520)은, 조회수, 해당 동영상으로부터의 광고 수익 금액 및 기설정된 분배비율을 곱하여 수익3을 산정할 수 있다.
한편, 자막 제작자(220)에게 분배되는 수익 계산법(520)은, 조회수, 제작한 자막의 재생 시간 비율, 해당 동영상으로부터의 광고 수익 금액 및 기설정된 분배비율을 곱하여 수익4를 산정할 수 있다.
기설정된 분배비율은, 자막 제작자(220)와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 간의 계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각 자막에 대하여 다른 수익 계산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작한 자막의 재생 시간 비율은, 시청자(240)가 다국적자막포함영상을 재생중에 자막 보기 옵션을 비활성화시키고, 자막 없이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전체 동영상의 재생시간 중 자막이 활성화된 시간 비율이다. 따라서, 자막의 재생 시간 비율을 수익 분배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자막 제작자(220)에게 분배되는 수익 계산법(520)은, 조회수, 가중치작업비율, 해당 동영상으로부터의 광고 수익 금액 및 기설정된 분배비율을 곱하여 수익5를 산정할 수 있다.
자막 제작자(220)에 따라서는, 번역 작업만을 진행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번역 작업 및 자막 파일 생성 작업까지 진행할 수도 있다. 번역 작업만을 진행하는 경우, 동영상 검색시 다운받은 텍스트화된 문서파일을 이용하여, 기본 언어를 텍스트화한 내용 밑에 번역 내용만을 추가하여 이를 작업완료상태로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에 제출하여 심사를 받을 수도 있다.
즉, 자막 제작자(220)가 진행하는 업무 단계마다 다른 가중치를 주고, 가중치 작업비율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작업비율이란, 모든 작업에 대한 가중치의 합(Σ모든작업가중치)에 대한 실제로 수행한 작업에 대한 가중치의 합(Σ실제작업가중치)의 비율이다. 여기서, 업무 단계는, 단순 번역 작업 및 번역된 자막 파일 생성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의 종류에 따라 번역 작업의 난이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번역 작업의 난이도에 따라서도 가중치를 달리 줄 수도 있다.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200)는 수익3, 수익4, 또는 수익5를 누적하여 기설정된 금액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자막 제작자(220)에게 지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역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술한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
110: 동영상 소유자 단말
120: 자막 제작자 단말
130: 광고주
140: 시청자 단말
101: 인터페이스부
102: 제어부
103: 처리부
104: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Claims (15)

  1.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소유자 단말을 통해 동영상이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에 업로드되는 단계;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해 상기 업로드된 동영상의 다국적 자막이 제작되는 단계;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에서 상기 제작된 다국적 자막의 품질이 심사되고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이 업로드되는 단계;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에 대한 광고료 수익이 얻어지는 단계;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를 통해 상기 업로드된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이 시청자 단말로 제공되는 단계;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 서비스시 상기 광고가 노출되는 단계; 및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의 서비스 횟수에 따라 상기 동영상 소유자 및 상기 자막 제작자에게 수익이 분배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소유자 단말을 통해 동영상이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에 업로드되는 단계는,
    상기 업로드된 동영상의 기본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해 동영상 검색시, 해당 동영상의 내용 및 난이도가 판단될 수 있는 대표영상의 구간이 설정되는 단계; 및
    해당 동영상의 제작 언어를 텍스트화한 문서파일이 업로드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업로드된 동영상의 기본정보는, 상기 업로드된 동영상의 분야(카테고리), 난이도, 재생 시간, 타겟 시청자의 성별 및 연령, 기본 언어(동영상의 제작 언어), 자막이 필요한 언어(외국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해 상기 업로드된 동영상의 다국적 자막이 제작되는 단계는,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해 상기 업로드된 동영상의 기본정보를 근거로, 작업될 동영상의 언어가 검색 및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해 선택된 언어는 상기 동영상의 기본정보 중 자막이 필요한 언어에서 비활성화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언어로 자막이 제작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해 상기 업로드된 동영상의 기본정보를 근거로, 작업될 동영상의 언어가 검색 및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대표영상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대표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되고, 상기 문서파일이 업로드되어 있으면, 상기 문서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에서 상기 제작된 다국적 자막의 품질이 심사되고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이 업로드되는 단계는,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해 선택된 언어로 제작된 자막의 품질이 심사되는 단계;
    상기 제작된 자막이 심사에 통과되면, 해당 동영상에 해당 자막을 포함하여 생성되는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이 업로드되는 단계; 및
    상기 제작된 자막이 심사에 통과되지 않았으면, 해당 동영상의 기본정보를 수정하여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한 선택으로 비활성화되었던 자막이 필요한 언어가 다시 활성화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의 기본정보는 상기 동영상의 기본정보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해 상기 업로드된 동영상의 다국적 자막이 제작되는 단계는,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해 작업완료일이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에서 최대 작업 기간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해 상기 작업완료일 또는 상기 최대 작업 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자막 제작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해당 동영상의 기본정보를 수정하여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한 선택으로 비활성화되었던 자막이 필요한 언어가 다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에 대한 광고료 수익이 얻어지는 단계는,
    광고의 노출 빈도에 따라 광고료가 책정되는 단계; 및
    광고의 기본정보가 설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의 기본정보는, 상기 광고의 종류(동영상 또는 배너), 상기 광고의 분야(카테고리), 재생 시간, 타켓 시청자의 성별 및 연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의 노출 빈도에 따라 광고료가 책정되는 단계는,
    상기 광고의 노출 빈도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가, 상기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보다, 회당 광고료가 더 비싸게 책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 서비스시 상기 광고가 노출되는 단계는,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의 타겟 시청자의 성별 및 연령과 상기 광고의 타겟 시청자의 성별 및 연령이 유사한 것이 우선으로 노출되는 단계; 및
    조회수가 기설정 횟수보다 높은 동영상(인기 동영상)의 경우, 상기 광고의 노출 빈도를 높이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가 동영상 광고이면 해당 동영상의 서비스 시작 전, 해당 동영상의 재생 중간, 및 해당 동영상의 재생 이후에 노출되고, 상기 광고가 배너 광고이면 해당 동영상의 재생 중간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의 서비스 횟수에 따라 상기 동영상 소유자 및 상기 자막 제작자에게 수익이 분배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소유자에게 수익이 분배되는 단계; 및
    상기 자막 제작자에게 수익이 분배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소유자에게 수익이 분배되는 단계는,
    단일 동영상에 복수의 언어로 제작된 자막이 포함되어 각각 업로드되는 경우, 각 동영상에 대하여 조회수가 모두 카운트되는 단계;
    상기 조회수와 횟수당 분배금액을 곱하여 제1수익이 산정되는 단계;
    상기 조회수, 해당 동영상으로부터의 광고 수익 금액, 및 기설정된 분배비율을 곱하여 제2수익이 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수익 또는 상기 제2수익이 누적되어 기설정된 금액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 소유자에게 지불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제작자에게 수익이 분배되는 단계는,
    제작한 자막이 포함된 해당 동영상에 대하여 조회수가 카운트되는 단계;
    상기 조회수와 해당 동영상으로부터의 광고 수익 금액 및 기설정된 분배비율을 곱하여 제1수익이 산정되는 단계;
    상기 조회수, 상기 제작한 자막의 재생 시간 비율, 해당 동영상으로부터의 광고 수익 금액 및 기설정된 분배비율을 곱하여 제2수익이 산정되는 단계;
    상기 조회수, 가중치작업비율, 해당 동영상으로부터의 광고 수익 금액 및 기설정된 분배비율을 곱하여 제3수익이 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수익, 상기 제2수익 또는 상기 제3수익이 누적되어 기설정된 금액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자막 제작자에게 지불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해 상기 선택한 언어로 자막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각각 다른 가중치를 가지는 다수의 업무가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중치작업비율은,
    모든 작업에 대한 가중치의 합(Σ모든작업가중치)에 대한 상기 자막 제작자 단말을 통해 실제로 수행된 작업에 대한 가중치의 합(Σ실제작업가중치)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포함동영상서비스업체의 서버를 통해 상기 업로드된 다국적자막포함동영상이 시청자 단말로 제공되는 단계는,
    조회수가 기설정 횟수보다 높은 동영상(인기 동영상)이 추천되는 단계;
    상기 시청자가 유료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상기 광고가 노출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유료서비스에 가입한 시청자의 기본정보(성별, 연령, 접속 지역), 조회한 동영상들의 기본정보(분야, 난이도, 재생시간, 자막언어 등)를 빅데이터화하여 해당 시청자에게 맞춤형 동영상이 추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035932A 2016-03-25 2016-03-25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과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1811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32A KR101811861B1 (ko) 2016-03-25 2016-03-25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과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32A KR101811861B1 (ko) 2016-03-25 2016-03-25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과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111A KR20170111111A (ko) 2017-10-12
KR101811861B1 true KR101811861B1 (ko) 2017-12-22

Family

ID=6014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932A KR101811861B1 (ko) 2016-03-25 2016-03-25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과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8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0680B (zh) * 2018-08-15 2019-06-28 上海极链网络科技有限公司 重复场景图像分组方法
KR102087970B1 (ko) * 2019-05-24 2020-03-11 김병준 자막 및 번역 기능이 적용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111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318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Content Access Parameters
US101589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multi-platform video programming
US202200279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Management of Geo-Fenced and Geo-Targeted Media Content and Content Alternatives in Content Management Systems
US20120189282A1 (en)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Video Blogs
US200800469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and synchronizing data streams
JP5363102B2 (ja) セマンティック編集制御及びビデオ/オーディオ編集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700441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limited channel broadcasting
US20060218618A1 (en) Dual display interactive video
KR102226765B1 (ko) 동영상 자막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01863A (ko) 디지털 콘텐츠 내용 맞춤형 키워드 광고를 위한 상업적 태그 집합 생성 방법
US201703718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of Content Alternatives for Content Management Systems Using Globally Aggregated Data and Metadata
US11818407B2 (en) Platform,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distributing, and interacting with layered media
KR20090099439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KR101811861B1 (ko) 다국적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과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US201101916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Ancillary Media Content Alternatives in Content Management Systems
KR20110043568A (ko) 동영상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는 상업적 태그 등의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KR20120010219A (ko) 개인 방송 홈페이지 시스템
KR101070604B1 (ko)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용 맞춤형 광고 방법
Vahoniya et al. Awareness, preference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bout the over-the-top (ott) platforms/players in anand city, gujarat, india
JP2008042589A (ja) インターネット放送番組制作支援システム
US201101912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Generation of Multiple Content Alternatives for Content Management Systems
KR20200053960A (ko) 동영상 콘텐츠 트래킹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KR20200042159A (ko) 크리에이터-광고주-후원자 상생 플랫폼
US202203355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tegrated video content discovery, selling, and buying platform
Nam Omni channel and Canadian ethnic media: A critical case study of third language broadcasting poli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