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001A - 폴더블 이동 단말 - Google Patents

폴더블 이동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001A
KR20190141001A KR1020197035322A KR20197035322A KR20190141001A KR 20190141001 A KR20190141001 A KR 20190141001A KR 1020197035322 A KR1020197035322 A KR 1020197035322A KR 20197035322 A KR20197035322 A KR 20197035322A KR 20190141001 A KR20190141001 A KR 20190141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iding plate
disposed
connecting rod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165B1 (ko
Inventor
위꾸이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351006.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965506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557002.XU external-priority patent/CN207022053U/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4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Abstract

폴더블 이동 단말로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 -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제1 하우징 상에는 이격된 제1 노치(316)가 배치됨 - ; 제1 회전 부재(50) 및 제2 회전 부재(60) - 슬라이딩 플레이트(51, 61), 회전축(53, 63) 및 연결 로드(54, 64)를 모두 포함하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또한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될 수 있으며, 회전축은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연결 로드의 제1 단은 회전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연결 로드의 제2 단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회전 부재 중의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에는 제1 노치에 대응되는 래칫(511, 611)이 배치됨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더블 이동 단말
본 발명은 전자 기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폴더블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는 구부릴 수 있는 성능을 가지며, 이로써 스마트폰과 같은 플랙서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스마트 이동 단말이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에서의 전환을 구현 가능하게 한다. 이동 단말은 펼침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를 향한 일측과 사용자를 등진 일측의 길이가 동일하나, 접힘 상태에 있을 때 오히려 이동 단말 자체의 두께로 인해 원래 길이가 동일한 양측 간에 차이 값이 존재하며, 이는 폴더블 이동 단말이 상이한 상태에서 양측의 길이 차이 변화에 적응해야 함을 요구한다. 알려진 이동 단말은 힌지 연결 신축 부재를 통해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의 전환을 실현하지만, 힌지 연결 신축 부재는 상이한 상태에서 치수가 변화되는 간극을 생성하며, 이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안정적인 지지에 불리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어떻게 폴더블 이동 단말로 하여금 상이한 상태에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해 더욱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하도록 하는가 하는 것이다.
폴더블 이동 단말은,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쉘 부재 -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 상에는 이격된 제1 노치가 배치됨 - ;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 제1 회전축 및 제1 연결 로드를 포함하는 제1 회전 부재 -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제1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제1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 축은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제1 단은 제1 회전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제2 단은 제1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에는 제1 하우징의 제1 노치에 대응되는 제1 래칫이 배치됨 - ;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 제2 회전축 및 제2 연결 로드를 포함하는 제2 회전 부재 -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제2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제2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제2 단은 제2 회전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제2 단은 제2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기술적 효과는 하우징과 회전 부재에 매칭되는 래칫 및 노치를 배치하여, 회전 부재와 하우징 사이의 간극을 파편화시킬 수 있으며, 큰 면적의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안정적인 지지를 보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펼침 상태에 있는 폴더블 이동 단말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더블 이동 단말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폴더블 이동 단말의 다른 각도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폴더블 이동 단말에서의 펼침 상태에 있는 접힘 메커니즘(mechanism)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힘 메커니즘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접힘 메커니즘에서 일부 구조를 제거한 후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접힘 메커니즘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 구조의 추가 분해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7의 일부 구조의 다른 시각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폴더블 이동 단말에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제거한 후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조의 일부 정면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A-A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구조의 단면 모식도이며, 뒤쪽에서 관찰한 시각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구조에서 접힘 메커니즘 중의 일부 구성 요소를 제거한 후의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접힘 메커니즘에서의 탄성 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7은 장식 블록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8은 장식 블록의 다른 시각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접힘 상태에 있는 폴더블 이동 단말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폴더블 이동 단말에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제거한 후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21은 도 4에 도시된 접힘 상태에 있는 접힘 메커니즘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접힘 메커니즘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펼침 상태에 있는 폴더블 이동 단말의 일부 구조 단면 모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반 펼침 상태(또는 반 접힘 상태)에 있는 폴더블 이동 단말의 일부 구조 단면 모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접힘 상태의 폴더블 이동 단말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폴더블 이동 단말은,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 접힘 메커니즘(20) 및 쉘 부재(30)를 포함한다. 쉘 부재(30)는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을 포함하고, 여기서, 접힘 메커니즘(20)은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 사이에 연결되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는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폴더블 이동 단말은 펼침 상태에 있고,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은 접힘 메커니즘(20)에 대해 대칭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접힘 메커니즘(20)에 대해 회전하여 완전히 접힘 상태에 있을 때,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는 이동 단말의 외측에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 상태에 있을 때, 쉘 부재(30)의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측을 향한 연장 길이(도 1의 X 축 방향의 척도임)와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를 등진 일측의 연장 길이(도 1의 X 축 방향의 척도임)는 동일하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 부재(30)는 자체적인 두께(도 1의 Y 축 방향의 척도임)가 존재하므로, 접힘 상태에 있을 때, 쉘 부재(30)의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측을 향한 연장 길이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를 등진 일측의 연장 길이보다 크며, 접힘 메커니즘(20)을 배치함으로써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펼침 상태 및 접힘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때 생성되는 길이 차이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하우징(31)은 서로 결합된 제1 프론트 케이스(311) 및 제1 백 케이스(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32)은 서로 결합된 제2 프론트 케이스(321) 및 제2 백 케이스(322)를 포함한다. 결합의 방식은 스크류 잠금, 본딩, 용접 등일 수 있다.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는 제1 프론트 케이스(311) 및 제2 프론트 케이스(321)에 배치된다.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펼침 상태에서 직사각형 또는 둥근 모서리 직사각형일 수 있다. 제1 프론트 케이스(311) 및 제1 백 케이스(312)사이에는 Y 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프론트 케이스(321) 및 제2 백 케이스(322) 사이에는 Y 축 방향으로 역시 소정의 간격이 있으며, 이 간격은 전원 모듈, 통신 모듈 등 부품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또한 접힘 메커니즘(20)이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함에 있어서 필요한 공간을 제공한다.
X 축 방향으로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있으며, 접힘 메커니즘(20)은 X 축 방향으로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 사이의 간격 내에 배치되며, 접힘 메커니즘(20)의 적어도 일부 구조는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 내에 수용된다. X 축 방향으로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 사이의 간격은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접힘 메커니즘(20)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변화가 발생하며, 따라서,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접힘 메커니즘(20)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접힘 메커니즘(20)은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 내로 어느 정도로 삽입된다. 동시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접힘 메커니즘(20)은, 제1 회전 부재(50) 및 제2 회전 부재(60)를 포함한다. 제1 회전 부재(50)는 제1 하우징(31)과 연결되며, 제1 회전 부재(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하우징(31) 내에 수용되고 제1 하우징(3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될 수 있으며, 제2 회전 부재(60)는 제2 하우징(32)에 연결되며, 제2 회전 부재(6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하우징(32) 내에 수용되고 제2 하우징(3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될 수 있으며, 제1 회전 부재(50)가 제1 하우징(3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되고, 제2 회전 부재(60)가 제2 하우징(3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됨으로써,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펼침 상태 및 접힘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때 생성되는 길이 차이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회전 부재(50) 및 제2 회전 부재(60)의 구조는 동일하고, 제1 회전 부재(50) 및 제2 회전 부재(60)는 제1 회전 부재(50) 및 제2 회전 부재(60) 사이의 중심 축선 I-I(도 5)을 따라 대칭되게 분포되며, 제1 회전 부재(50) 및 제2 회전 부재(60)가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중심 축선 I-I을 따라 대칭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동시에 참조하면, 상기 제1 회전 부재(50)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제1 회전축(53) 및 제1 연결 로드(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축(53)은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은 제1 회전축(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 로드(54)의 제2 단(542)은 제1 하우징(3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는 제1 하우징(3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제1 하우징(3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대칭적으로 개폐되는 동안,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및 제1 회전축(53)은 제1 하우징(31)에 대해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되며, 제1 연결 로드(54)의 제2 단(542)은 제1 하우징(31)에 대해 회전하고,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은 제1 회전축(53)에서 슬라이딩하는 동시에, 제1 회전축(53)에 대해 회전한다.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대칭적으로 개폐되는 동안 생성되는 길이 차이에 적응하기 위해,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가 제1 하우징(31) 내에 수용된 정도를 변화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는 2 개의 제1 회전축(53) 및 2 개의 제1 연결 로드(54)가 배치되고,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Z 축 방향으로의 중간 위치에 대해 상하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회전축(53) 및 제1 연결 로드(54)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상이한 개수의 제1 회전축(53) 및 제1 연결 로드(54)는 모두 제1 하우징(31)에 대한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슬라이딩 가능한 신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동시에 참조하면, 상기 제2 회전 부재(60)는,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 제2 회전축(63) 및 제2 연결 로드(64)를 포한한다. 상기 제2 회전축(63)은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은 제2 회전축(6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 로드(64)의 제2 단(642)은 제2 하우징(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는 제2 하우징(3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제2 하우징(3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된다.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대칭적으로 개폐되는 동안,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 및 제2 회전축(63)은 제2 하우징(32)에 대해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되며, 제2 연결 로드(64)의 제2 단(642)은 제2 하우징(32)에 대해 회전하고,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은 제2 회전축(63)에서 슬라이딩하는 동시에, 제2 회전축(63)에 대해 회전한다.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대칭적으로 개폐되는 동안 생성되는 길이 차이에 적응하기 위해,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가 제2 하우징(32) 내에 수용되는 정도를 변화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에는 2 개의 제2 회전축(63) 및 2 개의 제2 연결 로드(64)가 배치되고,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Z 축 방향으로의 중간 위치에 대해 상하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회전축(63) 및 제2 연결 로드(64)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상이한 개수의 제2 회전축(63) 및 제2 연결 로드(64)는 모두 제2 하우징(32)에 대한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슬라이딩 가능한 신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동시에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힘 메커니즘(20)은 제1 회전축(53) 및 제2 회전축(63)을 연결하는 연동 부재(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 부재(22)에는 제1 관통 홀(221) 및 제2 관통 홀(222)이 배치되며, 상기 제1 회전축(53)은 제1 관통 홀(221) 내에 관통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축(63)은 제2 관통 홀(222) 내에 관통 배치된다. 연동 부재(22)는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 및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과 연동되고, 즉 연동 부재(22)의 연결에 의해, 제1 회전축(53)에서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의 슬라이딩은 제2 회전축(63)에서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의 슬라이딩을 구동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연동 부재(22)는 제1 회전축(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1 연결 로드(54) 및 제2 회전축(6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2 연결 로드(64)의 이동을 동기화시킬 수 있고, 또한, 즉 제1 하우징(31)에 대한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슬라이딩 가능한 신축 및 제2 하우징(32)에 대한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슬라이딩 가능한 신축을 동기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의 대칭적인 개폐를 더 잘 구현할 수 있다. 연동 부재(22)는 금속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연동 부재(22)의 기능은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연결 로드(54)와 제1 회전축(53)의 슬라이딩 가능한 힌지 연결을 구현하는 구성 요소 및 제2 연결 로드(64)와 제2 회전축(63)의 슬라이딩 가능한 힌지 연결을 구현하는 구성 요소를 일체로 배치하고, 일체로 배치된 슬라이딩 가능한 힌지 연결을 구현하는 구성 요소를 통해 제1 회전축(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제1 연결 로드(54) 및 제2 회전축(6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제2 연결 로드(64)의 이동을 동기화시킬 수도 있다.
도 7, 도 8 및 도 9를 동시에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부재(50)는 제1 슬라이더(52)를 더 포함하며, 제1 슬라이더(52)를 통해 제1 연결 로드(54) 및 제1 회전축(53)의 슬라이딩 가능한 힌지 연결을 구현한다. 상기 제1 슬라이더(52)는 제1 회전축(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리브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은 제1 슬라이더(5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52)는 2 개의 슬리브(521) 및 슬리브(521) 사이에 연결된 연결 암(5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축(53)은 제1 슬라이더(52)의 슬리브(521)에 관통 배치되며, 제1 슬라이더(52)는 제1 회전축(53)에서 슬라이딩되거나, 제1 회전축(53)에 대해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은 제1 슬라이더(52)의 연결 암(5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제1 슬라이더(52)의 연결 암(522)에는 제1 위치결정 홀(523)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에는 제1 위치결정 컬럼(543)이 배치되며, 제1 위치결정 컬럼(543)은 제1 위치결정 홀(523) 내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제2 회전 부재(60)는 제2 슬라이더(62)를 더 포함하며, 제2 슬라이더(62)를 통해 제2 연결 로드(64) 및 제2 회전축(63)의 슬라이딩 가능한 힌지 연결을 구현한다. 상기 제2 슬라이더(62)는 제2 회전축(6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리브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은 제2 슬라이더(6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더(62)는 2 개의 슬리브(621) 및 슬리브(621) 사이에 연결된 연결 암(62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축(63)은 제2 슬라이더(62)의 슬리브(621)에 관통 배치되며, 제2 슬라이더(62)는 제2 회전축(63)에서 슬라이딩되거나, 제2 회전축(63)에 대해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은 제2 슬라이더(62)의 연결 암(6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제2 슬라이더(62)의 연결 암(622)에는 제2 위치결정 홀(623)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에는 제2 위치결정 컬럼(643)이 배치되며, 제2 위치결정 컬럼(643)은 제2 위치결정 홀(623) 내에 삽입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22)는, 상기 제1 관통 홀(221)이 배치되는 제1 암부(223) 및 상기 제2 관통 홀(222)이 배치되는 제2 암부(2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암부(223)는 제1 슬라이더(52)의 2 개의 슬리브(52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암부(224)는 제2 슬라이더(62)의 2 개의 슬리브(62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회전축(53)은 제1 관통 홀(221) 내에 관통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축(63)은 제2 관통 홀(222) 내에 관통 배치된다. 연동 부재(22)는 제1 슬라이더(52) 및 제2 슬라이더(62)의 연결 매체로서, 제1 회전축(53)에서 슬라이더(52)의 슬라이딩 및 제2 회전축(63)에서 제2 슬라이더(62)의 슬라이딩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부재(50)는, 제1 브래킷(5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53)은 제1 브래킷(56)을 통해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제1 브래킷(56)은 스크류 로킹의 방식을 통해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53)은 제1 브래킷(56)에 관통 배치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52)는 제1 브래킷(56) 및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브래킷(56)을 배치함으로써, 제1 슬라이더(52),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 및 제1 회전축(53)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제1 브래킷(56) 및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클립 공간 내에 한정시킴으로써,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이 제1 슬라이더(5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로드(54)의 제2 단(542)이 제1 하우징(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현 방식은, 제1 연결 로드(54)의 제2 단(542)이 제1 프론트 케이스(3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제1 연결 로드(54)의 제2 단(542)이 제1 백 케이스(3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제1 연결 로드(54)의 제2 단(542)이 제1 프론트 케이스(311), 제1 백 케이스(312)에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8,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311)에는 제1 연결 홀(313)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54)의 제2 단(542)에는 제1 연결 기둥(544)이 배치되며, 제1 연결 기둥(544)은 제1 연결 홀(313) 내에 삽입 배치된다. 나아가,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 부재(50)는 제1 압착편(5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압착편(55)은 제1 프론트 케이스(31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압착편(55)은 상기 제1 연결 로드(54)의 위치를 제한하여, 상기 제1 연결 로드(54)로 하여금 제1 압착편(55) 및 제1 프론트 케이스(311)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부재(60)는, 제2 브래킷(6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축(63)은 제2 브래킷(66)을 통해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에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제2 브래킷(66)은 스크류 락의 방식을 통해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에 고정된다. 상기 제2 회전축(63)은 제2 브래킷(66)에 관통 배치되며, 상기 제2 슬라이더(62)는 제2 브래킷(66)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브래킷(66)을 배치함으로써, 제2 슬라이더(62),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 및 제2 회전축(63)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제2 브래킷(66)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클립 공간 내에 한정시킴으로써,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이 제2 슬라이더(6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로드(64)의 제2 단(642)이 제2 하우징(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현 방식은, 제2 연결 로드(64)의 제2 단(642)이 제2 프론트 케이스(3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제2 연결 로드(64)의 제2 단(642)이 제2 백 케이스(3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제2 연결 로드(64)의 제2 단(642)이 제2 프론트 케이스(321), 제2 백 케이스(322)에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8,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프론트 케이스(321)에는 제2 연결 홀(323)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64)의 제2 단(642)에는 제2 연결 기둥(644)이 배치되며, 제2 연결 기둥(644)은 제2 연결 홀(323) 내에 삽입 배치된다. 나아가,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회전 부재(60)는 제2 압착편(6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압착편(65)은 제2 프론트 케이스(32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압착편(65)은 상기 제2 연결 로드(64)의 위치를 제한하여, 상기 제2 연결 로드(64)로 하여금 제2 압착편(65) 및 제2 프론트 케이스(321)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힘 메커니즘(20)은 제1 회전축(53) 및 제2 회전축(63) 양단에 배치되는 축 슬리브(24)를 더 포함한다. 축 슬리브(24)는 제1 회전축(53)을 제1 브래킷(56)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제2 회전축(63)을 제2 브래킷(66)에 고정시킨다. 제1 브래킷(56), 제2 브래킷(66)의 개수는 제1 회전축(53), 제2 회전축(63)의 개수와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브래킷(56), 제2 브래킷(66)의 개수는 모두 2 개이고, 각 제1 브래킷(56)은 Z 축 방향으로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상응하는 일단에 배치되고, 각 제2 브래킷(66)은 Z 축 방향으로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상응하는 일단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힘 메커니즘(20)은 지지바(26)를 더 포함하며, 지지바(26)는 제1 회전 부재(50) 및 제2 회전 부재(60)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바(26)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바(26)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틈 사이에 배치되기 위해, Z 축 방향으로 소정의 연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브래킷(56) 및 제2 브래킷(66)이 배치되어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바(26)는 또한 제1 브래킷(56) 및 제2 브래킷(66)의 틈 사이에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6)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 제1 브래킷(56), 제2 브래킷(66), 제1 프론트 케이스(311), 제2 프론트 케이스(321)와 함께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 부재(22)에는 수용 홈(226)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바(26)의 적어도 일부 구조는 상기 수용 홈(226) 내에 수용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22)는 제1 암부(223) 및 제2 암부(224)를 연결하는 연결부(225)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226)은 연결부(225)에 배치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 슬리브(24)에도 수용 홈(241)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바(26)의 적어도 일부 구조는 상기 수용 홈(241) 내에 수용 배치된다. 상기 지지바(26)와 축 슬리브(24) 및 연동 부재(22) 중 적어도 하나와의 연결은 용접 등 방식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0, 도 23,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26)의 상단면(261)은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를 향하며 또한 곡면이다. 상기 폴더블 이동 단말이 도 24에 도시된 반 접힘 상태 또는 도 25에 도시된 접힘 상태에 있을 때, 지지바(26)는 곡면을 구비하므로,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접히는 과정에 윤곽 곡률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를 더 잘 지지한다.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부재(50)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 배치된 제1 탄성 편(5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 편(57)은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의 슬라이딩 방향의 2 개의 극한 위치에 제1 클램핑 위치(571)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래킷(56)을 구비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탄성 편(57)은 제1 브래킷(56)을 통해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 고정되고, 제1 탄성 편(57)은 제1 브래킷(56) 내에 배치된다.
제1 탄성 편(57)의 2 개의 제1 클램핑 위치(571)는 제1 회전축(53)의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의 슬라이딩 경로의 2 개의 끝단에 대응된다. 제1 클램핑 위치(571)와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 사이에는 소정의 간섭이 형성되어, 제1 클램핑 위치(571)로 하여금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에 소정의 클램핑력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제1 연결 로드(54)의 위치가 마음대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제1 하우징(31)에 대한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으며, 즉 폴더블 이동 단말을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의 제1 위치결정 컬럼(543)은 제1 단(541)의 대향되는 양측을 연장 관통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위치결정 컬럼(543)의 일단은 제1 슬라이더(52)의 제1 위치결정 홀(523)에 맞물림되며, 제1 위치결정 컬럼(543)의 다른 일단은 제1 탄성 편(57)의 제1 클램핑 위치(571) 내에 관통 배치된다. 제1 클램핑 위치(571)는 제1 연결 로드(54)에 대해 소정의 클램핑력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위치결정 컬럼(543)을 샌드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편(57)의 2 개의 상기 제1 클램핑 위치(571) 사이에는 제1 댐핑 위치(572)가 배치되고, 여기서, 제1 연결 로드(54)의 제1 단(541)은 제1 클램핑 위치(571)에 의해 제1 댐핑 위치(572)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의 저항은 더 커진다. 저항이 더 커지는 것은 제1 댐핑 위치(572)에 의해 제1 위치결정 컬럼(543)에 인가된 클램핑력이 제1 클램핑 위치(571)에 의해 제1 위치결정 컬럼(543)에 인가된 클램핑력보다 큰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 편(57)은 일단이 개방되고, 일단이 폐쇄된 신장형일 수 있으며, 2 개의 제1 클램핑 위치(571)는 제1 탄성 편(57)의 양단에 형성되고, 제1 댐핑 위치(572)는 제1 탄성 편(57)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며, 제1 댐핑 위치(572)내에서 제1 위치결정 컬럼(543)이 관통 배치되도록 제공되는 간극은 제1 클램핑 위치(571) 내에서 제1 위치결정 컬럼(543)이 관통 배치되도록 제공되는 간극보다 작으므로, 제1 클램핑 위치(571)로부터 제1 댐핑 위치(572)로 통과하는 동안, 제1 연결 로드(54)가 받는 저항은 더 커진다. 이와 같이, 제1 탄성 편(57)을 배치함으로써, 폴더블 이동 단말의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을 회전시킬 때, 저항감을 더 갖게 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탄성 편(57)은 또한 폐쇄된 고리 모양일 수 있다. 나아가,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탄성 편(57)은 2 개의 분리된 스트립형일 수 있으며, 2 개의 분리된 스트립형 탄성편 양단은 제1 회전축(53)을 따른 제1 연결 로드(54)의 슬라이딩 경로의 상이한 위치에서 상이한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제1 브래킷(56)이나 다른 구성 요소(또는 다른 형식)를 통해,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브래킷(56) 내에는 제1 수용 챔버(560)가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 편(57)은 제1 수용 챔버(560) 내에 수용된다. 제1 브래킷(56)이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 고정된 후,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는 상기 제1 수용 챔버(560)를 폐쇄하여, 제1 탄성 편(57)으로 하여금 제1 수용 챔버(560) 내에 고정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1 수용 챔버(560)는 제1 탄성 편(57)의 제1 클램핑 위치(571)에 대응되는 2 개의 제1 위치결정 챔버(561) 및 2 개의 제1 위치결정 챔버(561)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릴리즈 챔버(562)를 포함한다. 제1 릴리즈 챔버(562) 내의 공간은 제1 위치결정 챔버(561)의 공간보다 크며, 제1 클램핑 위치(571)는 제1 위치결정 챔버(561) 내에 배치된 후, 제1 클램핑 위치(571)는 고정되고 이동하지 못한다. 2 개의 제1 클램핑 위치(571) 사이에 위치한 제1 댐핑 위치(572)는 제1 릴리즈 챔버(562) 내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제1 릴리즈 챔버(562)에는 제1 댐핑 위치(572)로 하여금 탄성 변형되도록 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부재(60)는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에 배치된 제2 탄성 편(6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탄성 편(67)은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2 개의 극한 위치에 제2 클램핑 위치(671)가 각각 배치된다. 제2 브래킷(66)이 구비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탄성 편(67)은 제2 브래킷(66)을 통해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에 고정되며, 제2 탄성 편(67)은 제2 브래킷(66) 내에 배치된다.
제2 탄성 편(67)의 2 개의 제2 클램핑 위치(671)는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이 제2 회전축(63)에서 슬라이딩하는 경로의 2 개의 끝단에 대응된다. 제2 클램핑 위치(671)와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 사이에는 소정의 간섭이 형성되어, 제2 클램핑 위치(671)로 하여금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에 소정의 클램핑력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제2 연결 로드(64)의 위치가 마음대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제2 하우징(32)에 대한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으며, 즉 폴더블 이동 단말을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의 제2 위치결정 컬럼(643)은 제1 단(641)의 대향되는 양측을 연장 관통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위치결정 컬럼(643)의 일단은 제2 슬라이더(62)의 제2 위치결정 홀(623)에 맞물림되며, 제2 위치결정 컬럼(643)의 다른 일단은 제2 탄성 편(67)의 제2 클램핑 위치(671) 내에 관통 배치된다. 제2 클램핑 위치(671)는 제2 연결 로드(64)에 대해 소정의 클램핑력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위치결정 컬럼(643)을 샌드위치한다.
도 4, 도 5 및 도 21, 도 22를 동시에 참조하면, 여기서, 도 5는 펼침 상태에 있는 접힘 메커니즘(20)을 도시하고,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에 형성된 제2 위치결정 컬럼(643)은 제2 클램핑 위치(671) 중 하나에 배치되며, 도 22는 접힘 상태에 있는 접힘 메커니즘(20)을 도시하고,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에 형성된 제2 위치결정 컬럼(643)은 다른 제2 클램핑 위치(671)에 삽입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편(67)의 2 개의 상기 제2 클램핑 위치(671) 사이에는 제2 댐핑 위치(672)가 배치되고, 여기서, 제2 연결 로드(64)의 제1 단(641)이 제2 클램핑 위치(671)에 의해 제2 댐핑 위치(672)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 저항은 더 커진다. 저항이 더 커지는 것은 제2 댐핑 위치(672)에 의해 제2 위치결정 컬럼(643)에 인가된 클램핑력이 제2 클램핑 위치(671)에 의해 제2 위치결정 컬럼(643)에 인가된 클램핑력보다 큰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탄성 편(67)은 일단이 개방되고, 일단이 폐쇄된 신장형일 수 있으며, 2 개의 제2 클램핑 위치(671)는 제2 탄성 편(67)의 양단에 형성되고, 제2 댐핑 위치(672)는 제2 탄성 편(67)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며, 제2 댐핑 위치(672) 내에서 제2 위치결정 컬럼(643)에 관통 배치되도록 제공되는 간극은 제2 클램핑 위치(671)내에서 제2 위치결정 컬럼(643)에 관통 배치되도록 제공되는 간극보다 작으므로, 제2 클램핑 위치(671)로부터 제2 댐핑 위치(672)로 통과하는 동안, 제2 연결 로드(64)가 받는 저항은 더 커진다. 이와 같이, 제2 탄성 편(67)을 배치함으로써, 폴더블 이동 단말의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을 회전시킬 때, 저항감을 더 갖게 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탄성 편(67)은 또한 폐쇄된 고리 모양일 수 있다. 나아가,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탄성 편(67)은 2 개의 분리된 스트립형일 수 있으며, 2 개의 분리된 스트립형 탄성 편 양단은 제2 회전축(63)을 따른 제2 연결 로드(64)의 슬라이딩 경로의 상이한 위치에서 상이한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제2 브래킷(66)이나 다른 구성 요소(또는 다른 형식)를 통해,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브래킷(66) 내에는 제2 수용 챔버(660)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 편(67)은 제2 수용 챔버(660) 내에 수용된다. 제2 브래킷(66)이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에 고정된 후,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는 상기 제2 수용 챔버(660)를 폐쇄하여, 제2 탄성 편(67)으로 하여금 제2 수용 챔버(660) 내에 고정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2 수용 챔버(660)는 제2 탄성 편(67)의 제2 클램핑 위치(671)에 대응되는 2 개의 제2 위치결정 챔버(661) 및 2 개의 제2 위치결정 챔버(661)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릴리즈 챔버(662)를 포함한다. 제2 릴리즈 챔버(662) 내의 공간은 제2 위치결정 챔버(661)의 공간보다 크며, 제2 클램핑 위치(671)는 제2 위치결정 챔버(661) 내에 배치된 후, 제2 클램핑 위치(671)는 고정되고 이동하지 못한다. 2 개의 제2 클램핑 위치(671) 사이에 위치한 제2 댐핑 위치(672)는 제2 릴리즈 챔버(662) 내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제2 릴리즈 챔버(662)에는 제2 댐핑 위치(672)로 하여금 탄성 변형되도록 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2를 동시에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이동 단말은 연결편(70) 및 2 개의 가압 블록(7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편(70)은 제1 회전 부재(50) 및 제2 회전 부재(60)에 걸쳐있으며, 연결편(70)의 양단은 각각 하나의 가압 블록(71)을 통해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가 회전하는 동안 생성되는 길이 차이 변화는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 각각에 대한 접힘 메커니즘(20)에서의 제1 회전 부재(50) 및 제2 회전 부재(60)의 슬라이딩 가능한 신축에 의해 흡수되어, 폴더블 이동 단말이 접힘 및 펼침 동안 외관이 일치하고 완전하도록 하고, 연결편(70)을 배치함으로써,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가 늘어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을 동시에 참조하면, 상기 연결편(70)의 제1 단(701)에는 제1 장형 홀(703)이 배치되고, 연결편(70)의 제2 단(702)에는 제2 장형 홀(704)이 배치되며, 상기 가압 블록(71)은 제1 장형 홀(703)을 관통하여 제1 하우징(31)에 고정 연결되며, 다른 상기 가압 블록(71)은 제2 장형 홀(704)을 관통하여 제2 하우징(32)에 고정 연결된다. 제1 회전 부재(50)가 제1 하우징(31)에 대해 신축하고, 제2 회전 부재(60)가 제2 하우징(32)에 대해 신축할 때, 상기 연결편(70)은 제1 장형 홀(703) 및 제2 장형 홀(704)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가압 블록(71)에 대해 이동하며, 즉 또한,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에 대해 이동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이동 단말이 펼침 상태에 있을 때, 연결편(70)의 제1 장형 홀(703) 및 제2 장형 홀(704)의 외측단은, 즉 제1 회전 부재(50), 제2 회전 부재(60)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이격되고,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에 맞닿아 연결되어,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계속하여 상대적으로 이격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이 과도하게 연장되는 것을 방지한다. 접히는 동안, 제1 장형 홀(703) 및 제2 장형 홀(704)은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에 대해 슬라이딩 공간을 가지므로, 접히는 동안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의 길이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연결편(70)으로 하여금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편(70)은, 제1 단(701) 및 제2 단(702)에 위치한 2 개의 연결부(705) 및 2 개의 연결부(705) 사이에 연결된 지지부(706)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705)는 가압 블록(71)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지지부(706)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가압 블록(71)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일 수 있으며, 제1 장형 홀(703) 및 제2 장형 홀(704)을 관통한 후, 연결편(70)을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에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블록(71)은 정사각형 블록 모양이며, 연결편(70)의 제1 단(701) 및 제2 단(702)에 가압 배치되며, 다시 다른 체결 부재를 통해 가압 블록(71)을 제1 장형 홀(703) 및 제2 장형 홀(704)에 관통 배치되며,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에 잠금 고정한다. 예를 들어, 제1 프론트 케이스(311)에 제1 결합 위치(314)가 형성되고, 가압 블록(71)은 연결편(70)의 제1 단(701)을 제1 프론트 케이스(311)의 제1 결합 위치(3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한다. 상응하게, 제2 프론트 케이스(321)에 제2 결합 위치(324)가 형성되고, 다른 가압 블록(71)은 연결편(70)의 제2 단(702)을 제2 프론트 케이스(321)의 제2 결합 위치(3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706)는 2 개의 연결부(705)의 교차점에서 굴곡을 형성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70)의 굴곡에 매칭되는 동시에, 상응하는 가압 블록(71)을 수용하기 위해, 제1 결합 위치(314) 및 제2 결합 위치(324)에는 모두 요함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편(70)에는 서로 이격된 관통 홀(700)이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 홀(700)은 지지부(706)에 배치되고, 이러한 관통 홀(700)은 연결편(70)으로 하여금 더욱 쉽게 굴곡되도록 하여, 연결편(70)이 제1 회전 부재(50) 및 제2 회전 부재(60)에 더 잘 맞도록 함으로써, 연결편(70)에 주름이 생겨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지지 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706)에는 또한 상기 지지바(26)에 연결된 고정 구조(707)가 배치된다. 고정 구조(707)는 납땜 홀일 수 있고, 연결편(70)은 지지바(26)를 걸쳐 지난 후에, 용접 방식을 통해 지지바(26)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편(70)은 2 개이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편(7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이동 단말은 장식 블록(72)을 더 포함하며, 장식 블록(72)은 Z 축 방향으로 접힘 메커니즘(20)의 양단에 위치하고, 또한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 사이의 간극에 위치하며, 접힘 메커니즘(20)의 단부 구조를 커버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어 외관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한다.
도 11, 도 13, 도 14를 동시에 참조하면, 제1 프론트 케이스(311)에는 제1 연결 위치(315)가 배치되고, 제2 프론트 케이스(321)에는 제2 연결 위치(325)가 배치되며, 장식 블록(72)은 제1 프론트 케이스(311)의 제1 연결 위치(315) 및 제2 프론트 케이스(321)의 제2 연결 위치(325)에 연결되고, Z 축 방향으로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양단에 위치한다.
도 17 및 도 18을 동시에 참조하면,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장식 블록(72)의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측을 향한 표면은 대체적으로 편평하다. 상기 장식 블록(72)의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를 등진 일측 표면에 제1 프론트 케이스(311), 제2 프론트 케이스(321)와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하며, 예를 들어, 볼록 기둥(721)이다. 상기 장식 블록(72)의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를 등진 일측 표면에는 또한 복수 개의 리브(722)가 형성된다. 폴더블 이동 단말이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장식 블록(72)은 자연적인 펼침 상태에 있고, 인접한 두 리브(722) 사이의 간격은,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점차 증가된다. 장식 블록(72)이 굴곡된 후, 즉 폴더블 이동 단말이 접힘 상태에 있을 때, 인접한 리브(722) 사이는 서로 맞물린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31)에는 이격된 제1 노치(316)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노치(316)는 제1 프론트 케이스(311)에서 제1 회전 부재(50)에 인접한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는 제1 하우징(31)의 제1 노치(316)에 대응되는 제1 래칫(511)이 배치된다. 상기 폴더블 이동 단말이 굽힘 및 펼침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때,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는 어느 정도로 제1 하우징(3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1) 및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 대응되는 래칫 및 노치를 배치함으로써, 제1 하우징(31) 및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사이에 형성된 비어있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가 국부적으로 힘을 받아 변형함으로 인한 기능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는 제1 기판(51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래칫(511)은 제1 기판(510)에 형성된다. 상기 제1 기판(510)은 제1 프론트 케이스(311) 및 제1 백 케이스(312)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프론트 케이스(311) 및 제1 백 케이스(312)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될 수 있다. 제1 래칫(511) 및 제1 프론트 케이스(311)는 동일한 평면 내에 위치하며, 이 평면은 X, Z 축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평행된다. 제1 래칫(511) 및 제1 프론트 케이스(311)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를 공동으로 지지하기 위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인접한 2 개의 제1 래칫(511) 사이에도 상응하는 제1 노치가 형성되며, 제1 프론트 케이스(311)의 인접한 2 개의 제1 노치(316) 사이에도 상응하는 하나의 제1 래칫이 형성된다.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제1 래칫(511) 및 제1 프론트 케이스(311)의 제1 노치(316)는 대응되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제1 노치 및 제1 프론트 케이스(311)의 제1 래칫은 대응된다.
상기 제2 하우징(32)에는 이격된 제2 노치(326)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노치(326)는 제2 프론트 케이스(321)에서 제2 회전 부재(60)에 인접한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에는 제2 하우징(32)의 제2 노치(326)에 대응되는 제2 래칫(611)이 배치된다. 상기 폴더블 이동 단말은 굽힘 및 펼침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때,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는 어느 정도로 제2 하우징(3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32)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에 대응되는 래칫 및 노치를 배치함으로써, 제2 하우징(32)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 사이에 형성된 빈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가 국부적으로 힘을 받아 변형함으로 인한 기능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는 제2 기판(61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래칫(611)은 제2 기판(610)에 형성된다. 상기 제2 기판(610)은 제2 프론트 케이스(321) 및 제2 백 케이스(322) 사이에 위치하며, 제2 프론트 케이스(321) 및 제2 백 케이스(322)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될 수 있다. 제2 래칫(611) 및 제2 프론트 케이스(321)는 동일한 평면 내에 위치하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10)를 공동으로 지지하기 위해, 이 평면은 X, Z 축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평행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인접한 2 개의 제2 래칫(611) 사이에도 상응하는 제2 노치가 형성되며, 제2 프론트 케이스(321)의 인접한 2 개의 제2 노치(326) 사이에도 상응하는 하나의 제2 래칫이 형성된다.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제2 래칫(611) 및 제2 프론트 케이스(321)의 제2 노치(326)는 대응되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제2 노치 및 제2 프론트 케이스(321)의 제2 래칫은 대응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제1 래칫(511)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제2 래칫(611) 사이에는 간극(512)이 있으며, 상기 지지바(26)는 상기 간극(51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제1 래칫(511)은 제1 하우징(31)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고 서로 연결되어 제1 지지 빔(513)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제2 래칫(611)은 제2 하우징(32)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고 서로 연결되어 제2 지지 빔(613)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바(26)는 제1 지지 빔(513) 및 제2 지지 빔(6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블 이동 단말은 제1 롤러(58) 및 제1 스프링(59), 제1 롤러(58) 및 제1 스프링(59)은 제1 회전 부재(50) 및 제1 하우징(3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회전 부재(50)에는 제1 요홈(514)이 배치되고, 제1 회전 부재(50)가 제1 하우징(3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될 때, 제1 롤러(58)는 상기 제1 요홈(514)에 진입 또는 이탈될 수 있어, 폴더블 이동 단말이 완전히 접히면 멈추는 느낌을 체험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롤러(58) 및 제1 스프링(59)은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및 제1 백 케이스(3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롤러(58) 및 제1 스프링(59)은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및 제1 프론트 케이스(3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요홈(514)은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제1 래칫(511)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요홈(514)은 제1 기판(510)에서 인접한 하나의 제1 래칫(511)을 향한다.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노치(316)는 대응되는 제1 래칫(511)과 이격되고 리세스되어 제1 캐비티(317)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롤러(58) 및 제1 스프링(59)은 상기 제1 캐비티(317) 내에 수용된다. 제1 스프링(59)은 제1 롤러(58)에 맞닿아 제1 롤러(58)로 하여금 제1 캐비티(31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제1 롤러(58) 및 제1 래칫(511)의 측벽에 탄성 지지를 형성한다.
나아가, 상기 제1 요홈(514)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래칫(511)의 제1 하우징(31)을 향하는 연장 길이는 다른 제1 래칫(511)의 제1 하우징(31)을 향하는 연장 길이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58) 및 제1 스프링(59)은 적어도 2 개의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래칫(511)의 2 개의 대향하는 측벽에는 모두 상기 제1 롤러(58)와 매칭되는 제1 요홈(514)을 형성한다. 상응하게, 상기 제1 노치(316) 내에는 또한 대응되는 제1 래칫(511) 내에 이격되고 리세스되어 2 개의 제1 캐비티(317)를 형성하고, 각 제1 캐비티(317)는 한 그룹의 제1 롤러(58) 및 제1 스프링(59)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칫(511)의 상기 측벽에서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 대응되는 2 개의 극한 위치는 2 개의 제1 요홈(514)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극한 위치 중 하나는 제1 래칫(511)에서 제1 하우징(31)에 가까운 단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극한 위치는 제1 래칫(511)과 제1 크로스 멤버(513)의 접합부에 위치한다. 폴더블 이동 단말이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에 있을 때, 제1 롤러(58)는 각각 2 개의 극한 위치에 위치한 제1 요홈(514) 내에 진입됨으로써, 완전히 펼쳐지거나 완전히 접히면 멈추는 느낌을 발생시킨다.
상기 폴더블 이동 단말은 제2 롤러(68) 및 제2 스프링(69)을 더 포함하고, 제2 롤러(68) 및 제2 스프링(69)은 제2 회전 부재(60) 및 제2 하우징(3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회전 부재(60)에는 제2 요홈(614)이 배치되고, 제2 회전 부재(60)가 제2 하우징(3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할 때, 제2 롤러(68)는 상기 제2 요홈(614)에 진입 및 이탈될 수 있어, 폴더블 이동 단말이 완전히 펼쳐지면 멈추는 느낌을 체험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롤러(68) 및 제2 스프링(69)은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 및 제2 백 케이스(3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롤러(68) 및 제2 스프링(69)은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 및 제2 프론트 케이스(3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요홈(614)은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의 제2 래칫(611)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요홈(614)은 제2 기판(610)의 인접한 하나의 제2 래칫(611)을 향한다.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노치(326)는 대응되는 제2 래칫(611)과 이격되고 리세스되어 제2 캐비티(327)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롤러(68) 및 제2 스프링(69)은 상기 제2 캐비티(327) 내에 수용된다. 제2 스프링(69)은 제2 롤러(68)에 맞닿아 제2 롤러(68)로 하여금 제2 캐비티(32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제2 롤러(68) 및 제2 래칫(611)의 측벽에 탄성 지지를 형성한다.
나아가, 상기 제2 요홈(614)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래칫(611)의 제2 하우징(32)을 향하는 연장 길이는 다른 제2 래칫(611)의 제2 하우징(32)을 향하는 연장 길이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68) 및 제2 스프링(69)은 적어도 2 개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래칫(611)의 대향하는 2 개의 측벽에 모두 상기 제2 롤러(68)와 매칭되는 제2 요홈(614)이 형성된다. 상응하게, 상기 제2 노치(326) 내에는 또한 대응되는 제2 래칫(611) 내에 이격되고 리세스되어 2 개의 제2 캐비티(327)를 형성하며, 각 제2 캐비티(327)는 한 그룹의 제2 롤러(68) 및 제2 스프링(69)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칫(611)의 상기 측벽의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61)에 대응되는 2 개의 극한 위치는 2 개의 제2 요홈(614)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극한 위치 중 하나는 제2 래칫(611)의 제2 하우징(32)에 가까운 단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극한 위치는 제2 래칫(611) 및 제2 크로스 멤버(613)의 접합부에 위치한다. 폴더블 이동 단말이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에 있을 때, 제2 롤러(68)는 각각 2 개의 극한 위치에 위치한 제2 요홈(614) 내에 진입함으로써, 완전히 펼쳐지거나 완전히 접히면 멈추는 느낌을 발생시킨다.
상기 실시예의 각 기술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에서의 각 기술 특징의 모든 가능한 조합은 설명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의 조합은 모순이 없는 한 모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형태를 표현할 뿐이며, 그 설명은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일정한 변형 및 개선을 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 특허의 보호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11)

  1. 폴더블 이동 단말로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쉘 부재 -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 상에는 이격된 제1 노치가 배치됨 - ;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 제1 회전축 및 제1 연결 로드를 포함하는 제1 회전 부재 -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제1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제1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 축은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제1 단은 제1 회전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제2 단은 제1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에는 제1 하우징의 제1 노치에 대응되는 제1 래칫가 배치됨 - ;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 제2 회전축 및 제2 연결 로드를 포함하는 제2 회전 부재 -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제2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제2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신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제2 단은 제2 회전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제2 단은 제2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상에는 이격된 제2 노치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에는 제2 하우징의 제2 노치에 대응되는 제2 래칫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제1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래칫는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래칫은 제2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서로 결합된 제1 프론트 케이스 및 제1 백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서로 결합된 제2 프론트 케이스 및 제2 백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는 제1 프론트 케이스 및 제2 프론트 케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노치는 제1 프론트 케이스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노치는 제2 프론트 케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은 제1 프론트 케이스와 제1 백 케이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은 제2 프론트 케이스와 제2 백 케이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압착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압착편은 제1 프론트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압착편은 상기 제1 연결 로드가 제1 압착편과 제1 프론트 케이스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
  6. 제4항에 있어서,
    제2 압착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압착편은 제2 프론트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압착편은 상기 제2 연결 로드가 제2 압착편과 제2 프론트 케이스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
  7. 제3항에 있어서,
    지지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래칫 및 제2 래칫 사이에는 간극이 있으며, 상기 지지바는 상기 간극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칫은 제1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서로 연결되어 제1 지지 빔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래칫은 제2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서로 연결되어 제2 지지 빔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바는 제1 지지 빔 및 제2 지지 빔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부재는 제1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제1 회전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리브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제1 단은 제1 슬라이더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회전 부재는 제2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제2 회전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리브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제1 단은 제2 슬라이더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부재는 제1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 부재는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래킷은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은 제1 브래킷에 관통 배치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제1 브래킷과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브래킷은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제2 브래킷에 관통 배치되며,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제2 브래킷과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와 연동되는 연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 부재에는 제1 관통 홀 및 제2 관통 홀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제1 관통 홀에 관통 배치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은 제2 관통 홀에 관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
KR1020197035322A 2017-05-17 2018-05-11 폴더블 이동 단말 KR102227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20557002.X 2017-05-17
CN201710351006.7A CN108965506B (zh) 2017-05-17 2017-05-17 可折叠移动终端
CN201720557002.XU CN207022053U (zh) 2017-05-17 2017-05-17 可折叠移动终端
CN201710351006.7 2017-05-17
PCT/CN2018/086534 WO2018210188A1 (zh) 2017-05-17 2018-05-11 可折叠移动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001A true KR20190141001A (ko) 2019-12-20
KR102227165B1 KR102227165B1 (ko) 2021-03-12

Family

ID=6427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322A KR102227165B1 (ko) 2017-05-17 2018-05-11 폴더블 이동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75695B2 (ko)
EP (1) EP3637741B1 (ko)
JP (1) JP6776460B2 (ko)
KR (1) KR102227165B1 (ko)
WO (1) WO201821018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0739A (zh) * 2020-01-03 2020-05-1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3043109A1 (ko) * 2021-09-15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6022A (zh) * 2018-12-21 2021-06-22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铰链装置和柔性装置
CN111696437B (zh) * 2019-03-13 2022-06-2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铰链组件及折叠显示装置
CN111698355B (zh) 2019-03-15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转轴机构及移动终端
CN112087540B (zh) * 2019-06-14 2021-10-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装置、显示屏模块及移动终端
CN113366927A (zh) * 2019-07-15 2021-09-07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US11449109B2 (en) * 2019-09-12 2022-09-20 Google Llc Multi-axis soft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CN111147630B (zh) * 2019-12-20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屏设备
KR102641514B1 (ko) * 2020-02-10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13494514B (zh) * 2020-03-20 2022-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转轴机构及可折叠终端设备
CN115769168A (zh) * 2020-03-25 2023-03-07 轻子计算有限责任公司 用于柔性显示设备的具有板止动件的铰链机构
US11435785B2 (en) * 2020-04-22 2022-09-06 Eum, Inc. Foldable display device
CN111653202B (zh) * 2020-06-30 2022-03-1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948000A (zh) * 2020-07-17 2022-01-18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WO2022124426A1 (ko) * 2020-12-07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4446164B (zh) * 2021-06-29 2022-11-29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转动机构、支撑装置以及折叠屏终端
CN113883158B (zh) * 2021-09-26 2022-05-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5163655B (zh) * 2021-11-29 2024-02-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装置、折叠壳体及电子设备
CN117823518A (zh) * 2022-09-29 2024-04-05 荣耀终端有限公司 转动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39815A1 (en) * 2010-12-01 2012-06-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Japan, Inc.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thereof
US20120154999A1 (en) * 2010-12-15 201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US20140196254A1 (en) * 2013-01-11 2014-07-17 Prexco Co., Ltd.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60302314A1 (en) * 2015-04-09 2016-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CN205847346U (zh) * 2016-06-07 2016-12-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铰链装置及柔性屏移动终端
CN106559531A (zh) * 2017-01-26 2017-04-0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5926A (en) * 1990-05-12 1991-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le for electronic equipment
CN101563910A (zh) 2006-12-18 2009-10-21 诺基亚公司 用于移动式可折叠装置的铰接结构
KR101400284B1 (ko) 2007-04-16 2014-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딩형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TWI347160B (en) 2008-09-22 2011-08-11 Htc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292974B1 (ko) 2010-06-30 2013-08-02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148397B1 (ko) 2010-08-17 2012-05-23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
US8982542B2 (en) 2010-11-17 2015-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8804324B2 (en) 2011-06-03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overcenter assembly
US8787016B2 (en)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EP3826278A1 (en) 2011-07-11 2021-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guided plates to support the display in the open position
US8971032B2 (en) 2012-11-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TWM453753U (zh) 2012-12-21 2013-05-21 First Dome Corp 多節式轉軸結構
US9294597B2 (en) * 2013-01-25 2016-03-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flexible display on a mobile device
JP6094237B2 (ja) 2013-02-01 2017-03-1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機器のチルト機構
TWI643056B (zh) * 2013-07-22 2018-12-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
KR101663728B1 (ko) 2013-08-26 2016-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1547640B1 (ko) 2013-09-16 2015-08-27 (주) 프렉코 가이드부재를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KR101875855B1 (ko) 2014-02-17 2018-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3914273B (zh) 2014-03-25 2017-06-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15163272A1 (ja) * 2014-04-24 2015-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202228B1 (ko) 2014-06-11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493517B (zh) 2014-06-18 2015-07-21 Au Optronics Corp 摺疊式顯示裝置
KR102226694B1 (ko) 2014-09-01 2021-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9514B1 (ko) 2014-09-05 2021-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19835B1 (ko) * 2014-09-22 2021-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3119B1 (ko) 2014-09-23 2021-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477269B2 (en) 2014-09-23 2016-10-25 Dell Products, Lp Book-style sliding pivot hinge
US9910465B2 (en) 2014-11-11 2018-03-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vered radius hinge
KR102322377B1 (ko) * 2014-12-31 2021-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1237B1 (ko) * 2015-01-21 2022-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353760B1 (ko) 2015-04-01 2022-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CN104836865B (zh) * 2015-04-01 2017-05-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KR102163739B1 (ko) 2015-06-08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US10365691B2 (en) 2015-04-09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CN104851365B (zh) * 2015-05-28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CN104898784B (zh) 2015-06-16 2019-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9857832B2 (en) 2015-06-23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display panel with variable curvature
US10310565B2 (en) 2015-06-27 2019-06-04 Intel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structure
KR102385232B1 (ko) 2015-06-30 2022-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6371499A (zh) 2015-07-21 2017-02-01 联想(北京)有限公司 连接装置和电子设备
US10539978B2 (en) * 2015-09-08 2020-01-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CN205281987U (zh) 2015-12-24 2016-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柔性装置和电子设备
CN205451695U (zh) 2015-12-25 2016-08-10 联想(北京)有限公司 柔性装置和电子设备
CN105872136B (zh) 2016-03-14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及移动终端
CN105812509B (zh) 2016-03-31 2018-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及移动终端
CN206100081U (zh) 2016-06-07 2017-04-12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铰链装置及柔性屏移动终端
US10364598B2 (en) * 2016-09-02 2019-07-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KR102636648B1 (ko) 2016-09-13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KR102595230B1 (ko) 2016-10-13 202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08071907B (zh) * 2016-11-17 2021-02-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支撑机构及移动终端
US10641318B2 (en) 2016-12-09 2020-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CN106601130B (zh) 2016-12-12 2019-03-0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折叠式柔性显示装置
US10268245B2 (en) 2017-01-26 2019-04-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06603773B (zh) 2017-01-26 2023-04-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及移动终端
US10452097B2 (en) 2017-01-26 2019-10-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ectronic device
CN207283607U (zh) 2017-01-26 2018-04-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封装件、壳体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US9848502B1 (en) 2017-03-24 2017-12-19 Shin Zu Shing Co., Ltd. Hinge assembly and foldab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207010740U (zh) 2017-05-17 2018-02-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CN207010741U (zh) 2017-05-17 2018-02-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CN207010742U (zh) 2017-05-17 2018-02-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CN207022053U (zh) * 2017-05-17 2018-02-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CN207010739U (zh) * 2017-05-17 2018-02-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折叠机构组件及可折叠移动终端
CN206993161U (zh) * 2017-05-17 2018-02-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US10296044B2 (en) 2017-06-08 2019-05-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US10344510B2 (en) 2017-06-16 2019-07-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CN207321314U (zh) * 2017-08-08 2018-05-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CN207117710U (zh) 2017-09-06 2018-03-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CN207117712U (zh) 2017-09-06 2018-03-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KR102085236B1 (ko) 2018-05-28 2020-03-05 (주) 프렉코 절첩식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39815A1 (en) * 2010-12-01 2012-06-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Japan, Inc.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thereof
US20120154999A1 (en) * 2010-12-15 201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US20140196254A1 (en) * 2013-01-11 2014-07-17 Prexco Co., Ltd.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60302314A1 (en) * 2015-04-09 2016-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CN205847346U (zh) * 2016-06-07 2016-12-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铰链装置及柔性屏移动终端
CN106559531A (zh) * 2017-01-26 2017-04-0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0739A (zh) * 2020-01-03 2020-05-1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3043109A1 (ko) * 2021-09-15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37741B1 (en) 2021-03-24
JP6776460B2 (ja) 2020-10-28
US20200081487A1 (en) 2020-03-12
EP3637741A1 (en) 2020-04-15
JP2020525816A (ja) 2020-08-27
US11175695B2 (en) 2021-11-16
KR102227165B1 (ko) 2021-03-12
WO2018210188A1 (zh) 2018-11-22
EP3637741A4 (en)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1001A (ko) 폴더블 이동 단말
WO2018210196A1 (zh) 可折叠移动终端
WO2018210194A1 (zh) 可折叠移动终端
WO2018210187A1 (zh) 折叠机构、折叠机构组件及可折叠移动终端
WO2018210191A1 (zh) 可折叠移动终端
EP3624430B1 (en) Foldable mobile terminal
CN108965505B (zh) 可折叠移动终端
CN207022053U (zh) 可折叠移动终端
CN207117712U (zh) 可折叠移动终端
CN108965500A (zh) 折叠机构、折叠机构组件及可折叠移动终端
CN207321314U (zh) 可折叠移动终端
KR20190110244A (ko)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207010740U (zh) 可折叠移动终端
CN108965503A (zh) 可折叠移动终端
CN108965501A (zh) 可折叠移动终端
CN207117710U (zh) 可折叠移动终端
KR20180116722A (ko) 라운드지지바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반자동 힌지장치
CN108965502B (zh) 可折叠移动终端
CN207321313U (zh) 可折叠移动终端
CN108965506B (zh) 可折叠移动终端
CN206962890U (zh) 可折叠移动终端
CN206962891U (zh) 可折叠移动终端
JP2014088111A (ja) 物品保持装置
TWM556350U (zh) 隱藏式自動收回及閉合樞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