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865A -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40865A KR20190140865A KR1020190069405A KR20190069405A KR20190140865A KR 20190140865 A KR20190140865 A KR 20190140865A KR 1020190069405 A KR1020190069405 A KR 1020190069405A KR 20190069405 A KR20190069405 A KR 20190069405A KR 20190140865 A KR20190140865 A KR 201901408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iling fan
- air
- air conditioning
- indoor
- produc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124765 Salsola kal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1—Testing thereof; Determination or sim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Stall or surge detection, e.g. condition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053—Shaf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 F04D29/68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82—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fluid extra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 F04D29/68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84—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fluid inj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 상기 모터어셈블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전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장부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및 상기 모터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동 발생장치는 팬을 구동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공기 유동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동 발생장치는 보통 선풍기라 이름한다.
상기 유동 발생장치는 유동 발생 방식, 기능, 설치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유동 발생장치 중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천장 팬(Ceiling fan)이라 한다.
상기 천장 팬은 에어컨이나 일반적인 선풍기 보다 전력소모가 적어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가정, 상점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장 팬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천장 팬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천장 팬은 실내 온도를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천장 팬은 지면에 기립 배치되어 국부적인 공간으로 공기 유동을 집중시키는 일반적인 유동 발생장치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장 팬은 사용자보다 높은 위치인 천장에서 상대적으로 큰 용적으로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은 실내 전체의 공기를 순환시켜 실내의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천장 팬 보다 공기 순환 성능이 향상된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의 부분적인 공간에서 발생되는 기류의 정체를 해소할 수 있는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하여 운전할 수 있는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의 다른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하여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공기조화를 수행할 수 있는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방 또는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난방 가전과 연동하여 운전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 상기 모터어셈블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전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장부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및 상기 모터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온도, 습도,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실내 환경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설정 조건과 차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 조건과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감지된 실내 환경 정보를 기초로 실내 공간을 구획하여 사각지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각지대가 해소되도록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중 상기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서로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은, 사용자에게 입력 메뉴와 출력 화면을 제공하는 입출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모듈로부터 감지되는 정보 및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종합하여 실내 공기를 관리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중 일부 제품이 전원 오프(off)상태라면, 전원 온(on) 상태인 나머지 제품과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장부는, 상기 통신 모듈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커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커버에 설치되며, 조명장치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제어방법은, 실내에 설치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 중 통신연결에 의하여 연동될 공기조화 제품을 선택하는 연동운전 입력 단계;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운전상태 판단 단계;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조건과 실내 환경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차이를 기초로 회전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회전수로 회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작동 중인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사용자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은, 온도 인자, 먼지량 인자, 청정도 인자, 습도 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자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 환경은,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의 인자와 동일한 인자로 판단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제공받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과 실내 환경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과 상기 실내 환경의 차이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는,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에 매칭되도록 단계적으로 제어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상기 차이 값의 가장 작은 값을 가지도록 정의되는 제 1 범위; 상기 제 1 범위 보다 상기 차이 값의 크기가 큰 제 2 범위; 및 상기 제 2 범위 보다 상기 차이 값의 크기가 큰 제 3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는, 상기 제 1 범위에 매칭되는 약풍; 상기 제 2 범위에 매칭되는 중풍; 및 상기 제 3 범위에 매칭되는 강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의 제어방법은,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동일하도록 운전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운전모드 및 상기 결정된 회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블레이드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모드는 냉방 및 난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모드가 냉방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차이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작으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산출된 차이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크면 시계방향으로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모드가 난방으로 결정된 경우,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연동운전 입력 단계는, 입출력 모듈의 화면에 표시되는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 중 연동할 제품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모듈의 화면에 표시되는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은, 사용자가 서버 또는 라우터에 등록한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장 팬의 제어방법은,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설치 위치를 기초로 구획된, 실내 공간 별로 사용자 설정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차이 값을 기초로,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함께 보완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완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중 상기 구획된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제품의 회전수를 변경하여 상기 구획된 실내 공간을 순환하는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은, 히터, 선풍기, 에어컨, 공기청정기, 제습기, 가습기 및 서큘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dual)으로 구비되는 블레이드에 의하여 종래 보다 향상된 풍량 및 유속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쾌적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류의 도달 범위가 증대되므로 실내의 부분적 공간에서 기류가 정체되는 현상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실내 공기의 순환 효과를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내에 설치된 다른 공기조화 제품과 천장 팬이 연동하여 운전되므로 한번의 제어명령으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즉, 천장 팬과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에 대한, 통합적인 제어와 간편한 실내 환경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기를 종합적이고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냉방 또는 난방 기류를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공기 순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실내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장 팬과 연동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이 실내 공간의 설정온도를 공통적으로 추종하기 때문에, 각각의 공기조화 제품이 설치된 위치에서 실내 환경을 감지하고 피드백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설정온도 도달시간이 짧아지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연동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은 각각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설정 값을 만족할 수 있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단독 작동의 경우보다 기류가 도달되지 않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공간의 전체적인 온도 분포 및 공기 질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천장 팬과 실내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이 연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품별로 조작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커버, 디스플레이 모듈 및 통신 모듈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7a 내지 도 7c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연동운전을 입력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회전 방향에 따른 실내의 기류 방향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과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이 연동되어 실내 공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커버, 디스플레이 모듈 및 통신 모듈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7a 내지 도 7c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연동운전을 입력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회전 방향에 따른 실내의 기류 방향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과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이 연동되어 실내 공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은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13,15,30,90) 및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는 블레이드(100,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00,200)는, 메인블레이드(100)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는 서브블레이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중심축은 상기 커버(13,15,30,90)의 중심축과 동일하다. 또한, 후술할 샤프트(10,20)는 상기 커버(13,15,30,90)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중심축은 천장 팬(1)의 중심축이므로, 이하에서는 중심축이라 이름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은 상기 중심축을 향하는 측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외측면은 상기 내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으로서, 반경 방향을 향하는 측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중심축으로부터 수직한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상면은, 부압면(negative pressure surface, 122)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하면은 정압면(positive pressure surface)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천장 팬(1)의 블레이드(100,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회전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을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하는 전면에 리딩엣지(leading edge)가 형성되며, 후방을 향하는 후면에 트레일링엣지(trailing edge)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블레이드(100)가 3개로 구비된 천장 팬(1)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메인블레이드(100)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는 각각의 내측 단부가 접촉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의 중심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상기 커버(13,15,30,90) 및 서브블레이드(2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상기 서브블레이드(200)가 위치하는 블레이드홀(103)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블레이드홀(103)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을 라운드지게 반경 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내측 및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반원 형상의 블레이드홀(103)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홀(103)에는 서브블레이드(2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수에 대응되어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메인블레이드(100)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블레이드(200)가 3개로 구비된 천장 팬(1)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회전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도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국,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회전에 의하여, 천장 팬(1)의 중심부 영역의 공기는 블레이드홀(103)을 통해 유동이 강제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이중(dual)의 블레이드(100,200)가 회전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천장 팬(1)으로부터 제공되는 풍량과 유속이 상대적으로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내 공간에서 공기 유속이 매우 느려 공기 순환이 어려워지는 지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커버, 디스플레이 모듈 및 통신 모듈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은,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하는 샤프트(10), 상기 샤프트(10)를 외측에서 커버하는 어퍼커버(13) 및 로우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13) 및 로우커버(15)는 상기 샤프트(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13)는 상단부가 천장 또는 벽면에 접촉되며, 하단부는 상기 로우커버(15)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일례로, 상기 어퍼커버(13)는 깔때기(funne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우커버(15)는 상기 어퍼커버(13)의 하측에 결합된다. 물론 상기 로우커버(15)는 상기 어퍼커버(1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로우커버(15)는 상단부에서 상기 샤프트(1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우커버(15)는 하방을 향할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로우커버(15)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우커버(15)는 후술할 하우징커버(3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우커버(15)는 상기 하우징커버(30)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0)는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샤프트(10)는 실내 천장의 콘크리트 벽면에 구비된 소정의 결합장치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10)의 하방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구성은 단단히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샤프트(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모터샤프트(20) 및 상기 모터샤프트(20)를 외측에서 커버하는 하우징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샤프트(20) 및 상기 샤프트(10)는 일체로 결합되어 천장 팬(1)의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실내 천장에 결합된 상기 샤프트(10)와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모터샤프트(20)에 결합되는 다수의 구성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중심 축선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10) 및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샤프트(10,20)로 통칭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다수의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모터어셈블리(40), 브릿지서포터(50), 컨트롤어셈블리(60), 브릿지케이스(80) 및 디스플레이커버(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측에서 중심 축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고, 후술할 디스플레이커버(90)가 상기 하우징커버(30)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외부를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 하부가 개방되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30)는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외주면은 하방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메인블레이드(100)에 삽입되는 블레이드커넥터(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하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연결 또는 결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메인블레이드(100)의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3개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상호 결합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도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블레이드커넥터(35)는, 3개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위치하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호 연결되는 두 메인블레이드(100)의 결합 지점에 위치되어, 각각의 메인블레이드(1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기 로우커버(15)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단부의 직경이 상기 로우커버(15)의 하단부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외관의 일체감 또는 통일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기 로우커버(15)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커버삽입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측 단부로부터 내경이 작아지도록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삽입부(31)는 보울(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측 단부가 형성하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로우커버(15)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블레이드(100,200)와 결합되는 하우징커버(30)는, 실내 천장과 고정된 로우커버(15)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100,200)의 회전에 의한 상호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샤프트(20)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깔끔하고 심플(simple)한 천장 팬(1)의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기 모터샤프트(20)가 관통하여 위치하는 샤프트연결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연결부(33)는 상기 커버삽입부(31)의 중심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연결부(33)의 중심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삽입부(31)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홀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중심 축선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블레이드(100,2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미도시), 상기 모터샤프트(20)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정적(static)인 설치 공간을 확장시키는 브릿지서포터(미도시), 상기 브릿지서포터의 하방에 위치하는 컨트롤어셈블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어셈블리 및 브릿지서포터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어셈블리 및 상기 브릿지서포터는, 상기 모터샤프트(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어셈블리는, 아우터로터(outer rotor) 타입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stator)는 상기 모터샤프트(20)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모터의 로터(rotor)는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으로 위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기 로터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내부 공간(37)에는 모터어셈블리(미도시) 및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하방에 위치하는 브릿지서포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서포터는 상기 모터샤프트(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릿지서포터는 상기 모터샤프트(2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샤프트삽입부 및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다수의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는 브릿지케이스(70)와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에 구비되는 브릿지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는 컨트롤케이스(61,64) 및 메인피시비(PCB, 6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피시비(60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피시비(600)에는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칩(driver IC), 커패시터 및 전원변환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는 상기 천장 팬(1)의 제어부(300)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에는 제어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는 상하로 조립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어퍼 컨트롤케이스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피시비(600)는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와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의 하방에 위치하는 브릿지케이스(70) 및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하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커버(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상기 브릿지서포터 및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를 하측에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서포터 및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고 이어주는 브릿지(bridge)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와 상기 브릿지서포터(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에는 내부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장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천장 팬(1)의 최하단 중심부에 위치하여 천장 팬(1)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지면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블레이드(100,200)의 회전에 함께 회전하는 것이 아닌, 비 회전 위치로 규정될 수 있는 정적(static) 위치에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다수의 전장 부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천장 팬(1)은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안티버그 모듈(80),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모듈(85),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8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티버그 모듈(80), 디스플레이 모듈(85) 및 통신 모듈(88)은,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와 상기 브릿지케이스(7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은 빛을 제공할 수 있는 발광장치 및 상기 발광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피시비(PC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장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은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로부터 제공되는 빛은 하방의 실내 공간으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88)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 모듈(88)은 와이파이(WI-F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88)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다양한 공기조화 제품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모듈(88)에 의하여,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다른 공기조화 제품과 동기화될 수 있으며, 상호 연동되어 다양한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88)은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하측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커버연장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연장부(91)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외둘레를 따라, 즉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연장부(91)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에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연장부(91)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체결가이드(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92)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체결가이드(92)는 상기 커버연장부(91)의 상단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92)는 브릿지케이스(7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가 안착되는 안착가이드(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가이드(93)는 상기 커버연장부(9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가이드(93)는 상기 커버연장부(91)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가이드(93)는 다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가이드(93)는 상기 커버연장부(91)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가이드(93)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안착홈(93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디스플레이 모듈(85)을 고정시키는 디스플레이 모듈 결합장치(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결합장치(96)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과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결합장치(96)는 스냅핏(snap-f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통신 모듈(88)을 고정시키는 통신모듈 결합장치(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 결합장치(98)는 상기 통신 모듈(88)과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모듈 결합장치(98)는 스냅핏(snap-f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 결합장치(98)는 상기 통신 모듈(88)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고정시키도록 한 쌍을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 결합장치(98)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통신 모듈(88)이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통신모듈 가이드(99a) 및 통신모듈 걸림부(9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 가이드(99a) 및 상기 통신모듈 걸림부(99b)는, 상기 통신 모듈(88)의 양 측단부가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 가이드(99a)는 상기 통신 모듈(88)의 일 측단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모듈 가이드(99a)는 ‘ㄴ’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 걸림부(99b)는 상기 통신 모듈(88)의 타 측단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 걸림부(99b)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즉,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모듈(88)은 상기 통신모듈 가이드(99a) 및 상기 통신모듈 걸림부(99b)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상기 통신모듈 결합장치(98)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메인블레이드(100) 및 서브블레이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제 1 메인블레이드(100a), 제 2 메인블레이드(100b) 및 제 3 메인블레이드(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는 양측 단부에서 서로 결합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는, 상호 결합되어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일체로 결합된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의 중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홀(103,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홀(103,105)은, 오뚜기(roly-poly) 형상으로 개방된 홀(hol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103,105)은 데코커버(19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가 위치되는 센터홀(105)과, 서브블레이드(200)가 위치되는 블레이드홀(103)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는, 각각 인접한 메인블레이드와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의 각도는 120°일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서브블레이드(200)와 결합하기 위한 메인결합홀(1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결합홀(115)에는 체결 부재가 결합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결합홀(115)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상면(부압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결합홀(115)은 상기 블레이드홀(103)에 인접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절개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데코커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커버(19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커버(19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데코커버(190)는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에 삽입되는 제 1 데코커버(190a), 제 2 메인블레이드(100b)에 삽입되는 제 2 데코커버(190b) 및 제 3 메인블레이드(100c)에 삽입되는 제 3 데코커버(19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데코커버(190)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에 종속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블레이드홀(103)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다른 경사 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연장 면을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다른 받음각(angle of attack)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수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 및 데코커버(190)와 결합하기 위한 서브결합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가 메인블레이드(1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메인결합홀(115)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결합홀(230)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는, 상기 데코체결홀(193) 및 메인결합홀(115)을 함께 관통하여 체결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메인결합홀(115)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결합시 상기 메인결합홀(115) 및 데코체결홀(193)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간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서브커넥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에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타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두 메인블레이드(100)가 서로 결합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와 제 2 메인블레이드(100b)가 결합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 브릿지케이스(70), 디스플레이커버(90) 및 다수의 모듈(80,82,88)을 전장부라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장부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천장 팬(1)의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전장부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샤프트(20)의 하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장부는 실내 천장으로부터 전달되는 결합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장 팬(1)은 어퍼커버(13), 로우커버(15), 하우징커버(30), 디스플레이커버(90), 메인블레이드(100) 및 서브블레이드(200)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므로 외관이 심플(simple)하고 통일적이므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천장 팬(1)은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전장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술한 메인피시비(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통신 모듈(88)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통신 모듈(88)을 이용하여 같은 실내에 설치된 공기조화 제품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88)은 외부의 서버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라우터(router)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버 또는 라우터에는,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이 통신을 이루도록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은, 공기청정기, 가습기, 제습기, 에어컨, 선풍기, 서큘레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컨은 천정형, 스탠드형, 벽걸이형 에어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은 상기 천장 팬(1)이 설치된 실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 또는 라우터에 접속되는 천장 팬(1) 및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은,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1)과 상기 공기조화 제품은 연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과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사용자 설정 온도, 실시간 실내 온도, 실시간 먼지 감지량 등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설정 온도가 어느 하나의 제품에만 입력되어도, 상기 천장 팬(1)과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은 연동하여 공통적인 사용자 설정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300)는 천장 팬(1)에서 감지된 정보를 상기 공기조화 제품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모터의 회전수(RPM)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모터어셈블리(40)에 연결되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조명의 밝기, 색상 등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과 연결되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안티버그 모듈(80)과 연결되어 해충이 기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천장 팬(1)의 외부로 발산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30), 실내 공간의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 모듈(310) 및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출력 모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으며, 처리된 정보를 저장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센싱 모듈(310)은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실내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 센서, 실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센싱 모듈(310)에서 감지할 수 있는 정보는,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감지된 정보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싱 모듈(31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싱 모듈(310)에 의해 실내 온도와 사용자 설정 온도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계산된 온도를 기초로, 모터어셈블리(40)를 조작하여 회전 수를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모듈(320)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스마트폰, 리모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모듈(320)은 상술한 서버 또는 라우터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 모듈(320)을 이용하여 상기 천장 팬(1) 및 상기 천장 팬(1)과 연동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모듈(320)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입력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천장 팬(1)에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명령은 연동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모듈(320)은 사용자가 근처에 위치하는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과 상기 천장 팬(1)을 연동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모듈(320)은,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온도, 습도, 먼지 등 실내 환경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출력 모듈(320)에 의하여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전달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출력 모듈(32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천장 팬(1)의 작동시간, 사용자 설정 온도, 설정 풍량, 취침 예약, 디스플레이 유무 등의 입력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천장 팬(1)은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전원이 켜질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전원 온(ON)상태가 될 수 있다.(S1)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통신 모듈(88)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2)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통신 모듈(88)을 리셋(reset)하여 제어 명령에 따라 올바르게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3)
상기 천장 팬(1)은 통신 연결을 통하여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동기화를 이룰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천장 팬(1)은 먼저 작동하고 있던 다른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제어 시퀀스를 전송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스마트 순환모드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
상세히,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과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 또는 설정된 입력 상태에 따라 스마트 순환모드로 진입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입출력 장치(320)를 이용하여 스마트 순환모드를 입력한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스마트 순환모드 진입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300)는 스마트 순환모드로 진입하는 경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천장 팬(1)의 일반 운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2)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는, 상기 통신 모듈(88)에 의해 서로 연동 또는 동기화된 공기조화 제품과 서로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실내의 전체적인 공기 상태를 관리(management)할 수 있는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로 진입한 경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4-1)
상세히, 상기 제어부(300)는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천장 팬(1)의 운전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중 전원이 오프(OFF)된 가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모두의 전원이 오프 상태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2)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중 일부 제품의 전원이 오프상태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오프 상태의 제품을 제외하고 스마트 순환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감지한 실내 환경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실내 측벽에 설치된 에어컨으로부터 감지된 실내 온도를 전송받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에어컨은 스탠드형과 벽걸이형 뿐만 아니라, 천정형 에어컨에서도 감지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지면에 설치된 공기청정기로부터 실내 먼지량 또는 쾌적도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자체적으로 천장 부근에 설치된 상기 센싱 모듈(310)의 정보와 비교하여 실내 공간의 사각지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스마트 순환모드에 따른 운전을 실행하면서 상기 사각지대로 판단된 위치로 기류 순환을 강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 설정도 함께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각각 다른 경우, 상기 천장 팬(1)으로 입력된 사용자 설정 정보로 일치시켜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스마트 순환모드에 따른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S5)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에 따른 운전에서는, 상기 천장 팬(1)의 냉방 또는 난방운전 여부를 판단하여, 각각의 운전에 대응되는 블레이드(100,200)의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S6,S7)
일례로,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 운전이 실행되면, 상기 천장 팬(1)은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모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냉방모드로 운전하면 냉방모드로 판단하며(S6),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난방모드로 운전하면 난방모드로 판단(S7)할 수 있다.
냉방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천장 팬(1)은 블레이드(100,200)가 정방향 회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방향 회전은 블레이드(100,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의 정방향 회전은 냉방운전의 냉방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S6-1)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냉방모드로 운전하는 경우, 실내 공간에 냉방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모터어셈블리(40)를 미리 설정된 기본 회전수(RPM)에 따라 정방향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난방모드로 운전하는 경우, 상기 천장 팬(1)은 블레이드(100,200)가 역방향 회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회전은 블레이드(100,20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의 역방향 회전은 난방운전의 난방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S7-1)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난방을 수행하는 경우, 실내 공간에 난방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모터어셈블리(40)를 미리 설정된 기본 회전수(RPM)에 따라 역방향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잇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 모드를 추종하도록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사용자 설정 정보와 감지된 실내 환경 정보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S8)
상세히,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천장 팬(1)의 센싱 모듈(310)의 감지 정보와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감지 정보를 종합하여, 실내 공간의 구획 별로 현재 실내 온도와 사용자 설정 온도의 차이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싱 모듈(310)의 감지 정보를 실내 천장 공간의 공기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지면에 설치된 공기청정기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실내 지면 근접 공간의 공기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실내 측벽에 설치된 에어컨으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실내 측방 공간의 공기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실내 공간의 구획 별로 사용자 설정 값과 감지 값의 차이를 구하여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구획된 실내 공간 별로 저장정보를 이용하여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함께 보완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사용자 설정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 값에 따라 모터 회전수(RPM)를 변경시킬 수 있다.(S8-1)
일례로, 상기 천장 팬(1)은 냉방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사용자 설정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 값이 크다면 모터 회전수(RPM)를 증가시켜 실내 공기의 순환이 빨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특정 구획 공간에서 사용자 설정 값과 감지 값의 차이가 큰 경우, 해당되는 구획 공간에 가장 근접한 공기조화 제품의 냉방 또는 난방 강도를 강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천장 팬(1)의 회전수(RPM)를 증가시켜 냉방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감지 값이 사용자 설정 값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9)
일례로,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온도가 사용자 설정 온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감지 값이 사용자 설정 값에 만족한 경우 스마트 순환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연동운전을 입력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천장 팬(1)은 전원이 켜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천장 팬(1)은 사용자의 전원 온(ON) 입력을 받아 작동이 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전원 온(ON) 상태가 될 수 있다. (S10)
상기 천장 팬(1)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천장 팬(1)은 통신 모듈(88)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통신 모듈(88)을 리셋(reset)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이후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따라 올바르게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88)을 준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초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사용자에 의하여 연동운전이 입력될 수 있다.(S20)
상기 연동운전 입력 단계(S20)는, 1개의 입출력 모듈(320)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을 일괄적 또는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통신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동운전을 입력하지 않는다면, 상기 천장 팬(1)은 단독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은 상기 통신 모듈(88)과 통신연결이 이루어지는 냉난방 가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난방 가전으로는, 히터, 선풍기, 에어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컨은, 천장형,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 에어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입출력 모듈(320)의 화면에는, 상기 천장 팬(1)을 제어하기 위한 풍량 세기, 디스플레이, 취침 예약, 반복 예약, 스마트 순환모드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상기 천장 팬(1)과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이 연동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팬(1)의 연동운전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연동운전 입력을 전달받아 상기 입출력 모듈(320)의 출력 화면을 통신연결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천장 팬(1)과 연동할 수 있는 공기조화 제품을 감지 및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서버(또는 라우터)에 접속된 공기조화 제품과 통신연결을 수행(또는 완료)할 수 있다.(S30)
일례로,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입출력모듈(320)의 화면에는 상기 통신연결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통신연결 화면에는 상기 천장 팬(1)과 연동이 가능한 공기조화 제품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 모듈(320)의 화면을 터치하여 상기 천장 팬(1)과 연결될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통신연결 화면에 표시되는 공기조화 제품은, 상기 서버(또는 라우터)에 접속된 제품으로, 천장 팬(1)과 전기적으로 연동 가능한 제품인 동시에, 상기 천장 팬(1)과 공통된 공간을 향유하고 있는 공기조화 제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천장 팬(1)이 설치된 실내에 공기청정기를 배치하고, 상기 입출력 모듈(320)을 통해 상기 공기청정기를 서버에 등록함으로써 상기 천장 팬(1)과 상기 공기청정기를 연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상기 천장 팬(1)이 설치된 거실에 구비되는 거실에어컨을 서버에 등록함으로써 상기 천장 팬(1)과 상기 공기청정기와 상기 거실에어컨을 연동시킬 수 있다.
상기 거실에어컨은, 천정형,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의 에어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선택된 공기조화 제품과 통신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장 팬(1)은 통신연결을 수행하여 선택된 공기조화 제품과 동기화를 이룰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천장 팬(1)은 먼저 작동하고 있던 거실에어컨과 통신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거실에어컨의 제어 시퀀스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먼저 작동하고 있는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실내 환경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 조건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연동 가능한 공기조화 제품을 선택한 후,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선택된 공기조화 제품의 통신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통신연결이 완료된 공기조화 제품은,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운전의 실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순환모드 실행을 결정할 수 있다.(S40)
여기서,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는, 상기 통신 모듈(88)에 의해 서로 연동 또는 동기화된 공기조화 제품과 서로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실내의 전체적인 공기 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management)할 수 있는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입출력 모듈(320)의 출력 화면에는, 통신연결이 완료되어 연동운전이 준비된 공기조화 제품, 즉, 거실에어컨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화면에는 통신연결이 완료되어 연동운전이 준비된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을 중지시키는 아이콘과, 통신연결을 수행할 공기조화 제품을 변경하는 아이콘 및 상기 연동운전이 준비된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운전을 시작하는 스마트 순환모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 모듈(320)의 출력 화면에 표시되는 스마트 순환모드 실행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천장 팬(1)과 상기 거실에어컨의 연동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 받아 또는 설정된 입력 상태에 따라 스마트 순환모드의 실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스마트 순환모드 실행을 입력한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천장 팬(1) 및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연동운전이 수행되도록 스마트 순환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로 진입하는 경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천장 팬(1)이 단독 운전되는 일반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50)
상세히, 상기 제어부(300)는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수신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천장 팬(1)의 운전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중 전원이 오프(OFF)된 제품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천장 팬(1)의 전원이 켜지기 전에 미리 작동하지 않았던 제품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오프된 제품에 전원이 켜지도록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천장 팬(1)과 함께 작동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천장 팬(1)의 전원이 켜지기 전부터 미리 작동 중인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미리 작동 중인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실내 환경 정보 및/또는 미리 입력된 사용자 설정 조건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 환경 정보는, 현재 실내 온도, 현재 실내 먼지량, 현재 실내 청정도, 현재 실내 습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은, 온도, 먼지량, 청정도, 습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 중 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 온도로써 “사용자 설정 온도”라 이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설정 조건 중 먼지량은 “희망 먼지량”이라 이름하고, 수치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 조건 중 청정도는 “희망 청정도”라 이름하고, 단계적인 레벨로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실내 벽면에 설치된 에어컨으로부터 감지된 현재 실내 온도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지면에 기립하여 배치된 공기청정기로부터 현재 실내 먼지량, 현재 실내 청정도(또는 쾌적도) 정보 등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조건과 상기 천장 팬(1)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조건이 다른 경우, 최신의 입력정보인 상기 천장 팬(1)에 입력된 사용자 설정 조건으로 일치시켜 통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사용자 설정 조건과 실내 환경의 차이를 감지 또는 판단할 수 있다.(S60)
달리 표현하면, 상기 천장 팬(1)은 사용자 설정 조건과 실내 환경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 및/또는 현재 실내 환경을 판단하기 위한 실내 환경 정보는, 상기 S50 단계에서 먼저 작동 중인 것으로 판단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 설정 조건 및/또는 실내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과 실내 환경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물론, 먼저 작동 중인 공기조화 제품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은, 상기 천장 팬(1)의 입출력 모듈(320)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 환경 정보는, 상기 센싱 모듈(310) 및/또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에 구비되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과 실내 환경의 차이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에 따라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설정 조건과 실내 환경의 차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에 따라 선택되는 각각의 인자(factor)는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에어컨인 경우,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은 사용자가 입력한 희망 온도 즉, 사용자 설정 온도로 규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 환경을 판단하기 위한 실내 환경 정보는, 현재 실내 온도로 규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인자(factor)는 온도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컨은, 천정형,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 에어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1)과 상기 에어컨이 연동되어 스마트 순환모드가 작동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 설정 온도와 상기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싱 모듈(310)로부터 감지된 정보와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실내 공간의 구획 별로 사용자 설정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 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싱 모듈(31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실내 천장 부근의 환경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지면에 설치된 공기청정기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실내 지면 부근의 환경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실내 측벽에 설치된 에어컨으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실내 측벽 부근의 환경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청정기와 상기 에어컨에는, 각각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천장 팬(1)과 연동된 경우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실내 공간을 천장, 지면, 측벽을 기준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각 구획된 공간 별로 사용자 설정 온도와 감지된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 값을 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공기청정기인 경우,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은, 상기 희망 먼지량 또는 상기 희망 청정도로 규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 환경을 판단하기 위한 실내 환경 정보는, 현재 실내 먼지량 또는 현재 실내 청정도로 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1)과 상기 공기청정기가 연동되어 스마트 순환모드가 작동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희망 먼지량(또는 희망 청정도)과 상기 현재 실내 먼지량(또는 현재 실내 청정도)의 차이 값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에어컨 및 공기청정기인 경우,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은, 상기 사용자 설정 온도 및 상기 희망 먼지량(또는 희망 청정도)로 규정되어, 각각의 실내 환경 정보 인자(factor)와 차이 값을 계산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과 상기 실내 환경의 차이 값(?T)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상기 메모리부(330)에 테이블화 되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제 1 범위, 제 2 범위 및 제 3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범위는, 상기 차이 값(?T)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범위는, 선택된 인자(factor)가 온도인 경우, 0(°C)< 차이 값(?T)≤2(°C)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범위는, 상기 제 1 범위 보다 상기 차이 값(?T)이 큰 값을 가지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범위는, 선택된 인자(factor)가 온도인 경우, 2(°C)< 차이 값(?T)≤5(°C)인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3 범위는, 상기 제 2 범위 보다 상기 차이 값이 큰 값을 가지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범위는, 선택된 인자(factor)가 온도인 경우, 5(°C) < 차이 값(?T)인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의 수는, 후술할 천장 팬(1)의 회전수(RPM) 별로 구분된 단계 수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감지 또는 판단된 차이를 기초로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S60)
달리 표현하면,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산출된 차이를 기초로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설정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 값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상기 천장 팬(1)은 회전수(RPM)를 증가시켜 실내 공기의 순환이 빨라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는, 상술한 모터의 회전수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 S60단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바람 세기를 단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RPM(Revolution Per Minute)을 따라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수(RPM)는, 약, 중, 강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 중 및 강에 대한 회전수는, 바람의 세기가 단계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부(3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미리 설정된 범위는, 각각, 미리 저장된 회전수(RPM)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차이 값(?T)이 상기 제 1 범위를 만족하면 상기 회전수는 “약 또는 약풍”으로 결정(또는 매칭)되며, 상기 차이 값(?T)이 상기 제 2 범위를 만족하면 상기 회전수는 “중 또는 중풍”으로 결정되며, 상기 차이 값(?T)이 상기 제 3 범위를 만족하면 상기 회전수는 “강 또는 강풍”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는, 약풍에서 강풍으로 향할수록 커질 수 있다.
일례로, 선택된 인자(factor)가 온도인 경우, 상기 차이 값이 2(°C)라면, 상기 제 1 범위를 만족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회전수(RPM)를 상기 제 1 범위에 대응하는 약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약, 중, 강과 같이 단계적으로 구분되는 회전수(RPM)는, 사용자가 희망하고 기대하는 실내 기류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차이 값이 제 3 범위를 만족한다면, 사용자는 보다 강력하고 직접적인 기류를 기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회전수(RPM)를 강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이 값이 제 2 범위를 만족한다면, 사용자는 너무 강하지 않은 직접적인 기류를 기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회전수(RPM)를 중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이 값이 제 1 범위를 만족한다면, 사용자는 은은한 기류를 기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회전수(RPM)를 약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획된 공간 별로 사용자 설정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 값이 저장된 경우,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구획된 공간 별로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함께, 상기 구획된 공간 별로 보완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어느 구획된 일 공간에서 사용자 설정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큰 경우, 상기 구획된 일 공간에 배치되거나 가장 근접한 공기조화 제품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상기 구획된 일 공간을 순환하는 기류가 강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천장 팬(1)의 회전수(RPM)도 함께 증가시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운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S70)
상기 운전모드는, 냉방 및 난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모드는, 입출력 모듈(320)에 의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S50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모드 정보를 제공받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냉방을 수행하고 있다면 냉방으로 운전모드를 결정하고, 난방을 수행하고 있다면 난방으로 운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모드를 추종하도록 운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300)는 센싱모듈(31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에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오토(Auto)로 운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공기청정기인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운전모드를 오토(Auto)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오토모드는, 사용자 설정 온도를 기준으로 현재 실내 온도가 높은지(+) 또는 낮은지(-)에 따라 후술할 천장 팬(1)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운전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오토모드에서는, 상기 현재 실내 온도가 상기 사용자 설정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상기 천장 팬(1)을 정방향 회전시키고, 상기 현재 실내 온도가 상기 사용자 설정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천장 팬(1)을 역방향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결정된 운전모드 및 상기 결정된 회전수를 기초로 회전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S75)
달리 표현하면, 상기 결정된 회전수는 상기 산출된 차이 값이 속하는 설정범위에 대응하는 것이므로,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결정된 운전 모드 및 상기 산출된 차이 값을 기초로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결정된 운전모드가 냉방모드인 경우,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결정된 회전수가 강 또는 중을 만족할 때, 정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차이 값(?T)이 제 2 범위 또는 제 3 범위를 만족하고, 상기 운전모드가 냉방모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블레이드(100,200)가 정방향 회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방향 회전은 블레이드(100,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도8 참고)
여기서, 상기 천장 팬(1)의 정방향 회전은, 냉방모드에 따른 실내 냉방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차이 값(?T)이 제 1 범위를 만족하고, 상기 운전모드가 냉방모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블레이드(100,200)가 역방향 회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회전은 블레이드(100,20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도7 참고)
정리하면, 냉방모드에서, 상기 산출된 차이 값(?T)이 미리 설정된 기준(예를 들어, 제 1 범위의 최대 값) 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블레이드(100,20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산출된 차이 값(?T)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블레이드(100,200)를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냉방모드에도 불구하고 상기 회전수(RPM)가 약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은은한 냉방 기류를 기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설정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의 차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 1 범위에서는, 냉방효과를 최적화 시킬 수 있는 정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회전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정된 운전모드가 난방모드인 경우, 상기 천장 팬(1)은 역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난방모드로 운전모드가 결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회전수에 상관없이 상기 블레이드(100,20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천장 팬(1)의 역방향 회전은 난방운전의 난방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정된 운전모드가 오토모드인 경우, 상기 천장 팬(1)은 사용자 설정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를 기초로 회전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현재 실내 온도가 상기 사용자 설정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중심에 하강 기류가 형성되도록 상기 천장 팬(1)을 정방향 회전시키고, 상기 현재 실내 온도가 상기 사용자 설정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중심에 상승 기류가 형성되도록 상기 천장 팬(1)을 역방향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결정된 회전수 및 상기 결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S80)
이에 의하면, 상기 천장 팬(1)과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은 함께 공통적인 사용자 설정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작동하기 때문에 빠르게 사용자 설정 조건에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실내 쾌적감을 보다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복적인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통합적인 제어로 사용자의 제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환경이 사용자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85)
상세히, 상기 제어부(30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현재 실내 환경 정보가 사용자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싱 모듈(310) 및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실시간 실내 환경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례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어부(300)는 감지된 현재 실내 온도가 사용자 설정 온도를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환경이 사용자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경우 스마트 순환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에, 실내 환경이 사용자 설정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다.(S90)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S85 단계에서 현재 실내 온도가 사용자 설정 온도에 못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더욱 빠르게 사용자 설정 온도에 도달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수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약’에서 ‘중’ 또는 ‘중’에서 ‘강’으로 상기 회전수가 한 단계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또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상세히,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과 실내 환경의 차이를 감지하는 단계(S60)에는, 실내 공간의 사각지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300)는, 천장 팬(1)에 설치된 센싱 모듈(310)의 감지정보와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제공된 실내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실내 공간의 사각지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각지대는, 먼지 흡입 효과가 떨어지는 지역, 차가운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가 도달하지 않는 지역, 기류가 정체되는 지역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과 실내 환경의 차이를 감지하는 단계(S60)에는 상기 판단된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천장 팬(1) 및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판단된 사각지대의 기류 순환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천장 팬(1)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도록 제어하고,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중 에어컨의 풍량과 공기청정기의 흡입량을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실내의 사각지대는 최소화되고 효과적인 실내 공기조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회전 방향에 따른 실내의 기류 방향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공간에 냉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정방향 회전(R)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천장 팬(1)은 난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역방향 회전(R’)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의하면, 냉방 또는 난방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천장 팬(1)이 시계 방향(R)으로 정회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내 공간에서 기류 방향은, 상기 천장 팬(1)의 중심 부분에 가까울수록 하강기류를 형성하며, 멀수록 상승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팬(1)이 정회전을 수행하는 경우, 블레이드(100,200)에 의해 천장 팬(1) 근처 공기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며, 상대적으로 천장 팬(1)에서 멀어지는 실내 측벽 부근 공기는 실내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상승하여 음압이 형성되는 천장 팬(1)의 중심 부근으로 유동할 수 있다.(C)
따라서, 냉방모드가 수행될 때, 상기 천장 팬(1)이 정회전을 수행하게 되면 실내 하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곽으로 밀어내도록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냉방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난방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대체적으로 실내 온도는 낮은 온도를 형성하게 되므로 공기조화 제품을 통해 토출된 따뜻한 공기는 온도 차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승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1)은 난방모드에서 역방향(R’)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R’) 회전에 의하면, 블레이드(100,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천장 팬(1) 중심 부근의 공기가 실내 상측으로 올라오도록 기류가 강제되므로 실내 측벽에서는 하강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H)
이에 의하면, 상기 천장 팬(1)은 차가운 실내 온도에 의하여 다른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토출된 따듯한 공기가 천장 부근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해소하고, 천장 부근의 공기를 실내 하방으로 강제하도록 순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난방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과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이 연동되어 실내 공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실내 공간(Room)에는 다양한 공기조화 제품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 공기조화 제품의 설치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 제품은 에어컨, 공기청정기, 제습기, 가습기, 일반 선풍기, 서큘레이터, 난방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에는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실내 측벽에는 벽걸이형 에어컨(D1)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타측 공간에는 지면으로부터 기립되어 위치하는 공기청정기(D2) 또는 가습기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에어컨(D1) 및 공기청정기(D2), 가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동되어 운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장 팬(1), 에어컨(D1) 및 공기청정기(D2)은, 사용자에 이하여 설정된 실내 공기 환경을 공유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다양한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되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에 속하는 공기조화 제품들은, 동일한 사용자 설정 값으로 통합적으로 운전될 수 있다.
즉, 실내 공간에 설치된 전체 공기조화 제품이 연동되어 통일적, 종합적으로 실내 공기조화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실내 천장, 벽면, 지면 등에서 각각의 공기조화 제품의 작동하므로 실내 공기 순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며 냉방 또는 난방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즉,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에 따라, 실내 온도를 설정 온도로 빠르게 도달시킬 수 있으며, 공기 청정 시간도 빨라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M)는 빠르게 실내 공기 환경에 쾌적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공기조화 제품이 설치된 위치에서, 먼지량, 온도 등을 감지하고 사용자 설정 값에 도달하도록 운전하기 때문에 실내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실내 공기환경을 만들 수 있다.
1: 천장 팬 10: 샤프트
20: 모터샤프트 30: 하우징커버
60: 컨트롤어셈블리 70: 브릿지케이스
90: 디스플레이커버 100: 메인블레이드
200: 서브블레이드
20: 모터샤프트 30: 하우징커버
60: 컨트롤어셈블리 70: 브릿지케이스
90: 디스플레이커버 100: 메인블레이드
200: 서브블레이드
Claims (21)
-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
상기 모터어셈블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전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장부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및 상기 모터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천장 팬.
-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온도, 습도,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하는 천장 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실내 환경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설정 조건과 차이를 감지하는 천장 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 조건과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감지된 실내 환경 정보를 기초로 실내 공간을 구획하여 사각지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각지대가 해소되도록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중 상기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제품을 제어하는 천장 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천장 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서로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제어하는 천장 팬.
-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입력 메뉴와 출력 화면을 제공하는 입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천장 팬.
- 실내에 설치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 중 통신연결에 의하여 연동될 공기조화 제품을 선택하는 연동운전 입력 단계;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운전상태 판단 단계;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조건과 실내 환경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차이를 기초로 회전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회전수로 회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장 팬의 제어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작동 중인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사용자 설정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장 팬의 제어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은, 온도 인자, 먼지량 인자, 청정도 인자, 습도 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자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 환경은,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의 인자와 동일한 인자로 판단되는 천장 팬의 제어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제공받는 천장 팬의 제어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과 실내 환경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설정 조건과 상기 실내 환경의 차이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는,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에 매칭되도록 단계적으로 제어되는 천장 팬의 제어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상기 차이 값의 가장 작은 값을 가지도록 정의되는 제 1 범위;
상기 제 1 범위 보다 상기 차이 값의 크기가 큰 제 2 범위; 및
상기 제 2 범위 보다 상기 차이 값의 크기가 큰 제 3 범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는,
상기 제 1 범위에 매칭되는 약풍;
상기 제 2 범위에 매칭되는 중풍; 및
상기 제 3 범위에 매칭되는 강풍을 포함하는 천장 팬의 제어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동일하도록 운전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운전모드 및 상기 결정된 회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블레이드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장 팬의 제어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는 냉방 및 난방을 포함하며,
상기 운전모드가 냉방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차이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작으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산출된 차이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크면 시계방향으로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천장 팬의 제어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모드가 난방으로 결정된 경우,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천장 팬의 제어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운전 입력 단계는, 입출력 모듈의 화면에 표시되는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 중 연동할 제품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 모듈의 화면에 표시되는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은, 사용자가 서버 또는 라우터에 등록한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팬의 제어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설치 위치를 기초로 구획된, 실내 공간 별로 사용자 설정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차이 값을 기초로,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함께 보완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장 팬의 제어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중 상기 구획된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제품의 회전수를 변경하여 상기 구획된 실내 공간을 순환하는 기류를 제어하는 천장 팬의 제어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은, 히터, 선풍기, 에어컨, 공기청정기, 제습기, 가습기 및 서큘레이터를 포함하는 천장 팬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7/058,075 US11873828B2 (en) | 2018-06-12 | 2019-06-12 | Ceiling fan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PCT/KR2019/007108 WO2019240502A1 (ko) | 2018-06-12 | 2019-06-12 |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067501 | 2018-06-12 | ||
KR1020180067501 | 2018-06-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0865A true KR20190140865A (ko) | 2019-12-20 |
KR102231039B1 KR102231039B1 (ko) | 2021-03-24 |
Family
ID=6906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9405A KR102231039B1 (ko) | 2018-06-12 | 2019-06-12 |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873828B2 (ko) |
EP (1) | EP3808986A4 (ko) |
KR (1) | KR10223103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57658A1 (en) * | 2020-06-16 | 2021-12-23 | Delta T, Llc | Ceiling fan with germicidal capabilities |
DE102023104206A1 (de) | 2022-02-22 | 2023-08-24 | Lg Electronics Inc. | Deckenventilator |
US11873818B2 (en) | 2020-09-15 | 2024-01-16 | Lg Electronics Inc. | Ceiling fa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12561S (en) * | 2020-04-28 | 2022-07-04 | Gd Midea Env Appliances Mfg Co | Ceiling fan |
US11339802B1 (en) * | 2020-10-29 | 2022-05-24 | Wei Huang FAN | Ceiling fan remote control device |
USD1026003S1 (en) * | 2020-11-13 | 2024-05-07 | Hunter Fan Company |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
KR20230120800A (ko) * | 2022-02-10 | 2023-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실링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277381A1 (en) * | 2004-06-15 | 2005-12-15 | Chinmoy Banerjee | System to control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living space |
US20070139884A1 (en) * | 2005-12-21 | 2007-06-21 | Foster Jimmy G Sr | Dual impeller push-pull axial fan heat sink |
US20140023507A1 (en) * | 2007-10-10 | 2014-01-23 | Moog Inc. | Ceiling fan system with brushless motor |
US20170218962A1 (en) | 2014-09-29 | 2017-08-03 | Panasonic Manufacturing Malaysia Berhad | Ceiling fan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74375A (ja) | 1993-12-17 | 1995-07-14 | Matsushita Seiko Co Ltd | 防カビ装置 |
JP3810960B2 (ja) | 1999-09-07 | 2006-08-1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換気システム |
CA3209442A1 (en) | 2014-12-30 | 2016-07-07 | Delta T, Llc | Integrated thermal comfort control system with variable mode of operation |
KR102032192B1 (ko) * | 2015-10-23 | 2019-10-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US10454703B2 (en) * | 2015-11-17 | 2019-10-22 | Olibra Llc | Device,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and appliances |
US9860360B2 (en) | 2015-11-17 | 2018-01-02 | Olibra Llc | System, device, and method of wireless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and appliances |
US10606223B2 (en) | 2015-12-03 | 2020-03-31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Mobile-based environmental control |
JP6501973B2 (ja) | 2016-04-18 | 2019-04-17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システム |
WO2018081611A1 (en) * | 2016-10-28 | 2018-05-03 | FutureAir, Inc. |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air signature detection and mangement based on internet-of-things technology |
-
2019
- 2019-06-12 KR KR1020190069405A patent/KR1022310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6-12 US US17/058,075 patent/US11873828B2/en active Active
- 2019-06-12 EP EP19819892.1A patent/EP3808986A4/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277381A1 (en) * | 2004-06-15 | 2005-12-15 | Chinmoy Banerjee | System to control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living space |
US20070139884A1 (en) * | 2005-12-21 | 2007-06-21 | Foster Jimmy G Sr | Dual impeller push-pull axial fan heat sink |
US20140023507A1 (en) * | 2007-10-10 | 2014-01-23 | Moog Inc. | Ceiling fan system with brushless motor |
US20170218962A1 (en) | 2014-09-29 | 2017-08-03 | Panasonic Manufacturing Malaysia Berhad | Ceiling fa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57658A1 (en) * | 2020-06-16 | 2021-12-23 | Delta T, Llc | Ceiling fan with germicidal capabilities |
US11873818B2 (en) | 2020-09-15 | 2024-01-16 | Lg Electronics Inc. | Ceiling fan |
DE102023104206A1 (de) | 2022-02-22 | 2023-08-24 | Lg Electronics Inc. | Deckenventilator |
US11835051B2 (en) | 2022-02-22 | 2023-12-05 | Lg Electronics Inc. | Ceiling fa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808986A1 (en) | 2021-04-21 |
EP3808986A4 (en) | 2022-04-06 |
KR102231039B1 (ko) | 2021-03-24 |
US20210215163A1 (en) | 2021-07-15 |
US11873828B2 (en) | 2024-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140865A (ko) |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 | |
AU2011295983B2 (en) | Ventilation unit calib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US9575496B2 (en) | HVAC controller with user-friendly installation features with wire insertion detection | |
US20220146130A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the same | |
JP5537334B2 (ja)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
US9702570B2 (en) | Bulkhead assemblies for air conditioner units | |
US11873827B2 (en) | Ceiling fa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A3066430A1 (en) | Hvac controller with user-friendly installation features facilitating both do-it-yourself and professional installation scenarios | |
CN107120728B (zh) | 一种分区控制风速的空调及控制方法 | |
KR20140132854A (ko) | 공기조화장치 | |
KR102180544B1 (ko) |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
CN111336665B (zh) | 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空调器和电子设备 | |
JP6975522B2 (ja) | 空気調和機 | |
CN111306726A (zh) | 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空调器和电子设备 | |
US20040156716A1 (en) | Air circulating device | |
KR20200106402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 |
CN213780765U (zh) | 一种智能温控环境控制器 | |
US11112142B2 (en) | Cover assembly for an opening in a bulkhead of an air conditioner unit | |
CN112880036A (zh) | 吊顶式空调器室内机 | |
CN113566287A (zh) | 天花机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CN211345549U (zh) | 吊顶式空调器室内机 | |
US20240344731A1 (en) | Multifunction adaptive fan system | |
CN211874814U (zh) | 换气扇壳体结构 | |
CN117906202A (zh) | 出风组件、室内机、控制室内机的方法、装置和空调器 | |
KR102714628B1 (ko) | 공조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