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618A - 캐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캐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618A
KR20190140618A KR1020180067309A KR20180067309A KR20190140618A KR 20190140618 A KR20190140618 A KR 20190140618A KR 1020180067309 A KR1020180067309 A KR 1020180067309A KR 20180067309 A KR20180067309 A KR 20180067309A KR 20190140618 A KR20190140618 A KR 20190140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stand
posts
main frame
reinforcing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133B1 (ko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7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133B1/ko
Priority to CN201920882977.9U priority patent/CN210416776U/zh
Publication of KR2019014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4Booms only for booms with cable suspension arrangements; Cable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62D33/0621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able to be dismantled, 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는 메인 프레임, 캐빈 스탠드, 캐빈 및 연결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빈 스탠드는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빈은 상기 캐빈 스탠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캐빈과 상기 캐빈 스탠드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분리된 캐빈과 캐빈 스탠드 및 메인 프레임을 컨테이너에 적재할 수가 있게 되어, 캐빈 구조체의 운송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캐빈의 포스트들이 연결 기구를 매개로 캐빈 스탠드에 연결됨으로써, 포스트들 각각이 하중을 단독으로 받지 않고 캐빈 스탠드와 메인 프레임이 같이 하중을 받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캐빈 구조체의 소성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캐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CABI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캐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캐빈 구조체의 캐빈과 메인 프레임 간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는 휠 로더, 굴삭기, 불도저, 스크레이퍼, 트랙터 등과 같은 작업용 중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건설 기계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캐빈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빈 구조체는 메인 프레임, 캐빈 스탠드 및 캐빈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빈은 캐빈 스탠드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캐빈 스탠드는 메인 프레임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관련 기술들에 따르면, 캐빈이 장착된 캐빈 스탠드는 메인 프레임에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캐빈과 캐빈 스탠드를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캐빈 구조체는 큰 부피를 갖기 때문에, 컨테이너에 적재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캐빈 구조체를 운송하는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캐빈 구조체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되면, 메인 프레임에 용접된 캐빈에 소성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캐빈의 소성 변형 방지를 위해서 보강재를 캐빈 구조체에 설치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보강재는 캐빈 구조체의 구조를 복잡하게 함과 아울러 단가 상승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면서 운송비도 절감할 수 있는 캐빈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된 캐빈 구조체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는 메인 프레임, 캐빈 스탠드, 캐빈 및 연결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빈 스탠드는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빈은 상기 캐빈 스탠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캐빈과 상기 캐빈 스탠드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캐빈은 상판의 하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포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포스트들 각각의 하단에 연결된 복수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들 각각에 형성된 제1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캐빈 스탠드 상면에 형성된 제 2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포스트들을 상기 캐빈 스탠드에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호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플랜지부와 상기 복수의 포스트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보강 리브 각각은 상기 복수의 플랜지부 각각의 상면과 상기 복수의 포스트 각각의 측면을 연결하는 판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스트들은 상기 상판의 전방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프런트 포스트와, 상기 상판의 후방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리어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보강 리브 중 상기 프런트 포스트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들은 상기 프런트 포스트로부터 마주하는 다른 프런트 포스트를 향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강 리브 중 상기 리어 포스트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들은 상기 리어 포스트로부터 다른 리어 포스트를 향해 연장되는 형상의 제 1 보강 리브와, 상기 리어 포스트로부터 상기 프런트 포스트를 향해 연장되는 형상의 제 2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캐빈 구조체는 상기 캐빈 스탠드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캐빈 스탠드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캐빈 구조체는 상기 캐빈 스탠드의 하부면에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캐빈 구조체는 상기 플랜지부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하부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건설 기계는 캐빈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빈 구조체는 메인 프레임, 캐빈 스탠드, 캐빈 및 연결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빈 스탠드는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빈은 상기 캐빈 스탠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캐빈과 상기 캐빈 스탠드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르면, 캐빈의 포스트들이 캐빈 스탠드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분리된 캐빈과 캐빈 스탠드 및 메인 프레임을 컨테이너에 적재할 수가 있게 되어, 캐빈 구조체의 운송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캐빈의 포스트들이 연결 기구를 매개로 캐빈 스탠드에 연결됨으로써, 포스트들 각각이 하중을 단독으로 받지 않고 캐빈 스탠드와 메인 프레임이 같이 하중을 받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캐빈 구조체의 소성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빈 구조체의 캐빈과 캐빈 스탠드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캐빈 구조체의 캐빈과 캐빈 스탠드 사이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캐빈 구조체의 포스트들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캐빈 구조체와 종래의 캐빈 구조체의 변위에 대한 지지력을 비교해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빈 구조체의 캐빈과 캐빈 스탠드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캐빈 구조체의 캐빈과 캐빈 스탠드 사이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캐빈 구조체의 포스트들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는 캐빈(110), 캐빈 스탠드(120), 메인 프레임(130), 복수개의 마운트(140)들, 복수개의 리테이너(150)들 및 연결 기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30)은 건설 기계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캐빈(11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마운트 프레임(135)들이 메인 프레임(130)으로부터 위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캐빈 스탠드(120)는 메인 프레임(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캐빈 스탠드(120)는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메인 프레임(130)에 고정될 수 있다.
캐빈(110)은 캐빈 스탠드(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캐빈(110)은 상판(112), 상판(112)의 하부면에 연결된 복수개의 포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포스트들은 2개의 프런트 포스트(114)들 및 2개의 리어 포스트(116)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포스트(114)들은 상판(112)의 하부면의 전방 양측 모서리들에 고정될 수 있다. 리어 포스트(116)들은 상판(112)의 하부면의 후방 양측 모서리들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포스트(114, 116)들의 하단은 하부 지지체(113)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지지체(113)는 후술된 포스트(114, 116)들의 하단들을 연결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 기구(160)는 캐빈(110)을 캐빈 스탠드(1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기구(160)는 프런트 포스트(114)들과 리어 포스트(116)들의 하단들을 캐빈 스탠드(1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 기구(160)는 4개의 포스트(114, 116)들과 대응하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기구(160)들 각각은 플랜지부(162), 보강 리드(167, 167a, 167b), 체결 부재(168) 및 체결공(163)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162)들은 포스트(114, 116)들 각각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플랜지부(162)들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16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68)는 제 1 체결공(163)을 관통하여 캐빈 스탠드(120)에 형성된 제 2 체결공(121)에 제 1 체결공(163)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포스트들(114,116)을 캐빈 스탠드(120)에 연결시킬 수 있다. 플랜지부(162)별로 제 1 체결공(163)이 복수로 형성될 경우 후술될 지지 리브(167)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빈 스탠드(120)와 캐빈(110)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 부재(168)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볼트를 제 1 및 제 2 체결공(163, 121)들로부터 푸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서 캐빈(110)을 캐빈 스탠드(1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체결 부재(168)는 볼트로 국한되지 않고 캐빈(110)을 캐빈 스탠드(1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다른 부재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포스트(114, 116)들이 연결 기구(160)에 의해서 캐빈 스탠드(1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포스트(114, 116)들이 캐빈 구조체에 인가된 횡하중을 1차로 지지할 수 있다. 이어서, 체결 부재(168)에 의해 포스트(114, 116)들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캐빈 스탠드(120)가 횡하중을 2차로 지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캐빈 구조체의 소성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각 플랜지부(162)들 상면에는 보강 리브(167, 167a, 167b)가 형성되어 보다 큰 하중에서도 캐빈(11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보강 리브(167, 167a, 167b)들은 플랜지부(162)의 상면과 각 포스트(114,116)들의 하단 측면을 연결하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167, 167a, 167b) 각각은 플랜지부(162)와 연결되는 하단이 넓고 상단으로 진행할수록 좁아지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167, 167a, 167b)는 포스트(114, 116)별로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프런트 포스트(114)에 연결된 보강 리브(167)는 해당 프런트 포스트(114)와 마주하는 반대편 프런트 포스트(114)를 향해 연장된 1개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포스트(116)에 연결된 보강 리브(167a, 167b)는 2개의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포스트(114)의 보강 리브(167)과 유사한 방향, 즉 해당 리어 포스트(116)와 마주하는 반대편 리어 포스트(114)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 1 보강 리브(167a)를 포함하고, 해당 리어 포스트(116)와 마주하는 프런트 포스트(114)를 향해 리어 포스트(116)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2 보강 리브(167b)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140)들은 캐빈 스탠드(120)와 메인 프레임(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마운트(140)들은 포스트(114, 116)들의 하부에 배치되며, 캐빈 스탠드(120)의 하면에 형성된 제 3 체결공(123)에 마운트(140)의 상부가 장착될 수 있다. 제 3 체결공(123)은 캐빈 스탠드(1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돌출부(127)에 형성될 수 있으며, 마운트(140)는 별도의 볼트(143)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제 3 체결공(123)에 장착 될 수 있다. 한편, 마운트(140)의 하부(141)는 마운트 프레임(135)에 형성된 제 4 체결공(136)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운트(140)의 하부(141)는 제 4 체결공(136)에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140)들은 메인 프레임(130)으로부터 캐빈 스탠드(12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마운트(140)들은 포스트(114, 116)들의 중심축으로부터 옵셋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마운트(140)들은 포스트(114, 116)들의 중심축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마운트(140)들은 고무 마운트, 유체 마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150)들은 캐빈 스탠드(12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리테이너(150)들은 캐빈 스탠드(120)의 하면에 형성된 제 4 체결공(124)에 장착될 수 있다. 리테이너(150)들은 제 4 체결공(124)에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 체결공(124)은 캐빈 스탠드(120)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돌출부(127)에 형성될 수 있으며, 마운트(140)들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50)들은 캐빈 스탠드(120)에 장착시, 하단이 마운트 프레임(135)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리테이너(150)들은 횡하중에 의해서 캐빈(110)이 기울어질 경우, 마운트 프레임(135)과 접촉하여 추가적인 지지력을 생성시킴으로써, 캐빈(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캐빈 구조체와 종래의 캐빈 구조체의 변위에 대한 지지력을 비교해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서, 수평축은 횡하중이 캐빈 구조체에 인가된 경우 캐빈 구조체의 변위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변위에 대한 지지력을 나타낸다. 도 6에서, 선 La는 종래의 고정형 캐빈 구조체의 지지력을 나타내고, 선 L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캐빈 구조체의 지지력을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횡하중이 고정형 캐빈 구조체에 인가된 경우, 고정형 캐빈 구조체의 지지력은 300kN 정도이다. 반면에, 횡하중이 분리형 캐빈 구조체에 인가된 경우, 분리형 캐빈 구조체의 지지력은 350kN 정도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캐빈 구조체가 고정형 캐빈 구조체보다 강화된 지지력을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캐빈의 포스트들이 캐빈 스탠드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분리된 캐빈과 캐빈 스탠드 및 메인 프레임을 컨테이너에 적재할 수가 있게 되어, 캐빈 구조체의 운송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캐빈의 포스트들이 연결 기구를 매개로 캐빈 스탠드에 연결됨으로써, 포스트들 각각이 하중을 단독으로 받지 않고 캐빈 스탠드와 메인 프레임이 같이 하중을 받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캐빈 구조체의 소성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캐빈 112 ; 상판
114 ; 프런트 포스트 116 ; 리어 포스트
120 ; 캐빈 스탠드 130 ; 메인 프레임
140 ; 마운트 150 ; 리테이너
160 ; 연결 기구 162 ; 플랜지부
163 ; 제 1 체결공 167 ; 지지 리브
168 ; 체결 부재

Claims (10)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배치된 캐빈 스탠드(cabin stand);
    상기 캐빈 스탠드 상에 배치된 캐빈; 및
    상기 캐빈과 상기 캐빈 스탠드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 기구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은 상판의 하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포스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포스트들 각각의 하단에 연결된 복수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들 각각에 형성된 제1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캐빈 스탠드 상면에 형성된 제 2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포스트들을 상기 캐빈 스탠드에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호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플랜지부와 상기 복수의 포스트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강 리브 각각은 상기 복수의 플랜지부 각각의 상면과 상기 복수의 포스트 각각의 측면을 연결하는 판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스트들은 상기 상판의 전방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프런트 포스트와, 상기 상판의 후방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리어 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강 리브 중 상기 프런트 포스트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들은 상기 프런트 포스트로부터 마주하는 다른 프런트 포스트를 향해 연장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강 리브 중 상기 리어 포스트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들은 상기 리어 포스트로부터 다른 리어 포스트를 향해 연장되는 형상의 제 1 보강 리브와, 상기 리어 포스트로부터 상기 프런트 포스트를 향해 연장되는 형상의 제 2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볼트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스탠드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캐빈 스탠드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트를 더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스탠드의 하부면에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하부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캐빈 구조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의 캐빈 구조체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KR1020180067309A 2018-06-12 2018-06-12 캐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KR102562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309A KR102562133B1 (ko) 2018-06-12 2018-06-12 캐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CN201920882977.9U CN210416776U (zh) 2018-06-12 2019-06-12 工程机械的驾驶室结构体及包括其的工程机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309A KR102562133B1 (ko) 2018-06-12 2018-06-12 캐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618A true KR20190140618A (ko) 2019-12-20
KR102562133B1 KR102562133B1 (ko) 2023-08-01

Family

ID=6906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309A KR102562133B1 (ko) 2018-06-12 2018-06-12 캐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2133B1 (ko)
CN (1) CN21041677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5781A1 (ja) * 2020-04-07 2021-10-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キャブ、作業車両およびブルドーザ
CN114454968A (zh) * 2022-02-23 2022-05-10 扬州丰源车身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抗压结构的驾驶室总成及其加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4065A (zh) * 2021-05-08 2021-07-30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工程车辆的驾驶室及工程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1064A (ja) * 2002-03-06 2003-09-1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キャビン構造
JP2006056325A (ja) * 2004-08-18 2006-03-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18025047A (ja) * 2016-08-10 2018-02-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1064A (ja) * 2002-03-06 2003-09-1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キャビン構造
JP2006056325A (ja) * 2004-08-18 2006-03-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18025047A (ja) * 2016-08-10 2018-02-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5781A1 (ja) * 2020-04-07 2021-10-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キャブ、作業車両およびブルドーザ
CN114454968A (zh) * 2022-02-23 2022-05-10 扬州丰源车身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抗压结构的驾驶室总成及其加工方法
CN114454968B (zh) * 2022-02-23 2023-08-01 扬州丰源车身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抗压结构的驾驶室总成及其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133B1 (ko) 2023-08-01
CN210416776U (zh)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0618A (ko) 캐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JP5810683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支持構造
JP5979187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支持構造
US20170066301A1 (en) Stabilizer support structure
US20120097468A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2644709B1 (ko) 건설기계의 캐빈 조립체
US11390343B2 (en) Seat rail of motorcycle
JP5666234B2 (ja) 建設機械
US20170009425A1 (en) Cab Protection Device for Working Machine
US6986545B2 (en) Cab suspension device
EP2960380B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637719B1 (ko) 트럭의 프런트 캐빈 마운팅 구조
JP5939629B2 (ja) 建設機械
US7458594B2 (en) Lower arm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suspension
JP2007161438A (ja) ラック
JP4327658B2 (ja) 建設機械用キャブ
CN115734911A (zh) 用于机动车的后车部的纵梁和用于机动车的后车部
JP5948364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
JP2018058425A (ja) 車体下部構造
JP4418328B2 (ja) 旋回フレーム構造
US20240101199A1 (en) Work vehicle
KR100931454B1 (ko) 차량의 리어 플로워 센터 크로스 구조
JPH10292434A (ja) 運転室付き作業機
JP5305403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バッテリの位置決め構造
KR20050038246A (ko) 자동차의 바디 프레임 마운팅부 지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