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562A -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 Google Patents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562A
KR20190140562A KR1020180067144A KR20180067144A KR20190140562A KR 20190140562 A KR20190140562 A KR 20190140562A KR 1020180067144 A KR1020180067144 A KR 1020180067144A KR 20180067144 A KR20180067144 A KR 20180067144A KR 20190140562 A KR20190140562 A KR 20190140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coupled
pair unit
independ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207B1 (ko
Inventor
최방림
Original Assignee
최방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방림 filed Critical 최방림
Priority to KR1020180067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207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100)를 갖는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100)는 양 쪽에 각각 모서리 공간부(C)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페어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1)는 일체로 형성된 원단으로서, 격벽부(12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모서리부(110)로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부(C) 및 양 모서리 공간부(C)를 연결하는 측면부(130)로 구비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1)가 상호 결합되거나, 상기 모서리 공간부(C)를 1개 구비한 싱글 유니트(100_SU)들과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1)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CONTAINER BAG HAVING PAIR UNIT}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모서리를 포함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벌크화물 운반용 컨테이너 백(FIBC;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은 포장되지 않은 물품을 벌크화물(bulk goods) 형태로 운반하거나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컨테이너 백의 제조에 있어서, 종래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부분에 해당되는 여러 원단들을 서로 결합시켜 제조한다. 특히, 모서리 공간부를 3개의 원단, 즉 2개의 내벽체부재(20)와 1개의 지지부재(60)을 결합시켜 형성시켰다.
특히 모서리 공간부(C; Corner space)를 분석해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독립된 상측의 벽체부재(20-후)와 우측의 벽체부재(20-우) 및 독립된 지지부재(60)와 개별적으로 봉제 등의 결합을 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봉제회수가 많아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점, 모서리 공간부 외면이 2개 원단의 봉제결합이므로, 내용물 팽창에 의한 봉제부분의 파손 위험성에 노출되는 점, 육면체의 경우 벽체부재(측면부) 4개를 하나의 봉제기구(재봉틀)에서 모두 봉제하므로 작업공간이 많이 필요한 점, 봉제부분의 강도가 취약한 점 및 봉제부분을 통해 내용물이 누출되는 점 등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그 중에서도 팽창되는 모서리 공간부에 봉제결합부(S; Sewing space)에 존재하므로, 모서리 공간부가 파손될 위험성이 특히 문제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32147호는 여러 문제점 중에서 봉제부분의 강도 취약을 개선하고자 하는 종래기술이다. 그런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전히 측면부 원단(20) 2개를 대략 직각되게 배치하고, 그 사이에 격벽부 원단(60)을 배치한 후 봉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도, 전술한 여러 문제점들이 여전히 개선되지 못하는 취약점이 내포되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2147호 (2011.04.22)
본 발명에 따른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첫째, 모서리 공간부의 팽창되는 외측에 봉제되는 부분이 없도록 한다.
둘째, 모서리 공간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들을 미리 만들고, 사후적으로 각 유니트들을 결합시켜 몸체부를 제조하고자 한다.
셋째, 컨테이너 백 제조에 소요되는 봉제 횟수를 감소하고자 한다.
넷째, 봉제된 부분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내용물의 누출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를 갖는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는 양 쪽에 각각 모서리 공간부(C)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페어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1)는 일체로 형성된 원단으로서, 격벽부(12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모서리부(110)로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부(C) 및 양 모서리 공간부(C)를 연결하는 측면부(130)로 구비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1)가 상호 결합되거나, 상기 모서리 공간부(C)를 1개 구비한 싱글 유니트(100_SU)들과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1)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페어 유니트의 모서리 공간부(C)는 상기 격벽부(120)의 일단이(120_1) 상기 모서리부(110)의 일단(110_1)에서 내부로 폴딩되며, 상기 격벽부(120)의 타단(120_2)은 대향된 모서리부(110)의 타단(110_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페어 유니트의 모서리 공간부(C)는 상기 모서리부(110)의 일단(110_1)이 상기 격벽부(120)의 일단(120_1)에서 외부로 폴딩되며, 상기 모서리부(110)의 타단(110_2)은 대향된 격벽부(120)의 타단(120_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공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를 갖는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는 양 쪽에 각각 모서리 공간부(C)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페어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는 적어도 2개의 분리된 원단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격벽부(12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모서리부(110)로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부(C) 및 양 모서리 공간부(C)를 연결하는 측면부(130)로 구비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가 상호 결합되거나, 상기 모서리 공간부(C)를 1개 구비한 싱글 유니트(100_SU)들과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의 모서리 공간부(C)는 모서리부(110)와 측면부(130)가 일체로 연결된 원단의 내부에 독립 격벽부(120a)가 결합되며, 상기 독립 격벽부(120a)의 일단(120_1)이 상기 모서리부의 일단(110_1)에 결합되고, 상기 독립 격벽부(120a)의 타단(120_2)이 상기 모서리부의 타단(110_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의 모서리 공간부(C)는 격벽부(120)와 측면부(130)가 일체로 연결된 원단의 외부에 독립 모서리부(110a)가 결합되며, 상기 독립 모서리부(110a)의 일단(110_1)이 상기 격벽부(120)의 일단(120_1)에 결합되고, 상기 독립 모서리부(110a)의 타단(110_2)이 상기 격벽부(120)의 타단(120_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의 모서리 공간부(C)는 독립 모서리부(110a), 독립 격벽부(120a) 및 독립 측면부(130a)가 상호 결합되며, 상기 독립 격벽부(120a)의 일단(120_1)이 상기 모서리부의 일단(110_1)에 결합되고, 상기 독립 격벽부(120a)의 타단(120_2)이 상기 모서리부의 타단(110_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공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를 갖는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는 양 쪽에 각각 모서리 공간부(C)를 갖는, 2개의 페어 유니트가 상호결합되며, 일 페어 유니트(100_PU1)는 일체로 형성된 원단으로서, 격벽부(12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모서리부(110)로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부(C) 및 양 모서리 공간부(C)를 연결하는 측면부(130)로 구비되며, 타 페어 유니트(100_PU2)는 적어도 2개의 분리된 원단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격벽부(12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모서리부(110)로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부(C) 및 양 모서리 공간부(C)를 연결하는 측면부(130)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를 형성하는 각 유니트는 적어도 1개의 추가 독립 측면부(130a)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가 독립 측면부(130a)는 몸체부의 외측 또는 내측 중 적어도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를 형성하는 각 유니트는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추가 독립 측면부(130a)로 연결되며, 상기 추가 독립 측면부(130a)는 상기 모서리부(110)와 결합되며, 상기 격벽부(120)와는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를 형성하는 각 유니트는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추가 독립 측면부(130a)로 연결되며, 상기 독립 모서리부와 상기 독립 격벽부가 결합되는 때에는, 상기 추가 독립 측면부(130a)는 상기 독립 모서리부와 상기 독립 격벽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결합되는 방식은 봉제 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봉제 결합시 필러코드가 함께 봉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는 유입구(210)를 갖는 상판(200)이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구비한 하판(30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는, 몸체부의 외측 둘레길이보다 더 짧은 둘레길이를 갖는 외부부재(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른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모서리 공간부의 외측이 일체로 된 원단으로 제조하여 봉제부가 없는 특징이 있으며, 이로 인해, 모서리 공간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봉제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전에 별도로 제조된 페어 유니트들을 사후 결합하는 공정이므로, 기존의 넓은 작업공간이 불필요한 효과가 있고,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컨테이내 백 제조에 소요되는 봉제 횟수가 감소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봉제될 단부를 접거나 중첩시킨 후 봉제하는 방식에 의해, 봉제된 부분의 강도가 강화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접힌 구조로 인해 내용물의 누출 및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개략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는 종래 컨테이너 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내부구조체 외측에 외부구조체가 더 구비된 이중구조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내부 구조 중 외부구조체를 제외한 내부구조체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4는 종래 컨테이너 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단부 횡단면의 개요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 구조를 설명하는 여러 실시예들로서, 절단부 횡단면의 개요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페어 유니트의 일체형 구조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 개요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a에 따른 페어 유니트 2개가 결합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횡단면 개요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6b에 따른 페어 유니트 2개가 결합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횡단면 개요도이다.
도 12는 페어 유니트 1개와 싱글 유니트 2개가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 개요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페어유니트의 분리형 구조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 개요도이다.
도 14는 도 13a에 따른 페어 유니트 2개가 결합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횡단면 개요도이다.
도 15는 도 13b에 따른 페어 유니트 2개가 결합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횡단면 개요도이다.
도 16은 서로 다른 형태의 페어 유니트 2개가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 개요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하, 안쪽/바깥쪽은 제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은 발명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과장하여 도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도 여러 원단을 결합하는 방식인 점에서는 종래 기술과 공통된다. 다만, 본 발명은 몸체부를 형성하기 위해, 어떤 원단들을 상호 결합하는지에 관한 기술구성 및 각 원단들을 어떤 구조로 결합하는지에 관한 기술구성에서 차별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백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부분의 횡단면도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기술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종래 컨테이너 백이 제조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내부구조체 외측에 외부구조체가 더 구비된 이중구조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내부 구조 중 외부구조체를 제외한 내부구조체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4는 종래 컨테이너 백의 제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단부 횡단면의 개요도이다.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테이너 백의 모서리 공간부 구조 등 내부 구조는 공통으로 구비된다. 종래 기술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배치되는 측면부재(20-후)와 우면에 배치되는 측면부재(20-우), 양 측면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60)가 각각 결합되면서, 모서리 공간부(C)가 형성된다.
종래 기술을 분석하면, 모서리 공간부의 외측면은 단일 원단이 아니라, 2개의 원단 즉 2개의 측면부재가 봉제(sewing)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봉제되는 부분은 2개가 겹쳐진 부분임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봉제부가 컨테이너 백의 내부(inside)와 외부(outside)에 동시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특징은 여러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음은 전술한 바이다. 특히, 모서리 공간부의 외측면이 2개의 측면부재로 봉제된 경우, 내용물의 팽창에 의해 봉제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모서리 공간부의 외주연을 형성하기 위해 1개의 동일 원단을 사용한다. 따라서, 모서리 공간부의 외주연에 봉제부분이 불필요하다.
또한, 한 쌍의 모서리 공간부를 가지는 페어 유니트(Pair Unit)를 사전에 미리 제조한 후, 이 페어 유니트들을 사후적으로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몸체부를 형성시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사전 제작이 아니라 동시 제작도 당연히 가능하다.
이는 종래 컨테이너 백의 제조에 필요한 넓은 작업공간이 더 이상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동시에 단독 공정으로 진행되던 컨테이너 백의 제조공정을 각 유니트 별 분업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실제 봉제 횟수도 감소된다. 도 4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경우 봉제부(결합부)가 12곳인 반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봉제부(결합부)는 8곳에 불과하다. 종래 기술 대비 본 발명의 봉제 횟수가 33%나 감축된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 유니트 단위로 사전 공정에서 미리 제작해 둘 수 있으므로, 실제 완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봉제 횟수는 실질적으로 대폭 감소할 수 있다.
즉 봉제 횟수도 감축되고, 분업화도 가능하고, 유니트 단위의 별도 제조도 가능한 점에서, 이러한 점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은 종래 기술의 기술 구성과 차별성이 명확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는 복수개의 유니트들이 연결되어 다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2개의 페어 유니트(Pair Unit;PU)가 연결되거나, 1개의 페어 유니트(Pair Unit;PU)와 2개의 싱글 유니트(Single Unit:SU)가 연결되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페어 유니트(Pair Unit;PU)는 외주연에 봉제부가 없는 모서리 공간부가 한쌍 즉 2개 구비된 유니트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싱글 유니트(Single Unit:SU)는 외주연에 봉제부가 없는 모서리 공간부가 1개 구비된 유니트를 의미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때에는 컨테이너 백의 횡단면 형상을 사각형(도 5a)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절하며, 제조된 컨테이너 백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면, 컨테이너 백의 횡 단면 형상 특히 몸체부의 횡 단면 형상은 대략적인 원형(도 5b)으로 설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페어 유니트의 제1 실시예로서, 일체형 원단으로 이루어진 구조에 관한 횡단면 개요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공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100)를 갖는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100)는 양 쪽에 각각 모서리 공간부(C)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페어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1)는 일체로 형성된 원단으로서, 격벽부(12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모서리부(110)로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부(C) 및 양 모서리 공간부(C)를 연결하는 측면부(130)로 구비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1)가 상호 결합되거나, 상기 모서리 공간부(C)를 1개 구비한 싱글 유니트(100_SU)들과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1)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6a는 제1-1 실시예로서, 일체로 된 원단의 일부가 몸체부 안쪽으로 폴딩(folding)되면서 격벽부(120)가 만들어지고, 그 사이 공간에 모서리 공간부(C)가 형성되는 실시예이다.
제1-1 실시예의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어 유니트의 모서리 공간부(C)는 상기 격벽부(120)의 일단이(120_1) 상기 모서리부(110)의 일단(110_1)에서 내부로 폴딩되며, 상기 격벽부(120)의 타단(120_2)은 대향된 모서리부(110)의 타단(110_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제1-1 실시예에 따른 페어 유니트(100_PU1-1) 2개가 상호 결합되어 몸통부를 형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의 점선영역 X를 살펴보면, 각 페어 유니트(100_PU1-1)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개의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모서리부(110)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결합되며, 격벽부(120), 모서리부(110) 및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모두 상호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봉제부는 3겹이 될 것이다.
도 8은 제1-1 실시예에 따른 페어 유니트(100_PU1-1) 2개가 상호 결합되어 몸통부를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의 점선영역 X를 살펴보면, 각 페어 유니트(100_PU1-1)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개의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모서리부(110)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결합되며, 모서리부(110)와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상호 결합되며, 격벽부(120)는 결합되지 않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봉제부는 2겹이 될 것이다.
도 9는 제1-1 실시예에 따른 페어 유니트(100_PU1-1) 2개가 상호 결합되어 몸통부를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의 점선영역 X를 살펴보면, 각 페어 유니트(100_PU1-1)를 연결하기 위하여, 2개의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모서리부(110)의 바깥쪽과 격벽부(120)의 안쪽에 각각 배치되어 결합되며, 격벽부(120), 모서리부(110) 및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모두 상호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봉제부는 4겹이 될 것이다.
도 6b는 제1-2 실시예로서, 일체로 된 원단의 일부가 몸체부 바깥쪽으로 폴딩(folding)되면서 모서리부(110)가 만들어지고, 그 사이 공간에 모서리 공간부(C)가 형성되는 실시예이다.
제1-2 실시예의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어 유니트의 모서리 공간부(C)는 상기 모서리부(110)의 일단(110_1)이 상기 격벽부(120)의 일단(120_1)에서 외부로 폴딩되며, 상기 모서리부(110)의 타단(110_2)은 대향된 격벽부(120)의 타단(120_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2 실시예의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어 유니트의 모서리 공간부(C)는 상기 모서리부(110)의 일단(110_1)이 상기 격벽부(120)의 일단(120_1)에서 외부로 폴딩되며, 상기 모서리부(110)의 타단(110_2)은 대향된 격벽부(120)의 타단(120_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제1-2 실시예에 따른 페어 유니트(100_PU1-2) 2개가 상호 결합되어 몸통부를 형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의 점선영역 X를 살펴보면, 각 페어 유니트(100_PU1-2)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개의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격벽부(120)의 안쪽에 배치되어 결합되며, 격벽부(120), 모서리부(110) 및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모두 상호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봉제부는 3겹이 될 것이다.
도 11은 제1-1 실시예에 따른 페어 유니트(100_PU1-1)와 제1-2 실시예에 따른 페어 유니트(100_PU1-2) 2개가 상호 결합되어 몸통부를 형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의 점선영역 X를 살펴보면, 각 페어 유니트(100_PU1-1)(100_PU1-2)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개의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격벽부(120)의 안쪽에 배치되어 결합되며, 격벽부(120), 모서리부(110) 및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모두 상호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봉제부는 3겹이 될 것이다.
도 12는 제1-1 실시예에 따른 페어 유니트(100_PU1-1)와 2개의 싱글 유니트(100_SU)가 상호 결합되어 몸통부를 형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의 점선영역 X를 살펴보면, 페어 유니트(100_PU1-1)와 각 싱글 유니트(100_SU)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개의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모서리부(110)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결합되며, 격벽부(120), 모서리부(110) 및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모두 상호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봉제부는 3겹이 될 것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페어 유니트의 제2 실시예로서, 분리형 원단으로 이루어진 구조에 관한 횡단면 개요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공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100)를 갖는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100)는 양 쪽에 각각 모서리 공간부(C)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페어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는 적어도 2개의 분리된 원단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격벽부(12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모서리부(110)로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부(C) 및 양 모서리 공간부(C)를 연결하는 측면부(130)로 구비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가 상호 결합되거나, 상기 모서리 공간부(C)를 1개 구비한 싱글 유니트(100_SU)들과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13a는 제2-1 실시예로서,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의 모서리 공간부(C)는 모서리부(110)와 측면부(130)가 일체로 연결된 원단의 내부에 독립 격벽부(120a)가 결합되며, 상기 독립 격벽부(120a)의 일단(120_1)이 상기 모서리부의 일단(110_1)에 결합되고, 상기 독립 격벽부(120a)의 타단(120_2)이 상기 모서리부의 타단(110_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b는 제2-2 실시예로서, 페어 유니트(100_PU2)의 모서리 공간부(C)는 격벽부(120)와 측면부(130)가 일체로 연결된 원단의 외부에 독립 모서리부(110a)가 결합되며, 상기 독립 모서리부(110a)의 일단(110_1)이 상기 격벽부(120)의 일단(120_1)에 결합되고, 상기 독립 모서리부(110a)의 타단(110_2)이 상기 격벽부(120)의 타단(120_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c는 제2-3 실시예로서, 페어 유니트(100_PU2)의 모서리 공간부(C)는 독립 모서리부(110a), 독립 격벽부(120a) 및 독립 측면부(130a)가 상호 결합되며, 상기 독립 격벽부(120a)의 일단(120_1)이 상기 모서리부의 일단(110_1)에 결합되고, 상기 독립 격벽부(120a)의 타단(120_2)이 상기 모서리부의 타단(110_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4는 제2-1 실시예에 따른 페어 유니트(100_PU2-1) 2개가 상호 결합되어 몸통부를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의 점선영역 X를 살펴보면, 각 페어 유니트(100_PU2-1)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개의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모서리부(110)와 격벽부(11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봉제부는 3겹이 될 것이다.
도 15는 제2-2 실시예에 따른 페어 유니트(100_PU2-2) 2개가 상호 결합되어 몸통부를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5의 점선영역 X를 살펴보면, 각 페어 유니트(100_PU2-2)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개의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모서리부(110)와 격벽부(11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봉제부는 3겹이 될 것이다.
제2-1 실시예, 제2-2 실시예 및 제2-3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1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같이, 페어 유니트와 싱글 유니트가 상호 결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제2 실시예의 경우, 모서리부(110)와 격벽부(120)가 일체로 되고, 독립 측벽부(130a)와 결합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미도시).
도 16은 서로 다른 형태의 페어 유니트 2개가 결합된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 개요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공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100)를 갖는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100)는 양 쪽에 각각 모서리 공간부(C)를 갖는, 2개의 페어 유니트가 상호결합되며, 일 페어 유니트(100_PU1)는 일체로 형성된 원단으로서, 격벽부(12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모서리부(110)로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부(C) 및 양 모서리 공간부(C)를 연결하는 측면부(130)로 구비되며, 타 페어 유니트(100_PU2)는 적어도 2개의 분리된 원단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격벽부(12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모서리부(110)로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부(C) 및 양 모서리 공간부(C)를 연결하는 측면부(130)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른 일 페어 유니트(100_PU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타 페어 유니트(100_PU2) 2개가 상호 결합되어 몸통부를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6의 점선영역 X를 살펴보면, 각 페어 유니트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개의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모서리부(110)의 바깥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봉제부는 3겹이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100)를 형성하는 각 유니트 즉 페어 유니트와 싱글 유니트 각각은 적어도 1개의 추가 독립 측면부(130a)로 연결될 수 있다, 추가 독립 측면부가 복수개인 경우, 동일 길이이나 다겹이 되도록 연결될 수도 있고, 길이를 연장하도록 길게 연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추가 독립 측면부(130a)가 복수개로서 다겹이 되도록 연결되는 때에는, 몸체부(100)의 외측 또는 내측 중 적어도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100)를 형성하는 각 유니트는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추가 독립 측면부(130a)로 연결되며, 추가 독립 측면부(130a)는 상기 모서리부(110)와 결합되며, 상기 격벽부(120)와는 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100)를 형성하는 각 유니트는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추가 독립 측면부(130a)로 연결되며, 상기 독립 모서리부와 상기 독립 격벽부가 결합되는 때에는, 상기 추가 독립 측면부(130a)는 상기 독립 모서리부와 상기 독립 격벽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유니트의 각 결합부에서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컨테이너 백에서 봉제(sewing) 결합이 많이 사용되므로, 이하에서는 봉제 결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봉제 결합시 필러코드(filler cord)가 함께 봉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필러코드(filler cord)는 봉제실(sewing thread)과 함께 봉제된다. 필러코드는 봉제구멍인 바늘구멍(needle hole)을 메워서, 방수, 오염물질 유입방지, 강도보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봉제부(S)의 결합부분은 몸체부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백의 외부(outside)에 형성되면, 컨테이너 백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바늘구멍(needle hole)이 아예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바늘구멍을 통한 수분 유입이나 이물질 유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테이너 백에 내용물이 유입되는 과정 및 컨테이너 백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봉제부분 또는 봉제사와 마찰을 일으켜, 봉제부분 또는 봉제사의 일부가 내용물에 혼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봉제부(S)를 컨테이너 백 외부에 배치하면 이러한 문제점이 원천적으로 해결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에는 유입구(210)를 갖는 상판(200)이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하측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구비한 하판(300)이 결합될 수 있다(도 1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외측에는, 몸체부(100)의 외측 둘레길이보다 더 짧은 둘레길이를 갖는 외부부재(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도 5 참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몸체부
100_PU : 페어 유니트 100_SU : 싱글 유니트
110 : 모서리부 110a : 독립 모서리부
120 : 격벽부 120a : 독립 격벽부
130 : 측면부 130a : 독립 측면부
200 : 상판 210 : 유입구
300 : 하판 400 : 외부부재
C : 모서리공간부 S : 봉재부

Claims (16)

  1. 중공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100)를 갖는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100)는 양 쪽에 각각 모서리 공간부(C)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페어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1)는 일체로 형성된 원단으로서, 격벽부(12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모서리부(110)로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부(C) 및 양 모서리 공간부(C)를 연결하는 측면부(130)로 구비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1)가 상호 결합되거나, 상기 모서리 공간부(C)를 1개 구비한 싱글 유니트(100_SU)들과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1)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어 유니트의 모서리 공간부(C)는 상기 격벽부(120)의 일단이(120_1) 상기 모서리부(110)의 일단(110_1)에서 내부로 폴딩되며, 상기 격벽부(120)의 타단(120_2)은 대향된 모서리부(110)의 타단(110_2)에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어 유니트의 모서리 공간부(C)는 상기 모서리부(110)의 일단(110_1)이 상기 격벽부(120)의 일단(120_1)에서 외부로 폴딩되며, 상기 모서리부(110)의 타단(110_2)은 대향된 격벽부(120)의 타단(120_2)에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4. 중공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100)를 갖는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100)는 양 쪽에 각각 모서리 공간부(C)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페어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는 적어도 2개의 분리된 원단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격벽부(12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모서리부(110)로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부(C) 및 양 모서리 공간부(C)를 연결하는 측면부(130)로 구비되며,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가 상호 결합되거나, 상기 모서리 공간부(C)를 1개 구비한 싱글 유니트(100_SU)들과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의 모서리 공간부(C)는 모서리부(110)와 측면부(130)가 일체로 연결된 원단의 내부에 독립 격벽부(120a)가 결합되며,
    상기 독립 격벽부(120a)의 일단(120_1)이 상기 모서리부의 일단(110_1)에 결합되고, 상기 독립 격벽부(120a)의 타단(120_2)이 상기 모서리부의 타단(110_2)에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의 모서리 공간부(C)는 격벽부(120)와 측면부(130)가 일체로 연결된 원단의 외부에 독립 모서리부(110a)가 결합되며,
    상기 독립 모서리부(110a)의 일단(110_1)이 상기 격벽부(120)의 일단(120_1)에 결합되고, 상기 독립 모서리부(110a)의 타단(110_2)이 상기 격벽부(120)의 타단(120_2)에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어 유니트(100_PU2)의 모서리 공간부(C)는 독립 모서리부(110a), 독립 격벽부(120a) 및 독립 측면부(130a)가 상호 결합되며,
    상기 독립 격벽부(120a)의 일단(120_1)이 상기 모서리부의 일단(110_1)에 결합되고, 상기 독립 격벽부(120a)의 타단(120_2)이 상기 모서리부의 타단(110_2)에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8. 중공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100)를 갖는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100)는 양 쪽에 각각 모서리 공간부(C)를 갖는, 2개의 페어 유니트가 상호결합되며,
    일 페어 유니트(100_PU1)는 일체로 형성된 원단으로서, 격벽부(12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모서리부(110)로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부(C) 및 양 모서리 공간부(C)를 연결하는 측면부(130)로 구비되며,
    타 페어 유니트(100_PU2)는 적어도 2개의 분리된 원단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격벽부(12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모서리부(110)로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부(C) 및 양 모서리 공간부(C)를 연결하는 측면부(130)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9. 청구항 1,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몸체부(100)를 형성하는 각 유니트는 적어도 1개의 추가 독립 측면부(130a)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추가 독립 측면부(130a)는 몸체부(100)의 외측 또는 내측 중 적어도 한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100)를 형성하는 각 유니트는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추가 독립 측면부(130a)로 연결되며,
    상기 추가 독립 측면부(130a)는 상기 모서리부(110)와 결합되며, 상기 격벽부(120)와는 결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12.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부(100)를 형성하는 각 유니트는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추가 독립 측면부(130a)로 연결되며,
    상기 독립 모서리부와 상기 독립 격벽부가 결합되는 때에는, 상기 추가 독립 측면부(130a)는 상기 독립 모서리부와 상기 독립 격벽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13. 청구항 1,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 결합되는 방식은 봉제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봉제 결합시 필러코드가 함께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15. 청구항 1,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에는 유입구(210)를 갖는 상판(200)이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하측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구비한 하판(30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16. 청구항 1,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외측에는, 몸체부(100)의 외측 둘레길이보다 더 짧은 둘레길이를 갖는 외부부재(4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KR1020180067144A 2018-06-12 2018-06-12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KR102106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44A KR102106207B1 (ko) 2018-06-12 2018-06-12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44A KR102106207B1 (ko) 2018-06-12 2018-06-12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562A true KR20190140562A (ko) 2019-12-20
KR102106207B1 KR102106207B1 (ko) 2020-04-29

Family

ID=6906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144A KR102106207B1 (ko) 2018-06-12 2018-06-12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494B1 (ko) * 2020-10-08 2021-02-25 (주)티피에스코리아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 이중 컨테이너 백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092A (ja) * 1990-09-11 1993-05-28 Christopher C Cuddy バルクコンテナ
JPH0728894U (ja) * 1993-11-11 1995-05-30 ソイル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バッグ
KR100232019B1 (ko) * 1993-12-27 1999-12-01 필립 맥라렌 케네디 가요성의 중간크기 용기
JP2000502015A (ja) * 1995-12-04 2000-02-22 ストールサック.トラッドコ.リミテッド 流動性材料用軟質容器
KR101032147B1 (ko) 2010-12-22 2011-05-03 유인상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1647251B1 (ko) * 2015-02-23 2016-08-09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092A (ja) * 1990-09-11 1993-05-28 Christopher C Cuddy バルクコンテナ
JPH0728894U (ja) * 1993-11-11 1995-05-30 ソイル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バッグ
KR100232019B1 (ko) * 1993-12-27 1999-12-01 필립 맥라렌 케네디 가요성의 중간크기 용기
JP2000502015A (ja) * 1995-12-04 2000-02-22 ストールサック.トラッドコ.リミテッド 流動性材料用軟質容器
KR101032147B1 (ko) 2010-12-22 2011-05-03 유인상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1647251B1 (ko) * 2015-02-23 2016-08-09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494B1 (ko) * 2020-10-08 2021-02-25 (주)티피에스코리아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 이중 컨테이너 백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207B1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585B1 (ko)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FI57913C (fi) Flexibel saeck och ett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flexibel saeck
JPH05132092A (ja) バルクコンテナ
JP2018532903A (ja) 生地の接合構造及びこれを備える生地加工品
US11091863B2 (en) Bags for the transport and storage of bulk goods or liquids
CN103748381A (zh) 工业纺织品的成形接缝元件
KR20190140562A (ko)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US20120228370A1 (en) Folded box blank
KR102052041B1 (ko) 모서리 공간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들로 구비된 컨테이너 백
CN101238038B (zh) 用于物品的保护性包装
US10480557B2 (en) Construction kit and installation assembl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190104918A (ko) 모서리 공간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들로 구비된 컨테이너 백
US20130340172A1 (en) Faux gusseted pillow shell
US10081154B2 (en) Integrated open box-like woven fabric
KR200455252Y1 (ko) 포대
PT1593607E (pt) Recipiente dobrável plano em material dobrável.
KR101718366B1 (ko)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JP6516379B2 (ja) 収容袋及び収容袋の製造方法
JP2013136412A (ja) 段ボール箱
KR100503972B1 (ko) 포대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2879U (ko) 포장용 상자
KR102220494B1 (ko)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 이중 컨테이너 백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2413B1 (ko) 원터치 봉제 박음질 방법
CN218749793U (zh) 一种充气面料及充气宠物笼
US2272020A (en) Wire bound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