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302A -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302A
KR20190140302A KR1020180066937A KR20180066937A KR20190140302A KR 20190140302 A KR20190140302 A KR 20190140302A KR 1020180066937 A KR1020180066937 A KR 1020180066937A KR 20180066937 A KR20180066937 A KR 20180066937A KR 20190140302 A KR20190140302 A KR 20190140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olenoid valve
present
selectively
selectively partiti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철
오준봉
Original Assignee
이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철 filed Critical 이동철
Priority to KR1020180066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0302A/ko
Publication of KR20190140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공기통로의 일측단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 상기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제거모듈; 및 상기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획하여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A dehumidifying device having a space for selectively partitioning}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에 습기제거모듈을 설치하고, 전자밸브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것을 통해 습도에 따라 공기의 이동 경로를 달리하여 습기제거모듈에 남아 있는 습기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서 공기 중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습장치는 증발기와 응축기에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제습장치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증발기는 냉매를 저장하고 있는데, 액체였던 냉매가 기체로 되면서 주변 공기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는 열을 빼앗기게 되고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게 된다. 이후 응축기에서는 기체로 되었던 냉매가 다시 액체로 응축되면서 공기 중으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는 열을 흡수하여 건조한 공기가 되고 외부로 배출되어 실내가 건조하게 된다. 즉, 공기 중의 수분이 이슬로 제거되는 것이다.
종래의 제습장치는 상술한 원리에 의해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제습장치는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게 되어 제거되어야 하는 습기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음으로서 다시 공기 중으로 유입되어 제습의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에 습기제거모듈을 설치하고, 전자밸브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것을 통해 습도에 따라 공기의 이동 경로를 달리하여 습기제거모듈에 남아 있는 습기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서 공기 중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A) 제10-2015-0092946호(공개일: 2015.08.17.) 한국공개특허공보(A) 제10-2015-0113792호(공개일: 2015.10.08.)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에 습기제거모듈을 설치하고, 전자밸브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것을 통해 습도에 따라 공기의 이동 경로를 달리하여 습기제거모듈에 남아 있는 습기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서 공기 중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습기제거모듈에 남아 있는 습기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서 공기 중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제습장치의 수행에 따른 전력의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흡입팬을 추가적으로 장착함으로서 공기의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어 공기 중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공기통로의 일측단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제거모듈; 및 상기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획하여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밸브는 공기 중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이하인 경우, 상기 습기제거모듈이 설치된 공기 이동 경로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밸브는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밀폐공간이 형성된 공기 이동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공기 이동 경로가 개방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밸브는 고무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통로의 타측단부에 장착되는 공기 흡입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팬 및 공기 흡입팬 중 적어도 하나는 공기 중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이상인 경우, 회전 속도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습기제거모듈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응축수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응축수가 수용되는 물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응축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수위 알림을 송신하는 수위알림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에 습기제거모듈을 설치하고, 전자밸브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것을 통해 습도에 따라 공기의 이동 경로를 달리하여 습기제거모듈에 남아 있는 습기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서 공기 중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기제거모듈에 남아 있는 습기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서 공기 중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제습장치의 수행에 따른 전력의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흡입팬을 추가적으로 장착함으로서 공기의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어 공기 중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밸브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알림 통신부가 수행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그리고,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밸브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a) 및 도 2(a)는 사시도로 본 모습이고, 도 1(b) 및 도 2(b)는 평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는 기본적으로 본체(100), 송풍팬(200), 습기제거모듈(300) 및 전자밸브(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구성이다. 공기통로는 양단에 공기 흡입구(110)와 공기 배출구(120)를 구비하며 본체(1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 이동 경로는 공기통로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가름판(15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한편, 본체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습기제거모듈(300)이 설치되는 위치에 응축수 배출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송풍팬(200)은 공기통로의 일측단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송풍팬(200)은 공기 배출구(120)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기제거모듈(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종래의 제습기에 사용되는 액체 냉매가 유동하며 기화되는 증발기를 의미한다. 즉, 습기제거모듈(300)을 통과하는 공기는 액체 냉매의 기화로 인해 열을 빼앗기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이슬로서 습기제거모듈(300)에 맺히게 되어 제습하게 된다.
전자밸브(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획하여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가름판(150)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밸브(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로에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면적을 가진 판 형상일 수 있으며, 고무 소재(4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밸브(400)의 외측으로 고무 소재(410)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전자밸브(400)를 고무 소재(410)를 포함하여 형성하게 된다면 공기 이동 경로를 보다 효율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자밸브(400)는 동시에 작동되는 것이 특징일 수 있으며, 밀폐공간이 형성된 공기 이동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공기 이동 경로가 개방되도록 작동되는 것이 특징을 수 있다. 전자밸브(400)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입구측 전자밸브(400)와 출구측 전자밸브(4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를 밀폐 시키도록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전자밸브(400)의 작동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밸브(400)는 가름판(150)의 양단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된다면 전자밸브(400)에 의해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밸브(400)는 가름판(150)의 양단으로부터 밀폐공간의 부피가 증가하는 사선방향을 따라 공기 이동 경로를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 흡입구(110)로 흡입된 공기는 전자밸브(400)에 의한 저항이 최소화된 상태로 유선형에 가깝게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제습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의 전자밸브(400)는 공기 중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이하인 경우, 습기제거모듈(300)이 설치된 공기 이동 경로를 밀폐시키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따라서, 습기제거모듈(300)에 맺힌 이슬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온전하게 응축수 배출구(18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기화된 냉매를 다시 액체 냉매로 액화시키는 방열판(500)이 있을 수 있다. 방열판(500)은 기화된 냉매를 다시 액체 냉매로 액화시키며 주변 공기로 열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주변 공기는 온도가 상승하여 보다 건조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방열판(500)은 공기 배출구(120) 측에 설치되되, 공기 이동 경로와 송풍팬(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는 종래의 제습기와 같이 전기 에너지에 의해 작동되는 장치로서 전기 배선, 전원 장치, 냉매 압축기 등의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의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공기 흡입팬(600) 및 물탱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흡입팬(600)은 공기통로의 타측단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공기 흡입구(110)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공기 흡입팬(600)이 추가적으로 장착되어 있다면 공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제습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의 송풍팬(200) 및 공기 흡입팬(600) 중 적어도 하나는 공기 중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이상인 경우, 회전 속도가 증가되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즉, 습도가 증가됨에 따라 자동으로 공기의 흡입량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이 또한 보다 효율적인 제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물탱크(700)는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응축수 배출구(180)를 통해 배출된 응축수가 수용되는 구성이다. 한편, 물탱크(700)의 응축수 수용 공간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응축수 수용 공간이 최대치가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알림 통신부가 수행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수위알림 통신부(미도시)는 물탱크(700)에 수용된 응축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수위 알림을 송신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는 사용자가 주변에서 대기하고 있지 않더라도 물탱크(700)의 교환 시기를 안내해 줄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는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로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로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응축수 배출구(180)에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응축수 가이드판(190)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 가이드판(190)은 전자밸브(400)와 밀착되면서도 응축수를 물탱크(700)에 이동시키도록 본체(100)의 내측면으로부터 하부방향을 따라 사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체(100)의 내부적인 형상에 따르게 되나, 필요한 경우 깔때기 역할을 하는 물받이부(195)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습기제거모듈(300) 및 방열판(500)은 공기 이동 경로를 따르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습기제거모듈(300) 및 방열판(50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면, 공기 이동 경로를 따르는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될 때 보다 차지하는 바닥의 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공기 흡입구
120: 공기 배출구 150: 가름판
180: 응축수 배출구 190: 응축수 가이드판
195: 물받이부 200: 송풍팬
300: 습기제거모듈 400: 전자밸브
410: 고무 소재 500: 방열판
600: 공기 흡입팬 700: 물탱크

Claims (1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공기통로의 일측단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200);
    상기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제거모듈(300); 및
    상기 공기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획하여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밸브(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400)는 공기 중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이하인 경우, 상기 습기제거모듈(300)이 설치된 공기 이동 경로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400)는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400)는 상기 밀폐공간이 형성된 공기 이동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공기 이동 경로가 개방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400)는 고무 소재(41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의 타측단부에 장착되는 공기 흡입팬(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200) 및 공기 흡입팬(600) 중 적어도 하나는 공기 중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이상인 경우, 회전 속도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습기제거모듈(30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응축수 배출구(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 배출구(180)를 통해 배출된 응축수가 수용되는 물탱크(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700)에 수용된 응축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수위 알림을 송신하는 수위알림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KR1020180066937A 2018-06-11 2018-06-11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KR20190140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937A KR20190140302A (ko) 2018-06-11 2018-06-11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937A KR20190140302A (ko) 2018-06-11 2018-06-11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302A true KR20190140302A (ko) 2019-12-19

Family

ID=6905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937A KR20190140302A (ko) 2018-06-11 2018-06-11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03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92917B (zh) 空调的室外单元
KR102435202B1 (ko) 제습기
KR100740770B1 (ko) 조습장치
CN102589054B (zh) 空调器
CN105378389A (zh) 空调器
KR20150062348A (ko) 제습기
KR20150028171A (ko) 제습기
KR20150077775A (ko) 제가습 장치
CN104697046A (zh) 除湿器
KR10047404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CN104251521B (zh) 除湿装置
KR100829678B1 (ko) 조습 장치
JP4677658B2 (ja) 空気調和機
CN202648009U (zh) 空调器
KR102302545B1 (ko) 제습기
JP2009066585A (ja) 冷風機能を備えた除湿機
KR20190140302A (ko)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제습장치
JP5170181B2 (ja) 空気調和機
JP4165328B2 (ja) 調湿装置
KR20140074705A (ko) 공기조화장치
KR20170116481A (ko) 매립형 제습기
JP7242271B2 (ja) 空気調和機
CN220892411U (zh) 除湿装置
KR20140143856A (ko) 제습기
CN107683068A (zh) 散热器及具有其的变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