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481A - 매립형 제습기 - Google Patents

매립형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481A
KR20170116481A KR1020160044299A KR20160044299A KR20170116481A KR 20170116481 A KR20170116481 A KR 20170116481A KR 1020160044299 A KR1020160044299 A KR 1020160044299A KR 20160044299 A KR20160044299 A KR 20160044299A KR 20170116481 A KR20170116481 A KR 20170116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chamber
dehumidifying
intake cha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현
Original Assignee
코스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텔(주) filed Critical 코스텔(주)
Priority to KR102016004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6481A/ko
Publication of KR20170116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작고 가벼우면서도 제습 능력이 뛰어나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매립형 제습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매립형 제습기는 하우징, 제습유닛, 2개의 흡기팬, 물받이, 응축수 배출 유닛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내부공간이 흡기실과 배기실로 좌우 구획되고 하측이 개방된다. 제습유닛은 흡기실 내부에 구비되되, 하부의 흡열부와 상부의 발열부로 이루어진 2개의 열전소자와, 2개의 열전소자의 흡열부에 결합된 냉각핀과, 2개의 열전소자의 발열부에 결합되되 흡기실과 배기실에 걸쳐 설치되어 흡기실과 배기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방열핀과, 방열핀과 냉각핀 사이에서 열전소자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냉각핀과 방열핀 사이를 단열시키는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2개의 흡기팬은 열전소자에 대응하여 방열핀의 상측에 설치됨으로써, 흡기실로 유입된 공기가 상부로 들어와 방열핀을 통과한 후 배기실로 배출되도록 한다. 물받이는 제습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유닛의 흡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한다. 응축수 배출 유닛은 물받이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제어부는 제습부하에 따라 열전소자 및 흡기팬의 작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매립형 제습기{Built-in 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형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드레스 룸은 의류를 보관하는 곳으로서, 드레스 룸 안에 해충이나 습기가 많으면 의류가 상하게 된다. 따라서 드레스 룸 안에 해충이 발생하거나 습도가 높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드레스 룸 안의 습도 관리를 위해 습기 제거제 등을 이용하거나 드레스 룸의 문을 자주 열고 닫을 수 있다. 그리고 나프탈렌 등과 같은 약제를 이용하여 좀벌레와 같은 섬유를 해치는 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들은 습기 제거제나 해충약의 교환 시기를 일일이 확인하여 제때에 교환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제때에 교환을 해 주지 않으면 드레스 룸 안의 의류가 상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드레스 룸 내에 제습기를 설치할 수 있다. 제습기는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여 해충이나 곰팡이 등과 같은 미생물이 서식할 수 없는 환경을 만든다. 따라서 드레스 룸에 수납된 의류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제습기는 부피가 크고 무거워 매립 설치하기가 곤란하며,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 공간을 차지하고 걸리적거리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8711호(2013. 04. 18.)
본 발명의 과제는 작고 가벼우면서도 제습 능력이 뛰어나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매립형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매립형 제습기는 하우징, 제습유닛, 2개의 흡기팬, 물받이, 응축수 배출 유닛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내부공간이 흡기실과 배기실로 좌우 구획되고 하측이 개방된다. 제습유닛은 흡기실 내부에 구비되되, 하부의 흡열부와 상부의 발열부로 이루어진 2개의 열전소자와, 2개의 열전소자의 흡열부에 결합된 냉각핀과, 2개의 열전소자의 발열부에 결합되되 흡기실과 배기실에 걸쳐 설치되어 흡기실과 배기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방열핀과, 방열핀과 냉각핀 사이에서 열전소자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냉각핀과 방열핀 사이를 단열시키는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2개의 흡기팬은 열전소자에 대응하여 방열핀의 상측에 설치됨으로써, 흡기실로 유입된 공기가 상부로 들어와 방열핀을 통과한 후 배기실로 배출되도록 한다. 물받이는 제습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유닛의 흡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한다. 응축수 배출 유닛은 물받이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제어부는 제습부하에 따라 열전소자 및 흡기팬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습유닛은 일측이 아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하우징은 중앙의 흡기실과 흡기실의 양 옆에 마련된 배기실로 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매립형 제습기는 다수의 홀을 구비하며 하우징의 하측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프레임을 더 구비하되, 커버 프레임의 배기실 부위에 대응되는 홀은 공기가 상기 흡기실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기되도록 경사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응축수 배출 유닛은 배출되는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제습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우면서도 우수한 냉각성능을 갖는다.
또한, 두께가 작으므로, 설치 장소에 제약이 적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2개의 열전소자 및 2개의 흡기팬을 구비하여 제습 부하에 따라 그 작동이 제어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제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습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하우징과 커버 프레임을 제거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제습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습기를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습기를 BB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습기에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대응되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번호로 참조된다. 또한, 구성요소들의 형상이나 크기 등은 실제보다 과장될 수 있다. 그리고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그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제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습기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하우징과 커버 프레임을 제거한 것이며, 도 4는 도 3의 제습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습기를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습기를 BB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매립형 제습기(100)는 하우징(10), 제습유닛(30), 2개의 흡기팬(40), 물받이(50), 응축수 배출 유닛(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내부공간이 흡기실(11)과 배기실(12)로 좌우 구획된다. 하우징(10)의 하측은 개방된다. 하우징(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0)이 천장에 매립, 고정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하측 테두리에는 나사 등을 체결할 수 있는 플랜지부(10a)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금속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은 중앙의 흡기실(11)과 흡기실(11)의 양옆에 마련된 배기실(12)로 구획될 수 있다.
제습유닛(30)은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다. 제습유닛(30)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열전소자(미도시)와, 열전소자의 흡열부 쪽에 결합되는 냉각핀(33)과, 열전소자의 발열부 쪽에 결합되는 방열핀(31)과, 냉각핀(33)과 방열핀(31)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재(32)에는 열전소자의 크기에 맞추어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열전소자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열전소자는 펠티에 효과에 의해 흡열 또는 발열을 하는 일반적인 열전소자일 수 있다. 열전소자는 발열부가 상부를 향하고, 흡열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열핀(31)은 흡기실(11)과 배기실(12)에 걸쳐 설치되어, 흡기실(11)과 배기실(12)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2개의 흡기팬(40)은 열전소자에 대응하여 방열핀(31)의 상측에 설치됨으로써, 흡기실(11)로 유입된 공기가 상부로 들어와 방열핀(31)을 통과한 후 배기실(12)로 배출되도록 한다. 공기는 방열핀(31)을 통과하면서 방열핀(31)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방열핀(31)의 열을 흡수한 공기는 배기실(12)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물받이(50)는 제습유닛(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습유닛(30)의 흡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한다. 물받이(50)는 대략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받이는 저장된 물에 의해 녹이 슬지 않도록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거나 외부가 도장된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응축수 배출 유닛은 물받이(50)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응축수 배출 유닛은 물받이(50)로부터 물을 끌어 올리는 펌프(60)와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파이프(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응축수 배출 유닛이 물받이(50)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므로 물받이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물받이가 작아지면, 제품 전체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응축수 배출 유닛은 배출되는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응축수가 역류하여 물받이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물받이 내부에는 수위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수위센서가 물받이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일정 수위 이상이면 펌프에 제어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펌프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습부하에 따라 2개의 열전소자와 흡기팬(4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제습부하를 산정하기 위하여 습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내의 습도가 적정 습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2개의 열전소자와 2개의 흡기팬을 모두 작동되도록 하고, 실내의 습도가 적정 습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1개의 열전소자와 1개의 흡기팬만이 작동하거나 열전소자와 흡기팬의 작동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제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습부하에 따라 열전소자와 흡기팬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습기에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제습기의 동작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습기가 동작하여 흡기팬(40)이 회전하면, 외기가 흡기실(11)을 통해 흡기팬(40)의 상부로 들어간다. 흡기팬(40)의 상부로 유입된 공기는 흡기팬(40)의 하부에 배치된 제습유닛의 방열핀(31)을 지나면서 방열핀(31)과 열교환한다. 따라서 방열핀(31)과 방열핀(31)에 결합된 열전소자의 발열부 온도가 내려가고, 공기는 데워진다. 발열부의 온도가 내려가므로, 펠티어 효과에 의해 발열부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 흡열부도 냉각된다. 따라서 흡열부에 결합된 냉각핀(33) 주위에 있는 공기의 수분이 냉각핀 표면에 응축되어 맺히고, 냉각핀에 맺힌 응축수는 물받이(50)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
한편, 방열핀(31)과 열교환하여 데워진 공기는, 배기실(12)을 거쳐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방열핀(31)을 통과하여 배기실(12)로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잘 배출되도록 방열핀(31)에서부터 커버프레임(20)까지는 배기덕트(70)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매립형 제습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가볍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두께가 작으므로, 천장이 얇은 곳에도 매립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습부하에 따라 2개의 열전소자와 2개의 흡기팬의 작동이 제어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제습유닛(30)은 일측이 아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흡기팬(40)이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흡기팬(40)이 수평하게 놓인 경우보다 외기가 흡기팬(40)에 잘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와 방열핀(31)이 활발히 열교환하여, 방열핀이 잘 냉각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습유닛의 제습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제습유닛(30)의 흡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들이 한 곳에 모일 수 있다.
또한, 매립형 제습기는 다수의 홀을 구비하며 하우징(10)의 하측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 프레임(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홀을 구비한 커버 프레임(20)을 구비함으로써, 흡기실(11)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섞인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반대로 배기실(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섞인 이물질도 걸러질 수 있다.
홀들은 커버 프레임(20)의 장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제1날개(20a)와 제1날개(20a)에 수직하게 커버 프레임(20)의 단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날개(20b) 및 제3날개(20c)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흡기실(11) 부위에는 제2날개(20b)가 형성되고 배기실 부위에는 제3날개(20c)가 형성된다. 이 중 배기실(12) 부위에 형성된 제3날개(20c)는 공기가 흡기실(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출되게 경사질 수 있다. 그 경우, 흡기실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그 온도가 상승하여 제습효과가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프레임(20)의 모습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흡기실
12: 배기실 20: 커버 프레임
30: 제습유닛 31: 방열핀
32: 단열재 33: 냉각핀
40: 흡기팬 50: 물받이
60: 펌프 70: 배기덕트

Claims (5)

  1. 내부공간이 흡기실과 배기실로 좌우 구획되고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흡기실 내부에 구비되되, 하부의 흡열부와 상부의 발열부로 이루어진 2개의 열전소자와, 상기 2개의 열전소자의 흡열부에 결합된 냉각핀과, 상기 2개의 열전소자의 발열부에 결합되되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방열핀과, 상기 방열핀과 상기 냉각핀 사이에서 상기 열전소자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각핀과 방열핀 사이를 단열시키는 단열재로 이루어진 제습유닛;
    상기 열전소자에 대응하여 상기 방열핀의 상측에 설치됨으로써, 흡기실로 유입된 공기가 상부로 들어와 방열핀을 통과한 후 배기실로 배출되도록 하는 2개의 흡기팬;
    상기 제습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유닛의 흡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물받이;
    상기 물받이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 유닛; 및
    제습부하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 및 흡기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매립형 제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유닛은 일측이 아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제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중앙의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의 양 옆에 마련된 배기실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제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홀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프레임을 더 구비하되, 상기 커버 프레임의 배기실 부위에 대응되는 홀은 공기가 상기 흡기실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기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제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 유닛은 배출되는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제습기.
KR1020160044299A 2016-04-11 2016-04-11 매립형 제습기 KR20170116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299A KR20170116481A (ko) 2016-04-11 2016-04-11 매립형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299A KR20170116481A (ko) 2016-04-11 2016-04-11 매립형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481A true KR20170116481A (ko) 2017-10-19

Family

ID=6029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299A KR20170116481A (ko) 2016-04-11 2016-04-11 매립형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64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7962A (zh) * 2021-07-22 2022-03-11 苏州财润工控设备有限公司 一种防止内潮的工业计算机主机散热装置
KR20230085971A (ko) * 2021-12-07 2023-06-15 오대권 드레스룸 용 공조 컨트롤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7962A (zh) * 2021-07-22 2022-03-11 苏州财润工控设备有限公司 一种防止内潮的工业计算机主机散热装置
KR20230085971A (ko) * 2021-12-07 2023-06-15 오대권 드레스룸 용 공조 컨트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935B1 (ko)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장치
KR20150067918A (ko) 제습기
KR20170116481A (ko) 매립형 제습기
JP620311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EP1116001B1 (en) A wall mounted air conditioner
KR101518553B1 (ko) 전자동 시스템 냉풍기
KR20180002680U (ko)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
KR20050000366A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JP2000018646A5 (ko)
KR101635448B1 (ko) 서버랙
KR101613976B1 (ko) 매립형 제습기
KR102436120B1 (ko) 토출공기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제습기
WO2000016015A1 (en) Single unit-type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oling refrigerant by water and air in indoor unit
JP6846591B2 (ja) 除湿装置
JPH09280591A (ja) 地下用空気調和機
JP5710342B2 (ja) 排気装置
JP6925543B2 (ja) 浴室乾燥機
US20230304682A1 (en) Ventilation device
KR102139486B1 (ko) 천장형 제습기
JP5693329B2 (ja) 排気装置
CN208623123U (zh) 一种基于热电制冷的机柜除湿器
KR20180010511A (ko) 천정 히터용 가습기
KR10061149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323521B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KR20040084985A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