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659A -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659A
KR20190139659A KR1020180066402A KR20180066402A KR20190139659A KR 20190139659 A KR20190139659 A KR 20190139659A KR 1020180066402 A KR1020180066402 A KR 1020180066402A KR 20180066402 A KR20180066402 A KR 20180066402A KR 20190139659 A KR20190139659 A KR 20190139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wear
frame
sand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666B1 (ko
Inventor
심석래
Original Assignee
심석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석래 filed Critical 심석래
Priority to KR1020180066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66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에 조립 설치되며, 토사가 부딪히는 부분을 커버함과 아울러 완화시켜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를 제공하되, 상기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체결공(113a)(113b)이 형성된 프레임(111); 및 다수개의 프레임(111)을 상호 연이어 연결 설치하기 위해, 일측 프레임(111)과 타측 프레임(111)의 일부를 상호 겹쳐 체결공(113a)(113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U볼트(114)와 너트(115)를 체결하여 프레임들을 상호 조립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유동성에 의한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키고, 토사가 월류할 경우 집중적으로 부딪히는 부분을 커버함과 아울러 완화시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Wear and Loss Prevention device for rock fall Prevention Struc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성에 의한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키고, 토사가 월류할 경우 집중적으로 부딪히는 부분을 커버함과 아울러 완화시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토석류(土石流)란 오랫동안 풍화작용(風化作用)을 받아 토사와 암석편이 많이 생긴 산사면이 폭우나 장마로 인해 물로 포화되어 그 무게가 마찰력을 지탱하지 못하여 흘러내리는 현상을 말한다.
즉, 장년기(壯年期) 지형 산사면에서 때때로 일어나는 산사태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토석류는 산지 하측에 위치한 거주지 및 토목구조물(도로 등)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한번 토석류가 발생한 곳에는 바닥의 암반이 나타나서 새로운 토양이 되어 식물이 무성해질 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토석류로부터 산지 하측의 거주지 및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토석류 방지 구조물이 개발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토사가 집중적으로 월류할 경우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꺽임과 파손에 따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 즉, 충격에 의한 파손이 많아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구조물에 토사가 월류하거나 또는 구조물에 토사가 집중적으로 부딪힐 경우 구조물이 쉽게 풀리거나 파손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은 구조물의 하단이 취약해 바닥이 쉽게 쇄굴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2240호(2013. 06. 02)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37537호(2014. 08. 28)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47284호(2017. 06. 08)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47423호(2017. 06. 08)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에 프레임과 개구부, U볼트와 매쉬철망 및 야자매트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유동성에 의한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키고, 토사가 월류할 경우 집중적으로 부딪히는 부분을 커버함과 아울러 완화시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토사가 집중적으로 월류할 경우라도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가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꺽임과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따라서 제4목적은 충격에 의한 파손이 적어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강한 토석류 방지 구조물를 제공하게 되고, 제5목적은 구조물에 토사가 월류하거나 또는 구조물에 토사가 집중적으로 부딪힐 경우라도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가 토석류 방지 구조물과 긴밀히 연결된 관계로 구조물이 쉽게 풀리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며, 제6목적은 구조물의 하단을 긴밀히 보강하여 바닥이 쉽게 쇄굴되지 않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이로 인해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토석류 방지 구조물에 조립 설치되며, 토사가 부딪히는 부분을 커버함과 아울러 완화시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된 프레임; 및 다수개의 프레임을 상호 연이어 연결 설치하기 위해, 일측 프레임과 타측 프레임의 일부를 상호 겹쳐 체결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U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프레임들을 상호 조립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에 프레임과 개구부, U볼트와 매쉬철망 및 야자매트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유동성에 의한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키고, 토사가 월류할 경우 집중적으로 부딪히는 부분을 커버함과 아울러 완화시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토사가 집중적으로 월류할 경우라도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가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꺽임과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에 의한 파손이 적어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강한 토석류 방지 구조물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물에 토사가 월류하거나 또는 구조물에 토사가 집중적으로 부딪힐 경우라도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가 토석류 방지 구조물과 긴밀히 연결된 관계로 구조물이 쉽게 풀리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의 하단을 긴밀히 보강하여 바닥이 쉽게 쇄굴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이로 인해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가
길게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를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한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5 는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상단에 설치된 본 발명 마모 및 유실 방지 장
치의 요부 단면도.
도 6 은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하단에 설치된 본 발명 마모 및 유실 방지 장
치의 요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를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한 상태를 보인 실제 제품 사진.
본 발명에 적용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는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에 조립 설치되며, 토사가 부딪히는 부분을 커버함과 아울러 완화시켜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은, 상부지지로프(101)와 중간지지로프(103) 그리고 하부지지로프(102)가 와이어로프앵커(104)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지지로프(101)와 중간지지로프(103) 그리고 하부지지로프(102)에는 오넷(105)과 능형망(106)이 연결 구비된다.
특히 상기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체결공(113a)(113b)이 형성된 프레임(111)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프레임(111)을 상호 연이어 연결 설치하기 위해, 일측 프레임(111)과 타측 프레임(111)의 일부를 상호 겹쳐 체결공(113a)(113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U볼트(114)와 너트(115)를 체결하여 프레임들을 상호 조립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프레임(111)의 일단은 또 다른 프레임(111)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겹치는 부분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일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개구부(112)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프레임(111)은 개부부 쪽 폭(L1) 보다 반대편 쪽 폭(L2)을 크게 하여 토사가 부딪히는 부분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를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의 상단에 조립 설치하되, U볼트(114)의 안쪽에 상부지지로프(101)를 끼워지게 하고, U볼트(114)의 하단에는 샤클(116)을 연결하고, 샤클(116)의 하단에는 오넷(O-NET)(105)을 연결하여 토사가 월류할 때 프레임(111)이 토사를 커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를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의 하단 또는 경사면에 조립 설치하되, U볼트(114)의 안쪽에 하부지지로프(102)를 끼워지게 하고, U볼트(114)의 하단에는 샤클(116)을 연결하여 토사가 집중적으로 발생할 때 구조물의 하단을 보강해 바닥이 와류에 의해 쉽게 쇄굴되지 않도록 프레임(111)을 조립하여 커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프레임(111)과 바닥면 사이에는 바닥면이 쇄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메쉬철망(120)과 야자매트(121)가 구비됨과 아울러 샤클(116)이 함깨 연결 조립되어 철망과 매트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야자매트(121)는 식생을 원활하게 하며 매쉬를 사용함으로 부분 이탈을 방지하고, 바닥면에는 고정핀을 설치하여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유동성에 의한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키고, 토사가 월류할 경우 집중적으로 부딪히는 부분을 커버함과 아울러 완화시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를 보인 분해 사시도로, 2개의 프레임(111)이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U볼트(114)가 상부지지로프(101)를 끼워 체결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측 프레임(111)과 타측 프레임(111)의 일부분을 상호 겹치도록 하되, 개구부(112)를 통해 상호 겹쳐지도록 하고, 이 과정에서 일측 프레임의 체결공(113a)과 타측 프레임의 체결공(113b)이 상호 일치되도록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상부지지로프(101)가 끼워진 U볼트(114)를 체결공(113a)(113b)에 끼운 후 너트(115)를 체결하면 간단히 2개의 프레임을 상호 긴밀히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일측 프레임의 끝단이 개구부(112)의 일측면에 맞닿게 되므로 일측으로 밀려나지 않게 되고, 아울러 U볼트(114)의 체결과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111)의 뒤쪽 폭(L2)이 앞쪽 폭(L1) 보다 크게 하여 산에서 내려오는 토사가 직접 바로 부딪히게 되면 커버하여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로, U볼트(114)와 너트(115)에 의해 2개의 프레임(111)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가 길게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 상기와 같은 장치가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상단 또는 하단에 조립 설치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를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한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5 는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의 상단에 설치된 본 발명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의 요부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에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가 설치되므로 인해 유동성에 의한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키고, 토사가 월류할 경우 집중적으로 부딪히는 부분을 커버함과 아울러 완화시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토사가 집중적으로 월류할 경우라도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가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의 꺽임과 파손을 방지하고, 충격에 의한 파손이 적어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강한 토석류 방지 구조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구조물에 토사가 월류하거나 또는 구조물에 토사가 집중적으로 부딪힐 경우라도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가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과 긴밀히 연결된 관계로 구조물이 쉽게 풀리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한편, 도 6 은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의 하단 또는 경사면에 설치된 본 발명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의 요부 단면도로, 이의 작용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를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의 하단에 조립 설치하되, U볼트(114)의 안쪽에 하부지지로프(102)를 끼워지게 하고, U볼트(114)의 하단에는 샤클(116)을 연결하여 토사가 집중적으로 발생할 때 구조물의 하단을 보강해 바닥이 와류에 의해 쉽게 쇄굴되지 않도록 프레임(111)을 조립하여 커버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프레임(111)과 바닥면 사이에는 바닥면이 쇄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메쉬철망(120)과 야자매트(121)가 구비됨과 아울러 샤클(116)이 함깨 연결 조립되어 철망과 매트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은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의 하단을 긴밀히 보강하여 바닥이 쉽게 쇄굴되지 않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110)를 토석류 방지 구조물(100)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한 상태를 보인 실제 제품 사진으로,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사용한 결과 토사가 월류할 경우 집중적으로 부딪히는 부분을 커버함과 아울러 충격을 완화시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토석류 방지 구조물
110: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111: 프레임
112: 개구부
114: U볼트
120: 매쉬철망
121: 야자매트

Claims (6)

  1. 토석류 방지 구조물에 조립 설치되며, 토사가 부딪히는 부분을 커버함과 아울러 완화시켜 토석류 방지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된 프레임; 및
    다수개의 프레임을 상호 연이어 연결 설치하기 위해, 일측 프레임과 타측 프레임의 일부를 상호 겹쳐 체결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U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프레임들을 상호 조립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단은,
    또 다른 프레임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겹치는 부분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일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개구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개부부 쪽 폭(L1) 보다 반대편 쪽 폭(L2)을 크게 하여 토사가 부딪히는 부분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를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상단에 조립 설치하되,
    U볼트의 안쪽에 상부지지로프를 끼워지게 하고, U볼트의 하단에는 샤클을 연결하고, 샤클의 하단에는 오넷(O-NET)을 연결하여 토사가 월류할 때 프레임이 토사를 커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를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하단 또는 경사면에 조립 설치하되,
    U볼트의 안쪽에 하부지지로프를 끼워지게 하고, U볼트의 하단에는 샤클을 연결하여 토사가 집중적으로 발생할 때 구조물의 하단을 보강해 바닥이 와류에 의해 쉽게 쇄굴되지 않도록 프레임을 조립하여 커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바닥면 사이에는 바닥면이 쇄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메쉬철망과 야자매트가 구비됨과 아울러 샤클이 함깨 연결 조립되어 철망과 매트의 이탈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KR1020180066402A 2018-06-08 2018-06-08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KR102096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402A KR102096666B1 (ko) 2018-06-08 2018-06-08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402A KR102096666B1 (ko) 2018-06-08 2018-06-08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659A true KR20190139659A (ko) 2019-12-18
KR102096666B1 KR102096666B1 (ko) 2020-04-02

Family

ID=6905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402A KR102096666B1 (ko) 2018-06-08 2018-06-08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6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7765A (ja) * 2008-08-01 2010-02-18 Tooesu:Kk 雪崩・落石等防護体の支柱とこれを用いた防護体並びにその支柱の施工方法
KR101262240B1 (ko) 2011-03-16 2013-05-15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석류에 의한 재해방지구조물
KR101437537B1 (ko) 2012-11-19 2014-09-05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석류에 의한 재해 방지 구조물
KR101747284B1 (ko) 2015-03-31 2017-06-14 주식회사 다산이엔지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KR101747423B1 (ko) 2016-03-10 2017-06-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립식 토석류 방지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7765A (ja) * 2008-08-01 2010-02-18 Tooesu:Kk 雪崩・落石等防護体の支柱とこれを用いた防護体並びにその支柱の施工方法
KR101262240B1 (ko) 2011-03-16 2013-05-15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석류에 의한 재해방지구조물
KR101437537B1 (ko) 2012-11-19 2014-09-05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석류에 의한 재해 방지 구조물
KR101747284B1 (ko) 2015-03-31 2017-06-14 주식회사 다산이엔지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KR101747423B1 (ko) 2016-03-10 2017-06-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립식 토석류 방지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666B1 (ko)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174B1 (ko)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KR101351936B1 (ko) 충격 흡수 방호 배리어
KR102081865B1 (ko)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EA019260B1 (ru)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защитной сетки против камнепада и тому подобного
KR101866432B1 (ko) 낙석 방지용 와이어 로프 완충형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 방지망 시공방법
KR20200120025A (ko) 고장력 낙석 방지책
KR101112052B1 (ko) 암반붕괴 방지용 락볼트 연계 보강장치
CN106194212B (zh) 一种抗泥石流和落石冲击的棚洞顶部结构及施工方法
KR101262240B1 (ko) 토석류에 의한 재해방지구조물
KR20190139659A (ko)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JP5123224B2 (ja) 既設落石防護柵の補強構造
KR100831568B1 (ko)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CN108396752A (zh) 一种装配式边坡防护柔性网及其施工方法
KR101572504B1 (ko) 개폐형 낙석방지책
KR101337324B1 (ko)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
KR100841081B1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KR100405269B1 (ko)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
KR100711602B1 (ko) 십자형 연결말뚝을 이용한 해상 물막이
KR101138723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에 사용되는 철망의 고정쐐기
KR102578818B1 (ko) 사면 붕괴 방지용 고강도 네트 연결 보강 장치
KR200401520Y1 (ko) 도로의 낙석방지공 설치구조
KR20090075466A (ko) 하천 법면 보강과 식생을 위한 개비온 판넬 시공 구조물 및이에 사용되는 보호봉 결합용 클램프장치
KR100939441B1 (ko) 다목적 정착구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010660B1 (ko)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절성토사면 보강공법
KR20210021214A (ko)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