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516A -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516A
KR20190139516A KR1020180066087A KR20180066087A KR20190139516A KR 20190139516 A KR20190139516 A KR 20190139516A KR 1020180066087 A KR1020180066087 A KR 1020180066087A KR 20180066087 A KR20180066087 A KR 20180066087A KR 20190139516 A KR20190139516 A KR 20190139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id
manhole
waterproof
frame
waterproof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042B1 (ko
Inventor
최병관
강봉석
전호충
최일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6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04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맨홀용 속뚜껑 어셈블리는 보강틀, 속 뚜껑, 및 방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틀은 맨홀 뚜껑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된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보강틀은 상기 맨홀 뚜껑틀의 내측 둘레에 구비된 걸림턱을 감싼다. 상기 속 뚜껑은 판 형상을 가져 상기 걸림턱 위에 배치되는 안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맨홀 뚜껑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된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보강틀 및 상기 속 뚜껑 사이에 개재된다.

Description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INNER COVER ASSEMBLY FOR MANHOLE}
본 발명은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지상에 노출된 겉뚜껑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맨홀을 커버하는 속뚜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맨홀은 매립된 맨홀 뚜껑틀로부터 뚜껑을 분리시킨 후에 내부로 들어가서 지중에 매설된 전기, 통신, 수도 및 가스설비들을 신설 또는 보수하기 위한 맨홀과, 도로의 오수(汚水) 및 우수(雨水)를 수집하기 위한 맨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맨홀은 도로 및 보도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맨홀을 커버하는 수단으로 겉뚜껑 및 속뚜껑이 사용되고 있다. 속뚜껑은 겉뚜껑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맨홀을 커버하며, 겉뚜껑은 속뚜껑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도로 및 보도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맨홀중 22.9kV 지중배전선로에 설치되는 지중 배전 맨홀의 경우에는 맨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맨홀의 뚜껑 및 뚜껑틀 사이에 고무재질로 제조되어 환형 형상을 갖는 패킹이 구비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맨홀의 방수 방식은 맨홀뚜껑의 사용 시간이 증가하면서 뚜껑의 개방횟수가 많아 짐에 따라 뚜껑의 무게에 의해 고무패킹이 균열되거나, 뚜껑틀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맨홀의 방수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 기능이 향상된 맨홀을 커버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맨홀용 속뚜껑 어셈블리는 보강틀, 속 뚜껑, 및 방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틀은 맨홀 뚜껑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된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보강틀은 상기 맨홀 뚜껑틀의 내측 둘레에 구비된 걸림턱을 감싼다. 상기 속 뚜껑은 판 형상을 가져 상기 걸림턱 위에 배치되는 안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맨홀 뚜껑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된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보강틀 및 상기 속 뚜껑 사이에 개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틀은 상기 걸림턱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의 측면을 커버하는 커버하는 측부, 및 상기 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의 하부면을 커버하는 하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보강틀의 상기 상단부를 커버하는 제1 방수부, 및 상기 보강틀의 상기 측부를 커버하는 제2 방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제1 방수부로부터 상기 속 뚜껑 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속 뚜껑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홀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돌기를 다수로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방수부재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속 뚜껑에는 상기 다수의 돌기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홀이 다수로 정의되고, 상기 다수의 결합홀은 상기 속뚜껑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방수부, 상기 제2 방수부 및 상기 돌기는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면상에서 볼 때, 상기 돌기는 역 테이퍼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속 뚜껑은 걸림부를 더 포함한다. 단면에서 볼 때 상기 걸림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린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방수부는 상기 보강틀의 상기 상단부와 상기 속 뚜껑의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방수부는 상기 보강틀의 상기 측부와 상기 속 뚜껑의 걸림부 사이에 개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틀은 상기 상단부로부터 상기 맨홀 뚜껑틀 측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속 뚜껑 및 상기 보강틀의 구성물질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부재의 구성물질은 실리콘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맨홀용 속뚜껑 어셈블리는 마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마개는 상기 속 뚜껑을 관통하는 형상의 관통홀에 수용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하는 유체를 차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맨홀 뚜껑틀에 설치되는 맨홀용 속뚜껑 어셈블리의 속뚜껑과 맨홀 뚜껑틀 사이에 방수부재가 개재되어, 외부로부터 속뚜껑 어셈블리를 통해 맨홀측으로 유입되는 오수 또는 우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맨홀 내측으로 유입된 오수 또는 우수에 의해 맨홀 내측에 설치된 각 종 설비가 침수되는 것이 방지되고, 맨홀을 개방하는 맨홀 작업 시 맨홀 내측으로 유입된 오수 또는 우수에 대한 양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르면, 맨홀용 속뚜껑 어셈블리는 방수부재와 맨홀 뚜껑틀 사이에 개재되어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보강틀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맨홀 뚜껑틀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고려하면, 보강틀을 방수부재와 맨홀 뚜껑틀 사이에 개재시키는 경우에, 보강틀에 의해 속뚜껑과 보강틀 간의 밀착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속뚜껑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맨홀용 속뚜껑 어셈블리이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속뚜껑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속뚜껑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맨홀용 속뚜껑 어셈블리이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맨홀은 지중에 매설된 전기, 통신, 수도 및 가스 설비들을 신설 또는 보수하기 위한 맨홀과, 도로의 오수 및 우수를 수집하기 위한 맨홀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속뚜껑 어셈블리(100)는 지중배전선로에 설치되는 지중 배전 맨홀에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속뚜껑 어셈블리(100)는 외부로부터 맨홀측으로 유입되는 오수 또는 우수를 차단하는 방수 기능이 필요할 수 있다.
이하 이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속뚜껑 어셈블리(100, 이하 ‘속뚜껑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속뚜껑 어셈블리(100)는 맨홀 뚜껑틀(50)에 결합된다. 맨홀 뚜껑틀(50)은 맨홀(미도시)을 정의하는 테두리에 결속되어 속뚜껑 어셈블리(100)와 결합되는 부재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맨홀 뚜껑틀(50)이 환형의 형상을 갖고, 맨홀 뚜껑틀(50)이 맨홀에 결속된 경우에는, 맨홀의 위치는 맨홀 뚜껑틀(5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맨홀 뚜껑틀(50)은 그 내측 둘레에 걸림턱(55)을 구비하고, 걸림턱(55) 위에 속뚜껑 어셈블리(100)가 안착되어 속뚜껑 어셈블리(100)가 맨홀 뚜껑틀(50)에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맨홀 뚜껑틀(50)에는 속뚜껑 어셈블리(100) 결합용 걸림턱(55) 외에 겉뚜껑(미도시) 결합용 걸림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뚜껑틀(50)의 상측에 걸림부(57)가 형성될 수 있고, 걸림부(57)에 의해 맨홀 뚜껑틀(50)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단차에 겉뚜껑(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맨홀 뚜껑틀(50)은 속뚜껑 어셈블리(100)에 포함되지 않는 구성요소로 설명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속뚜껑 어셈블리(100)는 맨홀 뚜껑틀(50)을 그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속뚜껑 어셈블리(100)는 속뚜껑(10), 마개(20), 방수부재(30) 및 보강틀(40)을 포함한다.
속뚜껑(10)은 맨홀 뚜껑틀(50)의 환형 형상의 내측, 즉 개구된 부분을 커버하도록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속뚜껑(10)의 구성물질은 철과 같은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속뚜껑(10)의 상측에는 도로 또는 보도 위에 노출되는 겉뚜껑(미도시)이 위치하여 맨홀 뚜껑틀(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속뚜껑(10)은 안착부(11) 및 걸림부(12)를 포함한다. 안착부(11)는 속뚜껑(10)의 외측 둘레에 위치하며, 걸림부(12)는 안착부(11)의 주변에 위치하여 안착부(1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안착부(11)는 걸림턱(55)의 보강틀(40) 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즉 안착부(11)는 걸림턱(55)을 감싸는 보강틀(40) 위에 배치된다. 또한, 걸림부(12)는 안착부(11)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걸림부(12) 및 안착부(11)의 구조에 의해 속뚜껑(10)이 걸림턱(55)을 감싸는 보강틀(40)에 걸리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속뚜껑(10)의 중앙에는 관통홀(18)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8)은 속뚜껑(10)을 관통하는 형상을 갖고, 마개(20)는 관통홀(18)에 수용되어 관통홀(18)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20)를 관통홀(18)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맨홀 내부에 수용된 가스가 관통홀(18)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관통홀(18)을 통해 맨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맨홀 작업시, 속뚜껑(10)을 개방하지 않더라도 마개(20)를 열어 관통홀(18)을 개방하는 경우에, 외부공기가 관통홀(18) 내로 유입되어 속뚜껑(10)이 개방이 용이해지고, 속뚜껑(10) 내측의 유해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효과가 있다.
보강틀(40)은 맨홀 뚜껑틀(5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된 환형의 형상을 갖고, 보강틀(40)은 맨홀 뚜껑틀(50)에 구비된 걸림턱(55)과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강틀(40)의 구성물질은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틀(40)의 구성물질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틀(40)은 걸림턱(55)을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틀(40)은 상단부(44), 측부(41) 및 하단부(42)를 포함한다. 상단부(44)는 걸림턱(55)의 상부면을 커버하고, 측부(41)는 상단부(44)로부터 연장되어 걸림턱(55)의 측면을 커버한다. 또한, 하단부(42)는 측부(41)로부터 연장되어 걸림턱(55)의 하부면을 커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강틀(40)은 결합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3)는 보강틀(40)의 상단부(44)로부터 하단부(4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결합부(43)는 걸림턱(55)의 상부면에 정의된 결합홈(56)에 수용된다. 따라서, 결합부(43) 및 결합홈(56) 간의 체결력에 의해 보강틀(40)이 걸림턱(55)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보강틀(40)이 걸림턱(55)을 감싸는 구조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방수부재(30)는 맨홀 뚜껑틀(5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된 환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방수부재(30)는 보강틀(40) 및 속뚜껑(10) 사이에 개재되어 속뚜껑(10)과 보강틀(40) 간의 틈을 메꾸어 상기 틈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수 또는 우수를 방수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수부재(30)의 구성물질은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부재(30)의 구성물질은 실리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수부재(30)는 제1 방수부(31), 제2 방수부(32) 및 돌기(35)를 포함한다. 방수부재(30)의 제조방법 측면에서는 방수부재(30)는 점성을 갖는 실리콘 수지를 경화하여 형성되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방수부(31), 제2 방수부(32) 및 돌기(35)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수부(31)는 보강틀(40)의 상단부(44)를 커버한다. 제2 방수부(32)는 보강틀(40)의 측부(41)를 커버한다. 또한, 돌기(35)는 제1 방수부(31)로부터 속뚜껑(10)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돌기(35)는 속뚜껑(10)의 결합홀(15)에 수용된다. 따라서, 돌기(35) 및 결합홀(15) 간의 체결력에 의해 방수부재(30)가 속뚜껑(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부재(30)에 돌기(35)가 다수로 제공된다. 다수의 돌기(35)는 방수부재(30)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돌기(35)에 대응되도록 결합홀(15)은 속뚜껑(10)에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결합홀(15)은 속뚜껑(10)의 테두리에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돌기(35)는 다수의 결합홀(15)과 일대일 대응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수부재(30) 및 속뚜껑(10) 간의 체결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방수부재(30)의 구성에 따르면, 방수부재(30)는 속뚜껑(10)과 맨홀 뚜껑틀(50) 사이에 위치하되, 방수부재(30)는 보강틀(40)과 접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방수부(31)는 보강틀(40)의 상단부(44) 및 속뚜껑(10)의 안착부(11) 사이에 개재되고, 제2 방수부(32)는 보강틀(40)의 측부(41) 및 속뚜껑(10)의 걸림부(32)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방수부재(30)에 의해 속뚜껑(10) 및 보강틀(40) 간의 틈이 메꾸어져 속뚜껑(10)의 외부로부터 보강틀(40)의 내측, 즉 맨홀 내부로 오수 또는 우수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세트를 속뚜껑(10)과 방수부재(30)의 조합으로 정의하고, 제2 세트를 맨홀 뚜껑틀(50)과 보강틀(40)의 조합으로 정의하면, 상기 제1 세트를 상기 제2 세트에 조립할 때, 실질적으로 방수부재(30)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보강틀(40)과 접촉되지 않고, 방수부재(30)는 폴리머 재질의 보강틀(40)과 접촉된다. 따라서, 보강틀(40) 및 방수부재(30) 간의 접착력에 의해 속뚜껑(10) 및 보강틀(40) 간의 밀착력이 보다 향상되어, 맨홀 내부로 오수 또는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용 속뚜껑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속뚜껑 어셈블리(101)는 속뚜껑(10-1), 마개(미도시), 방수부재(30-1) 및 보강틀(40)을 포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속뚜껑 어셈블리(101)는, 속뚜껑(10-1) 및 방수부재(30-1)를 제외하면, 도 2에 도시된 속뚜껑 어셈블리(도 2의 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수부재(30-1)는 제1 방수부(31), 제2 방수부(32) 및 돌기(35-1)를 포함하고, 단면상에서 볼 때 돌기(35-1)는 역 테이퍼(reverse taper)의 형상을 갖는다. 즉, 도 4에 도시된 돌기(35-1)의 형상을 기준으로 할 때, 돌기(35-1)의 폭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진다.
또한, 속뚜껑(10-1)의 결합홀(15-1)은 역 테이퍼의 형상을 갖는 돌기(35-1)의 구조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면상에서 볼 때 결합홀(15-1)의 개구된 폭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갖는 돌기(35-1)를 제조하는 방법 측면에서는, 속뚜껑(10-1)에 방수부재(30-1)의 형상에 대응되는 틀을 조립한 후에 상기 틀에 실리콘 수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수지를 경화하여 방수부재(30-1)의 제1 방수부(31), 제2 방수부(32) 및 돌기(35-1)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리콘 수지가 속뚜껑(10-1)의 후면 측으로 제공되어 상기 실리콘 수지가 결합홀(15-1) 내부에 채워져 돌기(35-1)가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실리콘 수지가 결합홀(15-1) 내부에 채워지는 경로 상에서 결합홀(15-1)의 폭이 점점 커지므로 상기 실리콘 수지가 결합홀(15-1)에 용이하게 채워지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부재(30-1)의 돌기(35-1)가 역 테이퍼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 방수부재(30-1)가 속뚜껑(10-1)의 하측으로 빠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방수부재(30-1)가 중력에 의해 방수부재(30-1)가 하측으로 쳐지는 경우에는, 돌기(35-1)의 역 테이퍼의 형상에 의해 오히려 방수부재(30-1)와 속뚜껑(10-1) 사이의 밀찰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속뚜껑 어셈블리(101)가 장시간 사용되더라도, 속뚜껑(10-1)과 방수부재(30-1) 간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며, 그 결과 속뚜껑 어셈블리(101)의 외부의 오수 또는 우수를 차단하는 효과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속뚜껑 20: 마개
30: 방수부재 40: 보강틀
50: 맨홀 뚜껑틀 55: 걸림턱
18: 관통홀 15: 결합홀
31: 제1 방수부 32: 제2 방수부
35: 돌기 44: 상단부
41: 측부 42: 하단부
43: 결합부 100: 속뚜껑 어셈블리

Claims (13)

  1. 맨홀 뚜껑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된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맨홀 뚜껑틀의 내측 둘레에 구비된 걸림턱을 감싸는 보강틀;
    판 형상을 가져 상기 걸림턱 위에 배치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속 뚜껑; 및
    상기 맨홀 뚜껑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된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보강틀 및 상기 속 뚜껑 사이에 개재된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은,
    상기 걸림턱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의 측면을 커버하는 커버하는 측부; 및
    상기 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의 하부면을 커버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보강틀의 상기 상단부를 커버하는 제1 방수부; 및
    상기 보강틀의 상기 측부를 커버하는 제2 방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제1 방수부로부터 상기 속 뚜껑 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속 뚜껑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홀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돌기를 다수로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방수부재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속 뚜껑에는 상기 다수의 돌기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홀이 다수로 정의되고, 상기 다수의 결합홀은 상기 속뚜껑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부, 상기 제2 방수부 및 상기 돌기는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8. 제 4 항에 있어서, 단면상에서 볼 때, 상기 돌기는 역 테이퍼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속 뚜껑은,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안착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부는 상기 보강틀의 상기 상단부와 상기 속 뚜껑의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방수부는 상기 보강틀의 상기 측부와 상기 속 뚜껑의 걸림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은 상기 상단부로부터 상기 맨홀 뚜껑틀 측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 뚜껑과 상기 보강틀의 구성물질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부재의 구성물질은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 뚜껑을 관통하는 형상의 관통홀에 수용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하는 유체를 차단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KR1020180066087A 2018-06-08 2018-06-08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KR102141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87A KR102141042B1 (ko) 2018-06-08 2018-06-08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87A KR102141042B1 (ko) 2018-06-08 2018-06-08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516A true KR20190139516A (ko) 2019-12-18
KR102141042B1 KR102141042B1 (ko) 2020-08-06

Family

ID=6905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087A KR102141042B1 (ko) 2018-06-08 2018-06-08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624B1 (ko) * 2020-09-28 2021-04-19 주식회사 지오이엔비 Rc 또는 pc지지블록을 이용한 맨홀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538B1 (ko) 2022-08-12 2024-04-05 한국전력공사 맨홀뚜껑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230Y1 (ko) * 1994-07-07 1999-02-18 박세정 소음 방지용 맨홀
KR19990070466A (ko) * 1998-02-20 1999-09-15 심규보 목높이를 높일 수 있는 맨홀뚜껑 조립체
KR20100104303A (ko) * 2009-03-17 2010-09-29 김용복 맨홀용 속 뚜껑구조
KR101108860B1 (ko) * 2010-08-26 2012-01-31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
KR20120016807A (ko) *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정원주철 속뚜껑 방수식 맨홀뚜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230Y1 (ko) * 1994-07-07 1999-02-18 박세정 소음 방지용 맨홀
KR19990070466A (ko) * 1998-02-20 1999-09-15 심규보 목높이를 높일 수 있는 맨홀뚜껑 조립체
KR20100104303A (ko) * 2009-03-17 2010-09-29 김용복 맨홀용 속 뚜껑구조
KR20120016807A (ko) *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정원주철 속뚜껑 방수식 맨홀뚜껑
KR101108860B1 (ko) * 2010-08-26 2012-01-31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624B1 (ko) * 2020-09-28 2021-04-19 주식회사 지오이엔비 Rc 또는 pc지지블록을 이용한 맨홀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042B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9516A (ko)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CN101679017B (zh) 用于燃料分配器的集液槽
KR100807660B1 (ko) 절연성 맨홀구조
KR100872726B1 (ko) 조립식 맨홀
JP5153746B2 (ja) 電線共同溝の特殊部
KR101157098B1 (ko) 지중케이블 보호판
KR100637310B1 (ko) 밀폐형 맨홀
KR200417100Y1 (ko)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KR100653924B1 (ko) 점검구가 설치된 상하수도·전기·통신용 맨홀뚜껑
KR200402405Y1 (ko) 보행자 도로의 전기감전 예방용 맨홀구조
KR20150133455A (ko) Pe 유공 측구수로관
KR100944050B1 (ko) 확장형 조립식맨홀
KR20070087278A (ko)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KR200402381Y1 (ko) 감전방지 기능을 갖는 맨홀 출입구 밀폐장치
JP5152987B2 (ja) 地下構造物用蓋
KR101606424B1 (ko) 도로포장의 측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20090101066A (ko) 설치각도 가변형 조립식 맨홀
KR20190082613A (ko) 맨홀구조체
JP2005226406A (ja) マンホールの通水方法、マンホール通水構造
US378560A (en) Test-box for underground electric wires or cables
KR102541424B1 (ko) 기능성 맨홀 뚜껑
KR20120045344A (ko) Frp를 보강한 맨홀뚜껑
KR20120006027U (ko) 신축 이음 장치용 연결 부재
KR200325893Y1 (ko) 맨홀뚜껑의 방수 구조
KR200399175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