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860B1 -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 - Google Patents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860B1
KR101108860B1 KR1020100082836A KR20100082836A KR101108860B1 KR 101108860 B1 KR101108860 B1 KR 101108860B1 KR 1020100082836 A KR1020100082836 A KR 1020100082836A KR 20100082836 A KR20100082836 A KR 20100082836A KR 101108860 B1 KR101108860 B1 KR 101108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id
elastic
support
manhol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상
Original Assignee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2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9Annular 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Abstract

본 발명은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맨홀은 몸체, 상기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를 가지는 맨홀 본체, 상기 제 1 지지부 위에 놓이는 겉뚜껑, 상기 제 2 지지부 위에 놓이는 속뚜껑, 상기 속뚜껑의 일부를 둘러싼 상태로 하여 상기 속뚜껑과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에 배열되는 제 1 탄성부,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일종단을 상기 속뚜껑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가압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속뚜껑 위에 접촉하는 조임부를 포함합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의 일종단은 상기 속뚜껑 위에 놓이고, 상기 가압부의 타종단은 상기 제 1 지지부의 배면에 접촉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조임부의 조임에 따라 상기 속뚜껑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 1 탄성부를 상기 제 2 지지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일종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속뚜껑의 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가압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조임부는 상기 속뚜껑 위에 놓이며 상기 겉뚜껑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습니다.

Description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MANHOLE HAVING A WATER BLOCKING FUNCTION AND INTERNAL COVER STRUCTURE INCLUDED IN THE SAME}
본 발명은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는 전력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 다양한 케이블들을 설치, 보수 및 관리를 하기 위하여 아래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많은 맨홀들을 도로 등에 설치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맨홀 본체(100)는 지중에 매설되고, 겉뚜껑(102)이 맨홀 본체(100) 중 제 1 지지부(110) 상에 놓이며, 속뚜껑(104)이 제 2 지지부(112) 위에 놓인다. 즉, 맨홀은 이중 덮개 구조로 구현된다.
그러나, 뚜껑들(102 및 104)이 해당 지지부들(110 및 112)과 완전 밀착되는 것은 아니므로, 비가 오는 경우 등에 빗물이 뚜껑들(102 및 104)과 지지부들(110 및 112)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맨홀의 내부로 유입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맨홀 내부의 케이블 등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즉, 종래의 맨홀들은 수밀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케이블 등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밀 기능을 수행하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은 몸체, 상기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를 가지는 맨홀 본체; 상기 제 1 지지부 위에 놓이는 겉뚜껑; 상기 제 2 지지부 위에 놓이는 속뚜껑; 상기 속뚜껑의 일부를 둘러싼 상태로 하여 상기 속뚜껑과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에 배열되는 제 1 탄성부;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일종단을 상기 속뚜껑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가압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속뚜껑 위에 접촉하는 조임부를 포함합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의 일종단은 상기 속뚜껑 위에 놓이고, 상기 가압부의 타종단은 상기 제 1 지지부의 배면에 접촉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조임부의 조임에 따라 상기 속뚜껑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 1 탄성부를 상기 제 2 지지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일종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속뚜껑의 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가압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조임부는 상기 속뚜껑 위에 놓이며 상기 겉뚜껑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습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뚜껑 구조물은 맨홀 본체의 지지부 상에 놓이는 속뚜껑; 상기 속뚜껑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놓이는 제 1 탄성부;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일종단을 상기 속뚜껑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가압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속뚜껑 위에 접촉하는 조임부를 포함합니다. 여기서, 상기 제 1 탄성부는 상기 속뚜껑과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의 일종단은 상기 속뚜껑 위에 놓이고, 상기 가압부의 타종단은 상기 맨홀 본체 중 겉뚜껑이 놓이는 지지부의 배면에 접촉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조임부의 조임에 따라 상기 속뚜껑에 압력을 가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일종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속뚜껑의 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가압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조임부는 상기 속뚜껑 위에 놓이며 상기 겉뚜껑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습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맨홀에서 속뚜껑과 상기 속뚜껑을 지지하는 지지부 사이에 탄성부가 배열되므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맨홀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맨홀은 맨홀 본체(300), 걷뚜껑(302) 및 속뚜껑 구조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속뚜껑 구조물은 속뚜껑(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수밀부(304)를 포함한다. 즉, 맨홀 외부로부터의 물의 침투를 막는 수밀 기능을 하는 수밀부(304)가 속뚜껑(400)과 연계하여 상기 속뚜껑 구조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밀부(304)는 탄성부(402), 가압부(404), 고정부(406) 및 조임부(40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맨홀의 구체적인 구조 및 수밀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맨홀 본체(300)는 몸체(410), 제 1 지지부(412) 및 제 2 지지부(414)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부(412)는 몸체(410)와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수직한 방향으로 하여 몸체(410)로부터 길이 연장되며, 겉뚜껑(302)이 제 1 지지부(412)의 상면에 놓인다.
제 2 지지부(414)는 몸체(410)와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수직한 방향으로 하여 몸체(410)로부터 길이 연장되고, 제 1 지지부(412)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속뚜껑(400)이 제 2 지지부(414)의 상면에 놓인다.
상기 속뚜껑 구조물을 살펴보면, 속뚜껑(400)은 제 2 지지부(414)의 상면에 놓이며, 속뚜껑(400)과 제 2 지지부(414) 사이에 탄성부(402)가 배열된다. 여기서, 탄성부(402)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을 가지는 한 재질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속뚜껑(400)은 몸체(420)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수직부(42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속뚜껑(400)의 상면 위에는 가압부(404), 고정부(406) 및 조임부(408)가 배열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압부(404)는 속뚜껑(400)에 압력을 직접적으로 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그의 일종단은 제 1 지지부(412)의 배면에 접촉하며, 그의 타종단은 속뚜껑(400)의 상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가압부(40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역"ㄴ"자 형상들이 상하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406)는 가압부(404)의 일종단을 속뚜껑(4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가압부(404)의 일종단은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가압부(404)는 그의 일종단은 고정되어 있으나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조임부(408)는 가압부(404)를 관통하여 속뚜껑(400)의 상면에 접촉하며, 가압부(404)를 조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임부(408)는 몸체, 손잡이부 및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 가압부(404)가 조여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404)가 기울어지면서 일종단은 제 1 지지부(412)의 배면에 힘을 가하고 타종단은 속뚜껑(400)에 힘을 가하게 된다. 특히, 제 1 지지부(412)는 힘을 가해도 움직여지는 부재가 아니므로, 대다수의 힘은 속뚜껑(400)으로 가해지게 된다.
탄성부(402)는 속뚜껑(400)과 제 2 지지부(414) 사이에 배열되되, 바람직하게는 속뚜껑(400)의 종단을 둘러싼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탄성부(4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뚜껑(400)의 종단을 둘러싼 구조로 속뚜껑(400)에 부착된다.
도 4에서는 표시되지 않지만, 탄성부(402)는 속뚜껑(400)의 둘레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공정 상으로는, 속뚜껑(400)과 탄성부(402)를 별도로 제조한 후 탄성부(402)가 속뚜껑(400)의 종단을 둘러싸도록 탄성부(402)를 속뚜껑(400)에 부착시킨다.
이하, 상기 맨홀에서의 수밀 동작을 살펴보겠다.
수밀부(304)를 속뚜껑(400)과 연계하여 설치한 후 조임부(408)를 이용하여 가압부(404)를 조이면, 가압부(404)가 속뚜껑(40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속뚜껑(400)을 통하여 탄성부(402)로 힘이 가해지며, 따라서 탄성부(402)가 제 2 지지부(414) 및 속뚜껑(400)의 배면에 밀착되게 된다. 특히, 맨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속뚜껑 구조물들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속뚜껑(400)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탄성부(402)의 전체에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임부(408)의 조임을 해제하지 않는 한 속뚜껑(400)으로 가해지는 힘은 계속적으로 유지되며, 그 결과 빗물 등과 같은 맨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속뚜껑(400)의 내부로 침투되지 않는다.
한편, 수밀 기능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임부(408)의 조임을 해제하거나 가압부(404) 중 제 1 지지부(412)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때려서 가압부(404)가 제 1 지지부(412)와 접촉하지 않도록 가압부(404)를 외부로 밀어내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지지부(412)의 상면에 원형 형상의 고무링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링이 겉뚜껑(302)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지지부(412) 및 관련 소자들에 의해 1차 수밀 동작이 수행되고, 제 2 지지부(414)와 관련 소자들에 의해 2차 수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맨홀은 속뚜껑(400)과 제 2 지지부(414) 사이에 탄성부(402)를 배열하고 속뚜껑(400)을 통하여 탄성부(402)에 힘을 가하여 수밀 동작을 수행시킨다. 다만, 속뚜껑(400)에 힘을 가하는 구조는 도 4 및 도 5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속뚜껑 구조물은 속뚜껑(400), 탄성부(600), 가압부(404), 고정부(406) 및 조임부(408)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속뚜껑 구조물의 구성 요소들 중 탄성부(600)를 제외한 나머지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들을 사용하겠다.
탄성부(6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부(610) 및 제 2 탄성부(6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탄성부(610)는 속뚜껑(400)의 종단을 둘러싼 구조로 구현되며, 바람직하게는 속뚜껑(400)에 부착된다.
제 2 탄성부(612)는 제 1 탄성부(610)와 결합되며,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 2 탄성부(612)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뚜껑(420)의 배면 둘레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탄성부(612)는 링 형상을 가지되, 속이 빈 구조로 구현된다. 결과적으로, 속뚜껑(400)을 통하여 탄성부(600)에 힘이 가해지면 제 2 탄성부(612)가 속이 빈 구조이므로 상당히 수축되어서 더 잘 수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제 2 탄성부(612)는 속이 빈 구조가 아닌 전체적으로 탄성 물질로 채워질 수도 있다.
한편, 제 1 탄성부(610)와 제 2 탄성부(612)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기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속뚜껑 구조물은 속뚜껑(400), 탄성부(700), 가압부(404), 고정부(406) 및 조임부(408)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속뚜껑 구조물의 구성 요소들 중 탄성부(700)를 제외한 나머지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들을 사용하겠다.
탄성부(7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부(710) 및 제 2 탄성부(7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탄성부(710)는 속뚜껑(400)의 몸체(420)뿐만 아니라 수직부(422)도 덮도록 구현된다.
제 2 탄성부(712)는 제 1 탄성부(710)와 결합되며, 속이 빈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탄성부(700)는 속뚜껑(400)의 몸체(420)과 제 2 지지부(414) 사이에 배열될 뿐만 아니라 수직부(422)와 제 2 지지부(414)의 측면 사이에도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속뚜껑(400)의 내부로 침투할 가능성이 더 낮아진다.
본 실시예의 맨홀에서 제 2 탄성부(712)가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2 탄성부(712)가 존재하지 않고 제 1 탄성부(710)만 존재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속뚜껑 구조물은 속뚜껑(400), 제 1 탄성부(800), 제 2 탄성부(802), 가압부(404), 고정부(406) 및 조임부(408)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속뚜껑 구조물의 구성 요소들 중 제 2 탄성부(802)를 제외한 나머지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들을 사용하겠다.
제 2 탄성부(802)는 제 2 지지부(414)의 종단 부분을 감싸는 구조로 구현되며,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탄성부(800) 중 링 형상 부분(812)이 제 2 탄성부(802)의 상측 부분과 접촉하고, 속뚜껑(400)의 수직부(422)와 제 2 탄성부(802)의 측면 부분이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탄성부(800)가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링 형상 부분(812)을 포함하지 않고 타부분(810)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탄성부(800)가 제 3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수직부(422)를 둘러싸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탄성부(800) 중 수직부(422)를 둘러싼 부분이 제 2 탄성부(802)의 측면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속뚜껑 구조물은 속뚜껑(400), 탄성부(900), 가압부(404), 고정부(406) 및 조임부(408)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속뚜껑 구조물의 구성 요소들 중 탄성부(900)를 제외한 나머지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들을 사용하겠다.
탄성부(900)는 속뚜껑(400)의 몸체(420) 및 수직부(422)를 감싸도록 구현된다. 다만, 탄성부(900) 중 일부분(사선 부분, 9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지지부(414)의 측면과 탄성부(900)의 일부분(910)이 강하게 밀착되며, 조임부(408)의 조임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지지부(414)의 측면이 탄성부(900)의 측면을 강하게 수축시켜 제 2 지지부(414)가 탄성부(900)에 강하게 밀착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I-I'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속뚜껑 구조물은 속뚜껑(400), 탄성부(1000), 가압부(404), 고정부(406) 및 조임부(408)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속뚜껑 구조물의 구성 요소들 중 탄성부(1000)를 제외한 나머지는 제 5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5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들을 사용하겠다.
탄성부(1000)는 사선 부분(1020)을 포함하는 제 1 탄성부(1010) 및 링 형상의 제 2 탄성부(1012)로 이루어진다.
위 실시예들에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지지부(412) 상에 고무링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맨홀 본체 102 : 겉뚜껑
104 : 속뚜껑 110 : 제 1 지지부
112 : 제 2 지지부 300 : 맨홀 본체
302 : 겉뚜껑 304 : 수밀부
400 : 속뚜껑 402 : 탄성부
404 : 가압부 406 : 고정부
408 : 조임부 410 : 몸체
412 : 제 1 지지부 414 : 제 2 지지부
420 : 몸체 422 : 수직부
600 : 탄성부 610 : 제 1 탄성부
612 : 제 2 탄성부 700 : 탄성부
710 : 제 1 탄성부 712 : 제 2 탄성부
800 : 제 1 탄성부 802 : 제 2 탄성부
900 : 탄성부 910 : 사선 부분
1000 : 탄성부 1010 : 제 1 탄성부
1012 : 제 2 탄성부 1020 : 사선 부분

Claims (12)

  1. 몸체, 상기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를 가지는 맨홀 본체;
    상기 제 1 지지부 위에 놓이는 겉뚜껑;
    상기 제 2 지지부 위에 놓이는 속뚜껑;
    상기 속뚜껑의 일부를 둘러싼 상태로 하여 상기 속뚜껑과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에 배열되는 제 1 탄성부;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일종단을 상기 속뚜껑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가압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속뚜껑 위에 접촉하는 조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의 일종단은 상기 속뚜껑 위에 놓이고, 상기 가압부의 타종단은 상기 제 1 지지부의 배면에 접촉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조임부의 조임에 따라 상기 속뚜껑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 1 탄성부를 상기 제 2 지지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일종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속뚜껑의 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가압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조임부는 상기 속뚜껑 위에 놓이며 상기 겉뚜껑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부로부터 원형 형상의 제 2 탄성부가 연장되되,
    상기 제 2 탄성부가 상기 제 2 지지부와 접촉하며, 상기 제 2 탄성부의 속은 비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은,
    상기 제 2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 제 2 탄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탄성부와 상기 제 2 탄성부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6. 삭제
  7. 맨홀 본체의 지지부 상에 놓이는 속뚜껑;
    상기 속뚜껑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놓이는 제 1 탄성부;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일종단을 상기 속뚜껑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가압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속뚜껑 위에 접촉하는 조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탄성부는 상기 속뚜껑과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의 일종단은 상기 속뚜껑 위에 놓이고, 상기 가압부의 타종단은 상기 맨홀 본체 중 겉뚜껑이 놓이는 지지부의 배면에 접촉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조임부의 조임에 따라 상기 속뚜껑에 압력을 가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일종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속뚜껑의 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가압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조임부는 상기 속뚜껑 위에 놓이며 상기 겉뚜껑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뚜껑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부로부터 원형 형상의 제 2 탄성부가 연장되되,
    상기 제 2 탄성부는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 2 탄성부의 속인 빈 구조로 하여 상기 속뚜껑의 배면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제 1 탄성부는 상기 속뚜껑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뚜껑 구조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082836A 2010-08-26 2010-08-26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 KR101108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36A KR101108860B1 (ko) 2010-08-26 2010-08-26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36A KR101108860B1 (ko) 2010-08-26 2010-08-26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8860B1 true KR101108860B1 (ko) 2012-01-31

Family

ID=4561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836A KR101108860B1 (ko) 2010-08-26 2010-08-26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8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023B1 (ko) 2019-01-28 2019-12-13 (주)에스엠엔지니어링 밀폐형 맨홀 뚜껑
KR20190139516A (ko) * 2018-06-08 2019-12-18 한국전력공사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KR102609292B1 (ko) * 2023-04-12 2023-12-04 (주)한국주조 맨홀용 역류방지 안전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309Y1 (ko) * 2000-08-31 2001-02-15 주식회사일산금속 맨홀의 속뚜껑 잠금장치
KR20020014309A (ko) * 2000-08-17 2002-02-25 이계안 지능형 4륜 조향 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장치
KR20100052864A (ko) * 2008-11-11 2010-05-20 이민호 맨홀뚜껑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309A (ko) * 2000-08-17 2002-02-25 이계안 지능형 4륜 조향 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장치
KR200214309Y1 (ko) * 2000-08-31 2001-02-15 주식회사일산금속 맨홀의 속뚜껑 잠금장치
KR20100052864A (ko) * 2008-11-11 2010-05-20 이민호 맨홀뚜껑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516A (ko) * 2018-06-08 2019-12-18 한국전력공사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KR102141042B1 (ko) * 2018-06-08 2020-08-06 한국전력공사 맨홀용 속 뚜껑 어셈블리
KR102056023B1 (ko) 2019-01-28 2019-12-13 (주)에스엠엔지니어링 밀폐형 맨홀 뚜껑
KR102609292B1 (ko) * 2023-04-12 2023-12-04 (주)한국주조 맨홀용 역류방지 안전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860B1 (ko)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
RU2515660C1 (ru) Уплотня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1223508B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01130847B1 (ko) 영구형 앵커
JP2017053093A (ja) アンカーボルト取付用金具及びこの金具を用いたアンカーボルト取付方法
KR101785409B1 (ko) 터널용 측벽유공관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용 측벽유공관 시공방법
JP2015094093A (ja) 屋上設置設備の支持部材を兼用した基礎
KR101543961B1 (ko) 복합파일
KR100733390B1 (ko) 지중 매설용 전주 지지대
KR200448880Y1 (ko)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KR101363483B1 (ko) 고성능 복합형 앵커
JP3202729B2 (ja) マンホ―ルに接続された管用耐震スリ―ブ
KR102088960B1 (ko) 맨홀리브 진동크랙 방지용 보수공법을 이용한 맨홀커버
KR10154687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공법
KR200464710Y1 (ko) 파형강판 체결용 방수부재
CN210105304U (zh) 一种混凝土预留洞口封堵装置
KR101102129B1 (ko) 레바를 이용하는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KR101842837B1 (ko) 관 연결 소켓
KR200471817Y1 (ko) 방수 앵커
CN109723915B (zh) Pccp管道预应力加固结构以及加固方法
JPH08495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と埋設管との接続構造
KR100530616B1 (ko) 해저 케이블 보호용 합성 그물망 콘크리트 덮개 설치구조
KR101594728B1 (ko) 복합파일
KR20100134389A (ko) 링을 이용하는 맨홀
JP5146740B2 (ja) ステップ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9